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024B1 - 트레이 안착용 플레이트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트레이 안착용 플레이트 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024B1
KR100399024B1 KR10-2001-0048969A KR20010048969A KR100399024B1 KR 100399024 B1 KR100399024 B1 KR 100399024B1 KR 20010048969 A KR20010048969 A KR 20010048969A KR 100399024 B1 KR100399024 B1 KR 100399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uide
base frame
tray
ad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4966A (ko
Inventor
이승원
Original Assignee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8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9024B1/ko
Publication of KR20030014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0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84Containers and magazines for components, e.g. tube-like magazi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95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having a plurality of work-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공급장치에서 전자부품을 공급하기 위해 교환장치가 동작을 수행할 때 교환장치의 흡착패드가 전자부품이 실장된 플레이트를 안정되고 정확하게 파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핀이 설치된 트레이 안착용 플레이트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트레이 안착용 플레이트 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환장치의 일측에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플레이트를 흡착 파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흡착패드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를 정렬시킬 수 있는 복수개의 가이드 핀이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 핀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함께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이드 핀이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면서, 플레이트를 흡착패드와 밀착시킴에 따라 정렬되어 흡착패드가 플레이트를 안정되게 파지토록 하여 플레이트에 안착되어 있는 전자부품을 보다 용이하게 전자부품공급장치에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트레이 안착용 플레이트 교환장치{Plate Exchanging Apparatus for Mounting Tray Safely}
본 발명은 트레이 안착용 플레이트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부품공급장치에서 전자부품을 공급하기 위해 교환장치가 동작을 수행할 때 교환장치의 흡착패드가 전자부품이 실장된 플레이트를 안정되고 정확하게 파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핀이 설치된 트레이 안착용 플레이트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부품은 트레이에 실장되고 트레이는 플레이트에 수납되며 상기 플레이트는 실장된 전자부품을 전자부품공급장치에 의해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종래, 전자부품을 플레이트에 실장해서 교환 및 이송하는 트레이 피더용 스택커(200)(일명, 전자부품공급장치라고도 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스택커(200)의 외곽을 형성하고 있는 메인 프레임(240)과, 복수개의 플레이트(20)를 이송시키기 위한 매거진(300)과, 교환장치(100)와, 트랜스퍼(500)로 구성된다.
상기 스택커(200)는 외곽을 형성하고 있는 메인 프레임(240)과, 볼스크류(2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210)와, 상기 모터(220)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보조 브레임(260)과, 상기 모터(21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볼수크류(220)와, 상기 볼스크류(220)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되는 엘리베이터(미도시됨)로 구성된다.
상기 매거진(300)은 전자부품(미도시됨)이 탑재된 플레이트(20)를 수납한 상태로 엘리베이터에 탑재되어 상/하 이동된다
상기 교환장치(100)는 상기 매거진(300)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플레이트(20)를 트랜스퍼(500)의 상부에 설치된 제1트레이 플레이트(530)의 상부에 실장하고, 전자부품의 공급을 수행하고 상기 귀환되어온 제2트레이 플레이트(540)의 상부에 탑재된 플레이트(20)를 파지하여 상기 매거진(300)의 내부에 수납하여 상기 플레이트(20)의 교환을 수행한다.
상기 트랜스퍼(500)는 상기 제1트레이 플레이트(530)와, 제2트레이 플레이트(540)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전자부품이 탑재된 플레이트(20)가 전자부품실장장치에 전자부품을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환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교환장치(100)는 가이드 지지부재(120)와, 구동부(130)와, 가이드블럭(150)과, 헤드부(140) 그리고, 노즐지지부(11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이드 지지부재(120)는 지지바(125)와 상기 지지바(125)의 양 끝단에 설치된 제1 지지프레임(123)과 제2 지지프레임(1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23,124)의 일단에는 제1 및 제2 지지블럭(121,12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블럭(121,122)의 양 끝단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LM가이드(12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 지지프레임(123)의 일측에는 트레이 플레이트(530,540)의 위치 및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부(170)가 설치되어 있고, 그 타측에는 구동부(1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130)의 모터(139)에는 구동축(134)이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134)에는 제1 벨트(133)가 개재된 풀리(131,13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풀리(131,132)는 구동풀리(131)와 아이들풀리(132)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아이들풀리(132)는 제1 롤러축(135)에 삽입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롤러축(135)의 끝단에는 제1 롤러(138)가 연결 되고, 제2 롤러축(136)의 끝단에는 제2 롤러(도시되지 않음)가 연결 되며, 상기 제1 및 제2 롤러에는 제2 벨트(137)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제1 롤러축(135)은 제1지지블럭(121)에 지지되어 회전된다. 상기 개재된 제2 벨트(137)의 타단에는 제2 롤러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롤러는 제2 롤러축(136)에 삽입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롤러축(136)은 제2 지지블럭(122)에 지지되어 회전된다. 상기 제2 지지블럭(122)은 제2 지지프레임(124)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지지프레임(124)의 상부에는 진공발생기(16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진공발생기(160)는 노즐지지부(11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 벨트(137)의 상부에는 가이드블럭(150)이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블럭(150)의 하부에 설치된 헤드부(140)가 함께 안내 된다. 상기 헤드부(140)의 일측에는 LM가이드(128)에 삽입 결합되어 안내될 수 있는 가이드 홈(1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140)의 하단부에는 노즐지지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즐지지부(110)에는 복수개의 노즐(111)이 지지되어 있으며, 각각의 노즐에는 트레이 플레이트(530,540)의 일측면을 흡착할 수 있는 진공패드(113)와 트레이 플레이트(530,540)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는 스토퍼(114)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노즐지지부(110)의 상부에는 진공발생기(160)로부터 발생되는 흡입력을 진공패드(113)에 연결시켜주는 피팅부(112)가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에 의해 그 작용모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인 프레임(240)과 매거진(300)과, 교환장치(100)와, 트랜스퍼(500)로 이루어진 스택커(200)는 상기 메인 프레임(240)의 내측에 보조 프레임(26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조 프레임(260)의 일측에 설치된 모터(210)가 회전하면 상기모터(210)와 연결되어 있는 볼스크류(220)가 회전한다.
상기 볼스크류(220)에 연결되어 있는 엘리베이터(미도시됨)는 상기 볼스크류(220)의 회전에 의해 승강이동하게 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에는 전자부품(미도시됨)이 탑재된 트레이(1)가 실장된 플레이트(20)가 수납된 매거진(300)이 탑재되어 있으며,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이동에 의해 상기 매거진(300) 역시 함께 승강이동 된다.
상기 매거진(300)이 승강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게 되면, 교환장치(100)가 작동하여 상기 매거진(300)의 내부에 탑재되어 있는 플레이트(20)를 파지한 상태로 후진구동하여 인출한 후 상기 플레이트(20)를 트랜스퍼(500)의 상부의 일측에 설치된 제1트레이 플레이트(530)의 상부에 실장한다.
상기 트랜스퍼(500)의 일측에 설치된 제1트레이 플레이트(530)는 전자부품실장장치쪽으로 이동하고, 이때 상기 제1트레이 플레이트(530)에 대응되며 상기 트랜스퍼(500)의 타측에 설치되어 있던 제2트레이 플레이트(540)는 상기 제1트레이 플레이트(530)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트레이 플레이트(530)와 충돌하지 않고 교차이동하여 교환장치(100)가 파지할 수 있는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상기 교환장치(100)의 작업위치에 위치한 제2트레이 플레이트(540)의 상부에 전자부품의 실장을 마친 플레이트(20)가 탑재되어 있고, 상기 교환장치(100)는 상기 전자부품의 실장을 마친 플레이트(20)를 파지한 상태로 전진하여 매거진(300)의 내부에 수납하게 된다.
상기 매거진(300)은 플레이트(20)를 수납한 상태로 엘리베이터와 함께모터(210)의 구동에 의해 하강하여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면, 작업자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20)는 전자부품이 실장된 플레이트(20)와 교환되어 상기 전자부품을 계속 공급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과정에 있어서, 상기 교환장치(100)의 작동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엘리베이터가 상승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면, 상기 엘리베이터의 상부에 탑재된 매거진(300)의 내부에 수납된 플레이트(20)를 인출하기 위해 교환장치(100)가 작동한다.
상기 교환장치(100)의 가이드 지지부재(120)의 일측에 구비된 구동부(130)의 모터(139)가 구동하고, 상기 모터(139)에 연결된 구동풀리(131)가 회전되면, 상기 구동풀리(131)에 개재된 제1 벨트((133)가 회전되면서 아이들풀리(132)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아이들풀리(132)는 제1 롤러축(135)에 삽입 지지되어, 상기 제1 롤러축(135)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제1 롤러축(135)은 지지블럭(121)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되는 제1 롤러축(135)에 의해 제1 롤러(138)가 회전되면, 제1 및 제2 롤러에 개재되어 있는 제2 벨트(137)가 제1 및 제2 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된다.
이때, 제2 벨트(137)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블럭(150)이 제2 벨트(137)를 따라 전진 이동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블럭(150)과 연결 구성되어 있는 헤드부(140)와 노즐지지부(110)가 함께 전진이동한다.
상기 노즐지지부(110)의 상부에 형성된 피팅부(112)와, 연결된 제2 지지프레임(124)의 일면에 구비된 진공발생기(160)는 흡입력을 흡착패드(113)에 공급하게 되어, 상기 헤드부(140)의 하부에 설치된 흡착패드(113)와 스토퍼(114)가 플레이트(20)의 일측을 흡착 및 지지하여 파지하게 된다.
상기 파지된 플레이트(20)는 교환장치(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부(130)의 모터(139)의 역구동에 의해 구동풀리(131)가 역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풀리(131)가 역회전하게 되면, 제1 벨트(133)가 구동풀리(131)와 아이들풀리(132)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아이들풀리(132)를 역회전을 시키게 된다.
상기 아이들풀리(132)의 일단에 삽입 연결된 제1 롤러축(135)이 역회전을 하게되면, 상기 제1 롤러축(135)의 타단에 삽입되어 있는 제1 롤러(138) 도 역회전을 하게되고, 제1 및 제2 롤러에 개재된 제2 벨트(137) 역시 제1 및 제2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역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제2 벨트(137)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블럭(150)이 매거진(300)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블럭(150)과 연결된 헤드부(140)의 노즐지지부(110)는 매거진(300)의 내부로부터 플레이트(20)를 파지한 상태로 후방으로 이동하여 인출하게 된다.
상기 헤드부(140)의 노즐지지부(110)의 후진에 의해 인출된 플레이트(20)는 진공발생기(160)의 작동에 의해 진공패드(113)의 흡착력이 해제되면, 트랜스퍼(500)의 일측의 상부에 위치한 제2 트레이 플레이트(540)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플레이트(20)는 트랜스퍼(500)의 구동에 의해 전자부품실장장치로 이송됨과 동시에 트랜스퍼(500)의 타측에 위치한 제1 트레이 플레이트(530)가 교환장치(100) 쪽으로 환송된다.
상기 환송되어진 제1 트레이 플레이트(530)의 전자부품의 실장을 끝마친 플레이트(20)가 탑재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20)는 가이드 지지부재(1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센서부(170)에 의해 거리 및 위치가 감지되고, 소정의 위치에 도착하게 되면, 환송되어진 플레이트(20)는 교환장치(100)의 일측에 구비된 노즐지지부(110)의 작동에 의해 파지된다.
상기 파지된 플레이트(20)는 매거진(300)의 내부에 다시 수납되고, 상기 수납된 플레이트(20)는 매거진(300)에 수납된 상태로 함께 엘리베이터와 함께 하강하게 된다. 상기 하강된 매거진(300)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플레이트(20)는 다시 전자부품을 실장하여 매거진(300)에 수납되며, 상기 수납된 플레이트(20)는 매거진(300)과 함께 상승하여 전자부품실장장치로 전자부품을 이송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교환장치의 복수개의 스토퍼가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해 밀착하여 상기 플레이트는 정렬되고, 상기 진공패드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 정렬되고 밀착되어진 플레이트의 일측을 파지하여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정은 스토퍼가 전진이동하여 플레이트의 일측을 밀어서 정렬시키게 되는데, 상기 스토퍼와 흡착패드가 전진하게되면, 상기 스토퍼와 흡착패드는 전진해 온 속도에 의해 플레이트의 일측에 부딛치게 되어, 상기 플레이트는 밀려나게되어 상기 흡착패드와 플레이트의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상기 흡착패드가 상기 플레이트를 파지할 수 없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에 상기 흡착패드가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면, 상기 플레이트를 파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여 결과적으로 전자부품의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부품공급장치에서 전자부품을 공급하기 위해 교환장치가 동작을 수행할 때 교환장치의 흡착패드가 전자부품이 실장된 플레이트를 안정되고 정확하게 파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핀이 설치된 교환장치와, 가이드 홈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환장치가 설치된 트레이 피더용 스택커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교환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교환장치와,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이드 핀과, 가이드 홈을 확대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40 : 교환장치 50 : 플레이트
43 : 흡착패드 52 : 흡착판
44 : 가이드부 54 : 가이드 레일
45 : 가이드 핀 57 : 가이드 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레이 안착용 플레이트 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환장치의 일측에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플레이트를 흡착파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흡착패드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를 정렬시킬 수 있는 복수개의 가이드 핀이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 핀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안착용 플레이트 교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부는 플레이트의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 핀과, 상기 가이드 핀의 후방부에 설치되며, 삽입홀에 삽설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트레이를 안착시킬 수 있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좌우 양끝단에 상기 플레이트가 수납공간에 수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의 내측에는 푸셔를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 홀과;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푸셔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의 끝단에 설치되며, 흡착패드에 의해 흡착파지 되는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과 대응되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의 끝단에 설치되어 트레이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판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의 양끝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슬롯과;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의 일측에 상기 가이드 핀을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 홈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 핀은 흡착패드가 플레이트를 파지할 때 플레이트의 위치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플레이트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 삽입되면서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교환장치와,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이드 핀과 가이드 홈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교환장치(40)는 베이스 프레임(4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41)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교환장치(40)를 전진 및 후진 구동할 수 있는 구동부(30)와, 상기 교환장치(40)가 전진 및 후진 구동할 때 안내될 수 있는 안내부(60)로 구성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41)의 일측에 설치되어 플레이트(50)를 흡착파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흡착패드(43)와, 상기 복수개의 흡착패드(43)가 정렬되어 설치되어 있는 패드지지부재(42)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41)의 양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50)를 정렬시킬 수 있으며, 복수개의 가이드 핀(45)이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가이드부(44)와,
상기 가이드부(44)는 그 내부에 상기 가이드 핀(4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홀(44a)과, 상기 삽입홀(44a)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45)과, 상기 가이드 핀(45)을 탄성력에 의해 탄력지지해 주는 탄성부재(4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동부(30)는 모터(31)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풀리(32)와, 상기 제1풀리(32)와 함께 회전되는 제2풀리(33)와, 상기 제1풀리(32)와 제2풀리(33)에 개재되어 회전되는 제1벨트(35)와, 상기 제2풀리(33)
가 일측에 지지되는 풀리 지지블럭(38)과, 상기 풀리 지지블럭(38)의 타측에 지지되어 회전되는 제3풀리(34)와, 상기 제3풀리(34)에 개재되어 회전되는 제2벨트(36)와, 상기 제2벨트(36)에 파지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41)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벨트(36)의 회전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41)과 함께 이동되는 벨트 지지블럭(37)으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상기 안내부(6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41)의 양측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블럭(61)과,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블럭(61)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41)과 함께 이동할 수 있는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6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흡착패드(43)에 의해 파지되는 플레이트(50)는, 트레이(1)를 안착시킬 수 있는 베이스 프레임(5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51)의 좌우 양끝단에 상기 플레이트(50)가 수납공간에 수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54)과,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54)의 내측에는 푸셔(58)를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 홀(55)과, 상기 가이드 홀(55)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양측에 복수개의 레버(59)가 설치된 푸셔(58)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51)의 전방의 끝단에 설치되며, 흡착패드(43)에 의해 흡착파지 되는 흡착판(52)과, 상기 흡착판(52)과 대응되며, 베이스 프레임(51)의 후방의 끝단에 설치되어 트레이(1)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판(53)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51)의 전방의 양끝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슬롯(56)과,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54)의 일측에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핀(45)을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 홈(57)로 구성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트레이 안착용 플레이트 교환장치의 구성 및 작용모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트레이 안착용 플레이트 교환장치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플레이트(50)를 파지하기 위해 구동부(30)의 모터(31)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모터(31)의 일측에 설치된 제1풀리(32)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풀리(32)의일측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제2풀리(33)는 개재된 제1벨트(35)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제1벨트(35)에 의해 회전되는 제2풀리(33)는 풀리 지지블럭(38)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풀리 지지블럭(38)의 타측에 설치된 제3풀리(34)는 상기 제2풀리(33)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된다.
상기 제3풀리(34)에 개재된 제2벨트(36)는 상기 제3풀리(3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3풀리(34)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되고, 상기 제2벨트(36)를 파지한 상태로 베이스 프레임(41)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벨트 지지블럭(37)은 상기 회전되는 제2벨트(36)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41)과 함께 전진 및 후진이동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41)의 하부의 양측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블럭(61)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블럭(61)이 삽입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62)을 따라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블럭(61)이 이동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41)이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62)을 따라 전진하게 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41)의 상부의 양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이드부(44)의 복수개의 가이드 핀(45)이 함께 전진하게 되고,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핀(45)이 플레이트(5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54)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 홈(57)에 삽입된다.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부(44)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홀(44a)에는 가이드 핀(45)과 탄성부재(48)가 함께 결합되어 설치되어 있어, 상기 탄성부재(48)의 탄력지지에 의해 상기 가이드 핀(45)은 상기 가이드 홈(57)에 삽입되어 안내될 때, 상기 가이드 홈(57)을 무리하게 밀지 않으면서 상기 플레이트(50)를 정렬시킬 수 있게된다.
상기 가이드 핀(45)이 상기 가이드 홈(57)에 의해 안내되어 삽입되고, 플레이트(50)의 흡착판(52)은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핀(45)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흡착패드(43)에 밀착되어, 상기 흡착패드(43)의 진공흡착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50)는 정확하게 파지된다.
상기 파지된 플레이트(50)의 상부에 안착된 트레이(1)는 그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51)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판(53)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51)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 홀(55)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푸셔(58)는 상기 트레이(1)의 타측을 밀착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푸셔(58)의 양측에 설치된 레버(59)에 의해 상기 트레이(1)는 고정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1)가 안착되어 있는 플레이트(50)는 교환장치(40)와 함께 구동부(30)의 역구동에 의해 후진이동하게 되고, 상기 플레이트(50)는 매거진(미도시됨)에서 상기 플레이트(5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54)에 의해 매거진(미도시됨)의 수납공간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인출되어, 상기 트레이(1)의 상부에 실장된 전자부품(미도시됨)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의 탄성부재와 결합되어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핀은 가이드 홈에 안내되어 삽입되어서, 플레이트를 무리하게 밀어내지 않고 흡착패드와 밀착되면서 정렬되어 상기의 흡착패드는 플레이트를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레이 안착용 플레이트 교환장치는 가이드부에 탄성부재와, 함께 결합되어 설치되어있는 가이드 핀이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플레이트를 흡착패드와 밀차시키면서 정렬시키게 되고, 상기 흡착패드는 상기 플레이트를 안정되게 파지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플레이트에 안착되어 있는 전자부품을 보다 용이하게 전자부품공급장치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트레이 안착용 플레이트 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렌스퍼의 일측에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플레이트를 흡착파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흡착패드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끝단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가이드 핀이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가이드부와;
    상기 흡착패드 및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소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안착용 플레이트 교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부는 플레이트의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 핀과, 상기 가이드 핀의 후방부에 설치되며, 삽입홀에 삽설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안착용 플레이트 교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안착용 플레이트 교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트레이를 안착시킬 수 있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좌우 양끝단에 상기 플레이트가 수납공간에 수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의 내측에는 푸셔를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 홀과;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푸셔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의 끝단에 설치되며, 흡착패드에 의해 흡착파지 되는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과 대응되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의 끝단에 설치되어 트레이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판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의 양끝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슬롯과;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의 일측에 상기 가이드 핀을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 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안착용 플레이트 교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 핀은 흡착패드가 플레이트를 파지할 때 플레이트의 위치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플레이트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 삽입되면서 안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안착용 플레이트 교환장치.
KR10-2001-0048969A 2001-08-14 2001-08-14 트레이 안착용 플레이트 교환장치 KR100399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969A KR100399024B1 (ko) 2001-08-14 2001-08-14 트레이 안착용 플레이트 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969A KR100399024B1 (ko) 2001-08-14 2001-08-14 트레이 안착용 플레이트 교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966A KR20030014966A (ko) 2003-02-20
KR100399024B1 true KR100399024B1 (ko) 2003-09-19

Family

ID=2771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969A KR100399024B1 (ko) 2001-08-14 2001-08-14 트레이 안착용 플레이트 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90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413B1 (ko) * 2016-05-27 2016-08-23 제이엠티(주) 인쇄회로기판의 트레이 이송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419A (en) * 1871-01-31 Improvement in car-couplings
JPH02265806A (ja) * 1989-04-03 1990-10-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レイの自動交換装置
JPH05229610A (ja) * 1992-02-20 1993-09-07 Shinkawa Ltd マガジン搬送装置
JPH0738288A (ja) * 1993-07-20 1995-0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供給装置
JPH07285618A (ja) * 1994-04-15 1995-10-31 Komatsu Giken Kk 板状物品収納機構
JPH10163685A (ja) * 1996-11-27 1998-06-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レイの供給装置
KR19990088192A (ko) * 1998-05-11 1999-12-27 가부시키가이샤 어드밴티스트 트레이이송암,전자부품시험장치및트레이반송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419A (en) * 1871-01-31 Improvement in car-couplings
JPH02265806A (ja) * 1989-04-03 1990-10-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レイの自動交換装置
JPH05229610A (ja) * 1992-02-20 1993-09-07 Shinkawa Ltd マガジン搬送装置
JPH0738288A (ja) * 1993-07-20 1995-0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供給装置
JPH07285618A (ja) * 1994-04-15 1995-10-31 Komatsu Giken Kk 板状物品収納機構
JPH10163685A (ja) * 1996-11-27 1998-06-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レイの供給装置
KR19990088192A (ko) * 1998-05-11 1999-12-27 가부시키가이샤 어드밴티스트 트레이이송암,전자부품시험장치및트레이반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966A (ko) 200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49186B2 (ja) トレイフィーダー用トランスファ
KR100437967B1 (ko) 트레이 피더용 스택커
KR100244688B1 (ko) 웨이퍼 반송장치
JP3974912B2 (ja) トレーフィーダ
JP3063275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KR100399024B1 (ko) 트레이 안착용 플레이트 교환장치
TWI794727B (zh) 托料治具循環機構
JPH06278857A (ja) 搬送装置
CN114999979A (zh) 晶圆装载系统
CN110293745B (zh) 一种键盘移印机的自动上下料机构及其工作方法
KR100399026B1 (ko) 트레이 안착용 플레이트
KR20030000117A (ko) 트레이 피더 교환장치
CN115421025B (zh) 一种飞针测试机检测用可调式夹持输料一体机
JP3592790B2 (ja) 部品供給装置
KR100496632B1 (ko) 전자부품 공급장치용 버퍼
CN114274101B (zh) 电动牙刷自动装配生产线
JP4145615B2 (ja) 部品挿入装置
JP2020174074A (ja) 部品実装装置
KR102353205B1 (ko) 스크라이빙 장치
CN220466721U (zh) 多工位加工设备
CN219822841U (zh) 一种上料机构
CN115302219B (zh) 自动组装设备
KR102353204B1 (ko) 스크라이빙 장치
US20040197183A1 (en) Exchanger for tray feeder
KR102176872B1 (ko) 단재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