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0358B1 - 유입수 부하변동에 따른 간헐운전방식의 침지형 막분리활성슬러지 오폐수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입수 부하변동에 따른 간헐운전방식의 침지형 막분리활성슬러지 오폐수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358B1
KR100400358B1 KR10-2002-0065900A KR20020065900A KR100400358B1 KR 100400358 B1 KR100400358 B1 KR 100400358B1 KR 20020065900 A KR20020065900 A KR 20020065900A KR 100400358 B1 KR100400358 B1 KR 100400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ation
tank
membrane separation
raw water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9255A (ko
Inventor
송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환경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환경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환경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02-0065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0358B1/ko
Publication of KR20020089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3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38Liquid-membrane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02F3/303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nit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02F3/305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denitrific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수 부하변동에 따른 간헐운전방식의 침지형 막분리 활성슬러지 오폐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생물학적 처리와 정밀여과막 처리공정을 병용하여 질산화 및 탈질화를 수행하는 간헐 폭기방식의 유기성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유입원수의 유입량, 농도 및 특성 등의 유입 부하변동에 따라 운전(폭기, 흡인) 및 정지 등의 시간간격을 자동으로 단축하거나 연장시켜 제어함으로써, 막의 오염 최소화, 투과효율의 극대화를 이루어 오폐수의 유기물 및 질소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유입수 부하변동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크린조(12), 유량조정조(13)와 원수펌프(14)에 의하여 정량 이송되는 원수와 반송펌프(19)에 의하여 반송되는 처리 오폐수의 오니 등을 탈질화시키는 제1 반응조의 무산소조(15), 유입수의 유입량, 유기물 농도 및 성상 등의 유입 부하변동에 따라 운전(폭기, 흡인) 및 정지 등의 시간간격을 자동으로 단축하거나 연장시켜 능동적으로 간헐운전시키는 방법을 채용하고, 침지형 정밀여과막(20)으로 고액분리하며, 유기물 분해 및 질산화, 막세정을 수행하는 막분리 폭기조(17)가 순차로 배열 형성되고, 막분리 폭기조(17)에서 처리된 처리수(22)를 흡인 배출하는 흡인펌프(21)가 연결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유입수 부하변동에 따른 간헐운전방식의 침지형 막분리 활성슬러지 오폐수 처리 시스템{Intermittent operating phase submerged membrane bioreactor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유입수 부하변동에 따른 간헐운전방식의 침지형 막분리 활성슬러지 오폐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히는 생물학적 처리와 침지형 정밀여과막 처리공정을 병용하여 질산화 및 탈질화를 수행하는 간헐 폭기방식의 유기성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유입원수의 유입량, 농도 및 특성 등의 유입 부하변동에 따라 운전(폭기, 흡인) 및 정지 등의 시간간격을 자동으로 단축하거나 연장시켜 제어함으로써, 막의 오염 최소화, 투과효율의 극대화를 이루어 오폐수의 유기물 및 질소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유입수 부하변동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자동제어 간헐운전방식의 침지형 막분리 활성슬러지 오폐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폐수 중에 함유된 유기물과 입자성 물질의 처리를 위한 공정으로서, 활성슬러지법과 같은 종래의 전통적인 생물학적 오폐수 처리 공정은, 마무리 공정인 고액분리를 최종 침강지에 있어서 중력침강 등의 방법에 의하여 수행하여 왔기 때문에, 활성오니의 성상 등 조건의 변화에 따른 처리수 수질의 심한 변동, 긴 체류시간과 넓은 부지면적의 소요 등의 문제점이 있어서 생물반응조내에 막을 침적하고 직접 여과처리하여 처리수를 얻는 방법으로 막분리 활성오니법이 창안되었는데, 본 출원인의 선발명 출원인 특허출원번호 제99-31183호 "간헐폭기공정과 평판형 정밀여과막을 이용한 유기물 및 질소, 인의 제거방법" 에서는 기존 활성오니 폭기조를 분할하여 1, 2반응조로 분리하고 0.4 ㎛이상의 활성슬러지 분리에 적합하고 투과유속이 큰 침지형 정밀여과막을 이용하였으며, 제 1 반응조를 간헐폭기하므로서 폭기조와 무산소조로 형성하고, 제2 반응조를 평판형 정밀여과막의 모듈을 침지한 폭기조로서 운전함과 동시에 자연압 또는 저압으로 간헐 흡인하므로서, 막의 폐색을 감소시키고 시설공간의 최소화로 기존의 공정을 대폭 간소화함과 동시에 오폐수에 함유된 영양물질, 즉 질소·인을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호기성과 무산소 조건을 이용하여 질산화와 탈질산화 반응을 수행하고, 유기물과 영양원을 제거하기 위한 간헐폭기공정의 오폐수 처리장치는 일정용량으로 고정되는 오폐수 처리장치의 설계 특성상 원수 유입량의 설계용량보다 실제 유입량이 30-100 %로 유입됨에 따라 유입수 성상에 관계없이 폭기와 비폭기 상태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조절하는 종래의 막분리 공법의 운전 특성상 흡인시 장기간의 연속 폭기와 중단으로 과폭기 및 산소 고갈의 반복 현상으로 인한 막투과 효율의 저하 및 이로 인한 처리 수질의 불안정, 막수명 단축에 따른 경제성 등의 취약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유입되는 오폐수를 제 1 반응조인 무산소조에서 탈질화를 유도하고 제 2 반응조인 막분리 폭기조에서 막세정과 유기물 분해, 질산화에 필요한 공기를 폭기함과 동시에 흡인펌프를 이용하여 막분리를 수행하는 간헐운전방식의 유기성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유입원수의 유입량, 유기물 농도 및 성상 등의 유입 부하변동에 따라 운전(폭기, 흡인) 및 정지 등의 시간간격을 자동으로 단축하거나 연장시켜 제어함으로써, 막의 오염 최소화, 투과효율의 극대화를 이루어 오폐수의 유기물 및 질소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저부하 운전조건 등 유입수 부하변동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간헐운전방식의 침지형 막분리 활성슬러지 오폐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공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원수 12:스크린조
13:유량조정조 14:원수펌프
15:무산소조 16:교반기
17:막분리 폭기조 18:송풍기
19:반송펌프 20:정밀여과막
21:흡인펌프 22:처리수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간헐폭기방식의 침지형 막분리 활성슬러지 오폐수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유입되는 오폐수 원수(11)의 협잡물과 불순물을 1차로 여과하는 망스크린 등의 스크린조(12), 스크린조(12)에서 스크리닝된 원수를 집수 저장하여 피크부하를 흡수하는 유량조정조(13)와 상기 유량조정조(13)의 저면에 침지 장착된 원수펌프(14)에 의하여 펌핑되어 정량 이송되는 원수와 반송펌프(19)에 의하여 후단의 막분리 폭기조(17)에서 반송되는 처리 오폐수의 오니 등을 교반기(16)로 회전 혼합하여 탈질화시키는 제1 반응조인 무산소조(15), 유입수의 유입량, 유기물 농도 및 성상 등의 유입 부하변동에 따라 운전(폭기, 흡인) 및 정지 등의 시간간격을 자동으로 단축하거나 연장시켜 능동적으로 간헐운전시키는 방법을 채용하고, 중공사막이나 평판형으로 된 침지형 정밀여과막(20)이 침지되고 송풍기(18)로 생물학적 처리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받아 정밀여과막(20)으로 고액분리하며, 유기물 분해 및 질산화, 막세정을 수행하는 제2 반응조의 막분리 폭기조(17)가 순차로 배열 형성되고, 막분리 폭기조(17)에서 처리된 처리수(22)를 흡인 배출하는 흡인펌프(21)가 연결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유입되는 오폐수 원수(11)를 스크린조(12)를 통과시켜 유량조정조(13)에 저장을 한 후, 제1 반응조인 무산소조(15)에 유입하여 탈질화를 유도하고, 제 2 반응조인 막분리 폭기조(17)에서 막세정과 유기물 분해, 질산화에 필요한 공기를 폭기함과 동시에 흡인펌프(21)를 이용하여 막분리를 수행하고, 처리수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막분리 폭기조(15)의 폭기와 막분리 공정의 운전과 정지를 반복하는 간헐 운전을 원수의 유입량, 농도 및 성상에 따라 제어 프로그램에 따른 타이머(미도시함)로 조절하므로서, 제2 반응조인 막분리 폭기조(15)의 미생물 상태를 최적으로 유지하므로서, 막의 오염 최소화와 투과효율 극대화로 막수명 연장과 안정된 처리수를 얻는데 있는 것으로서, 제2 반응조인 막분리 폭기조(17)에서는 제1 반응조인 무산소조(15)로 약 2-4Q의 반송을 하므로서, 유기물 및 질소, 인의 제거에 최상의 운전조건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헐 폭기 운전은 일정용량으로 고정된 오폐수 처리시설에 원수유입량의 설계용량보다 실제 유입량이 30-100% 수준으로 유입됨에 따라 종래의 폭기와 비폭기 상태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조절 운전하는 방법에 의하여 야기되는 흡인시 장시간의 연속 폭기와 중단으로 과폭기 및 산소 고갈의 반복 현상, 즉 100% 원수 유입시에는 유기물의 연속 공급으로 과폭기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적정 DO(용존산소량)는 1.5-3이며, 1시간 이상 연속 폭기시 DO는 6이상이고, 정지시 DO는 0으로 저하되어 폭기조 상태가 불량하게 되며, 막분리 공정의 특성상 저농도 오폐수인 경우 유기물 분해에 필요한 공기 공급량보다 막세정을 위한 공기 공급량이 약 2배이상 많게 되어 막투과효율의 저하 및 처리수질의 불안정, 막수명 단축에 의한 경제적인 문제점을 개선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처리 공정으로서 망스크린등의 여과수단으로 형성된 스크린조(12)는 유입되는 오폐수 원수(11)의 협잡물과 불순물을 1차로 여과하는 역할을 하며, 유량조정조(13)는 스크린조(12)에서 스크리닝된 원수를 집수 저장하여 피크부하를 흡수하는 것으로서, 원수 펌핑수단으로서 원수펌프(14)는 유량조정조(13) 저면부에 침지상태로 장착되며, 미도시한 공급 파이프로 후단의 무산소조(15)에 연결된다.
제1 반응조로서 무산소조(15)에는 교반수단으로서 회전축에 다수의 교반 날개가 장착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공지의 교반기(16)가 무산소조(15)의 상측에 장착되어 유입원수와 후단의 막분리 폭기조(17)에서 반송되는 혼합액을 교반하고, 인위적으로 형성시킨 무산소 조건으로 무산소 상태에서 탈질화시켜 질소성분이 제거되도록 한다.
제2 반응조인 막분리 폭기조(17)는 반송펌프(19)와 합성수지 재질의 친수화 된 중공사막 또는 평판형의 정밀여과막(20)이 침지되어 폭기수단인 송풍기(18)에 의하여 생물학적 처리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받아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고, 정밀여과막(20)에서 고액 분리가 일어나서 유기물 분해 및 질산화, 막세정 공정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처리수(22)는 흡인펌프(21)에 의하여 흡인 배출되며 반송펌프(19)는 질산화 및 활성화된 오니를 전단에 위치한 무산소조(15)로 반송하여 재순환시키는 반송공정을 수행하는데, 이때 막분리 폭기조(15)는 유입수의 유입량, 농도 및 성상에 따라 제어 프로그램에 따른 타이머(미도시함)로 폭기와 막분리 공정의 운전과 정지를 반복하는 간헐 운전으로 미생물 상태를 최적으로 유지하여 막의 오염 최소화와 투과효율 극대화로 막수명 연장과 안정된 처리수를 확보한다.
다음에 도시하는 표는 본 발명에 따른 간헐폭기방식 침지형 막분리 활성슬러지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폭기, 흡인 공정의 운전 실시예이다.
원수유입량(%) 종래 운전 방법 개선 방법
폭기, 흡인운전시간 (hr) 폭기, 흡인정지시간 (hr) 폭기, 흡인운전시간 (min.) 폭기, 흡인정지시간 (min.)
30 8 16 20 40
50 12 12 20 20
80 19.2 4.8 40 20
100 연속운전 - 연속운전 -
상기한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00% 원수 유입의 경우 연속 공급으로 과폭기가 발생하지 않으며, 원수 유입량에 적극적으로 대응시켜 간헐 운전하므로서 저부하하에서도 경제적인 운전을 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입원수의 유입량, 유기물 농도 및 성상 등의 유입 부하변동에 따라 운전(폭기, 흡인) 및 정지 등의 시간간격을 자동으로 단축하거나 연장시켜 제어함으로써, 막의 오염 최소화, 투과효율의 극대화를 이루어 오폐수의 유기물 및 질소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저부하 운전조건 등 유입수 부하변동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서 미생물 상태를 최적으로 유지하여 막의 오염 최소화와 투과효율 극대화로 막수명 연장과 안정된 처리수를 확보할 수 있다.

Claims (1)

  1. 유입되는 오폐수 원수(11)의 협잡물과 불순물을 1차로 여과하는 스크린조(12), 상기 스크린조(12)에서 스크리닝된 원수를 집수 저장하여 피크부하를 흡수하는 유량조정조(13), 상기 유량조정조(12)의 저면에 침지 장착된 원수 펌프(14)에 의하여 펌핑되어 정량 이송되는 처리원수와 반송펌프(19)에 의하여 후단의 막분리 폭기조(17)에서 반송되는 처리 오폐수의 오니 등을 교반기(16)로 회전 혼합하여 탈질화시키는 제1반응조인 무산소조(15), 제2반응조인 막분리 폭기조(17), 및 처리수를 흡인 배출하는 흡인펌프(21)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폭기와 막분리 공정의 운전과 정지가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는 간헐운전방식의 침지형 막분리 활성 슬러지 오폐수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폭기와 막분리 공정의 운전과 정지의 1회 반복에 소요되는 시간은 슬러지의 과폭기 또는 혐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2시간 이내로 하고,
    원수의 유입량이 20% 내지 40% 이내일 경우 20분동안 폭기와 흡인운전을 하고 40분동안 정지하도록 제어하며,
    원수의 유입량이 40% 내지 60%일 경우 40분동안 폭기와 흡인운전을 하고 40분동안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원수의 유입량이 60% 내지 90%일 경우 40분동안 폭기와 흡인운전을 하고 20분동안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수 부하변동에 따른 자동제어 간헐폭기방식의 침지형 막분리 활성슬러지 오폐수 처리 시스템.
KR10-2002-0065900A 2002-10-28 2002-10-28 유입수 부하변동에 따른 간헐운전방식의 침지형 막분리활성슬러지 오폐수 처리 시스템 KR100400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900A KR100400358B1 (ko) 2002-10-28 2002-10-28 유입수 부하변동에 따른 간헐운전방식의 침지형 막분리활성슬러지 오폐수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900A KR100400358B1 (ko) 2002-10-28 2002-10-28 유입수 부하변동에 따른 간헐운전방식의 침지형 막분리활성슬러지 오폐수 처리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864U Division KR200290126Y1 (ko) 2002-07-03 2002-07-03 유입수 부하변동에 따른 간헐운전방식의 침지형 막분리활성슬러지 오폐수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255A KR20020089255A (ko) 2002-11-29
KR100400358B1 true KR100400358B1 (ko) 2003-10-08

Family

ID=27729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900A KR100400358B1 (ko) 2002-10-28 2002-10-28 유입수 부하변동에 따른 간헐운전방식의 침지형 막분리활성슬러지 오폐수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03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008B1 (ko) * 2012-11-05 2013-11-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막결합형 혐기하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667932B1 (ko) 2014-02-14 2016-10-2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막증류 결합형 혐기하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667931B1 (ko) 2014-02-14 2016-10-2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막증류 결합형 유동상 혐기하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8600A (ja) * 1990-08-28 1992-04-09 Kubota Corp 間欠曝気式活性汚泥処理方法
JPH1085788A (ja) * 1996-07-23 1998-04-07 Hitachi Zosen Corp 硝化脱窒方法
JPH1157772A (ja) * 1997-08-21 1999-03-02 Inax Corp 排水処理方法
KR19990064409A (ko) * 1998-12-30 1999-08-05 장병규 고도처리용 침지형 막분리공정을 이용한 합병정화장치 및 방법
JPH11290889A (ja) * 1998-04-07 1999-10-26 Kurita Water Ind Ltd 有機性廃水の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8600A (ja) * 1990-08-28 1992-04-09 Kubota Corp 間欠曝気式活性汚泥処理方法
JPH1085788A (ja) * 1996-07-23 1998-04-07 Hitachi Zosen Corp 硝化脱窒方法
JPH1157772A (ja) * 1997-08-21 1999-03-02 Inax Corp 排水処理方法
JPH11290889A (ja) * 1998-04-07 1999-10-26 Kurita Water Ind Ltd 有機性廃水の処理方法
KR19990064409A (ko) * 1998-12-30 1999-08-05 장병규 고도처리용 침지형 막분리공정을 이용한 합병정화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255A (ko) 200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08694B2 (ja) 水処理方法および装置
US7276155B1 (en) Waste treatment apparatus with integral membrane apparatus
KR101494398B1 (ko) 침지형분리막을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JP4059790B2 (ja) 膜分離活性汚泥処理装置及び膜分離活性汚泥処理方法
KR101292736B1 (ko) 하수고도처리공법
KR20150144682A (ko) 침지형분리막을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KR100294075B1 (ko) 침출수처리방법및장치
JP2009061349A (ja) 膜分離活性汚泥法による汚水処理方法
EP2049443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 clarification and endogenous post denitrification
KR101367229B1 (ko) 침수식 막 고도처리공정의 운전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한 침수식 막 고도처리장치
KR100540986B1 (ko) 분리막을 이용한 하폐수고도처리장치
KR100400358B1 (ko) 유입수 부하변동에 따른 간헐운전방식의 침지형 막분리활성슬러지 오폐수 처리 시스템
KR101044826B1 (ko) 막 여과 생물반응조의 고도처리 효율을 높이는 운전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고도처리장치
CN112678951A (zh) 废水处理系统
JP6941439B2 (ja) 膜分離活性汚泥処理装置、膜分離活性汚泥処理方法及び原水供給装置
JP2012024725A (ja) 汚水処理装置
KR100414610B1 (ko) 분리막 생물 반응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KR200290126Y1 (ko) 유입수 부하변동에 따른 간헐운전방식의 침지형 막분리활성슬러지 오폐수 처리 시스템
JPH11104698A (ja) 排水処理方法
KR20070011864A (ko) 침지식 분리막과 황탈질 공정을 이용한 오ㆍ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20030097075A (ko) 생물막활성탄과 마이크로필터모듈을 이용한 오·폐수고도처리장치
KR20040020325A (ko) 분리막을 이용한 중수도 처리방법
RU2644904C1 (ru) Способ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от азотно-фосфорных и органических соединений
JPH09253687A (ja) 排水の嫌気・好気処理装置
KR102059988B1 (ko)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