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1958B1 - 알파-케토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엔올 구조 화합물 및 이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파-케토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엔올 구조 화합물 및 이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958B1
KR100401958B1 KR10-2000-0085160A KR20000085160A KR100401958B1 KR 100401958 B1 KR100401958 B1 KR 100401958B1 KR 20000085160 A KR20000085160 A KR 20000085160A KR 100401958 B1 KR100401958 B1 KR 100401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yl group
carbon atoms
enol
alpha
carboxyl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5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5905A (ko
Inventor
김덕희
유재원
노호식
백흥수
김길중
이은영
홍종언
강학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2000-0085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958B1/ko
Publication of KR20020055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9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9/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59/40Unsaturated compounds
    • C07C59/42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ydroxy or O-metal groups
    • C07C59/48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ydroxy or O-metal groups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알파-케토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엔올 구조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중,
R1은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 또는 방향족 고리 치환기를 갖는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이고,
R2는 OR 또는 NR'R''이다.
(여기에서,
R은 수소, 탄소수 1∼30개의 알킬기,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이고,
R' 및 R''은 각각 수소, 탄소수 1∼30개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이다.)]

Description

알파-케토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엔올 구조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Enol form compounds of alpha-keto carboxylates derivative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알파-케토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엔올 구조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식중,
R1은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 또는 방향족 고리 치환기를 갖는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이고,
R2는 OR 또는 NR'R''이다.
(여기에서,
R은 수소, 탄소수 1∼30개의 알킬기,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이고,
R' 및 R''은 각각 수소, 탄소수 1∼30개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이다.)]
각종 보고에 의하면, 전세계적으로 오존층의 심각한 파괴에 의해서 자외선이 지표면에 그대로 도달하고 있으며, 그 결과로 피부암 등의 피부질환 발생율이 급증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자외선에 의한 피해로 인하여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자외선 차단제들은 주로 UV B 영역만을 차단하는 것에 편중되었으며, UV A 영역에 대한 자외선 차단제에 대해서는 그 수가 많지 않았다. 이는 UV A 영역을 흡수하는 자외선 차단제를 만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UV A의 에너지량이 UV B 에 비해 극히 적기 때문이다.
그러나, UV A는 흐린 날이나 실내에도 존재하고, UV B와 비교하여 피부 깊숙히 침투하는 특성이 있으며, 홍반을 일으키지 않더라도 진피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UV A에 의한 진피의 손상은 표피 손상에 비해 치유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UV B 영역에 대한 차단제만으로는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없다. 또한, 자외선에 의한 노화 발생의 주요원인으로 UV A가 관련되어 있다는 최근 연구에 의해, UV A 영역의 차단에 대한 중요성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개발된 UV A 흡수제들은 UV 흡수 영역이 불충분하거나 몰흡광 계수가 작고, 용해도가 나쁘며, 금속이온과 킬레이트화 반응 또는 착색되는 등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UV A와 UV B 영역을 동시에 흡수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자외선 차단제에 대해 연구하게 되었으며, 알파-케토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엔올 구조 화합물이 UV A 영역과 UV B 영역의 자외선들을 모두 흡수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UV A 영역 및 UV B 영역을 모두 흡수할 수 있는 신규한 알파-케토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엔올 구조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알파-케토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엔올 구조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알파-케토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엔올 구조와 케토 구조의 비율이 온도에 따라 변화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알파-케토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엔올 구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화학식 1]
[식중,
R1은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 또는 방향족 고리 치환기를 갖는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이고,
R2는 OR 또는 NR'R''이다.
(여기에서,
R은 수소, 탄소수 1∼30개의 알킬기,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이고,
R' 및 R'' 은 각각 수소, 탄소수 1∼30개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이다.)]
본 발명의 엔올 구조 화합물(Ⅰ)은 하기 반응식1과 같이, 알파-케토 카르복실산 유도체와 상평형 관계를 이루는 화합물로서 열이나 UV에 의해 케토형과 엔올형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알파-케토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케토형과 엔올형 각각의 구조에 해당하는 자외선 영역대를 각각 흡수할 수 있다. 즉, 그의 엔올 형태는 UV A 영역대의 자외선을 흡수하며, 그의 케토 형태는 UV B 영역대의 자외선을 흡수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알파-케토 카르복실산 유도체는 UV A 및 UV B 영역대의 자외선을 모두 흡수할 수 있는 특징으로 갖고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알파-케토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엔올 구조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A) 알데히드를 무수 아세트산나트륨과 무수 아세트산 용매하에서 N-아실글리신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1,3-옥사졸린-5-온 화합물을 얻는 단계;
(식중, R1은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 또는 방향족 고리 치환기를 갖는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이다.)
(B) 상기 (A) 단계에서 얻어진 1,3-옥사졸린-5-온 화합물을 산성 조건 하에서 가수 분해하여,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알파-케토 카르복실산의 엔올 구조 화합물을 얻는 단계;
(식중, R1은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 또는 방향족 고리 치환기를 갖는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이다.)
(C) 상기 (B)단계에서 얻어진 화합물을 극성 유기용매로 결정화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얻어진 화합물을 에스테르화, 아미드화 또는 중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파-케토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엔올 구조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하기 반응식 2로 도식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알파-케토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엔올 구조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상기한 반응식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알데히드를 무수 아세트산나트륨과 무수 아세트산 용매하에서 N-아실글리신과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2의 1,3-옥사졸린-5-온 화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알데히드는 아릴기를 포함하는 알데히드로, 벤젠알데히드, 아니스알데히드, 시남알데히드, 나프틸알데히드, 히드록시나프틸알데히드, 테레프탈알데히드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N-아실글리신의 아실기는 아세틸기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벤조일기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알데히드와 N-아실글리신의 반응 당량비는 1:1.1∼1.3이 바람직하다. 이는 당량비가 1:1 미만이면 목적하는 생성물의 수율이 떨어지고, 1:1.3 이상이면 목적하는 생성물 이외의 과량의 부산물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알데히드와 무수 초산 나트륨의 반응 당량비는 1:1.2∼1:1.6이 바람직하다. 이는 당량비가 1:1.2 미만이면 목적하는 생성물의 수율이 떨어지고, 1:1.6 이상이면 목적하는 생성물 이외의 과량의 부산물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반응은 50∼200℃, 바람직하게는 80∼120℃에서 수행한다. 이는 80℃ 이하에서 반응을 시키면 반응 속도가 너무 느려지고, 150℃ 이상에서는 부산물이 생성되고, 생성물의 색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B): 상기 (A) 단계에서 얻어진 1,3-옥사졸린-5-온 화합물을 산성 조건 하에서 가수 분해하여, 상기 화학식 3의 알파-케토 카르복실산의 엔올 구조 화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한 단계에서는 1∼7N의 염산 수용액을 사용하여, 환류 조건하에서 가수분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산 수용액의 농도가 1N 미만이거나 실온에서 반응을 시키면, 반응속도가 느릴 뿐더러 목적하는 생성물 이외에 가수분해가 덜 된 엔아민 구조의 부산물이 과량 얻어지고, 염산 수용액의 농도가 7N 이상에서는 목적하는 생성물 이외의 과량의 부산물이 생성된다.
(C) 상기 (B)단계에서 얻어진 화학식 3의 알파-케토 카르복실산의 엔올 구조 화합물을 극성 유기용매로 결정화하는 단계.
결정화 단계에서 사용되는 유기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등과 같은 알코올류, 아세톤, 아세트산에틸, 디클로로메탄, 테트라히드로퓨란, 아세토니트릴, 클로로포름, 에틸에테르를 사용할 수 있지만, 메탄올, 에탄올 등과 같은 알코올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 상기 (C) 단계에서 얻어진 화합물을 에스테르화, 아미드화 또는 중화하는 단계.
에스테르화는 목적하는 생성물의 에스테르 화합물에 해당하는 알코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아세트산클로라이드를 0.1-1 당량으로 적가하고, 5분간 교반한 다음, (C) 단계에서 얻어진 알파-케토 카르복실산의 엔올 구조 화합물을 첨가하여 1-5시간동안 환류 조건 또는 120℃를 유지하면서 교반하는 방법으로 수행한다. 이때, 아세트산클로라이드를 0.1 당량 이하를 사용하면 반응이 너무 느리고, 1당량 이상을 사용하면 목적하는 생성물 이외의 부산물이 생성된다. 상기 방법 이외에도, 산성 조건에서 반응을 시키는 일반적인 에스테르화 방법도 가능하지만, 수율이 떨어지고, 목적하는 생성물을 얻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아미드화는 (C)단계에서 얻은 알파-케토 카르복실산의 엔올 구조 화합물을 1∼1.2 당량의 티오닐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산염화물로 전환한 다음, 아민과 반응시켜 얻는다. 아민으로는 벤질아민, 헥실 아민, 데실 아민, 도데실 아민, 헥사데실 아민, 트리에탄올 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알파-케토 카르복실산의 염을 얻는 중화 반응에 사용되는 중화제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 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또는 알카리토금속 수산화물 또는 산화물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알파-케토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엔올 구조 화합물(Ⅰ)은 UV A 및 UV B의 자외선들을 동시에 차단하기 위한 화장료의 유효성분으로 함유될 수 있으며, 함유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01∼20중량%이 바람직하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자외선을 차단하는 효과가 없어지며, 20중량%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 화장료 제형상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알파-케토 카르복실산의 엔올 구조 유도체의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2-메틸-4-(페닐메틸렌)-1,3-옥사졸린-5-온
10.6g의 벤젠 알데히드, 14.05g의 N-아세틸글라이신 및 50㎖의 무수 아세트산을 250 ㎖의 둥근 플라스크에 넣고, 90℃에서 8시간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얼음물 50㎖를 부가하여 침전시키고, 침전물은 여과하였다. 여과한 침전물을 20% 에탄올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아세톤으로 표제화합물 12.5g(수율67%)을 얻었다.
1H NMR (DMSO-d6): 2.40 (s, 3H), 7.22 (s, 1H), 7.47-7.54 (m, 3H), 8.15-8.20 (m, 2H)
[참고예 2] 2-메틸-4-(나프틸메틸렌)-1,3-옥사졸린-5-온
벤젠 알데히드 대신 15.6 g의 1-나프틸알데히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참고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16.6 g(수율 70%)를 얻었다.
1H NMR (DMSO-d6): 2.43 (s, 3H), 7.54-7.70 (m, 3H), 7.93 (s, 1H), 8.07(d, 1H, J = 7.8 Hz), 8.09 (d, 1H, J = 8.4 Hz), 8.35 (d, 1H, J = 8.4 Hz), 8.74 (d, 1H, J = 6.3 Hz)
[참고예 3] 2-메틸-4-((2-히드록시나프틸)메틸렌)-1,3-옥사졸린-5-온
벤젠 알데히드 대신 17.2g의 2-히드록시-1-나프틸알데히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참고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15.8 g(수율62%)를 얻었다.
1H NMR (CDCl3): 2.30 (s, 3H), 7.26 (s, 1H), 7.45 (d, 1H, J = 9.0 Hz), 7.58 (t, 1H, J = 7.2 Hz), 7.69 (dt, 1H, J = 8.1 , 1.2Hz), 7.91 (d, 2H, J = 9.0 Hz), 8.15 (br s, 1H), 8.33 (d, 1H, J = 8.4 Hz), 9.52 (s, 1H)
[참고예 4] 2-메틸-4-({4-[2-메틸-5-옥소(1,3-옥사졸린-4-일리딘)메틸]페닐}메틸렌)-1,3-옥사졸린-5-온
벤젠 알데히드 대신 13.4g의 테레프탈알데히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참고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20.1 g(수율68%)를 얻었다.
1H NMR (CDCl3): 2.43 (s, 6H), 7.13 (s, 2H), 8.15 (s, 4H)
[실시예 1] 2-히드록시-3-페닐-2-프로펜온산
참고예 1에서 얻은 2-메틸-4-(페닐메틸렌)-1,3-옥사졸린-5-온 3.0g에 3N HCl 수용액을 부가하고, 격렬히 교반시켰다. 반응용액을 여과하여 얻은 고체를 에탄올 및 물의 혼합액으로 재결정하여 표제화합물 1.76g(수율 65%)을 얻었다.
1H NMR (DMSO-d6): 6.40 (s, 1H), 7.21-7.38 (m, 3H), 7.76 (d, 2H, J = 7.2 Hz)
[실시예 2] 2-히드록시-3-나프틸-2-프로펜온산
2-메틸-4-(페닐메틸렌)-1,3-옥사졸린-5-온 대신에 참고예 2에서 얻은 2-메틸-4-(나프틸메틸렌)-1,3-옥사졸린-5-온 5.1g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3.4 g(수율 74%)을 얻었다.
1H NMR (DMSO-d6): 7.12 (s, 1H), 7.51-7.61 (m, 3H), 7.84 (d, 1H, J = 8.3 Hz), 7.94 (dd, 1H, J = 7.5, 1.8 Hz), 8.12 (d, 1H, J = 8.3 Hz), 8.27 (dd, 1H, J = 7.2 , 0.9 Hz)
[실시예 3] 2-히드록시-3-(2-히드록시나프틸)-2-프로펜온산
2-메틸-4-(페닐메틸렌)-1,3-옥사졸린-5-온 대신에 참고예 3에서 얻은 2-메틸-4-((2-히드록시나프틸)메틸렌)-1,3-옥사졸린-5-온 3.5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2.5 g(수율 78%)을 얻었다.
1H NMR (DMSO-d6): 7.52-7.61 (m, 2H), 7.67 (dt, 1H, J = 8.4, 1.2 Hz), 7.94-8.02 (m, 3H), 8.39 (d, 1H, J = 8.1 Hz)
[실시예 4] (2Z)-3-[4-{(1Z)-2-카르복시-2-히드록시비닐}페닐]-2-히드록시-2-프로펜온산
2-메틸-4-(페닐메틸렌)-1,3-옥사졸린-5-온 대신에 참고예 4에서 얻은 2-메틸-4-({4-[2-메틸-5-옥소(1,3-옥사졸린-4-일리딘)메틸]페닐}메틸렌)-1,3-옥사졸린-5-온 2.96 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2Z)-3-[4-{(1Z)-2-카르복시-2-히드록시비닐}페닐]-2-히드록시-2-프로펜온산1.91 g(수율 76%)을 얻었다.
1H NMR (DMSO-d6): 6.39 (s, 2H), 7.73 (s, 4H), 9.32 (s, 2H)
[실시예 5] 2-히드록시-3-(2-히드록시나프틸)-2-프로펜온산 나트륨
실시예 3에서 얻은 2-히드록시-3-(2-히드록시나프틸)-2-프로펜온산 230 mg을 1N NaOH 수용액 1㎖로 혼탁하였다. 에탄올 및 헥산의 혼합용액으로 석출시켜 표제화합물 156mg(수율 62%)을 얻었다.
1H NMR (DMSO-d6): 6.76 (s, 1H), 7.28-7.48 (m, 4H), 7.81 (dd, 1H, J = 7.5, 1.2 Hz), 8.17 (d, 1H, 8.1 Hz)
[실시예 6] 2-히드록시-3-(2-히드록시나프틸)-2-프로펜온산 칼륨
실시예 3에서 얻은 2-히드록시-3-(2-히드록시나프틸)-2-프로펜온산 230 mg에 1N KOH 수용액 1㎖로 혼탁하였다. 에탄올 및 헥산의 혼합용액으로 석출시켜, 표제화합물 166 mg(수율 66%)을 얻었다.
1H NMR (DMSO-d6): 6.78 (s, 1H), 7.29-7.46 (m, 4H), 7.80 (dd, 1H, J = 7.4, 1.2 Hz), 8.15 (d, 1H, J = 8.3 Hz)
[실시예7] (2Z)-3-[4-{(1Z)-2-카르복시-2-히드록시비닐}페닐]-2-히드록시-2-프로펜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4에서 얻은 (2Z)-3-[4-{(1Z)-2-카르복시-2-히드록시비닐}페닐]-2-히드록시-2-프로펜온산 1.58g을 메탄올 50㎖로 용해한 후, 0.15 ㎖의 아세틸클로라이드를 교반하면서 천천히 넣어주었다. 용액을 여과하여, 표제화합물 1.35 g (수율78%)을 얻었다.
1H NMR (DMSO-d6) 3.79 (s, 6H), 6.42 (s, 2H), 7.75 (s, 4H), 9.65 (s, 2H)
[실시예8] (2Z)-3-[4-{(1Z)-2-카르복시-2-히드록시비닐}페닐]-2-히드록시-2-프로펜온산 헥실 에스테르
실시예 4에서 얻은 (2Z)-3-[4-{(1Z)-2-카르복시-2-히드록시비닐}페닐]-2-히드록시-2-프로펜온산 1.58 g 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0㎖으로 용해한 후, 1.60g의 n-헥산올과 0.15㎖의 아세틸클로라이드를 교반하면서 천천히 넣어 주었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용액으로 재결정하여, 표제화합물 2.9 g(수율 67%)를 얻었다.
1H NMR (CDCl3) 0.92 (t, 6H, J = 6.6 Hz), 1.34 (m,12H), 1.76 (m, 4H), 4.31 (t, 4H, J = 6.6 Hz), 6.51 (s, 2H), 7.77 (s, 4H)
[실시예9] (2Z)-3-[4-{(1Z)-2-카르복시-2-히드록시비닐}페닐]-2-히드록시-2-프로펜온산 sec-부틸 에스테르
실시예 4에서 얻은 (2Z)-3-[4-{(1Z)-2-카르복시-2-히드록시비닐}페닐]-2-히드록시-2-프로펜온산 1.58g을 50㎖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으로 용해한 후, 1.04g의 sec-부탄올과 0.15 ㎖의 아세틸클로라이드를 교반하면서, 천천히 넣어 주었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용액으로 재결정하여 표제화합물 1.9 g(수율 54%)를 얻었다.
1H NMR (CDCl3): 0.97 (t, 6H, J = 7.2 Hz), 1.34 (d, 6H, J = 6.3 Hz), 1.71 (m, 4H), 5.04 (m, 2H), 6.50 (d, 2H, J = 1.5 Hz), 6.56 (d, 2H, J =1.5 Hz, OH), 7.77 (s, 4H)
[실시예 10]2-히드록시-3-나프틸-2-프로펜온산 도데실 아마이드
10㎖ 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1㎖의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0.9㎖의 염화티오닐을 5℃를 유지하면서 천천히 넣어 주었다. 30분 정도 교반한 후, 실시예 2로부터 얻은 2-히드록시-3-나프틸-2-프로펜온산 2.36g을 넣고,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염화 아실 용액을 제조하였다. 20㎖ 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1.85g의 도데실 아민 및 2.8㎖의 트리에틸아민를 용해시키고, 10∼15℃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조된 염화 아실 용액을 천천히 넣어 주었다.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표제화합물 2.32 g (수율 52%)을 얻었다.
1H NMR (CDCl3): 0.88 (t, 3H, J = 6.9 Hz), 1.26 ( 18H), 1.56 (m, 2H), 3.31(dd, 2H, J = 6.9, 7.5 Hz) 4.70 (s, 2H), 6.92 (br s, 1H), 7.43 ( 2H), 7.50 ( 2H), 7.80 (1H), 7.87 (2H)
[시험예1]UV 흡수 스펙트럼 및 몰흡광계수 측정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바탕값(blank)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화합물들을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용해시킨 시료들의 UV 흡수 스펙트럼 및 몰흡광계수를 베리안 사의 CARY 3E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최대흡수파장(nm) 226(keto)327(enol) 240(keto)340(enol) 304(keto)352(enol) 311(keto)357(enol) 309(keto)357(enol) 311(keto)358(enol)
몰흡광계수(x104) 3.36(keto)1.68(enol) 3.68(keto)1.63(enol) 2.54(keto)2.18(enol) 2.38(keto)3.26(enol) 1.70(keto)1.45(enol) 3.09(keto)2.63(enol)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4,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의 각 화합물의 엔올 구조는 UV A 영역대(320-400nm)의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고, 케토 구조는 UV B 영역대(280-320nm)의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화합물 D를 이용하여 온도에 따라 엔올 구조와 케토 구조의 비율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는 NM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비율은 엔올 구조의 비닐 위치의 수소와 케토 형태의 카르보닐기 옆의 CH2수소의 적분값으로부터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열에너지를 받으면, 엔올 구조가 케토 구조로 변환되었다가, 에너지가 사라지면 다시 케토 형태가 엔올 형태로 재변환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공된 알파-케토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엔올 구조 화합물(Ⅰ)은 엔올 구조와 케토 구조가 상평형에 의해서 함께 존재하므로, UV A(엔올 구조에 의한 차단) 및 UV B(케토 구조에 의한 차단)의 자외선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다.

Claims (4)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파-케토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엔올 구조 화합물.
    [화학식1]
    [식중,
    R1은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 또는 방향족 고리 치환기를 갖는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이고,
    R2는 OR 또는 NR'R''이다.
    (여기에서,
    R은 수소, 탄소수 1∼30개의 알킬기,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이고,
    R' 및 R'' 은 각각 수소, 탄소수 1∼30개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이다.)]
  2. (A) 알데히드를 N-아실글리신, 무수 아세트산나트륨과 무수 아세트산 용매 하에서 반응시켜, 1,3-옥사졸린-5-온 구조 화합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얻어진 1,3-옥사졸린-5-온 구조 화합물을 산성 조건 하에서 가수 분해하여,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알파-케토 카르복실산의 엔올 구조 화합물을 얻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 얻어진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알파-케토 카르복실산의 엔올 구조 화합물을 극성 유기용매로 결정화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파-케토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엔올 구조 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1]
    [식중,
    R1은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 또는 방향족 고리 치환기를 갖는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이고,
    R2는 OR 또는 NR'R''이다.
    (여기에서,
    R은 수소, 탄소수 1∼30개의 알킬기,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이고,
    R' 및 R'' 은 각각 수소, 탄소수 1∼30개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이다.)]
    [화학식 3]
    (식중, R1은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 또는 방향족 고리 치환기를 갖는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이다.)
  3. 제 2항에 있어서,
    (D) 상기 (C) 단계에서 얻어진 화합물을 에스테르화, 아미드화 또는 중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파-케토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엔올 구조 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1]
    [식중,
    R1은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 또는 방향족 고리 치환기를 갖는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이고,
    R2는 OR 또는 NR'R''이다.
    (여기에서,
    R은 수소, 탄소수 1∼30개의 알킬기,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이고,
    R' 및 R'' 은 각각 수소, 탄소수 1∼30개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30개의 아릴기이다.)]
  4. 제 1항에 기재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파-케토 카르복실산의 엔올 구조 화합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1-20중량 %의 양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0-0085160A 2000-12-29 2000-12-29 알파-케토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엔올 구조 화합물 및 이의제조방법 KR100401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160A KR100401958B1 (ko) 2000-12-29 2000-12-29 알파-케토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엔올 구조 화합물 및 이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160A KR100401958B1 (ko) 2000-12-29 2000-12-29 알파-케토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엔올 구조 화합물 및 이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905A KR20020055905A (ko) 2002-07-10
KR100401958B1 true KR100401958B1 (ko) 2003-10-17

Family

ID=27688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5160A KR100401958B1 (ko) 2000-12-29 2000-12-29 알파-케토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엔올 구조 화합물 및 이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9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6613A (en) * 1974-07-27 1976-02-10 Nisshin Flour Milling Co 22 hidorokishi 33 butensanjudotaino seizoho
KR880000385A (ko) * 1986-06-27 1988-03-25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선스크린제, 선스크린 조성물 및 선번예방법
JPH0558955A (ja) * 1991-08-30 1993-03-09 Nikko Kyodo Co Ltd β−フルオロ−α−ケト酸等価体の製造方法
KR960022424A (ko) * 1994-12-20 1996-07-18 이웅열 새로운 신남산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6613A (en) * 1974-07-27 1976-02-10 Nisshin Flour Milling Co 22 hidorokishi 33 butensanjudotaino seizoho
KR880000385A (ko) * 1986-06-27 1988-03-25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선스크린제, 선스크린 조성물 및 선번예방법
JPH0558955A (ja) * 1991-08-30 1993-03-09 Nikko Kyodo Co Ltd β−フルオロ−α−ケト酸等価体の製造方法
KR960022424A (ko) * 1994-12-20 1996-07-18 이웅열 새로운 신남산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905A (ko) 200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1449628A (fr) Procédé de préparation d'indoles polynucléaires désacylés, notamment d'esters de la série de la désacétyl-vincaleucoblastine et de la désacétyl-vincristine
DE3219244C2 (de) Sulfonat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iese Derivate enthaltende Arzneimittel
US20040209951A1 (en) Novel resveratrol analogs
JP2664343B2 (ja) ガランタミン誘導体、それらの製法および医薬としてのそれらの使用
EP0080229B1 (en) Salicylic derivatives of n-acetylcysteine
KR100401958B1 (ko) 알파-케토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엔올 구조 화합물 및 이의제조방법
KR880000760B1 (ko) 퀴논 유도체의 제법
US20070281991A1 (en) Preparation Of Phenol-Amide Compounds With Anti-Oxidizing Properties
JPH0129191B2 (ko)
JP2002167521A (ja) ジヒドロペリミジンスクエア化合物の製造方法
KR100334139B1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CN107629107B (zh) 一种醋酸乌利司他的合成方法
JPS5721341A (en) Preparation of substituted acetic ester
JPH0696545B2 (ja) 3,5,6−トリフルオロ−4−ヒドロキシフタル酸の製造法
JP2005504019A (ja) イソクマリンを調製するための方法
US6413504B1 (en) Alpha-arylated cinnamic esters and 1,4-bis(alpha-carboxyl-beta-styryl)benzene esters an UV-blocking agents
US4104305A (en) 1-Aminotricyclo (4.3.1.12,5) undecane and salts thereof
CH640818A5 (fr) Derives d'acide naphtyl-1 acetique, leurs procedes de preparation et medicament les contenant.
US5103023A (en) Biphenyl derivatives,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intermediates therefor
WO2005016907A1 (fr) Nouveau derives de flavon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les contenant
JPS6360015B2 (ko)
JP3326215B2 (ja) 還元的脱ハロゲン化法
JP4582832B2 (ja) ビタミンe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73398B2 (ja) 熱的に安定なフェルラ酸誘導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紫外線吸収剤
CN110684002B (zh) 一种基于黄酮的酰腙类氟离子探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