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3430B1 - 회전형 전기부품 - Google Patents

회전형 전기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3430B1
KR100403430B1 KR10-2001-0011994A KR20010011994A KR100403430B1 KR 100403430 B1 KR100403430 B1 KR 100403430B1 KR 20010011994 A KR20010011994 A KR 20010011994A KR 100403430 B1 KR100403430 B1 KR 100403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upport member
operation member
opposing surface
convex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9218A (ko
Inventor
미조부치신이치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9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4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토오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회전 불균일이 없어 조작감이 좋은 회전형 전자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은 지지부재(2)의 대향면(3b)과 조작부재 대향면(8e)으로 탄성 접촉하여 끼워 유지되는 O 링(6)을 가지고, 지지부재(2) 또는 조작부재(8)중의 어느 한쪽의 대향면(3b, 8e)에 O 링(6)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볼록부(3d)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O 링을 확실하게 회전방지하여 조작축(5)에 불균일이 없는 안정된 회전토오크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형 전기부품{ROTARY TYPE ELECTRIC PARTS}
본 발명은 회전형 전기부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카메라 등에 사용하기 적합한 회전형 전기부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회전형 전기부품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이 자유로운 조작부재(41)가 배치되고, 이 조작부재(41)는 조작축(42)과 회전체(43)가 나사(44)로 조여져 일체화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 조작부재(41)는 지지부재(45)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45)는 축 구멍(46a)을 가지는 베어링부(46)와 내부에 회전체(43)를 수납할 수 있는 공동부(47a)를 가지는 케이스(4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스부(47)의 공동부(47a)내에는 회전체(43)가 수납되고, 이 회전체 (43)의 대향면(43a)과 대향하는 측에 대향면(47b)이 형성되고, 이 대향면(47b)에 링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링 맞닿음부(47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45)의 대향면(47b)에는 소정의 선지름과 외경치수로 이루어지고,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이 있는 O 링(48)이 배치되어 있다. 이 O 링(48)은 안 둘레부가 링 맞닿음부(47c)에 접촉하여 지름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조립은, 먼저 링 맞닿음부(47c)에 O 링 (48)을 설치한 지지부재(45)의 축 구멍(46a)에 조작축(42)을 삽입한다. 다음에 축구멍(46a)으로부터 삽입되어 공동부(47a)내에 위치하는 조작축(42)의 선단에 회전체(43)를 삽입한다.
그리고 조작축(42)의 선단부에 형성한 나사부에 나사(44)를 조이면, O 링 (48)이 회전체(43)의 대향면(43a)과 지지부재(45)의 대향면(47b)에 탄성 접촉하여 끼워 유지되어 조작축(42)에 소정의 회전토오크가 생성된다.
그 후 조작축(42)과 나사(44)에 접착제(도시 생략)를 도포함으로써 회전체 (43)가 느슨하게 고정되어 조작축(42)을 회전중에 나사(44)가 느슨해지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조립된 종래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O 링(48)은 지지부재(45)측이 대향면(47b)과 링 맞닿음부(47c)에 탄성접촉한다. 또 조작부재(41)측은 회전체 (43)의 대향면(43a)의 한 면에만 탄성접촉한다.
그 때문에 조작축(42)에 의해 회전체(43)를 회전시키면, O 링(48)은 접촉면적이 큰 지지부재(45)측에서 회전 방지되어 접촉면적이 작은 회전체(43)의 대향면 (43a)과의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조작축(32)에 회전토오크가 생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회전형 전기부품이 예를 들면 가변 저항기의 경우이면, 케이스(47)의 대향면(47c)에 슬라이더 조각(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회전체(43)의 대향면(43a)에 상기 슬라이더 조각이 슬라이딩할 수 있는 저항체가 형성되고, 조작축 (42)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더 조각이 저항체상을 슬라이딩하여 저항치가 가변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회전형 전기부품은, O 링(48)에 탄성이 있기 때문에 부품치수의 불균일에 의해 회전체(43)와 지지부재(45)의 각각의 대향면(43a, 47b) 사이의 간극치수에 불균일이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조작축(42)의 회전토오크의 불균일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회전형 전기부품은 조작축(42)의 반복회전에 의해 축 구멍 (46a)에 도포되어 있던 윤활제로서의 그리스 등이 링 맞닿음부(47c) 및 이 링 맞닿음부(47c)로부터 O 링(48)이 탄성 접촉하는 대향면(47b)으로 흘러 나오는 일이 있다.
그러면 지지부재(45)측에 회전 방지되어 지지하고 있던 O 링(48)은 지지부재 (45)의 대향면(47b)과의 사이에서의 마찰저항이 작아져 회전체(43)를 회전시키면, 회전체(43)의 회전에 따라 O 링(48)이 회전하고, 이 때의 조작축(42)의 회전토오크가 지지부재(45)측으로 O 링(45)이 회전 방지되어 있던 때에 대하여 변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회전체(43)의 회전에 O 링(38)이 따라서 회전하거나 회전하지 않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면 조작축(42)을 소정의 회전각도만큼 회전시켜 조작중에 회전토오크가 무거워지거나 가벼워지는 회전 불균일이 발생하여 조작감이나빠져 회전조작이 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조작축(42)의 반복회전에 의해 회전체(43)의 대향면(43a)과 O 링(48) 사이에서 미끄럼 마찰에 의해 O 링(48)이 바깥 둘레방향으로 눌러 펴져 비틀림 또는 주름 등이 발생하여 회전토오크가 불안정하게 되는 일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회전토오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회전 불균일이 없어 조각감이 좋은 회전형 전자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요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지지부재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지지부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볼록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지지부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볼록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도 8은 종래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설치판 1a : 포올부
2 : 지지부재 3 : 기초부
3b : 대향면 3c : 링 맞닿음부
3d : 볼록부 4 : 베어링부
5 : 조작축 6 : O 링
7 : 축 고정 스프링 8 : 조작부재
8a : 도전패턴 8b : 절연체
8e : 대향면 9 : 구동체
10 : 고무러버 11 : 가동접점
12 : 절연케이스 13 : 스페이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회전형 전자부품은, 회전 가능한 조작부재와, 이 조작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이 지지부재와 상기 조작부재는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을 가지고, 이 서로의 대향면이 형성하는 간극 부분에 둥근고리형상의 O 링을 배치하고, 이 O 링은 상기 서로의 대향면에서 탄성 접촉하여 유지되고, 상기 조작부재 또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O 링이 탄성 접촉하는 부분중 어느 한쪽의 상기 대향면에 상기 O 링을 회전 방지하기 위한 볼록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조작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대향면은 상기 조작부재에 삽입한 조작축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재 또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볼록부가 형성된 측의 상기 대향면에 상기 O 링의 바깥 둘레부가 맞닿아 접촉할 수 있는 링 맞닿음부를 돌출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조작부재 또는 상기 지지부재중 어느 한 쪽의 상기 대향면에 상기 O 링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을 설치하고, 이 수납홈의 바닥면에 상기 볼록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4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O 링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가늘고 긴 선형상으로 돌출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5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볼록부는 선단형상을 삼각형상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6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지지부재를 다이캐스팅으로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를 합성수지로, 또는 상기 지지부재를 합성수지 로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를 금속판으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재에 상기 볼록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을 도 1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지지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지지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볼록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지지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볼록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을 엔코더를 예로 하여 도 1,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도 2의 오른쪽에는 설치판(1)이 배치되고, 이 설치판(1)은 금속판을 벤딩가공하여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측부에는 포올부(1a)가 형성되고, 이 포올부 (1a)는 뒤에서 설명하는 지지부재(2)와 스페이서(13) 사이에 절연케이스(12)를 끼워 유지한 상태로 스페이서(13)에 코킹부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지지부재(2)는 아연 다이캐스팅 등으로 이루어지고, 사각판형상의 기초부 (3)와 원통형상의 베어링부(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2)는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초부(3)의 한쪽 면의 중앙부에는 원형의 수납구멍 (3a)이 형성되고, 이 수납구멍(3a)의 깊이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부 (4)의 도시 상하방향의 중앙부 부근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 베어링부(4)에는 축 구멍(4a)이 관통 형성되고, 이 축 구멍(4a)에 뒤에서 설명하는 조작축(5)이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부재(2)는 기초부(3)의 상면에 위치하는 설치판(1)에 의해 뒤에서 설명하는 절연케이스(12)에 코킹부착되어 뒤에서 설명하는 조작부재(8)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기초부(3)의 한쪽 면의 수납구멍(3a) 주위에는 평탄형상의 대향면(3b)이 형성되고, 이 대향면(3b)의 바깥 둘레부에 원형의 링 맞닿음부(3c)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 대향면(3b)상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2개의 볼록부(3d)가 뒤에서 설명하는 O 링(6)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조작축(5)을 사이에 끼워 가늘고 긴 선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3d)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선단형상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볼록부(3d)의 선단형상은 삼각형상뿐만 아니라,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사각형상으로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 볼록부(3d)는 2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2개 이상의 복수개의 대향면 (3b)상에 방사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또 축 구멍(4a)에 삽입되는 조작축(5)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에 걸어맞춤홈(5b)이 중심축(J)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걸어맞춤홈(5b)의 바닥부 부근의 바깥 둘레부에 스토퍼홈(5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축 구멍(4a)에 삽통한 조작축(5)은 스토퍼홈(5b)에 뒤에서 설명하는 축 고정스프링(7)을 끼워맞춤으로써 지지부재(2)에 빠짐 방지됨과 동시에, 도 1에 있어서 상하 이동 자유롭게 지지부재(2)에 지지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기초부(3)의 대향면(3b)에는 소정치수의 선지름과 외경치수로 이루어지는 둥근 고리형상의 O 링(6)이 배치되어 있다. 이 O 링(6)은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이 있는 것으로 형성되고, 그리스 등의 윤활제에 대하여 팽윤(澎潤)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O 링(6)을 대향면(3b)상에 위치시키면, 바깥 둘레부가 링 맞닿음부(3c)로 가이드되어 수납된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조작축(5)의 스토퍼홈(5b)에는 선스프링을 원호형상으로 벤딩가공하여 형성한 축 고정스프링(7)이 끼워 맞출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지지부재(2)의 수납구멍(3a)내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원반형상의 조작부재(8)의 일부가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이 조작부재(8)는 한쪽의 면에 도 2에 나타내는 것 같은 도체패턴(8a)과, 이 도체패턴(8a)의 원 둘레방향을 부분적으로등간격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절연체(8b)가 노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한쪽 면의 중앙부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구동체(9)를 수납할 수 있는 원형의 수납부(8c)와, 이 수납부(8c)에는 각진 홈형상의 구동구멍(8d)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쪽의 면에는 평탄형상의 대향면(8e)이 형성되고, 이 대향면 (8e)에 지지부재(2)의 링 맞닿음부(3c)에 수납한 O 링(6)이 탄성 접촉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재(8)의 수납부(8c)에는 구동체(9)를 수납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이 구동체(9)에는 구동구멍(8d)에 걸어맞추어 구동체(9)를 조작부재(8)에 회전 방지하기 위한 회전 방지부(9a)와, 조작축(5)의 걸어맞춤홈(5a)이 끼워맞춤 가능한 돌기(9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방지부(9a)를 구동구멍(8c)에 걸어맞추어 걸어맞춤돌기(9b)를 조작축(5)의 걸어맞춤홈(5a)에 끼워 맞추게 한 상태의 구동체(9)는 도 1에 나타내는 뒤에서 설명하는 고무러버(10)에 의해 항상 위쪽으로 탄성 가세되어 조작축(5)을 위쪽으로 밀어 올리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축(5)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구동체(9)를 거쳐 조작부재(8)가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조작부재(8)의 수납부(8c)내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돔형상의 고무러버(10)가 배치되고, 이 고무러버(10)에 의해 도 1의 구동체(9)가 도시 위쪽으로 항상 탄성 가세되어 있다. 상기 고무러버(10)의 돔형상의 공동내부의 정점부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가동접점(11)의 접점부(11a)를 가압 가능한 접점 가압부(10a)가 도시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축(5)을 상하 이동시키면 고무러버(10)가 탄성 변형되어 접점 가압부(10a)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고무러버(10)의 하부에는 스프링성이 있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동접점(11)이 배치되고, 이 가동접점(11)은 도 2에 나타내는 것 같은 접점부(11a)가 형성되고, 이 접점부(11a)의 바깥쪽에는 접점부(11a)를 둘러싸 도록 링형상의 도전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접점(11)은 접점부(11a)와 도전부(11b)를 접속하는 접속부(11c)를 가지고 조작축(5)을 아래쪽으로 가압하면, 고무러버(10)가 탄성 변형되어 접점 가압부(10a)가 접점부(11a)를 아래쪽으로 밀어 내리도록 되어 있다.
또 가동접점(11)은 링형상의 도전부(11b)가 고무러버(10)의 바깥 둘레부에 가압되어 절연케이스(12)에 위치결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연케이스(12)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조각(12a)을 인서트성형하기 위한 한 쌍의 개구부(12b)가 관통 형성되고, 이 개구부(12b)내에 슬라이더 조각(12a)이 노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 조각(12a)에는 단자(12c)가 접속되고, 슬라이더 조각(12a) 및 단자(12c)가 인서트성형 등에 의해 절연케이스(12)에 일체화되어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절연케이스(12)의 중앙부에서 가동접점(11)의 접점부 (11a)가 위치하는 하부에는 제 1 고정접점(12b)이, 또 가동접점(11)의 도전부(11b)의 하부에는 제 2 고정접점(12e)이 각각 인서트성형 등에 의해 절연케이스(12)에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제 1, 제 2 고정접점(12d, 12e)은 단자(12f)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절연케이스(12)의 하면에는 개구부(12b)를 개폐하기 위한 스페이서(13)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조립을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도시 생략한 조립지그에 스페이서(13)를 얹어 놓는다. 이 스페이서(13)의 위로부터 절연케이스(12)를 겹치고 이 절연케이스(12)의 제 2 고정접점(12e)상에 가동접점(11)의 도전부(11b)를 위치결정하여 얹어 놓는다.
다음으로 가동접점(11)의 위로부터 고무러버(10)를 얹어 놓고 이 고무러버 (10)를 얹어 놓은 상태의 절연케이스(12)의 위에 지지부재(2), 조작축(5), 구동체 (9) 등을 일체화하여 반제품으로 하여 조작부재(8)를 얹어 놓는다.
그러면 고무러버(10)가 수납부(8c)에 수납되고 이 고무러버(10)의 탄성력으로 구동체(9)가 위쪽으로 탄성 가세됨과 동시에, 지지부재(2)의 위치결정돌기(3e)가 절연케이스(12)의 위치결정구멍(도시 생략)에 삽입되어 지지부재(2)가 절연케이스(12)에 위치결정된다.
상기 지지부재(2), 조작축(5), 구동체(9) 등을 일체화하여 반제품으로 한 조작부재(8)에는 O 링(6)이 링 맞닿음부(3c)내에 수납되어 있고, 이 O 링(6)은 조작부재(8)의 대향면(8e)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2)의 위에서부터 설치판(1)을 씌워 설치판(1)의 각각의 포올부(1a)를 스페이서(13)에 코킹부착하여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조립이 종료된다.
이와 같은 회전형 전기부품은 설치판(1)을 스페이서(13)에 코킹부착함으로써, O 링(6)이 지지부재(2)의 대향면(3d)과 조작부재(8)의 대향면(8e)에 압접되어 탄성 접촉하여 끼워 유지된다.
그리고 조작축(5)에 의해 구동체(9)를 거쳐 조작부재(8)를 회전시키면 조작부재(8)의 대향면(8e)과 O 링(6) 사이에서 미끄럼 마찰이 발생하여 조작축(8)에 소정의 회전토오크가 생성된다.
또 지지부재(2)의 대향면(3b)내에 수납되어 있는 O 링(6)은 대향면(3b)에 형성한 볼록부(3d)가 파고 들어가 있기 때문에 조작부재(8)를 반복하여 회전시켜도 O 링(6)이 조작부재(8)와 함께 회전하는 일 없이 조작축(5)의 회전토오크를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 축 구멍(4a)에 도포되어 있는 윤활제(도시 생략)가 지지부재(2)의 대향면 (3b)으로 흘러 나왔다 하더라도 O 링(6)은 볼록부(3d)에 의해 지지부재(2)에 회전 방지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재(8)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조작축(5)을 반복하여 회전시켜도 항상 일정한 회전토오크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조작부재 (8)의 대향면(8e)측에 링 맞닿음부 및 볼록부를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의 지지부재(2)측은 링 맞닿음부(3c) 및 볼록부(3d)가 없고 대향면(3b)이 평탄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O 링(6)은 조작부재(8)의 대향면(8e)에 형성한 볼록부(도시 생략)에 의해 조작부재(8)에 회전 방지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조작부재(8)를 회전시키면, O 링(6)은 조작부재(8)와 함께 회전하여 지지부재(2)의 대향면(3b) 사이에서의 미끄럼 마찰에 의해 조작축(5)의 회전토오크를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즉, 조작부재(8) 또는 지지부재(2)의 O 링(6)이 탄성접촉하는 부분의 어느 한 쪽의 대향면(8e, 3b)에 O 링(6)을 회전 방지하기 위한 볼록부를 형성하여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로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2)의 대향면(3b)에 O 링(6)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3f)을 설치하여 이 수납홈(3f)의 바닥면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볼록부(3d)와 동일한 형상의 볼록부(3g)를 조작축(5)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라인형상으로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수납홈(3f)에 O 링(6)을 수납하면, O 링(6)의 바깥 둘레, 안 둘레의 양쪽이 수납홈(3f)의 측벽에 접촉하기 때문에 지지부재(2)에 대한 O 링(6)의 마찰저항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어 지지부재에 대한 O 링(6)의 회전방지를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2 실시의 형태의 변형예로서,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조작부재(8)의 대향면(8e)에 수납홈(3f)과 동일한 형상의 수납홈을 형성하고, 지지부재 (2)측의 대향면은 평탄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즉, 조작부재(8) 또는 지지부재(2)중의 어느 한 쪽의 대향면(3b, 8e)에 O링(6)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을 설치하고, 이 수납홈의 바닥면에 볼록부를 형성하여도 된다.
또 지지부재(2) 및 조작부재(8)의 각각의 재질은 지지부재(2)를 다이캐스팅으로, 조작부재(8)를 다이캐스팅보다 마찰저항이 작은 합성수지로 형성함으로써, 지지부재(2)의 쪽이 O 링(6)과의 마찰저항이 커져 O 링(6)을 지지부재(2)에 대하여 더욱 확실하게 회전 방지할 수 있다.
또 지지부재(2) 및 조작부재(8)의 각각의 재질은 지지부재(2)를 합성수지로 형성하고 조작부재(8)를 합성수지보다 마찰저항이 작은 금속판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제 1, 제 2 실시형태의 각각의 볼록부는 조작축(5)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라인형상으로 복수형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형상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면 삼각뿔로 이루어지는 볼록부(3h)이어도 된다. 이 볼록부(3h)는 삼각뿔에 한정되지 않고, 원뿔 또는 사각뿔 등이어도 된다.
또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형상을 사각형상으로 형성한 볼록부(3j)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은 조작부재 또는 지지부재의 O 링이 탄성 접촉하는 부분중 어느 한 쪽의 대향면에 O 링을 회전 방지하기 위한 볼록부를 형성하였기때문에 조작부재를 회전시키면, O 링은 볼록부에 의해 조작부재 또는 지지부재중의어느 한 쪽에 회전을 방지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조작축은 불균일이 없는 일정한 회전토오크를 생성할 수 있어 고품질의 회전형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조작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대향면은 상기 조작부재에 삽입한 조작축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재 또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볼록부가 형성된 측의 상기 대향면에 상기 O 링의 바깥 둘레부가 접촉 가능한 링 맞닿음부를 돌출 형성하였기 때문에 조작부재를 반복하여 회전시켜도 O 링의 바깥 둘레부가 링 맞닿음부로 가이드되어 있기 때문에 O 링이 바깥 둘레 방향으로 밀려 넓혀지는 일이 없어 회전토오크를 더욱 안정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조작부재 또는 상기 지지부재중의 어느 한쪽의 상기 대향면에 상기 O 링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을 설치하고 이 수납홈의 바닥면에 상기 볼록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수납홈에 수납한 O 링은 바깥 둘레부 뿐만 아니라 내주부도 수납홈으로 가이드되어 움직임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어 조작축의 회전토오크가 불균일 없는 고품질의 회전형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볼록부는 상기 조작축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라인형상으로 복수개 돌출 형성하였기 때문에 O 링의 회전방향으로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어 조작축의 회전토오크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볼록부는 선단형상을 삼각형상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O 링의 회전을 방지하는 대향면에 윤활제가 흘러 나왔다 하더라도 O 링의 회전방지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부재를 다이캐스팅 및 상기 조작부재를 합성수지, 또는 상기 지지부재를 합성수지 및 상기 조작부재를 금속판으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재에 상기 볼록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O 링을 회전 방지하는 쪽의 부재에 마찰저항이 큰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O 링의 회전방지를 더욱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6)

  1. 회전 가능한 조작부재와, 상기 조작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조작부재에는 각각 상기 조작축의 축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을 가지고, 이 서로의 대향면이 형성하는 간극 부분에 둥근고리형상의 O 링을 배치하고, 이 O 링은 상기 서로의 대향면에서 탄성 접촉하여 끼워 유지되고,
    상기 조작부재 또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O 링이 탄성 접촉하는 부분 중 어느 한쪽의 상기 대향면에 삼각형상 또는 사각형상의 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부재를 회전조작하였을 때에 상기 O 링이 상기 볼록부를 마련한 한쪽의 대향면에 대하여 회전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부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 또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볼록부가 형성된 측의 상기 대향면에 상기 O 링의 바깥 둘레부가 접촉할 수 있는 링 맞닿음부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부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 또는 상기 지지부재중 어느 한 쪽의 상기 대향면에 상기 O 링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을 설치하고, 이 수납홈의 바닥면에 상기 볼록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부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O 링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가늘고 긴 선형상으로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부품.
  5. 삭제
  6.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를 다이캐스팅으로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를 합성수지로, 또는 상기 지지부재를 합성수지로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를 금속판으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재에 상기 볼록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부품.
KR10-2001-0011994A 2000-03-09 2001-03-08 회전형 전기부품 KR1004034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71093A JP3723714B2 (ja) 2000-03-09 2000-03-09 回転型電気部品
JP2000-071093 2000-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218A KR20010089218A (ko) 2001-09-29
KR100403430B1 true KR100403430B1 (ko) 2003-10-30

Family

ID=18589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994A KR100403430B1 (ko) 2000-03-09 2001-03-08 회전형 전기부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723714B2 (ko)
KR (1) KR100403430B1 (ko)
CN (1) CN124122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5435B2 (ja) * 2001-08-02 2007-10-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型電気部品
JP2010010202A (ja) * 2008-06-24 2010-01-14 Alps Electric Co Ltd 回転操作型電気部品
JP2011210507A (ja) * 2010-03-30 2011-10-20 Alps Electric Co Ltd 回転型電気部品
JP6066485B2 (ja) * 2013-06-10 2017-01-2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型電気部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147A (ko) * 1980-02-01 1983-05-23 요시야마 히로기찌 기화기 형식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JPS63118205A (ja) * 1986-11-07 1988-05-23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レ−ザによるセラミックス製フィルタの製造方法
KR940006159A (ko) * 1992-04-16 1994-03-23 무라따 야스따까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및 가변 콘덴서
JPH0773779A (ja) * 1993-04-05 1995-03-17 Bourns Inc 小型の回転式スイッチ
JPH10334766A (ja) * 1997-06-03 1998-12-18 Alps Electric Co Ltd 回転型電気部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9004U (ja) * 1983-04-27 1984-11-12 東京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可変抵抗器
JPS62116510U (ko) * 1986-01-14 1987-07-24
JPH0351926Y2 (ko) * 1986-08-20 1991-11-08
JPH0468502U (ko) * 1990-10-25 1992-06-17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147A (ko) * 1980-02-01 1983-05-23 요시야마 히로기찌 기화기 형식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JPS63118205A (ja) * 1986-11-07 1988-05-23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レ−ザによるセラミックス製フィルタの製造方法
KR940006159A (ko) * 1992-04-16 1994-03-23 무라따 야스따까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및 가변 콘덴서
JPH0773779A (ja) * 1993-04-05 1995-03-17 Bourns Inc 小型の回転式スイッチ
JPH10334766A (ja) * 1997-06-03 1998-12-18 Alps Electric Co Ltd 回転型電気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257106A (ja) 2001-09-21
CN1241221C (zh) 2006-02-08
JP3723714B2 (ja) 2005-12-07
CN1313620A (zh) 2001-09-19
KR20010089218A (ko) 200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8553B2 (en) Rotary manipulation type electronic component
US7507919B2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US8536474B2 (en) Rotary switch
KR100403430B1 (ko) 회전형 전기부품
JP2011210507A (ja) 回転型電気部品
US3378803A (en) Variable resistance device
JP3855498B2 (ja) 回転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59634A (ja) 回転型電気部品
US7208690B1 (en) Rotary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3105949A (en) Small electrical control device
US6310535B2 (en) Rotary electric part superior in click feeling
KR200216736Y1 (ko) 개폐체의 개폐장치
US3518604A (en) Electrical component
US3654581A (en) Rotor and shaft assembly for variable resistor
JP3017034B2 (ja) 回転操作型電気部品
US3044033A (en) Electrical control device
US4771149A (en) Compact rotary switch
KR100375185B1 (ko) 회전형 전기부품
US4733034A (en) Compact rotary switch
KR20180112143A (ko) 푸시 스위치 유닛
US3235828A (en) Subminiature potentiometer
US4846013A (en) Torque takeout mechanism for rotary electronic part
JP5735348B2 (ja) 回転式電子部品
US6054654A (en) Rotary switch or potentiometer with improved mounted movable contact
JP4685944B2 (ja) ロータリーディップ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