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8713B1 -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ddb)제제 - Google Patents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ddb)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8713B1
KR100398713B1 KR1019960052247A KR19960052247A KR100398713B1 KR 100398713 B1 KR100398713 B1 KR 100398713B1 KR 1019960052247 A KR1019960052247 A KR 1019960052247A KR 19960052247 A KR19960052247 A KR 19960052247A KR 100398713 B1 KR100398713 B1 KR 100398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phenyldimethyldicarboxylate
peg
gaa
solution
bi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2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4251A (ko
Inventor
전인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코러스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코러스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코러스제약
Priority to KR1019960052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8713B1/ko
Publication of KR19980034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7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6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3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58Organic compounds

Abstract

본 발명은 비페틸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DDB), PEG 300, 글리실리진산 암모늄염 및 코폴리비돈을 함유하는 연질캅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연질캅셀제는 가용성이 증가되고 용출성이 98%로 우수하며 생체이용률이 탁월하다.

Description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DDB) 제제
본 발명은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를 함유하는 연질캅셀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용성이 증가되고 용출성이 우수하며 생체이용률이 탁월한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함유 연질캅셀제에 관한 것이다.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DDB)는 오미자 스키잔드린 C의 합성 유도체로, 혈청 트랜스아미나제 특히 혈청 글루타민 피루베이트 트랜스아미나제(SGPT)를 저하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는 바이러스에 의한 급·만성 간염, 만성 간질환 및 약물독성에 의한 간손상을 입은 환자들의 상승된 SGPT를 저하시킴으로써 이들 질환을 치료하는 매우 유용한 간질환 치료제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약 3 ㎍/㎖로 난용성이고 용출성이 매우 저조하며, 현탁액 또는 정제로 경구투여하는 경우 생체이용률이 약 20-30%로 매우 저조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 수용액중 용해도와 용출률을 향상시키고자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를 고분자량의 폴리에칠렌글리콜(PEG)로고체분산체를 만드는 방법이 일본 특허공개 제 60-209582 호에 개시된 바 있으며, 국내에서도 이러한 제제가 시판되고 있으나, 이 방법도 상기한 문제점들은 만족스럽게 해결하고 있지는 못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함유 연질캅셀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거듭 연구한 결과,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PEG 300, 글리실리진산 암모늄염(GAA) 및 코폴리비돈[예: 콜리돈 VA 64(Kollidon VA 64)] 조성의 제제가 가용성이 증가되고 용출성이 우수하며 생체이용률이 탁월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체이용률이 탁월한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연질캅셀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함유 연질캅셀제는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0.1-2.0 중량%, PEG 300 92.0-99.7 중량%, 글리실리진산 암모늄염 0.1-3.0 중량% 및 코폴리비돈 0.1-3.0 중량%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함유 연질캅셀제는 1회 1캅셀, 1일 3회 복용하며, 1회 투여량은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1-5 mg이다. 본 발명의 1회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투여량은 기존의 제제에서 1회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투여량인 7.5 mg보다 현저하게 감소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의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함유 연질캅셀제가 생체이용률이 높다는 데 기인한다.
본 발명의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함유 연질캅셀제에는 통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흡수촉진제로 담즙산류, 계면활성제 등을, 침전생성 억제제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HPMC), 포비돈(PVP)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함유 연질캅셀제의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용해도는 12.8 mg/㎖(25℃)로 매우 높은데, 이는 본 발명의 PEG 300에 대한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 용해도가 17.63 mg/㎖(37℃)로 매우 높기 때문일 뿐만아니라, 본 발명의 GAA가 PEG 300에 대한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 용해도를 더욱 증가시킨데 기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함유 연질캅셀제의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용출률은 97%로, 이는 기존 제제의 매우 낮은 용출률과 비교할 때 현저하게 상승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함유 연질캅셀제는 경구투여된 후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가 위장관내에서 수성의 내용액과 혼화되더라도 침전하지 않고 고농도의 용해상태를 유지하며 십이지장에서 신속하게 점막을 투과하여 생체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본 발명의 GAA와 코폴리비돈이 위장관내 수성 내용액에서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 침전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며 GAA가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 십이지장 점막 투과를 촉진하는 효과를 가지는데서 기인한다.
기존의 고형제제들이 제제 개체간의 용출속도의 차이를 가지고 위내용배출속도, 식이내용 등 위장관 내용의 생리적 성질에 따라 생체이용률의 변동이 큰데 비하여, 본 발명의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함유 연질 캅셀제는 균일한 용출속도와 생체이용률을 가지고 있어 치료효과를 확실히 한다.
본 발명의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함유 연질캅셀제는 경시적인 침전이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본 발명의 GAA가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 경시적인 침전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을 이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연질캅셀제는 PEG 300 9,750mg에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100mg, GAA 50mg 및 코폴리비돈 100mg을 넣어 가온하여 녹인 액을 1개 캅셀당 500mg씩 충전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용해도 검사
난용성인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 가용화를 위하여, 비수성 및 유성 용제, 5% 가용화제 용액 및 공용매에서의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용해도를 조사하였다.
비수성 및 유성 용제, 5% 가용화제 용액 및 공용매 1.5 ㎖에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일정 과량을 넣고 25 및 37℃에서 용해평형에 도달할 때까지 72시간 이상 진탕한 다음 0.45 ㎛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고 이 여액 200 ㎕를 메탄올 10.0 ㎖에 넣어 희석하였다. 유성 용액의 경우는 클로로포름으로 희석하였다.
이 희석액 200 ㎕를 프레드니솔론의 메탄올 용액(10 ㎍/㎖, 내부표준액) 200㎕와 섞고 이 혼합액 20 ㎕를 HPLC에 주입하여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 농도를 산출하였다. 이때 따로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메탄올 용액 200 ㎕와 내부표준액 200 ㎕의 혼합액을 표준액으로하여 얻은 피크면적으로부터 검액중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 농도를 산출하였다.
HPLC 장치로 Perkin-Elmer series 410 pump를, 검출기로는 LC 90 UV 검출기(Perkin-Elmer), 데이터 치리장치로는 Varian 4290 적분장치를 사용하였다. 칼럼으로는 가드 칼럼(guard column, Ultrasphere C8, 4.6 ×45 mm)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으로는 아세토니트릴·메탄올·물 혼합액(28;38;34 v/v)을 사용하여 유속 1.0 ㎖/분으로 유출시켜 파장 254 nm(attn; 32)에서 검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의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 비수성 및 유성 용제, 5% 가용화제 용액 및 공용매에서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 용해도 검사 (25℃)
표 2. 폴리에칠렌 글리콜의 평균 분자량에 대한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 용해도 (37℃)
표 3. 수용액중에서 GAA 첨가에 따른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 용해도(37℃)
표 1에 따르면 비수성 용제, 유성 용제, 가용화제 함유 수용액 및 공용매중에서는 PEG 400을 용제로 사용한 경우에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용해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표 2에 따르면 PEG의 평균분자량 200 내지 600의 범위중에서는 PEG 300을 용제로 사용한 경우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 용해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 3에 따르면 수용액중에서 GAA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 용해도도 증가하여, GAA는 PEG 300중의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도 가용화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2 :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비수성 용액이 수성용액과 혼화시의 침전 검사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비수성 조성물이 투여되어 위장관의 수용성 내용액과 접하게 되면, 난용성인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가 침전으로 석출될 우려가 있어,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비수성 용액인 수성액과 혼화될 때 생기는 침전을 조사하였다.
표 4의 여러 조성물에 대하여 이들 액으로부터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7.5mg 해당량을 37℃의 물 900㎖, 500㎖ 또는 300㎖에 넣고, 대한약전 용출시험법 제 2 법(패들법)에 따라 100rpm으로 교반하면서 경시적으로 시료 1㎖를 취하여 0.45㎛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고 여액 200㎕를 내부표준물질로 프레드니솔론의 메탄올 용액(10 ㎍/㎖) 800㎕와 섞은 다음 그중 20㎕를 HPLC에 주입하여 용출량을 산출하여 침전률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의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4. 용출량
GAA 0.05% 및 0.1%, 콜리돈 K-30(Kollidon K-30, povidone K-30)은 침전생성 억제효과가 없는데 반하여, 코폴리비돈(copolyvidone, Kollidon VA 64) 0.05 - 0.2%는 현저한 침전생성 억제효과가 있었으며 GAA를 함께 첨가한 경우에는 더욱 현저한 침전생성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비수성 용액에 GAA 및 코폴리비돈을 동시에 첨가함으로써 위장관내에서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비수성 용액이 위장의 수성 내용액과 혼화되더라도 침전하지 않고 고농도의 용해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실험예 3 : 경시 침전 검사
경시 침전 검사에 사용된 8개의 시료는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25, 50, 75, 100 mg를 각각 PEG 300 5g에 넣고 가온하여 녹인 경우와,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25, 50, 75, 100 mg를 각각 PEG 300 5g에 넣고 가온하여 녹인 후 여기에 GAA 25mg를 넣고 녹인 것이다.
8개의 시료를 4℃ 냉장고에 저장하고 12개월 경과후 한편으로는 육안으로 침전을 관찰하고 또다른 한편으로는 상징액을 취하여 상징액중의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함량을 실험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정량하여 침전률을 조사하였다.
또한 본 실험예에서 수성내용액과 혼화시 침전생성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코폴리비돈 50mg을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50mg, GAA 25mg 및 PEG 300 5g의 용액에 가하여 녹인 액을 4℃ 냉장고에서 3개월에 걸쳐 침전형성을 육안관찰 및 정량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5. 침전률
a) 사용된 용제는 PEG 300 5g이다.
b) 침전이 없다.
c) 3개월 후의 결과임
GAA가 첨가된 경우가 GAA가 첨가되지 않은 경우보다 경시적인 침전이 적었으며, 특히 PEG 300 5g에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50mg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10mg/g) 및 GAA 25mg (GAA 5mg/g)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19개월 경과후에도 전혀 침전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 조성에 코폴리비돈 (10mg/g)이 첨가된 경우에도 3개월 경과후 침전형성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GAA는 PEG중의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 경시침전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폴리비돈의 첨가는 침전형성에 별다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 십이지장 점막 투과 검사
뉴질랜드 화이트계 자성 토끼의 십이지장을 적출하여 발리아-치엔 (Valia-Chien) 투과 시스템에 마운팅한다. 공여셀(donor cell)에는 pH 7.2 인산염 완충액 3.5㎖ 또는 40% PEG 300 수용액 3.5ml 및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용액 50mg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1.0mg 해당량)을 넣고 현탁상태를 유지하고, 수용셀(receptor cell)에는 pH 7.4 인산염 완충액 또는 40% PEG 300 수용액 3.5ml를 넣었다. 37℃에서 양측 셀을 600 rpm으로 10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수용셀에서 경시적으로 100㎕씩 시료를 취하여 내부표준물질로 프레드니솔론 10㎍/㎖는 함유하는 메탄올 용액 200㎕와 섞고 이중 20㎕를 HPLC에 주입하여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를 정량하여 수용셀로의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투과율을 산출하였다. 이때 3회 투과검사를 행하여 그 평균값을 투과량으로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의 표 6, 7 및 8과 같다.
표 6. 공여셀 및 수용셀에 인산염 완충액을 넣은 경우의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투과율
표 7. 공여셀에 인산염 완충액을, 수용셀에 40% PEG 300을 넣은 경우의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투과율
표 8. 공여셀과 수용셀에 40% PEG 300을 넣은 경우의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투과율
표 6에 따르면, 공여셀과 수용셀에 인산염 완충액을 넣은 경우,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 PEG 300 용액에 인지질과 GAA를 첨가한 경우 투과율이 30분에 17.49 ㎍/㎠로 투과액중 농도로는 3.2㎍/㎖인 것으로 보아, 투과시험 개시후 신속히 포화용해도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AA가 첨가된 경우에는 첨가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30분에 약 9.4배 증가시켰다. 이는 GAA의 첨가로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 용해도를 약 6.80㎍/㎖로 증가시킨 것과 GAA 자체의 투과촉진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 용해상태가 확보되어 있는 한 십이지장 점막 투과는 매우 신속한 것으로 생각되며, GAA는 투과촉진효과가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투과시험중에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는 침전을 형성하였으며, 투과된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도 충분히 녹일 수 없었다.
표 7에 따르면, 투과된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를 충분히 녹일 수 있도록 공여셀에는 인산염 완충액을, 수용셀에는 40% PEG 300을 넣은 경우, 투과율이30분에 19.8 - 20.6 ㎍/㎠로, 인산염 완충액을 넣은 경우보다 현저하게 투과율이 증가하였으며 8시간 동안 투과량의 변화가 별로 없었다.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용액의 종류와 GAA의 유무에 따른 투과율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공여 용액중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용존 농도가 침전석출로 포화 용해도 이하로 감소되더라도 수용 용액이 높은 용해성을 가지고 있어 보다 많은 양의 비페틸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를 수용할 수 있기 때문으로 사료되며,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 십이지장 점막 투과는 매우 빠르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표 8에 따르면, 공여 용액에서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침전이 투과에 미치는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공여셀과 수용셀에 40% PEG 300을 넣은 경우, GAA를 첨가한 경우 GA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투과율이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따라서 GAA는 투과촉진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5 :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연질캅셀의 용출시험
연질캅셀(PEG 300 4.925mg에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50mg 및 GAA 25mg을 넣어 가온하여 녹인 액을 1개 캅셀당 750mg씩 충전하여 제조하였다.), 시판정제(닛셀정, 태림제약, 제조번호 1037703; 비교예 1), 시판 경질캅셀(디디비 캅셀, 코러스 제약, 제조번호 C 44057: 비교예 2)에 대하여 용출시험을 시행하였다.
즉, 캅셀은 모두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7.5mg 해당량, 정제는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25mg 해당량의 제제를 취하여 37℃의 물 900㎖에 넣고, 대한 약전 용출시험법 제 2 법(패들법)에 따라 100rpm으로 교반하면서 경시적으로 시료를 취한다. 시료 1㎖를 즉시 0.45㎛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고 여액 100㎕를내부표준물질로 프레드니솔론의 메탄올 용액(10㎍/㎖) 200㎕와 섞고 이중 20㎕를 HPLC에 주입하여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용출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의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9. 용출량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용출은 초기 5분대에 비교예 1의 시판 정제나 비교예 2의 시판 경질 캅셀이 1% 이하의 매우 저조한 용출률을 나타내었으나 연질캅셀의 용출률은 93.1%로 매우 신속하였다. 2시간 경과후 연질캅셀의 용출률(96.9%)은 비교예 2의 시판 경질캅셀의 용출률(16.0%)보다 약 6.1배 높았으며 비교예 1의 시판 정제의 용출률(5.5%)보다 약 17.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질캅셀의 용출량(7.27 ±0.06)은 비교예 2의 시판 경질캅셀(1.20 ±0.14) 및 비교예 1의 시판 정제(1.39 ±0.03)보다 6.1 - 5.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1)

  1. 비페틸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0.1-2.0 중량%, PEG 300 92.0-99.7 중량%, 글리실리진산 암모늄염 0.1-3,0 중량% 및코폴리비돈0.1-3.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연질캅셀제.
KR1019960052247A 1996-11-06 1996-11-06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ddb)제제 KR100398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2247A KR100398713B1 (ko) 1996-11-06 1996-11-06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ddb)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2247A KR100398713B1 (ko) 1996-11-06 1996-11-06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ddb)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251A KR19980034251A (ko) 1998-08-05
KR100398713B1 true KR100398713B1 (ko) 2004-02-05

Family

ID=37422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2247A KR100398713B1 (ko) 1996-11-06 1996-11-06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ddb)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87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487B1 (ko) * 2000-11-08 2003-07-16 주식회사 한국코러스제약 비페닐디메틸디카르복실레이트(ddb) 주사제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9582A (ja) * 1984-04-04 1985-10-22 Isukura Sangyo Kk Ddbの合成方法
US4869899A (en) * 1986-03-10 1989-09-26 Walter Burghart Pharmaceutical prepara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WO1990007345A1 (de) * 1988-12-30 1990-07-12 Kurt Burghart Pharmazeutische zubereitung
EP0466038A1 (en) * 1990-07-12 1992-01-15 E.R. SQUIBB & SONS, INC. Water-dispersible polyene antifungal complexes
KR0178696B1 (ko) * 1996-08-26 1999-03-20 이웅열 간보호 및 간장질환 치료용 의약조성물
KR100201907B1 (ko) * 1996-01-11 1999-06-15 양주환 비페닐디메틸디카르복실레이트를 가용화시킨 연질캅셀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9582A (ja) * 1984-04-04 1985-10-22 Isukura Sangyo Kk Ddbの合成方法
US4869899A (en) * 1986-03-10 1989-09-26 Walter Burghart Pharmaceutical prepara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WO1990007345A1 (de) * 1988-12-30 1990-07-12 Kurt Burghart Pharmazeutische zubereitung
EP0466038A1 (en) * 1990-07-12 1992-01-15 E.R. SQUIBB & SONS, INC. Water-dispersible polyene antifungal complexes
KR100201907B1 (ko) * 1996-01-11 1999-06-15 양주환 비페닐디메틸디카르복실레이트를 가용화시킨 연질캅셀제
KR0178696B1 (ko) * 1996-08-26 1999-03-20 이웅열 간보호 및 간장질환 치료용 의약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약제학회지 (1994), 24(2), 57-6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251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68202B2 (ja) 制御放出型ジヒドロコデイン組成物
RU2478371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мпозиции полимерных мицелл, содержащей лекарство, слаборастворимое в воде
Trapani et al. Eudragit RS 100 microparticles containing 2-hydroxypropyl-β-cyclodextrin and glutathione: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drug release and transport studies
MXPA03003846A (es) Metodos de formacion de particulas y sus productos.
TW200303204A (en) Controlled release pharmaceutical dosage forms of a cholesteryl ester transfer protein inhibitor
HUE035013T2 (en) Delayed oral dosage forms containing amorphous CDDO-Me
Adibkia et al. Effect of solvent type on retardation properties of diltiazem HCl form liquisolid tablets
JPH05279247A (ja) 徐放性液剤
JP2003528914A (ja) カルベジロールの濃縮溶液
WO2010041279A4 (en) Sustained release drug delivery system
JP3784843B2 (ja) 鎮痛作用を有する薬剤組成物
KR100429694B1 (ko) 밸프로산금속염의서방성정제
CA2011063C (en) Nicardipin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KR20080047389A (ko) 서방성용 약물―계면활성제 복합체
US7378109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mproving palatability of drug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US20180256746A1 (en) Immediate release clindamycin delivery composition and formulation
KR100398713B1 (ko)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ddb)제제
JPH03130225A (ja) 易吸収性製剤用組成物
TWI286072B (en) Sleeping medicine formed by coating solid
Dos Santos et al. Improvement of norfloxacin oral bioavailability by EDTA and sodium caprate
JP3658878B2 (ja) 内服液剤
TWI361078B (en) Stabilized leukotriene b4 (ltb4) agent pharmaceutical formulation
CA3207185A1 (en) High loading oral film formulation
JP4629730B2 (ja) 薬物ののみ易さを改善するための医薬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
US20200246297A1 (en) Liquid pharmaceutical formulations of tetraiodothyron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