KR100404965B1 - 조합화학(combinatorial chemistry)에서 특징적으로 고체상과 고리화반응 단계에 트리에틸아민과 THF를 이용하여 신규 히덴토인 유도체의 합성법 - Google Patents

조합화학(combinatorial chemistry)에서 특징적으로 고체상과 고리화반응 단계에 트리에틸아민과 THF를 이용하여 신규 히덴토인 유도체의 합성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4965B1
KR100404965B1 KR10-2000-0050557A KR20000050557A KR100404965B1 KR 100404965 B1 KR100404965 B1 KR 100404965B1 KR 20000050557 A KR20000050557 A KR 20000050557A KR 100404965 B1 KR100404965 B1 KR 100404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group
substituted
reaction
solid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0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7324A (ko
Inventor
김상웅
이은주
Original Assignee
(주) 리드제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리드제넥스 filed Critical (주) 리드제넥스
Priority to KR10-2000-0050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4965B1/ko
Publication of KR20020017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6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72Two oxygen atoms, e.g. hydanto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합화학(Combinatorial Chemistry)에서 특징적으로 고체상(solid phase) 반응을 이용하여 하기 식 1 의 히덴토인(Hydantoin) 유도체를 합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장 핵심인 고리화 반응단계에 트리에틸아민과 THF를 사용하여 쉽게 고리화 할 수 있고 아미노산의 유도체와, 벤즈알데이드의 유도체를 고체상에서 반응 시키고 환원시킨뒤 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를 사용하여 반응시킨 다음 고체상으로부터 생성물을 탈리시킨 후 재결정화 등의 후처리 작업이 필요 없는 고순도의 히덴토인 화합물을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식1]
(상기식에서 R1, R2 및 R3 는 명세서에 정의한 바와 같다)

Description

조합화학(combinatorial chemistry)에서 특징적으로 고체상과 고리화반응 단계에 트리에틸아민과 THF를 이용하여 신규 히덴토인 유도체의 합성법{Novel Hydantoin Library Using Combinatorial Chemistry}
본 발명은 조합화학에서 특징적으로 고체상(solid phase) 반응을 이용하고 고리화 반응단계에서 지금까지 사용하지 않은 트리에틸아민과 THF를 사용하여 쉽게 고리화 반응을 가능하게 하고 보다 신속하게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후처리 작업이 필요없는 경제적이면서 효과적인 히덴토인(hydantoin) 유도체를 합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히덴토인은 피브리노겐 수용체의 길항작용 (fibrinogen receptor antagonist) 및 효과적인 제초제로 잘 알려져 왔고 그 유도체는 지금까지 여러 방법에 의하여 용액상 및 고체상에서 제조 되어왔다.(용액상 제조:Kobayashi et al.,Bull. Chem. Soc. Jpn.1994,67, 3082; Brandstetteret al., Tetrahedron Lett.1995,36, 2149; 일본국특허 JK P02-19363).
[반응식 1]
고체상으로 제조된 최초의 히덴토인 합성 방법은 상기 1 식에서 보여 주었듯이 1993 년 DeWitt와 연구자들에 발표된 것이다 (DeWittet al., Proc. Natl. Acad. Sci. USA,1993,90, 6909). 히덴토인 유도체 화합물 5 를 만들기 위하여 그들은 강산인 6M의 HCl과 90 ℃까지 온도를 올려 주어야 하는 과정이었으나 최초의 발명으로 매우 특징적이다.
[반응식 2]
상기 반응식 2 는 또한 목적화합믈 7 을 만들기 위하여 고리화 반응 단계의 중요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고리화 단계만을 나타내주는 다른 보기이다. 여기서의 단점은 높은 온도와 2 일간의 긴 반응시간을 이용하여 합성한 것이다.(Dressmanet al., Tetrahedron Lett.1996,37, 937).
[반응식 3]
상기 반응식 3 은 일반적으로 화합물 13 까지는 이제까지 발표된 화학식과 거의 차이가 없는 반응식을 나타내어 주고 있고 고리화 반응 단계인 화합물 13 에서 1 의 반응의 특징이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히덴토인 유도체 화합물을 보다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R1 기를 가지는 아미노산 유도체 화합물로부터 만들어진 메틸에스터, R2 기를 가지는 벤즈알데이드 유도체 화합물에 왕 수지(Wang Resin)를 결합시킨 후 환원성 아민화 반응을시키고, 생성물을 용매 중에서 R3 기를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 시키고 고리화 반응으로 고체상으로 부터 생성물을 떼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일반식 1 의 히덴토인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식 1]
상기식 1 에서,
R1 은 각종 아미노산의 유도체로부터 만들어지는 메틸 에스터 군으로 알킬 또는 황이 치환된 알킬, 아릴, 또는 히도록시 아릴 기이고,
R2 는 벤즈알데이드로부터 유도되는 것으로 알킬, 할로젠, 등의아릴을 나타내고,
R3 는 이소사이네이트로 부터 유도되는 것으로 저급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각각의 경우에 알콕시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는 아릴, 헤테로 아릴등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식 1 의 화합물의 치환기를 정의하는데 사용된 용어 "저급알킬"은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t-부틸, 옥틸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8 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을 의미한다.
용어 "사이클로알킬"은 사이클로헥실을 포함하는 탄소수 6 내지 8 의 사이클 알킬을 의미한다.
용어 "아릴"은 6-원 모노사이클 방향족 그룹 또는 10-원 비사이클릭 방향족 그룹을 의미하며, 이들 그룹은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또는 할로겐에 의하여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R2 기를 가지는 벤즈알데이드 유도체 화합물에 왕수지(Wang Resin)와 결합반응을 하여 생성된 화합물을 R1 기를 가지는 아미노산 유도체 화합물로부터 만들어지는 메틸 에스터와 환원성 아민화 반응시키고, 생성물을 R3 기를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톨루엔, DMF, 또는 톨루엔 DMF 혼합물(1:1 v/v) 용매에서 반응시키고 고리화 반응으로 트리에틸아민과 THF 용매를 사용하여 고체상으로부터 탈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상 반응을 이용한 상기식 1 의 히덴토인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반응식 4]
상기 반응식 4 에 따르면, 3.5 당량의 여러 가지로 치환된 아미노산 유도체 8 과 왕수지 (Wang Resin)9가 3.5 당량의 DIC, 0.1 당량의 DMAP를 DMF용매에서 하루동안 교반시킨다. 사용한 과량의 용매와 용질을 메탄올과 CH2Cl2를 사용하여 깨끗이 여러 번 필터를 하면 수지가 결합된 화합물 10이 만들어 진다. 본 발명에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결합한 것은 모두 4 가지 이다. 화합물 11 은 20%의 피페리딘을 DMF용매에서 30 분간 반응 시키면 얻어진다. 화합물 11에 대하여 3.5 당량의 벤즈알데이드를 10% 아세트산과 5 당량의 NaBH(OAc)3CN, 그리고 DMF 용매를 사용하여 하루동안 실온에서 교반 시킨다. 교반이 끝난 후 과량으로 사용한 용매와 용질을 메탄올과 CH2Cl2를 사용하여 깨끗이 필터를 하면 수지가 결합된 화합물 12 가 만들어진다. 화합물 13 은 시판되는 이소시아네이트 및 목적화합물에 부합하도록 만든 이소시아네이트를 3.5 당량 사용하여 DMF/Toluene 용매를 사용하여 5 시간동안 교반 시킨 후 위의 화합물 12 를 만드는 방법과 같이 깨끗이 여러번 필터를 하면 쉽게 만들어 진다. 생성된 화합물 13 은 트리에틸아민과 THF 용매로 50℃에서 하루동안 교반 시키면 쉽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총 36개를 합성 하였는데 아래와 같이 6 개만 실시예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대표적인 히덴토인 유도체는 하기와 같은 화합물 들이 있다.
1)(s)-5-benzyl-1-(3-methoxybenzyl)-3-phenyl-2,4-imidazolidinedione
2)(s)-5-benzyl-1-(3-methoxybenzyl)-3-[4-(methylsulfanyl)phenyl]-2,4-imidazolidinedione
3)(s)-5-isobutyl-1-(3-methoxybenzyl)-3-phenyl-2,4-imidazolidinedione
4)(s)-5-isobutyl-1-(3-methoxybenzyl)-3-[4-(methylsulfanyl)phenyl]-2,4-imidazolidinedione
5)(s)-1-(3-methoxybenzyl)-5-methyl-3-phenyl-2,4-imidazolidinedione
6)(s)-(3-methoxybenzyl)-5-methyl-3-[4-(methylsulfanyl)phenyl]-2,4-imidazolidinedione
[표 1]
또한 본 발명에서 합성한 총 36개의 경우의 수는 상기 표 1 에 나타내었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는 모두 고체상을 이용한 방법이며 상기 반응식 4 의 과정으로 진행 시켰다.
실시예 1: (s)-1-(1,3-benzodioxol-5-ylmethyl)-3,5-dibenzyl-2,4-imidazolidinedione
3.5 당량의 Fmoc 이 보호된 페닐알라닌을 1 당량의 왕수지 (Wang Resin) 와 3.5 당량의 DIC, 0.1 당량의 DMAP를 DMF용매에서 하루동안 교반시켜서 반응을 마친후, 과량으로 사용한 용매와 용질을 메탄올과 CH2Cl2를 사용하여 깨끗이 여러 번 필터를 하면 수지가 결합된 에스터 화합물 10 이 만들어 진다. 수지가 연결된 화합물 10 을 20% 피페리딘과 DMF용매에서 30 분간 교반 시킨 후 과량으로 사용한 용매와 용질을 깨끗이 필터하면 화합물 11 이 생성된다. 탈보호기가 생성된 화합물 11 에 3.5 당량의 piperonal 화합물 30mg 10% 아세트산과 5 당량의 NaBH(OAc)3CN, 그리고 DMF용매를 사용하여 하루동안 실온에서 교반 시킨다. 교반이 끝난 후 과량으로 사용한 용매와 용질을 메탄올과 CH2Cl2를 사용하여 깨끗이 필터를 하면 수지가 결합된 화합물 12 와 같은 형태의 화합물이 만들어 진다. 3.5당량 (15mg)의 벤질이소시아네이트 와 DMF/Toluene 용매를 사용하여 5 시간동안 교반 시킨 후 위에서 행한것과 같이 깨끗이 필터하면 13과 같은 화합물이 만들어 진다. 화합물 13 은 트리에틸아민과 THF용매에서 50℃로 하루동안 교반하면 수지로부터 탈리되어 원하는 목적화합물을 55%수율로 얻었다.
1H NMR(500 MHz, CDCl3): δ7.22(m, 9H), 7.10(m, 4H), 5.94(s, 2H), 5.03(d, 1H, J=15.0 Hz), 4.65(m, 2H), 4.02(d, 1H, J= 15.2 Hz), 3.84(m, 1H), 3.13(m, 2H).
MS: 415 (M++H+)
실시예 2: (s)-3,5-dibenzyl-1-(2-ethylbenzyl)-2,4-imidazolidinedione
반응 조건은 실시예 1 과 같고, 벤즈알데이드는 2-메톡시벤즈알데이드를 사용하였고, 이소시아네이트는 벤질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 하였다. 생성물 은 57%의 수율로 얻었다.
1H NMR(500 MHz, CDCl3): δ7.22(m, 8H), 7.18(m, 3H), 6.83(m, 1H), 6.68(m, 1H), 6.63(s, 1H), 5.11(d, 1H, J=15.2 Hz), 4.59(m, 2H), 4.02(m, 1H), 3.84(m, 1H), 3.13(m, 2H).
MS: 401 (M++H+)
실시예 3: (s)-1-(1,3-benzodioxol-5-ylmethyl)-3-benzyl-5-ethyl-2,4-imidazolidinedione
반응 조건은 실시예 1 과 같고, 벤즈알데이드는 piperonal사용하였고, 이소시아네이트는 벤질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 하였다. 생성물은 60%의 수율로 얻었다.
1H NMR(500 MHz, CDCl3): δ7.39(m, 2H), 7.31(m, 3H), 6.74(m, 3H), 5.94(s, 2H), 4.93(d, 1H, J=15.1 Hz), 4.65(m, 2H), 3.92(d, 1H, J= 15.2 Hz), 3.79(m, 1H), 1.92(m, 1H), 1.75(m, 1H), 0.71(t, 3H, J=7.4 Hz).
MS: 353 (M++H+)
실시예 4: 3-benzyl-1-(4-methoxybenzyl)-5-methyl-2, 4-imidazolidinedione
반응 조건은 실시예 1 과 같고, 벤즈알데이드는 4-메톡시벤즈알데이드를 사용하였고, 이소시아네이트는 벤질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 하였다. 생성물은 52%의 수율로 얻었다.
MS: 325 (M++H+)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Fmoc이 보호기로 있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왕수지와 쉽게 반응 시킴으로써 고체상을 쉽게 접목 시킬 수 있고, 또한 알데이드와 반응 시킴으로써 다양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과 반응 시키고 THF와 트리에틸아민으로 고리화 반응을 시킴으로써 고체상으로부터 원하는 목적 화합물이 탈리되어 나오는 본 발명은 신규 히덴토인 유도체를 고체상을 이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가장 쉽고, 빠르고, 후처리 공정이 필요치 않는 매우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제조 방법이다.

Claims (3)

  1. R1기를 가지는 아미노산 유도체 화합물에 왕 수지(Wang Resin)를 결합시킨 후 R2기를 가지는 알데이드 화합물을 환원성 아민화 반응시키고, 생성물을 용매인 DMF, 톨루엔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R3기를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 시키고 고리화 반응을 시킴으로써 고체상으로부터 원하는 생성물을 탈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일반식 1의 히덴토인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식 1]
    상기 식에서,
    R1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부틸, 히드록시메틸, 티오메틸, 페닐등이나, 히드록시, 브롬, 요오드, 염소 등으로 치환된 아릴 등으로 천연 또는 비천연 아미노산의 유도체로부터 가져다 주는 기이고,
    R2는 히드록시, 염소, 브롬, 프로린, 탄소수 1-4개가 있는 알킬등으로 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 아릴 등의 알데이드를 나타내고,
    R3는 이소사이네이트로 부터 유도되는 것
    으로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t-부틸, 옥틸을 포함하는 탄소수 1내지 8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을 의미하는 저급알킬, 탄소수 6내지 8의 사이클로알킬, 알콕시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는 6원 모노사이클 방향족 그룹 또는 10원 비사이클릭 방향족그룹인 아릴, 또는 질소 수 1-3개로 치환된 헤테로 아릴등을 나타낸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을 온도범위 50 ℃ 내에서 하루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삭제
KR10-2000-0050557A 2000-08-29 2000-08-29 조합화학(combinatorial chemistry)에서 특징적으로 고체상과 고리화반응 단계에 트리에틸아민과 THF를 이용하여 신규 히덴토인 유도체의 합성법 KR100404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557A KR100404965B1 (ko) 2000-08-29 2000-08-29 조합화학(combinatorial chemistry)에서 특징적으로 고체상과 고리화반응 단계에 트리에틸아민과 THF를 이용하여 신규 히덴토인 유도체의 합성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557A KR100404965B1 (ko) 2000-08-29 2000-08-29 조합화학(combinatorial chemistry)에서 특징적으로 고체상과 고리화반응 단계에 트리에틸아민과 THF를 이용하여 신규 히덴토인 유도체의 합성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324A KR20020017324A (ko) 2002-03-07
KR100404965B1 true KR100404965B1 (ko) 2003-11-10

Family

ID=19685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0557A KR100404965B1 (ko) 2000-08-29 2000-08-29 조합화학(combinatorial chemistry)에서 특징적으로 고체상과 고리화반응 단계에 트리에틸아민과 THF를 이용하여 신규 히덴토인 유도체의 합성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49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20195A1 (fr) * 1994-12-27 1996-07-04 Sagami Chemical Research Center Derives d'hydantoine, procede de production et herbicides les incluant comme ingredients actifs
KR19980076014A (ko) * 1997-04-04 1998-11-16 성재갑 용액상 및 고체상 반응을 이용한 하이덴토인 유도체의 합성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20195A1 (fr) * 1994-12-27 1996-07-04 Sagami Chemical Research Center Derives d'hydantoine, procede de production et herbicides les incluant comme ingredients actifs
KR19980076014A (ko) * 1997-04-04 1998-11-16 성재갑 용액상 및 고체상 반응을 이용한 하이덴토인 유도체의 합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324A (ko) 200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46149B1 (en) Modified pictet-spengler reaction and products prepared therefrom
CA1220213A (en) Disubstituted proline derivatives,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U2005310406B2 (en) Optical resolution method of amlodipine
KR20210151056A (ko) L-피로글루탐산으로부터 don 전구약물을 제조하는 방법
FI81339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pyrrolidinoderivat, mellanprodukt och dess framstaellningsfoerfarande.
Böhme et al. Synthesis of the antibiotic (R)‐Reutericyclin via Dieckmann condensation
JP3180192B2 (ja) ジチオカルバミン酸の塩類、その製造方法及び該ジチオカルバミン酸の塩類を使用するイソチオシアネート類の製造方法
KR900005956B1 (ko) 1,4-디하이드로피리딘-3,5-디카르복실산의 비대칭 에스테르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0404965B1 (ko) 조합화학(combinatorial chemistry)에서 특징적으로 고체상과 고리화반응 단계에 트리에틸아민과 THF를 이용하여 신규 히덴토인 유도체의 합성법
KR100481570B1 (ko) 2-이미다졸린-5-온 제조용 중간체
KR100519691B1 (ko) 알킬옥시 퓨라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얻은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의 용도
EP0304353B1 (fr) Dérivés de benzimidazole et leur préparation
RU2182908C2 (ru) Стереоизомерные индольные соединения,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и их использование
CN108610306B (zh) 一种2h-1,4-噻嗪-3(4h)-酮衍生物的合成方法
JP2578797B2 (ja) N−(スルホニルメチル)ホルムアミド類の製造法
KR100586671B1 (ko) 5-치환 옥사졸 화합물 및 5-치환 이미다졸 화합물의제조방법
RU2026286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1-(3-меркапто-(2s-метилпропионил)-пирролидин-(2s)-карбоновой кислоты
US5142066A (en) Stereoselective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2-amino-ethanol derivatives having a central analgesic activity and intermidiates thereof
KR100538475B1 (ko) 개선된 암로디핀 중간체의 제조방법
HU222843B1 (hu) Nalfa-2-(4-nitro-fenil-szulfonil)-etoxi-karbonil-aminosavak és eljárások ilyen aminosavak előállítására
KR19980076014A (ko) 용액상 및 고체상 반응을 이용한 하이덴토인 유도체의 합성방법
KR101117512B1 (ko) 4,10β?디아세톡시?2α?벤조일옥시?5β,20?에폭시?1,13α?디하이드록시?9?옥소?19?노르사이클로프로파[g]탁스?11?엔의 제조 방법
KR100377289B1 (ko) 신규피리돈카르복실산유도체의중간체합성에관한새로운광학분할방법
RU2042671C1 (ru) Производное дикетен-имина в качестве промежуточного продукта для синтеза ранитидина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KR19990041199A (ko) 세팔로스포린 중간체의 부분입체 이성질체의 합성과 분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