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4675B1 - 항균성이우수한스테인레스강재및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균성이우수한스테인레스강재및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4675B1
KR100404675B1 KR10-2000-7000831A KR20007000831A KR100404675B1 KR 100404675 B1 KR100404675 B1 KR 100404675B1 KR 20007000831 A KR20007000831 A KR 20007000831A KR 100404675 B1 KR100404675 B1 KR 100404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steel
less
antimicrobial
stain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2258A (ko
Inventor
요코타다케시
도치하라미사코
사토스스무
하스노사다오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2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6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내식성, 항균성 및 내구성을 겸비하고, 또한 연마를 포함하는 현재 범용되고 있는 표면가공을 실시하여도 또한 우수한 항균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강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스테인레스강에 Cr을 10wt% 이상 함유하는 스테인레스강에, Ag를 0.001∼0.30wt%, 또한 V:0.001∼1.0wt%를 포함시키고 동시에 강재 속에 은산화물을 중량%에서 0.0005% 이상 또한 상기 스테인레스 강재의 은함유량의 1.1배 이하를 함유시켜 분산시키고 또, 상기 은산화물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용강을 연속주조할 때에 연속주조의 주입속도를 0.8∼1.6m/min으로 하는 것이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항균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재 및 그 제조방법{STAINLESS STEEL PRODUCT HAVING EXCELLENT ANTIMICROBIAL ACTIVITY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은, 동은 대장균이나 살모네라균으로 대표되는 병원성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병원성 세균에 기인하는 식중독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최근, 이들 금속을 이용하여 세균번식 억제효과(이하, 항균성이라 함)를 갖게 한 재료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8-49085호 공보에는 마그네트 스퍼터링에 의해 Ag 및/또는 Cu를 포함하는 Cr, Ti, Ni, Fe 등의 금속층 또는 합금층을 스테인레스강 기재의 표면에 형성한 항균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판이 개시되어 있다. 이 강판에서는 19∼60중량%의 Ag를 포함하는 금속층 또는 합금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8-156175호 공보에는 은을 포함한 안료를 도포하여, 세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도장강판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강판 표면에 항균성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층 또는 합금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나 항균성 금속을 포함하는 안료를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인발가공이나 표면의 연마가공에 의해 항균성 금속을 포함하는 층이 박리 또는 제거되어,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고, 또 세탁기의 내부 장착에 이용되는 강판과 같이 항상 표면이 마찰되는 용도나 주방용품과 같이 청소를 위해 항상 표면이 마찰되는 용도에서는 장기간에 걸쳐 항균성을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 상기한 방법으로는 도포나 금속층 또는 합금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종래보다 제조공정이 많아짐과 동시에 판두께가 얇아질수록 단위 중량당 표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단위 중량당 도포량 또는 금속층이나 합금층이 많아져 비용적으로 불리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본국 특개평 8-104953호 공보에는 Cu를 1.1∼3.5중량% 첨가하여 항균성을 높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이, 또 일본국 특개평 8-104952호 공보에는 Cu를 0.3∼5중량% 첨가하여 항균성을 높인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이, 또 일본국 특개평 9-170053호 공보에는 Cu를 0.4∼3.0중량% 첨가하여 항균성을 높인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일본국 특개평 8-104953호 공보 및 일본국 특개평 8-104952호 공보 및 일본국 특개평 9-170053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항균성을 발현하기 위해서 강판표면에서 Cu가 이온으로서 용출할 필요가 있다. Cu가 이온으로서 용출하는 것은 그 부분에서 부동태막이 파괴되는 것을 의미하고, 그 때문에 항균성은 향상하지만 내식성이 현저하게 악화되게 된다. 따라서, Cu첨가 스테인레스강에서는 항균성과 내식성을 양립시키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유리하게 해결하여, 우수한 가공성 및 내식성을 겸비하며, 또한 연마를 포함하는 현재 범용되고 있는 표면가공을 실시하여도 또한 우수한 항균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강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강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항균성이 우수하여, 주방 등 생활관련용품, 의료기기, 전기기기, 화학기기 및 건축재 등에 이용하기 적합한 스테인레스 강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강재는 강판, 강대, 강관, 강선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강판 표층과 중심부에서 멸균율과 V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항균성과 내식성을 겸비한 스테인레스 강판을 개발하면서, 특히 전계방사형 오제(Auger) 전자분광장치나 전자선 마이크로애널라이저 등의 분석장치를 사용하여, 스테인레스 강판 표면의 화학조성과 항균성과의 관련에 대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스테인레스강에 Ag를 적정량 첨가하고 스테인레스 강판표면 및 강판 속에 은산화물을 적정량 균일하게 분산시킴으로써 항균성이 높고, 또한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판이 되는 것을 새롭게 발견하였다. 또 본 발명자들은 연속주조속도나 V의 첨가가 은의 산화물의 균일 분산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강판 속에 은산화물을 적정량 균일하게 분산시킨 강판에서는 성형가공, 연마가공을 실시하는 용도나 사용 시에 표면이 마찰되거나 또는 깎여지는 용도에 있어서도 안정된 항균성을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식견에 기초하여 더욱 검토를 가하여 완성된 것이다.
즉, 제 1 본 발명은 Cr:10wt% 이상 또한 Ag:0.001∼0.30wt%를 포함하는 스테인레스 강재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레스 강재가 은산화물을 중량%로 0.0005% 이상 동시에 상기 스테인레스 강재의 은함유량의 1.1배 이하(즉, 중량%로 0.0005%∼1.1×Ag(0.001~0.30)wt%의 범위)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재이다.
제 2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또한 상기 스테인레스 강재가 V:0.001∼1.0wt%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재이다.
제 3 발명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또한 상기 스테인레스 강재의 S의 함유량이 0.015%wt%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재이다.
제 4 발명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레스 강재의 Ag의 함유량이 0.001∼0.05wt%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재이다.
제 5 발명은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레스 강재의 V의 함유량이 0.001∼0.30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재이다.
제 6 발명은 상기 제 1 내지 제 5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레스 강재가 강판, 강대, 강관 또는 강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재이다.
제 7 발명은 Cr:10wt% 이상 또한 Ag:0.001∼0.30wt%를 함유하는 스테인레스강 용강의 S의 함유량을 0.015wt% 이하가 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연속주조의 주입속도를 0.8∼1.6m/min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강 소재의 제조방법이다.
제 8 발명은 상기 제 7 발명에 있어서, 또한 상기 스테인레스 강재가 V:0.001∼1.0wt%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강 소재의 제조방법이다.
제 9 발명은 상기 제 7 또는 제 8 발명에서 얻어진 스테인레스강 소재에 또한 열간압연, 냉간압연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냉연강판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 강재의 화학조성의 한정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테인레스 강재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텐인레스강,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강, 그 외 다양한 스테인레스강에도 적합하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화학조성은 C:0.001∼0.1wt%, Si:2.0wt% 이하, Mn:2.0wt% 이하, P:0.1wt% 이하, Cr:10∼35wt%, Ni:6∼15wt%, N:0.001∼0.1wt%를 포함하고,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Mo:3.0wt% 이하, Cu:1.0wt% 이하, W:0.30wt% 이하, Al:0.3wt% 이하, Ti: 1.0wt% 이하, Nb:1.0wt% 이하, Zr:1.0wt% 이하, Co:0.001∼0.5wt%, B:0.01wt% 이하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여도 좋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화학조성은 C:0.0001∼0.1wt%, Si:1.0wt% 이하, Mn:2.0wt% 이하, P:0.1wt% 이하, Cr:10∼50wt%, N:0.10wt% 이하를 포함하고,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l:0.3wt% 이하, Ni:1.0wt%이하, Mo:3.0wt% 이하, Ti:1.0wt% 이하, Nb:1.0wt% 이하, Zr:1.0wt% 이하, Cu:1.0wt% 이하, W:0.30wt% 이하, Co:0.001∼0.5wt%, B:0.01wt% 이하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여도 좋다.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화학조성은 C:0.001∼1.0wt%, Si:1.0wt% 이하, Mn:2.0wt% 이하, P:0.1wt% 이하, Cr:10∼19wt%, N:0.001∼0.1wt%를 포함하고,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l:1.5wt% 이하, Ti:1.0wt% 이하, Nb:1.0wt% 이하, W:0.3wt% 이하, Zr:1.0wt% 이하, Ni:3.0wt% 이하, Mo:3.0wt% 이하, Cu:1.0wt% 이하, Co:0.001∼0.5wt%, B:0.01wt% 이하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Cr10wt% 이상을 함유하는 스테인레스강에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범위의 화학조성을 갖는 스테인레스강에, 또한 Ag:0.001∼0.30wt%를, 또는 V:0.001∼1.0wt%를 함유시키고, 동시에 은산화물을 중량%로 0.0005wt% 이상 또한 상기 스테인레스 강재의 은함유량(wt%)의 1.1배 이하를 함유시킨다. 이에 의해 내식성의 저하를 수반하지 않으며, 안정하게 현저히 높은 항균성을 발현할 수 있다.
Cr:10wt% 이상
Cr첨가량을 10wt% 이상으로 한 것은 10wt% 미만에서는 내식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 상한은 특별히 규정하지 않지만, 가공성, 제조성의 점에서는 50wt% 이하가 바람직하다.
Ag:0.001∼0.30wt%
Ag는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원소이며,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고, 항균성을 높이는 원소이다. 이들의 효과는 0.001wt% 이상의 함유로 확인되지만, 0.30wt%를 넘게 함유하면, 내식성이 악화하고, 열간압연 시의 표면 결함이 증가함과 동시에 고가인 Ag를 다량으로 첨가함게 되어 비용적으로 불리하게 된다. 이 때문에 Ag는 0.001∼0.30wt%의 범위로 한정하였다. 또한 내식성을 높이기 위해서 Ag는 0.05wt% 미만이 적합하다.
강재 속에 함유되는 Ag는 Ag(은)입자, 은산화물 및 은황화물의 형태로 존재하지만, 본 발명자들의 식견에 따르면, 항균작용은 은산화물>은입자>은황화물의 순으로 우수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현저한 항균성 향상을 위해서 함유하는 Ag의 대다수를 은산화물로서 존재시킨다.
항균작용이 은산화물, 은입자, 은황화물의 순으로 우수한 원인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현재 불명하지만, 항균작용을 갖는 Ag이온의 용출속도는 은산화물이 가장 빠르고, 이것이 높은 항균작용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은산화물을 강재 속에 중량%에서 0.0005wt%이상 또한 상기 스테인레스 강재의 은함유량(wt%)의 1.1배 이하를 함유시킨다. 상기한 양의 은산화물이 강재 속에 균일하게 분산하여 존재하면, 제품 출하시의 표면뿐만 아니라, 연마, 절삭·연삭가공 후의 표면, 또는 마모 등에 의해 새로운 표면이 형성되는 사용중의 강재표면에 있어서도 항상 강재표면에 은산화물이 존재하게 되어, 세균의 번식이 억제되고, 항균성을 현격히 향상시킨다. 또한 은산화물로서는 AgO 또는 Ag2O가 예시된다.
항균작용이 우수한 은산화물이 0.0005wt% 이상 함유되면, 양호한 항균성을얻을 수 있다. 은산화물의 함유량이 0.0005wt% 미만에서는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충분한 작용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은산화물 함유량의 하한을 0.0005wt%로 한정하였다. 한편, 은산화물 함유량이 상기 스테인레스 강재의 은함유량(wt%)의 1.1배를 넘으면, 은산화물이 입계 등에 집적되기 쉬워져 조대한 산화물이 형성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내식성이 악화한다. 은산화물의 향균작용을 충분히 이끌어내기 위해서 은산화물 함유량의 상한을 상기 스테인레스 강재의 은함유량(wt%)의 1.1배로 한정하였다.
또, 강 속에 함유되는 은산화물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지만, 은산화물의 크기가 500㎛을 넘으면, 내식성 및 가공성이 저하하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500㎛ 이하의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강재 속의 Ag산화물의 생성량은 전해추출법에 의한 개재물 분석 또는 강재로부터 채취한 시험편의 임의의 단면에 대해서 전계방사형 오제 전자분광장치나 전자선 마이크로애널라이져로 평가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범위의 Ag에 더하여 또한 V:0.001∼1.0wt%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Ag를 0.042wt% 함유하는 16.2wt%Cr 스테인레스강 슬래브를 열간압연, 열연판 소둔(850℃x60초), 냉간압연, 광휘(光輝)소둔(850℃x60초)하여 판두께 1.0㎜의 BA(Bright Annealing)제품으로 한 스테인레스강의 항균성에 미치는 V첨가의 영향을 판두께의 표층과 중심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중심부에서는 V첨가의 유무에 관계없이 안정된 항균성을 얻을 수 있는 것에 대하여, 표층부는 V첨가량이 0.001wt% 미만이 되면 항균력이 저하한다. 이것은 V가 은입자, 은산화물 및 은황화물이 판두께 중심부에 편재하는 경향을 현저하게 개선하는 이른바 분산제로서의 효과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V를 0.001wt% 이상 함유함으로써 균질한 강재표면의 항균성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0.30wt%를 넘으면 상기한 효과는 포하하는 것에 더하여 1.0wt%를 넘으면 가공성, 내식성이 악화하는 경향이 된다. 이 때문에 V는 0.001∼1.0wt%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한 것은 0.001∼0.30wt%, 보다 바람직한 것은 0.01∼0.25wt%이다.
본 발명의 스테인레스 강재는 상기한 범위의 화학조성 이외는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강재는 통상 공지의 용제(溶製)방법 모두를 적용하여 용제할 수 있기 때문에, 용제방법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제강법으로서는 전로, 전기로 등에서 용제하여, SS-VOD(Strongly Stirred Vacuum Oxygen Decarbonization)에 의해 2차 정련(精鍊)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Cr을 10wt% 이상을 함유하는 스테인레스강 조성에 또한 Ag:0.001∼0.30wt%를 함유하고 또한 V:0.001∼1.0wt%을 함유하는 스테인레스강 용강을 통상 공지의 용제방법으로 용제한다. 용제된 용강은 통상 공지의 주조방법으로 강소재로 할 수 있지만, 생산성, 품질 면에서 연속주조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속주조법에 있어서는 강속에 은산화물을 0.0005wt% 이상 미세하게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서 주입속도를 0.8∼1.6m/min의 범위로 한다. 또한, 주입속도를 0.8∼1.6m/min의 범위로 함과 동시에 스테인레스강 용강의 S함유량을 0.015wt%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0wt%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입속도가 0.8m/min 미만에서는 은산화물이 조대하게 되고, 내식성이 악화함과 동시에 안정되게 항균성을 발현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한편, 주입속도가 1.6m/min을 넘으면, 안정된 주조가 곤란하며, 0.0005wt% 이상의 은산화물이 강 속에 균일하게 분산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사용시의 강재표면에 은산화물이 불균일하게 분산하기 때문에, 항균성이 안정적으로 발현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연속주조법에서 주입속도는 0.8∼1.6m/min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은산화물량을 중량%로 0.0005wt% 이상 또한 상기 스테인레스 강재의 은함유량(wt%)의 1.1배 이하의 소정의 범위로 하는 것에는 주입속도를 0.8∼1.6m/min의 범위로 함과 동시에 스테인레스강 용강의 S함유량을 0.015wt%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0wt%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강 속의 S함유량의 조정은 통상 공지의 제련방법으로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전로 및/또는 VOD로에 있어서 페로실리콘 및 칼슘화합물을 첨가하여 탈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스테인레스강 용강의 S함유량이 0.015wt%를 넘으면, 은과 반응하여 생성하는 은황화물의 생성량이 증가하여, 항균작용이 우수한 은산화물의 생성량이 억제되기 때문에 항균성이 악화한다. 이 때문에 양호한 항균성을 얻기 위해서 용강 속의 S농도를 0.015wt%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화학조성을 갖는 스테인레스강 용강을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조건에서 연속주조하여 강소재로 한 뒤, 필요에 따라서 해당 강소재를소정의 온도로 가열하고 이어서 열간압연에 의해 원하는 판두께의 열연판으로 한다. 해당 열연판은 필요에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700∼1200℃의 소둔을 실시한 뒤, 용도에 따라서 열연판 그대로, 또는 냉간압연을 실시하여 소정의 판두께의 냉연판이 되어, 원하는 사용용도에 제공된다. 냉연판은 바람직하게는 700∼1200℃의 소둔 및 필요에 따라서 산세정을 실시하여 냉연소둔판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화학조성을 갖는 스테인레스강을 용제하여, 주입속도를 변화한 연속주조법에 의해 200㎜두께의 슬래브(강소재)로 한 뒤, 해당 슬래브를 가열하여 열간압연에 의해 판두께 4㎜의 열연판으로 하였다. 이어서 이 열연판을 700∼1200℃로 소둔하여, 산세한 뒤 냉간압연에 의해 판두께 0.8㎜의 냉연판으로 하였다. 이어서, 이 냉연판에 소둔 및 필요에 따라서 산세척을 실시하고, 각종 표면 마무리의 냉연소둔판으로 하였다. 냉연판의 소둔온도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서는 1000∼1200℃,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서는 800∼1100℃,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서는 750∼1000℃로 하였다. 또한, 일부 강판에 대해서는 또한 JIS R6001에 기초한 연마가공을 실시하여 #320 또는 #400 마무리 연마품으로 하였다.
이들 냉연소둔판에 대하여 내식성시험 및 항균성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항균성의 지속성·내구성을 확인하기 위해 내식성 시험후에 다시 항균성시험을 실시하였다.
각 시험의 시험방법을 하기에 나타낸다.
(1)항균성시험
항균성은 은 등 무기항균제 연구회의 필름밀착법에 준거하여 평가하였다. 은 등 무기항균제 연구회의 필름 밀착법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25㎠의 시험체를 99.5% 에탄올 함유 탈지면 등으로 세정·탈지한다.
②대장균을 1/500 NB용액에 분산한다.(균의 개수는 2.0×105∼1.0×106cfu(colony form unite)/ml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1/500 NB용액은 보통 영양 브로쓰 배지(nutrient broth medium)(NB)를 감균정제수로 500배로 희석한 것이다. 보통 영양 브로쓰 배지(NB)는 육(肉)엑기스 5.0g, 염화 나트륨 5.0g, 펩톤 10.0g, 정제수 1.000ml, pH:7.0±0.2의 것을 말한다.)
③균액을 0.5ml/25㎠의 비율로 시험체(각 3개)에 접종한다.
④시험체 표면에 피복필름을 덮는다.
⑤시험체를 온도 35±1.0℃, RH(상대습도) 90%이상의 조건하에서 24hr보전한다.
⑥한천배양법(35±1.0℃, 40∼48hr)에 의해 생균수를 측정한다.
항균성은 다음 식으로 정의되는 감균율로 평가하였다.
감균율(%)=(대조의 균수-시험후의 균수)/(대조의 균수)×100
대조의 균수는 Ag 무첨가의 스테인레스 강판을 이용하여 항균성시험을 실시한 뒤의 생균수이다. 사용한 Ag 무첨가의 스테인레스 강판은 페라이트계에서는SUS430(강 No.40), 오스테나이트계에서는 SUS 304(강 No.13), 마르텐사이트계에서는 SUS 410(강 No.23)이다. 또한 각 시험편의 초기균수는 약 2.3×105cfu/매이었다. 시험 후의 균수는 측정한 생균수이다.
또한, 내식성 시험후의 시험체를 이용하여 동일한 항균시험을 실시하여, 항균성의 지속성을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2)내식성 시험
내식성은 염건습윤(鹽乾濕潤) 복합 사이클 시험에 의해 평가하였다.
시험편에 하기 ①과 ②의 처리
①5.0%NaCl수용액(온도:35℃)을 0.5hr분무한 뒤, 습도 40%이하, 온도 60℃의 건조분위기에서 1.0hr 유지한다.
②습도 95%이상, 온도 40℃의 습윤분위기에서 1.0hr 유지한다.
를 복합하여 1사이클로 하고, 강종마다 설정한 복수 사이클 반복한 뒤, 시험편 표면의 녹발생 면적율(%)을 측정하였다. 반복 사이클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서는 10사이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서는 30사이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서는 5사이클로 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표 3 및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표 중 강판표면의 마무리상태에 있어서 2B 및 BA는 JIS G4305에 기초한 마무리상태를 나타내고, 또 #320과 #400은 JIS R6001에 기초한 연마가공의 마무리상태를 나타낸다.
표 3 및 표 4에서 본 발명 범위내의 Ag를 함유하고, 또한 본 발명 범위내의 은산화물량을 함유하는 강판(본 발명예)은 가공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것에 더하여항균성 시험에 있어서 대장균수를 99%이상 감소시켜 항균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식성 시험후의 시험체에서도 동일하게 대장균을 감소시키고 있으므로, 항균성의 지속성도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강판표면의 마무리상태에 관계없이 항균성이 지속되고 있고, 연마후도 충분한 항균성을 갖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과는 스테인레스강의 종류에 관계없이 오스테나이트계, 페라이트계, 마르텐사이트계, 그 밖에 다양한 스테인레스강에 있어서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에서는 스테인레스강의 종류에 관계없이 대장균의 감소가 적고 항균성이 악화하고 있거나, 내식성 시험후의 항균성이 저하하여 항균성의 지속성이 악화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식성을 악화하지 않고, 항균성이 우수하며, 또한 연마를 포함하는 표면가공을 실시하여도 우수한 항균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강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산업상 현격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스테인레스 강재는 성형가공, 연마가공을 실시하는 예를 들면 주방, 욕조 등의 습윤환경에서 위생면이 중시되는 용도에 사용되는 부재에 적합하다.

Claims (12)

  1. Cr:10wt%∼50wt%이고 또한 Ag:0.001∼0.30wt%를 포함하는 스테인레스 강재로서, 상기 스테인레스 강재가 은산화물을 중량%로 0.0005%∼1.1×Ag(0.001~0.30)wt%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재.
  2. 제 1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스테인레스 강재가 V:0.001∼1.0wt%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스테인레스 강재의 S의 함유량이 0.015%wt%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재.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레스 강재의 Ag의 함유량이 0.001∼0.05wt% 미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레스 강재의 V의 함유량이 0.001∼0.30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레스 강재가 강판, 강대, 강관 또는 강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재.
  7. Cr:10wt%∼50wt% 이고 또한 Ag:0.001∼0.30wt%를 포함하는 스테인레스강 용강의 S의 함유량을 0.015wt% 이하가 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연속주조의 주입속도를 0.8∼1.6m/min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강 소재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스테인레스강 용강이 V:0.001∼1.0wt%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강 소재의 제조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서 얻어진 스테인레스강 소재에 또한 열간압연 및 냉간압연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레스 강재의 Ag의 함유량이 0.001∼0.05wt% 미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재.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레스 강재가 강판, 강대, 강관 또는 강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재.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레스 강재가 강판, 강대, 강관 또는 강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재.
KR10-2000-7000831A 1998-06-05 1999-06-03 항균성이우수한스테인레스강재및그제조방법 KR1004046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58091 1998-06-05
JP15809198 1998-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258A KR20010022258A (ko) 2001-03-15
KR100404675B1 true KR100404675B1 (ko) 2003-11-07

Family

ID=15664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831A KR100404675B1 (ko) 1998-06-05 1999-06-03 항균성이우수한스테인레스강재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06341B1 (ko)
EP (1) EP1018564B1 (ko)
KR (1) KR100404675B1 (ko)
CN (1) CN1097098C (ko)
CA (1) CA2297091A1 (ko)
DE (1) DE69940148D1 (ko)
TW (1) TW444060B (ko)
WO (1) WO19990646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9705B2 (en) 2001-04-30 2005-08-16 Ak Steel Corporation Antimicrobial coated metal sheet
JP2003021012A (ja) * 2001-07-10 2003-01-24 Futaba Industrial Co Ltd 燃料タ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
US8158057B2 (en) 2005-06-15 2012-04-17 Ati Properties, Inc. Interconnects for solid oxide fuel cells and ferritic stainless steels adapted for use with solid oxide fuel cells
US7842434B2 (en) 2005-06-15 2010-11-30 Ati Properties, Inc. Interconnects for solid oxide fuel cells and ferritic stainless steels adapted for use with solid oxide fuel cells
US7981561B2 (en) 2005-06-15 2011-07-19 Ati Properties, Inc. Interconnects for solid oxide fuel cells and ferritic stainless steels adapted for use with solid oxide fuel cells
US20040040863A1 (en) * 2002-08-29 2004-03-04 Micron Technology, Inc. Systems for electrolytic removal of metals from substrates
US6783657B2 (en) * 2002-08-29 2004-08-31 Micron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he electrolytic removal of metals from substrates
CA2678624C (en) * 2003-05-16 2012-11-06 Exciton Technologies Inc. Deposition products, composite materials an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thereof
CN1304627C (zh) * 2004-04-30 2007-03-14 麦桥 一种表面抗菌、耐磨不锈钢制品及其制备方法
US20050284548A1 (en) * 2004-06-25 2005-12-29 Chi-Shang Huang Stainless steel product having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US7807028B2 (en) * 2005-03-09 2010-10-05 Xstrata Queensland Limited Stainless steel electrolytic plates
US20120225312A1 (en) 2008-12-17 2012-09-06 Master Technologic Company Limited Antimicrobial coatings and metal products containing the same
TWI399440B (zh) * 2009-06-17 2013-06-21 Metal Ind Res & Dev Ct Method of Casting Casting of Refined Stainless Steel
TWI533913B (zh) 2010-01-18 2016-05-21 季利恩歐柏木質部水對策有限責任公司 固定暗渠濾磚之設備及方法
CN102327080A (zh) * 2011-07-28 2012-01-25 广东联塑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不锈钢水槽
CN102534410A (zh) * 2012-02-24 2012-07-0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含银奥氏体抗菌不锈钢及其制造方法
CN106756600A (zh) * 2016-12-19 2017-05-31 浙江安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不锈钢抗菌保温容器
FR3077602B1 (fr) 2018-02-05 2021-01-15 Plastic Omnium Advanced Innovation & Res Systeme d'injection de solution aqueuse pour vehicule
JP6809656B1 (ja) * 2019-07-31 2021-01-0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オーステナイト・フェライト系二相ステンレス鋼板
WO2021019909A1 (ja) * 2019-07-31 2021-02-0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オーステナイト・フェライト系二相ステンレス鋼板
US11761068B2 (en) 2019-11-22 2023-09-19 Blue Point Materials Research LLC 3D printable stainless steel alloy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for orthopedic implants
CN112322986A (zh) * 2020-11-20 2021-02-05 宝钢德盛不锈钢有限公司 一种抗菌奥氏体不锈钢
CN114606433A (zh) * 2020-12-08 2022-06-10 香港大学 一种利用快速凝固过程制备抗菌不锈钢的方法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83842B (de) * 1954-07-28 1960-06-23 Mannesmann Ag Verfahren zum Behandeln von hochlegiertem Stahlpulver, insbesondere Chrom- oder Chrom-Nickel-Stahlpulver
NL165788C (nl) * 1967-03-15 1981-05-15 Du Pont Werkwijze voor de bereiding van een ijzer-chroom- legering.
DE69410555T2 (de) * 1993-09-03 1999-01-28 Sumitomo Metal Ind Nichtmagnetische Eisenlegierung mit ausgezeichneter Korrosionsbeständigkeit und Bearbeitbarkeit
JPH09249948A (ja) * 1996-03-13 1997-09-22 Nisshin Steel Co Ltd 抗菌性及び意匠性に優れたステンレス鋼
JP3706219B2 (ja) * 1997-03-19 2005-10-12 日新製鋼株式会社 Ag及びCuを含有するオーステナイト系抗菌ステンレス鋼
JP3710589B2 (ja) * 1997-03-19 2005-10-26 日新製鋼株式会社 Ag含有抗菌ステンレス鋼板及び製造方法
JPH1129879A (ja) * 1997-05-12 1999-02-02 Mitsubishi Materials Corp 抗菌処理した金属材料及びその抗菌処理方法
JP3227405B2 (ja) * 1997-06-25 2001-11-12 川崎製鉄株式会社 抗菌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06341B1 (en) 2001-10-23
CN1097098C (zh) 2002-12-25
CN1272889A (zh) 2000-11-08
KR20010022258A (ko) 2001-03-15
EP1018564B1 (en) 2008-12-24
WO1999064640A1 (fr) 1999-12-16
DE69940148D1 (de) 2009-02-05
TW444060B (en) 2001-07-01
CA2297091A1 (en) 1999-12-16
EP1018564A4 (en) 2002-03-20
EP1018564A1 (en) 2000-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4675B1 (ko) 항균성이우수한스테인레스강재및그제조방법
KR100368863B1 (ko) 항균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313171B1 (ko) 향균성이향상된스테인레스강의사용방법
CN101230438A (zh) 一种奥氏体抗菌不锈钢及其制造方法
KR100516260B1 (ko) 항균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재 및 그의 제조 방법
JP3398620B2 (ja) 抗菌性に優れたステンレス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27405B2 (ja) 抗菌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3165407B2 (ja) 抗菌性に優れたステンレス鋼材
CN114196891A (zh) 一种热加工性优异的马氏体抗菌不锈钢及其制造方法
JP3894678B2 (ja) 抗菌性に優れたステンレス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140295A (ja) 抗菌性に優れたステンレス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29577B2 (ja) 抗菌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2005232511A (ja) 抗菌性と熱間加工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3165422B2 (ja) 抗菌性に優れたステンレス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27418B2 (ja) 抗菌性および耐リジング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KR100328036B1 (ko) 페라이트계향균스테인레스강및그제조방법
JP3201750B2 (ja) 抗菌性に優れたステンレス鋼材の製造方法
KR19990071620A (ko) 항균성을갖는오스테나이트계스테인레스강및그제조방법
JPH11256239A (ja) 抗菌性に優れたステンレス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32510A (ja) 抗菌性と熱間加工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