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8963B1 - 보도용 교량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보도용 교량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8963B1
KR100398963B1 KR10-2000-0076133A KR20000076133A KR100398963B1 KR 100398963 B1 KR100398963 B1 KR 100398963B1 KR 20000076133 A KR20000076133 A KR 20000076133A KR 100398963 B1 KR100398963 B1 KR 100398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ridge
mounting groove
lower plat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7640A (ko
Inventor
김차성
Original Assignee
(주)서영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영기술단 filed Critical (주)서영기술단
Priority to KR10-2000-0076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8963B1/ko
Publication of KR20020047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9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도용 교량 신축이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교량의 이음부를 통해 침투하는 빗물을 차단 및 밀폐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우천시 교량에서 빗물이 낙하되고, 이로인해 교량 하부의 통행불편은 물론 동절기에는 낙하된 빗물로 인한 빙판으로 교통사고 및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마감석재(10)와 제2마감석재(20) 사이의 공간부에 상호 대향되면서 중첩되는 식으로 상판(1) 및 하판(2)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1) 및 하판(2)은 신축부재(3)로 상호 연결된 하부측 제1지지프레임(4) 및 제2지지프레임(5)에 의해서 고정 및 지지되며, 상기 상판(1)의 측면부에 제1장착홈(61) 및 제1실링부재(62)로 구성된 제1방수처리부(6)가 형성되고, 하판(2)의 선단부 상면에는 제2장착홈(71) 및 제2실링부재(72)로 구성된 제2방수처리부(7)가 형성되며, 상기 하판(2)의 측면부에는 제3장착홈(81) 및 제3실링부재(82)로 구성된 제3방수처리부(8)가 구비됨으로써 우천시 교량에서 낙하되는 빗물로 인한 차량등의 통행불편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동절기에 낙하된 빗물로 인한 빙판으로 발생되는 교통사고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도용 교량 신축이음장치{Flexible joint device of bridge for footpath}
본 발명은 보도용 교량 신축이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천시 빗물이 교량 내부로 침투되지 않도록 차단 및 밀폐시켜 교량에서 빗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보도용 교량 신축이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용 교량은 온도 등에 의한 외부조건에 의해서 교량의 슬라브가 신축됨에 따른 내부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통행부분의 중간에 신축이음장치가 구비된다.
도 4는 종래의 보도용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보도용 교량 신축이음장치는통행블럭(110)(110A) 사이에 평판상으로 형성된 상판(120)과 하판(130)이 상호 대향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판(130)의 상부측으로 상판(120)이 중첩되는 식으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판(120) 및 하판(130)의 하부측에는 각각 고정판(140)(140A)이 구비되어 있고 상판(120)과 하판(130) 사이에는 양단부가 상기 고정판(140)(140A)과 상판(120) 및 하판(130) 사이에 볼트(B)의 체결로 고정된 신축부재(150)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보도용 교량 신축이음 장치는 상판과 하판 사이의 틈새와 상판 또는 하판 간의 이음부 사이로 스며드는 빗물을 확실하게 차단 및 밀폐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우천시 교량에서 낙하되는 빗물로 인해 교량 하부측으로 통행하는 차량 등에 많은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동절기에는 낙하된 빗물로 인한 빙판으로 교통사고 및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교량에서 낙하되는 빗물로 인한 차량 등의 통행불편을 해소함은 물론 동절기에 상기 빗물로 인한 빙판으로 발생되는 교통사고 및 안전사고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마감석재와 제2마감석재 사이의 공간부에 상호 대향되면서 중첩되는 식으로 상판 및 하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 및 하판은 신축부재로 상호 연결된 하부측 제1지지프레임 및 제2지지프레임에의해서 고정 및 지지되며, 상기 상판의 측면부에 제1장착홈 및 제1실링부재로 구성된 제1방수처리부가 형성되고, 하판의 선단부 상면에는 제2장착홈 및 제2실링부재로 구성된 제2방수처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판의 측면부에는 제3장착홈 및 제3실링부재로 구성된 제3방수처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보도용 교량 신축이음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상판은 단측부에 하향경사면이 형성된 수평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표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된 복개부가 전방측에 형성되고, 이의 하부 후방측에는 제1지지프레임 상에 볼트로 고정 및 지지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복개부와 고정부 사이에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판은 상판의 복개부 하부측에 위치되고 수평의 판상으로 형성된 받침부가 전방측에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하부 후방측에는 제2지지프레임 상에 볼트로 고정 및 지지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이의 사이에 연결부 및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도용 교량 신축이음 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2a, 도 2b는 본 발명의 상판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도 2a는 상판의 전체 확대단면도.
도 2b는 상판의 측면의 제1방수처리부가 도시된 도 2a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3a, 도 3b는 본 발명의 하판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하판의 전체 확대단면도.
도 3b는 하판의 측면의 제3방수처리부가 도시된 도 3a의 B-B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보도용 교량 신축이음 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판
10: 제1마감석재 11: 복개부
11A:하향경사면 11B: 요철부
12:고정부 13:연결부
2: 하판
21: 받침부 22: 고정부
23: 연결부 24: 지지부
3: 신축부재
4: 제1지지프레임 4A: 받침판
5: 제2지지프레임 5A: 앵글(angle)
6: 제1방수처리부
61: 제1장착홈 62:제2실링부재
7: 제2방수처리부
71: 제2장착홈 72: 제2실링부재
8: 제3방수부처리부
81: 제3장착홈 82: 제3실링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도용 교량 신축이음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도용 교량의 제1마감석재(10)와 제2마감석재(20) 사이의 공간부에 상판(1)과 하판(2)이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상판(1)의 상부는 상기 하판(2)의 상부측에 중첩되는 식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상판(1) 및 하판(2)은 각기 하부측에 배치된 제1지지프레임(4)과 제2지지프레임(5)에 의해서 고정 및 지지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상판(1)은 전방측에 수평의 판상으로 복개부(11)가 돌출 형성되고, 이의 하부측 후방측에는 볼트(B)의 체결에 의해서 제1지지프레임(4)에 고정되는 고정부(12)가 수평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개부(11)와 고정부(12) 사이에 연결부(13)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 상기 하판(2)은 전방측에 수평의 판상으로 받침부(21)가 돌출 형성되어 상판(1)의 복개부(11)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받침부(21)의 하부 후방측에는 볼트(B)의 체결에 의해서 제2지지프레임(5)에 고정되는 고정부(22)가 수평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21)와 고정부(22) 사이에 연결부(2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3)의 전방측 받침부(21)와 고정부(22) 사이는 지지부(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24)에 의해서 상기 받침부(21)의 하부측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 고 상기 하판(2)의 받침부(21) 선단 상면에는 상부측 상판(1)과의 밀폐를 위해서 제2방수처리부(7)가 구비되며, 상기 제2방수처리부(7)는 상향 개방식으로 형성된 제2장착홈(71)과, 상기 제2장착홈(71)에 삽입 고정되는 제2실링부재(72)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2실링부재(72)는 밀폐력이 우수한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지지프레임(4)과 제2지지프레임(5)은 상호 분리된 상태로 각각 독립적으로 유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이들 사이에는 신축부재(3)가 형성되는것으로, 상기 신축부재(3)의 양단부는 각각 제1지지프레임(4)과 제2지지프레임(5)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4)의 상부측에는 간격을 두고 수평의 판상으로 받침판(4A) 이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4A)의 일측단부는 신축부재(3)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받침판(4A)의 상부측에 상판(1)의 고정부(12)가 위치되고, 상기 고정부(12)는 볼트(B)의 체결에 의해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지지프레임(5)의 상부측에는 앵글(5A)이 구비되고, 상기 앵글(5A)의 일측부는 신축부재(3)에 고정되며, 제2지지프레임(5)과 앵글(5A) 그리고 하판(2)의 고정부(22)는 볼트(B)의 체결에 의해서 상호 고정되는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상판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상판(1)은 전방측으로 수평의 판상으로 돌출 형성된 복개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복개부(11)의 하부 후방측에는 고정부(12)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2)와 복개부(11) 사이는 연결부(13)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복개부(11)의 상면에는 미끄럼방지를 위해서 요철부(11B)가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하향경사면이(11A)이 형성되어 단턱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도2a는 상판(1)의 측면부가 도시된 것으로 해칭된 부분은 제1방수처리부(6)의 제1실링부재(62)를 표시하며, 도2a는 상판(1)의 단면 형상을 보인 것으로, 이 단면을 가지고 연속되는 길이로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단면부분을 측면부로 지칭한 것으로, 상기 상판(1)의 측면부에는 연접하는 다른 상판과의 이음부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제1방수처리부(6)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방수처리부(6)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같이 측방으로 개방된 제1장착홈(61)과 상기 제1장착홈(61)에 삽입되며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고무 재질의 제1실링부재(62)가 구비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하판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판(2)은 전방측으로 상판(미도시됨)의 복개부 하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수평의 판상으로 형성된 받침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21)의 하부 후방측에는 고정부(22)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22)와 받침부(21) 사이에 연결부(23)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갖는다. 또한 상기 받침부(21)의 하부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연결부(23)의 전방측 받침부(21)와 고정부(22) 사이는 일체로 지지부(24)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21)의 선단부 상면에는 상판(1)의 복개부와 하판(2)의 받침판(4A) 사이로 스며드는 빗물을 차단 및 밀폐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2방수처리부(7)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방수처리부(7)는 상방으로 개방된 제2장착홈(71)과, 상기 제2장착홈 (71)에 끼움 결합되는 원형 단면 형상의 고무재질의 제2실링부재(72)가 구비된다.
이와함께 상기 하판(2)의 측면부에는 연접하는 다른 하판과의 이음부 사이로 빗물이 침투되지 않도록 차단 및 밀폐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3방수처리부(8)가 형성되고, 상기 제3방수처리부(8)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같이 측방으로 개방된 제3장착홈(81)과, 상기 제3장착홈(81)에 끼움 결합되는 원형 단면 형상의 고무재질로 된 제3실링부재(82)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제1방수처리부(6)에 의해서 인접한 상판간의 이음부 사이로 스며드는 빗물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되고, 인접한 하판간의 이음부는 제3방수처리부(8)에 의해서 빗물의 침투를 차단시킬 수 있으며, 상기 상판(1)과 하판(2) 사이는 제2방수처리부(7)에 의해서 빗물 침투를 차단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도용 교량의 신축이음부로 사용되는 상판과 하판 사이와 상판과 상판사이 및 하판과 하판사이의 이음부 사이를 밀폐 및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천시 교량에서 낙하되는 빗물로 인한 차량 등의 통행불편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동절기에 낙하된 빗물로 인한 빙판으로 발생되는 교통사고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제 1마감석재(10)와 제 2마감석재(20) 사이의 공간부에 상호 대향되면서 상판(1)이 하판(2)의 상부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보도용 교량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상기 상판(1) 및 하판(2)은 신축부재(3)로 상호 연결된 하부측 제1지지프레임(4) 및 제2지지프레임(5)에 의해서 고정 및 지지되며, 상기 상판(1)의 전방측에 수평의 판상으로 돌출 형성된 복개부(11)의 측면부에 측방으로 개방된 제1장착홈(61) 및 상기 제1장착홈(61)내에 삽입되는 제1실링부재(62)로 구성된 제1방수처리부(6)가 형성되고, 하판(2)의 선단부 상면에는 상기 상판(1)의 복개부(11)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의 판상으로 받침부(2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21)의 선단상면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제2장착홈 (71) 및 상기 제2장착홈(71)내에 삽입고정되는 제2실링부재(72)로 구성된 제2방수처리부(7)가 형성되며, 상기 하판(2)의 상기 받침부(21)의 측면부에는 측방으로 개방된 제3장착홈(81) 및 상기 제3장착홈에 삽입되는 제3실링부재(82)로 구성된 제3방수처리부(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보도용 교량 신축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은 단부측에 하향경사면(11A)이 형성된 수평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표면에는 요철부(11B)가 형성된 복개부(11)가 전방측에 형성되고, 이의 하부 후방측에는 제1지지프레임(4) 상에 볼트(B)로 고정 및 지지되는 고정부(12)가 형성되며, 상기 복개부(11)와 고정부(12) 사이에 연결부(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보도용 교량 신축이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2)은 상판(1)의 복개부(11) 하부측에 위치되고 수평의 판상으로 형성된 받침부(21)가 전방측에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21)의 하부 후방측에는 제2지지프레임(5) 상에 볼트(B)로 고정 및 지지되는 고정부 (22)가 형성되며, 이의 사이에 연결부(23) 및 지지부(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보도용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2000-0076133A 2000-12-13 2000-12-13 보도용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0398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133A KR100398963B1 (ko) 2000-12-13 2000-12-13 보도용 교량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133A KR100398963B1 (ko) 2000-12-13 2000-12-13 보도용 교량 신축이음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926U Division KR200225905Y1 (ko) 2000-12-13 2000-12-13 보도용 교량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640A KR20020047640A (ko) 2002-06-22
KR100398963B1 true KR100398963B1 (ko) 2003-09-22

Family

ID=27681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133A KR100398963B1 (ko) 2000-12-13 2000-12-13 보도용 교량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89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022B1 (ko) 2007-07-05 2008-09-02 고삼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026718B1 (ko) 2008-05-07 2011-04-08 고삼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157B1 (ko) * 2009-04-07 2009-10-06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철도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022B1 (ko) 2007-07-05 2008-09-02 고삼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026718B1 (ko) 2008-05-07 2011-04-08 고삼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640A (ko) 200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2538A (en) Expansion joint seal
KR100398963B1 (ko) 보도용 교량 신축이음장치
KR200225905Y1 (ko) 보도용 교량 신축이음장치
KR20010075743A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WO2009026807A1 (fr) Dispositif d'expansion de pont integre
CN208517813U (zh) 新桥梁与老桥梁纵向接缝的防水结构
KR200184750Y1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100502076B1 (ko) 교량구조물
JP2003013408A (ja) 道路橋側壁の止水カバー及び道路橋継目部の止水構造
JPH0728177Y2 (ja) 隙間閉塞用止水カバー
KR200202336Y1 (ko) 신축이음용 배수커플링
KR200319781Y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블록아웃부의 배수관 고정판
KR200451461Y1 (ko) 비배수용 신축이음장치
KR200269454Y1 (ko) 교량의 신축연결부
CN108316137A (zh) 新桥梁与老桥梁纵向接缝防水方法及防水结构
KR200245373Y1 (ko) 교체가능한 교량신축이음구조
KR200425255Y1 (ko) 탄성폴리머를 이용한 신축이음
CN218091211U (zh) 一种隧道横截沟排水伸缩装置
CN110195408A (zh) 桥梁伸缩缝防尘装置及其防尘减震装置
JP3861082B2 (ja) 鋼製縁石兼排水溝ユニット
KR200361772Y1 (ko) 교량상판용 차수조인트
KR102305121B1 (ko) 가황식 배수시트 및 방수도포재를 이용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누수방지 신축이음장치
KR200264354Y1 (ko) 교량 상판의 신축 이음장치
KR200256849Y1 (ko) 교량 상판의 종방향 이음새 덮개
JPH02272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