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7802B1 -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시 동작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시 동작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7802B1
KR100397802B1 KR10-2001-0015074A KR20010015074A KR100397802B1 KR 100397802 B1 KR100397802 B1 KR 100397802B1 KR 20010015074 A KR20010015074 A KR 20010015074A KR 100397802 B1 KR100397802 B1 KR 100397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terminal
bluetooth module
microprocessor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4958A (ko
Inventor
노지원
박희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5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7802B1/ko
Publication of KR20020074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기 및 키보드 내부에 각각 블루투스 모듈(Bluetooth module)을 내장하여 키보드로서 충전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단말기에 대응하는 기능 버튼과 전송 키가 구비된 키보드 자판과, 상기 키보드 자판을 통해 선택된 키 입력신호를 판별하여 제1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디지털신호를 무선주파(RF)신호로 변환하여 제1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1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키보드와;
제2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에서 송신된 RF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판별하여 콘넥터에 연결된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음성이나 단말기의 송수신을 행하는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충전기로 구성된 것으로서, 단말기를 충전기로부터 분리시키지 않더라도 선택한 기능을 지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단말기를 연속적으로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충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별도의 키보드에 의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을 편리하고도 신속하게 조작을 할 수가 있으며,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어느 정도의 거리에서도 무선조작이 가능하고, 충전기에 내장된 마이크 및 스피커를 이용하여 핸즈프리 형태로 송수신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시 동작제어장치{Control apparatus in charging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시 동작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전기 및 키보드 내부에 각각 블루투스 모듈(Bluetooth module)을 내장하여 키보드로서충전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충전시키기 위해서는 플립(Flip)형 또는 폴더(Folder)형 덮개를 닫은 상태에서 전용 충전기에 구비된 인서트(Insert)에 꽂아서 수신 대기 상태로 일정시간 동안 충전을 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충전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화를 받고 싶을 경우에는 단말기를 충전기로부터 분리한 후 플립 또는 폴더형 덮개를 열어서 통화를 하게된다.
한편, 단말기가 충전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성이나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를 송신 하고자 할 경우에도 단말기를 충전기로부터 분리한 후 플립 또는 폴더형 덮개를 열고 다이얼 키패드와 전송 키를 눌러 송신을 하게된다.
그 밖에 단말기 충전 중에 예로서 전화번호부 편집(Phone Book Edit)등 일반적인 동작을 조작하고자 한다면 이 경우에도 단말기를 충전기로부터 분리한 후 플립 또는 폴더형 덮개를 열고 키패드를 사용하여 입력한 후 단말기를 조작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단말기가 충전 중인 상태에서 전화 수신, 음성 또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의 전송 또는 일반적인 단말기의 조작을 위해서는 필히 단말기를 충전기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키 패드를 사용하여 입력하고 전송 한 후에 재차 단말기를 충전시켜야하는 불편함은 물론 이로 인해 충전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기존의 충전기 내부에 마이크, 스피커 및 블루투스 모듈을 내장하고, 별도의 키보드 내부에 블루투스 모듈을 내장하여 키보드로서 충전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단말기를 충전기로부터 분리시키지 않더라도 선택한 기능을 지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단말기를 연속적으로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충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시 동작 제어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에 대응하는 기능 버튼과 전송 키가 구비된 키보드 자판과, 상기 키보드 자판을 통해 선택된 키 입력신호를 판별하여 제1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디지털신호를 무선주파(RF)신호로 변환하여 제1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1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키보드와;
제2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에서 송신된 RF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판별하여 콘넥터에 연결된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음성이나 단말기의 송수신을 행하는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충전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마이크 및 스피커는 핸즈프리(Hands-free)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서 다수개의 키보드와 단일의 단말기를 링크시켜 여러 명이 단일의 단말기로서 송수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시 동작 제어장치의 블록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의 동작 설명 흐름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의 외관 구성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키보드(Keyboard) 2: 충전기
11: 키보드 자판 12: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
13: 제1 블루투스 모듈 14: 제1 안테나
21: 마이크 22: 스피커
23: 콘넥터 24: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
25: 제2 블루투스 모듈 26: 제2 안테나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시 동작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키보드(1)는 단말기(3)에 대응하는 기능 버튼(0∼9,*,#,방향)과 전송 키(도2의 11A)가 구비된 키보드 자판(11)과, 상기 키보드 자판(11)을 통해 선택된 키 입력신호를 판별하여 제1 블루투스 모듈(13)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12)와, 상기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12)에서 출력되는 디지털신호를 무선주파(RF)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안테나(14)를 통해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1 블루투스 모듈(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충전기(2)는 제2 안테나(26)를 통해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13)에서 송신된 RF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블루투스 모듈(25)과,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25)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판별하여 콘넥터(22)에 연결된 단말기(3)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24)와, 상기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24)에 연결되어 음성이나 단말기의 송수신을 행하는 마이크(21) 및 스피커(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충전기(2)에 내장된 마이크(21) 및 스피커(22)는 핸즈프리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으로서 도시는 생략되었으나, 다수개의 키보드와 단일의 단말기를 링크시켜 여러 명이 단일의 단말기로서 송수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3)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해 충전기(2)에 형성된 콘넥터(22)에 단말기(3)를 삽입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화를 받고 싶다거나 음성 또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를 송신한다거나 전화번호부 편집(Phone Book Edit) 등과 같은 일반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키보드(1)내의 키보드 자판(11)에서 기능 버튼(0∼9,*,#,방향)과 전송 키(11A)를 조작하여 키 신호를 입력하면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12)에서는 입력되는 키 신호를 판별하여 제1 블루투스 모듈(12)에 해당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게된다.
제1 블루투스 모듈(13)에서는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12)에서 출력된 해당 디지털 신호를 무선주파(RF)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안테나(14)를 통해 무선으로 송신하게된다.
이와 같이 무선으로 송신된 RF신호는 충전기(2)에 구비된 제2 안테나(26)를 통해 제2 블루투스 모듈(25)에 수신되고, 이와 같이 수신된 RF신호는 제2 블루투스 모듈(25)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24)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24)에서는 콘넥터(22)를 통해 연결된 단말기(3)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즉, 단말기(3)는 충전기(2)에 삽입되어 충전 중인 상태에서 키보드(1)내의 키보드 자판(11)을 통해 선택된 키 입력신호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는 것이다.
만일, 음성이나 단말기가 송수신 중일 때에는 충전기(2)에 내장된 마이크(21) 및 스피커(22)를 통해 손을 사용하지 않는 이른바 핸즈프리 형태로 송수신을 할 수가 있다.
상기에서는 단일의 키보드(1)와 단일의 단말기(2)를 링크(Link)시켜 송수신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다수개의 키보드와 단일의 단말기를 링크시켜 여러 명이 단일의 단말기로서 송수신을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충전기 내부에 마이크, 스피커 및 블루투스 모듈을 내장하고, 별도의 키보드 내부에 블루투스 모듈을 내장하여 키보드로서 충전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단말기를 충전기로부터 분리시키지 않더라도 선택한 기능을 지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단말기를 연속적으로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충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별도의 키보드에 의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을 편리하고도 신속하게 조작을 할 수가 있고,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어느 정도의 거리에서도 무선조작이 가능하며, 충전기에 내장된 마이크 및 스피커를 이용하여 핸즈프리 형태로 송수신이 가능한 효과도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3)

  1. 단말기에 대응하는 기능 버튼과 전송 키가 구비된 키보드 자판과, 상기 키보드 자판을 통해 선택된 키 입력신호를 판별하여 제1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디지털신호를 무선주파(RF)신호로 변환하여 제1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1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키보드와;
    제2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에서 송신된 RF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판별하여 콘넥터에 연결된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음성이나 단말기의 송수신을 행하는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충전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시 동작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및 스피커는 핸즈프리(Hands-free)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시 동작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키보드와 단일의 단말기를 링크시켜 여러 명이 단일의 단말기로서 송수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시 동작 제어장치.
KR10-2001-0015074A 2001-03-23 2001-03-23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시 동작제어장치 KR100397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074A KR100397802B1 (ko) 2001-03-23 2001-03-23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시 동작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074A KR100397802B1 (ko) 2001-03-23 2001-03-23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시 동작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958A KR20020074958A (ko) 2002-10-04
KR100397802B1 true KR100397802B1 (ko) 2003-09-13

Family

ID=27698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074A KR100397802B1 (ko) 2001-03-23 2001-03-23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시 동작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78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427A (ko) * 2002-07-10 2004-01-16 주식회사 프리눅스 무선단말기의 무선데이터 통신 및 인터넷 접속용 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958A (ko) 200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341B1 (ko) 라디오 겸용 이어폰-마이크 및 그 이어폰-마이크를 이용한전화 통화/라디오 청취 제어 방법
JP4955170B2 (ja) 音声作動型無線遠隔制御装置
US7076277B2 (en) Bluetooth headset and method for informing user of incoming call signal using the same
US6366784B1 (en) Mobile phone extension set
JPH09321848A (ja) 携帯通信機
CN1186917C (zh) 无线头戴式装置和选择无线头戴式装置定向的方法
KR10039780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시 동작제어장치
JPH08186624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KR20000075280A (ko) 무전기 겸용 휴대폰 장치
KR19990085489A (ko) 휴대폰 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시스템
KR101023308B1 (ko)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장치 및그 제어 방법
KR100339336B1 (ko) 이동 단말기의 리모콘 장치
KR100605850B1 (ko) 이어마이크가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 방법및 무선 이어마이크에서의 동작 방법
KR20010084261A (ko) 이동 단말기의 보조 다이얼 버튼 장치
KR200321467Y1 (ko) 단축 다이얼을 갖는 핸즈프리
KR20010011056A (ko) 원격 키패드를 사용하는 휴대용 전화기
KR10049500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정장치
KR200244227Y1 (ko)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화시스템
KR20020056579A (ko) 차량의 핸즈프리 장치
KR20040099636A (ko)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78405A (ko) 단축 다이얼을 갖는 핸즈프리 및 핸즈프리를 이용한다이얼링 제어 방법
KR200258275Y1 (ko) 휴대폰과 한 조가 된 인터럽트발생기를 구비한 핸즈프리장치
JP2000278388A (ja) 音声認識機能を有する携帯可能な通信装置
KR100323283B1 (ko) 이동전화 수신기
KR200177447Y1 (ko) 유선전화기처럼 본체와 수화기가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는무선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