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423Y1 - 다용도 프레임 - Google Patents

다용도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423Y1
KR200462423Y1 KR2020110009312U KR20110009312U KR200462423Y1 KR 200462423 Y1 KR200462423 Y1 KR 200462423Y1 KR 2020110009312 U KR2020110009312 U KR 2020110009312U KR 20110009312 U KR20110009312 U KR 20110009312U KR 200462423 Y1 KR200462423 Y1 KR 2004624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uter frame
inner diameter
horizontal fram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숙
Original Assignee
신광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숙 filed Critical 신광숙
Priority to KR2020110009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4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4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4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2Apparatus for binding bouquets or wreat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4Mountings for wreaths, or the like; Racks or holders for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원형의 화환리스를 포함한 크런처를 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 크런처와 더불어 전등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프레임{MULTIPURPOSE FRAME}
본 고안은 원형의 화환리스를 포함한 크런처를 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 크런처와 더불어 전등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형의 화환리스를 포함한 크런처는 14세기경 도시를 중심으로 신부들이 마른 벼와 같은 소재에 레이스나 실크리본을 곁들인 화환을 들고 결혼을 하던 것에서 유래된 것이다.
그 후 상기 크런처는 시대를 초월하여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아왔는데 크런처의 동그란 원은 영원한 사랑을 표시한다고 한다.
상기 크런처는 각각의 식물이 지닌 소재와 색채에 따라서 계절별로 다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며, 성탄절 등을 포함한 다양한 기념일에 문 장식이나 벽의 장식 등 공간의 디스플레이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본 고안자는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을 이용하여 원형의 화환리스를 포함한 크런처를 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 크런처와 더불어 전등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프레임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원형의 화환리스를 포함한 크런처를 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 크런처와 더불어 전등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의 외측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외측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프레임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외측프레임은 상기 내측프레임의 상측에 수평구비되는 상부수평틀과; 상기 내측프레임의 하측에 수평구비되는 하부수평틀과; 상기 내측프레임의 일측에 수평구비되고 내경크기가 상기 상부수평틀의 내경크기 및 상기 하부수평틀의 내경크기보다 큰 일측중간수평틀과, 상기 내측프레임의 타측에 수평구비되고 내경크기가 상기 상부수평틀의 내경크기 및 상기 하부수평틀의 내경크기보다 작은 타측중간수평틀로 구성되는 중간수평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프레임은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측에 등간격으로 수직구비되어 상기 외측프레임을 지지하는 수직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외측프레임은 상기 내측프레임의 상측에 수평구비되는 상부수평틀과; 상기 내측프레임의 일측에 수평구비되고, 내경크기가 상기 상부수평틀의 내경크기보다 큰 일측중간수평틀과, 상기 내측프레임의 타측에 수평구비되고 내경크기가 상기 상부수평틀의 내경크기보다 작은 타측중간수평틀로 구성되는 중간수평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프레임은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측에 등간격으로 수직구비되어 상기 외측프레임을 지지하는 수직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외측프레임은 상부외측프레임과; 상기 상부외측프레임의 하부방향에 형성되는 하부외측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프레임은 상기 상부외측프레임의 내측에 등간격으로 수직구비되어 상기 상부외측프레임을 지지하는 상부수직틀과; 상기 하부외측프레임의 내측에 등간격으로 수직구비되어 상기 하부외측프레임을 지지하는 하부수직틀;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외측프레임은 상기 상부수직틀의 상측에 수평구비되는 상부수평틀과; 상기 상부수직틀의 일측에 수평구비되고 내경크기가 상기 상부수평틀의 내경크기보다 큰 일측중간수평틀와; 상기 상부수직틀의 타측에 수평구비되고 내경크기가 상기 상부수평틀의 내경크기보다 작은 타측중간수평틀;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외측프레임은 상기 하부수직틀의 하측에 수평구비되는 하부수평틀과; 상기 하부수직틀의 일측에 수평구비되고 내경크기가 상기 하부수평틀의 내경크기보다 큰 일측중간수평틀과; 상기 하부수직틀의 타측에 수평구비되고 내경크기가 상기 하부수평틀의 내경크기보다 작은 타측중간수평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외측프레임과 상기 하부외측프레임은 연결부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측프레임 및 상기 외측프레임에 장식물과 체결되는 체결부가 일정간격으로 각각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은 금속, 합성수지, 식물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내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을 감싸는 외피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내측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측프레임은 2개 이상으로 등분되고, 2개 이상으로 등분된 상기 외측프레임은 연결부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을 이용하여 원형의 화환리스를 포함한 크런처를 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 크런처와 더불어 전등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인 다용도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인 다용도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의 B - B선에 따른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인 다용도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8의 C - C선에 따른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장식물과 체결되는 체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4는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을 감싸는 외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B - B선에 따른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6은 외측프레임의 내측에 발광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7은 2개 이상으로 등분된 외측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8은 2개 이상으로 등분된 외측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19는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의 내측에 충진물이 충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20은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에 관통구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인 다용도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인 다용도 프레임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프레임(10)과 외측프레임(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프레임(10)의 외측에는 상기 내측프레임(10)과 직교를 이룬상태로 상기 외측프레임(20)이 등간격으로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내측프레임(10)과 외측프레임(20)으로 구성되는 본 다용도 프레임이 원형형상을 이룬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형상, 하트형상, 사각형상 등 보다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일부확대단면도이다.
상기 외측프레임(20)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부수평틀(210), 하부수평틀(220) 및 중간수평틀(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원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상부수평틀(210)은 상기 내측프레임(10)의 상측에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원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하부수평틀(220)은 상기 내측프레임(10)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원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중간수평틀(230)은 일측중간수평틀(231)과 타측중간수평틀(2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중간수평틀(231)은 상기 내측프레임(10)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중간수평틀(231)의 내경(도 3의 I1)크기는 상기 상부수평틀(210)의 내경크기(도 3의 I2) 및 상기 하부수평틀(220)의 내경크기(도 3의 I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중간수평틀(232)은 상기 내측프레임(10)의 타측에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중간수평틀(232)의 내경크기(도 1의 I4)는 상기 상부수평틀(210)의 내경크기(도 1의 I2) 및 상기 하부수평틀(220)의 내경크기(도 1의 I3)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프레임(10)은 상기 외측프레임(20)의 내측에 등간격으로 수직구비되어 상기 외측프레임(2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내측프레임(10)은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형상의 수직틀(110) 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형상의 수직틀(11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프레임(10)이 반드시 원형형상 또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원형형상 또는 '+'형상 이외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직틀(110)이 가령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수직틀(110)은 수직살(111)과 수평살(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직살(111)의 상단부에는 상기 상부수평틀(210)이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살(111)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수평틀(220)이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살(112)은 상기 일측중간수평틀(231)과 상기 타측중간수평틀(232) 사이에 일체구비되도록 상기 수직살(111)의 중간부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인 다용도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인 다용도 프레임은 상기 내측프레임(10)과 상기 외측프레임(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외측프레임(20)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수평틀(210)과 중간수평틀(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원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상부수평틀(210)은 상기 내측프레임(10)의 상측에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원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중간수평틀(230)은 일측중간수평틀(231)과 타측중간수평틀(2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중간수평틀(231)은 상기 내측프레임(10)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중간수평틀(231)의 내경(도 6의 I1)크기는 상기 상부수평틀(210)의 내경크기(도 6의 I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중간수평틀(232)은 상기 내측프레임(10)의 타측에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중간수평틀(232)의 내경크기(도 6의 I4)는 상기 상부수평틀(210)의 내경크기(도 6의 I2)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B - B선에 따른 일부확대단면도이다.
상기 내측프레임(10)은 상기 외측프레임(20)의 내측에 등간격으로 수직구비되어 상기 외측프레임(2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내측프레임(10)은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반원형상의 수직틀(110) 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형상의 수직틀(11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프레임(10)이 반드시 반원형상 또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반원형상 또는 '┻'형상이외의 삼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직틀(110)이 가령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수직틀(110)은 수직살(111)과 수평살(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직살(111)의 상단부에는 상기 상부수평틀(210)이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살(112)은 상기 일측중간수평틀(231)과 상기 타측중간수평틀(232) 사이에 일체구비되도록 상기 수직살(111)의 하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인 다용도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인 다용도 프레임은 상기 내측프레임(10)과 상기 외측프레임(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외측프레임(20)은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외측프레임(21)과; 상기 상부외측프레임(21)의 하부방향에 형성되는 하부외측프레임(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프레임(10)은 상기 상부외측프레임(21)의 내측에 등간격으로 수직구비되어 상기 상부외측프레임(21)을 지지하는 상부수직틀(11)과; 상기 하부외측프레임(22)의 내측에 등간격으로 수직구비되어 상기 하부외측프레임(22)을 지지하는 하부수직틀(12)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외측프레임(21)은 상부수평틀(211), 일측중간수평틀(212) 및 타측 중간수평틀(213)로 구성될 수 있다.
원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상부수평틀(211)은 상기 상부수직틀(11)의 상측에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원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일측중간수평틀(212)은 상기 상부수직틀(11)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중간수평틀(212)의 내경크기(도 10의 I1)는 상기 상부수평틀(211)의 내경크기(도 10의 I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원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타측중간수평틀(213)은 상기 상부수직틀(11)의 타측에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중간수평틀(213)의 내경크기(도 10의 I4)는 상기 상부수평틀(210)의 내경크기(도 10의 I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외측프레임(22)은 하부수평틀(221), 일측중간수평틀(222) 및 타측중간수평틀(223)로 구성될 수 있다.
원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하부수평틀(221)은 상기 하부수직틀(12)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원형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일측중간수평틀(222)은 상기 하부수직틀(12)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중간수평틀(222)의 내경크기(도 10의 I5)는 상기 하부수평틀(221)의 내경크기(도 10의 I6)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원형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타측중간수평틀(223)은 상기 하부수직틀(12)의 타측에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중간수평틀(223)의 내경크기(도 10의 I7)는 상기 하부수평틀(221)의 내경크기(도 10의 I6)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도 8의 C - C선에 따른 일부확대단면도이다.
상기 내측프레임(10)의 상부수직틀(11)은 도 8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반원형상 또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형상 등 보다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상부수직틀(11)이 가령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상부수직틀(11)은 수직살(11a)과 수평살(1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직살(11a)의 상단부에는 상기 상부수평틀(211)이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살(11b)은 상기 일측중간수평틀(212) 및 타측 중간수평틀(213) 사이에 일체구비되도록 상기 수직살(11a)의 하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프레임(10)의 하부수직틀(12)은 도 8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반원형상 또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형상 등 보다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하부수직틀(12)이 가령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하부수직틀(12)은 수직살(12a)과 수평살(1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직살(12a)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수평틀(221)이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살(12b)은 상기 일측중간수평틀(222) 및 타측중간수평틀(223) 사이에 일체구비되도록 상기 수직살(12a)의 상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외측프레임(21)과 상기 하부외측프레임(22)은 연결부(40)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0)는 상기 하부외측프레임(22)의 일측중간수평틀(222)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0)는 일측연결부재(410)와 타측연결부재(4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연결부재(410)는 일측하부볼록판(411)과 일측상부오목판(4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하부볼록판(411)은 상기 일측중간수평틀(222)의 외주면 일측에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하부볼록판(411)은 상기 일측중간수평틀(222)의 외부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부오목판(412)은 상기 일측하부볼록판(411)의 상측에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부오목판(412)은 상기 일측중간수평틀(222)의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연결부재(420)는 타측하부볼록판(421)과 타측상부오목판(4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하부볼록판(421)은 상기 일측중간수평틀(222)의 외주면 타측에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하부볼록판(421)은 상기 일측하부볼록판(411)과 대칭되도록 상기 일측중간수평틀(222)의 내측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상부오목판(422)은 상기 타측하부볼록판(421)의 상측에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상부오목판(422)은 상기 일측상부오목판(412)과 대칭되도록 상기 일측중간수평틀(222)의 외부방향으로 오목하게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외측프레임(21)의 일측중간수평틀(212)은 작업자에 의해 상기 하부외측프레임(22)의 일측중간수평틀(2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연결부(40)의 일측하부볼록판(411)과 타측하부볼록판(421) 사이에 억지끼움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외측프레임(21)과 상기 하부외측프레임(22)이 상기 연결부(40)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상부외측프레임(21)과 상기 하부외측프레임(22) 중 어느 하나가 훼손될 시 상기 상부외측프레임(21)과 상기 하부외측프레임(22) 모두를 교체보수할 필요없이 훼손된 부위에 해당하는 상기 상부외측프레임(21) 또는 상기 하부외측프레임(22)만을 간편하게 교체보수할 수 있게 된다.
도 12 및 도 13은 장식물(5)과 체결되는 체결부(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프레임(10) 및 상기 외측프레임(20)에는 꽃 형상의 조화 또는 생화 등을 포함한 장식물(5)과 체결되는 체결부(30)가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0)는 지지대(31)와 체결부재(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31)는 상기 내측프레임(10) 및 상기 외측프레임(20)과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내측프레임(10)의 외주면과 상기 외측프레임(20)의 외주면에 각각 등간격으로 수직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32)는 상기 지지대(31)의 상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32)는 원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장식물(5)의 하부에는 철사 등을 포함한 연질 재질의 체결대(52)가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식물(5)의 체결대(52)의 하측은 상기 내측프레임(10) 및 외측프레임(20)을 감싼 상태로 체결 또는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32)를 감싼 상태로 체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내측프레임(10)가 외측프레임(20)의 제작비용 절감을 위해 상기 내측프레임(10)과 외측프레임(20)은 저가의 철근, 철사 등을 포함한 금속, 플라스틱 등을 포함한 합성수지, 짚풀 등을 포함한 식물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4는 내측프레임(10)과 외측프레임(20)을 감싸는 외피(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B - B선에 따른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프레임(10)과 상기 외측프레임(20)을 감싸는 한지 등을 포함한 종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외피(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피(50)의 외관이 보다 더욱 미려해질 수 있도록 상기 외피(50)에는 꽃 형상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의 장식무늬가 도포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외측프레임(20)의 내측에 발광부(60)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다용도 프레임을 전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프레임(20)의 내주면 상측에는 발광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는 상기 상부수평틀(210, 211)의 하부면에 본드접착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수평구비되는 회로기판(610)과; 상기 회로기판(610)의 하부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빛을 발광하는 LED(62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7은 2개 이상으로 등분된 외측프레임(2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8은 2개 이상으로 등분된 외측프레임(20)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17 및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측프레임(20)은 2개 이상으로 등분될 수 있다.
2개 이상으로 등분된 상기 외측프레임(20)은 연결부(70)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외측프레임(20)이 4개로 등분된 상태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4개로 등분된 상기 외측프레임(20)을 각각 제 1외측프레임(20a), 제 2외측프레임(20b), 제 3외측프레임(20c) 및 제 4외측프레임(20d)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 1외측프레임(20a)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 2외측프레임(20b)의 전단부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외측프레임(20b)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 3외측프레임(20c)의 전단부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외측프레임(20c)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 4외측프레임(20d)의 전단부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0)는 단면이 원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고무캡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무캡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연결부(70)는 제 1연결부(71), 제 2연결부(72) 및 제 3연결부(7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부(71)의 전측 내부에는 상기 제 1외측프레임(20a)의 후단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부(71)의 후측 내부에는 상기 제 2외측프레임(20b)의 전단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부(72)의 전측 내부에는 상기 제 2외측프레임(20b)의 후단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부(72)의 후측 내부에는 상기 제 3외측프레임(20c)의 전단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3연결부(73)의 전측 내부에는 상기 제 3외측프레임(20c)의 후단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3연결부(73)의 후측 내부에는 상기 제 4외측프레임(20d)의 전단부가 수용될 수 있다.
고무캡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연결부(70)가 상기 외측프레임(20)의 전단부 및 후단부가 보다 강하게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고무캡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연결부(70)의 내경크기는 상기 외측프레임(20)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외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2개 이상으로 등분된 상기 외측프레임(20)은 연결부(70)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원형 형상 등을 이루거나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S' 형상 등을 이룰 수 있다.
도 19는 내측프레임(10)과 외측프레임(20)의 내측에 충진물(80)이 충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내측프레임(10) 및 상기 외측프레임(20)에 꽃 형상의 조화 도는 생화 등을 포함한 장식물(5)을 보다 간편하고 쉽게 일정간격으로 구비시키기 위해 상기 내측프레임(10)과 외측프레임(20)의 내측에는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펀지 또는 스티로폼 등을 포함한 충진물(80)이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장식물(5)의 체결대(52)의 하측은 스펀지 또는 스티로폼 등을 포함한 충진물(80)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될 수 있다.
도 20은 내측프레임(10)과 외측프레임(20)에 관통구(200)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프레임(10)과 외측프레임(20)에는 상하측이 개방된 복수의 관통구(200)가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식물(5)의 체결대(52)의 하측은 상기 관통구(200)를 수직관통한 후 상기 내측프레임(10) 및 외측프레임(20)을 감싼 상태로 체결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내측프레임(10)과 상기 외측프레임(20)을 이용하여 원형의 화환리스를 포함한 크런처를 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 크런처와 더불어 전등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내측프레임, 20; 외측프레임.

Claims (9)

  1. 내측프레임(10)과;
    상기 내측프레임(10)의 외측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외측프레임(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프레임(20)은 상기 내측프레임(10)의 상측에 수평구비되는 상부수평틀(210)과;
    상기 내측프레임(10)의 하측에 수평구비되는 하부수평틀(220)과;
    상기 내측프레임(10)의 일측에 수평구비되고 내경크기가 상기 상부수평틀(210)의 내경크기 및 상기 하부수평틀(220)의 내경크기보다 큰 일측중간수평틀(231)과, 상기 내측프레임(10)의 타측에 수평구비되고 내경크기가 상기 상부수평틀(210)의 내경크기 및 상기 하부수평틀(220)의 내경크기보다 작은 타측중간수평틀(232)로 구성되는 중간수평틀(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프레임(10)은 상기 외측프레임(20)의 내측에 등간격으로 수직구비되어 상기 외측프레임(20)을 지지하는 수직틀(1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프레임.
  2. 내측프레임(10)과;
    상기 내측프레임(10)의 외측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외측프레임(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프레임(20)은 상기 내측프레임(10)의 상측에 수평구비되는 상부수평틀(210)과;
    상기 내측프레임(10)의 일측에 수평구비되고, 내경크기가 상기 상부수평틀(210)의 내경크기보다 큰 일측중간수평틀(231)과,
    상기 내측프레임(10)의 타측에 수평구비되고 내경크기가 상기 상부수평틀(210)의 내경크기보다 작은 타측중간수평틀(232)로 구성되는 중간수평틀(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프레임(10)은 상기 외측프레임(20)의 내측에 등간격으로 수직구비되어 상기 외측프레임(20)을 지지하는 수직틀(1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프레임.
  3. 내측프레임(10)과;
    상기 내측프레임(10)의 외측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외측프레임(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프레임(20)은 상부외측프레임(21)과; 상기 상부외측프레임(21)의 하부방향에 형성되는 하부외측프레임(22);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프레임(10)은 상기 상부외측프레임(21)의 내측에 등간격으로 수직구비되어 상기 상부외측프레임(21)을 지지하는 상부수직틀(11)과; 상기 하부외측프레임(22)의 내측에 등간격으로 수직구비되어 상기 하부외측프레임(22)을 지지하는 하부수직틀(12);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외측프레임(21)은 상기 상부수직틀(11)의 상측에 수평구비되는 상부수평틀(211)과; 상기 상부수직틀(11)의 일측에 수평구비되고 내경크기가 상기 상부수평틀(211)의 내경크기보다 큰 일측중간수평틀(212)와; 상기 상부수직틀(11)의 타측에 수평구비되고 내경크기가 상기 상부수평틀(211)의 내경크기보다 작은 타측중간수평틀(213);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외측프레임(22)은 상기 하부수직틀(12)의 하측에 수평구비되는 하부수평틀(221)과; 상기 하부수직틀(12)의 일측에 수평구비되고 내경크기가 상기 하부수평틀(221)의 내경크기보다 큰 일측중간수평틀(222)과; 상기 하부수직틀(12)의 타측에 수평구비되고 내경크기가 상기 하부수평틀(221)의 내경크기보다 작은 타측중간수평틀(223);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외측프레임(21)과 상기 하부외측프레임(22)은 연결부(40)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프레임.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10) 및 상기 외측프레임(20)에 장식물(5)과 체결되는 체결부(30)가 일정간격으로 각각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프레임.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10)과 외측프레임(20)은 금속, 합성수지, 식물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프레임.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10)과 상기 외측프레임(20)을 감싸는 외피(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프레임.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10)의 내측에 구비되어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프레임.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프레임(20)은 2개 이상으로 등분되고,
    2개 이상으로 등분된 상기 외측프레임(20)은 연결부(70)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프레임.
  9. 삭제
KR2020110009312U 2011-10-19 2011-10-19 다용도 프레임 KR2004624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312U KR200462423Y1 (ko) 2011-10-19 2011-10-19 다용도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312U KR200462423Y1 (ko) 2011-10-19 2011-10-19 다용도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423Y1 true KR200462423Y1 (ko) 2012-09-10

Family

ID=47074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312U KR200462423Y1 (ko) 2011-10-19 2011-10-19 다용도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4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752B1 (ko) * 2023-09-06 2024-03-13 권미숙 엘이디를 이용한 꽃다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149B1 (ko) * 2002-02-02 2003-11-05 미강건철주식회사 오물유입 방지용 매트층을 갖는 보호덮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149B1 (ko) * 2002-02-02 2003-11-05 미강건철주식회사 오물유입 방지용 매트층을 갖는 보호덮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752B1 (ko) * 2023-09-06 2024-03-13 권미숙 엘이디를 이용한 꽃다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99496S1 (en) Circular light structure
KR101603205B1 (ko) 오아시스 지지구조를 포함하는 화환받침대
KR200462423Y1 (ko) 다용도 프레임
US20120112012A1 (en) Decorative Arrangement Holder
KR101736298B1 (ko) 포트 설치대를 이용한 포트 꽂이형 화환
US20090147530A1 (en) LED Lamp Light Emitting Insert
US20090273928A1 (en) Decorative light string
JP3163278U (ja) 装飾具
KR100617502B1 (ko) 풍선 장식용 트리 유니트
US20130033200A1 (en) Sport christmas kit
US20140154430A1 (en) Cross Shaped Christmas Decoration
USD609016S1 (en) Decorative yarn
KR200475697Y1 (ko) 크리스마스트리용 화분 커버
CN211130522U (zh) 一种立体相框饰品
KR200453074Y1 (ko) 회전 가능한 병 구조
CN211390801U (zh) 一种组合式发光摆件
JP3211356U (ja) 花瓶
CN207949584U (zh) 一种3d贴装圣诞树
JP3139523U (ja) 装飾体
CN207355540U (zh) 装饰树
US20130235563A1 (en) Christmas tree skirt with lights
JP3208558U (ja) 模造樹木
KR100821617B1 (ko) 장식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장식 구조체
ES1227664U (es) Flores artificiales
KR200389146Y1 (ko) 천정매다는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