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157B1 -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 방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 방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157B1
KR100399157B1 KR10-2001-0035070A KR20010035070A KR100399157B1 KR 100399157 B1 KR100399157 B1 KR 100399157B1 KR 20010035070 A KR20010035070 A KR 20010035070A KR 100399157 B1 KR100399157 B1 KR 100399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ther information
alarm
train
weather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7821A (ko
Inventor
김재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니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니정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니정보
Priority to KR10-2001-0035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9157B1/ko
Publication of KR20010087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1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의 안전한 운행을 위한 기상 방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 전 구간의 열차 운행 상황을 감시하고 파악된 상황에 대응하는 조치를 취하며, 열차 운행 계획에 의하여 열차의 진로 설정과 이동 등을 제어하는 통합 신호 관제장치를 가지는 통상의 열차 운행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 신호 관제 장치와 유/무선상으로 연결되고, 외부의 기상정보 제공업체 또는 기관의 기상 정보 전송장치로부터 기상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통합 신호 관제장치로 전송하고, 전송한 상기 기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기상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된 정보로부터 철도 운행시 위험요소 또는 지연요소가 검색될 경우, 상기 위험요소 또는 지연요소에 대응하는 경보를 발령하도록 지령하는 경보 지령 데이터를 상기 통합 신호 관제장치로 전송하는 기상 경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 방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 방재 시스템 및 그 방법{Weather observation alarm system for train service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 방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 교통수단과 수상 교통수단은 그 운행자체가 직접적으로 기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항공과 항해 관련 관제 시스템에서는 기상정보에 대한 분석을 할 수 있는 시스템들이 있다.
반면, 철도 또는 지하철의 운행을 관리하는 사령실에는 운전 사령들이 소위
TTC(Total Traffic Control, 통합 신호 관제)시스템을 이용해서 열차운행과 관련된 사항을 감시하고 열차운행에 필요로 되어지는 명령들을 제어한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열차운행에 있어서 기상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TTC 시스템에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에, 기상 상태에 따른 열차의 지연은 당연시 되어 왔으며, 철로의 유실 및 운행 신호설비에 대해서 기상 상태에 의하여 긴급한 위험 혹은 이상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사고발생 직전 육안으로의 확인이나 사고발생 이후에 처리가 되고 있으므로 열차의 지연과 집중 강우나 강설에 의한 선로의 매몰이나 열차의 탈선 등 각종 열차 사고가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철도 운행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최근 철도 및 지하철을 이용하고 있는 승객들은 열차 운행의 지연 및 각종의 열차 사고에 대하여 불안감 내지 불만을 느끼고 있으며, 이로 인한 철도 교통 수단의 이용률 감소가 우려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상 정보를 이용하여 예상되는 열차의 지연 및 사고 정보를 판단하고, 철도 관제를 하는 운영자에게 이를 알리는 경보를 함으로써 변화되는 기상 상태로부터 열차 운행상 예상되는 지연 및 사고에 대해서 미리 대처할 수 있게 하고, 이전의 사고 및 지연선례를 토대로 적절한 대처방법 및 이전의 대처방법 등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제공함으로써, 철도 운행에 있어서 예측될 수 있는 지연 및 사고를 최소화하고, 열차의 안전한 운행을 도모하기 위한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방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기상청에서 수행하고 있는 기상에 대한 위험 단계(주의보, 경보 등)를 적용하여 기상 상태에 따르는 경보의 방식이 상이하도록 함으로써, 경보의 방식에 따라서 철도 운영자들의 대처방안을 적절하게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새롭게 발생된 기상 관련 사고 및 대처 방법에 대해서도 기존 사고들과 연계해서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도록 함으로써, 체계적인 열차 사고관리 및 이를 방지하기 위한 분석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 시스템에 포함되는 기상 경보장치의 내부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 시스템의 작용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기상 방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 시스템에 의한 기상방재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기상 경보 장치 20; 사령 신호설비
21; 통합 신호 관제장치 22; 중앙 처리 장치
23; 운영자 제어 콘솔 24; 운행상태 표시 장치
25; 구간신호 수신 장치 30; 현장 신호설비
31; 구간신호 송신 장치 50; 기상정보 제공 업체/기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상의 열차 운행 관제 시스템과 이에 부설하여 기상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이를 전송하는 기상 경보 장치를 가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 전 구간의 열차 운행 상황을 감시하고 파악된 상황에 대응하는 조치를 취하며, 열차 운행 계획에 의하여 열차의 진로 설정과 이동 등을 제어하는 통합 신호 관제 장치를 가지는 통상의 열차 운행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 신호 관제 장치와 유/무선상으로 연결되고, 외부의 기상정보 제공업체 또는 기관의 기상 정보 전송장치로부터 기상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신호관제 장치로 전송하고, 전송한 상기 기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기상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된 정보로부터 철도 운행시 위험 요소 또는 지연 요소가 검색될 경우, 상기 위험 요소 또는 지연 요소에 대응하는 경보를 발령하도록 지령하는 경보 지령 데이터를 상기 신호 관제 장치로 전송하는 기상 경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 방재 시스템 및 그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 관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 시스템은 종래의 열차 운행 관제 시스템에 기상 경보 장치(10)를 부설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먼저 종래의 열차 운행 관제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후에 본 발명의 기상 경보 장치(10)를 종래의 열차 운행 관제 시스템과 연계하여 본 발명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종래의 열차 운행 관제 시스템은 크게 열차의 전반적인 운행을 종합적으로 감시하는 운행 사령실의 사령 신호설비(20)와 실제 선로상에 설치된 열차운행을 위한 연동장치, 전철기, 신호기, 궤도 등의 장치와 같은 현장 신호설비(30)로 나누어 진다. 여기서, 현장 신호설비(30)들은 열차 운행시에 그 상태가 변하고, 이러한 상태 변화에 의한 전기적인 신호들이 열차 운행 구간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구간별로 할당된 구간신호 송신장치(31)(Local Data Transmission System, 통상 LDTS 라함)에 의해서 모뎀통신 또는 시리얼 통신 방식으로 상기 사령 신호설비(20)로 전송된다. 이때, 현장 신호설비(30)들의 데이터의 송신은 상기의 구간신호 송신장치(31)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수신은 상기 사령 신호 설비의 구간신호 수신장치(25)(Central Data Transmission System, 통상 CDTS 라함)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간신호 수신장치(25)는 다수개의 구간신호 송신장치(31)에서 송신하는 현장 신호설비(30)들의 전기적인 상태 정보를 사령 신호설비(20)들 중 하나인 통합 신호 관제 장치(21)(Total Traffic Control)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의 통합 신호 관제 장치(21)는 통상적으로 열차나 지하철의 관제 사령실에 열차의 원할한 운전상태를 유지하게 하기 위한 설비 장치로서, 운영자로 하여금 최소한의 개입만을 허용하며, 열차의 운행 상태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의 통합 신호 관제장치(21)에는 운영자가 선로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현장의 신호설비와 유사한 모양으로 정형화된 심볼로 표시되는 LS(Line Station)단말(23a)과 운영자가 현장의 신호설비를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명령을 내리기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MMI(Man Machine Interface)단말(23b)과 같은 운영자 제어 콘솔(23)이 부설된다.
통상적으로 철도 운행상의 열차는 열차가 가지는 해당 고유번호에 의해서 관리가 되어지는데 각 열차 고유번호별로 열차의 운행 스케줄이 존재하며 운행 스케줄에 의해서 상기 통합 신호 관제장치(21)가 자동으로 열차의 운행상태를 감시하고, 이에 대한 제반 처리를 한다. 만일, 예기치 못한 상황의 발생으로 예정된 운행 스케줄대로 운행이 되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상기의 통합 신호 관제장치(21)가 운영자의 개입을 할 수 있도록 상기 MMI 단말(23b)의 운영자 조작을 받아들인다. 운영자의 개입이 이루어져서 현장 신호 설비(30)에 명령이 전달되면 이에 따른 신호설비의 작동으로 열차의 운행이 계속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상기의 통합 신호 관제장치(21)과 운영자 제어콘솔(23) 이외에도 사령 신호설비에는 통상적으로 LDP(Large Display Panel)로 불리우는 운행상태 표시장치(24)가 설비되어 운영자가 선로 전구간에 대한 운행 상태를 전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의 운행상태 표시장치(24)는 상기 LS 단말(23a)의 화면과 동일내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되며, 선로상에 부설된 현장 신호설비(30)들의 상태를 램프의 점등 상태로 인식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어, 운영자가 철도 전구간의 운행 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밖에, 사령 신호설비(20)에는 구간신호 수신장치(25)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의 통합 신호 관제장치(21)가 제어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고, 각 사령 신호설비들의 신호 전송을 하드웨어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 장치(22)와 각 구간신호 수신장치(25)들의 게이트 역할을 하는 터미널 서버(27)가 존재하며, 통상적으로 사령 신호설비(20)들과 현장 신호설비(30)들은 상호간의 데이터 전송망으로서 모뎀통신 이나 시리얼 통신 방식이 이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사령 신호설비(20)는 일반적으로 관제할 수 있는 지역 내지 구간별로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이러한 다수개의 사령 신호설비(20)에서 발생하는 열차의 운행상황에 관한 정보는 상위의 종합 사령 신호설비(미도시)로 전송되어 상기의 종합 사령 신호설비의 소정의 표시장치에서 각각의 사령 신호설비(20)에서 전송되는 각 지역 내지 구간별 운행상황이 총체적으로 표시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열차 운행을 위한 관제 시스템을 본 발명의 기상 경보 장치(10)와 연계하여 본 발명의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방재 시스템을 설명한다.
상기 기상 경보 장치(10)는 본 발명 시스템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상기 통합 신호 관제장치(21)와 유/무선상으로 연결되고, 외부의 기상정보 제공업체 또는 기관(50)의 기상 정보 전송장치(51)로부터 철도 운행과 관련된 기상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전송하고, 전송한 상기 기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기상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된 정보로부터 철도 운행시 위험 요소가 검색될 경우, 상기 위험 요소에 대응하는 경보를 발령하도록 지령하는 경보 지령 데이터를 상기 신호 관제장치(21)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기상 경보 장치(10)는 기상정보 제공업체 또는 기관(50)의 기상 정보 전송장치(51)로부터 통상의 인터넷 망 또는 시리얼 통신망을 통하여 상호간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사령 신호설비(20)중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상기 기상정보 제공업체 또는 기관(50)으로부터 제공받은 기상정보를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전송하기 위한 형식으로 데이터를 포맷하여 이를 상기 인터넷 망 또는 시리얼 통신망을 통하여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전송한다. 그리고,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는 상기와 같이 제공받은 기상 정보를 사령 신호설비(20)에서 표시하고자 하는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운영자 제어 콘솔(23) 및 운행상태 표시장치(24)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기상 경보 장치(10)는 기상 정보 제공업체/기관(50)에서 제공하는 현시점에서의 현재 기상 정보와 중장기 예측 기상 정보를 함께 수신받는데, 이중 상기 현재 기상 정보는 인터넷 망 또는 시리얼 통신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통합 신호 관제 장치(21)로 전송되어 운영자 제어 콘솔(23)이나 운행상태 표시장치(24)에 표시되고, 상기 중장기 예측 기상정보는 기상 경보장치(10)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기상 상태가 악화되거나 사고가 우려되는 경우 단계별 경보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정보로서 이용되게 되며, 이의 상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기상 경보 장치(10)의 상세한 구성을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기상 경보 장치(10)의 내부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기상 경보 장치(10)의 구성은 기상 정보 입력부(11), 기상 정보 처리부(12), 데이터베이스부(13), 기상 정보 출력부(14), 메인 컨트롤부(15)로 구성되며, 이하, 상기 각 부들의 기능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기상 정보 입력부(11)는 기상 정보 제공업체/기관(50)의 기상정보 전송장치(51)로부터 기상 정보를 입력받는 부분으로서, 본 발명에 실시예에 의한 인터넷 망 또는 시리얼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토콜과 모뎀 등의 접속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전송되는 기상 정보를 전달 받으며, 수신한 데이터의 물리적인 데이터 오류 처리와 프로토콜 처리를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기상 정보는 기상 정보제공업체/기관(50)의 기상정보 전송장치(51)로부터 제공받도록 되어 있으나, 실제의 열차가 운행되는 선로 및 선로를 포함하는 지역의 기상 관측장비(미도시, 선로상에 설치된 풍향, 온도, 강우 등의 측정장비)로부터 소정의 전송망을 통하여 기상 정보를 전송받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기상 정보 처리부(12)는 기상 경보 장치(10)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으로서, 본 발명에서의 기상 정보를 통합 신호 관제 장치(21)로 전송하고, 기상정보 입력부(11)에서 수신되는 기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기상 정보에 대응하는 경보 수준 판단 및 경보 발령을 수행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는 기상 정보의 이력(履歷)을 관리하는 소프트웨어적인 제어 프로그램들의 집합체로서, 기상 경보 장치(10) 내에서 메인 컨트롤부(15)의 명령에 의하여 기상정보 입력부(11)로 입력되는 기상 정보에 대응하는 각각의 처리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기상 정보 처리부(12)에 포함되는 처리 프로세스들은 다음과 같다.
1) 기상정보 확인 프로세스(12a)
기상정보 입력부(11)로 수신되는 강수, 강설, 기온, 풍속 등의 기상 정보의 유무를 메인 컨트롤부(15)의 지령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확인하고, 수신된 기상 정보가 존재하면 이를 현재 기상 정보와 중장기 예측 기상 정보로 나누어 후술할 기상정보 데이터베이스(13a)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현재 기상 정보를 통합 신호 관제장치(21)와 약속된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포맷하는 데이터 포맷 프로세스(12b)를 활성화시킨다.
2) 데이터 포맷 프로세스(12b)
상기 기상정보 확인 프로세스(12a)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수신된 기상 정보중 현재 기상정보를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전송하기 위한 형식으로 데이터를 포맷하는 프로세스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통합 신호 관제장치와 약속된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포맷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의 포맷은 수신된 현재 기상정보를 상기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용 포맷으로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것으로서, 기상정보 자체 데이터와 함께 정보의 전송 목적지와 데이터의 크기와 종류,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 등이 부가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공지의 방법을 활용하여 실시하면 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수신된 기상정보중 중장기 예측 기상정보도 사령 신호설비(20)의 운영자 또는 기상 경보 장치(10)의 운영자의 필요에 따라서 데이터가 포맷될 수 있슴은 물론이다.
3) 현재 기상정보 전송 프로세스(12c)
상기 데이터 포맷 프로세스(12b)에 의하여 전송용 데이터로 포맷된 기상정보 데이터를 메인 컨트롤부(15)에 지령에 의하여 사령 신호설비(20)의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송신할 수 있도록 기상 정보 출력부(14)로 전달하기 위한 프로세스이다. 전달된 기상정보 데이터는 기상정보 출력부(14)에 의하여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전송된다. 또한, 현재 기상정보 전송 프로세스(12c)는 전송된 기상정보 데이터를 후술할 기상정보 데이터베이스(13a)에 저장하고, 기상 정보에 따른 경보 발령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경보 여부 확인 및 발령 프로세스(12d)를 활성화 시킨다.
4) 경보 수준 판단 및 발령 프로세스(12d)
상기 현재 기상정보 전송 프로세스(12c)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프로세스로서 , 경보 수준의 판단을 위한 처리의 수행은 아래와 같다.
먼저, 전달된 현재 기상정보와 후술할 기상정보 데이터베이스(13a)로부터 검색된 중장기 예측 기상 정보와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기상정보 이력 데이터베이스(13b) 및 경보 단계별 처리 데이터베이스(13c)로부터 기상 상태에 따른 열차 지연 또는 위험 요소의 우선순위 및 과거의 열차 운행시의 지연 또는 사고 정보를 검색한다.
그 후, 상기의 차이값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열차 운행상의 위험요소 또는 지연요소의 유무를 도출함으로써 현재 기상 상태에 따른 경보 수준을 판단하는 것이며, 경보 수준 판단에 대응하는 단계별 경보가 발령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경보 수준 판단에 이용된 데이터는 후술할 기상정보 이력 데이터베이스(13b)에 저장되어, 차후의 기상 정보 비교시 참고할 수 있도록 정보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현재 기상 정보가 단계별 경보 수준에 해당하지 않으면,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정보를 유지할 뿐이나, 비교 결과가 단계별 경보 수준에 이른다고 판단되면, 각 경보 수준 단계에 해당하는 경보 지령 데이터를 후술할 경보 단계별 처리 데이터베이스(13c)로부터 불려들여 해당 경보 지령 데이터를 출력부(14)로 전달하고, 출력부(14)에서는 상기의 경보 지령 데이터를 사령 신호설비(20)의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전송하여, 통합 신호 관제장치(21)가 기상 상태에 따른 경보 신호를 운영자 제어 콘솔(23)이나 운행상태 표시장치(24)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하여 표시하여 사령 신호설비(20)의 운영자가 경보 발령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경보의 발령 경로에 있어서, 상기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경보 지령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상기 사령 신호설비(20)에 별도의 경보 발생장치를 부설하고 기상 경보장치(10)의 운영자가 직접 별도의 경보 발생장치에 경보 지령 데이터를 전송하여 경보를 발령하게 하는 것도 좋다. 여기서, 별도의 경보 발생장치로서는 사령 신호설비(20)에 스피커를 설치하여 이를 통하여 경보음을 발생하게 하거나, 사령 신호설비가 아닌 여타의 다른 표시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하거나, 경보 발령시 사령실과 자동으로 연락되는 유선상의 직통 전화를 이용하거나, 또는, 자동으로 사람의 음성을 전달하는 수단을 사용하여 사령 신호설비(20)에 직접 통보할 수도 있는데, 상기 음성 전달의 수단으로서 통상의 ARS(Automatic Response System)와 같은 자동음성 응답 시스템을 이용하거나, 문자화된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통상의 TTS(Text-to-Speech)시스템 또는 경보음성을 wav, mp3 와 같은 통상의 음향 화일 포맷으로 저장하여 두었다가, 경보시 이 음향 화일를 전송하는 장치를 사령 신호설비(20)와 기상 경보장치(10)간에 부설하여 경보를 사람의 음성으로 알려주는 장치등을 활용할 수 있다.
5) 기상정보 이력 관리 프로세스(12e)
상기 경보 수준 판단 및 발령 프로세스(12d)에 의하여 발령된 경보 지령 데이터 및 이전에 발생되었던 열차의 지연 및 사고 정보를 후술할 기상정보 이력 데이터베이스(13b)에 저장하기 위한 프로세스이다.
철도 운행의 열차 지연 및 사고 선례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들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거나 수정할 수 있으며, 추가로 발생된 기상 정보 이력에 대해서는 기상정보 이력 관리 프로세스(12e)에 의하여 기상정보 이력 데이터베이스(13b)가 새롭게 갱신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부(1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상정보 데이터베이스(13a), 기상정보 이력 데이터베이스(13b), 경보 단계별 처리 데이터베이스(13c)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상정보 데이터베이스(13b)는 외부의 기상정보 제공업체/기관(50)으로부터 제공받는 현재 기상정보 및 중장기 예측 기상정보가 저장되고, 전술한 현재 기상정보 전송 프로세스(12c)에 의하여 사령 신호설비(20)의 통합 신호 관제장치(21)에 전달된 기상정보 데이터의 패킷도 저장한다. 또한, 상기의 기상정보 이력 데이터베이스(13b)는 경보 수준 판단 및 발령 프로세스(12d)에 의하여 확인된 기상 정보들의 이력과 경보 발령시 상기의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전송된 경보 지령 데이터 및 과거의 철도 운행시 열차의 지연 및 사고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며, 기상정보 이력관리 프로세스(12e)에 의하여 새로운 기상 정보의 이력이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경보 단계별 처리 데이터베이스(13c)에는 기상 정보에 따른 각 단계별 경보 지령 데이터 및 다양한 기상정보중 경보 수준의 판단시 고려되는 기상정보의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 등이 저장되며, 기상 경보 장치의 운영자에 의하여 경보 지령 데이터 및 우선순위 정보의 갱신 및 수정이 가능하다.
그 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데이터베이스로서 메인 컨트롤부(15)에서 기상 경보장치(10)의 하드웨어적인 제어를 위하여 사용하는 일반적인 제어정보 및 시스템 정보를 저장하는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가진다.
다음으로, 기상 정보 출력부(14)에 관하여 설명한다. 기상 정보 출력부(14)는 기상 경보장치(10)에서 사령 신호설비(20)의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기상 정보를 송출하는 부분으로 현재 기상정보 전송 프로세스(12c)에 의하여 전달되는 기상 정보 패킷과 경보 수준 판단 및 발령 프로세스(12d)에 의하여 전달되는 경보 지령 데이터를 인터넷 망(40) 또는 시리얼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며, 기상 정보 입력부(11)과 마찬가지로 TCP/IP 등의 프로토콜과 모뎀 등의 접속장치를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메인 컨트롤부(15)는 통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하여 기상 경보장치(10)가 가지는 각각의 처리부들을 하드웨어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각부에 전달하며, 기상 정보 처리부(12)의 각 프로세스를 활성화시키거나, 정지시킬수 있는 신호를 부여하고,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기상 경보장치(10)의 운영자의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수단과 모니터 내지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인터페이스를 처리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 철도 운행을 위한 기상 방재 시스템의 작용을 도 3 을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기상 정보 제공업체/기관(50)에서 현재의 기상정보 및 중장기 예측 기상정보를 기상 정보 제공업체/기관의 기상정보 전송장치(51)를 통하여 기상 경보장치(10)의 기상정보 입력부(11)로 전송한다. 그러면,전송된 기상 정보는 기상 정보 처리부(12)의 전술한 각 프로세스들에 의하여 현재의 기상 정보가 경고 발령 단계에 해당하는 수준인지를 판단하여 경고 발령 수준이라면 기상정보 출력부(14)를 통하여 경보 지령 데이터를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전송하여 사령실의 운영자에게 현재 기상 상태의 위험을 경보한다.
또한, 현재 기상 정보는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를 통하여 사령 신호설비(40)내의 LS단말(23a)이나 MMI단말(23b)와 같은 운영자 제어 콘솔(23)에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고, 이를 사령 신호설비(40)의 운행상태 표시장치(24)와 같은 대형 패널에 표시되므로, 운영자의 철도 운행 감시의 능률성이 제고(提高)된다.
또한, 상기 사령 신호설비(40)의 운영자 제어 콘솔(23)이나 운행상태 표시장치(24)에 표시되는 현재 기상 정보 또는 경보는 전술한 바있는 상기 사령 신호설비(40)의 상위에 위치하는 종합 사령 신호설비(미도시)에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그곳에 설치된 소정의 표시장치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기상 경보 장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공받는 기상 정보나 경보 확인시 사용된 데이터 및 열차 지연이나 사고와 같은 기상 이력 정보들을 해당하는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차후 경보 수준 판단 및 경보 발령시 이 정보들을 참조할 수 있도록 하며, 저장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정 및 갱신함으로써 기상 정보와 관련한 데이터베이스들이 체계적으로 관리되게 되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들은 열차의 안전 운행을 위한 중장기적인 기상 방재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기상 방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기상 방재 방법을 각 단계별로 설명한다.
1) 기상 경보장치(10)가 기상정보 제공업체/기관(50)으로부터 현재 기상정보 및 중장기 예측 기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401);
기상 정보 제공업체/기관(50)의 기상정보 전송장치(51)로부터 본 발명의 기상 경보장치(10)가 인터넷 망(40)을 통하여 기상정보 입력부(11)로 강우, 강설, 풍속, 기온 등의 다양한 기상 정보에 대한 현재 기상정보와 중장기 예측 기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2) 수신 받은 기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402);
기상 경보장치(10)에 수신된 중장기 예측 기상정보와 현재 기상 정보의 기상정보를 각각 기상 경보장치(10)내의 기상정보 데이터베이스(13a)에 저장하는 단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상 경보장치(10)내의 기상정보 확인 프로세스(12a)에 의하여 그 기능이 수행되어 진다.
3) 저장된 기상 정보중 현재 기상 정보를 통합 신호 관제장치(21)와 약속된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포맷하는 단계(403);
전술한 바대로 기상정보 입력부(11)에서 수신하여 저장한 현재 기상 정보를 사령 신호설비(20)의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전송하기 위한 형식으로 포맷하는 단계로서, 통합 신호 관제장치(21)과 미리 약속된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포맷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상 경보장치(10)내의 데이터 포맷 프로세스(12b)에 의하여 데이터의 포맷이 수행된다.
4) 포맷된 현재 기상 정보를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전송하고, 전송된 현재 기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404);
상기와 같이 포맷된 현재 기상 정보는 현재 기상 정보 전송 프로세스(12c)에 의하여 기상정보 출력부(14)로 전달되고, 기상정보 데이터 패킷으로서 사령 신호설비(20)의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전송된다. 이후, 전송된 현재 기상정보는 기상정보 데이터베이스(13a)에 다시 저장된다.
5)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현재 시점에서의 기상 정보에 의하여 경보 발령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405);
현재의 기상 상태에 따른 경보 발령의 수준을 판단하기 위한 단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기상 경보 장치(10)내의 경보수준 판단 및 발령 프로세스(12d)에 의하여 수행되는데, 상기의 경보 수준 판단 방법은 전술한 바대로, 전달된 현재 기상정보와 후술할 기상정보 데이터베이스(13a)로부터 검색된 중장기 예측 기상 정보와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기상정보 이력 데이터베이스(13b) 및 경보 단계별 처리 데이터베이스(13c)로부터 기상 상태에 따른 열차 지연 또는 위험 요소의 우선순위 및 과거의 열차 운행시의 지연 또는 사고 정보를 검색한다. 그 후, 상기의 차이값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상기 정보들을 기초로 하여 열차 운행상의 위험요소 또는 지연요소의 유무를 도출함으로써 현재 기상 상태에 따른 경보 수준을 판단하는 것이며, 경보 수준 판단에 대응하는 단계별 경보가 발령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의 단계별 경고는 기상청과 같은 기상 예보 기관에서 발령하는 주의보나 경보와 같은 형식을 채용한다.
6) 판단된 경보 발령 수준에 따르는 경보 지령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406);
경보수준 판단 및 발령 프로세스(12d)에 의하여 판단된 경보의 수준에 따라서 이를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전송하기 위하여, 경보 단계별 처리 데이터베이스(13c)로 부터 각 단계별 경보에 따르는 단계별 경보 지령 데이터를 검색하여 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7) 생성된 경보 지령 데이터를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전송하는 단계 (407);
생성된 경보 지령 데이터를 기상정보 출력부(14)로 전달하여 상기 출력부(14)에서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8) 통합 신호 관제장치(21)가 전송받은 경보 지령 데이터에 따라서 운영자 제어 콘솔(23) 또는 운행상태 표시장치(24)에 표시하는 단계(408);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는 전송받은 경보 지령 데이터에 따라서 경보의 수준을 사령 신호설비(20)내의 운영자 제어 콘솔(23)이나 운행상태 표시장치(24)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철도의 운행상황을 제어하는 사령실의 운영자에게 현재 기상상태에 따른 각 구간별 위험 상황을 일목요연하게 미리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사령실의 운영자는 각 구간별로 표시된 경보 상황에 따라서 운영자 제어콘솔(23) 또는 기타 연락망에 의하여 현재 기상상태에 따른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경보 발령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405)에서 생성되는 현재 기상정보와 중장기 예측 기상정보와의 비교에 소요된 데이터는 기상정보 이력 데이터베이스(13b)에 저장되어 차후에 발생하는 경보 수준 판단에 참조할 수 있도록 기상 정보 이력관리 프로세스(12e)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관리되며, 본 발명 기상 경보장치(10)의 운영자는 상기의 기상정보 이력 데이터베이스(13b)에 철도 운행상 발생한 열차 지연 및 사고 선례를 입력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그 정보의 검색 및 수정, 신규 갱신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함으로써 철도 운행상 열차의 각종 지연 및 사고 정보에 대한 이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기상방재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가상으로 발생한 상황에 대한 본 발명 기상 방재 시스템의 처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발생한 가상 상황은 다음와 같다.
본 발명 기상 경보장치(10)가 기상정보 제공업체/기관(50)으로부터 현재 기상정보를 수신한 결과 선로상의 특정 지역에 10ml의 강우가 내리고 있으며, 중장기 예측 기상정보 결과로는 앞으로 이 지역에 30ml 정도의 강우가 더 내릴 예정이라고 한다. 또한, 기상정보 이력 데이터베이스(13b)의 그 지역의 사고 이력의 검색결과 3 년전 이지역에 강수량이 30ml 였을때, 선로가 침수되어 열차의 운행이 지연되는 사고가 있었다고 한다.
위 상황의 발생에 따라서 본 발명 기상 경보장치(10)는 현재의 기상 정보를 사령 신호 설비(20)의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즉시 송신하며, 경보의 수준을 판단하기 위한 수순에 들어간다. 기상 경보장치(10)의 판단은 현재 기상정보에 따른강우량이 10ml이며, 앞으로 예상되는 중장기 예측 기상정보의 강우량이 30ml이므로, 비교결과 그 지역에 약 40ml의 강우가 내릴 것으로 전망되고, 또한 3 년전의 사고 선례에 의하면 선로가 침수될 우려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현재 기상 상태가 선로 침수에 해당하는 경보 수준인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선로 침수에 해당하는 경보 지령 데이터를 상기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전송하고, 통합 신호 관제장치(21)가 사령 신호설비(20)의 운영자 제어 콘솔(23)의 LS단말(23a)와 MMI단말(23b) 및 운행상태 표시장치(24)에 현재 기상상태에 따른 경보 상황을 디스플레이하여 이를 사령 신호설비(20)의 운영자에게 즉시 인지하도록 한다. 도면에는 상기의 경보 상황에 대한 디스플레이의 처리를 강우가 내리는 구름모양이 적색으로 표시되게 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경보를 인지한 사령 신호설비(20)의 운영자는 그 지역을 운행하는 열차에 대하여 선로 침수에 관한 정보를 연락하여 우회하게 하거나, 선로 침수에 대비한 선로 보수반의 편성 등 적절한 대응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방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명세서에 제시된 내용은 오로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 청구범위에 요지에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변형실시의 예로서 철도 운행상의 방재가 아닌 대도시 지하철 운행상의 기상 방재에도 본 발명 기상 방재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변형실시는 해당 업계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현재 기상 정보를 기존의 열차운행 의 관제 시스템과 연계하여 그 경보 상황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현재 기상상태에 따른 철도 운행상의 영향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기상정보 뿐만 아니라 중장기 내지 단기예보에 대한 기상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기 때문에 앞으로 예상되는 기상상태에 대해서 열차 지연 및 사고에 대한 사전 예측이 가능하며, 이를 단계별 경고로 분류해서 단계별로 대비책을 마련하여 이에 대한 대처를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전에 발생되었던 지연사례나 사고등의 철도 운행상의 이력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관리하도록 하기 때문에 선례와 유사한 상황에서의 신속한 대처로서 철로가 유실이 되었다거나 침수가 되었던 지역에 대해서는 집중적인 관리가 이루어짐으로, 철도 운행상의 지연 및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중장기적인 철도 운행상의 관리 자료로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수 있는 효과가 있는 매우 진보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8)

  1. 철도 전 구간의 열차 운행 상황을 감시하고 파악된 상황에 대응하는 조치를 취하며, 열차 운행 계획에 의하여 열차의 진로 설정과 이동 등을 제어하는 통합 신호 관제 장치(21)를 가지는 통상의 열차 운행 관제 시스템과 상기 통합 신호 관제 장치와 유/무선 상의 통신망으로 연결된 기상 경보 장치로 이루어진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 방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상 경보 장치는 기상정보 제공 업체/기관의 기상정보 전송장치 또는 열차가 운행되는 선로 및 선로를 포함하는 지역의 기상 관측장비로부터 기상정보를 입력받는 기상정보 입력부(11); 메인 컨트롤부(15)의 명령에 의하여 상기 기상정보 입력부(11)로 입력되는 기상정보에 대응하여 기상정보 확인(12a), 데이터 포맷(12b), 현재 기상정보 전송(12c), 경보수준 판단/발령(12d) 및 기상정보 이력관리(12e)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기상정보 처리부(12); 상기 기상정보에 따른 경보 발령시 상기의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전송된 경보 지령 데이터 및 과거의 열차 운행시 열차의 지연 및 사고 정보와 기상 정보에 따른 각 단계별 경보 지령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13); 상기 통합 신호 관제 장치(21)로 기상 정보를 송출하는 기상정보 출력부(14); 및 각각의 처리부들을 하드웨어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메인 컨트롤부(15);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 방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정보 확인 프로세스(12a)는, 기상정보 입력부(11)로 수신되는 기상 정보의 유무를 메인 컨트롤부(15)의 지령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확인하고, 수신된 기상 정보가 존재하면 이를 현재 기상 정보와 중장기 예측 기상 정보로 나누어 기상정보 데이터베이스(13a)에 저장하고, 기상정보 포맷 프로세스(12b)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 방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포맷 프로세스(12b)는, 기상정보 확인 프로세스(12a)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수신된 기상 정보 중 현재 기상정보를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전송하기 위하여 통합 신호 관제장치(21)와 약속된 프로토콜로 기상정보 데이터를 포맷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 방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기상정보 전송 프로세스(12c)는, 기상정보 포맷 프로세스(12b)에 의하여 포맷된 기상정보 데이터를 메인 컨트롤부(15)의 지령에 의하여 사령 신호설비(20)의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송신할 수 있도록 기상 정보 출력부(14)로 전달하고, 전송된 기상정보 데이터를 기상정보 데이터베이스(13a)에 저장하고, 기상 정보에 따른 경보 발령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경보 수준 판단 및 발령 프로세스(12d)를 활성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 방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준 판단 및 발령 프로세스(12d)는, 전달된 현재 기상정보와 후술할 기상정보 데이터베이스(13a)로부터 검색된 중장기 예측 기상 정보와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기상정보 이력 데이터베이스(13b) 및 경보 단계별 처리 데이터베이스(13c)로부터 기상 상태에 따른 열차 지연 또는 위험 요소의 우선순위 및 과거의 열차 운행시의 지연 또는 사고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의 차이값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열차 운행상의 위험요소 또는 지연요소의 유무를 도출하여, 현재 기상 상태에 따른 경보 수준을 판단하고, 경보 수준 판단에 대응하는 단계별 경보를 발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 방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정보 이력관리 프로세스(12e)는, 상기 경보 수준 판단 및 발령 프로세스(12d)에 의하여 발령된 경보 지령 데이터 및 이전에 발생되었던 열차의 지연 및 사고 정보를 기상정보 이력 데이터베이스(13b)에 저장하고, 이들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거나 수정할 수 있으며, 추가로 발생된 기상 정보 이력에 대해서는 기상정보 이력 데이터베이스(13b)를 새롭게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 방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3)는 외부의 기상정보 제공 업체/기관(50)으로부터 제공받는 현재 기상정보 및 중장기 예측 기상정보가 저장되고, 현재 기상정보 전송 프로세스(12c)에 의하여 사령 신호설비(20)의 통합 신호 관제장치(21)에 전달된 기상정보 데이터의 패킷을 저장하는 기상정보 데이터베이스(13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 방재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부(13)는, 경보 수준 판단 및 발령 프로세스(12d)에 의하여 확인된 기상 정보들의 이력과 경보 발령시 상기의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전송된 경보 지령 데이터 및 과거의 철도 운행시 열차의 지연 및 사고 정보를 저장하고, 기상정보 이력관리 프로세스(12e)에 의하여 새로운 기상 정보의 이력이 갱신될 수 있는 기상정보 이력 데이터베이스(1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 방재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부(13)는, 기상 정보에 따른 각 단계별 경보 지령 데이터가 저장되며, 기상 경보 장치의 운영자에 의하여 경보 지령 데이터의 갱신 및 수정이 가능한 경보 단계별 처리 데이터베이스(13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 방재 시스템.
  12. 철도 전 구간의 열차 운행 상황을 감시하고 파악된 상황에 대응하는 조치를 취하며, 열차 운행 계획에 의하여 열차의 진로 설정과 이동 등을 제어하는 통상의 열차 운행 관제 방법에 있어서,
    기상 경보장치(10)가 기상정보 제공업체/기관(50)으로부터 현재 기상정보 및 중장기 예측 기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401);
    수신 받은 기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402);
    저장된 기상 정보중 현재 기상 정보를 통합 신호 관제장치(21)와 약속된 프로토콜로 포맷하는 단계(403);
    포맷된 현재 기상 정보를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전송하고, 전송된 현재 기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404);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현재 시점에서의 기상 정보에 의하여 단계별 경보 발령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405);
    판단된 경보 발령 수준에 따르는 경보 지령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406);
    생성된 경보 지령 데이터를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전송하는 단계(407); 및
    통합 신호 관제장치(21)가 전송받은 경보 지령 데이터에 따라서 운영자 제어 콘솔(23) 또는 운행상태 표시장치(24)에 표시하는 단계(40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 방재 방법.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신호 관제 장치가 경보를 표시하는 단계(408)는 상기 기상 경보장치(10)가 상기 사령 신호설비(20)의 운영자 제어 콘솔(23)이나 운행상태 표시장치(24)에 표시되는 현재 기상 정보 또는 경보를 상기 사령 신호설비(20)의 상위에 위치하는 종합 사령 신호설비에 전송하여 소정의 표시장치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 방재 방법.
  15. 철도 전 구간의 열차 운행 상황을 감시하고 파악된 상황에 대응하는 조치를 취하며, 열차 운행 계획에 의하여 열차의 진로 설정과 이동 등을 제어하는 통상의 열차 운행 관제 방법에 있어서,
    기상 경보장치(10)가 기상정보 제공업체/기관(50)으로부터 현재 기상정보 및 중장기 예측 기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 받은 기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기상 정보중 현재 기상 정보를 통합 신호 관제장치(21)와 약속된 프로토콜로 포맷하는 단계;
    포맷된 현재 기상 정보를 통합 신호 관제장치(21)로 전송하고, 전송된 현재 기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현재 시점에서의 기상 정보에 의하여 단계별 경보 발령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
    판단된 경보 발령 수준에 따르는 경보 지령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령 신호설비(20)에 별도의 경보 발생 장치를 부설하고, 기상 경보장치(10)의 운영자가 직접 상기 별도의 경보 발생 장치에 경보 지령 데이터를 전송하여 경보를 발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 방재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경보 발생장치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 발생 스피커 또는 경보 발령시 사령실과 자동으로 연락되는 유선상의 직통 전화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방재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경보 발생장치는 경보를 사람의 음성으로 알려주는 수단을 사령 신호설비(20)와 기상 경보장치(10)간에 부설하여 사람의 음성으로 사령 신호설비(20)에 직접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방재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를 사람의 음성으로 알려주는 수단은 통상의 ARS(Automatic Response System)와 같은 자동음성 응답 시스템 또는 문자화된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통상의 TTS(Text-to-Speech)시스템 또는 경보음성을 wav, mp3 와 같은 통상의 음향 화일 포맷으로 저장하여 두었다가 경보시 상기 음향 화일를 전송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방재 방법.
KR10-2001-0035070A 2001-06-20 2001-06-20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 방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99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070A KR100399157B1 (ko) 2001-06-20 2001-06-20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 방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070A KR100399157B1 (ko) 2001-06-20 2001-06-20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 방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821A KR20010087821A (ko) 2001-09-26
KR100399157B1 true KR100399157B1 (ko) 2003-09-26

Family

ID=19711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070A KR100399157B1 (ko) 2001-06-20 2001-06-20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 방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91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694B1 (ko) * 2009-01-16 2011-03-25 (주)유디에스 티씨피아이피 통신 방식을 이용한 차량 행선안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597B1 (ko) * 2005-06-22 2007-07-02 경봉기술(주) 철도 및 지하철 관제시스템에서의 선형데이터 표시방법 및장치
KR101023061B1 (ko) * 2010-08-24 2011-03-24 주식회사 한스웰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의 대체지령 통신시스템
CN114384609B (zh) * 2020-10-20 2024-01-30 江苏省气象台 一种机场云雾综合预警系统及方法
CN114735052A (zh) * 2022-04-08 2022-07-12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列车控制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706A (ko) * 1998-07-28 2000-02-15 황해웅 인공지능형 해난 경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706A (ko) * 1998-07-28 2000-02-15 황해웅 인공지능형 해난 경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694B1 (ko) * 2009-01-16 2011-03-25 (주)유디에스 티씨피아이피 통신 방식을 이용한 차량 행선안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821A (ko) 200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87819C (en) Train safety system
US10648827B2 (en) System to provide real-time railroad grade crossing information to support traffic management decision-making
CA2413080C (en) Advanced communication-based vehicle control method
US7327280B2 (en) Emergency vehicle traffic signal preemption system
JP6125574B2 (ja) 列車管理システム
US20070244627A1 (en) Intelligent Redirection of Vehicular Traffic Due to Congestion and Real-Time Performance Metrics
EP1868175A2 (en) Control station,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in object movement control
KR101037175B1 (ko) 열차운행정보분석장치를 활용한 열차운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TWI304561B (en) Control station, mobile st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in object movement control
KR100399157B1 (ko) 열차 운행을 위한 기상 방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53771B1 (ko) 열차 관제 시스템
CN104944239A (zh) 一种电梯维保及检测信息公示系统及实现方法
JP6006753B2 (ja) 踏切保安システム、中央装置及び踏切制御装置
JP7343418B2 (ja) 発報システムおよび発報方法
JP4232015B2 (ja) 列車接近警報システム
JP5380358B2 (ja) 運行再開時刻予測方法及び装置
CN113542087B (zh) 一种数字轨道电车车载人机交互系统及其通信控制方法
KR20020046291A (ko) 씨비티씨를 이용한 열차 방호 무선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JPH08272855A (ja) 鉄道保守員安全管理システム
KR200420054Y1 (ko) 열차의 안전 주행을 위한 경고시스템
JP2004189043A (ja) 列車情報伝達システム
WO2018232129A1 (en) Crossing warning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JP2000085582A (ja) 列車乗務員の支援装置
KR20180047727A (ko) 버스의 이동경로 추적 및 예상경로 예측 기능의 버스 안내단말과 안내시스템
KR200238907Y1 (ko) 씨비티씨를 이용한 열차 방호 무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