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4149B1 - 오물유입 방지용 매트층을 갖는 보호덮개 - Google Patents

오물유입 방지용 매트층을 갖는 보호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4149B1
KR100404149B1 KR10-2002-0006066A KR20020006066A KR100404149B1 KR 100404149 B1 KR100404149 B1 KR 100404149B1 KR 20020006066 A KR20020006066 A KR 20020006066A KR 100404149 B1 KR100404149 B1 KR 100404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flesh
mat layer
frame memb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5775A (ko
Inventor
김미순
Original Assignee
미강건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강건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강건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6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4149B1/ko
Publication of KR20030025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1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 환기구나 도로변 배수구 내지는 가로수 등에 설치되는 보호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덮개 상면에 투수성의 매트층을 제공하여, 빗물 등의 자유로운 유입과 오물의 유입방지가 동시에 만족되어 보호덮개의 주연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시키는 한편, 보호덮개의 상면을 보행 가능한 공간으로 확장시키게 되는 오물유입 방지용 매트층을 갖는 보호덮개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발명은, 바깥틀체를 이루는 프레임부재(110)의 내측에, 다수개의 살부재(111)를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배열하여 고정시킨 보호덮개(100)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살부재(111)가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하측 벽면에 제한적으로 고정되어 보호덮개(100) 상측에 살부재 미형성부(120)를 구성하고; 상기 살부재 미형성부에는 상기 살부재의 상부와 접촉되도록 그물망 형태로 제공되는 조밀한 망상시트(121)를 적층하며; 그위에 다시 8~10㎜의 입도를 갖는 골재와 수지를 혼합하여 투수성을 갖도록 형성한 다공질의 매트층(122)을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면까지 채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물유입 방지용 매트층을 갖는 보호덮개{Shelter Cover having Porous Mat}
본 발명은 지하철 환기구나 도로변 배수구 내지는 가로수 등에 설치되는 보호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덮개 상면에 투수성의 매트층을 제공하여, 빗물 등의 자유로운 유입과 오물의 유입방지가 동시에 만족되어 보호덮개의 주연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시키는 한편, 보호덮개의 상면을 보행 가능한 공간으로 확장시키게 되는 오물유입 방지용 매트층을 갖는 보호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의 환기구나 도로변의 배수구에는, 빗물 내지는 공기의 유입은 자유롭게 허용하면서 오물의 유입방지 및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용도로서 보호덮개를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호덮개는 도로변이나 공원에 식수되는 가로수에도 적용된다.
이같은 보호덮개는, 원형, 사각형, 반원형 등의 기초적인 형태를 구성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측에 종횡으로 배열된체 고정되는 다수개의 살부재로 이루어짐이 보편적 구조이다. 즉, 보호덮개는 상기 각 살부재들의 사이로 다수개의 개방공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보호덮개의 일예로 가로수에 적용되는 형태를 설명하면, 먼저 가로수의 밑동 주연을 감싸는 내측프레임 및, 상기 내측프레임과 적정 간격을 유지한체 바깥쪽으로 위치하는 외측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내외측 프레임의 사이로 종횡 배열되는 복수개의 살부재가 그 양단을 내측프레임 또는 외측프레임에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가로수 보호덮개를 포함하여 종래의 보호덮개는, 각 살부재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공들이 지나치게 큰 폭을 유지함에 따라 여러가지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즉, 상기 살부재들은 용접을 통해 프레임부재에 고정되는 것이므로, 각 살부재 간의 간격이 지나치게 좁을 경우 용접작업이 불가능하게 되는 제작상의 이유로 인해, 상기 각 살부재들은 상호 30㎜ 이상의 간격을 유지한체 설치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넓은 폭의 개방공을 통해 낙엽이나 담배꽁초와 같은 오물이 보호덮개 내부로 다량 유입되므로써, 보호덮개가 설치되는 환기구나 배수구 등의 내부공간을 오염시키게 되며, 이렇게 더럽혀진 환기구나 배수구는 미관상 좋치 않아 보행자에게 불쾌감을 주었다. 그리고, 이렇게 유입된 오물을 수거하기 위해서는 보호덮개의 개방공을 통해 일일이 주워내거나, 또는 보호덮개를 들어낸 후 오물을 수거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반복해야 했다.
그리고, 넓은 폭의 상기 개방공으로 보행자의 신발이 걸리게 되어 보행에 불편을 주게 되며, 심한 경우 보행자가 중심을 잃고 넘어지면서 찰과상을 입게되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하였다. 특히, 힐을 신는 여성의 경우 그 굽을 빠뜨릴 우려가 매우 높은 것이어서, 보호덮개를 우회하여 보행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했다.
또한, 보호덮개는 소정 깊이를 갖는 환기구 또는 배수구의 개방된 상측 주연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보호덮개의 상측으로 보행시 개방공을 통해 그대로 보여지는 상기 환기구(배수구)의 깊이로 인해서, 보행자는 허공에 떠있는 듯한 느낌을 가지면서 두려움 내지는 불안감을 느끼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대다수의 보행자들이 보호덮개를 우회하여 보행하는 현상이 유발되어 큰 불편함을 초래하였고, 또한 상기 보호덮개가 노면에 위치한 일종의 장애물처럼 인식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미세한 공극이 형성된 투수성의 매트층을 상부에 구비하여, 빗물이나 공기 등의 유입은 자유롭게 허용하면서 각종 오물의 유입은 차단시켜 그 주연이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보호덮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평탄하게 채움되는 매트면을 통해 보행에 장애를 가져오는 요철을 제거하므로서 실질적인 보행공간을 확장하는 동시에, 누구라도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는 안전성이 우수한 보호덮개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덮개가 가로수에 적용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보호덮개가 도로변의 배수구에 적용되는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보호덮개 10,20: 단위덮개 11: 내측프레임 12: 외측프레임 13: 막이살 13a: 종방향 막이살 13b: 횡방향 막이살 30: 막이살 미형성부 31: 망상시트 32: 매트층 33: 골재 40: 지주목 삽입관 41: 식수공 100: 보호덮개 110: 프레임판재 111: 베어링바 112: 크로스바 120: 베어링바 미형성부 121: 망상시트 122: 매트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깥틀체를 이루는 프레임부재의 내측에, 다수개의 살부재를 종 또는 횡방향으로 배열하여 고정시킨 보호덮개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살부재가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측 벽면에 제한적으로 고정되어 보호덮개 상측에 살부재 미형성부를 구성하고; 상기 살부재 미형성부에는 상기 살부재의 상부와 접촉되도록 그물망 형태로 제공되는 조밀한 망상시트를 적층하며; 그위에 다시 8~10㎜의 입도를 갖는 골재와 수지를 혼합하여 투수성을 갖도록 형성한 다공질의 매트층을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면까지 채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수지가 상기 각 골재 간의 미세공극이 원활히 확보되도록 하는 고점성의 에폭시 수지인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보호덮개에 의해서, 빗물이나 공기 등은 그 내외부로 자유롭게 통하는 반면, 식품봉투와 같은 각종 오물의 유입은 차단되어진다. 또한, 상측에 제공되는 매트층에 의해서 실제적인 보행공간이 보호덮개의 상면까지 확대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덮개가 가로수에 적용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보호덮개(1)는, 가로수 밑동의 절반 정도를 둘러싸는 형태로 내측프레임(11)이 설치되고, 이같은 내측프레임(11)과 일정 간격을 유지한체 상기 내측프레임(11)을 에워싸도록 외측프레임(12)이 제공되며, 이같은 내외측 프레임(11,12)을 격자형으로 연결하는 막이살(13)이 구비된 한 쌍의 단위덮개(10,20)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단위 덮개(10,20)는 그 중앙부에 식수공(41)을 형성한 상태로 상호 접합되어 가로수 보호덮개(1)를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막이살(13)은 상기 내외측 프레임(11,12)의 하부 벽면에 고정되므로서 보호덮개(1)의 상측에 막이살 미형성부(30)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 내외측 프레임(11,12)의 하측 벽면에 막이살(13)을 일정 높이로 제한하여 고정 설치하므로서, 보호덮개(1) 내측의 하부공간은 막이살 형성부를 이루고, 그 상측은 막이살 미형성부(30)를 이루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막이살(13)을 배열함에 있어, 도면상 종방향 배열되는 막이살(13a)은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횡방향 배열되는 막이살(13b)은 사각 단면을 이루도록 구성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그밖에 양방향의 막이살은 보다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어 배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같은 보호덮개(1)가 반원형을 이루도록 하였으나, 원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보호덮개(1)를 구성하는 단위덮개(10,20)가 한 쌍의 구조를 갖도록 하였으나, 이를 배수로의 보호덮개에 적용하는 경우 단일체로, 또는 다양한 숫자로 분할되게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같이 구성되는 보호덮개(1)에는 지주목을 꽂기 위한 다수개의 지주목 삽입관(40)이 구비되며, 이러한 지주목 삽입관(40)은 보편적인 가로수 보호덮개에서 볼 수 있는 지주목 삽입관과 동일한 용도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주목 삽입관(40)에 지주목을 꽂아 가로수를 지지시킴으로서, 강풍이나 기타 외부 충격에 의해 가로수가 꺽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가로수의 올바른 생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보호덮개(1)의 막이살 미형성부(30) 상측에는 그물망의 형태로 제공되는 조밀한 망상시트(31)가 설치되는 것인데, 이 망상시트(31)는 막이살(13)의 상측과 접촉되어 하부로 처지는 현상이 막이살(13)에 의해 억제되도록 설치된다.
그물망의 형태로 성형되어 상기 막이살(13)을 가리우도록 적층 설치되는 상기 조밀한 망상시트(31)는 상기 막이살 미형성부(30)의 상면에 비교적 얇은 두께로 놓여지는 것으로서, 망상시트(31) 상부에는 매트층이 채움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며, 여기에 골재와 일정량의 수지를 혼합하여서 되는 다공질의 매트층(32)이 적층된다.
이같은 망상시트(31)와 다공질 매트층(32)에 의해 상기 각 막이살(13) 사이에 형성되는 통공이 외부와 차단되는 것이며, 보호덮개(1)의 표면이 평탄면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채움되는 상기 매트층(32)은, 8~10㎝의 작은 입도를 갖는 다수의 골재(33)를 주제로 하며 이들 골재(33)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보조재로서 일정량의 수지 및 경화제를 혼합하여 성형되는 일종의 배합물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지로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였다. 이는 점성이 뛰어나 도료 및 접착제 등에 널리 이용되는 재료이다. 그밖에도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재료라면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같이 에폭시 수지와 골재(33)를 혼합함에 있어, 상기 각 골재(33) 간의 틈새가 상기 에폭시 수지에 의해 완전히 차단되지 아니하도록 적정한 비율로 혼합한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그 자체의 점성에 의해 상기 골재(33) 간의 틈새로 긴밀히 스며들지 않는 것이므로 상기 각 골재(33) 사이의 공극이 원활하게 확보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서는 이같은 골재(33)와 에폭시 수지의 혼합 비율을 50 : 1의 중량비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골재(33)로는 미감이 우수한 천연광석이나 미세 자갈류 및 경우에 따라서는 인조석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보호덮개(1)가 설치되는 지면 및 주변의 경관을 고려하여 적절한 소재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될 것이다. 그밖에도, 상기 매트층(32)을 형성함에 있어 보호덮개(1)가 설치되는 지면 및 주연의 경관을 고려하여 그와 잘 조화되는 색상의 안료를 혼합하여 형성하므로서, 보호덮개(1)가 그 주변과 조화를 이루어 미감의 향상을 통해 조경 효과를 가져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골재(33)와 에폭시 수지 및 경화제를 혼합하여 형성한 매트층(32)은 미세 공극이 유지되는 다공질의 층을 이루는 것이다. 이에 따라, 빗물 등은 상기 매트층(32)의 미세 공극을 통해 보호덮개(1)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유입되는 한편, 낙엽이나 담배꽁초와 같이 입도가 큰 이물질은 보호덮개(1) 내측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그 상측에 쌓이게 된다. 따라서, 적정 시기마다 상기 매트층(32)의 상부에 쌓여 있는 이물질을 용이한 작업을 통해 수거하면 되는 것이므로 보호덮개(1) 주연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가로수가 식수된 토양이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같은 매트층(32)은 그 표면의 높이가 덮개의 골격을 이루는 내외측 프레임(11,12)과 동일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므로써, 보호덮개(1)가 가로수 주연의 지면과 동일 높이를 유지한체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보호덮개가 도로변의 배수구에 적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보호덮개(100)는, 소정 간격을 유지한체 나란하게 입설되는 한 쌍의 프레임판재(110)와, 이러한 프레임판재(110) 사이로 일정 간격을 유지한체 나란하게 배열되어 그 양단을 상기 한 쌍의 프레임판재(110) 내면에 각기 고정하는 베어링바(111)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각의 베어링바(111)는 상기 프레임판재(110)의 하측면에 고정되므로써, 보호덮개(100)의 상측부에 베어링바 미형성부(120)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바(111)의 상부에는, 베어링바(111)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크로스바(112)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바 미형성부(120)에 망상시트(121)와 다공질 매트층(122)이 제공되는 것으로써, 이같은 망상시트(121)와 다공질 매트층(122)의 구성은 전술한 가로수로 적용된 보호덮개(1)의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보호덮개(100)의 구성에 의해서, 빗물이나 기타 도로면의 물은 상기 보호덮개(100)를 자유롭게 통과하여 배수구로 유입되는 반면, 식품봉투나 담배꽁초 등의 각종 오물은 상기 매트층(122)에 의해 차단되어 배수구로 유입되지 못한다. 따라서, 배수구의 내부공간은 항상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지면과 동일 내지는 비슷한 높이를 유지하는 상기 매트층(122)으로 인해 보행자는 보호덮개(100)의 상면을 안정감있게 밟으면서 보행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보호덮개(100)가 보행시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음을 뜻하며, 따라서 노면의 실질적인 보행공간이 보다 확장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매트층(122)에 의해서 소정 깊이의 배수구 내부가 보이지 않음에 따라, 보행자는 보호덮개(100)를 지날시 불안감 내지는 두려움을 느끼지 않게된다.
또한, 상기 매트층(122)이 소정의 색상을 갖거나 또는 그 표면에 각종 문양을 표현하고 있어, 주변경관과 조화를 이루면서 장식감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따른 오물유입 방지용 매트층을 갖는 보호덮개에 의하여, 노면에 쓸려다니는 각종 오물이나 낙엽 등이 보호덮개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그 상면에 쌓이는 것이므로, 청소가 용이한 동시에 그에 따라 보호덮개 주연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덮개가 노면 및 그 주변과 잘 조화되는 색상 내지는 그림을 가짐으로써, 보행자에게 시각적인 미려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도시 경관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매트층에 의해서 보호덮개의 상부가 평탄한 보행면을 형성함에 따라, 보행자는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가지면서 보호덮개를 밟고 왕래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며, 또한 요철부가 없는 보호덮개에 의해 보행자가 걸려 넘어지는 등의 현상은 미연에 방지되므로 각종 안전사고의 예방 효과를 갖게되는 것이다.

Claims (2)

  1. 바깥틀체를 이루는 프레임부재의 내측에, 다수개의 살부재를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배열하여 고정시킨 보호덮개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살부재가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측 벽면에 제한적으로 고정되어 보호덮개 상측에 살부재 미형성부를 구성하고; 상기 살부재 미형성부에는 상기 살부재의 상부와 접촉되도록 그물망 형태로 제공되는 조밀한 망상시트를 적층하며; 그위에 다시 8~10㎜의 입도를 갖는 골재와 수지를 혼합하여 투수성을 갖도록 형성한 다공질의 매트층을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면까지 채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유입 방지용 매트층을 갖는 보호덮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상기 각 골재 간의 미세공극이 원활히 확보되도록 하는 고점성의 에폭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유입 방지용 매트층을 갖는 보호덮개.
KR10-2002-0006066A 2002-02-02 2002-02-02 오물유입 방지용 매트층을 갖는 보호덮개 KR100404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066A KR100404149B1 (ko) 2002-02-02 2002-02-02 오물유입 방지용 매트층을 갖는 보호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066A KR100404149B1 (ko) 2002-02-02 2002-02-02 오물유입 방지용 매트층을 갖는 보호덮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908U Division KR200221026Y1 (ko) 2000-10-17 2000-10-17 오물유입 방지 기능을 갖는 조경형 가로수 보호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775A KR20030025775A (ko) 2003-03-29
KR100404149B1 true KR100404149B1 (ko) 2003-11-05

Family

ID=27725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066A KR100404149B1 (ko) 2002-02-02 2002-02-02 오물유입 방지용 매트층을 갖는 보호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41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423Y1 (ko) * 2011-10-19 2012-09-10 신광숙 다용도 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611389D0 (en) * 2006-06-09 2006-07-19 Leese Jonathan P Tree guard & mulch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423Y1 (ko) * 2011-10-19 2012-09-10 신광숙 다용도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775A (ko) 200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5791A (ko) 슬렌팅 보호덮개
KR200443218Y1 (ko) 그레이팅 안전 덮개
KR102233633B1 (ko)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
KR101225886B1 (ko) 오물 및 냄새 차단 기능을 갖는 스틸그레이팅 복합체
KR101458540B1 (ko)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CN108124645A (zh) 一种具有储水绿化功能的预制组合式防撞墙
CN110629619A (zh) 一种海绵型绿地建设结构技术
KR100404149B1 (ko) 오물유입 방지용 매트층을 갖는 보호덮개
KR101940561B1 (ko) 빗물 집수장치
KR101128340B1 (ko) 측면 필터망을 구비한 배수로
CN208072126U (zh) 一种高速公路路肩排水装置
KR101894740B1 (ko) 투수식 맨홀
KR200221026Y1 (ko) 오물유입 방지 기능을 갖는 조경형 가로수 보호덮개
KR200414415Y1 (ko) 하수도, 도로, 하천, 환경시설공사 등에 사용되는 친환경맨홀 뚜껑
KR20110102573A (ko) 투수성을 갖는 인조잔디 형태의 집수구 상단 덮개
KR20190032784A (ko) 친환경 식생형 배수로 장치
KR200462236Y1 (ko) 투수 보도판석용 케이스
CN208379371U (zh) 一种道路排水结构
JP6830123B2 (ja) 透水性構造体
KR20100000569A (ko) 친환경 다공패널 그레이팅
KR101427336B1 (ko) 우수유입장치
KR200181896Y1 (ko) 필터가 내장된 배수구 커버
JP3966821B2 (ja) 排水性街渠の構造
TWM293933U (en) Cover of gullet
JPH0750414Y2 (ja) 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