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947B1 - 광 디스크 시스템의 포커스 서보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 시스템의 포커스 서보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947B1
KR100396947B1 KR10-1998-0048332A KR19980048332A KR100396947B1 KR 100396947 B1 KR100396947 B1 KR 100396947B1 KR 19980048332 A KR19980048332 A KR 19980048332A KR 100396947 B1 KR100396947 B1 KR 100396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servo
level
turning
addi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8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2013A (ko
Inventor
관 준 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1998-0048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947B1/ko
Publication of KR20000032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2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9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focusing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1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analog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or reproduction
    • G11B20/10027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analog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djusting the signal strength during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variable gain amplif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3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ervo format, e.g. guide tracks, pilot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디스크 시스템의 포커스 서보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브 빔 가산신호에 의해 포커스 확인신호의 고전위 레벨 구간을 먼저 설정하여 포커스 서보를 온시킨 다음 상기 서브 빔 가산 신호가 일정값 이하로 떨어지는 상태에서 곧바로 포커스 서보를 오프시킴으로써 포커스 서보를 단순화시키도록 하는 광 디스크 시스템의 포커스 서보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은, 서브 빔 가산신호가 일정값 이상이면 포커스 확인신호를 고전위 레벨로 하고, 그렇지 않으면 저전위 레벨로 하여 포커스 서보를 오프시키는 제 1 과정; 상기 제 1 과정에 의하여 포커스 가산 신호가 고전위 레벨로 되면, 포커스 에러가 0 레벨과 교차되는가를 판단하는 제 2 과정; 상기 제 2 과정에 의하여 포커스 에러가 0 레벨과 교차되면 서보를 온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서보를 오프시키는 제 3 과정; 상기 서보가 온된 상태에서 서브 빔 가산 신호가 일정값 이상이면 서보 온상태를 유지하고, 일정값 이하이면 포커스 확인신호를 저전위로 한 다음 포커스 서보를 오프시키는 제 4 과정으로 수행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광 디스크 시스템의 포커스 서보 제어방법(Focus Servo Control Method for Optical Disc System)
본 발명은 광 디스크 시스템의 포커스 서보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 디스크에 맺하는 레이저 상을 올바르게 맺힐 수 있도록 하는 광 픽업장치의 포커스 제어를 단순화하여 포커스 서보 제어시 부과되는 부하를 최소화 하는 광 디스크 시스템의 포커스 서보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 디스크상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취하기 위한 방식으로 3빔 방식과 1빔 방식의 광 픽업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각 방식으로 데이터를 독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광 디스크상의 트랙에 기록된 데이터 즉 피치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그 반사되어진 광을 수광 다이오드에서 수광함으로써 맺히는 상의 정확도에 따라 포커스 서보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포커스 서보를 어떤 신호를 사용할 것인가와 언제 서보를 행할 것인가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일반적인 포커스 제어방법을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광 픽업부(100)는 레이저 광을 광 디스크상에 조사하여 그 반사된 레이저광을 수광함으로써 데이터를 독취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광 픽업부(100)는 광 디스크의 트랙을 정확히 추종하여야 하고, 또한 피치에 조사되는 레이저 광의 포커스가 정확히 맺히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상기 광 픽업부(100)에 의해 독취된 고주파의 데이터는 RF 증폭부(110)에 제공되어 이를 신호처리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증폭되어 마이콤(120)으로 인가되는데, 이때 상기 증폭된 고주파의 데이터에는 포커스 에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광 디스크상의 피치에 포커스가 정확히 맺히지 못하여 재생되는 데이터에는 어느 정도의 에러가 포함된다는 것이다.
이는 곧 재생되는 데이터의 열화가 발생한 경우이므로 영상이나 음성이 원래의 의도하는 품질을 갖지 못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의 에러를 보상하는 방향으로 포커스 에러를 감소시키는 서보 제어가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상기 RF 증폭부(110)로부터 출력되는 포커스 에러가 존재하는 고주파 데이터는 마이콤(120)으로 인가되어 처리되는데, 순수한 데이터 성분은 디코더(140)에 제공되어 디코딩됨으로써 압축된 데이터가 신장되고, 또한 데이터의 에러 정정이 수행되며, 이후 일련의 과정들이 수행됨으로써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가 분리되어 출력되는 것이다.
상기 디코더(140)에서 분리된 영상 신호는 영상신호 처리부(150)에 인가되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기 위한 적당한 신호로 처리되며, 음성 신호는 음성신호 처리부(160)에 인가되어 이 또한 디스플레이에 적당한 신호로 처리되어 출력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마이콤(120)은 RF 증폭부(110)로부터 인가되는 고주파 신호에 포함된 포커스 에러를 추출하여 그 에러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보상하게 된다.
즉, 광 디스크의 피치에 포커스의 정확한 맺힘을 위해 이의 에러를 보상하여 정확한 상이 맺히도록 포커스 서보를 행하는 것이다.
이의 과정을 도 2 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마이콤(120)은 액츄에이터(130)를 구동시켜 광 픽업부(100)가 광 디스크에 근접하도록 제어하게 되는데, 도 2a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광되는 광의 세기가 크게되므로 광 픽업부(100)에 의해 독취되어 RF 증폭부(110)에 의해 증폭된 포커스 에러는 0 레벨 이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때, 상기 포커스 에러가 스텐 바이 레벨(SBL)이상이 되면 마이콤(120)은 액츄에이터(130)를 다시 구동시켜 광 픽업부(100)가 광 디스크로부터 멀어지도록 제어하게 되는데, 이때는 포커스 에러가 0 레벨 이하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마이콤(120)은 이와같은 동작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광 픽업부(100)가 0 레벨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즉, 포커스 에러가 없도록 제어하게 되고, 이의 과정은 도 2a에서 가는선으로 도시하였다.
다음은 이러한 포커스 서보를 언제 행할 것인가를 설명하면, 도 2b에 도시한 바와같이 서브 빔 가산신호가 시간 체크 레벨(TCL)을 넘어서는 위치가 되면, 도 2a에 도시한 바와같이 포커스 에러가 0 레벨의 위치 즉, 0 레벨과 교차되는 위치(A)에서 마이콤(120)은 액츄에이터(130)를 구동하여 서보 제어를 온시키게 된다.
상기 서보 제어가 온된 상태에서 도 2c에 도시한 바와같이 포커스 확인신호를 일정시간(T)이 지난 후 고전위 레벨로 하고, 서브 빔 가산신호가 시간 체크 레벨(TCL) 이하로 떨어지는 시간(T1)과 다시 시간 체크 레벨(TCL) 이상으로 천이하여 고전위 레벨을 유지하는 시간동안 상기 포커스 확인신호를 고전위 레벨로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시간(T1)은 아직 광 픽업부(100)의 포커스가 정확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포커스 서보를 종료시키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포커스 확인신호 다시 시간 체크 레벨(TCL) 이하로 떨어지는 시간(T2)의 시점에서 포커스 확인신호를 저전위 레벨로 함으로써 액츄에이터(130)의 포커스 서보를 종료시키게 된다.
즉, 이렇게 포커스가 정확히 맞춰진 상태에서 광 픽업부(100)는 광 디스크의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읽어들이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의 광 디스크 시스템의 포커스 서보 제어장치는 포커스 에러의 스텐 바이 레벨과 서브 빔 가산 신호가 시간 체크 레벨 이하로 떨어지는 구간의 시간인 T1과 T2를 항시 체크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부하가 커지게 되고, 또한 그만큼 회로가 복잡해 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브 빔 가산신호에 의해 포커스 확인신호의 고전위 레벨 구간을 먼저 설정하여 포커스 서보를 온시킨 다음 상기 서브 빔 가산 신호가 일정값 이하로 떨어지는 상태에서 곧바로 포커스 서보를 오프시킴으로써 포커스 서보를 단순화시키도록 하는 광 디스크 시스템의 포커스 서보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광 디스크 시스템의 포커스 서보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종래의 포커스 서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 서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4 는 본 발며 광 디스크 시스템의 포커스 서보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광 픽업부 110 : RF 증폭부
120 : 마이콤 130 : 액츄에이터
140 : 디코더 150 : 영상신호 처리부
160 : 음성신호 처리부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광 디스크 시스템의 포커스 서보 제어방법은, 서브 빔 가산신호가 일정값 이상이면 포커스 확인신호를 고전위 레벨로 하고, 그렇지 않으면 저전위 레벨로 하여 포커스 서보를 오프시키는 제 1 과정; 상기 제 1 과정에 의하여 포커스 가산 신호가 고전위 레벨로 되면, 포커스 에러가 0 레벨과 교차되는가를 판단하는 제 2 과정; 상기 제 2 과정에 의하여 포커스 에러가 0 레벨과 교차되면 서보를 온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서보를 오프시키는 제 3 과정; 상기 서보가 온된 상태에서 서브 빔 가산 신호가 일정값 이상이면 서보 온상태를 유지하고, 일정값 이하이면 포커스 확인신호를 저전위로 한 다음 포커스 서보를 오프시키는 제 4 과정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 1 및 도 3, 그리고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마이콤(120)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같이 서브 빔 가산신호가 일정값 즉, 기 설정된 시간 체크 레벨값(TCL)와 비교하여 그 서브 빔 가산신호의 크기를 판단하게 되는데, 만일 서브 빔 가산신호가 상기 시간 체크 레벨값(TCL)보다 작다면 도 3c에 도시한 바와같이 포커스 확인신호를 저전위 상태로 하고, 액츄에이터(130)의 서보 제어를 오프시킴으로써 광 픽업부(100)의 포커싱을 중단하게 된다.
즉, 광 픽업부(100)로 하여금 이전에 설정된 서보값으로 데이터를 독취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서브 빔 가산신호가 상기 시간 체크 레벨값(TCL)보다 크다면 도 3c에 도시한 바와같이 포커스 확인신호를 고전위 상태로 하고, 도 3a에 도시한 바와같이 RF 증폭부(110)로부터 증폭되어 입력되는 포커스 에러의 0 레벨과 교차되는 시점이 있는가를 판단하게 된다.
만일 포커스 확인신호를 고전위 상태에서 포커스 에러의 0 레벨과 교차되는 시점이 없다면 마이콤(120)은 액츄에이터(130)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서보 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0 레벨과의 교차되는 시점이 발생한다면 마이콤(120)은 액츄에이터(130)로 하여금 광 픽업부(100)의 서보 제어를 행하도록 한다.
즉, 서브 빔 가산신호가 시간 체크 레벨(TCL) 이상의 크기를 갖는 위치에서 포커스 확인신호를 고전위로 한 다음, 그 고전위 상태에서 포커스 에러의 0 레벨과 교차되는 위치(A)가 검출되면, 그 시점에서 서보 제어를 온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상기 서보가 온된 상태에서 마이콤(120)은 서브 빔 가산신호가 시간 체크 레벨(TCL) 이하로 떨어지는 시간의 구간(T1)이 있는가를 판단하게 되는데, 만일 시간 체크 레벨(TCL) 이하로 떨어지는 시간의 구간(T1)이 없다면 이는 포커스가 아직 정확하지 않는 상태로 판단하여 도 3b에 도시한 포커스 확인신호를 고전위 상태로 계속 유지시켜 액츄에이터(130)로 하여금 서보 제어를 계속하도록 한다.
반면에, 시간 체크 레벨(TCL) 이하로 떨어지는 시간의 구간(T1)이 있다면 이는 포커스가 정확히 맞취진 상태이므로 포커스 확인신호를 저전위로 하여 엑츄에이터(130)로 하여금 서보 제어를 종료하도록 함으로써 현재의 포커스 서보값에 의해 광 픽업부(100)가 데이터를 독취하도록 한다.
즉, 이렇게 포커스가 정확히 맞춰진 상태에서 광 픽업부(100)는 광 디스크의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읽어들이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광 디스크 시스템의 포커스 서보 제어방법은, 서브 빔 가산신호가 시간 체크 레벨 이하보다 작아지면 무조건 서보를 오프함으로써 광 픽업장치의 포커스 제어를 단순화하여 포커스 서보 제어시 부과되는 부하를 최소화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서브 빔 가산신호가 일정값 이상이면 포커스 확인신호를 고전위 레벨로 하고, 그렇지 않으면 저전위 레벨로 하여 포커스 서보를 오프시키는 제 1 과정;
    상기 제 1 과정에 의하여 포커스 가산 신호가 고전위 레벨로 되면, 포커스 에러가 0 레벨과 교차되는가를 판단하는 제 2 과정;
    상기 제 2 과정에 의하여 포커스 에러가 0 레벨과 교차되면 서보를 온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서보를 오프시키는 제 3 과정;
    상기 서보가 온된 상태에서 서브 빔 가산 신호가 일정값 이상이면 서보 온상태를 유지하고, 일정값 이하이면 포커스 확인신호를 저전위로 한 다음 포커스 서보를 오프시키는 제 4 과정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시스템의 포커스 서보 제어방법.
KR10-1998-0048332A 1998-11-12 1998-11-12 광 디스크 시스템의 포커스 서보 제어방법 KR100396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332A KR100396947B1 (ko) 1998-11-12 1998-11-12 광 디스크 시스템의 포커스 서보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332A KR100396947B1 (ko) 1998-11-12 1998-11-12 광 디스크 시스템의 포커스 서보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2013A KR20000032013A (ko) 2000-06-05
KR100396947B1 true KR100396947B1 (ko) 2003-11-15

Family

ID=1955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8332A KR100396947B1 (ko) 1998-11-12 1998-11-12 광 디스크 시스템의 포커스 서보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9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4711A (ko) * 1993-04-02 1994-11-18 오오가 노리오 포커싱 서보 시스템과 초점 포착 방법
KR100230238B1 (ko) * 1994-07-30 1999-11-15 윤종용 광 디스크의 포커싱 서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4711A (ko) * 1993-04-02 1994-11-18 오오가 노리오 포커싱 서보 시스템과 초점 포착 방법
KR100230238B1 (ko) * 1994-07-30 1999-11-15 윤종용 광 디스크의 포커싱 서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2013A (ko)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647B1 (ko) 재생 장치와 방법, 및 기록 매체
US74926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operation of disc driver in section for setting mode conversion
US6760285B2 (en) Disk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servo mechanism
KR100396947B1 (ko) 광 디스크 시스템의 포커스 서보 제어방법
US20050232090A1 (en) Apparatus and setup method for reproducing information recorded i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computer product
US20060171265A1 (en) Optical disk apparatus
KR19980087103A (ko)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KR100256645B1 (ko) 광디스크 시스템의 포커스 바이어스 조정 방법
JPH0335432A (ja) フォーカスサーボ回路
JP3635815B2 (ja) トラッキングサーボ制御回路
KR100244773B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옵셋 조정 방법
US6865143B2 (en) Optical device including a calibrating unit for calibrating a level adjusting unit
KR20020010387A (ko) 광디스크의 최적 재생방법
KR100203689B1 (ko) 광디스크 시스템의 서보 장치
KR100244037B1 (ko) 스크래치에서의 디스크 서보제어방법
KR100203688B1 (ko) 광디스크 시스템의 서보 장치
KR100275875B1 (ko) 디펙트에서의 트랙점프 제어방법
JPH08339550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用制御回路の調整方法
KR19980086303A (ko) 광디스크 재생기기의 트래킹동작 이상판별방법
KR20000032010A (ko) 광 디스크 시스템의 서보 제어방법 및 장치
JPH08180409A (ja) 光ディスク録再装置
KR19990050072A (ko) 광디스크 시스템의 서보 게인 조정 방법
JPH0668495A (ja) 光情報処理装置の調整方法
JPH08329486A (ja) 光ディスク装置のサーボ回路
KR19990026836A (ko) 광디스크 시스템의 트랙점프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