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692B1 - 무선 장치 및 그 안테나 지향성의 캘리브레이션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장치 및 그 안테나 지향성의 캘리브레이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692B1
KR100399692B1 KR10-2001-7012421A KR20017012421A KR100399692B1 KR 100399692 B1 KR100399692 B1 KR 100399692B1 KR 20017012421 A KR20017012421 A KR 20017012421A KR 100399692 B1 KR100399692 B1 KR 100399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circuit
calculating
inform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0464A (ko
Inventor
요시하루 도이
도시노리 이이누마
야스노리 아까쯔까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10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6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67Phased-array testing or chec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03Software-defined radio [SDR] systems, i.e. systems wherein components typically implemented in hardware, e.g. filters or modulators/demodulators, are implented using software, e.g. by involving an AD or DA conversion stage such that at least part of the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digital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0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measurement of specific parameters of the transmitter or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1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calibration; for correcting measu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장치는 안테나(104), 안테나를 공용하는 송신 회로 (102) 및 수신 회로(105)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캘리브레이션 시에, 상기 송신 회로의 출력을 상기 송신 회로 및 상기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을 산출하기 위한 상기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한다. 상기 장치는 기준 신호를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한다.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를 보정하는 보정치를 산출한다.

Description

무선 장치 및 그 안테나 지향성의 캘리브레이션 방법{RADIO DEVICE AND METHOD OF CALIBRATION OF ANTENNA DIRECTIVITY}
최근, 휴대 전화 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기지국으로서,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한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이 실용화되어 있다. 이러한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의 동작 원리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다음 문헌에 설명되어 있다.
B. Widrow, et al.: "Adaptive Antenna Systems", Proc. IEEE, vol. 55, No. 12, pp. 2143-2159(Dec. 1967).
S. P. Applebaum: "Adaptive Arrays", IEEE Trans. Antennas Propag., vol. AP-24, No. 5, pp. 585-598(Sept. 1976).
O. L. Frost, Ⅲ: "Adaptive Least Squares Optimization Subject to Linear Equality Constraints", SEL-70-055, Technical Report, No. 6796-2, Information System Lab., Stanford Univ.(Aug. 1970).
B. Widrow and S. D. Stearns: "Adaptive Signal Processing",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1985).
R. A. Monzingo and T. W. Miller: "Introduction to Adaptive Arrays", John Wiley Sons, New York(1980).
J. E. Hudson: "Adaptive Array Principles", Peter Peregrinus Ltd., London(1981).
R. T. Compton, Jr.: "Adaptive Antennas-Concepts and Performance",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1988).
E. Nicolau and D. Zaharia: "Adaptive Arrays", Elsevier, Amsterdam (1989).
도 16은 이러한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의 동작 원리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에 있어서, 하나의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1)은 n개의 안테나 #1, #2, #3, …, #n으로 이루어진 어레이 안테나(2)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전파가 도달하는 범위를 제1 사선 영역(3)으로 나타낸다. 한편, 인접한 다른 무선 기지국(6)의 전파가 도달하는 범위를 제2 사선 영역(7)으로 나타낸다.
영역(3) 내에서, 사용자 A의 단말기인 휴대 전화기(4)와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1) 사이에서 전파 신호의 송수신이 행해진다(화살표 5). 한편, 영역(7) 내에서 다른 사용자 B의 단말기인 휴대 전화기(8)와 무선 기지국(6) 사이에서 전파 신호의 송수신이 행해진다(화살표 9).
여기서, 때때로 사용자 A의 휴대 전화기(4)의 전파 신호의 주파수와 사용자 B의 휴대 전화기(8)의 전파 신호의 주파수가 같을 때, 사용자 B의 위치에 따라서사용자 B의 휴대 전화기(8)로부터의 전파 신호가 영역(3) 내에서 불필요한 간섭 신호가 되고, 사용자 A의 휴대 전화기(4)와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1) 사이의 전파 신호에 혼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 A 및 B의 쌍방으로부터의 혼합된 전파 신호를 수신한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1)에서는 어떠한 처리를 실시하지 않으면, 사용자 A 및 B의 쌍방으로부터의 신호가 섞인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본래 통화해야 할 사용자 A의 통화가 방해된다.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1)에서는 이 사용자 B로부터의 신호를 출력 신호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처리를 행하고 있다. 도 17은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1)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우선, 사용자 A로부터의 신호를 A(t), 사용자 B로부터의 신호를 B(t)로 하면, 도 16의 어레이 안테나(2)를 구성하는 제1 안테나 #1에서의 수신 신호 x1(t)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a1, b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계수이다.
다음으로, 제2 안테나 #2에서의 수신 신호 x2(t)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a2, b2도 마찬가지로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계수이다.
다음으로, 제3 안테나 #3에서의 수신 신호 x3(t)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a3, b3도 마찬가지로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계수이다.
마찬가지로, 제n 안테나 #n에서의 수신 신호 xn(t)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an, bn도 마찬가지로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계수이다.
상기한 계수 a1, a2, a3, …, an은 사용자 A로부터의 전파 신호에 대하여, 어레이 안테나(2)를 구성하는 안테나 #1, #2, #3, …, #n의 각각의 상대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예를 들면, 각 안테나끼리는 상호 전파 신호의 파장의 5배, 즉 1m 정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음), 각각의 안테나에서의 수신 강도에 차가 생기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한 계수 b1, b2, b3, …, bn도 마찬가지로, 사용자 B로부터의 전파 신호에 대하여, 안테나 #1, #2, #3, …, #n의 각각에서의 수신 강도에 차가 생기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각 사용자는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계수는 실시간으로 변화한다.
각각의 안테나로 수신된 신호 x1(t), x2(t), x3(t), …, xn(t)은 대응하는 스위치(10-1, 10-2, 10-3, …, 10-n)를 통해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1)을 구성하는 수신부(1R)에 들어가서 웨이트 벡터 제어부(11)에 부여됨과 함께, 대응하는 승산기(12-1, 12-2, 12-3, …, 12-n)의 한쪽 입력에 각각 부여된다.
이들 승산기의 다른 쪽 입력에는 웨이트 벡터 제어부(11)로부터 각각의 안테나에서의 수신 신호에 대한 가중치 w1, w2, w3, …, wn이 인가된다. 이들 가중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웨이트 벡터 제어부(11)에 의해 실시간으로 산출된다.
따라서, 안테나 #1에서의 수신 신호 x1(t)은 승산기(12-1)를 거쳐 w1×(a1 A(t)+b1B(t))이 되고, 안테나 #2에서의 수신 신호 x2(t)는 승산기(12-2)를 거쳐 w2×(a2A(t)+b2B(t))이 되고, 안테나 #3에서의 수신 신호 x3(t)은 승산기(12-3)를 거쳐 w3×(a3A(t)+b3B(t))이 되고, 또한 안테나 #n에서의 수신 신호 xn(t)은 승산기(12-n)를 거쳐 wn×(anA(t)+bnB(t))가 된다.
이들 승산기(12-1, 12-2, 12-3, …, 12-n)의 출력은 가산기(13)로 가산되고, 그 출력은 다음과 같다:
w1(a1A(t)+b1B(t))+w2(a2A(t)+b2B(t))+w3(a3A(t)+b3B(t))+…+wn(anA(t)+bnB(t))
이를 신호 A(t)에 관한 항과 신호 B(t)에 관한 항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w1a1+w2a2+w3a3+…+wnan)A(t)+(w1b1+w2b2+w3b3+…+wnbn)B(t)
여기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1)은 사용자 A, B를 식별하고, 원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만을 추출할 수 있도록 상기 가중치 w1, w2, w3, …, wn을 계산한다. 예를 들면, 도 17의 예에서는 웨이트 벡터 제어부(11)는 본래 통화해야 할 사용자 A로부터의 신호 A(t)만을 추출하기 위해서, 계수 a1, a2, a3, …, an, b1, b2, b3, …, bn을 상수라고 간주하고, 신호 A(t)의 계수가 전체로서 1, 신호 B(t)의 계수가 전체로서 0이 되도록, 가중치 w1, w2, w3, …, wn을 계산한다.
즉, 웨이트 벡터 제어부(11)는 하기의 연립 1차 방정식을 풀음으로써 신호 A(t)의 계수가 1, 신호 B(t)의 계수가 0이 되는 가중치 w1, w 2, w3, …, wn을 실시간으로 산출한다:
w1a1+w2a2+w3a3+…+wnan=1
w1b1+w2b2+w3b3+…+wnbn=0
이 연립 1차 방정식의 해법 설명은 생략하지만, 먼저 열거한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대로 주지이고, 실제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에 있어서 이미 실용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중치 w1, w2, w3, …, wn을 설정함으로써, 가산기(13)의 출력 신호는 다음과 같다.
출력 신호=1×A(t)+0×B(t)=A(t)
또, 상기한 사용자 A, B의 식별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도 18은 휴대 전화기의 전파 신호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휴대 전화기의 전파 신호는 크게는 무선 기지국에 있어서 기지의 신호 계열로 이루어진 프리앰플과, 무선 기지국에 있어서 미지의 신호 계열로 이루어진 데이터(음성 등)로 구성된다.
프리앰블의 신호 계열은 사용자가 무선 기지국에 있어서 통화해야 할 원하는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분별하기 위한 정보의 신호 계열을 포함하고 있다.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1)의 웨이트 벡터 제어부(11: 도 17)는 메모리(14)로부터 추출한 사용자 A에 대응한 트레이닝 신호와, 수신한 신호 계열을 대비하고, 사용자 A에 대응하는 신호 계열을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신호를 추출하도록 웨이트 벡터제어(가중치의 결정)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추출된 사용자 A의 신호는 출력 신호 SRX(t)로서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1)으로부터 외부 출력된다.
한편, 도 17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입력 신호 STX(t)은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1)을 구성하는 송신부(1T)에 들어가서, 승산기(15-1, 15-2, 15-3, …, 15-n)의 한쪽 입력에 주어진다. 이들 승산기의 다른 쪽 입력에는 각각 웨이트 벡터 제어부(11)에 의해 먼저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된 가중치 w1, w2, w3, …, wn이 복사되어 인가된다.
이들 승산기에 의해 웨이트된 입력 신호는 대응하는 스위치(10-1, 10-2, 10-3, …, 10-n)를 통해 대응하는 안테나 #1, 안테나 #2, 안테나 #3, …, #n으로 보내지고, 도 16의 영역(3) 내에 송신된다.
여기서, 수신 시와 동일한 어레이 안테나(2)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신호에는 수신 신호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A를 타겟으로 하는 웨이트되어 있기 때문에, 송신된 전파 신호는 마치 사용자 A에 대한 지향성을 갖는 것처럼 사용자 A의 휴대 전화기(4)에 의해 수신된다. 도 19는 이러한 사용자 A와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 (1) 사이에서의 전파 신호의 수수를 이미지화한 도면이다. 현실적으로 전파가 도달하는 범위를 나타내는 도 16의 영역(3)에 대비하여, 도 19의 가상 영역(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1)으로부터는 사용자 A의 휴대 전화기(4)를 타겟으로 하여 지향성을 동반하여 전파 신호가 날려지고 있는 상태가 이미지화된다.
그런데, 원하는 사용자와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1) 사이에서 이러한 지향성을 수반한 전파 신호의 송수신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1)에 있어서 가중치 w1, w2, w3, …, wn이 엄밀히 산출되고, 수신부(1R)와 송신부(1T)에서 수신 신호 및 송신 신호에 대하여 동등하게 웨이트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가령 웨이트의 제어가 완전하게 이루어졌다고 해도, 수신 신호에 대하여 송신 신호의 전송 특성이 변화하여, 목표를 향해 송신 신호를 날릴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한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1)에 있어서, 스위치 (10-1, 10-2, 10-3, …, 10-n) 및 수신부(1R)가 대응하는 승산기(12-1, 12-2, 12-3, …, 12-n) 사이의 거리와, 스위치(10-1, 10-2, 10-3, …, 10-n) 및 송신부(1T)가 대응하는 승산기(15-1, 15-2, 15-3, …, 15-n) 사이의 거리는 일반적으로 완전하게 동일하지 않다. 이들 거리에 차가 있으면, 각 안테나로 송수신되는 수신 신호와 송신 신호 사이에 위상 회전량의 차, 진폭 변동량의 차 등이 생기고, 타겟이 되는 사용자와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 사이에서 양호한 지향성을 갖아 전파 신호의 송수신을 행할 수 없게 된다.
특히, 도 17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통상은 스위치(10-1, 10-2, 10-3, …, 10-n)와 수신부(1R)가 대응하는 승산기 사이의 경로는 각각 필요한 수신 회로를 포함하고, 이들 스위치와 송신부(1T)가 대응하는 승산기 사이의 경로는 각각 필요한 송신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수신 회로와 송신 회로는 물리적으로 다른 회로로서, 이들 회로를 구성하는 증폭기, 필터, 믹서 등의 특성에 의해서도 각 안테나로 송수신되는 수신 신호와 송신 신호 사이에 위상 회전량의 차, 진폭 변동량의 차 등이 발생된다. 예를 들면, 수신 회로에 포함되는 LNA(Low Noise Amplifier), 송신 회로에 포함되는 HPA(High Power Amplifier) 등의 특성의 개체 차, 온도 변화 등에 의해 위상 회전이나 진폭 변동이 발생된다.
따라서,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1)에서는 어레이 안테나(2)를 구성하는 각 안테나별 수신 회로의 위상 회전량, 진폭 변동량 등의 전송 특성과, 송신 회로의 위상 회전량, 진폭 변동량 등의 전송 특성을 산출하여 그 차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종래는 이들 전송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회로가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에 별도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의 회로 구성이 대형화 및 복잡화하고, 비용도 비싸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특별한 측정 회로를 설치하지 않고, 간단하고 또한 염가인 구성으로 수신 회로 및 송신 회로의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차를 산출하고, 보정할 수 있는 무선 장치 및 그 안테나 지향성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 지향성의 캘리브레이션이 가능한 무선 장치는 안테나와, 신호의 송수신 시에 안테나를 공용하는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와, 소정의 기준 신호를 발생하는 기준 신호 발생기와, 캘리브레이션 시에 송신 회로의 출력 또는 기준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는 전환 수단과, 송신 회로에 송신 신호를 공급하고, 또한 수신 회로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취하며, 송신 회로 및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는 송신 신호의 송신 지향성을 제어하고, 또한 안테나 및 수신 회로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수신 지향성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를 보정하는 보정치를 산출하는 연산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연산 수단은 캘리브레이션 시에 송신 회로의 출력을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도록 전환 수단을 제어하여,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1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과, 캘리브레이션 시에 기준 신호를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도록 전환 수단을 제어하여,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2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과, 제1 정보로부터 제2 정보를 감산함으로써 송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3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과, 제2 정보 및 제3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치를 산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를 안테나 지향성 제어에 반영시켜서 지향성 오차를 보정하는 캘리브레이션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안테나 지향성의 캘리브레이션이 가능한 무선 장치는 여러개의 무선 시스템을 구비하고, 무선 시스템의 각각은 안테나와, 신호의 송수신 시에 안테나를 공용하는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와, 소정의 기준 신호를 발생하는 기준 신호 발생기와, 캘리브레이션 시에 송신 회로의 출력 또는 기준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는 전환 수단과, 송신 회로에 송신 신호를 공급하고, 또한 수신 회로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취하며, 송신 회로 및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는 송신 신호의 송신 지향성을 제어하고, 또한 안테나 및 수신 회로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수신 지향성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를 보정하는 보정치를 산출하는 연산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연산 수단은 캘리브레이션 시에 송신 회로의 출력을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도록 전환 수단을 제어하여,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1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과, 캘리브레이션 시에 기준 신호를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도록 전환 수단을 제어하여,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2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과, 제1 정보로부터 제2 정보를 감산함으로써, 송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3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과, 제2 정보 및 제3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치를 산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여러개의 무선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무선 장치에 있어서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를 안테나 지향성 제어에 반영시켜서 지향성 오차를 보정하는 캘리브레이션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안테나 지향성의 캘리브레이션이 가능한무선 장치는 소정의 기준 신호를 발생하는 기준 신호 발생기와, 여러개의 무선 시스템을 구비하고, 무선 시스템의 각각은 안테나와, 신호의 송수신 시에 안테나를 공용하는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와, 캘리브레이션 시에 송신 회로의 출력 또는 기준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는 전환 수단과, 송신 회로에 송신 신호를 공급하고, 또한 수신 회로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취하며, 송신 회로 및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는 송신 신호의 송신 지향성을 제어하고, 또한 안테나 및 수신 회로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수신 지향성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를 보정하는 보정치를 산출하는 연산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연산 수단은 캘리브레이션 시에 송신 회로의 출력을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도록 전환 수단을 제어하여,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1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과, 캘리브레이션 시에 기준 신호를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도록 전환 수단을 제어하여,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2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과, 제1 정보로부터 제2 정보를 감산함으로써, 송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3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과, 제2 정보 및 제3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치를 산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준 신호 발생기와 여러개의 무선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무선 장치에 있어서,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를 안테나 지향성 제어에 반영시켜서 지향성 오차를 보정하는 캘리브레이션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은 기준 신호 발생기로부터 전환 수단까지의 경로를 통과하는 기준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사전에 검출된 제4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수단과, 기준 신호 발생기로부터 전환 수단을 통해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기준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5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과, 제5 정보로부터 제4 정보를 감산함으로써 제2 신호를 산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기준 신호 발생기로부터 전환 수단까지의 경로를 통과하는 기준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을 사전에 검출해 둠으로써 회로를 통과하는 기준 신호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을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은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을 소정 횟수 산출하여 그 평균값을 이용하여 제1 정보로서 공급하고, 제5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은 기준 신호 발생 회로로부터 전환 수단을 통해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기준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을 소정 횟수 산출하여 그 평균값을 제5 정보로서 공급한다.
따라서, 평균화 처리에 의해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수단은 송신 회로에 공급하는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를 순차 변경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연산 수단은 다른 송신 주파수의 송신 신호별 보정치를 산출한다.
따라서,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의 위상·진폭 특성은 송신 주파수에 의존하기 때문에, 복수의 주파수에 있어서의 측정에 의해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연산 수단은 다른 송신 주파수의 송신 신호마다 산출된 보정치에 기초하여 내삽 보완에 의해 다른 송신 주파수의 송신 신호에 있어서의 보정치를 산출하는 보완 처리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측정해야 할 주파수가 많은 경우, 대표적인 주파수로 측정을 행하여 그 결과에 기초하여 내삽 보완을 행함으로써, 필요한 모든 주파수에 있어서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수단은 송신 회로에 공급하는 송신 신호의 송신 파워를 순차 변경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연산 수단은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별 보정치를 산출한다.
따라서,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의 위상·진폭 특성은 송신 파워에 의존하기 때문에, 복수의 송신 파워에 있어서의 측정에 의해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연산 수단은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마다 산출된 보정치에 기초하여 내삽 보완에 의해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에 있어서의 보정치를 산출하는 보완 처리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측정해야 할 송신 파워가 많은 경우, 대표적인 송신 파워로 측정을 행하여 그 결과에 기초하여 내삽 보완을 행함으로써, 필요한 모든 송신 파워에 있어서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수단은 송신 회로에 공급하는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 및 송신 파워를 순차 변경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연산 수단은 다른 송신 주파수 및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별 보정치를 산출한다.
따라서,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의 위상·진폭 특성은 송신 주파수 및 송신 파워에 의존하기 때문에, 복수의 송신 주파수 및 복수의 송신 파워에 있어서의 측정에 의해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연산 수단은 다른 송신 주파수 및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마다 산출된 보정치에 기초하여 내삽 보완에 의해 다른 송신 주파수 및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에 있어서의 보정치를 산출하는 보완 처리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측정해야 할 송신 주파수 및 송신 파워가 많은 경우, 대표적인 송신 주파수 및 송신 파워로 측정을 행하여 그 결과에 기초하여 내삽 보완을 행함으로써, 필요한 모든 송신 주파수 및 송신 파워에 있어서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무선 장치에서의 안테나 지향성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무선 장치는 안테나와, 신호의 송수신 시에 안테나를 공용하는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와, 소정의 기준 신호를 발생하는 기준 신호 발생기와, 캘리브레이션 시에 송신 회로의 출력 또는 기준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는 전환 수단과, 송신 회로에 송신 신호를 공급하고, 또한 수신 회로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취하며, 송신 회로 및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는 송신 신호의 송신 지향성을 제어하고, 또한 안테나 및 수신 회로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수신 지향성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캘리브레이션 시에 송신 회로의 출력을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도록 전환 수단을 제어하여,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1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캘리브레이션 시에 기준 신호를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도록 전환 수단을 제어하여,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2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제1 정보로부터 제2 정보를 감산함으로써, 송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3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제2 정보 및 제3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를 보정하는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진폭 변동량의 차를 안테나 지향성 제어에 반영시켜서 지향성 오차를 보정하는 캘리브레이션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여러개의 무선 시스템을 구비한 무선 장치에서의 안테나 지향성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무선 시스템의 각각은 안테나와, 신호의 송수신 시에 안테나를 공용하는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와, 소정의 기준 신호를 발생하는 기준 신호 발생기와, 캘리브레이션 시에 송신 회로의 출력 또는 기준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 회로 입력에 접속하는 전환 수단과, 송신 회로에 송신 신호를 공급하고, 또한 수신 회로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취하며, 송신 회로 및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는 송신 신호의 송신 지향성을 제어하고, 또한 안테나 및 수신 회로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수신 지향성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캘리브레이션 시에 송신 회로의 출력을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도록 전환 수단을 제어하여,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1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캘리브레이션 시에 기준 신호를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도록 전환 수단을 제어하여,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2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제1 정보로부터 제2 정보를 감산함으로써, 송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3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제2 정보 및 제3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를 보정하는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여러개의 무선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무선 장치에 있어서,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를 안테나 지향성 제어에 반영시켜서 지향성 오차를 보정하는 캘리브레이션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소정의 기준 신호를 발생하는 기준 신호 발생기와, 여러개의 무선 시스템을 구비한 무선 장치에서의 안테나 지향성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무선 시스템의 각각은 안테나와, 신호의 송수신 시에 안테나를 공용하는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와, 캘리브레이션 시에 송신 회로의 출력 또는 기준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는 전환 수단과, 송신 회로에 송신 신호를 공급하고, 또한 수신 회로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취하며, 송신 회로 및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는 송신 신호의 송신 지향성을 제어하고, 또한 안테나 및 수신 회로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수신 지향성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캘리브레이션 시에 송신 회로의 출력을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도록 전환 수단을 제어하고,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1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캘리브레이션 시에 기준 신호를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도록 전환 수단을 제어하고,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2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제1 정보로부터 제2 정보를 감산함으로써, 송신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3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제2 정보 및 제3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를 보정하는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준 신호 발생기와 여러개의 무선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무선 장치에 있어서,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를 안테나 지향성 제어에 반영시켜서 지향성 오차를 보정하는 캘리브레이션이 가능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기준 신호 발생기로부터 전환 수단까지의 경로를 통과하는 기준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4 정보를 사전에 검출하여 기억하는 단계와, 기준 신호 발생기로부터 전환 수단을 통해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기준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5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제5 정보로부터 제4 정보를 감산함으로써 제2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기준 신호 발생기로부터 전환 수단까지의 경로를 통과하는 기준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을 사전에 검출해 둠으로써,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기준 신호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을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을 소정 횟수 산출하여그 평균값을 제1 정보로서 공급하고, 제5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기준 신호 발생기로부터 전환 수단을 통해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기준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을 소정 횟수 산출하여 그 평균값을 제5 정보로서 공급한다.
따라서, 평균화 처리에 의해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송신 회로에 공급하는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를 순차 변경하는 단계와, 다른 송신 주파수의 송신 신호별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의 위상·진폭 특성은 송신 주파수에 의존하기 때문에, 복수의 송신 주파수에 있어서의 측정에 의해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다른 송신 주파수의 송신 신호마다 산출된 보정치에 기초하여 내삽 보완에 의해 다른 송신 주파수의 송신 신호에 있어서의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측정해야 할 송신 주파수가 많은 경우, 대표적인 송신 주파수로 측정을 행하여 그 결과에 기초하여 내삽 보완을 행함으로써, 필요한 모든 송신 주파수에 있어서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송신 회로에 공급하는 송신 신호의 송신 파워를 순차 변경하는 단계와,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별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의 위상·진폭 특성은 송신 파워에 의존하기 때문에, 복수의 송신 파워에 있어서의 측정에 의해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마다 산출된 보정치에 기초하여 내삽 보완에 의해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에 있어서의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측정해야 할 송신 파워가 많은 경우, 대표적인 송신 파워로 측정을 행하여, 그 결과에 기초하여 내삽 보완을 행함으로써, 필요한 모든 송신 파워에 있어서,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송신 회로에 공급하는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 및 송신 파워를 순차 변경하는 단계와, 다른 송신 주파수 및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별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의 위상.진폭 특성은 송신 주파수 및 송신 파워에 의존하기 때문에, 복수의 송신 주파수 및 복수의 송신 파워에 있어서의 측정에 의해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다른 송신 주파수 및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마다 산출된 보정치에 기초하여 내삽 보완에 의해 다른 송신 주파수및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에 있어서의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측정해야 할 송신 주파수 및 송신 파워가 많은 경우, 대표적인 송신 주파수 및 송신 파워로 측정을 행하여 그 결과에 기초하여 내삽 보완을 행함으로써, 필요한 모든 송신 주파수 및 송신 파워에 있어서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 장치 및 그 안테나 지향성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에서 이용되는 무선 장치 및 그 안테나 지향성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장치에서의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차의 보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장치의 하드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장치의 루프백 모드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신 신호의 위상 및 진폭을 구하기 위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장치의 기준 신호 수신 모드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보정치 계산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보정치 계산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보정치 계산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보정치 계산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내삽 보완 방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보정치 계산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보정치 계산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보정치 계산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의한 보정치 계산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의한 내삽 보완 처리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
도 16은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의 기본 동작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17은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도 18은 휴대 전화기의 전파 신호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9는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과 사용자 사이의 전파 신호의 수수를 이미지화한 모식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장치에서의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차의 보정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블록도이다. 또, 도 1 및 후술하는 각 도면의 실시예에 나타낸 무선 장치는 예를 들면 도 16∼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을 구성하는 복수(n개)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복수의 신호 전송 시스템(이하, 무선 시스템이라 함)의 각 단위로서의(예를 들면 x번째의) 무선 장치이다.
도 1의 무선 장치에 있어서, 안테나 지향성 제어 회로로서 기능하는 프로세서(100)는 송신 지향성 계산부(100T) 및 수신 지향성 계산부(100R)를 포함하고, 이들은 각각 도 17에 도시한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의 송신부(1T) 및 수신부(1R)에 기본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도 1의 송신 지향성 계산부(100T)에서 송신 지향성이 계산되어 제어된 디지털 송신 신호는 도 17의 예에서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던 D/A 컨버터(101)에 의해 아날로그 송신 신호로 변환된다.
이 아날로그 송신 신호는 증폭기, 필터, 믹서 등에 의해 구성되는 송신 RF 회로[(x)102: x는 무선 시스템 x임을 나타냄]를 통해 필요한 처리가 실시된 후, 안테나 스위치(103)를 통해 안테나(104)로부터 송신된다.
또,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송신 회로」일 때, D/A 컨버터(101)의 출력으로부터 송신 RF 회로(102)를 통해 안테나 스위치(103)의 입력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경로 및 거기에 포함되는 부품 요소를 총칭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안테나(104)로 수신된 수신 신호는 안테나 스위치(103)를 통해 증폭기, 필터, 믹서 등으로 구성된 수신 RF 회로[(x)105]에서 필요한 처리가 실시된 후, 도 17의 예에서는 도시가 생략된 A/D 컨버터(106)에 의해 디지털 수신 신호로 변환된다.
이 디지털 수신 신호는 안테나 지향성 제어 회로로서 기능하는 프로세서 (100)의 수신 지향성 제어부(100R)에 의해 수취되고, 그 수신 지향성이 계산되어제어된다.
또,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수신 회로」일 때, 안테나 스위치(103)의 출력으로부터 수신 RF 회로(105)를 통해 A/D 컨버터(106)의 입력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경로 및 거기에 포함되는 부품 요소를 총칭하는 것으로 한다.
도 17에 관련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 지향성 계산부(100R)에 의해 계산된 웨이트 벡터의 복사 또는 외삽된 웨이트 벡터가 송신 지향성 계산부(100T)에 부여된다. 이에 따라, 송신 신호의 송신 지향성이 제어되고, 원하는 사용자와 무선 기지국 사이의 지향성을 따른 전파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도 1에 있어서, 4개의 무선 시스템중 x번째 무선 시스템(즉, x=1∼4)의 「송신 회로」의 위상 회전량을 Δθ_TXx, 진폭 변동량을 ΔAMP_TXx, 「수신 회로」의 위상 회전량을 Δθ_RXx, 진폭 변동량을 ΔAMP_RXx로 한다.
위상 회전량이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에서 같을 때, 다음이 성립한다.
또한, 진폭 변동량이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에서 같을 때, 다음이 성립한다.
이러한 이상적인 조건이 성립하면, 수신측에서 계산된 웨이트 벡터를 그대로송신측의 웨이트 벡터로 하면 정확한 송신 안테나 지향성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여러가지 특성 차에 의해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 사이에 위상 회전량의 차, 진폭 변동량의 차가 발생된다. 그리고, 정확한 안테나 지향성을 얻기 위해서는 이러한 위상 회전량의 차 및 진폭 변동량의 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치를 구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위상 회전량의 보정치를 θ_HOSEIx로 하면,
θ_HOSEIx=Δθ_RXx-Δθ_TXx, (x=1∼4)
로서 얻을 수 있다.
진폭 변동량의 보정치를 AMP_HOSEIx로 하면,
AMP_HOSEIx=ΔAMP_RXx÷ΔAMP_TXx, (x=1∼4)
로서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보정치를 이용하여 송신 신호의 송신 지향성을 보정함으로써 정확한 안테나 지향성을 얻을 수 있다.
즉, 송신 신호의 위상 회전량에 관해서는 다음의 보정이 행해진다.
θ_HOSEIx+Δθ_TXx=Δθ_RXx, (x=1∼4)
다음으로, 송신 신호의 진폭 변동량에 관해서는 다음의 보정이 행해진다.
AMP_HOSEIx×ΔAMP_TXx=ΔAMP_RXx, (x=1∼4)
이러한 위상 회전량의 보정치 θ_HOSEIx, 진폭 변동량의 보정치 AMP_HOSEIx는 프로세서(100) 내의 구성하는 보정 신호 생성 회로(100H)에 의해 생성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무선 장치의 하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프로세서(100)를 구성하는 신호 송신기(송신 지향성 계산부: 100T)로부터 송신된 디지털 송신 신호는 D/A 컨버터(101)에 의해 아날로그 송신 신호로 변환되고, 송신 RF 회로 x를 통해 안테나 스위치(103)의 한쪽 입력에 부여된다. 안테나 스위치(103)는 송신 RF 회로 x(102)의 출력 또는 수신 RF 회로 x(105)의 입력 중 어느 하나를 택일적으로 안테나(104)에 접속하고(정상의 송수신 시), 이후에 설명하는 캘리브레이션 시에는 송신 RF 회로 x(102)의 출력을 스트레이트로 수신 RF 회로 x (105)의 입력에 접속하도록 기능한다. 안테나 스위치(103)로부터의 신호는 수신 RF 회로 x(105)를 통해 A/D 컨버터 (106)에 의해 디지털 수신 신호로 변환되고, 프로세서(100)를 구성하는 신호 수신기(수신 지향성 계산부: 100R)에 부여된다.
또한, 송신 지향성 계산부(100T) 및 수신 지향성 계산부(100R)에서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는 메모리(100M)에 적절하게 기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기준 신호인 TX_sg(t)를 발생하는 기준 신호 발생기(107)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기준 신호 발생기(107)의 동작은 프로세서(100)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또한, 이 기준 신호 발생기(107)로부터 발생되는 기준 신호는 소정의 경로 및 스위치(108)를 통해 안테나(104)와 안테나 스위치(103)와의 접속부에 접속되어 있다(이 기준 신호 발생기(107)로부터의 경로는 가능한 안테나 스위치(103)에 가까운 부분에서 접속됨).
이 기준 신호 발생기(107)의 출력으로부터 안테나(104)에 접속되는 부위에 이르기까지의 경로의 기준 신호의 위상 회전량은 Δθ_SGx이고, 그 경로의 진폭 변동량은 ΔAMP_SGx이다.
또, 이 기준 신호 발생기(107)는 적응적 어레이 무선 장치와 같은 복수의 무선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무선 기지국의 각 무선 시스템마다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복수의 무선 시스템을 포함하는 무선 기지국 전체에 대하여 하나 설치되어도 좋다.
이하에 설명하는 보정치 산출을 위한 동작에 있어서, 송신 RF 회로 x의 입력을 스트레이트로 안테나 스위치(103)를 통과시켜서 수신 RF 회로 x(105)로 수신시키는 동작을 루프백 모드(loop back mode: LB 모드)라 하는 한편, 기준 신호 발생기(107)로부터 발생된 기준 신호를 스위치(108), 안테나(104) 및 안테나 스위치 (103)를 통해 수신 RF 회로 x(105)로 수신하는 동작을 기준 신호 수신 모드(SG 모드)라 칭한다.
우선, 루프백 모드에 의한 신호 측정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이러한 루프백 모드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루프백 모드에 있어서는 송신 RF 회로 x의 출력이 안테나 스위치(103)를 스트레이트로 통과하여 수신 RF 회로 x의 입력에 접속된다. 한편, 기준 신호 발생기(107)와 안테나(104)와의 경로에 설치된 스위치(108)는 열려 있으며, 기준 신호가 안테나 (104)에 인가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신호 송신기(100T)로부터 출력되어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를 통과한 신호가 신호 수신기(100R)에서 수신되고,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의 쌍방을 통과한 신호의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이 프로세서(100)에 의해 산출되어 메모리(100M)에 축적된다. 이하, 이러한 루프백 시스템 동작에있어서의 위상 회전량과 진폭 변동량의 계산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원 발명의 무선 장치를 구비한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의 안테나 소자 수를 N개로 하면, 각각의 안테나의 수신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여기서, RXj(t)는 j번째 안테나의 수신 신호를 나타낸다(j=1, 2, …, N)
Slb(t)는 송신 신호를 나타낸다.
hjlb는 j번째 안테나에 수신된 송신 신호의 복소 계수를 나타낸다.
nj(t)는 j번째 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잡음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수학식 1을 벡터 표기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t)는 입력 신호 벡터를 나타내고,
Hlb(t)는 송신 신호의 수신 신호 벡터를 나타내고,
N(t)는 잡음 벡터를 나타낸다.
여기서, [·]T는 [·]의 전치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00)에 있어서 상술한 입력 신호 벡터로 나타내는 수신 신호와, 기지의 송신 신호 Slb(t)를 곱셈하여 앙상블 평균(시간 평균)을 계산한다. 여기서, E[·]는 [·]의 시간 평균을 나타내고, S*(t)는 S(t)의 공액 복소수를 나타내고, 평균 시간이 충분히 긴 것으로 하면 다음이 얻어진다.
···(i)
평균 시간이 충분히 길면,
···(ii)
(Srxl(t)와 N(t) 잡음 신호에 상관이 없기 때문에)
···(iii)
상기 수학식 3의 (i), (ii), (iii)으로부터 송신 신호의 응답 벡터 Hlb
E[X(t)Slb(t)]=Hlb
일반적으로 Hlb는 복소수로 나타낸다.
Hlb=[h1lb, h2lb, …, hNlb]T
이 결과, 어떤 무선 시스템 x에서의 루프백 모드의 수신 신호의 위상 회전량 LB_θx와, 진폭 변동량 LB_AMPx는 도 4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이 구한다.
LB_AMPx=|hxlb
LB_θx=Tan-1(Im{hxlb}/Re{hxlb})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준 신호 수신 모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원의 도 5에 도시한 무선 시스템 x의 무선 장치에서는 송신 RF 회로 x의 입력이 어디에도 접속되어 있지 않은 데 반해, 프로세서(100)에 의해 제어되는 기준 신호 발생기(107)로부터의 기준 신호가 스위치(108), 안테나(104) 및 안테나 스위치(103)를 통해 수신 RF 회로 x(105)의 입력에 접속되어 있다. 이 기준 신호 발생기(107)로부터 상술한 송신 회로로부터의 송신 신호와 동일한 변조파가 출력되어 수신 회로에서 수신된 경우에는 상술한 앙상블 평균을 이용한 신호 처리에 의해 기준 신호의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이 계산된다. 한편, 기준 신호 발생기로부터 무변조파가 출력되고 수신 회로에서 수신된 경우의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계산 순서는 다음과 같다. 즉, 무변조파를 수신하여 다운 컨버트하면 x개로의 무선 시스템에 대한 각각의 수신 신호는 다음과 같다.
충분한 파워로 신호를 송출하면,
hilbni(t), (i=1, 2, …, N)이기 때문에,
Hlb=[h1lb, h2lb, …, hNlb]T=[RX1(t), RX2(t), …, RXN(t)]T
따라서, 기준 신호 수신 모드에서의 무선 시스템 x에서의 수신 신호의 위상 회전량 SG_θx와, 진폭 변동량 SG_AMPx는 다음 식에 기초하여 계산할 수 있고, 그 계산 결과는 프로세서(100)의 메모리(100M)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무선 장치에 의한 송수신 시스템의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보정치의 산출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보정치의 산출 방법은 개략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술한 루프백 모드의 동작에 의해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의 위상 회전량 및 송신 회전량을 산출하여 기억해 두고, 한편으로는기준 신호 수신 모드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의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을 산출하여 기억한다. 그리고, 기준 신호 수신 모드에 있어서의 위상 진폭량 및 진폭 변동량으로부터 기준 신호 발생기로부터 안테나 스위치까지의 경로에 있어서의 고정된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을 사전에 계측하여 감산함으로써, 「수신 회로」에 있어서 기준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을 산출하고, 이를 루프백 모드 동작에 의해 얻어진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으로부터 감산한다. 이에 따라, 「송신 회로」에 발생하는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을 얻을 수 있으며, 먼저 얻은 「수신 회로」의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으로부터 양자의 차를 산출하여, 「송신 회로」에 있어서의 송신 시의 보정치로서 이용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보정치의 계산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순서 1 테이블 작성]
이러한 보정치 산출 순서의 전 단계로서, 우선 기준 신호 발생기(107)의 출력으로부터 기준 신호의 경로가 안테나 스위치(103)에 접속하는 지점까지의 일정한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을 사전에 계측해 둘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계측은 제품의 출하 전에 한번 행해지는 것으로, 얻어진 결과는 사전에 메모리에 기억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무선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무선 기지국에 대하여 하나 또는 각 무선 시스템마다 설치되어 있는 기준 신호 발생기로부터 기준 신호의 경로의 안테나(104)로의 접합부까지의 Δθ_SGx, 진폭 변동량 ΔAMP_SGx를 사전에 출하 전에 옥내에서, 예를 들면 네트워크 애널라이저 등의 계측 장치를 이용하여측정하고, 기지의 값으로서 프로세서(100) 내의 메모리(100M)에 기록해 둔다.
···(1)
···(2)
[순서 2 측정 1=루프백 모드]
무선 기지국을 구성하는 모든 무선 시스템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루프백 동작 모드를 형성하고, 신호 송신기로부터 고정 송신 패턴의 송신 신호를 송신하고,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를 통해 신호 수신기로 수신함으로써,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의 총계(즉, D/A 컨버터(101)의 출력으로부터 A/D 컨버터(106)의 입력까지)에 있어서의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을 측정한다. 즉, 상술한 앙상블 평균을 이용한 연산 방법에 의해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을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3)
···(4)
[순서 3 측정 2=기준 신호 수신 모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신호 발생 회로(107)로부터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고, 지정한 「수신 회로」로 그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수신 회로」의 위상 회전량과 진폭 변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상술한 계산식에 의해 다음 결과를 얻을 수 있다.
···(5)
···(6)
[순서 4 계산]
루프백 모드 및 기준 신호 수신 모드의 2 종류의 측정에 의해 상기 (3)∼(6)의 4개의 식이 얻어지기 때문에, 이들 식으로부터 「송신 회로」의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을 계산에 의해 구하고, 또한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보정치를 구할 수 있다.
우선, 루프백 모드에 있어서의 위상 회전량으로부터 「수신 회로」의 위상 회전량을 감산하면 「송신 회로」의 위상 회전량이 구해진다.즉,
△θ_TXx = LB_θx - △θ_RXx = LB_θx - (SG_θx - △θ_SGx)
= LB_θx + △θ_SGx - SG_θx ···(7)
마찬가지로, 「송신 회로」에 있어서의 진폭 변동량은 루프백 모드에 있어서의 진폭 변동량을 「수신 회로」에 있어서의 진폭 변동량으로 제산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8)
따라서, 위상 회전량의 보정치 θ_HOSEIx=Δθ_RXx-Δθ_TXt로 나타내고, 여기에 식(5) 및 식(7)의 내용을 대입하면, θ_HOSEIx=(SG_θx-Δθ_SGx)-(LB_θx+Δθ_SGx-SG_θx)이 얻어진다.
식(8)을 정리하여, 최종적으로 다음식이 얻어진다.
···(9)
한편, 진폭 변동량의 보정치 AMP_HOSEIx=ΔAMP_RXx÷ΔAMP_TXx로 나타낸다. 여기서, 상술한 식(6) 및 식(8)을 대입하면, AMP_HOSEIx=(SG_AMPx÷ΔAMP _SGx)÷(LB_AMPx×ΔAMP_SGx÷SG_AMPx)가 된다. 이를 정리하면 최종적으로 다음 보정치가 구해진다.
···(10)
이러한 위상 회전량의 보정치 θ_HOSEIx 및 진폭 변동량의 보정치 AMP_HOSEIx의 계산은 현실적으로 프로세서(100)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행된다. 도 6 내지 도 9 및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보정치 계산 동작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하는 각각의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이하에 설명하는 각 실시예에 의한 보정치 계산 처리, 즉 안테나 지향성의 캘리브레이션은 적응적 어레이 무선 기지국의 동작 중에 있는 시간 간격으로, 예를 들면 1일에 수 회 정도, 자동 실행된다. 이는 1일 중에서도 시각에 따라 기온 등의 각종 조건이 변화하여 회로 소자의 특성 등도 이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이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준 신호 발생기(107)의 출력으로부터 안테나 (104)에 이르기까지의 기준 신호 경로에 있어서의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은 무선 장치의 출하 전에 측정 기기를 이용하여 사전에 측정되고, 연산 회로(100)의 메모리(100M)의 테이블에 기억된다[순서 1]. 이 측정 동작은 출하 전에만 행해지고, 각 캘리브레이션 시(보정치 계산 시)에는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이하에 설명하는 각 순서도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제1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보정치 계산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우선, 프로세서(100)에 의해 보정치 계산의 개시가 지시된다(단계 S1).
그리고, 프로세서(100)의 제어에 의해 상술한 루프백 모드의 접속 관계(도 3)가 실행되고, 신호 송신기(100T) 및 D/A 컨버터(101)로부터 신호가 송신된다(단계 S2).
송신된 신호는 루프백 모드로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의 쌍방을 통과하고, A/D 컨버터(106) 및 신호 수신기(100R)에서 수신된다(단계 S3).
프로세서(100)는 루프백 모드를 통해 수신한 신호의 위상 회전량(식 (3)) 및 진폭 변동량(식 (4))을 먼저 설명한 [순서 2]에 의해 산출하여 메모리(100M)에 기억한다(단계 S4).
다음으로, 프로세서(100)의 제어에 의해 상술한 기준 신호 수신 모드의 접속 관계(도 5)가 실행되고, 기준 신호 발생기(107)로부터 기준 신호가 송신된다(단계 S5).
송신된 기준 신호는 기준 신호 수신 모드로 「수신 회로」를 통과하고, A/D 컨버터(106) 및 신호 수신기(100R)에서 수신된다(단계 S6).
프로세서(100)는 기준 신호 수신 모드를 통해 수신한 신호의 위상 회전량(식 (5)) 및 진폭 변동량(식 (6))을 먼저 설명한 [순서 3]에 의해 산출하여 메모리(100M)에 기억한다(단계 S7).
다음으로, 단계 S4 및 S7에 있어서 계산한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 및 출하 전에 사전에 측정된 기준 신호 발생기(107)로부터 안테나(104)에 이르기까지의 기지의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에 기초하여 먼저 설명한 [순서 4]에 의해 위상 회전량의 보정치 θ_HOSEIx 및 진폭 변동량의 보정치 AMP_HOSEIx를 계산한다(단계 S8).
그리고, 프로세서(100)는 보정치의 계산을 완료한다(단계 S9).
이후, 송신 신호의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을 각각 상기 보정치에 의해 사전에 보정함으로써, 정확한 안테나 송신 지향성을 얻을 수 있다. 즉, 정확한 안테나 지향성을 얻기 위한 캘리브레이션이 실행된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보정치 계산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의 제1 실시예와 같이 루프백 모드로 한번, 기준 신호 수신 모드로 한 번 측정을 행하는 것은, 반드시 정확한 수신 신호의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을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측정 정밀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루프백 모드, 기준 신호 수신 모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임의로 설정한 횟수(예를 들면 4∼10회 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평균화한 후, 수신 신호의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계산을 행하는 것이 생각된다.
도 7의 제2 실시예에서는 보정치 계산 개시가 지시되면(단계 S11), 변수 I가 0으로 설정되고(단계 S12), I=0이 소정 횟수에 도달하지 않은 것이 판단된다(단계S13).
그 결과, 루프백 모드에 있어서의 수신 신호의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순서 2]에 의한 계산이 이루어지고, 그 결과가 메모리에 기억된다(단계 S14∼ S16). 그리고, 변수 I가 1만큼 갱신된다(단계 S17).
이하, 변수 I가 소정 횟수를 넘은 것이 판단될 때까지, 수신 신호의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계산(단계 S14∼S17)이 반복되고, 변수 I가 소정의 횟수를 넘은 것이 판단되면(단계 S13), 지금까지 계산되어 기억된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각각의 평균값이 계산된다(단계 S18).
다음으로, 단계 S19에 있어서, 재차 변수 I가 0으로 설정되고, I=0이 소정 횟수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것이 판단된다(단계 S20).
그 결과, 기준 신호 수신 모드에 있어서의 수신 신호의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순서 2]에 의한 계산이 이루어져서 메모리에 기억되고(단계 S21∼S23), 변수 I가 1만큼 갱신된다(단계 S24).
이하, 변수 I가 소정 횟수를 넘은 것이 판단될 때까지, 수신 신호의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계산(단계 S21∼S24)이 반복되고, 변수 I가 소정의 횟수를 넘은 것이 판단되면(단계 S20), 지금까지 계산된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각각의 평균값이 계산된다(단계 S25).
다음으로, 단계 S18 및 S25에 있어서 평균화되어 기억된 수신 신호의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에 기초하고, 그리고 출하 전에 사전에 측정된 기준 신호 발생기(107)로부터 안테나(104)에 이르기까지의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에 기초하여 상술한 [순서 4]에 의해 위상 회전량의 보정치 θ_HOSEIx 및 진폭 변동량의 보정치 AMP_HOSEIx가 계산된다(단계 S26).
그리고, 프로세서(100)는 보정치의 계산을 완료한다(단계 S27).
[제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보정치 계산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일반적으로,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에 포함되는 증폭기, 필터, 믹서 등의 위상 및 진폭의 특성은 송신 신호의 주파수에 의존하여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보정치의 측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복수의 송신 주파수의 각각에 있으며, 루프백 모드에서의 측정 및 기준 신호 수신 모드에서의 측정을 행하고, 복수의 송신 주파수의 각각마다 보정치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의 제3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서(100)에 의해 보정치의 계산 개시가 지시되면(단계 S31), 우선 원하는 송신 주파수 f1이 설정된다(단계 S32). 그 후, 도 6의 제1 실시예의 단계 S2∼S8과 동일한 처리인 단계 S33∼S39가 실행되고, 단계 S39에 있어서, 송신 주파수 f1에 대한 수신 신호의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각각의 보정치 θ_HOSEIx, AMP_HOSEIx가 산출된다. 산출된 이들 보정치는 메모리 (100M) 내의 테이블의 소정의 영역에 기입된다(단계 S40).
소정의 모든 송신 주파수에서의 측정이 완료되지 않으면(단계 S41), 송신 주파수를 다음의 주파수 f2로 변경하고(단계 S42), 마찬가지로 단계 S33∼S39를 반복하여 송신 주파수 f2에 대한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보정치를 산출하고, 메모리(100M) 내의 테이블의 소정의 영역에 기입한다(단계 S40).
이와 같이 송신 주파수를 변경하면서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산출과 기억을 반복하고, 모든 송신 주파수에서의 측정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단계 S41), 프로세서(100)는 보정치의 계산을 완료한다(단계 S43).
[제4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보정치 계산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술한 제3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사전에 정해진 각각의 송신 주파수별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보정치를 구하고, 메모리(100M) 내의 테이블의 소정의 영역에 기억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측정해야 할 원하는 송신 주파수가 매우 많을 때, 모든 송신 주파수에 대하여 측정 및 계산을 행하는 것이 합리적이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측정해야 할 다수의 송신 주파수 중, 대표적인 송신 주파수에 대해서만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측정 및 보정치의 계산을 행하고, 그 결과를 이용한 내삽 보완을 행함으로써 상기 대표 주파수 이외의 원하는 모든 송신 주파수에 대한 보정치를 얻을 수 있다.
도 9의 제4 실시예에서는 도 8의 제3 실시예의 처리 외에, 보정치의 내삽 보완 처리의 단계 S44를 부가한 것이다. 단계 S41에 있어서 모든 대표 주파수에 대응하는 보정치의 계산 및 테이블로의 기입이 종료한 후, 도 10에 도시한 내삽 보완 방법에 의해 다른 송신 주파수에 대한 보정치가 산출된다.
이하, 도 10의 그래프를 참조하여 내삽 보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제 구하고자 하는 송신 주파수를 Freq로 하고, 그 주파수에 있어서의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보정치를 각각 PHA 및 AMP로 한다.
여기서, 이 송신 주파수 Freq보다 높은 하나의 대표 송신 주파수를 Freq_high로 하고, 이 송신 주파수 Freq보다 낮은 하나의 대표 송신 주파수를 Freq_low로 한다. 그리고, 하나의 대표 주파수인 Freq_high에서의 측정에 의해 얻어진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보정치를 각각 PHA_high 및 AMP_high로 하고, 다른 하나의 대표 주파수인 Freq_low에서의 측정에 의해 얻어진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보정치를 각각 PHA_low 및 AMP_low로 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구하는 송신 주파수에 대한 보정치 PHA 및 AMP는 도 10에 도시한 내삽 보완에 의해 다음 수학식 5와 같이 구해진다.
[제5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보정치 계산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도이다.
일반적으로,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에 포함되는 증폭기, 필터, 믹서 등의 위상 및 진폭의 특성은 송신 신호의 송신 파워에 의존하여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보정치의 측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복수의 송신 파워의 각각에 있어서, 루프백 모드에서의 측정 및 기준 신호 수신 모드에서의 측정을 행하고, 복수의 송신 파워별 보정치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의 제5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서(100)에 의해 보정치의 계산 개시가 지시되면(단계 S51), 우선 원하는 송신 파워 p1이 설정된다(단계 S52). 그 후, 도 6의 제1 실시예의 단계 2∼단계 8과 동일한 처리인 단계 S53∼S59가 실행되고, 단계 S59에 있어서 송신 파워 p1에 대한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각각의 보정치 θ_HOSEIx, AMP_HOSEIx가 산출된다. 산출된 이들 보정치는 메모리(100M) 내의 테이블의 소정의 영역에 기입된다(단계 S60).
소정의 모든 송신 파워에서의 송신이 완료하지 않으면(단계 S61), 송신 파워를 다음의 송신 파워 p2로 변경하고(단계 S62), 마찬가지로 단계 S53∼S59를 반복하여 송신 파워 p2에 대한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보정치를 산출하고, 메모리(100M) 내의 테이블의 소정의 영역에 기입한다(단계 S60).
이와 같이 송신 파워를 변경하면서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산출과 기억을 반복하고, 모든 송신 파워에서의 측정이 종료한 것이 판단되면(단계 S61), 프로세서(100)는 보정치의 계산을 완료한다.
[제6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보정치 계산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술한 제5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사전에 정해진 송신 파워별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보정치를 구하고, 메모리(100M) 내의 테이블의 소정의 영역에 기입하도록 구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측정해야 할 송신 파워가 많을 때, 모든 송신 파워에 대하여 측정 및 계산을 행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측정해야 할 다수의 송신 파워 중, 대표적인 송신 파워에 대하여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측정 및 보정치의 계산을 행하고, 그 결과를 이용한 내삽 보완을 행함으로써 상기 대표 송신 파워 이외의 원하는 모든 송신 파워에 대한 보정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2의 제6 실시예에서는 도 11의 제5 실시예 외에, 보정치의 내삽 보완 처리의 단계 S64를 가한 것이다. 즉, 단계 S61에 있어서 모든 대표 송신 파워에 대한 보정치의 계산 및 테이블에 대한 기입이 종료한 후, 도 10에 관련하여 먼저 설명한 내삽 보완 방법에 의해 다른 송신 파워에 대한 보정치가 산출된다. 내삽 보완이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이미 상세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제7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보정치 계산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일반적으로,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에 포함되는 증폭기, 필터, 믹서 등의 위상 및 진폭의 특성은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 및 송신 파워에 의존하여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보정치의 측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복수의 송신 주파수와 복수의 송신 파워와의 각각의 조합에 있어서, 루프백 모드에서의 측정 및 기준 신호 수신 모드에서의 측정을 행하고, 복수의 송신 주파수와 송신 파워별 조합마다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보정치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의 제7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서(100)에 의해 보정치의 계산 개시가 지시되면(단계 S71), 우선 원하는 송신 주파수 f1이 설정되고(단계 S72), 또한 원하는 송신 파워 p1이 설정된다(단계 S73).
그 후, 도 6의 제1 실시예의 단계 S2∼S8과 동일한 처리 내용의 단계 S74∼ S80이 실행되고, 단계 S80에 있어서 송신 주파수 f1및 송신 파워 p1에 대한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보정치 θ_HOSEIx, AMP_HOSEIx가 산출된다. 산출된 이들 보정치는 메모리(100M) 내의 테이블의 소정의 영역에 기입된다(단계 S81).
소정의 모든 송신 파워에서의 송신이 완료되지 않으면(단계 S82), 송신 주파수를 고정한 채 송신 파워를 다음의 파워 p2로 변경하고(단계 S83), 마찬가지로 단계 S74∼단계 S80을 반복하여 송신 주파수 f1및 송신 파워 p2에 대한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보정치를 산출하고, 메모리(100M) 내의 테이블의 소정의 영역에 기입한다(단계 S81).
이와 같이 송신 주파수를 고정하여 송신 파워를 변경하면서,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산출 및 기억을 반복하고, 송신 주파수 f1에 있어서의 모든 송신 파워에서의 측정이 종료된 것으로 판정되고(단계 S82), 소정의 모든 송신 주파수에 대한 측정이 완료되지 않으면(단계 S84), 송신 주파수 f1을 다음의 송신 주파수 f2로 변경하고(단계 S85), 다시 송신 파워를 p1로 설정한다(단계 S83).
이후, 송신 주파수 f2를 유지하여 송신 파워를 순차 변경하면서, 단계 S74∼S80을 반복 실행하여, 송신 주파수 f2에 있어서의 모든 송신 파워에서의 측정의 종료가 판단되면(단계 S84), 소정의 모든 송신 주파수에 대한 송신이 완료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84).
그리고, 모든 송신 주파수에 대한 측정이 종료되지 않으면, 송신 주파수를 더 변경하고(단계 S85), 상술한 측정을 반복하여, 종료하고 있으면 프로세서(100)는 보정치의 계산을 종료한다(단계 S86).
이후, 송신 신호의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을 각각 해당하는 송신 주파수 및 송신 파워에 있어서의 보정치로 사전에 보정함으로써, 정확한 안테나 지향성을 실현하는 캘리브레이션이 가능하게 된다.
[제8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의한 보정치 계산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술한 제7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사전에 정해진 송신 주파수 및 복수의 사전에 정해진 송신 파워 조합의 각각마다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보정치를 구하고, 메모리(100M) 내의 테이블의 소정의 영역에 기억하였다.
그러나, 측정해야 할 송신 주파수 및 송신 파워가 많을 때, 모든 송신 주파수 및 송신 파워의 조합에 대하여 측정 및 계산을 행하는 것이 합리적이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측정해야 할 다수의 송신 주파수 및 송신 파워 중, 대표적인 송신 주파수 및 송신 파워가 조합에 대하여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측정 및 보정치의 계산을 행하고, 그 결과를 이용한 내삽 보완을 행함으로써 상기 대표 주파수 및 대표 파워 이외의 원하는 모든 송신 주파수 및 송신 파워의 조합에 대한 보정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4의 제8 실시예에서는 도 13의 제7 실시예 외에, 보정치의 내삽 보완 처리의 단계 S87이 부가되어 있다. 단계 S84에 있어서 모든 대표 송신 주파수 및 송신 파워에 대한 보정치의 계산 및 테이블로의 기입이 종료한 후, 도 15에 도시한 내삽 보완 방법에 의해 다른 송신 주파수 및 송신 파워의 조합에 대한 보정치가 산출된다.
이하, 도 15의 그래프를 참조하여 내삽 보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사용하고자 하는 송신 파워보다 낮은 대표 송신 파워 Power_Low에 대하여 주파수 방향의 내삽 보완을 실행한다.
실제 송신하고자 하는 송신 주파수를 TX_Freq로 하고, 이 송신 주파수 TX_Freq보다 높은 하나의 대표 송신 주파수를 Freq_High로 하고, 낮은 하나의 대표 송신 주파수를 Freq_Low로 한다.
상기 Freq_Low에서의 측정에 의해 얻어진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보정치를 각각 PHA1, AMP1로 하고, 상기 Freq_High에서의 측정에 의해 얻어진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보정치를 PHA2, AMP2로 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Power_ Low에 대한 주파수 방향의 내삽 보완에 의해 사용하는 송신 주파수 TX_Freq에 대한 보정치 PHA5, AMP5는 이하에 나타내는 식과 같다.
한편, 사용하고자 하는 송신 파워보다 높은 대표 송신 파워 Power_High에 대하여 주파수 방향의 내삽 보완을 실행한다. 상기 Freq_Low에서의 측정에 의해 얻어진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보정치를 PHA3, AMP3으로 하고, 상기 Freq_High에서의 측정에 의해 얻어진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보정치를 PHA4, AMP4로 한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Power_High에 대한 주파수 방향의 내삽 보완에 의해 사용하는 송신 주파수 TX_Freq에 대한 보정치 PHA6, AMP6은 다음 수학식과 같다.
다음으로, 사용하는 송신 주파수 TX_Freq에 대하여 파워 방향의 내삽 보완이 행해진다.
Power_Low에서의 측정에 의해 얻어진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보정치를 PHA5, AMP5로 하고, Power_High에서의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위상 회전량 및 진폭 변동량의 보정치를 PHA6, AMP6으로 하는 조건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송신 파워 TX_Power에 대한 보정치 PHA, AMP는 다음 식과 같다.
Ip = Power_High - Power_Low
ap = Power_High - TX_Power
bp = TX_Power - Power_Low
PHA = (ap*PHA5 + bp*PHA6)/Ip
AMP = (ap*AMP5 + bp*AMP6)/Ip
또, 상기 내삽 보완 방법에서는 주파수 방향의 내삽 보완을 먼저 행하고, 그 후 파워 방향의 내삽 보완을 행하였지만, 반대로 파워 방향의 내삽 보완을 먼저 행하고, 그 후 주파수 방향의 내삽 보완을 행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각 무선 시스템에서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진폭 변동량의 차가 산출되어 보정되어 있다. 그러나, 위상 회전량의 경우와는 달리, 진폭 변동량의 경우에는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에 특성 차가 있는 것 자체는 큰 문제가 아니고, 송수신 회로 사이의 진폭 변동량 차가 각각의 무선 시스템에서 다른 것이 최대의 문제이다. 따라서, 진폭 정보의 캘리브레이션에 관해서는 상술한 각 실시예와 같이 각 무선 시스템의 수신 회로와 송신 회로 사이의 진폭 변동량 차가 0이 되도록 각 무선 시스템의 진폭 변동량을 보정하는 방법 외에, 각각의 무선 시스템의 송수신 회로 사이의 진폭 변동량 차가 공통의 어떤 값이 되도록 각 무선 시스템의 진폭 변동량을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무방하다.
금회 개시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된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야 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닌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장치의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를 안테나 지향성 제어에 반영시키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특별한 측정 회로를 별도 설치하지 않고, 간단하고 또한 염가인 구성으로, 무선 장치의 수신 회로와 송신 회로 사이의 전송 특성의 캘리브레이션, 즉 안테나 지향성의 캘리브레이션을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무선 장치는 휴대 전화 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기지국으로서 이용하는 데 적합하며, 또한 그 안테나 지향성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전파의 지향성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으로서 적합하다.

Claims (37)

  1. 안테나 지향성의 캘리브레이션이 가능한 무선 장치에 있어서,
    안테나(104);
    신호의 송수신 시에 상기 안테나를 공용하는 송신 회로(102) 및 수신 회로 (105);
    소정의 기준 신호를 발생하는 기준 신호 발생기(107);
    캘리브레이션 시에 상기 송신 회로의 출력 또는 상기 기준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는 전환 수단(103);
    상기 송신 회로에 송신 신호를 공급하고, 또한 상기 수신 회로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취하며, 상기 송신 회로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는 상기 송신 신호의 송신 지향성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안테나 및 상기 수신 회로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수신 신호의 수신 지향성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100); 및
    상기 송신 회로와 상기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를 보정하는 보정치를 산출하는 연산 수단(100H)을 포함하며,
    상기 연산 수단은
    캘리브레이션 시에 상기 송신 회로의 출력을 상기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도록 상기 전환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송신 회로 및 상기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1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
    캘리브레이션 시에 상기 기준 신호를 상기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도록 상기 전환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2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
    상기 제1 정보로부터 상기 제2 정보를 감산함으로써, 상기 송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3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 및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보정치를 산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은,
    상기 기준 신호 발생기로부터 상기 전환 수단까지의 경로를 통과하는 상기 기준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사전에 검출된 제4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수단;
    상기 기준 신호 발생기로부터 상기 전환 수단을 통해 상기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상기 기준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5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 및
    상기 제5 정보로부터 상기 제4 정보를 감산함으로써 상기 제2 신호를 산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은 상기 송신 회로 및 상기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을 소정 횟수 산출하여 그 평균값을 이용하여 제1 정보로서 공급하고,
    상기 제5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은 상기 기준 신호 발생 회로로부터 상기 전환 수단을 통해 상기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상기 기준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을 소정 횟수 산출하여 그 평균값을 상기 제5 정보로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송신 회로에 공급하는 상기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를 순차 변경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산 수단은 다른 송신 주파수의 송신 신호별 상기 보정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다른 송신 주파수의 송신 신호마다 산출된 상기 보정치에 기초하여 내삽 보완에 의해 다른 송신 주파수의 송신 신호에 있어서의 상기 보정치를 산출하는 보완 처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송신 회로에 공급하는 상기 송신 신호의 송신 파워를 순차 변경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산 수단은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별 상기 보정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마다 산출된 상기 보정치에 기초하여 내삽 보완에 의해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에 있어서의 상기 보정치를 산출하는 보완 처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송신 회로에 공급하는 상기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 및 송신 파워를 순차 변경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산 수단은 다른 송신 주파수 및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별 상기 보정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다른 송신 주파수 및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마다 산출된 상기 보정치에 기초하여 내삽 보완에 의해 다른 송신 주파수 및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에 있어서의 상기 보정치를 산출하는 보완 처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0. 안테나 지향성의 캘리브레이션이 가능한 무선 장치에 있어서,
    여러개의 무선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 시스템의 각각은
    안테나(104);
    신호의 송수신 시에 상기 안테나를 공용하는 송신 회로(102) 및 수신 회로 (105);
    소정의 기준 신호를 발생하는 기준 신호 발생기(107);
    캘리브레이션 시에 상기 송신 회로의 출력 또는 상기 기준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는 전환 수단(103);
    상기 송신 회로에 송신 신호를 공급하고, 또한 상기 수신 회로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취하며, 상기 송신 회로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는 상기 송신 신호의 송신 지향성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안테나 및 상기 수신 회로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수신 신호의 수신 지향성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100); 및
    상기 송신 회로와 상기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를 보정하는 보정치를 산출하는 연산 수단(100H)을 포함하고,
    상기 연산 수단은
    캘리브레이션 시에 상기 송신 회로의 출력을 상기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도록 상기 전환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송신 회로 및 상기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1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
    캘리브레이션 시에 상기 기준 신호를 상기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도록 상기 전환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2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
    상기 제1 정보로부터 상기 제2 정보를 감산함으로써, 상기 송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3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 및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보정치를 산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1. 안테나 지향성의 캘리브레이션이 가능한 무선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기준 신호를 발생하는 기준 신호 발생기(107)와 여러개의 무선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 시스템의 각각은,
    안테나(104);
    신호의 송수신 시에 상기 안테나를 공용하는 송신 회로(102) 및 수신 회로 (105);
    캘리브레이션 시에 상기 송신 회로의 출력 또는 상기 기준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는 전환 수단(103);
    상기 송신 회로에 송신 신호를 공급하고, 또한 상기 수신 회로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취하며, 상기 송신 회로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는 상기 송신 신호의 송신 지향성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안테나 및 상기 수신 회로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수신 신호의 수신 지향성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100); 및
    상기 송신 회로와 상기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의 차를 보정하는 보정치를 산출하는 연산 수단(100H)을 포함하고,
    상기 연산 수단은
    캘리브레이션 시에 상기 송신 회로의 출력을 상기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도록 상기 전환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송신 회로 및 상기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1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
    캘리브레이션 시에 상기 기준 신호를 상기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도록 상기 전환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2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
    상기 제1 정보로부터 상기 제2 정보를 감산함으로써, 상기 송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3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 및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보정치를 산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은
    상기 기준 신호 발생기로부터 상기 전환 수단까지의 경로를 통과하는 상기 기준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사전에 검출된 제4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수단;
    상기 기준 신호 발생기로부터 상기 전환 수단을 통해 상기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상기 기준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5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 및
    상기 제5 정보로부터 상기 제4 정보를 감산함으로써 상기 제2 신호를 산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은 상기 송신 회로 및 상기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을 소정 횟수 산출하여 그 평균값을 이용하여 제1 정보로서 공급하고,
    상기 제5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은 상기 기준 신호 발생 회로로부터 상기 전환 수단을 통해 상기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상기 기준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을 소정 횟수 산출하여 그 평균값을 상기 제5 정보로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송신 회로에 공급하는 상기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를 순차 변경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산 수단은 다른 송신 주파수의 송신 신호별 상기 보정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다른 송신 주파수의 송신 신호마다 산출된 상기 보정치에 기초하여 내삽 보완에 의해 다른 송신 주파수의 송신 신호에 있어서의 상기 보정치를 산출하는 보완 처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송신 회로에 공급하는 상기 송신 신호의 송신 파워를 순차 변경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산 수단은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별 상기 보정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마다 산출된 상기 보정치에 기초하여 내삽 보완에 의해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에 있어서의 상기 보정치를 산출하는 보완 처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송신 회로에 공급하는 상기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 및 송신 파워를 순차 변경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산 수단은 다른 송신 주파수 및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별 상기 보정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다른 송신 주파수 및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마다 산출된 상기 보정치에 기초하여 내삽 보완에 의해 다른 송신 주파수 및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에 있어서의 상기 보정치를 산출하는 보완 처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0. 무선 장치에서의 안테나 지향성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는,
    안테나(104);
    신호의 송수신 시에 상기 안테나를 공용하는 송신 회로(102) 및 수신 회로(105);
    소정의 기준 신호를 발생하는 기준 신호 발생기(107);
    캘리브레이션 시에 상기 송신 회로의 출력 또는 상기 기준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는 전환 수단(103); 및
    상기 송신 회로에 송신 신호를 공급하고, 또한 상기 수신 회로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취하며, 상기 송신 회로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는 상기 송신 신호의 송신 지향성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안테나 및 상기 수신 회로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수신 신호의 수신 지향성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100)을 포함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캘리브레이션 시에 상기 송신 회로의 출력을 상기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도록 상기 전환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송신 회로 및 상기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1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캘리브레이션 시에 상기 기준 신호를 상기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도록 상기 전환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2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로부터 상기 제2 정보를 감산함으로써, 상기 송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3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회로와 상기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상기 진폭 변동량의 차를 보정하는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신호 발생기로부터 상기 전환 수단까지의 경로를 통과하는 상기 기준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4 정보를 사전에 검출하여 기억하는 단계;
    상기 기준 신호 발생기로부터 상기 전환 수단을 통해 상기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상기 기준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5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5 정보로부터 상기 제4 정보를 감산함으로써 상기 제2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회로 및 상기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을 소정 횟수 산출하여 그 평균값을 상기 제1 정보로서 공급하고,
    상기 제5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신호 발생기로부터 상기 전환 수단을 통해 상기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상기 기준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을 소정 횟수 산출하여 그 평균값을 상기 제5 정보로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회로에 공급하는 상기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를 순차 변경하는 단계; 및
    다른 송신 주파수의 송신 신호별 상기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송신 주파수의 송신 신호마다 산출된 상기 보정치에 기초하여 내삽 보완에 의해 다른 송신 주파수의 송신 신호에 있어서의 상기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회로에 공급하는 상기 송신 신호의 송신 파워를 순차 변경하는 단계; 및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별 상기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마다 산출된 상기 보정치에 기초하여 내삽보완에 의해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에 있어서의 상기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회로에 공급하는 상기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 및 송신 파워를 순차 변경하는 단계; 및
    다른 송신 주파수 및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별 상기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송신 주파수 및 상기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마다 산출된 상기 보정치에 기초하여 내삽 보완에 의해 다른 송신 주파수 및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에 있어서의 상기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소정의 기준 신호를 발생하는 기준 신호 발생기(107)와, 여러개의 무선 시스템을 구비한 무선 장치에서의 안테나 지향성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시스템의 각각은,
    안테나(104);
    신호의 송수신 시에 상기 안테나를 공용하는 송신 회로(102) 및 수신회로(105);
    캘리브레이션 시에 상기 송신 회로의 출력 또는 상기 기준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는 전환 수단(103); 및
    상기 송신 회로에 송신 신호를 공급하고, 또한 상기 수신 회로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취하며, 상기 송신 회로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는 상기 송신 신호의 송신 지향성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안테나 및 상기 수신 회로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수신 신호의 수신 지향성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100)을 포함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캘리브레이션 시에 상기 송신 회로의 출력을 상기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도록 상기 전환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송신 회로 및 상기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1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캘리브레이션 시에 상기 기준 신호를 상기 수신 회로의 입력에 접속하도록 상기 전환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2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로부터 상기 제2 정보를 감산함으로써, 상기 송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3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회로와 상기 수신 회로 사이의 위상 회전량 및/또는 상기 진폭 변동량의 차를 보정하는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신호 발생기로부터 상기 전환 수단까지의 경로를 통과하는 상기 기준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4 정보를 사전에 검출하여 기억하는 단계;
    상기 기준 신호 발생기로부터 상기 전환 수단을 통해 상기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상기 기준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에 관한 제5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5 정보로부터 상기 제4 정보를 감산함으로써 상기 제2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회로 및 상기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을 소정 횟수 산출하여 그 평균값을 상기 제1 정보로서 공급하고,
    상기 제5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신호 발생기로부터 상기 전환 수단을 통해 상기 수신 회로를 통과하는 상기 기준 신호에 생기는 위상 회전량 및/또는 진폭 변동량을 소정 횟수 산출하여 그 평균값을 상기 제5 정보로서 공급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회로에 공급하는 상기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를 순차 변경하는 단계; 및
    다른 송신 주파수의 송신 신호별 상기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송신 주파수의 송신 신호마다 산출된 상기 보정치에 기초하여 내삽 보완에 의해 다른 송신 주파수의 송신 신호에 있어서의 상기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회로에 공급하는 상기 송신 신호의 송신 파워를 순차 변경하는 단계; 및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별 상기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마다 산출된 상기 보정치에 기초하여 내삽 보완에 의해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에 있어서의 상기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회로에 공급하는 상기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 및 송신 파워를 순차 변경하는 단계; 및
    다른 송신 주파수 및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별 상기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송신 주파수 및 상기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마다 산출된 상기 보정치에 기초하여 내삽 보완에 의해 다른 송신 주파수 및 다른 송신 파워의 송신 신호에 있어서의 상기 보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7012421A 1999-03-30 2000-03-21 무선 장치 및 그 안테나 지향성의 캘리브레이션 방법 KR100399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089155 1999-03-30
JP8915599 1999-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464A KR20010110464A (ko) 2001-12-13
KR100399692B1 true KR100399692B1 (ko) 2003-09-29

Family

ID=1396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421A KR100399692B1 (ko) 1999-03-30 2000-03-21 무선 장치 및 그 안테나 지향성의 캘리브레이션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035592B1 (ko)
EP (1) EP1187354B1 (ko)
KR (1) KR100399692B1 (ko)
CN (1) CN1171395C (ko)
AU (1) AU763056B2 (ko)
DE (1) DE60024262T2 (ko)
HK (1) HK1047001B (ko)
WO (1) WO20000607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9424A (ja) * 2001-12-12 2003-06-27 Ntt Docomo Inc 超指向性アレイアンテナシステム、超指向性アレイアンテナ制御方法
JP2003283411A (ja) * 2002-03-22 2003-10-03 Sanyo Electric Co Ltd 無線装置、送受信指向性制御方法および送受信指向性制御プログラム
JP4003229B2 (ja) * 2002-06-20 2007-11-07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レーアンテナ受信装置
US7031669B2 (en) * 2002-09-10 2006-04-18 Cognio, Inc. Techniques for correcting for phase and amplitude offsets in a MIMO radio device
US7272187B2 (en) * 2002-11-01 2007-09-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ilter circuit and radio apparatus
FR2848302B1 (fr) 2002-12-10 2005-05-27 Thales Sa Procede de calibration d'une source hyperfrequence
US7392015B1 (en) * 2003-02-14 2008-06-24 Calamp Corp. Calibration methods and structur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JPWO2004095731A1 (ja) * 2003-04-21 2006-07-13 三洋電機株式会社 受信装置
KR100608736B1 (ko) 2003-04-29 200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의 기준신호 발생장치
CN100358378C (zh) * 2003-07-17 2007-12-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阵列天线收发通道的校正装置及方法
CN100337485C (zh) * 2003-07-17 2007-09-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系统收发通道的校正装置及方法
JP4524147B2 (ja) * 2004-06-30 2010-08-11 京セラ株式会社 通信装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744965B2 (ja) 2004-08-09 2011-08-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KR100633047B1 (ko) 2004-12-02 2006-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보정 장치 및 방법을 구현하는 스마트 안테나 통신 시스템
US20060240784A1 (en) * 2005-04-22 2006-10-26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array calibr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498669B2 (en) * 2005-06-16 2013-07-30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array calibr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118111B2 (en) 2005-11-02 2015-08-25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array calibr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5570724B2 (ja) * 2005-11-02 2014-08-13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アンテナアレイ較正
US8280430B2 (en) * 2005-11-02 2012-10-02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array calibration for multi-input multi-outpu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1052341B1 (ko) * 2005-12-08 2011-07-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안테나를 갖는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의 기지국 신호감시 장치
US8264387B2 (en) * 2006-03-31 2012-09-11 Silicon Laboratories Inc. Transceiver having multiple signal processing modes of operation
JPWO2008152695A1 (ja) * 2007-06-12 2010-08-26 富士通株式会社 電子装置、電子装置の試験方法
JP4544352B2 (ja) * 2008-07-23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311166B2 (en) 2010-03-31 2012-11-13 Ubidyne, Inc. Active antenna array and method for calibration of the active antenna array
US8340612B2 (en) 2010-03-31 2012-12-25 Ubidyne, Inc. Active antenna array and method for calibration of the active antenna array
US8441966B2 (en) 2010-03-31 2013-05-14 Ubidyne Inc. Active antenna array and method for calibration of receive paths in said array
JP5620757B2 (ja) * 2010-09-01 2014-11-05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レーダ装置
CN102780518B (zh) * 2011-05-09 2014-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校准天线增益的方法和装置
JP2017034439A (ja) * 2015-07-31 2017-02-09 日本電気株式会社 送受信部、アレイアンテナを用いた無線通信装置及び校正方法
US10523345B2 (en) * 2017-03-06 2019-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calibration and array operation in advanced MIMO system
JP6867346B2 (ja) * 2017-10-13 2021-04-28 アンリツ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および測定方法
CN112260709B (zh) * 2019-07-03 2023-02-28 普罗斯通信技术(苏州)有限公司 一种poi功率回输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2518A (en) 1982-09-07 1985-07-30 Sperr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ly setting phase shifters to commanded values
JPH0656925B2 (ja) 1985-06-27 1994-07-27 日本電気株式会社 空中線放射素子の特性測定装置
AU691295B2 (en) * 1994-06-03 1998-05-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ntenna array calibration
US6463295B1 (en) * 1996-10-11 2002-10-08 Arraycomm, Inc. Power control with signal quality estimation for smart antenna communication systems
JP3369466B2 (ja) 1997-03-18 2003-01-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レーアンテナ無線受信装置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装置
JP3389455B2 (ja) 1997-06-17 2003-03-24 三洋電機株式会社 アダプティブアレイ装置およびその補正方法
US6037898A (en) * 1997-10-10 2000-03-14 Array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radio frequency base stations using antenna arrays
US6137999A (en) * 1997-12-24 2000-10-24 Motorola, Inc. Image reject transceiver and method of rejecting an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47001B (zh) 2005-06-03
CN1353886A (zh) 2002-06-12
WO2000060757A1 (fr) 2000-10-12
KR20010110464A (ko) 2001-12-13
AU763056B2 (en) 2003-07-10
EP1187354B1 (en) 2005-11-23
AU3196600A (en) 2000-10-23
DE60024262T2 (de) 2006-10-26
CN1171395C (zh) 2004-10-13
US7035592B1 (en) 2006-04-25
HK1047001A1 (en) 2003-01-30
EP1187354A1 (en) 2002-03-13
DE60024262D1 (de) 2005-12-29
EP1187354A4 (en) 200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9692B1 (ko) 무선 장치 및 그 안테나 지향성의 캘리브레이션 방법
RU226526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алибровки решетки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й антенны
JP4092335B2 (ja) リアル−タイムでスマート・アンテナ・アレイを較正する方法
US7102569B2 (en) Method for calibrating smart antenna array systems in real time
US7869828B2 (en) Adjust equipment and method for array antenna transmission link
EP1085684B1 (en) Radio base station with array antenna and transmission calibration
KR100382454B1 (ko) 적응 어레이안테나 송수신장치
EP2283540B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mast vibration compensation
US20190131934A1 (en) Phased array amplifier linearization
WO2005117286A1 (en) An calibration apnaratus and methnd for a receiving link of array communication system
US6778147B2 (en) Antenna apparatus
JP4557429B2 (ja) アレイ・アンテナを有する無線通信局を較正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0402179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ibrating reception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958163B1 (ko) 웨이트들의 보정을 위한 신호 검출기를 포함하는 빔포머, 빔포머를 포함하는 무선 송신 및 수신 장치, 그리고 빔포머를 포함하는 무선 송신 및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JP4578725B2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送信アレーアンテナ校正方法
WO2000060698A1 (fr) Radioemetteur et procede de reglage de la directivite d'emission
JP2022517916A (ja) パワー調整方法および装置、アレイアンテナ、記憶媒体
JP2004304586A (ja) アレイアンテナ通信装置
KR20080021194A (ko) 스마트 안테나를 위한 온라인 무선 처리 교정 장치 및 방법
JP2004260373A (ja) 無線装置及びそ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