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617B1 - 장식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장식 구조체 - Google Patents

장식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장식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617B1
KR100821617B1 KR1020070076099A KR20070076099A KR100821617B1 KR 100821617 B1 KR100821617 B1 KR 100821617B1 KR 1020070076099 A KR1020070076099 A KR 1020070076099A KR 20070076099 A KR20070076099 A KR 20070076099A KR 100821617 B1 KR100821617 B1 KR 100821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s
cylinder
acrylic
piece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삼용
Original Assignee
최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삼용 filed Critical 최삼용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3Needle cushions or needle plates for supporting flowers in pots or v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6Devices for preserving fl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8Applying ornamental structures, e.g. shaped bodies consisting of plastic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꽃병, 화분, 실내 깃발 등을 꽂아두기 위한 병, 테이블, 테이블 겸용 화분받침대, 테이블 겸용 수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면서 그 제조방법이 매우 간단할 뿐만 아니라, 장식성이 탁월하고 안정성과 견고성도 모두 가지고 있는 장식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장식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a) 일정 외경을 갖는 아크릴 원통을 다수개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아크릴 원통 중에서 하나는 원하는 길이에서 수평으로 절단하여 기둥체를 형성하는 한편, 다른 하나는 일정 길이마다 사선으로 절단하여 다수개의 타원편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기둥체의 상부 외주면에서 상기 각각의 타원편을 외측이 상향되도록 부착하여 상부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기둥체의 하부 외주면에서 상기 각각의 타원편을 외측이 하향되도록 부착하여 하부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장식, 구조체, 아크릴 원통, 꽃병, 화분, 테이블, 수조.

Description

장식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장식 구조체{ORNAMENT MANUFACTURING METHOD AND THAT ORNA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 구조체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 장식용 아크릴 병을 보인 도면으로, 도 2는 장식용 아크릴 병의 바람직한 실시예이고, 도 3 및 도 4는 장식용 아크릴 병의 여러 형태를 보인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 테이블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 화분 받침대로 사용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로서, 테이블에 부설하는 수조를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로서, 기둥체를 수조로 사용하는 것을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아크릴 원통 10 : 기둥체
L : 기둥체 길이 L1 : 타원편 접면길이
D1, D2, D3, D4 : 외경 22, 32, 44a, 44b, 44c : 타원편
20A, 30A, 40A, 50A : 상부 구조체 20B, 30B, 40B, 50B : 하부 구조체
A1, A2, A3, A4 : 접면 접착부 51 : 원통편
52 : 상판 53 : 보조 연결편
54 : 중심공 60 : 화분
61 : 단턱부 70 : 받침대
71 : 받침판 72 : 수직 원통
73 : 단턱 형성편 74 : 덮개
80 : 수조 81 : 바닥면
82 : 내측 원통 83 : 외측면
84 : 개구부 85 : 기포발생기
86, 87 : 통공 88 : 배수마개
89 : 원형공 덮개 90 : 케이싱
본 발명은 꽃병, 화분, 실내 깃발 등을 꽂아두기 위한 병, 테이블, 테이블 겸용 화분받침대, 테이블 겸용 수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면서 그 제조방법이 매우 간단할 뿐만 아니라, 장식성이 탁월하고 안정성과 견고성도 모두 가지 고 있는 장식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장식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 기술적 특징 중에서 '장식용 아크릴 병'과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아크릴로 만들어진 실내 장식물로서 한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공고번호 20-1991-0006714호 "아크릴 꽃병"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투명 아크릴 수지제의 원통형 꽃병체의 저면부에 넓적한 대판을 접합 형성하고 각종 무늬지가 내입된 격판을 꽃병체의 중간 내부에 격실이 구분 형성되게 삽입하여 꽃병체의 주면으로 격판의 무늬가 투시되게 구성하여서 된 아크릴 꽃병"에 관한 것이다.
또한, 한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10-2003-0002397호, "건조화가 저장된 캔"에서는 "생화를 기술적으로 건조시켜 꽃다발, 꺾꽃이 등의 모양을 만들어 그 모양이나 질이 변하지 않게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빛에 의해 감지되어 작동할 수 있는 음성메시지 또는 멜로디를 저장하는 칩을 내장하여 생동감을 주도록 한 건조화가 저장된 캔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어느 종래 기술에서도 본 발명의 일부 기술적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장식용 아크릴 병'과 같이 그 제조가 매우 간단하고, 병의 장식성이 탁월할 뿐 아니라, 병이 넘어지거나 하는 문제를 보완하여 매우 안정감이 있는 병을 제공한 바 없다.
한편, 테이블은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되고 있으나, 상판의 하부에 기둥이 결합된 기본 구조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바, 보다 색다르고 다양함을 추구 하는 현대의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었다.
그리고, 매장이나 가게에 사용되는 테이블은 실내의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루면서 특이한 구조로 제작되어 신비로움을 느낄 수 있는 제품이 요구되었으나, 현재의 테이블로서는 소비자들의 시선을 유도하거나 호기심을 유발시킬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꽃병, 화분, 실내 깃발 등을 꽂아두기 위한 병, 테이블, 테이블 겸용 화분받침대, 테이블 겸용 수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면서 그 제조방법이 매우 간단하고 경량의 구조체를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식성이 탁월하고 안정성과 견고성도 모두 가지고 있는 장식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장식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 구조체는, 일정 외경을 갖는 투명한 아크릴 원통을 원하는 길이에서 수평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기둥체; 다른 아크릴 원통을 일정 길이마다 사선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타원편; 상기 기둥체의 상부 외주면에서, 상기 각각의 타원편을 외측이 상향되도록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상부 구조체; 상기 기둥체의 하부 외주면에서, 상기 각각의 타원편을 외측이 하향되도록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하부 구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타원편들은 장축끝점의 측면부위가 상기 기둥체의 외주면에 접면 접착되고, 측면부위를 서로 접면 접착시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기둥체 외경의 3배보다 크고 투명한 아크릴 또는 유리 재질로 형성된 상판을 포함하고, 또 다른 아크릴 원통을 일정 길이마다 수평으로 절단하여 다수개의 원통편을 더 포함하되, 상기 기둥체의 상부에 부착된 타원편들의 위에서 기둥체 외주면에 상기 각각의 원통편이 부착되어 상부 구조체가 이루어지고, 상기 기둥체의 하부에 부착된 타원편들의 아래에서 기둥체 외주면에 상기 각각의 원통편이 부착되어 하부 구조체가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편은 서로 접면하고 있는 타원편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상판의 중심부를 상기 기둥체의 상단면에 위치시켜 상기 상부 구조체의 위에 올려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구조체를 대체하는 것으로, 아크릴 재질로 된 받침대와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된 수조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는 받침판의 중심부에서 상기 기둥체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수직 원통이 부착되고, 상기 수직 원통의 상단부에는 그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내측 원통이 일단부가 삽입된 후 부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수조는 상기 받침판 위에 놓여지도록 바닥면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수직 원통의 외부로 삽입되도록 내측 원통이 형성되며, 그 외측면은 상기 바닥면의 외측 둘레에서 위로 반구형을 이루면서 상기 내측 원통의 상단부와 떨어져서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 원통의 외부로 상기 내측 원통을 삽입하여 상기 수조를 상기 받침대상에 놓고서 상기 내측 원통에 상기 기둥체의 하단부를 삽입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로 접면하는 원통편의 외측면에 접면되면서 바로 아래에 위치한 타원편의 내측면에 접면되는 외경 및 일정 길이를 갖는 아크릴 원통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보조 연결편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 연결편은 상기 상판의 저면에 각각 부착되며, 그 부착 위치는 서로 접면하는 상기 원통편의 외측면과 바로 아래에 위치한 타원편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의 중심부에 상기 기둥체의 외경보다는 작은 원형공을 형성하고, 상기 상판의 원형공을 통해 상기 기둥체의 상단부 내부에 화분을 삽입하되, 상기 화분은 하단부가 밀폐되고 개방된 상단부 둘레에는 상기 원형공의 상면에서 걸려지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아크릴 원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조의 개구부를 통해 물과 함께 물고기 또는 인조물고기를 넣어서 수족관을 겸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수조에 살아있는 물고기를 넣는 경우, 상기 받침대에 형성된 수직 원통 내부에 기포발생기를 설치하며, 상기 수직 원통 및 상기 내측 원통에 통공을 형성하여 이 부위를 통해 상기 기포발생기의 주입호스를 상기 수조의 내부로 인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a) 일정 외경을 갖는 아크릴 원통을 다수개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아크릴 원통 중에서 하나는 원하는 길이에서 수평으로 절단하여 기둥체를 형성하는 한편, 다른 하나는 일정 길이마다 사선으로 절단하여 다수개의 타원편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기둥체의 상부 외주면에서 상기 각각의 타원편을 외측이 상향되도록 부착하여 상부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기둥체의 하부 외주면에서 상기 각각의 타원편을 외측이 하향되도록 부착하여 하부 구조체를 형성하되, 상기 타원편 장축끝점의 측면부위를 상기 기둥체의 외주면에 접면 접착함과 함께, 단축끝점의 측면부위를 서로 접면 접착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c)단계에서, 타원편들은 장축끝점의 측면부위를 상기 기둥체의 외주면에 접면 접착함과 함께, 측면부위를 서로 접면 접착시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장식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d) 상기 아크릴 원통 외경의 3배보다 크고 투명한 아크릴 또는 유리 재질로 형성된 상판을 준비하는 단계; (e)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아크릴 원통 중에서 또 다른 하나는 일정 길이마다 수평으로 절단하여 다수개의 원통편을 더 포함하여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c)단계에서 상기 기둥체의 상부에 부착시킨 타원편들의 위에서 기둥체 외주면에 상기 각각의 원통편을 부착하여 상부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기둥체의 하부에 부착시킨 타원편들의 아래에서 기둥체 외주면에 상기 각각의 원통편을 부착하여 하부 구조체를 형성하되, 상기 원통편은 서로 접면하고 있는 타원편 사이에 위치되도록 접착하여 고정하는 단계; (g) 상기 상판의 중심부를 상기 기둥체의 상단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 구조체의 위에 올려놓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장식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h) 상기 (f)단계에서 서로 접면하는 상기 원통편의 외측면에 접면되면서 바로 아래에 위치한 타원편의 내측면에 접면되는 외경 및 일정 길이를 갖는 아크릴 원통으로 형성된 보조 연결편을 다 수개 준비하는 단계; (i) 상기 보조 연결편을 상기 상판의 저면에 각각 부착하되, 그 부착 위치는 서로 접면하는 상기 원통편의 외측면과 바로 아래에 위치한 타원편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장식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j) 상기 (d)단계에서 준비하는 상기 상판의 중심부에 상기 기둥체의 외경보다는 작은 원형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장식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k) 상기 (f)단계에서 상기 하부 구조체를 대체하는 것으로, 아크릴 재질로 받침대를 형성하는 한편,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수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는 받침판의 중심부에서 상기 기둥체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수직 원통이 부착되고, 상기 수직 원통의 상단부에는 그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내측 원통이 일단부가 삽입된 후 부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수조는 상기 받침판 위에 놓여지도록 바닥면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수직 원통의 외부로 삽입되도록 내측 원통이 형성되며, 그 외측면은 상기 바닥면의 외측 둘레에서 위로 반구형을 이루면서 상기 내측 원통의 상단부와 떨어져서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l) 상기 수직 원통의 외부로 상기 내측 원통을 삽입하여 상기 수조를 상기 받침대상에 놓고서 상기 내측 원통에 상기 기둥체의 하단부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 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 구조체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식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의 (가) 및 (나)도면은 아크릴 원통(1)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선행하는 (a)단계는 일정 외경(D1)(D2)을 갖는 아크릴 원통(1)을 다수개 준비한다.
여기서, 상기 아크릴 원통(1)은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여 내부가 투시되어 보이는 것이 좋으며, 투명하면서도 색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b)단계는 (가)도면과 같이, 상기 아크릴 원통(1) 중에서 하나는 원하는 길이(L)에서 수평으로 절단하여 기둥체(10)를 형성하는 한편, (나)도면과 같이 다른 하나는 일정 길이(L1)마다 사선으로 절단하여 (다)도면과 같은 타원편(22)을 다수개 제작한다.
(라)도면은 타원편(22)의 단면도이고 (마)도면은 타원편(22)의 절단면 형상을 보인 도면으로, 아크릴 원통(1)을 사선으로 절단함에 있어 타원편(22)이 이루는 기울기가 45도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타원편(22)의 기울기가 30도에서 60도 정도에서 이루어지도록 임의의 사선 각도로 절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아크릴 원통(1)을 임의의 사선 각도에 따라 절단하여 타원편(22)을 제작하면, (마)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축끝점(P3)(P4)을 잇는 단축길이는 아크릴 원통(1)의 외경(D2)과 동일하면서 장축끝점(P1)(P2)을 잇는 장축길이는 사선 각도에 따라 그 길이가 변화하게 되어 절단면이 이루는 타원 형상의 가름한 정도가 결정되는 것이다.
한편, 기둥체(10)와 타원편(22)을 각각 형성하는 아크릴 원통(1)은 그 외경(D1)(D2)이 동일한 것을 사용하거나, 타원편(22)을 형성하는 아크릴 원통의 외경(D2)이 기둥체(10)를 형성하는 것의 외경(D1)에 비해서 작은 것을 사용하여 타원편(44a,44b,44c)을 형성할 수 있다.(도 4 참조)
이렇게 기둥체(10)와 타원편(22)을 제작한 상태에서 (c)단계를 실행하는데, (c)단계에서는 상기 기둥체(10)의 상부 외주면에서 각각의 타원편(22)을 외측이 상향되도록 부착하여 상부 구조체(20A)를 형성하고, 상기 기둥체(10)의 하부 외주면에서 각각의 타원편(22)을 외측이 하향되도록 부착하여 하부 구조체(20B)를 형성하되, 상기 타원편(22)들은 각각 장축끝점(P1)(P2)의 측면부위를 기둥체(10)의 외주면에 접면 접착(A1) 함과 함께, 단축끝점(P3)(P4)에 가까운 측면부위를 서로 접면 접착(A2)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아크릴 원통(2)을 이용하여 상기한 (a),(b),(c)단계를 거치는 매우 간단한 제조 과정에 의해 장식 구조체의 기본적인 구성을 완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크릴 원통(2)은 투명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완성된 장식 구조체를 이루는 기둥체(10) 및 타원편(22)들의 전체적인 형상 이 투시되면서 청아하고 신비로운 이미지를 느낄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 장식용 아크릴 병을 보인 도면으로, 도 2는 장식용 아크릴 병의 바람직한 실시예이고, 도 3 및 도 4는 장식용 아크릴 병의 여러 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가)도면은 장식용 아크릴 병의 사시도이고, (나)도면은 장식용 아크릴 병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장식 구조체는, 도 2의 (가)도면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즉 기둥체(10)의 상부 외주면에 6개의 타원편(22)이 외측이 상향되도록 부착되어 상부 구조체(20A)가 형성되고, 기둥체(10)의 하부 외주면에서 6개의 타원편(22)이 외측이 하향되도록 부착되어 하부 구조체(20B)가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식 구조체는 기둥체(10)를 중심으로 하여 상부 구조체(20A)와 하부 구조체(20B)로 이루어지고, 하부 구조체(20B)는 세워둘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 역할을 하여 장식용 아크릴 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장식용 아크릴 병으로 사용함에 있어서, 기둥체(10)의 하단부를 막아서 꽃병, 화분 등으로 사용하거나, 기둥체(10)의 하단부를 개방 상태로 두어 실내용 국기와 같은 깃발을 꽂아 두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식용 아크릴 병은 기둥체(10) 외경의 3배에 해당하는 전체 폭을 가지게 되기 때문에, 안정감을 갖게 되어 차량 내에서 꽃병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흔들리거나 넘어질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타원편(22)들의 형상과 이들이 이루는 전체적인 형상에 의해 탁월한 장식적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구조체(20A)와 하부 구조체(20B)가 상하 대칭되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장식용 아크릴 병에만 한정하여 상부 구조체(20A)의 형태를 하부 구조체(20B)와 동일한 형태로 즉, 타원편(22)들을 외측이 하향되도록 부착하여 상부 구조체(20A)를 이루게 할 수 있다.
도 2의 (나)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둥체(10)와 타원편(22)의 외경이 동일하면, 상기 기둥체(10)의 외주면에 타원체(22) 6개가 부착되는데, 타원편(22)은 장축끝점의 측면부위가 기둥체(10)의 외주면에 접면시켜 접착한 부위인 접면 접착부(A1)와 함께, 단축끝점의 측면부위를 서로 접면시켜 접착한 부위인 접면 접착부(A2)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다시 말해서 타원편(22)들과 기둥체(10)가 일체적인 상태가 되므로 매우 견고한 장식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서 상부 구조체(22A)를 이루는 6개의 타원편(22) 중에서 3개를 점을 찍어서 구별할 수 있도록 표현한 것과 같이 일부는 투명한 것을 사용하고, 선택적으로 일부는 색상이 있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나은 장식적 미감을 얻을 수 있다.
도 3은 장식용 아크릴 병의 다른 형태를 보인 것으로, 도 2의 상부 구조체(20A)에서 인접하는 타원편(22)과 타원편(22)의 외측으로 또 다른 타원편(32)을 접면 접착한 것에 일부 차이가 있는 상부 구조체(30A)를 형성한 것이다.
도 3의 (나)도면에서 도면부호 (A3)는 '접면 접착부'이며, 인접한 2개의 타원편(22)의 외주면과 다른 타원편(32)의 외주면이 접면 접착된 부위를 표시한 것이며, 실선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상부 구조체(30A)를 이루는 타원편(22)들 중에서 기둥체(1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역삼각 위치에 타원편(32)을 부착할 수 있고, 가상선인 이점쇄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다른 위치에서 인접하고 있는 타원편(22) 사이에도 타원편(32)을 더 부착함으로써, 장식적 미가 배가된 꽃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상부 구조체(30A)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도 3에서 하부 구조체(30B)를 도 2의 하부 구조체(20B)와 동일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받침대로서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 구조체(30A)와 대칭되는 형태로 다른 타원편(32)들을 부착하여 하부 구조체(30B)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장식용 아크릴 병의 또 다른 형태를 보인 것으로, 기둥체(10)의 외경과 타원편의 외경이 다르게 형성된 것인데, 즉 기둥체(10)의 외경에 비해서 작은 외경을 갖는 타원편(44a,44b,44c)을 기둥체(10)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연속적으로 부착하여 상부 구조체(40A)와 하부 구조체(40B)를 형성함으로써 장식용 아크릴 병의 장식미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나)도면에서 일부 타원편(44b)을 검정색으로 찐하게 표현한 것은 색 상을 구별한 것으로, 상부 구조체(40A)와 하부 구조체(40B)를 이루는 타원편 중 일부는 투명한 것을 사용하면서 선택적으로 일부는 색상이 있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나은 장식적 미감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둥체(10)의 외주면에 타원편(44a)이 1차적으로 부착되고, 그 외측으로 타원편(44b)와 타원편(44c)이 순차적으로 부착되어서 상부 구조체(40A)와 하부 구조체(40B)를 이루어서 꽃병 등의 장식적 미를 더할 수 있다.
도 4의 (나)도면에서 도면부호 (D2),(D3),(D4)는 타원편의 외경을 표시한 것으로, 기둥체(10)의 외주면에 1차 부착된 타원편(44a)과 그 외측으로 2차 부착된 타원편(44b), 그 외측으로 3차 부착된 타원편(44c)의 외경이 동일한 것을 사용하거나, 각기 다른 외경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여 보다 다채로운 형상을 이루게 할 수 있다.
도면부호 (A3),(A4)는 '접면 접착부'를 표시한 것으로, 접면 접착부(A3)는 인접한 2개의 타원편(44a)의 외주면과 그 외측에 위치하는 타원편(44b)의 외주면이 접면 접착된 부위이고, 접면 접착부(A4)는 인접한 2개의 타원편(44b)의 외주면과 그 외측에 위치하는 타원편(44c)의 외주면이 접면 접착된 부위이다.
상기에서, 장식 구조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한 바와 같이 아크릴 원통을 절단하는 사선 각도를 조정하여 상부 구조체 및 하부 구조체가 이루는 기울기를 변화시킬 수 있고, 타원편의 타원 형상도 가름한 정도를 변화시켜 각기 다른 장식적 미를 가지고 있는 장식 구조체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 테이블을 보인 도면으로, 도 5는 테이블의 분리사시도, 도 6의 (가)도면은 테이블의 결합사시도이고 (나)도면은 (가)도면의 평면도, 도 7의 (가)도면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고 (나)도면은 도 6의 B-B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실시예는 상기에서 설명한 장식 구조체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한 제조방법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도 2의 실시예와 같은 장식 구조체의 상부에 유리판 또는 투명 아크릴판을 놓아서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한 제조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여 테이블을 제작할 수 있다.
(d)단계는 상기 아크릴 원통(1) 외경의 3배보다 크고 투명한 아크릴 또는 유리 재질로 형성된 상판(52)을 준비하고, (e)단계에서는 상기한 (b)단계에서 아크릴 원통(1) 중에서 또 다른 하나는 일정 길이마다 수평으로 절단하여 다수개의 원통편(51)을 더 포함하여 형성하며, (f)단계는 상기한 (c)단계에서 기둥체(10)의 상부에 부착시킨 타원편(22)들의 위에서 기둥체(10) 외주면에 각각의 원통편(51)을 부착하여 상판(52)을 받칠 수 있도록 상부 구조체(50A)를 형성하고, 이와 마찬가지로 기둥체(10)의 하부에 부착시킨 타원편(22)들의 아래에서 기둥체(10) 외주면에 각각의 원통편(51)을 부착하여 하부 구조체(50B)를 형성한다.
이 과정에서, 원통편(51)은 서로 접면하고 있는 타원편(22) 사이에 위치되도록 접착하여 고정시켜야 한다.
이후, (g)단계는 상판(52)의 중심부를 기둥체(10)의 상단면에 위치되도록 하 여 상부 구조체(50A)의 위에, 다시 말해서 상부 구조체(50A)를 이루는 원통편(51)들의 상단면 위에 올려놓으면 테이블이 완성된다.
여기서, 하부 구조체(50B)에 원통편(51)을 부착하는 이유는 원통편(51)들의 하단면이, 놓여지는 바닥면에 밀착되면서 보다 확실한 안정감을 가지게 됨과 함께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다 나은 견고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넛형의 아크릴판을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아크릴판은 원통편(52)들의 외측면 끝부위가 모두 내접하는 직경을 갖는 원형공이 형성되어 테두리를 가지는 원형판으로서, 각각의 원통편(52) 외측면이 아크릴판에 형성된 원형공의 내측면에 접면 접착시켜 하부 구조체(50B)의 바닥면이 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부 구조체(50A)를 이루는 원통편(51)들과 그 아래에 위치한 타원편(22)들의 외측부가 모두 떨어져 있어서 상판(52)을 올려놓았을 때 지지력이 다소 약할 우려가 있고, 상판(52)이 상부 구조체(50A) 위에 단순히 놓여진 상태이므로 충격에 의해서 흔들리거나 떨어지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판(52)을 원통편(51)들의 상단면에 접착시켜 흔들리지 않게 고정할 수도 있으나, 상부 구조체(50A)의 지지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h)단계로 상기 (f)단계에서 서로 접면하는 원통편(51)의 외측면에 접면되면서 바로 아래에 위치한 타원편(22)의 내측면에 접면되는 외경 및 일정 길이를 갖는 아크릴 원통으로 보조 연결편(53)을 다수개 준비한 후, (i)단계에서는 상기 보조 연결편(53)을 상기 상판(52)의 저면에 각각 부착하는 데, 그 부착 위치는 서로 접면하는 원통편(51)의 외측면과 바로 아래에 위치한 타원편(22)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고정한다.
도 6의 (나)도면과 도 7의 (가) 및 (나)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통편(51)의 외측면과 타원편(22)의 내측면에 보조 연결편(53)이 접면되어 원통편(51)과 타원편(22)이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므로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고, 보조 연결편(53)이 상판(52)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판(52)은 전혀 흔들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제조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단계를 더 포함하여 테이블로 사용하면서 화분받침대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j)단계로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d)단계에서 준비하는 상판(52)의 중심부에 기둥체(10)의 외경보다는 작은 원형공(54)을 형성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 화분 받침대로 사용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로서, 상판(52)의 원형공(54)을 통해 상기 기둥체(10)의 상단부 내부에 화분(60)을 삽입하여 화분 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분(60)은 하단부가 밀폐되고 개방된 상단부 둘레에는 상기 원형공(54)의 상면에서 걸려지도록 걸림턱(61)이 형성된 아크릴 원통을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로서, 테이블에 부설하는 수조를 보인 도면으로, 도 9는 수조를 결합하는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10은 수조를 부 설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수조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상기한 제조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여 테이블에 수조를 부설할 수 있다.
(k)단계로서, 상기한 (f)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하부 구조체(50B)를 대체하는 것으로, 아크릴 재질로 받침대(70)를 형성하는 한편,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수조(80)를 형성한다.
상기 받침대(70)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받침판(71)의 중심부에서 기둥체(10)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수직 원통(72)이 부착되고, 상기 수직 원통(72)의 상단부에는 그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내측 원통(73)이 일단부가 삽입된 후 부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수조(80)는 상기 받침판(71) 위에 놓여지도록 바닥면(81)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수직 원통(72)의 외부로 삽입되도록 내측 원통(82)이 형성되며, 그 외측면(83)은 상기 바닥면(81)의 외측 둘레에서 위로 반구형을 이루면서 상기 내측 원통(82)의 상단부와 떨어져서 개구부(84)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l)단계에서는, 상기 수직 원통(72)의 외부로 상기 내측 원통(82)을 삽입하여 상기 수조(80)를 상기 받침대(70)상에 놓고서, 내측 원통(73)에 기둥체(10)의 하단부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과정을 거쳐서 상부 구조체(50A)의 위에 상판(52)이 올려져서 이루어진 테이블이면서 그 하부에는 수조가 부설되어 있는 장식 구조체를 완성한다.(도 10 참조)
상기한 장식 구조체는 테이블로 사용하면서 상기 수조(80)의 개구부(84)를 통해 물(W)과 함께 인조물고기를 넣어서 수족관을 겸할 수 있는데, 인조물고기는 산소공급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별도의 기포발생기는 필요하지 않으므로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만약, 수조(80)에 살아있는 물고기를 넣는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70)에 형성된 수직 원통(72)의 내부에 기포발생기(85)를 설치하고, 수직 원통(72) 및 내측 원통(82)에는 통공(86)을 각각 형성하여 이 부위를 통해 기포발생기(85)의 주입호스를 수조(80)의 내부공간으로 인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조(80)에 물을 담거나 담겨진 물을 교체할 때에는, 수조(80)를 기둥체(10)에서 분리하는데, 이때에는 기둥체(10)의 하단부가 단순히 내측 원통(7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기둥체(10)를 들어서 분리한 상태에서 수조(80)를 수직 원통(72)에서 빼낸 후, 다시 기둥체(10)를 내측 원통(73)에 삽입하면, 받침대(70)에 의해 테이블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며, 물을 담거나 교체한 수조(80)를 받침대(70)의 상부에 간편하게 재결합할 수 있다.
도 11에 부기한 미설명 부호 (74)는 '덮개'이며 수직 원통(72)의 하단부를 밀폐하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로서, 기둥체(10)를 수조로 사용하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상기 기둥체(10)의 하단부 내부에 기포발생기(85)가 내장된 케이싱(90)을 결합하는데, 상기 케이싱(90)은 기둥체(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그 밀착부위가 실링 재를 이용하여 확실하게 밀폐시켜 기둥체(10)의 내부에 담겨지는 물이 새지 않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받침대(70)는 기둥체(10)의 하단부 외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기포발생기(85)의 주입구는 케이싱(90) 상부를 통해 기둥체(10)의 내부로 인입되어 패킹에 의해 틈새가 밀폐되며, 기둥체(10)의 하부 일측에 구멍이 천공되고 그 부위에 배수마개(88)가 결합된다.
한편, 상판(52)에 형성된 원형공(54)을 통해 물을 담을 수 있는데, 원형공(54)에 걸려지도록 하여 덮개(89)를 덮어두는 것이 좋다.
상기 덮개(89)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난초 등이 심어진 화분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부가 막혀진 아크릴 원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투명한 기둥체(10)의 내부에 물과 함께 인조물고기를 내장하여 기포발생기(85)에서 발생하는 공기방울을 타고 인조물고기가 위 아래로 움직이는 모습이 외부에서 보여지는 시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물을 갈아줄 때에는 기둥체(10)의 하부에 결합된 배수마개(88)를 열어서 물을 빼낼 수 있고, 덮개(89)를 열어서 원형공(54)을 통하여 기둥체(10) 내부에 물을 담아서 항상 깨끗한 물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하지 않았으나, 장식 구조체의 전체적인 크기는 사용하는 아크릴 원통(2)의 외경(D1),(D2)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차량 내에 설치하기 위한 꽃병인 경우에는 그 크기를 작게 형성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기둥체(10)의 내부에 램프를 설치하여 야간에 램프를 작동시켜서 투명한 장식 구조체에서 투시되는 램프 빛에 의한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식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장식 구조체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아크릴 원통을 이용하여 절단 및 부착하는 매우 간단한 제조 과정일 뿐만 아니라 경량의 구조체를 만들 수 있고, 장식용 아크릴 병, 테이블, 테이블 겸용 화분받침대, 테이블 겸용 수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식 구조체를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다.
2) 투명 아크릴 원통을 사용하여 완성된 장식 구조체를 이루는 기둥체 및 타원편들의 전체적인 형상이 투시되면서 청아하고 신비로운 이미지를 느낄 수 있으므로 탁월한 장식적 외관을 제공함과 함께, 타원편 중에서 일부는 투명한 것을 사용하고, 선택적으로 일부는 색상이 있는 것을 사용하여 보다 나은 장식적 미감을 얻을 수 있다.
3) 아크릴 원통을 임의의 사선 각도에 따라 절단하여 타원편을 제작하여 그 절단면이 이루는 타원 형상의 가름한 정도를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형태는 동일하면서도 타원편의 타원 형상이 각기 다른 장식 구조체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타원 형상을 가지는 장식 구조체를 선택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4) 상부 구조체 및 하부 구조체가 기둥체 외경의 3배에 해당하는 전체 폭을 가지기 때문에, 매우 안정감을 갖게 되어 차량 내에서 꽃병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흔들리거나 넘어질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테이블로 사용함에 있어서도 안점감이 있다.
5) 기둥체에 부착된 타원편들이 서로 접면 접착되어 기둥체와 일체적으로 되므로 매우 견고한 장식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6) 테이블로 사용하는 장식 구조체의 경우, 원통편의 외측면과 타원편의 내측면에 보조 연결편이 접면되어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므로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고, 보조 연결편이 상판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판이 흔들릴 우려가 없으므로 사용상 불편이 없는 테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7) 테이블로 사용하면서 상판의 중심부에 화분을 올려놓는 화분받침대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테이블 겸용 화분받침대를 매장이나 가게에 설치하는 경우, 고객들의 시선을 유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8) 테이블의 하부에 수조를 부설하여 수족관을 겸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수족관 설치공간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공간 활용 측면에서 효과가 있다.
9) 기둥체를 수족관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잇점도 있다.
10) 장식 구조체의 외관이 미려하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다양함을 추구하는 현대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Claims (13)

  1. 삭제
  2. 일정 외경(D1)(D2)을 갖는 투명한 아크릴 원통(1)을 원하는 길이(L)에서 수평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기둥체(10);
    다른 아크릴 원통(1)을 일정 길이(L1)마다 사선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타원편(22);
    상기 기둥체(10)의 상부 외주면에서, 상기 각각의 타원편(22)을 외측이 상향되도록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상부 구조체(20A);
    상기 기둥체(10)의 하부 외주면에서, 상기 각각의 타원편(22)을 외측이 하향되도록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하부 구조체(2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타원편(22)들은 장축끝점(P1)(P2)의 측면부위가 상기 기둥체(10)의 외주면에 접면 접착(A1)되고, 측면부위를 서로 접면 접착(A2)시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체(10) 외경의 3배보다 크고 투명한 아크릴 또는 유리 재질로 형성된 상판(52)을 포함하고, 또 다른 아크릴 원통(1)을 일정 길이마다 수평으로 절단하여 다수개의 원통편(51)을 더 포함하되,
    상기 기둥체(10)의 상부에 부착된 타원편(22)들의 위에서 기둥체(10) 외주면에 상기 각각의 원통편(51)이 부착되어 상부 구조체(50A)가 이루어지고,
    상기 기둥체(10)의 하부에 부착된 타원편(22)들의 아래에서 기둥체(10) 외주면에 상기 각각의 원통편(51)이 부착되어 하부 구조체(50B)가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편(51)은 서로 접면하고 있는 타원편(22)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상판(52)의 중심부를 상기 기둥체(10)의 상단면에 위치시켜 상기 상부 구조체(50A)의 위에 올려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구조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체(50B)를 대체하는 것으로, 아크릴 재질로 된 받침대(70)와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된 수조(80)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70)는 받침판(71)의 중심부에서 상기 기둥체(10)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수직 원통(72)이 부착되고, 상기 수직 원통(72)의 상단부에는 그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내측 원통(73)이 일단부가 삽입된 후 부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수조(80)는 상기 받침판(71) 위에 놓여지도록 바닥면(81)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수직 원통(72)의 외부로 삽입되도록 내측 원통(82)이 형성되며, 그 외측면(83)은 상기 바닥면(81)의 외측 둘레에서 위로 반구형을 이루면서 상기 내측 원통(82)의 상단부와 떨어져서 개구부(84)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 원통(72)의 외부로 상기 내측 원통(82)을 삽입하여 상기 수조(80)를 상기 받침대(70)상에 놓고서 상기 내측 원통(73)에 상기 기둥체(10)의 하단부를 삽입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구조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접면하는 원통편(51)의 외측면에 접면되면서 바로 아래에 위치한 타원편(22)의 내측면에 접면되는 외경 및 일정 길이를 갖는 아크릴 원통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보조 연결편(53)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 연결편(53)은 상기 상판(52)의 저면에 각각 부착되며, 그 부착 위치는 서로 접면하는 상기 원통편(51)의 외측면과 바로 아래에 위치한 타원편(22)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구조체.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52)의 중심부에 상기 기둥체(10)의 외경(D1)보다는 작은 원형공(54)을 형성하고, 상기 상판(52)의 원형공(54)을 통해 상기 기둥체(10)의 상단부 내부에 화분(60)을 삽입하되,
    상기 화분(60)은 하단부가 밀폐되고 개방된 상단부 둘레에는 상기 원형공(54)의 상면에서 걸려지도록 걸림턱(61)이 형성된 아크릴 원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구조체.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80)의 개구부(84)를 통해 물(W)과 함께 물고기 또는 인조물고기를 넣어서 수족관을 겸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수조(80)에 살아있는 물고기를 넣는 경우, 상기 받침대(70)에 형성된 수직 원통(72) 내부에 기포발생기(85)를 설치하며, 상기 수직 원통(72) 및 상기 내측 원통(82)에 통공(86)을 형성하여 이 부위를 통해 상기 기포발생기(85)의 주입호스를 상기 수조(80)의 내부로 인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구조체.
  8. 삭제
  9. (a) 일정 외경(D1)(D2)을 갖는 아크릴 원통(1)을 다수개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아크릴 원통(1) 중에서 하나는 원하는 길이(L)에서 수평으로 절단하여 기둥체(10)를 형성하는 한편, 다른 하나는 일정 길이(L1)마다 사선으로 절단하여 다수개의 타원편(22)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기둥체(10)의 상부 외주면에서 상기 각각의 타원편(22)을 외측이 상향되도록 부착하여 상부 구조체(20A)를 형성하고, 상기 기둥체(10)의 하부 외주면에서 상기 각각의 타원편(22)을 외측이 하향되도록 부착하여 하부 구조체(20B)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c)단계에서, 타원편(22)들은 장축끝점(P1)(P2)의 측면부위를 상기 기둥체(10)의 외주면에 접면 접착(A1)함과 함께, 측면부위를 서로 접면 접착(A2)시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구조체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d) 상기 아크릴 원통(1) 외경의 3배보다 크고 투명한 아크릴 또는 유리 재질로 형성된 상판(52)을 준비하는 단계;
    (e)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아크릴 원통(1) 중에서 또 다른 하나는 일정 길이마다 수평으로 절단하여 다수개의 원통편(51)을 더 포함하여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c)단계에서 상기 기둥체(10)의 상부에 부착시킨 타원편(22)들의 위에서 기둥체(10) 외주면에 상기 각각의 원통편(51)을 부착하여 상부 구조체(50A)를 형성하고, 상기 기둥체(10)의 하부에 부착시킨 타원편(22)들의 아래에서 기둥체(10) 외주면에 상기 각각의 원통편(51)을 부착하여 하부 구조체(50B)를 형성하되, 상기 원통편(51)은 서로 접면하고 있는 타원편(22) 사이에 위치되도록 접착하여 고정하는 단계;
    (g) 상기 상판(52)의 중심부를 상기 기둥체(10)의 상단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 구조체(50A)의 위에 올려놓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식 구조체의 제조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h) 상기 (f)단계에서 서로 접면하는 상기 원통편(51)의 외측면에 접면되면서 바로 아래에 위치한 타원편(22)의 내측면에 접면되는 외경 및 일정 길이를 갖는 아크릴 원통으로 형성된 보조 연결편(53)을 다수개 준비하는 단계;
    (i) 상기 보조 연결편(53)을 상기 상판(52)의 저면에 각각 부착하되, 그 부착 위치는 서로 접면하는 상기 원통편(51)의 외측면과 바로 아래에 위치한 타원편(22)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고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식 구조체의 제조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j) 상기 (d)단계에서 준비하는 상기 상판(52)의 중심부에 상기 기둥체(10)의 외경(D1)보다는 작은 원형공(54)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식 구조체의 제조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k) 상기 (f)단계에서 상기 하부 구조체(50B)를 대체하는 것으로, 아크릴 재질로 받침대(70)를 형성하는 한편,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수조(8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70)는 받침판(71)의 중심부에서 상기 기둥체(10)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수직 원통(72)이 부착되고, 상기 수직 원통(72)의 상단부에는 그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내측 원통(73)이 일단부가 삽입된 후 부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수조(80)는 상기 받침판(71) 위에 놓여지도록 바닥면(81)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수직 원통(72)의 외부로 삽입되도록 내측 원통(82)이 형성되며, 그 외측면(83)은 상기 바닥면(81)의 외측 둘레에서 위로 반구형을 이루면서 상기 내측 원통(82)의 상단부와 떨어져서 개구부(84)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l) 상기 수직 원통(72)의 외부로 상기 내측 원통(82)을 삽입하여 상기 수조(80)를 상기 받침대(70)상에 놓고서 상기 내측 원통(73)에 상기 기둥체(10)의 하단부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식 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20070076099A 2006-12-27 2007-07-28 장식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장식 구조체 KR100821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585 2006-12-27
KR20060032585 2006-1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1617B1 true KR100821617B1 (ko) 2008-04-14

Family

ID=39534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099A KR100821617B1 (ko) 2006-12-27 2007-07-28 장식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장식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16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384B1 (ko) * 2002-11-28 2004-11-26 변복구 자동급수가 가능한 연속식 입체형 꽃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384B1 (ko) * 2002-11-28 2004-11-26 변복구 자동급수가 가능한 연속식 입체형 꽃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9609B1 (en) Floral arrangement assembly
US7406798B2 (en) Floral arranging vase cover
US20120047800A1 (en) Vase
US20170057696A1 (en) Floating grid arrangement to support and position decorative elements
CN206826285U (zh) 植物雕塑结构
KR100821617B1 (ko) 장식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 장식 구조체
KR100879055B1 (ko) 장식용 이중 화분
Bosanquet et al. The Unpublished Objects from the Palaikastro Excavations, 1902-1906
CN209898940U (zh) 一种陶瓷组合式花插
CN113119644A (zh) 系列花篮
US20140154430A1 (en) Cross Shaped Christmas Decoration
JP3125736U (ja) 観賞用植物セット
CN213056562U (zh) 一种山水盆景
KR200453074Y1 (ko) 회전 가능한 병 구조
CN209826079U (zh) 一种陶瓷花插
JP2015077200A (ja) 葬祭用祭壇
JP3117914U (ja) フラワーアレンジメント装置
KR200194752Y1 (ko) 도자기로 된 화분이 부설된 저금통
CN201025795Y (zh) 组合式花器
EP4368069A1 (en) Series of flower baskets
CN202232303U (zh) 一种绿色环保装饰组件
JP2003210296A (ja) 花 瓶
AU2004249078B2 (en) Flower supporting device
JP2021114915A (ja) 鉢植え
KR200203411Y1 (ko) 장식용 계란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