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515B1 - 전자기기의작동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작동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515B1
KR100399515B1 KR1019960014669A KR19960014669A KR100399515B1 KR 100399515 B1 KR100399515 B1 KR 100399515B1 KR 1019960014669 A KR1019960014669 A KR 1019960014669A KR 19960014669 A KR19960014669 A KR 19960014669A KR 100399515 B1 KR100399515 B1 KR 100399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setting
timer
adjustmen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4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3805A (ko
Inventor
사또시 노하라
도모히로 미쯔하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43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3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5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5/00Setting, i.e. correcting or changing, the time-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타이머 설정키가 입력되고(F001) 스텝(F002)∼스텝(F006)에 있어서 설정시간이 인크리먼트되어 있을때에 스텝(F003)에 있어서 인크리먼트된 설정시간이 『OFF』 라고 판별된 경우는 스텝(F007)으로 진행하고 통상의 설정시간의 표시시간인 약 100밀리초 보다도 긴 예를들면 약 500밀리초 정도동안 표시를 한다. 이것에 의해 타이머 설정키를 입력중에 설정시간 (S001)-(S073)까지 인크리먼트 되어 있는 경우 『OFF』 만이 다른 설정시간보다도 길게 표시되게 된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작동제어시스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타이머설정이나 화질·음질설정 등의 설정치를 소정의조작에 의해 연속적으로 변화시켜서 소망하는 설정치를 선택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 등을 소정의 시간에 온(on)으로 하는 기능으로써 간이 설정형의 자명 타이머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타이머 예약의 시간설정은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기기를 동작시키는 요일, 시간 등을 예를 들면 『화요일/PM 7:3O』 등과 같이 각각 직접 입력하는바 간이 설정형의 자명 타이머는 소정의 키 조작에 의해 현재부터 몇 시간 후에 기기를 동작시킬 것인가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다.
즉, 예를 들면 현재 『PM 11:00』인 경우에 다음날 아침의 『AM 7:00』에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원을 온(on)으로 하고자 할 때는 타이머 설정시간을 『8시간』 으로 설정하는 것만으로 설정이 완료한다.
제 6도는 상기 자명 타이머의 시간설정을 행하는 경우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명 타이머의 설정치는 예를 들면 10분 시각으로 나누어서 최대 12시간의 73단계의 설정시간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설정시간의 하나로써 『OFF』 가 설정되어 있고 이것은 예를 들면자명 타이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이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자명 타이머를 오프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시간설정을 행하는 경우는 리모트커맨더나 기기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조작부 등에 설치되어 있는 타이머 설정키를 입력하면 그 입력이 되고 있는 동안, 예를 들면 설정시간 (S001) 『OFF』 →설정시간 (S002) 『10분』 → 설정시간 (S003) 『20분』 ‥‥ 설정시간 (S072) 『l1시간 50분』 → 설정시간 (S073)『12시간』 으로 하는 바와 같이 증가(increment)된다. 그리고 설정시간(S073) 『12시간』 까지 가면 설정시간 (S001) 『OFF』 로 되돌아가서 타이머 설정키의 입력이 종료할 때까지 설정시간 (S001∼S072)순환 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이들의 설정시간(S001∼S072)은 10분 시각으로 나누어서 증가(increment)되므로 타이머 설정키의 가압을 소정의 시간이 되었을 때 개방하면 자명의 설정시간을 예를 들면 10분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설정시간 (S073)∼설정시간 (S001)까지를 감소 (decrement)시키는 경우도 있다.
이 설정시간은 타이머 설정키를 입력함으로써 예를 들면 음극선관(이하 CRT‥· Cathode Lay Tube 라함) 등에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인크리먼트(또는 디크리먼트)되는 표시를 보면서 소망하는 설정시간에서 타이머 설정키의 입력을 종료하는 것으로 설정시간이 결정되게 된다.
이 자명 타이머는 설정시간을 숫자키 등을 사용하여 입력한다는 까다로운 조작을 생략하여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타이머 설정키도 1개 설치하면 좋다는 이점이 있다.
또 콘트라스트 등의 각종 화질조정이나 스테레오 음성의 좌/우밸런스 등의 조정을 행하는 경우는 CRT상에 표시되는 예를 들면 조정바가 표시된다.
그리고 그 조정레벨을 나타내는 눈금을 보면서 업/다운키나 좌/우키 등의 조작키를 조작하여 소망하는 화질이나 음성밸런스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 7도는 예를 들면 콘트라스트 등의 화질의 레벨조정을 행하는 경우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제 7도(a)(b)는 레벨증가, 제 7도 (c)(d)는 레벨을 감소시키는 경우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조작키를 입력하면 CRT에 제 7도(a)(b)및 (c)(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조정바(B)가 표시된다. 그리고 이들의 도면에 표시되어 있는 조정바(B)는 최소치에서 최대치까지 예를 들면 33단계의 조정레벨로 이루는 조정치를 나타내는 눈금이 부착되어 있고 그 센터부분은 조정레벨의 기준치인 『표준치』 로 되어 있다. 또 커서(cursor)(C)는 현재의 조정레벨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조작키가 입력되어 있는 동안은 현재의 조정치에 대응한 조정레벨에 소정의 시간표시가 된 후에 소멸하고 그 다음의 조정레벨에 점등되고 소정의 시간 표시된 후에 소멸한다.
이 표시시간은 예를 들면 100밀리초로 되어 있으므로 시각적으로는 커서(C)가 소정의 속도로 이동하고 있는 것같이 보인다. 그리고 상기 조작키의 입력이 종료한 시점에서 커서(C)로 가리키고 있는 조정레벨이 조정치가 된다.
예를 들면 제 7도(a)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업키를 입력하면 커서(C)가화살표 U방향으로 일 단계씩 이동하고 예를 들면 제 7도(b)에 표시되어있는 바와 같은 조정레벨을 표시하게 되고 업키의 입력이 종료한 시점에서 조정치가 결정된다. 또 예를 들면 제 7도(c)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운키를 조작하면 커서(C)가 화살표 D방향으로 일 단계씩 이동하고 예를 들면 제 7도(d)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조정레벨을 표시하게 되고 다운키의 입력이 종료한 시점에서 조정값이 결정된다.
그런데 제 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머 설정시간의 설정시간(S001-S072)의 천이시간을 고려하여 1스텝 당 약 100밀리초 정도의 일정한 속도로 인클리먼트 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대폭적인 설정시간의 변경은 부드럽게(smooth) 행할수 있도록 되는바 예를 들면 설정시간(S001)에 표시한 『OFF』 라는 소정의 설정시간을 선택 하고자 한 경우에 타이머 설정키를 떼는 타이밍을 잘못하면 그 설정시간을 통과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먼저 설명한 바와 같이 타이머 셜정키는 인클리먼트(또는 디클리먼트)밖에 행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재차 설정시간(S001)이 돌아오기까지 타이머 설정키를 계속 누르지 않으면 아니 된다. 또 설정시간(S001)의 바로 앞에서 멈춘 경우라도 그후 소 시각으로 타이머 설정키를 조작할 필요가 있고 예를 들면 『OFF』 등의 소정의 설정시간으로 설정하기 위한 조작성은 좋은 것은 아니었다.
또 제 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트라스트 등의 각종 화질조정을 행하는 경우도 CRT상에 표시되는 조정바(B)의 커서(C)를 보면서 업/다운키 등의 조작키를조작하게 되는바 커서(C)는 최소치에서 최대치에 도달할 때까지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므로 『표준치』로 정지시키는 것은 곤란하고 조정 시에 그 바로 앞의 조정레벨로 정지 또는 지나침 등에 의해 재차 자세하게 업/다운키를 조작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전자기기의 작동중 하나와 관련된 조정치 또는 상기 전자기기의 상기 작동 중 하나에 일치하는 전자기기의 상기 작동 중 하나의 수행시간과 관련된 설정치를 연속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조정치나 설정치의 기준치를 나타내는 표시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설정치 조정치의 기준치를 표시하는 시간을 다른 값보다도 길게 함으로써 설정, 조정을 행하고 있는 중에 기준치를 통과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설정조정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실시예를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에 적용한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실시예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일부 회로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튜너(1)는 안테나(A)로 수신한 예를 들면 지상파 방송이나 위성방송의 방송전파를 선택하는 동시에 복조하여 영상신호로써 출력한다. 여기서 선택된 영상신호는 중간주파증폭부(VIF)(2)를 거쳐서 영상신호처리부(3)에 공급된다.
영상신호처리부(3)는 영상신호에 대하여 색신호의 분리, 색차신호 형성, 동기신호(수직/수평)추출 등의 각종 영상신호처리를 행해서 RGB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4)는 텔레비전 수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부(5) 또는 리모트커맨더(RC)에서 공급되는 제어커맨드에 따라서 제어버스(CB)를 거쳐서 상기 각종 기능회로를 제어한다. 또한 리모트커맨더(RC)에서 공급되는 예를 들면 적외선의 제어커맨드는 수광부(6)에 입사하여 복조부(7)에서 복조되어서 제어부(4)에 공급되게 된다.
조작부(5) 및 리모트커맨더(RC)에는 예를 들면 자명 타이머의 타이머 설정키나 화질조정레벨의 업/다운키 등의 각종 설정이나 조정을 행할 수 있는 조작키나 일반적인 조작(예를 들면 채널선택이나 음량조정 등)을 행하기 위한 조작키도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제 6도에서 설명한 자명 타이머의 시간설정을 행할 때 예를 들면 설정시간 중의 기준이 되는 기준치(예를 들면 『OFF』 )의 표시시간을 기타의 설정시간보다 길게 하도록 제어한다. 또 제 7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조정 등의 레벨조정을 행하는 경우도 커서(C)가 기준치(예를 들면 『기준치』 )를 나타내는 시간을 다른 조정레벨보다 길게 하도록 제어한다.
캐릭터제네레이터(8)는 표시화면상에 예를 들면 선택채널 화질의 조정레벨이나 자명타이머의 설정시간 등의 각종 정보를 슈퍼인포즈로써 출력하기 위한 캐릭터신호를 생성한다. 즉 자명 타이머의 설정시간이나 화질의 조정레벨 등을 변경하고 있는 동안은 제어부(4)의 제어에 의해 소정의 타이밍으로 시간표시가 예를 들면 인크리먼트하는 것 같은 캐릭터신호가 생성된다.
여기서 생성된 캐릭터신호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9)를 거쳐서 합성부(10)에 공급된다.
합성부(10)는 영상신호처리부(3)에서 공급되는 RGB신호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9)에서 공급되는 캐릭터신호를 중첩하여 CRT(11)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튜너(1)로 수신한 프로그램의 영상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타이머계측부(12)는 예를 들면 자명 타이머 등으로 설정된 시간을 카운트하여 설정된 시간이 되었을 때에 텔레비전 수상기에 전원을 투입하는 제어커멘드를 제어부(4)에 공급한다.
전원부(13)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5), 리모트커맨더(RC)등 또는 타이머 계측부(12)에서 공급되는 전원 온/오프의 제어커멘드에 의해 제어부(4)에 제어되어서 텔레비전 수상기를 구성하는 각 기능회로에 전원을 공급한다.
다음에 자명 타이머의 시간설정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제 2도에 나타내고 있는 플로우 차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제 6도에서 설명한 예를 들면 자명 타이머를 『OFF』 로 하는 설정시간 S001을 기준치로써 설명한다.
자명 타이머의 시간설정을 행하는 경우는 조작부(5) 또는 리모트커맨더(RC)에 설치되어 있는 타이머 설정키를 입력한다(F001). 키 입력이 행하여 지면 CRT(11)상에 설정시간이 표시되어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인크리먼트가 개시된다(F002). 즉 제 3도에 나타낸 설정시간이 하나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인크리먼트된 설정시간이 기준치 즉『OFF』가 아닌 경우는 (F003) 그 설정시간을 예를 들면 100밀리초 정도의 시간만 표시한다(F004).
그리고 스텝(F005)으로 진행하여 타이머 설정키가 입력중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입력중인 경우는 재차 스텝(F002)으로 되돌아가서 설정시간을 인크리먼트 한다. 또 스텝(F005)에서 타이머 설정키가 입력중이 아닌 경우 즉 키 입력이 종료하였다고 판단된 경우는 그 시점의 설정시간의 시간이 설정시간으로 된다(F006).
스텝(F001)에서 타이머 설정키가 입력되고 스텝(F002)∼스텝(F006)에 있어서 설정시간이 인크리먼트 되어 있을 때에 스텝(F003)에 있어서 인크리먼트된 설정시간이『OFF』 라고 판별된 경우는 스텝(F007)으로 진행하고 예를 들면 스텝(F004)에 있어서의 예를 들면 100밀리초 보다도 긴 예를 들면 500밀리초 정도동안 표시를 한다. 이것에 의해 타이머 설정키를 입력 중에 설정시간 (S001)∼(S073)까지 인크리먼트 되어 있는 경우 『OFF』 만이 다른 설정시간(S001)∼(S073)보다도 길게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약 500밀리초 정도 경과한 후에 스텝(F007)에서 타이머 설정키가 입력중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입력중인 경우는 재차 스텝(F002)으로 되돌아가서 인크리먼트가 계속되고 입력이 종료한 경우는 『OFF』 가 선택되게 된다(F006).
따라서 사용자는 CRT(11)상에서 『OFF』 를 확인한 후에 타이머 설정키의 입력을 종료하기 위한 여유가 설치되고 제 6도에 나타낸 73스텝 중에서 『OFF』 를 선택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예를 들면 제 3도의 플로우 차트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스텝(F103)에 있어서 설정시간이『OFF』이라고 판별된 경우는 『OFF』를 표시하고계속해서(F107), 타이머 설정키의 입력이 종료한 시점에서 (F105)『OFF』가 선택되도록 하는(F106)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OFF』 의 시점에서 재차 설정시간을 변경하는 경우는 일단 타이머 설정키의 입력을 종료하여 재차 입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OFF』를 선택한 경우 CRT(11)상에 『OFF』가 표시된 시점에서 서둘러서 타이머 설정키의 입력을 종료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더욱이 『OFF』외의 설정시간을 선택 하고자 할 경우는 재차 타이머 설정키를 입력함으로써 인크리먼트가 개시 되도록 된다.
다음에 다른 실시예로써 예를 들면 콘트라스트 등의 화질조정을 행하는 예에 대하여 제 4도에 나타내고 있는 플로차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이하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앞서 제 7도에 나타낸 조정바(B)의 『표준치』를 기준치로써 설명한다.
콘트라스트 조정의 조정을 행하는 경우는 조작부(5) 또는 리모트커맨더(RC)에 설치되어 있는 업 또는 다운키를 입력한다(F201). 키 입력이 행하여지면 CRT(11)상에 조정바(B)및 커서(C)가 표시되어서 콘트라스트치의 증감이 개시된다(F202). 즉 제 7도(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레벨이 1단계씩 증가하던가 또 제 7도 (c)(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레벨이 1단계씩 감소하게 된다. 여기서 증감된 조정레벨이 예를 들면 『표준치』가 아닌 경우는(F203) 커서(C)에 의해 그 조정레벨을 예를 들면 100밀리초 정도 동안만 표시한다(F204).
그리고 스텝(F203)으로 진행하여 업 또는 다운키가 입력중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입력중인 경우는 재차 스텝(F202)으로 되돌아가서 조정레벨을 증가 또는 감소한다. 또 스텝(F205)에서 업 또는 다운키가 입력중이 아닌 경우 즉 키 입력이 종료하였다고 판별된 경우는 그 시점의 조정레벨이 조정치로 된다(F206).
스텝(F201)에서 업 또는 다운키가 입력되고 스텝(F202)∼스텝(F206)에 있어서 조정레벨이 증가 또는 감소되어 있을 때에 스텝(F203)에 있어서 증감되어서 표시되는 조정레벨이 『표준치』 라고 판별된 경우는 스텝(F207)으로 진행하고 스텝(F204)에 있어서의 예를 들면 100밀리초 보다도 긴 예를 들면 약 500밀리초 정도동안 커서(C)가 『표준치』 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업 또는 다운키를 입력 중에 『표준치』 를 통과하는 경우 『표준치』 만이 다른 조정레벨보다도 길게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약 500밀리초 정도 경과한 후에 스텝(F202)에서 업 또는 다운키가 입력중인지 아닌지가 판별되고 입력중의 경우는 재차 스텝(F202)으로 되돌아가서 조정레벨의 증감이 계속되고 또 입력이 종료한 경우는 『표준치』가 선택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CRT(11)상의 조정바(B)로 커서(C)가 r표준치』 를 표시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후에 업 또는 다운키의 입력을 종료하기 위한 여유가 설치되고 예를 들면 제 7도에 나타낸 33단계의 조정레벨 중에서 『표준치』를 선택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예를 들면 제 5도의 플로차트에 나타내어 있는 바와 같이 스텝(F303)에 있어서 커서(C)가 『표준치』를 표시하고 있다고 판별된 경우는 『표준치』를 표시하고 계속해서(F307) 업 또는 다운키의 입력이 종료한 시점에서(F305)『표준치』가선택되도록 하는(F306)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표준치』에서 재차 조정레벨을 변경하는 경우는 일단 업 또는 다운키의 입력을 종료하여 재차 입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표준치』를 선택한 경우는 『표준치』가 표시된 시점에서 서둘러서 업 또는 다운키의 입력을 종료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더욱이『표준치』 이외의 조정레벨을 선택 하고자 할 경우는 재차 업 또는 다운키를 입력함으로써 조정레벨의 증감이 개시 되도록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준치를 나타내는 시간은 예를들면 500밀리초로써 설명하였으나 다른 조정레벨 설정시간을 나타내는 시간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으면 좋다. 그리고 사용의 편리를 고려해서 사용자가 그 길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는 텔레비전 수상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특히 자명타이머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VTR(Video Tape Recorder)등 타이머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서는 자명 타이머 기능이나 화질조정을 예로 들었으나 소정의 키 조작에 의해 연속적으로 조정치 또는 설정치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서 이들의 값을 CRT(11)등의 표시부에서 확인하면서 조정 설정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전자기기라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면상에 표시되는 수치 등의 표시를 보면서 예를 들면 자명 타이머를 예를 들면 『OFF』 등의 기준점으로 설정하는 경우나 콘트라스트 등의 화질조정을 예를 들면 『표준치』등의 기준치로 설정코저 하는 경우에 이 기준치를 기타의 값보다 길게 표시함으로써 설정시 조정시에 기준치를 통과하게 된다든지 혹은 그 바로 앞에서 정지하게되는 등의 조작미스를 저감할 수 있고 화면에 표시되는 기준치를 확인하여 여유를 가지고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자명 타이머 등의 시간설정과 같이 중가 또는 감소의 일 방향으로 조정을 행하는 것에 대하여 소정의 값의 통과를 방지할 수 있는 조작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일부회로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도는 본 실시예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자명타이머의 시간설정을 행하는 경우의 일예를 플로차트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3도는 본 실시예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자명 타이머의 시간설정을 행하는 경우의 다른 예를 플로차트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4도는 본 실시예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질조정을 행하는 경우의 일예를 플로차트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5도는 본 실시예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질조정을 행하는 경우의 다른예를 플로차트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6도는 자명 타이머의 설정을 행하는 경우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 7도는 화질조정의 설정을 행하는 경우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4. 제어부 5. 조작부
8. 캐릭터제네레이터 10. 합성부
11. CRT RC. 리모트커맨더

Claims (2)

  1. 전자기기의 작동 중 하나와 관련된 조정치 또는 상기 전자기기의 상기 작동 중 하나에 일치하는 전자기기의 상기 작동 중 하나의 수행시간과 관련된 설정치를 연속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조정치나 설정치의 기준치를 나타내는 표시부로 구성된 전자기기의 작동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정치 또는 설정치의 기준치를 기타의 값보다 장시간 표시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작동제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준치를 설정내용에 따라서 임의로 변경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작동제어시스템.
KR1019960014669A 1995-05-19 1996-05-06 전자기기의작동제어시스템 KR1003995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416095A JP3671458B2 (ja) 1995-05-19 1995-05-19 電子機器
JP95-144160 1995-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3805A KR960043805A (ko) 1996-12-23
KR100399515B1 true KR100399515B1 (ko) 2004-04-03

Family

ID=15355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4669A KR100399515B1 (ko) 1995-05-19 1996-05-06 전자기기의작동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699323A (ko)
JP (1) JP3671458B2 (ko)
KR (1) KR100399515B1 (ko)
CN (1) CN1104136C (ko)
BR (1) BR9602326A (ko)
PL (1) PL180286B1 (ko)
SG (1) SG67939A1 (ko)
TW (1) TW4441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7857B1 (en) * 1999-08-31 2003-07-22 Intel Corporation Interrupting play of audio/visual information
US20010045889A1 (en) * 2000-02-10 2001-11-29 Hooberman James D. Virtual sound system
US7980936B2 (en) * 2002-09-30 2011-07-19 Igt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er interaction
TWI417689B (zh) * 2009-03-20 2013-12-01 Hon Hai Prec Ind Co Ltd 顯示裝置及顯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28354C2 (de) * 1982-07-29 1985-10-10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Benutzerführende Bedienung bei Geräten der Unterhaltungselektronik
US5153580A (en) * 1990-01-16 1992-10-06 Rca Thomson Licensing Corporation Retriggerable sleep timer with user-prompting mode operation
US5327160A (en) * 1991-05-09 1994-07-05 Asher David J Touch sensitive user interface for television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67939A1 (en) 1999-10-19
PL314331A1 (en) 1996-11-25
BR9602326A (pt) 1998-04-22
JPH08317300A (ja) 1996-11-29
CN1104136C (zh) 2003-03-26
KR960043805A (ko) 1996-12-23
TW444153B (en) 2001-07-01
PL180286B1 (pl) 2001-01-31
JP3671458B2 (ja) 2005-07-13
CN1143883A (zh) 1997-02-26
US5699323A (en) 1997-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5986B1 (ko) 제어정보를 화면상 개별 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텔레비젼수상기
US7268830B2 (en) Video display appliance having function of varying screen ratio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325490B1 (ko) 방송신호수신장치
CA2042779C (en) Automatic channel sampling picture-in-picture circuitry
US20020010926A1 (en) Method of displaying tv program progress time and device thereof
KR100788654B1 (ko) 화면 조정 장치 및 방법
JPH04320174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H0323707A (ja) 選局装置
JP2924610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399515B1 (ko) 전자기기의작동제어시스템
JPH09163260A (ja) テレビ受信機
KR100228733B1 (ko) 영상/음성 출력기기의 영상/음성 모드 제어방법
JP3343927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3709900B2 (ja) タイマー装置、タイマー機能付電子機器および遠隔操作装置
KR20030054017A (ko) 티브이의 다중화면 제어장치 및 방법
JP3248224B2 (ja) 画面内表示情報の表示時間選択装置
KR0157557B1 (ko) 두화면 디스플레이 텔레비전의 채널선택방법 및 장치
KR100193099B1 (ko) 더블 윈도우 기능을 이용한 텔레비젼 수상기 최적화면 표시방법
JPH0955895A (ja) テレビジョン表示装置
JPH0368287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00040881A (ko) Pip 모드의 텔레비전의 화면 제어 방법
KR100203700B1 (ko) 위성방송 메뉴화면 조절방법
JP2963088B1 (ja) 録画予約装置
KR960011305B1 (ko) 텔레비젼의 예약 시청 방법
KR19990026869A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안내 화면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