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3693B1 - 유압밸브드라이브 - Google Patents

유압밸브드라이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3693B1
KR100403693B1 KR1019960038663A KR19960038663A KR100403693B1 KR 100403693 B1 KR100403693 B1 KR 100403693B1 KR 1019960038663 A KR1019960038663 A KR 1019960038663A KR 19960038663 A KR19960038663 A KR 19960038663A KR 100403693 B1 KR100403693 B1 KR 100403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piston
valve
driv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8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1645A (ko
Inventor
롤란트 알더
파트릭 게니에르
투르한 일디림
Original Assignee
베르트질레 슈바이츠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르트질레 슈바이츠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베르트질레 슈바이츠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970021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1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6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6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valves operated simultaneously by same transmitting-gear; peculiar to machines or engines with more than two lift-valves per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9/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ctuated non-mechanically
    • F01L9/1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ctuated non-mechanically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01L2013/0089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with means for delaying valve clo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00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 F02B3/06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with compression 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7/00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 F02F2007/0097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for large diesel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유압드라이브(1)는 엔진실린더의 2개 또는 그 이상의 밸브(11,11')용, 특히 대형 디젤엔진의 흡입밸브(11,11') 또는 토출밸브에 적합하다. 유압동기(同期)피스톤(12,121 )은, 구동될 각 밸브를 위한 드라이브체임버(1210,1220)를 가지고, 밸브피스톤(13,13')이 동기하여 그리고 동일한 스트로크로 운동하도록 구동될 각 밸브(11,11')용 하나의 밸브피스톤(13,13')을 구동한다. 감쇠장치(124)는 동기피스톤(12)의 그 초기위치에의 귀환운동을 감쇠시킨다. 밸브(11,11')의 샤프트(112,112')의 돌출부(H,H')의 차이는 유압장치(1)에 의하여 보상된다.

Description

유압밸브드라이브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유압밸브드라이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밸브드라이브는 레버, 예를 들면 엔진의 흡입 및/또는 토출밸브용 푸시로드의 시스템을 갖춘 기계식 드라이브를 대체한다. 기계식 드라이브는 드라이브의 기계식 부품이 마모되기 쉬워, 비교적 자주 재조정해야 한다. 또한, 유압드라이브는 비교적 간단한 수단에 의하여 제어시간의 변화를 허용한다. 이러한 조정은 1개 이상의 흡입 및/또는 토출밸브를 가지는 엔진에는, 특히 중요하고 미묘하다.
예를 들면 실린더의 2개의 흡입 및/또는 토출밸브를 동기(同期)하여 열리고 닫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압밸브드라이브에 있어서, 이른바 밸브피스톤은 일반적으로 밸브의 샤프트를 때리고, 이것은 스프링힘에 의하여 밸브피스톤에 대하여 압착된다.
특히 대형 디젤엔진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가 실린더커버에 밸브시트의 제조중에, 특히 밸브 및 밸브시트를 연삭하는 중에 생길 수 있고, 이것은 밸브샤프트의 돌출부의 차이에 이를 수 있다. 이들 차이는 플러스/마이너스 밀리미터의 범위내, 일반적으로 이들 차이는 대략 항상 -1/+3mm의 범위내에 있다. 이들 편차는 댐퍼의 액침깊이 크기의 순으로 위치하고, 이것은 밸브를 닫을 때 편차 및 차이가 크게 될 수 있다. 제조상의 정밀도를 증대시키고, 제조상의 공차(公差)를 감소시키는 것은 확실한 개량이 될 수 있으나, 이에 따른 코스트로 인하여 정당화될 수는 없다. 그래도, 밸브의 폐쇄시에는 어떤 번잡한 차이가 예측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어진 조건하에서 흡입 또는 토출밸브의 신뢰할 수 있고 동기적인 개폐를 보장하는 유압밸브드라이브를 창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엔진실린더의 2개 또는 그 이상의 밸브용, 특히 대형 디젤엔진의 흡입밸브용 유압드라이브에 있어서, 유압동기피스톤은 밸브피스톤이 동기하여 운동하도록 각 밸브의 구동을 위하여유압으로 구동되는 드라이브체임버 및 밸브피스톤과, 동기피스톤 및 밸브의 초기위치에의 귀환을 감쇠하기 위한 감쇠장치와, 유압드라이브에 의하여 구동되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밸브의 샤프트의 돌출부에 있어서의 차이를 보상하는 유압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드라이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제1 특징의 유압드라이브는 동기피스톤의 귀환운동을 감쇠하기 위한 감쇠장치가 유압드라이브 유체를 귀환시키기 위한 플로 횡단면을 감소시키는 감쇠장치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제2 특징의 감쇠장치가 동기피스톤의 드라이브측 및 피스톤실린더의 벽의 형태에 의하여 생성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제1 내지 제3 특징에 있어서, 돌출부를 보상하기 위한 유압장치가 유압유체용 공급장치를 가진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은, 제1 내지 제4 특징에 있어서, 유압드라이브의 동기피스톤의 전방 및 귀환운동용 구동피스톤을 가지고, 구동피스톤의 초기위치에의 귀환운동과 구동피스톤의 실린더내의 실린더 스페이스에의 유압유체의 귀환흐름을 비교하여, 동기피스톤의 초기위치에의 귀환운동을 지연시키기 위한 유압스위칭장치가 구비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은, 제1 내지 제5 특징에 따른 유압드라이브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피스톤펌프에 대한 것으로서, 이 유압피스톤펌프는 유압유체를 피스톤펌프로부터 드라이브 및 백(back)으로 이송하기 위한 유압라인시스템과, 유체가 펌프실린더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일방밸브를 갖춘메인라인과, 메인라인의 일방밸브를 바이패스하는 전환밸브를 갖춘 바이패스라인과, 메인라인의 일방밸브를 또한 바이패스하고, 유압피스톤펌프의 실린더벽을 통하여 피스톤펌프의 실린더스페이스내로 토출하는 2차 공급 및 귀환라인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7 특징은, 제1 내지 제5 특징에 따른 유압드라이브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피스톤펌프에 대한 것으로서, 이 유압피스톤펌프는 유압유체를 피스톤펌프로부터 드라이브 및 백으로 이송하기 위한 유압라인시스템과, 개방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유체가 차단되지 않은 상태에서 펌프실린더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일방밸브를 갖춘 메인라인과, 메인라인의 일방밸브를 바이패스하고, 유압피스톤펌프의 실린더벽을 통하여 피스톤펌프의 실린더스페이스 내로 토출하는 2차 공급 및 귀환라인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8 특징은, 제6 혹은 제7 특징에 따른 유압피스톤펌프는 유압유체의 탱크로부터의 입출을 위한 공급장치와, 유압유체의 탱크에의 귀환을 방지하는 일방밸브를 갖춘 공급라인과, 공급라인의 일방밸브를 바이패스하고, 하방의 반전포인트 부근에서 피스톤펌프의 실린더내로 토출하는 공급 및 귀환라인을 구비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9 특징은, 제8 특징의 유압피스톤펌프는 상방의 반전포인트 부근에서 실린더스페이스로 토출하는 공급라인과, 하방의 반전포인트 부근에서 실린더스페이스로 토출하는 공급 및 귀환라인과, 이들 사이에 위치한 높이에서 실린더내로 토출하는 유압드라이브의 2차 공급 및 귀환라인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0 특징은, 제1 내지 제9 특징에 따른 실린더흡입밸브 또는 토출밸브용 유압드라이브를 갖는 대형 디젤엔진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2개의 밸브를 구동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드라이브의 개략단면도.
도 2는 4스트로크엔진용 크랭크샤프트 앵글의 기능으로서 밸브의 위치를 나타낸 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드라이브를 작동하기 위한 유압라인시스템을 갖춘 유압피스톤펌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각각 크랭크샤프트 앵글 및 캠 앵글의 기능으로서 밸브의 위치(상측 곡선) 및 피스톤펌프의 피스톤의 위치(하측 곡선), 및 드라이브펌프의 동작에 대하여 밸브의 폐쇄프로세스지연의 가능성을 나타낸 다이어그램.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유압밸브드라이브는 독립 청구항 1의 특징부를 특징으로 한다. 종속 청구항은 본 발명의 유리한 다른 전개에 관한 것이다. 밸브드라이브는 청구항 6 또는 7의 유압라인시스템을 갖춘 유압피스톤펌프에 의하여 유리하게 구동될 수 있다. 청구항 8 및 9는 라인시스템을 갖춘 피스톤펌프의 유리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드라이브에 의하면, 2개 또는 그 이상의 밸브가 동기 하여 구동될 수 있다. 개개의 밸브의 마찰저항에 있어서의 차이가 동기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개개의 밸브에 대한 드라이브는 서로 독립적이다. 밸브샤프트의 돌출부의 차이는 보상되고, 운전중 밸브샤프트의 돌출부의 변화는 연속적으로 보상된다. 감쇠장치는 유압드라이브의 동기피스톤 및 밸브가 또한 감쇠방식으로 밸브시트와 접하는 것을 보장한다. 감쇠되지 않은 충격의 높은 간헐적인 응력은 피하게 된다. 이것은 밸브시트 및 밸브의 수명을 증대시킨다. 또한, 이른바 피팅 (pitting), 즉 밸브의 실링면내에 피트의 형성이 감쇠된 충격에 의하여 방지된다. 그러나, 유압드라이브는 또한 밸브의 폐쇄프로세스를 소정의 제한내에 일시적으로 지연되도록 허용한다.
청구항 6∼9에 따른 유압피스톤펌프가 아닌 다른 유압소스가 유압밸브드라이브에 또한 적합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면, " 코먼레일시스템"이라고 칭하는 공지의 유압고압시스템이 또한 적합하고, 여기서 고압유체는 유압드라이브에 대하여 전자적(電磁的)으로 제어되는 밸브에 의하여 고압유체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고, 유압드라이브로부터 귀환되는 유압유체는 고압유체시스템의 탱크로 귀환된다. " 코먼레일" 시스템을 사용할 때, 실린더커버상에 충격을 감쇠하기 위하여, 정면측에, 즉 동기피스톤의 스텝측에 감쇠장치를 배설하는 것이 유리하다. " 코먼레일" 시스템에 대한 다른 구성의 형태로서, 감쇠장치가 밸브피스톤을 위하여 밸브의 개방방향으로 배설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디젤엔진의 2개의 흡입밸브(11, 11')의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드라이브를 나타낸다. 밸브시트(111, 111')는 실린더커버(10)(일부만 나타냄)에 걸게 된다. 2개의 샤프트(112,112')는 각각의 밸브스프링(115, 115')이 걸린 각각의 콜러(113,113')를 가진다. 밸브스프링(115,115')의 다른 단부는 실린더커버(10)에 걸린다.
밸브(11,11')용 유압드라이브는 또한 여기에 스텝형 피스톤으로의 형상의 동기피스톤(12)을 가진다. 각각의 스텝(121, 122)은 체임버(1210, 1220)내에서 각각 운동한다. 동기피스톤(12)은 체임버(1210, 1220)에서 각각 변위량의 변화가 동일하게 생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유압유체가 실린더스페이스(120)로부터 라인(1200)을 통하여 유압피스톤펌프(31)로 역류할 수 있게 되면, 동기피스톤(121)은 밸브스프링(115,115')에 의하여 밸브피스톤(13,13') 및 이들의 유압연결라인을 통하여 초기위치로 향한 방향으로 밀려나게 된다. 유체로스(갭)로 인하여 더 이상이 초기위치에 도달될 수 없으나, 체임버(1210)에 위치한 스프링(1211)이 계속 동기피스톤(12)을 밀어서 그 초기위치로 완전히 귀환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다.
동기피스톤(12)이 실린더베이스(123)를 너무 심하게 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기피스톤(12)의 실린더의 단부 및 동기피스톤(12)의 단부는 이들이 함께 댐퍼(124)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댐퍼(124)는 유압오일의 라인(1200)내로의 귀환흐름을 방지하여, 단위시간당 복귀되는 양을 감소시킨다. 실린더 베이스(123)에의 동기피스톤(12)의 충격감쇠는 밸브시트(111, 111')에의 밸브(11, 11' )의 충격을 감쇠하는 결과로 된다.
2개의 밸브피스톤(13,13')이 동일한 크기이고, 대응하는 동기피스톤(12)의 액티브면적(125,125 )이 동일한 크기이면, 2개의 밸브피스톤(13,13')은 주어진 경로를 이동할 때 동일한 거리를 주행한다. 따라서, 밸브샤프트(112, 112')는 동기하여 운동한다. 본 명세서에서 " 동기" 라는 의미는 동시에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동기피스톤의 액티브면적(125,125')이 동일한 크기가 아닌 다른 형상의 동기피스톤 및 밸브피스톤이 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필수적인 것은 각각의 밸브피스톤(13,13') 및 밸브(11,11')가 동일한 스트로크를 가지는 방식으로, 동기피스톤(12)의 하나의 체임버(1210 또는 1220)의 변위량이 각 밸브피스톤(13,13')의 각 실린더(130,130')의 그것과 매치하는 것이다.
누출로 인한 가능한 로스를 보상하기 위하여, 2개의 공급라인(114,114')을 통하여 유압유체가 유압회로에 공급된다. 유압오일의 귀환흐름은일방밸브(1141,1141')에 의하여 방지된다. 그러나, 시스템내에 유압오일이 공급되는 것은 또한 밸브샤프트(112,112')의 돌출부(밸브샤프트 단부에서 실린더커버까지의 거리) (H,H')에서의 임의의 가능한 차이와는 관계없이 밸브샤프트( 112,112')의 단부와 밸브피스톤이 항상 접하고 있는 결과이다.
누출로 인한 오일로스를 보상하는 다른 가능성은, 예를 들면 압력체임버(120)를 체임버(1210,1220)에 연결하는 동기피스톤(12)내의 보어를 통하여 로스량을 도입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체임버사이의 영향을 충분히 작게 유지하기 위하여, 쵸크개구가 그 사이의 채널에 배치된다. 다른 구성에서는 누출로스를 보상하기 위하여 유압오일을 공급하는 보어는 하우징을 통과하여, 각각의 체임버에 이르게 할 수 있다.
도 2는 크랭크샤프트 앵글의 기능으로서, 4 스트로크의 디젤엔진에서 밸브의 개폐 플롯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밸브는 대략 180° 및 250° 사이에 위치한 크랭크샤프트 앵글에 대하여 개방된다. 밸브의 폐쇄 후, 밸브(11,11')는 그것이 다시 열릴 때까지 정지위치, 또는 폐쇄위치 R에 남는다. 따라서, 폐쇄기간은 크랭크샤프트 앵글의 470° 와 540° 의 사이에 위치한다. 밸브(11,11')가 정지위치 R에 있으면 이 시스템에서 유압오일의 보충은 공급라인을 거쳐 발생한다.
도 3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라인시스템(3)을 갖춘 유압피스톤펌프는, 예를 들면 도 1의 유압드라이브의 동기피스톤을 구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유압오일을 이송하기 위한 피스톤펌프(31)의 구성이 필수적이다. 이 피스톤펌프로부터 일방밸브(321)를 갖춘 메인라인(32)이,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라이브로 연결된다.
바이패스라인(33)은 일방밸브(321)를 바이패스하여 피스톤펌프(31)의 실린더스페이스(310)내로 토출한다. 바이패스라인(34)도 또한 일방밸브(321)를 바이패스하지만, 양단부에서 메인라인(32)내로 토출한다. 예를 들면, 압축공기라인(342)에 의하여 스위치되는 전환밸브(341)가 바이패스(34)에 설치된다.
전환밸브(341)는 또한 유압적으로, 전자적으로 또는 다른 방법으로 스위치가능한 밸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라인내의 일방밸브(321)가 개방위치에서 차단될 수 있으면, 바이패스라인(34)은 배제할 수도 있다.
공급라인(35)은 누출로스로 인하여 유압시스템에서 잃은 유압유체를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이것은 일방밸브(351)를 포함한다. 남는 유압오일은 바이패스(352)를 통하여 공급라인에 귀환될 수 있다. 피스톤펌프(31)의 피스톤은, 예를 들면 캠(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구동된다.
다음에, 라인시스템(3)을 갖춘 유압피스톤펌프의 기능 및 운전모드를 설명한다.
제어라인(342)내의 제어압력이 스위치온되는 것을 가정한다. 펌프피스톤(311)의 배출스트로크시에는 다음과 같다. 피스톤(311)에 의하여 (3512)의 폐쇄후 유압유체는 밸브구동을 위하여 라인(33,32,34)을 거쳐 유압드라이브로 이송된다. 다음에 바이패스(33)의 보어(332)가 폐쇄되고, 유압유체의 흐름은 (32) 및 (34)를 거쳐 계속된다.
펌프피스톤(311)의 하향스트로크시에는 다음과 같다. 메인라인(32)은 일방밸브에 의하여 폐쇄된다. 바이패스(33)는 여전히 피스톤(311)에 의하여 보어(332)에서 폐쇄된다. 그러나, 바이패스(34)는 개방되고, 피스톤(311)의 폐쇄운동에 뒤따라서 구동동기피스톤이 폐쇄운동한다. 도 4의 상부에 실선의 곡선(41)으로 이 운동을 나타낸다.
제어라인(342)내의 제어압력이 스위치오프되는 것을 가정하고, 이것은 바이패스(34)가 폐쇄되는 것을 의미한다. 펌프피스톤(311)의 배출스트로크시에는 다음과 같다. 피스톤(311)에 의하여 (3512)의 폐쇄 후 유압유체는 밸브구동을 위하여 라인(33,32)을 거쳐 유압드라이브로 이송된다. 다음에 바이패스(33)의 보어(332)가 폐쇄되고, 유압오일의 흐름은 (32)를 거쳐 계속된다.
펌프피스톤(311)의 하향스트로크시에는 다음과 같다. 메인라인(32)은 일방밸브에 의하여 폐쇄된다. 바이패스(33)는 피스톤(311)에 의하여 보어(332)에서 폐쇄된다. 바이패스(34)도 또한 폐쇄된다. 구동된 유압동기피스톤(121)은 바이패스(33)의 보어(332)가 피스톤(311)에 의하여 폐쇄되는 한 피스톤(311)에 따르지 않는다. 따라서, 피스톤(311)은 처음에는 운동하는 동기피스톤(12)에 의하여 개방된 밸브(도 1)의 움직임 없이 아래쪽으로 움직인다. 도 4의 상부에 파선의 곡선으로 폐쇄곡선의 과정을 나타낸다.
시스템량의 증가는 공급라인(35)을 통한 유압유체의 공급에 의하여 균일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공급라인에는 수 바, 즉 3∼10바의 저압이면 충분하다. 피스톤(311)이 보어(332)를 개방하기 시작하면, 바이패스(33)를 통하여 역류가 개시된다. 밸브폐쇄운동이 이제 개시되고, 피스톤(311)의 하향이동에 의하여 제어된다. 피스톤(311)의 하방의 반전포인트의 부근에서 보어(3512)가 개구된다. 폐쇄운동은 이제 "제어 없이" 계속된다. 밸브의 강한 충격을 피하기 위하여, 동기피스톤상의 댐퍼(124)가 이제 동작에 들어간다(도 1).
밸브의 폐쇄운동을 도 4에 파선(42)으로서 나타낸다. 도 4의 하측 다이어그램의 곡선(40)은 도 3에 따른 구성의 피스톤(311)의 스트로크과정을 나타낸다. 하측 곡선(40)상의 포인트(44)는, 크랭크샤프트 앵글의 기능으로서 피스톤(311)의 운동과정을 나타내고, 귀환운동에 있어서, 피스톤(311)이 보어(332)를 개방하는 피스톤(311)의 위치에 상응하여 유압오일이 역류할 수 있다. 피스톤이 이 포인트(44)에 도달하기 전에 밸브(11,11')의 폐쇄프로세스를 개시하면, 이것은 밸브(341)의 개방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유압드라이브(1)는 엔진실린더의 2개 또는 그 이상의 밸브( 11,11')용, 특히 대형 디젤엔진의 흡입밸브(11,11') 또는 토출밸브에 적합하다. 유압동기피스톤(12,121 )은, 구동될 각 밸브를 위한 드라이브체임버(1210,1220)를 가지고, 밸브피스톤(13,13' )이 동기하여 그리고 동일한 스트로크로 운동하도록 구동될 각 밸브(11,11' )용 하나의 밸브피스톤(13,13' )을 구동한다. 감쇠장치(124)는 동기피스톤(12)의 그 초기위치에의 귀환운동을 감쇠시킨다. 밸브(11,11' )의 샤프트(112,112' )의 돌출부(H,H')의 차이는 유압장치(1)에 의하여 보상된다.

Claims (10)

  1. 엔진실린더의 2개 또는 그 이상의 밸브(11,11' )용, 특히 대형 디젤엔진의 흡입밸브용 유압드라이브(1)에 있어서, 유압동기피스톤(12,121)은, 밸브피스톤(13,13' )이 동기하여 운동하도록 각 밸브( 11,11')의 구동을 위하여 유압으로 구동되는 드라이브체임버(1210,1220) 및 밸브피스톤(13,13')과, 동기피스톤(12) 및 밸브(11,11' )의 초기위치에의 귀환을 감쇠하기 위한 감쇠장치(124)와, 유압드라이브(1)에 의하여 구동되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밸브(11, 11' )의 샤프트( 112, 112' )의 돌출부(H,H' )에 있어서의 차이를 보상하는 유압장치(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드라이브(1).
  2. 청구항 1에 있어서, 동기피스톤(12)의 귀환운동을 감쇠하기 위한 감쇠장치가 유압드라이브 유체를 귀환시키기 위한 플로 횡단면을 감소시키는 감쇠장치(12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드라이브(1).
  3. 청구항 2에 있어서, 플로 횡단면을 감소시키는 감쇠장치(124)가 동기피스톤(121)의 드라이브측 및 피스톤실린더의 벽의 형태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드라이브(1).
  4. 청구항 1∼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돌출부(H,H' )를 보상하기 위한 유압장치가 유압유체용 공급장치(114,11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드라이브(1).
  5. 청구항 1∼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압드라이브의 동기피스톤의 전방 및 귀환운동용 구동피스톤을 가지고, 구동피스톤(311)의 초기위치에의 귀환운동 과 구동피스톤(311)의 실린더내의 실린더스페이스(310)에의 유압유체의 귀환흐름을 비교하여, 동기피스톤(12)의 초기위치에의 귀환운동을 지연시키기 위한 유압스위칭장치(3)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드라이브(1).
  6. 청구항 1∼3중 어느 한 항에 의한유압드라이브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피스톤펌프(31)로서,
    유압유체를 피스톤펌프(31)로부터 드라이브 및 백(back)으로 이송하기 위한 유압라인시스템(32,33,34,35,352)과,
    유체가 펌프실린더(31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일방밸브(321)를 갖춘메인라인(32)과,
    메인라인(32)의 일방밸브(321)를 바이패스하는 전환밸브(341)를 갖춘 바이패스라인(34)과,
    메인라인(32)의 일방밸브(321)를 또한 바이패스하고, 유압피스톤펌프(31)의 실린더벽(332)을 통하여 피스톤펌프(31)의 실린더스페이스(310)내로 토출하는 2차 공급 및 귀환라인(3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피스톤펌프(31).
  7. 청구항 1∼3중 어느 한 항에 의한유압드라이브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피스톤펌프(31)로서,
    유압유체를 피스톤펌프(31)로부터 드라이브 및 백으로 이송하기 위한 유압라인시스템(32,33,35,352)과,
    개방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유체가 차단되지 않은 상태에서 펌프실린더(31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일방밸브(321)를 갖춘 메인라인(32)과,
    메인라인(32)의 일방밸브(321)를 바이패스하고, 유압피스톤펌프(31)의 실린더벽(332)을 통하여 피스톤펌프(31)의 실린더스페이스(310)내로 토출하는 2차 공급 및 귀환라인(3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피스톤펌프(31).
  8. 청구항 6에 있어서, 유압유체의 탱크로부터의 입출을 위한 공급장치(35,352)와,
    유압유체의 탱크에의 귀환을 방지하는 일방밸브(351)를 갖춘 공급라인(35)과,
    공급라인(35)의 일방밸브(351)를 바이패스하고, 하방의 반전포인트 부근에서 피스톤펌프(311)의 실린더(310,3512)내로 토출하는 공급 및 귀환라인(35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피스톤펌프(31).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방의 반전포인트 부근에서 실린더스페이스(310)로 토출하는 공급라인(35)과,
    하방의 반전포인트 부근에서 실린더스페이스(310)로 토출하는 공급 및 귀환라인(352,3512)과,
    이들 사이에 위치한 높이(332)에서 실린더(310)내로 토출하는 유압드라이브의 2차 공급 및 귀환라인(3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피스톤펌프(311).
  10. 청구항 1∼3중 어느 한 항의실린더흡입밸브(11,11') 또는 토출밸브용 유압드라이브(1)를 가진 대형 디젤엔진.
KR1019960038663A 1995-10-03 1996-09-06 유압밸브드라이브 KR100403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5810620A EP0767295B1 (de) 1995-10-03 1995-10-03 Hydraulischer Ventilantrieb
EP95810620.5 1995-10-03
JP7-258840 1995-10-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645A KR970021645A (ko) 1997-05-28
KR100403693B1 true KR100403693B1 (ko) 2004-01-28

Family

ID=8221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8663A KR100403693B1 (ko) 1995-10-03 1996-09-06 유압밸브드라이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767295B1 (ko)
JP (1) JP3986585B2 (ko)
KR (1) KR100403693B1 (ko)
CN (1) CN1088145C (ko)
DE (1) DE59507966D1 (ko)
DK (1) DK0767295T3 (ko)
FI (1) FI107751B (ko)
NO (1) NO3111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8857A1 (fr) * 1997-01-27 1998-07-31 Aisin Seiki Dispositif de commande de soupape pour 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EP1114918B1 (de) * 2000-01-06 2004-08-11 Wärtsilä Schweiz AG Gaswechselsystem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olchen
DK176119B1 (da) * 2000-02-16 2006-09-04 Man B & W Diesel As System til hydraulisk aktivering af en udstödsventil i en forbrændingsmotor
DE10124869C2 (de) * 2001-05-22 2003-06-26 Caterpillar Motoren Gmbh & Co Hydraulische Steuereinrichtung für gleichwirkende Motorventile eines Dieselmotors
DE10140528A1 (de) * 2001-08-17 2003-02-27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Steuerung von Gaswechselventilen
JP2004084670A (ja) * 2002-08-28 2004-03-18 Man B & W Diesel As 水圧で作動されるバルブ
DE10239747A1 (de) * 2002-08-29 2004-03-11 Robert Bosch Gmbh Hydraulischer Ventilsteller zum Betätigen eines GAswechselventils
CN1289796C (zh) * 2003-10-13 2006-12-13 方戟 内燃式发动机的液压配气机构
EP2041405B1 (en) * 2006-07-04 2010-06-02 Renault Trucks Hydraulically operated valve control system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rising such a system
US8069828B2 (en) * 2009-08-13 2011-12-06 International Engin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Intake valve closing hydraulic adjuster
CN101660435B (zh) * 2009-09-14 2012-10-24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液压凸轮轴及其液压控制系统
CN101936199B (zh) * 2010-09-20 2012-10-03 武央 摩托车发动机液压传动配气系统
SE537454C2 (sv) * 2013-10-16 2015-05-05 Freevalve Ab Förbränningsmotor samt gashanteringssystem för pneumatisk drivning av en ventilaktuator
GB2552499B (en) * 2016-07-26 2019-11-27 Jaguar Land Rover Ltd Apparatus for controlling valves using a hydraulic control system
GB2553120B (en) * 2016-08-24 2019-12-25 Jaguar Land Rover Ltd Variable valve lift system with a diffus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07699A1 (de) * 1988-03-09 1989-09-21 Audi Ag Regelbare hydraulische ventilsteuerung
US4887562A (en) * 1988-09-28 1989-12-19 Siemens-Bendix Automotive Electronics L.P. Modular, self-contained hydraulic valve timing system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DE69212730T2 (de) * 1991-06-24 1996-12-05 Ford Werke Ag Hydraulisches Ventilsteuerung für Brennkraftmaschinen
AU9017291A (en) * 1991-07-12 1993-02-11 Caterpillar Inc. Recuperative engine valv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63945A (fi) 1997-04-04
NO311188B1 (no) 2001-10-22
EP0767295A1 (de) 1997-04-09
NO964175D0 (no) 1996-10-02
EP0767295B1 (de) 2000-03-08
NO964175L (no) 1997-04-04
JP3986585B2 (ja) 2007-10-03
KR970021645A (ko) 1997-05-28
CN1088145C (zh) 2002-07-24
DK0767295T3 (da) 2000-06-05
JPH09100706A (ja) 1997-04-15
FI963945A0 (fi) 1996-10-02
FI107751B (fi) 2001-09-28
CN1160120A (zh) 1997-09-24
DE59507966D1 (de) 2000-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3693B1 (ko) 유압밸브드라이브
KR100290055B1 (ko) 4행정 피스톤 왕복 내연 기관에서의 엔진 브레이크 작동 방법
US5887553A (en) Device for electromagnetic actuation of a gas exchange valve
US7179060B2 (en) Variable discharge pump with two pumping plungers and shared shuttle member
KR20010043493A (ko) 연료 분사 시스템
KR19980032334A (ko) 고압 펌프
RU99112961A (ru) Клапанная форсунка для впрыскивания топлива
US8910882B2 (en) Fuel injector having reduced armature cavity pressure
US5113811A (en) Hydraulic valve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A1274131A (en) Valve assembly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458103A (en) Fuel injection arrangement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57091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ng fuel using control fluid to control the injection's pressure and time
EP1688613B1 (en) Fuel injection system
US5954033A (en) Fuel injector having non contacting valve closing orifice structure
US6540160B2 (en) Fuel injec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853894B1 (ko) 연료 분사 장치
US20020152992A1 (en) Fuel inje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RU2153082C2 (ru)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привод клапанов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2003509618A (ja) 燃焼機関における少なくとも1つのエンジンバルブ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
GB2333326A (en) Internally wetted cartridge control valve for a fuel injector.
JP2005517864A (ja) 内燃機関のための燃料噴射装置
GB2333328A (en) Fuel inje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100280059B1 (ko) 내연기관의연료분사펌프
KR20020084235A (ko) 3/2 방향 제어 밸브
US20040099246A1 (en) Fuel injector with multiple control val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