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3006B1 -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 - Google Patents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3006B1
KR100403006B1 KR10-2000-0077587A KR20000077587A KR100403006B1 KR 100403006 B1 KR100403006 B1 KR 100403006B1 KR 20000077587 A KR20000077587 A KR 20000077587A KR 100403006 B1 KR100403006 B1 KR 100403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window
window motor
worm gear
driver structure
do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7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8219A (ko
Inventor
손인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캄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캄코
Priority to KR10-2000-0077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3006B1/ko
Publication of KR20020048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0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7Motor units therefor, e.g. geare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는 최적화되고 비교적 단순한 형상을 갖는 도그판(dog plate)과 중공 원반형 라이너 및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들을 웜 기어의 안쪽에 기밀하게 배열하여 콤팩트한 구성을 갖고, 개선된 충격 감쇄 성능과 함께 톱니의 파손 등과 같은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최소화한다.
그러한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는 기어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어, 차량의 유리창의 급격한 정지시 웜 기어(400, 410)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되, 웜 기어(400, 410)의 안쪽 공간에 삽입되며, 다각형으로 모따기된 블록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과,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의 안쪽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수직하게 절곡된 다수개의 드라이브 접촉부(303)들을 일체형으로 형성한 도그판(300)을 포함하며, 웜 기어(400)의 외주벽면(401)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고정형 돌출부(402)들이 형성되어 있고, 웜 기어(400)의 축심에는 원형 벽면(404)이 형성되어 있어서,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로 하여금 뒤틀림 없는 충격 완충 작용을 수행케 한다.

Description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DRIVER STRUCTURE FOR POWER WINDOW MOTOR}
본 발명은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창문을 열고 닫는데 사용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일명 WLM ; Window Lifting Motor)에 장착된 드라이브 장치의 기어 배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라이버(driver)라 함은 링크 기구, 캠 기구 또는 기어 조합에서 동력이 들어오는 원동절(原動節)을 의미한다.
특히, 기어 조합에서의 드라이버 구조는 고속의 모터 동력을 저속으로 감속시켜 큰 토크를 발생시키는 감속장치의 기어배열을 의미한다.
이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는 모터 동력을 이용하여 산업 전반의 구동 메커니즘에 사용되었으며,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는 와이퍼, 자동차 창문 개폐 장치, 후사경 구동장치, 전동 시트 등에 폭넓게 이용되어서, 차량 운전의 편의성과 고품격의 승차감을 제공한다.
한편 일반적인 파워 윈도우 모터는 유리창 바로 밑에 장착된 레귤레이터 장치를 구비하여 차량의 창문을 열고 닫는다. 그러한 파워 윈도우 모터는 차량의 유리창과 레귤레이터 장치를 들어올릴 수 있는 토크를 발생시키며, 원터치 유리창 하강 및 승강 작동을 위한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이런 파워 윈도우 모터는 통상적으로 기어박스 내에 배열된 웜 기어 구조를 통해서, 높은 토크를 발생시키고 있으나, 앞서 언급한 원터치 유리창 하강 및 승강시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한 급격한 감속 및 정지 움직임에 의해서 웜 기어의 톱니가 파손되거나, 레귤레이터의 메커니즘에 충격을 가져오는 단점이 있었다.
종래 기술의 파워 윈도우 모터는 미국 공개 특허 제4,899,60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정류자 전동기와 웜 기어 구조를 이용한 것이다. 이 특허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브러시 모터부(1)와 감속 기어 배열을 내장하도록 용기 형상을 갖는 기어 케이스(6)를 포함한다. 그리고, 기어 케이스(6)는 브러시 모터부(1)의 플랜지에 볼트 결합되어 있으며, 분해 조립이 가능한 케이스 커버(61)를 갖는다.
기어 케이스(6)의 내부에는 로터 샤프트로부터 가로축 방향으로 연장된 웜 샤프트(7)가 배열되어 있다. 웜 샤프트(7)는 기어 케이스(6)의 내부에서 웜 기어(4)와 맞물리게 기어 결합되고, 이 웜 기어(4)의 축심에 체결된 출력 샤프트(5)를 감속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런 파워 윈도우 모터는 급격한 감속 및 정지에 의해 웜 기어 구조의 파손을 최소화하도록, 웜 기어(4)의 내부에 충격 감쇄용 재질의 댐핑 라이너와 같은 완충 디스크(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완충 디스크(2)에는 일체형으로 웜 기어(4)의 안쪽 평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돌기(14)들과 맞추어져 구동될 수 있는 3개의 드라이브 홈(24)들이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게 형성되어 있고, 축방향으로 약간 돌출된 스프링 립(21 ; spring lips)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그판(3 ; dogplate)에는 일정 간격으로 3개의 드라이브 핀(31)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도그판(3)의 드라이브 핀(31)들은 조립시 완충 디스크(2)에 형성된 드라이브 관통구(28)들에 각각 삽입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웜 기어(4)에 전달한다. 그리고, 도그판(3)은 출력 샤프트(5)의 끝단이 관통할 수 있게 중앙에 구멍을 형성하고, 고정핀(51)으로 출력 샤프트(5)와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출력 샤프트(5)는 베어링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기어 케이스(5)에 결합되고, 피동 기어(5)를 구비하여, 외부로 감속/감쇄된 토크를 전달한다.
이와 유사한 종래의 파워 윈도우 모터는 미국 공개 특허 제4,748,865호의 '일체형 댐퍼 및 드라이버 구조'와, 제5,566,592호의 '3홀 댐퍼와 3핀 드라이버'와 PCT국제출원 공개번호 WO0008349호 및 제WO0008350호의 '6등분된 일체형 댐퍼'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들 특허들은 공통적으로 웜 기어 안쪽에 댐핑 라이너 혹은 완충 디스크와 도그판을 장착하여 동력 전달은 물론이고, 유사시 충격을 감쇄시키는 역할을 갖도록 구성한 웜 기어 배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이 특허들은 일반적인 모터의 감속효과와 완충효과를 구현한 댐퍼구조와, 대소동이 하게 차이가 있는 도그판의 형상을 갖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파워 윈도우 모터는 미세한 차이에 따른 기계적 특성 변화와, 제작상의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다. 예를 들면, 고무 재질의 고형으로 하나의 몸체를 갖는 완충 디스크의 경우, 디스크 제작에 사용한 감쇄재료에 비해 불량 발생 비율이 비교적 커서, 높은 제품 생산 제품 단가에 비해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기 어렵다.
또한, 종래의 기술의 파워 윈도우 모터는 댐핑 라이너를 분리형으로 설계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 웜 기어의 구조적 형상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과 크기를 갖고, 웜 기어와 도그판을 비롯한 기타 부재들간의 조립 공차와 배치관계를 고려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의 파워 윈도우 모터는 복잡한 결합구조와 다수의 결합 부재들의 연결부위에서 소음을 발생시키거나, 조립 작업시에 발생하는 조립 공차에 의해 원활한 작동을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최적화되고 비교적 단순한 형상을 갖는 도그판과 중공 원반형 라이너 및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들을 웜 기어의 안쪽에 기밀하게 배열하여 콤팩트한 구성을 갖고, 개선된 충격 감쇄 성능과 함께 톱니의 파손 등과 같은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최소화한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는 종래의 파워 윈도우 모터의 드라이브 장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드라이브 장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드라이브 장치의 중요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는 도 2에 도시된 드라이버 구조의 중요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드라이버 구조의 중요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 300 : 도그판
303, 313 : 드라이브 접촉부 400, 410 : 웜 기어
401, 411 : 외주벽면 402 : 고정형 돌출부
404, 414 : 원형 벽면 500 : 중공 원반형 라이너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워 윈도우 모터의 기어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어, 차량의 유리창의 급격한 정지시 웜 기어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는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에 있어서, 웜 기어의 안쪽 공간에 삽입되며, 다각형으로 모따기된 블록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들과,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들의 안쪽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수직하게 절곡된 다수개의 드라이브 접촉부들을 일체형으로 형성한 도그판을 포함하며, 웜 기어의 외주벽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고정형 돌출부들이 형성되어 있고, 웜 기어의 축심에는 원형 벽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들로 하여금 뒤틀림 없는 충격 완충 작용을 수행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드라이버 구조의 중요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류자 전동기의 로터 샤프트에 형성된 웜 샤프트와 기어 결합되는 웜 기어(400)와, 이 웜 기어(400)에 장착되는 3개의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과 중공 원반형 라이너(500) 및 도그판(300)으로 이루어진 드라이버 구조이다.
웜 기어(400)는 통상의 파워 윈도우 모터용으로서, 그의 안쪽 둘레로 그와 상이한 직경의 외주벽면(401)이 형성되고 외주벽면(401)의 바깥쪽에 톱니를 형성하고 있으며, 외주벽면(401)의 안쪽에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쪽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런 웜 기어(400)의 축심에는 출력 샤프트(도시 안됨)를 관통시킬 수 있게 제1관통구를 형성하는 원형 벽면(40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웜 기어(400)의 외주벽면(401)의 안쪽 측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고정형 돌출부(402)들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고정형 돌출부(402)들은 축심을 기준으로 원주각 120°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사다리꼴 형상으로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을 평면방향으로 뒤틀리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은 고무, 부드러운 우레탄 재질로서 충격 감쇄/흡수 기능을 갖고, 조립상 편의성을 높이고, 기능성을 향상하도록 3개로 분리되어 있으며, 원형 벽면(404)과 외주벽면(401)의 사이에 형성된 안쪽 공간에서 소정 간격(g)을 유지하면서 안착된다. 각각의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은 원형 벽면(404)과 외주벽면(401)의 사이에 형성된 안쪽 공간에 절묘하게 끼워질 수 있는 다각형 블록 형상으로서, 앞서 설명한 고정형 돌출부(402)에 끼워질 수 있는 절곡 틈새(202)를 허리부위에 형성하고 있다.
중공 원반형 라이너(500)는 앞서 언급한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간의 소정 간격(g)에 각각 일치하는 직사각 슬릿 형상의 사각구멍(503)들을 형성하고 있는 원형 디스크 판으로서, 축심에 출력 샤프트(도시 안됨)를 관통시킬 수 있게 제2관통구(504)를 형성하고 있다. 이런 중공 원반형 라이너(500)는 도그판(300)과의 접촉 저항을 최소화하여 일정하게 간격을 유지하고 그 조정을 용이하게 한다.
도그판(300)은 원판형의 디스크로서, 축심에 제3관통구(304)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3관통구(304)는 마주보는 평행면들을 갖는 각진 구멍으로서, 삽입되는 출력 샤프트에 토크력을 전달 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그판(300)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드라이브 접촉부(303)들을 일체형으로 갖는다. 그러한 도그판(300)은 판형의 부재를 판금 작업한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제작된 것이다. 즉, 도그판(300)은 일정 부위에서 각각 절취되어 수직하게 절곡 형성된 드라이브 접촉부(303)들을 갖고 있으며, 이때 도그판(300)에 형성된 틈의 끝단 부위(305)는 전단 파열을 막도록 곡면 가공되어 있기 때문에, 드라이브 접촉부(303)가 전단 응력에 의해 도그판(300)에서 파열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렇게 형성된 드라이브 접촉부(303)들은 조립시 중공 원반형 라이너(500)의 사각구멍(503)을 관통한 후,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간의 소정 간격(g)에 안착됨으로서, 웜 기어(400)의 구동력을 도그판(3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아래에서, 앞서 설명한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도 3을 참조하면, 웜 기어(400)의 외주벽면(401)과 고정형 돌출부(402) 및 원형 벽면(404)으로 둘러싸인 안쪽 공간에는 3개의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이 안착된다. 이때,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은 1차적으로 고정형 돌출부(402)에 의해 평면방향으로 뒤틀리지 않게 고정됨과 동시에 소정 간격(g)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은 블록 형상을 갖기 때문에, 각각 완충 작용시 다각형으로 모따기된 부위와 소정 간격(g)을 제외하고는 웜 기어(400)의 안쪽 공간을 기밀하게 채우게 된다.
이런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의 상부에는 중공 원반형 라이너(500)가 위치하게 되며, 중공 원반형 라이너(500)의 슬릿 형상의 사각구멍(503)에는 드라이브 접촉부(303)들이 끼워진 채로 도그판(300)이 결합된다. 이때, 도그판(300)의 드라이브 접촉부(303)들은 각각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간의 형성된 간격(g)에 끼워진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그판(300)의 제3관통구(304)에는 출력 샤프트가 고정핀으로 엔드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웜 기어 배열은 기어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고, 케이스 커버로 밀봉된다. 이후, 기어 케이스는 브러시 모터부의 플랜지에 볼트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브러시 모터부에 전원이 공급되면, 로터가 회전하면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 구동력은 로터 샤프트와 웜 샤프트를 회전시키고, 이와 동시에, 웜 샤프트와 맞물려 있는 웜 기어(400)가 회전된다. 이후, 웜 기어(400)의 구동력은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을 통해 드라이브 접촉부(303)들에 전달된다. 그리고, 드라이브 접촉부(303)들을 일체형으로 형성한 도그판(300)은 결합된 출력 샤프트를 구동시킨다.
한편, 파워 윈도우 모터가 장착된 레귤레이터에 의해 움직이는 유리창에 신체 일부 혹은 물체가 끼여서, 유리창이 자동차 창문틀에서 움직이지 않을 때, 정지 센서가 작동하기 직전의 짧은 시간동안, 파워 윈도우 모터에 결합된 출력 샤프트가 일시적으로 급격하게 정지된다.
그러나 급격한 정지로 발생된 충격(f)은 출력 샤프트를 통해서 엔드 결합된 도그판(300)의 드라이브 접촉부(303)에 전달되지만,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의 충격 감쇄/흡수 기능으로 거의 제거된다. 따라서, 충격(f)은 웜 기어(400)에 매우 미약하게 전달되고, 그러므로 써 웜 기어(400)와 웜 샤프트와의 톱니를 보호하게 된다.
또한, 중공 원반형 라이너(500)는 충격 완충 작용시 충격 방향을 제외한 다른 방향으로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이 비틀리는 것을 막음과 동시에, 평면 방향의 접촉 저항을 최소화하여, 부드러운 충격 완충 작용을 유지시킨다.
<제2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는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을 고정시키는 격벽이 웜 기어의 안쪽 공간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볍고 내구성이 강한 중공 핀형상의 드라이브 접촉부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2 내지 도 5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드라이버 구조의 중요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웜 기어(410)의 안쪽 공간에는 외주벽면(411)과축심의 원형 벽면(414)을 서로 연결하여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을 안착시키는 격벽(412)들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격벽(412)들은 축심을 기준으로 원주각 120°의 간격을 유지하며,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간의 소정 간격(g)에 일치하는 벽두께를 갖고, 또한, 충격 완충시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의 비틀림을 최대한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도그판(310)은 원판형의 디스크로서, 출력 샤프트에 토크력을 전달 할 수 있게 축심에 제3관통구(304)를 형성하고 있음은 물론이고,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중공 핀형상의 드라이브 접촉부(313)들을 갖는다. 여기에서, 중공 핀형상의 드라이브 접촉부(313)들은 도그판(310)의 원주각 120°간격의 위치에서 판금작업을 통해 돌출되게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별도의 중공 핀들을 용접에 의해서 접합시킬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도그판(310)은 상대적으로 중량이 커지지 않은 상태에서 더욱 큰 내구성을 갖게 되며, 원형의 디스크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비틀림도 매우 적게 된다.
또한, 드라이브 접촉부(313)들은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의 허리부위에 형성된 절곡 틈새(202)의 형상에 일치한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과의 기밀한 접촉을 통해서 즉각적인 완충 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다.
아래에서, 앞서 설명한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웜 기어(410)의 외주벽면(411)과 격벽(412) 및 원형 벽면(414)으로 둘러싸인3개의 안쪽 공간에는 3개의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이 안착된다. 이때,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은 1차적으로 격벽(412)들에 의해 각각 분리되어 있어서, 평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
그리고,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의 상부에는 중공 원반형 라이너(도시 안됨)가 개재될 수 있지만, 더욱 콤팩트한 구성을 위해 개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의 절곡 틈새(202)에는 중공 핀형상의 드라이브 접촉부(313)들이 끼워지고, 그럼으로써, 도그판(310)이 웜 기어(410)에 체결된다.
이렇게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과 도그판(310) 및 웜 기어(410)로 결합된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는 기어 케이스에 장착되어, 가볍고 내구성있는 기어 배열에 따른 콤팩트한 구조를 갖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는 차량 유리창의 오토다운(AUTO DOWN) 또는 오토업(AUTO UP) 기능을 갖는 파워 윈도우 모터에 적용되어서, 급격한 모터의 정지시에도 웜 기어 또는 웜 샤프트의 톱니의 파손을 막고, 내부 실장 부품들의 흔들림에 따른 소음 발생을 최소화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는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은 기밀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서 내구성 있는 웜 기어 배열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는 중공 핀형상의 드라이브 접촉부를 구비하여, 상대적으로 가벼우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된 웜 기어 배열을 실현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는 비교적 간단하고 심플한 디자인을 갖는 실장 부품들의 조합에 의해서, 불량 발생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실장 부품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유지 보수가 간편하며, 분해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콤팩트한 기어 케이스 설계를 가능케 하여, 매우 협소한 장소에도 파워 윈도우 모터를 설치할 수 있게 하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는 매우 효과적인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파워 윈도우 모터의 기어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어, 차량의 유리창의 급격한 정지시 웜 기어(400, 410)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는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웜 기어(400, 410)의 안쪽 공간에 삽입되며, 다각형으로 모따기된 블록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과,
    상기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의 안쪽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수직하게 절곡된 다수개의 드라이브 접촉부(303)들을 일체형으로 형성한 도그판(300)을 포함하며,
    상기 웜 기어(400)의 외주벽면(401)에는 안쪽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고정형 돌출부(402)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웜 기어(400)의 축심에는 원형 벽면(404)이 형성되어, 상기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로 하여금 뒤틀림 없는 충격 완충 작용을 수행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은 고무, 부드러운 우레탄 재질로서 충격 감쇄/흡수 기능을 갖고, 조립상 편의성을 높이고, 기능성을 향상하도록 3개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웜 기어(400)의 안쪽 공간에서 소정 간격(g)을 유지하면서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그판(300)에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된 드라이브 접촉부(303)에 형성된 틈의 끝단 부위(305)는 전단 파열을 막도록 곡면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과 상기 도그판(300)의 사이에는 직사각 슬릿 형상의 사각구멍(503)들을 형성한 중공 원반형 라이너(500)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그판(310)의 드라이브 접촉부(313)는 가볍고 내구성이 강한 중공 핀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웜 기어(410)에는 외주벽면(411)과 원형 벽면(414)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세그먼트형 댐핑 블록(200)들을 안착시키는 격벽(412)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
KR10-2000-0077587A 2000-12-18 2000-12-18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 KR100403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587A KR100403006B1 (ko) 2000-12-18 2000-12-18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587A KR100403006B1 (ko) 2000-12-18 2000-12-18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219A KR20020048219A (ko) 2002-06-22
KR100403006B1 true KR100403006B1 (ko) 2003-10-23

Family

ID=27682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587A KR100403006B1 (ko) 2000-12-18 2000-12-18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30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741B1 (ko) 2007-01-04 2007-12-27 주식회사태진정공 워엄휠 보스 구조와 그 워엄휠 보스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9949U (ko) * 1995-10-04 1997-05-26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KR970019968U (ko) * 1995-10-04 1997-05-26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KR970059988U (ko) * 1996-04-04 1997-11-10 파워윈도우 리프트 모터용 댐핑구조
KR19980017241U (ko) * 1996-09-23 1998-07-06 지경택, 안드레스.위거트 파워윈도우 모터의 댐퍼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9949U (ko) * 1995-10-04 1997-05-26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KR970019968U (ko) * 1995-10-04 1997-05-26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KR970059988U (ko) * 1996-04-04 1997-11-10 파워윈도우 리프트 모터용 댐핑구조
KR19980017241U (ko) * 1996-09-23 1998-07-06 지경택, 안드레스.위거트 파워윈도우 모터의 댐퍼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219A (ko) 200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63790B1 (en) Power seat driv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945432B1 (ko) 차량의 회전축의 지지 구조
EP2163421B1 (en) Power seat driv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239049B1 (ko) 믹싱 드럼의 각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장치
JP2007510099A5 (ko)
EP0367096A2 (en) Seat reclining device
KR100403006B1 (ko)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
FI70555B (fi) Drivhjul
KR100386344B1 (ko) 파워 윈도우 모터의 드라이버용 다중 댐핑 구조
KR100364914B1 (ko) 파워 윈도우 모터의 드라이버용 이중 댐핑 구조
KR100364913B1 (ko) 파워 윈도우 모터의 드라이버용 다중 댐핑 구조
CN212022431U (zh) 一种电动头枕调节机构
KR100399552B1 (ko) 댐핑 휠을 갖는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
KR100392685B1 (ko)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
KR100403004B1 (ko) 일체형 댐핑 휠을 갖는 파워 윈도우 모터용 드라이버 구조
CN110809660A (zh) 用于车窗升降器的驱动设备
CN211223019U (zh) 一种车用可调刚度隔振装置
JP3468874B2 (ja) 遠心振り子式吸振器
JP7046206B2 (ja) 電動シート及びその角度調節装置
KR100821529B1 (ko) 파워 윈도우 모터용 일체형 댐퍼
KR100791788B1 (ko) 백래시 저감 기능을 갖춘 디퍼렌셜 장치
JPH07190147A (ja) 動力伝達構造
JPH0631106Y2 (ja) ワイヤ式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機構の駆動装置
KR101141715B1 (ko) 파워윈도우 모터용 감속기어
JP4548222B2 (ja) シート駆動用の減速機構及び当該減速機構を備えたパワーシ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