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479B1 - 의료용실부착바늘의유도기구 - Google Patents

의료용실부착바늘의유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479B1
KR100396479B1 KR1019950047311A KR19950047311A KR100396479B1 KR 100396479 B1 KR100396479 B1 KR 100396479B1 KR 1019950047311 A KR1019950047311 A KR 1019950047311A KR 19950047311 A KR19950047311 A KR 19950047311A KR 100396479 B1 KR100396479 B1 KR 100396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lever
thread
standing
threa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7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2760A (ko
Inventor
마사토시푸쿠다
타다시오오츄카
하루오이자키
칸지마츄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마츄타니세이사쿠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마츄타니세이사쿠쇼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마츄타니세이사쿠쇼오
Priority to KR1019950047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479B1/ko
Publication of KR970032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2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4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1Holders for needles or sutures, e.g. racks, st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의료용 실부착바늘(3)을 생체조직사이 또는 생체조직내를 통과시키는 온도기구에 있어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한쌍의 레버(1, 2)를 가지며, 제 1 레버 (1)에 실부착바늘(3)을 기립시켜 지지하는 바늘기립부(4)와 실(3b)을 유도하는 구멍(1b), 슬릿(1c)을 설치하고, 제 2 레버(2)에 상기 바늘기립부(4)에 실부착바늘 (3)을 기립시켜 각각의 레버(1, 2)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바늘(3)을 수취하는 바늘 수용부(5)를 설치한다. 바늘 기립부(4)에 실부착바늘(3)을 기립시켜 각각의 레버 (1, 2)를 접근시키면 상기 접근과정에서 실부착바늘(3)이 생체 조직사이나 생체조직내를 통과하여 바늘수용부(5)에 삽입된다. 그리고 각각의 레버(1, 2)를 이격시키면, 실부착바늘(3)은 바늘수용부(5)에 대한 삽입상태를 유지하여 바늘기립부(4)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실부착바늘(3)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 1 레버(1) 및 제 2 레버(2)를 맞출때의 맞춤면(1a, 2a)에 실부착바늘(3)을 수용하는 수용부(6)를 바늘 기립부(4)와 연속하여 설치한 경우에는 결찰, 또는 봉합시에 실부착바늘(3)을 환부에 도달시킬 때까지의 시간, 실부착바늘(3)의 탈락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바늘(3)에 의해 생체조직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Description

의료용 실 부착 바늘의 유도기구
본 발명은 의료용 실부착 바늘을 환부의 생체의 조직사이 또는 조직내를 통과시키는 동시에 통과된 의료용 실부착 바늘을 수취하여 결찰(結紮) 또는 봉합을 행하는 의료용 실부착 바늘의 유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정위치에 실을 부착한 바늘을 한쌍의 레버를 폐쇄한 때의 맞춤면에 수용하여 두고, 레버를 폐쇄한 상태에서 체내의 깊은 부위 또는 협소한 부위에 삽입하고, 그후 레버를 개방하여 한쪽의 레버에 바늘을 세워 상기 바늘을 결찰 부위 또는 봉합부위에 유도하고 또한 레버를 폐쇄하므로써, 바늘을 한쪽의 레버로부터 다른쪽의 레버에 받아 넘겨 결찰 또는 봉합을 행하도록 구성한 의료용 실부착 바늘의 유도기구에 관한 것이다.
외과수술시에는 적출하여야 할 환부의 주위에 있는 혈관을 실로 결찰하고, 또는 절개부위를 실로 봉합하는 것이 실시된다. 혈관의 결찰 또는 절개부의 봉합은 실을 부착한 봉합 바늘을 바늘지지기구 또는 결찰사 유도기구를 파지하여 조작하므로써 실을 조직사이 또는 조직중을 통과시켜 조직을 통과한 실을 체외로 인출하여 묶음으로써 행해진다.
결찰, 봉합을 실시할때에 의사는 한쪽의 손에 바늘지지기구를 갖고 봉합바늘을 조직사이 또는 조직중을 통과시킨 후 바늘지지기구를 바꿔주고 봉합바늘을 발취하는 조작을 행한다. 물론 결찰하여야할 부위 혹은 봉합해야 할 부위가 체내의 깊은 부위나 협소한 부위에 있는 것과 같은 경우, 상기 부위에 봉합바늘을 정확하게 찌르고 찔러진 봉합바늘을 바늘지지기구로 다시 파지하는 조작을 행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한쪽손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시해야만 하는 결찰기구, 봉합기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들어 특공평 7-67457호 공보(WO93/01750)에 기재된 외과용 봉합기구는 내시경을 이용하여 환부를 봉합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서, 길이방향의 양단에 첨단을 형성하는 동시에 양 첨단의 중간에 봉합사를 연결하는 구멍을 형성한 바늘을 이용하고, 파지 레버를 조작하여 바늘의 한쪽의 첨단을 크램핑한 관을 다른쪽의 크램핑 기구측에 이동시켜 다른쪽의 첨단을 상기 크램핑 기구에 의해 크램핑하고, 이 과정에서 봉합사를 조직내에 찌르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외과용 봉합기구를 이용하여 혈관의 결찰 또는 봉합을 행하는 경우, 1단계의 파지 레버의 조작에 의해 결찰 또는 봉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내시경을 이용한 복강내 수술을 시행할 때에 이용하면 유리하다.
물론 상기 외과용 봉합기구에서는 봉합바늘을 내시경의 내부에 삽입하여 봉합수술을 행하기 때문에, 봉합바늘을 이동시킬 때의 구동력을 직진방향으로 전달할 필요가 있으며, 상기 구동력의 전달기구가 복잡하고 크램핑 기구 및 크램핑기구를 해제시키는 기구등의 기구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개복수술이나 자궁내 수술처럼 내시경을 이용하지 않고 목시상태에서행하는 수술에서는 조작성이 양호한 동시에 고장발생이 없다는 신뢰성이나 값싸다는 문제도 중요하며, 이러한 점을 만족시킨 의료용 실부착 바늘의 유도기구등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체내의 깊은 부위나 협소한 부위의 결찰 또는 봉합을 행한 때에 의료용 실부착 바늘을 생체의 조직사이나 조직내를 통과시키는 의료용 실부착바늘의 유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실부착 바늘의 유도기구는 바늘본체와, 상기 바늘 본체의 원단에 고정되고 상기 원단면으로부터 바늘축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된 실로 구성되는 의료용 실부착바늘을 생체조직의 사이 또는 생체 조직의 내부를 통과시키는 동시에, 통과된 의료용 실부착 바늘을 수취하는 의료용 실부착 바늘의 유도기구에 있어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고 후단부에 조작용의 손잡이를 설치한 한쌍의 레버를 가지며 한쪽 레버의 선단부에 바늘본체의 원단면 및/또는 원단측의 외주면의 일부와 접촉하여 바늘본체를 기립시키는 바늘 기립부와 상기 바늘기립부와 접촉시켜 실을 유도하는 실 유도부를 설치하고, 다른쪽 레버의 선단부에 상기 바늘기립부에 기립된 바늘 본체를 수취하는 바늘 수취부를 설치하고, 한쌍의 레버의 선단부를 서로 접촉시키는 과정에서 한쪽 레버에 기립된 바늘본체를 가압하여 생체조직사이 또는 생체조직내를 통과시키는 동시에 바늘본체의 선단부분을 다른쪽 레버에 설치된 바늘 수취부에 삽입하고, 한쌍의 레버의 선단부를 서로 이격시키는 과정에서 바늘 수취부에 대한 바늘 본체의 삽입을 지지하여 바늘 기립부로부터 이탈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의료용 실부착 바늘의 유도기구(이하, 단순히 "유도기구"라 칭한다)에서는 한쪽 레버(이하, "제 1 레버"라 칭한다)에 바늘 기립부와 실 유도부를 설치했기 때문에, 실 유도부에 실을 통하게 하는 동시에 의료용 실부착바늘(이하, "실부착바늘" 이라 칭한다)의 원단면 또는 원단측의 외주면의 일부 또는 양방과 접촉하여 실부착바늘을 기립시킬 수 있다. 바늘 기립부에 대한 실부착바늘의 기립상태는 실에 장력을 작용시키므로써 유지할 수 있다. 즉, 미리 바늘 기립부에 실부착바늘을 기립시킨 상태에서 실에 장력을 부여하므로써 또는 횡방향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바늘기립부의 근처에 배치한 실부착 바늘에 실을 거쳐 장력을 부여하고 실부착바늘과 바늘기립부의 접촉부위를 기점으로 상기 실부착 바늘을 회전시켜 실부착바늘을 기립시키는 동시에 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쪽 레버(이하, "제 2 레버"라 칭한다)에 바늘 수납부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레버의 선단을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조작하고, 제 1 레버의 바늘기립부에 기립시킨 실부착 바늘의 선단을 제 2 레버의 바늘 수납부에 삽입시키므로써 상기 실부착 바늘을 수취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도기구를 체내에 삽입하여 제 1 및 제 2 레버의 선단을 환부에 도달시키고 이어서 미리 바늘 기립부에 실부착 바늘을 기립시킨 상태에서 삽입한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레버의 선단을 맞추는 방향으로 조작하여 바늘 기립부의 근방에 실부착바늘을 횡방향으로 한 상태에서 삽입한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레버의 선단을 이격시켜 실에 장력을 부여하므로써 실부착바늘을 기립시킨 후 제 1 및 제 2 레버의 선단을 맞추는 방향으로 조작하여 상기 조작과정에서 바늘 기립부에 기립된실부착 바늘에 가압력을 작용시켜 상기 실부착바늘을 생체의 조직사이 또는 조직내를 통과시키는 동시에 바늘 수납부에 삽입시키므로써 상기 실부착바늘을 제 1 레버로부터 제 2 레버에 유도하고, 또한 제 1 및 제 2 레버의 선단을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조작하는 과정에서 실부착 바늘의 바늘 수납부에 의한 삽입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바늘을 제 1 레버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유도기구에서는 제 1 및 제 2 레버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의사는 겸자를 조작하는 것과 동일한 한쪽의 손의 조작으로 용이하게 결찰 또는 봉합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유도기구에 있어서 제 1 레버의 선단부에 설치된 바늘 기립부를 바늘 본체의 원단면과 접촉되는 평탄한 면에 의해 구성하고 또는 바늘본체의 원단면 및/또는 바늘본체의 원단측의 외주면의 일부와 접촉하는 오목부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유도기구에서는 제 1 레버의 조작에 따라 바늘기립부에 기립시킨 실부착 바늘의 원단면 또는 외주면의 일부 혹은 원단면 및 외주면의 일부와 접촉하여 가압하고, 상기 가압력에 의해 실부착 바늘을 생체조직사이 또는 생체조직내를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기구에 있어서, 제 2 레버의 선단부에 설치된 바늘수납부를 바늘 본체의 크기와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폭의 치수를 갖는 긴구멍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긴 구멍을 제 1 레버에 설치한 바늘 기립부와 대향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제 2 레버의 선단측 및/또는 후단측을 향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유도기구에서는 제 1 및 제 2 레버의 조작에 따라 실부착바늘의 선단을 긴 구멍에 삽입시켜 수취할 수 있다. 특히, 긴구멍으로부터 레버의 선단측 및/또는 후단측에 연장된 슬릿을 형성하여 상기 긴 구멍에 탄성을 부여하므로써 실부착 바늘을 확실하게 수취할 수 있다.
상기 유도기구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레버의 서로 대향하는 맞춤면의 어느 한쪽면 또는 양쪽면에 제 1 레버에 설치된 바늘기립부의 위치를 기준으로 실부착바늘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와같이, 바늘기립부를 기준으로 실부착 바늘의 수용부를 설치하므로써, 유도기구를 생체의 내부에 삽입할 때에 수용부에 실부착 바늘을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결찰 또는 봉합을 행하기 직전까지 실부착 바늘을 제 1 및 제 2 레버의 맞춤면에 형성된 수용부에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환부에 도달될 때까지 실부착 바늘이 노출되지 않고, 수술을 실시할 때 복수개의 유도기구를 준비하는 경우에서도 설치장소의 면적을 적게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레버를 폐쇄하여 실부착바늘을 수용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환부까지 도달시키기 때문에 상기 이동중에 실부착바늘이 유도기구로부터 탈락되지 않으며, 상기 바늘에 의해 정상인 조직에 손상을 줄 염려가 없다. 또한 환부가 체내의 깊은 부위 또는 협소한 부위에서도 용이하게 실부착 바늘을 도달시킬 수 있다.
상기 유도기구에 있어서, 제 1 레버에 수용부에 수용되거나 바늘기립부에 기립된 바늘본체에 고정된 실을 제 1 레버를 따라 안내하는 가이드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가이드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바늘기립부에 기립시킨 실부착 바늘로부터 연장된 실 또는 수용부에 수용된 실부착 바늘로부터 연장된 실을 제 1 레버를 따라 조작부까지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결찰 또는 봉합을 행할 때에 실이 제 1 레버에 얽히지 않고, 또한 생체조직사이 또는 생체조직내를 통과하고 제 2 레버의 바늘 수용부에 수취된 실부착 바늘을 생체의외부로 인출할 때 실을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레버에 상기 레버를 따라 유도된 실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설치하므로써 수용부에 수용된 실부착 바늘에 대한 장력이 작용않는 실 또는 바늘 기립부에 기립된 실부착 바늘에 대한 장력이 작용하는 실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같이 지지부재에 의해 실을 지지하므로써 실부착 바늘의 수용부에서의 수용상태 및 바늘 기립부에서의 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레버에 상기 레버를 따라 유도된 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부여부재를 설치한 경우에는, 수용부에 수용된 실부착 바늘을 환부에 도달시킨 후 실부착 바늘을 제 1 레버의 바늘 기립부에 기립시킬 때에 장력부여부재를 조작하므로써 실에 장력을 부여하고, 이 장력와 작용에 의해 바늘 기립부와 맞닿은 원단면의 코너부를 중심으로 실부착 바늘을 회전시켜 기립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레버에 상기 레버를 따라 유도된 실을 권취하는 돌기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돌기를 설치하므로써 실에 장력을 부여할 때의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 1 도에 도시된 유도기구(A)는 서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한쌍의 레버(1,2)를 가지며, 한쪽 레버[제 1 레버(1)]에 실부착 바늘(3)을 기립시키는 바늘 기립부(4)를 형성하는 동시에 다른쪽 레버[제 2 레버(2)]에 실부착 바늘(3)을 수취하는 바늘 수용부(5)를 형성하고, 레버(1, 2)를 폐쇄할 때의 맞춤면(1a, 2a)에 실부착바늘(3)을 수용하는 수용부(6)를 형성한 것으로서, 전체가 겸자형상으로 형성되고 겸자와 동일한 조작을 행하므로써 환부의 결찰 또는 봉합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부착 바늘(3)은 레버(1, 2)의 개폐조작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3mm 내지 15mm 범위에서 레버(1, 2)의 길이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설정된 길이를 갖는 곧바른 바늘 형태로 형성된 본체(3a)의 일단에 실(3b)을 취부시켜 구성된다. 상기 본체(3a)의 길이는 레버(1, 2)의 회전지점으로부터 바늘기립부(4)까지의 거리의 약 1/3 이하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실부착바늘(3)을 구성하는 본체(3a)는 생체의 조직내를 통과시킬 때에 용이하게 찌를 수 있도록 첨세한 형태로 또는 조직사이를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구면형태로 형성된 선단부(3a1)와, 제 2 레버(2)에 형성된 바늘수용부(5)와 충분히 결합시키는 길이를 갖는 통부(3a2)와, 원단면(3a3)을 갖는다.
상기 통부(3a2)의 길이는 임의로 설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찰 부위 또는 봉합부위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실(3b)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실(3b)의 2배 이상으로 설정된다. 예컨대 결찰 또는 봉합에 사용되는 실은 0.2mm 내지 0.249mm(USP 약국규칙 3-0), 0.2mm 내지 0.399(동규격 2-0), 0.35mm 내지 0.399mm(동규격 1-0),0.4mm 내지 0.499mm(동규격 1)가 이용된다. 따라서 통부(3a2)[본체(3a)]는 상기 실 (3b)의 크기에 대응하여 외경이 0.7mm 내지 0.9mm로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체(3a)의 크기를 실(3b)의 크기의 2배이상으로하므로써, 바늘 기립부(4)를 원단면(3a3) 또는 원단측의 외주면에 맞대여서 추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체(3a)는 스텐레스 강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물론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실(3b)을 사출성형하므로써 실부착바늘 (3)을 1공정으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체(3a)를 텅스텐 카바이드 또는 티탄 합금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본체(3a)를 자석에 의해 구성한 경우에는 바늘 수용부(5)를 자성체에 의해 구성하므로써 실부착 바늘(3)의 받아넘김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어느것이 라도 본체(3a)의 재료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생체의 조직사이 또는 조직내를 찌를 수 있는 강도와, 생체에 악영향을 부여하지 않는 것이라면 이용될 수 있다.
실부착바늘(3)은 생체(3a)와 실(3b)을 별개로 구성할 필요는 없고, 소위 스텐레스실 일체형 바늘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일체형 바늘은 본체(3a)와 실(3b)이 스텐레스강에 의해 구성되고, 본체(3a)는 가공경화등에 의해 소정의 경로로 경화되며, 실(3b)은 열처리에 의해 유연성이 부여된다.
본체(3a)는 제 7A 도 내지 제 7D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곧 바른 형태로 형성된다. 선단부(3a1)는 찔러 통과하는 조직에 대응하여 제 7A 도∼제 7C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형태로 형성되거나 제 7D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이 뾰족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본체(3a)에 실(3b)을 취부한 경우, 제 7A 도 및 제 7D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3a)의 원단면(3a3) 측의 일부를 코오킹하여 직경을 축소하여 부착하여도 좋고, 제 7B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3a)를 코오킹하지 않고 실(3b)을 접착 등에 의해 부착하여도 좋고, 또한 제 7C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3a)의 원단면 (3a3)측을 소정길이에 걸쳐 테이퍼형태로 코오킹하여 부착해도 좋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실부착 바늘(3)은 제 1 레버(1)에 형성된 바늘기립부(4)에 기립되고, 원단면(3a3) 또는 본체(3a)의 원단면(3a3)측의 외주면의 일부 또는 원단면(3a3)과 외주면의 바늘기립부(4)와 접촉하고 상기 접촉부에 제 1 레버의 조작에 따라 가압력이 작용한다.
다음에 유도기구(A)의 요부의 구성에 대해 제 2 도 내지 제 4 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 1 레버(1)의 맞춤면(1a)에 있어서 선단측 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바늘기립부(4)가 형성된다. 상기 바늘기립부(4)는 본체(3a)의 원단면(3a3)을 맞대여 상기 본체(3a)를 기립시키는 기능을 갖는 평탄한 면 또는 톱니 형상의 돌기를 형성한 면으로 구성된다.
바늘 기립부(4)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레버(1)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1b)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1b)과 레버(1)의 선단을 연결하여 슬릿(1c)이 형성된다. 상기구멍(1b)은 바늘기립부(4)에 실부착바늘(3)을 기립시킬 때에 상기 바늘(3)의 본체(3a)에 부착시킨 실(3b)을 도피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이며, 상기 구멍(1b)은 본체(3a)의 크기보다 작고 실(3b)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또한 슬릿(1c)은 실(3b)을 구멍(1b)에 유도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며, 유도기구(A)에 실부착바늘(3)을 장착할 때에 실(3b)을 용이하게 삽입하는 치수로 형성된다.
상기 구멍(1b) 및 슬릿(1c)의 상면측 [바늘기립부(4)의 반대측]의 각부는 실 (3b)에 장력을 부여한 때, 상기 실(3b)이 접촉하여 상처받지 않도록 예리한 엣지가 아닌 원활한 곡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바늘기립부(4)에서는 구멍(1b)에 삽입된 실(3b)에 장력을 부여하므로써 본체(3a)의 원단면(3a3)을 바늘 기립부(4)를 구성하는 평탄면 또는 톱니 형상의 면에 압접시키므로써 실부착 바늘(3)을 기립시킨 상태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바늘기립부(4)에 기립시킨 실부착바늘(3)에는 다소의 경사와 위치 어긋남을 허용하는 것이 좋다.
제 2 레버(2)에는 바늘 수용부(5)가 형성된다. 바늘 수용부(5)는 결찰 또는 봉합할 때 바늘기립부(4)에 기립된 실부착바늘(3)의 본체(3a)가 삽입될 때 상기 본체(3a)를 파지하여 수취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바늘 수용부(5)는 레버(2)의 맞춤면(2a)에서 레버(1)에 형성된 바늘기립부 (4)와 대향하여 형성된다. 즉, 바늘 수용부(5)는 레버(1)에 형성된 구멍(1b)과 거의 대향하는 위치를 기점으로 하고, 실부착 바늘(3)의 본체(3a)[통부(3a2)]의 크기와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폭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제 2 레버(2)를 두께방향으로 관통시킨 긴 구멍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바늘 수용부(5)에 탄성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레버(2)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바늘 수용부(5)를 길이방향으로 관통시킨 슬릿(2b)이 형성된다. 또한 바늘수용부(5)를 구성하는 긴 구멍의 제 1 레버(1)에 대향하는 엣지는, 바늘기립부(4)에 기립시킨 실부착 바늘(3)에 다소의 경사와 위치어긋남을 허용하도록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제 1 레버, 제 2 레버를 이격시켜 바늘 기립부(4)에 실부착 바늘(4)에 기립시킨 상태로부터 각각의 레버(1, 2)를 근접시켜 폐쇄하였을때 본체(3a)의 선단부(3a1) 및 통부(3a2)가 바늘수용부(5)에 압입된다. 따라서 바늘수용부(5)에 의해 실부착 바늘(3)의 본체(3a)를 협지하여 수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같이 실부착바늘(3)의 본체(3a)를 바늘수용부(5)에 압입하였을 때 바늘 수용부(5)에 의한 본체(3a)의 지지력은 실(3b)의 인장강도 또는 본체(3a)의 실(3b)에 고정력 미만으로 되도록 설정된다.
실의 인장강도는 크기 및 재질에 의해 다르지만, US약국 규격에서는 실을 연결한 상태에서 인장절단될 때에 강도(결절장력)로서 3 내지 0의 실에서는 960 g ·f, 2 내지 0의 실에서는 440 g ·f, 1 내지 0의 실에서는 2160 g ·f, 1의 실에서는 2720 g ·f로서 각각 규정되어 있다. 상기 결절장력은 단순 인장강도보다 낮은 값이다.
여기서 본체(3a)의 실(3b)에 대한 고정력으로는 예를들어 실(3b)을 본체(3a)에 코오킹하므로써 고정할 때에는 부여된 코오킹력과 실(3b)과 본체(3a)와의 마찰력을 말하는 것이고, 또한 실(3b)을 접착에 의해 본체(3a)에 고정한 때에는 양자의 접착강도를 말하는 것이다.
미국 약국 규격에 있어서 본체(3a)의 실(3b)에 대한 고정력은 3 내지 0의 실에는 680g ·f, 2 내지 0의 실에서는 1100 g ·f, 1 내지 0의 실에서는 1500 g ·f, 1의 실에서는 1800 g ·f로서 각각 규정되어 있다.
상기 실의 인장강도 및 고정력의 규격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바늘 수용부(5)에 의한 본체(3a)의 지지력을 250 g ·f 내지 500 g ·f의 범위로 설정한다.
제 2 레버(2)의 맞춤면(2a)에는 실부착바늘(3)을 수용하는 수용부(6)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6)는 각 레버(1, 2)를 폐쇄한 때 양자의 협동에 의해 실부착바늘(3)을 수용하고 각각의 레버(1, 2)가 폐쇄되어 있는 사이, 각각의 수용상태를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수용부는 레버(2)의 맞춤면(2a)에 있어서 제 1 레버(1)에 형성된 구멍(1b)과 거의 대향하는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즉, 바늘기립부(4)와 연속해서 본체(3a)의 크기이상이나 또는 약간 작은 폭과 깊이를 갖고 본체(3a)의 길이보다 충분하게 긴 치수를 갖는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수용부(6)에 실부착바늘(3)을 수용하여 각각의 레버(1, 2)를 폐쇄한 때 수용부(6)는 제 1 레버(1)의 맞춤면(1a)에 의해 덮히고, 실부착 바늘(3)의 수용부(6)에서의 탈락을 방지하여 확실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6)가 반드시 제 2 레버(2)에만 형성될 필요는 없고, 제1 레버(1)에 상기 홈을 형성하므로써 수용부(6)를 제 1 레버(1)에 단독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 2 레버 (2)에는 바늘 수용부(5)만이 형성된다(제 8 도 참조). 또한 상기 수용부(6)를 깊이방향으로 분할한 부분적인 홈을 각각의 레버(1, 2)에 각각 형성하므로써, 수용부 (6)를 각각의 레버(1, 2)에 걸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제 9A 도 및 제 9B 도 참조).
상술한 바와같이 수용부(6)를 제 1 레버(1), 제 2 레버(2)의 어느 하나에 단독으로 형성하던지 또는 각 레버(1, 2)에 걸쳐 형성하는 것은 실부착 바늘(3)의 본체(3)의 크기 및 각 레버(1, 2)의 두께 등의 치수조건에 대응하여 적절히 설정해야 할 설계상의 문제이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레버(1, 2)의 단부에는 의사가 손가락을 삽입하여 회전조작하기 위한 파지부(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레버(1)를 따라 실(3b)을 안내하는 가이드(8), 실(3b)을 지지하는 지지부재(9) 및 실(3b)을 권취하는 돌기(11)가 설치되고 또한 파지부(7) 또는 상기 파지부(7)의 근처에 실(3b)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부여부재(10)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8)는 실(3b)을 삽입하여 안내하므로써 실(3b)이 제 1 레버에 얽히는 것을 방지하여 센터링을 원활하게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가이드(8)는 상기 기능을 갖는 것이라면 좋고, 특별하게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레버(1)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후크 형상의 부재에 의해 가이드(8)를 구성하고 있다.
지지부재(9)는 제 1 레버(1)를 따라 유도된 실(3b)을 상기 실(3b)에 작용하는 장력의 유무에 관계없이 제 1 레버(1)측에 가압하여 지지한다. 따라서 지지부재 (9)는 제 1 레버(1)의 방향으로 가압력을 발휘하도록 탄성을 갖는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실(3b)을 지지부재(9)와 제 1 레버(1)의 사이에 지지하므로써 지지부재(9)의 가압력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혈관을 결찰하거나 절개부위를 봉합하여 실부착바늘(3)이 수용부(5)에 수취되고 제 1 레버(1), 제 2 레버(2)를 이격시킬 때에 실(3b)은 제1 레버(1)를 따라 센터링된다. 따라서 지지부재(9)에 의해 실(3b)에 작용하는 지지력은 상기 센터링에 고장을 부여하지 않는 정도일 것이 필요하며, 상기 지지력은 지지부재(9)의 제 1 레버(1)측으로의 가압력을 적절히 설정하므로써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돌기(10)는 제 1 레버(1)에 대한 취부부분이 미세하고 또한 레버(1)에서 이격됨에 따라 크게되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고, 실(3b)에 장력을 부여하여 본체 (3a)를 바늘기립부(4)에 고정할 때에 의한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시킨다.
장력부여부재(11)는 실부착 바늘(3)을 환부에 도달시켜 각각의 레버(1, 2)의 선단을 이격시켰을 때, 실(3b)에 장력을 부여하여 일정길이 인장하므로써 바늘 기립부(4)에 기립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장력부여부재(11)는 상기 기능을 갖는 것이면 좋고, 특히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지부(7)에 상기 파지부(7)를 따라 회전가능한 레버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레버에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할 때, 실(3b)을 파지하여 장력을 부여하고 실(3b)의 화살표(b)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한다.
장력부여부재(11)는 수용부(6)에 수용된 실부착바늘(3)을 바늘기립부(4)에 기립시키는 이외에 조직사이 또는 조직내를 통과하여 바늘 수용부(5)에 수취된 실부착바늘(3)을 바늘기립부(4)로 복귀시켜 다시 조직사이 또는 조직내를 통과시키는 경우에도 이용된다.
즉, 예를들어 결찰을 행할 때에 혈관의 주위에 실(3b)을 2회이상 권취하는 경우, 바늘기립부(4)에 기립시킨 실부착바늘(3)을 제 1 레버(1), 제 2 레버(2)의 접근에 의해 바늘 수용부(5)에 삽입하고 그후 바늘 수용부(5)에 의한 실부착 바늘 (3)의 삽입상태를 유지하여 각각의 레버(1, 2)를 이격시켜, 실(3b)을 혈관의 주위에 권취시키도록 이동시킨다. 이어서 각각의 레버(1, 2)를 접근시켜 실부착바늘(3)의 본체(3a)를 바늘기립부(4)에 접촉시키고 이 상태에서 장력부여부재(11)를 조작하여 실(3b)에 장력을 부여하므로써, 본체(3a)를 수용부(5)에서 이탈시켜 바늘 기립부(4)에 기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다시 실부착바늘(3)을 이동시켜 각각의 레버(1, 2)를 접근시키고, 실부착바늘(3)을 바늘 수용부(5)에 삽입시킨 후 각각의 레버(1, 2)를 이격시켜 실부착바늘(13)을 바늘 수용부(5)에 삽입시킨 상태를 유지하여 체외로 인출하므로써 실(3b)을 혈관의 주위에 2회 권취하여 결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제 1 도, 제 2 도, 제 5 도, 제 6 도에 의해 혈관(E)을 결찰할 때의 각 레버(1, 2)의 개폐동작과 실부착바늘(3)의 자세, 이동동작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 5A 도 내지 제 5C 도 및 제 6A 도 내지 제 6C 도는 각각 대응하는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우선 유도기구(A)의 파지부(7)를 조작하여 제 1 레버(1), 제 2 레버(2)를 이격시켜 수용부(6)를 개방하고 실부착바늘(3)의 본체(3a)를 수용한다. 이때 본체 3a)의 원단면(3a3)측이 레버(1)에 형성된 구멍(1b)측에 배치되도록 수용하고, 실 3b)을 제 2 레버(2)의 선단측에 나오게 둔다. 파지부(7)를 조작하여 각각의 레버 (1, 2)를 폐쇄하여 수용부(6)를 제 1 레버(1)에 의해 덮고, 스토퍼에 의해 각 레버 (1, 2)의 폐쇄된 상태를 지지시키고 동시에 실(3b)을 제 1 레버(1)에 형성한 슬릿 (1c)을 거쳐 구멍(1b)에 삽입하여 돌기(10)에 권취되는 동시에 가이드(8)를 거쳐 제 1 레버(1)를 따라 안내하고, 파지부(7)로 복귀하여 지지부재(9)에 결합된 후 장력부여부재(11)에 결합된다(제 1 도, 제 2 도 참조) 이러한 조작을 완료하면, 유도기구(A)에 의한 결찰, 봉합준비가 완료된다.
상기 상태에 있어서 레버(1, 2)는 서로 폐쇄된 상태이며, 실부착바늘(3)은 본체(3a)가 레버(1)의 맞춤면(1a)에 의해 덮힌 수용부(6)에 수용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환부가 체내의 깊은 부위 또는 협소한 부위에서도 통상의 겸자와 동일한 감각으로 유도기구(A)를 삽입하므로써 실부착바늘(3)을 탈락시키지 않고, 상기 바늘(3)의 본체(3a)에 의해 정상인 조직에 손상을 부여하지 않고 환부에 도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레버(1, 2)를 혈관(E)의 결찰 부위에 도달시킨 후 스토퍼를 해제하여 파지부(7)를 조작하고, 제 5a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레버(1, 2)를 이격시킨다. 동시에 장력부여부재(11)를 조작하여 실(3b)에 인장력을 부여하면, 상기 힘은 실(3b)을 거쳐 본체(3a)에 도달되고, 상기 본체(3a)를 구멍(1b)까지 끌어당기고, 구멍(1b)을 포함하여 형성된 바늘기립부(4)와 접촉하는 원단면(3a3)의 코너를 지점으로 하여 본체(3a)를 회전시켜 제 6a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3a)를 바늘 기립부(4)에 기립시킨다.
이때 본체(3a)의 선단부(3a1)는 제 2 레버(2)에 형성된 슬릿(2b), 바늘수용부(5)에 형성된 본체(3a)를 수취하기 위한 공간중을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선단부 (3a1)가 첨예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첨예함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체 (3a)를 바늘기립부(4)에 기립시켜 실(3b)을 지지부재(9)에 지지할 수 있으므로 본체(3a)의 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상태로부터 파지부(7)를 조작하여 제 5b 도 및 제 6b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레버(1, 2)를 폐쇄한다. 이 과정에서 바늘기립부(4)에 기립된 실부착바늘(3)은 혈관(E)의 주위에 있는 조직사이 또는 조직내를 통과하고, 본체 (3a)의 선단부(3a1)가 바늘 수용부(5)에 삽입되어 연속 통부(3a2)가 바늘수용부(5)에 압입되고 상기 바늘 수용부(5)에 의해 지지된다.
이어서 제 5C 도 및 제 6C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파지부(7)를 조작하여 각각의 레버(1, 2)를 이격시키면, 실부착바늘(3)의 본체(3a)는 바늘수용부(5)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실(3b)은 제 1레버(1)의 구멍(1b) 및 가이드(8)를 안내로하여 센터링된다. 이 상태를 유지하여 제 5d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레버(1, 2)를체외로 인출하면 본체(3a)의 이동에 따라 실(3b)은 조직사이 또는 조직내를 통과하고 단부[본체(3a)에 부착된 단부]가 체외로 인출된다. 이 상태에서 실(3b)의 체외로 인출된 측과 미리 파지부(7)측에 있는 측을 연결하므로써 혈관(E)의 결찰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8 도는 제 1 레버(11)에 바늘 기립부(4)와 수용부(b)를 형성하는 동시에 바늘 수용부(5)에 탄성부재를 배치하여 구성한 유도기구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상술의 실시예가 동일한 부분 및 동일의 기능을 갖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레버(1)의 소정위치에는 구멍(1b)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1b)과 선단의 사이에 슬릿(1c)이 형성된다. 구멍(1b)의 주변을 포함하는 레버(2)와 대향하는 면에 바늘기립부(4)가 형성되고, 상기 바늘 기립부(4)와 연속해서 실부착 바늘(3)의 본체(3a)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또는 넓은 폭과 깊이를 가지며 본체(3a)의 길이보다 충분히 길게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진 수용부(6)가 형성된다.
제 2 레버(2)에 있어서, 제 1 레버(1)에 형성된 바늘 기립부(4)와 대향하는 위치에 바늘 수용부(5)가 형성된다. 상기 바늘수용부(5)는 제 2 레버(2)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2c)에 미리 설정된 형상을 갖는 바늘 수용부재(12)를 삽입시켜 구성되어 있다.
바늘수용부재(12)는 우레탄 고무 등의 합성고무, 천연고무 등의 탄성체 또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며 제 2 레버(2)의 두께와 거의 동일한 길이와, 제 2 레버(2)에 형성된 구멍(2c)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큰 외경을 가지며, 또한 내부에 지지구멍(12a)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구멍(12a)은 바늘수용부재(12)가 탄성체인 경우 실부착 바늘(3)의 본체(3a)의 크기보다 약간 좁은 직경을 가지며, 바늘수용부재(12)가 지성체인 경우 본체(3a)의 크기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그리고 바늘 수용부재 (12)를 제 2 레버(2)의 구멍(2c)에 삽입하여 접착하고, 또한 압입하므로써 바늘수용부(5)를 구성하고 있다.
바늘수용부(5) 및 수용부(6)를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한 경우에도, 상술의 실시예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 실부착바늘(3)을 바늘기립부(4)에 기립시키는 동시에 생체와 조직사이 또는 조직내를 통과시켜 결찰, 봉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9A 도 및 9B 도는 레버(1)에 실부착바늘(3)의 본체(3a)를 수용하도록 계단을 형성한 바늘 기립부(4)를 설치하는 동시에 수용부(6)를 레버(1, 2)에 걸쳐 형성한 유도기구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상술의 각각의 실시예와 동일부분 및 동일기능을 갖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 레버(1)에 형성된 구멍(1b)의 주위에 원형의 계단부(4a)가 형성되며 상기 계단부(4a)에 의해 바늘 기립부(4)가 형성된다. 상기 계단부(4a)의 직경과 실부착바늘(3)의 본체(3a)의 크기에 대한 관계는 특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계단부(4a)의 직경이 본체(3a)의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본체(3a)는 원단면(3a3)측이 계단부(4a)에 삽입되어 기립되고 또한 계단부(4a)의 직경이 본체(3a)의 크기와 거의 동일한 경우, 본체(3a)는 원단면(3a3)이 계단부(4a)에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계단부(4a)가 본체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기립되고, 또한 계단부(4a)의 직경이 본체 (3a)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본체(3a)는 통부(3a2)의 원단면(3a3) 측의 일부가 계단부(4a)의 엣지와 결합하여 기립된다.
또한 제 1 레버(1), 제 2 레버(2)의 맞춤면(1a, 2a)에는 각각 본체(3a)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큰 치수를 분할한 폭과 깊이를 갖고 또한 본체(3a)의 길이보다 충분히 긴 길이를 갖는 홈(6a, 6b)이 형성되며, 이들 홈(6a, 6b)에 의해 수용부(6)가 형성된다.
제 2 레버(2)에 있어서, 제 1 레버(1)에 형성된 구멍(1b), 계단부(4a)에 대향하는 위치에 바늘 수용부(5)가 설치된다. 상기 바늘 수용부(5)에는 탄성체 또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바늘 수용부재(12)가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제 1 레버(1) 및 제 2 레버(2)에 걸쳐 수용부(6)를 형성한 경우에는 제 9A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레버(1, 2)의 홈(6a, 6b)에 대응하는 부분의 두께를 동일하게 하므로써 강도면에서 유리하고, 또한 실부착바늘(3)을 안정하게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레버(1)에 형성된 구멍(1b)의 주위에 형성된 계단부(4a)의 의해 바늘기립부(4)를 형성하므로써 제 9B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레버(1, 2)를 이격시키는 동시에 수용부(6)에 수용된 실부착바늘(3)의 실(3b)에 인장력을 부여하므로써 본체(3a)의 후단측을 계단부(4a)에 삽입시켜 상기 계단부(4a)의 저면에 원단면(3a3)을 맞대어 본체(3a)를 기립시킬 수 있으며, 또는 통부(3a2)의 후단측의 외주를 계단부(4a)의 엣지에 결합시켜 본체(3a)를 기립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멍(1b)의 주위에 형성된 계단부(4a)에 의해 바늘기립부 (4)를 형성하므로써 실부착바늘(3)의 기립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으며 결찰 또는 봉합시에 바늘기립부(4)로부터 바늘수용부(5)에 대한 실부착 바늘의 받아넘김을 안정된 상태로 행할 수 있다.
제 10A 및 10B 도는 제 7C 도에 도시한 실부착바늘(3)을 이용하는 동시에 실부착바늘(3)에 본체(3a)에 형성된 구형상체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바늘 수용부 (5)를 이용한 유도기구(A)를 설명한 도면이다.
바늘수용부(5)는 제 2 레버(2)에 형성된 구멍(2C)에 압입 또는 접착된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바늘 수용부재(13)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바늘수용부재(13)에는 실부착바늘(3)의 본체(3a)에 형성된 구형상의 선단부(3a1)를 수용하는 구멍(13a)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13a)에 삽입된 선단부(3a1)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기(13b)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유도기구(A)에서는 실부착바늘(3)의 본체(3a)의 선단부(3a1)가 바늘수용부재(13)의 구멍(13a)에 삽입되면 제 1 레버(1)가 제 2 레버 (2)로부터 이격되어도 본체(3)의 바늘수용부재(5)에 대한 삽입상태가 지지된다. 유도부(A)를 체외로 인출한 후, 의사가 실(3b)을 제 9B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실(3b)을 제 2 레버(2)와 평행하게 되도록 인장하면 선단부(3a1)의 기부가 돌기(13b)와 결합하고, 상기 결합부위를 지점으로하여 본체(3a)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에 의해 본체(3a)를 바늘수용부재(13)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제 11 도는 제 1 레버(1)와 제 2 레버(2)를 단부에서 접속하는 동시에 탄성을 부여하므로써 서로 회전가능하게 구성한 유도기구(B)의 설명도이다. 상기 유도기구(B)는 의사가 핀셋과 동일한 감촉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도기구(B)는 제 1 레버(1) 및 제 2 레버(2)의 선단부분(제 11 도의 좌측)이 적절한 강성으로 형성되고 또한 원(元)부분(제 11 도의 우측)에 탄성이 부여되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유도기구(B)에서도 제 1 레버(1)의 선단측에 설치된 바늘기립부(4)에 기립시킨 실부착바늘(3)을 제 2 레버(2)의 선단측에 설치된 바늘 수용부(5)[바늘 수용부재(12)]에 의해 수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레버(1) 및 제 2 레버(2)는 반드시 유도기구(A) 처럼 파지부(7)와 일체로 구성할 필요는 없고, 제 12 도에 도시한 유도부(C)처럼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 있어서 각각의 레버(1, 2)는 소정의 길이(환부의 깊이에 대응하여 300 내지 400 mm 정도)를 갖는 케이싱(14)의 선단에 배치되고, 한쪽 레버[예컨대, 바늘수용부(5) 및 수용부(6)를 형성한 제 2 레버(2)]는 케이싱(14)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다른쪽의 레버[예컨대, 바늘기립부(4)를 형성한 제 1 레버(1)]는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14)의 후단측은 조작클립(15)에 고정되고 상기 클립(15)에 트리거(16)가 설치된다. 제 1 레버(1)와 트리거(16)는 케이싱(14)의 내부에 설치된 와이어, 로드 등의 전도부재를 통하여 접속되고 트리거(16)의 조작에 따라 제 1 레버(1)가 회전하여 제 2 레버(2)에 접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유도기구(C)에서는 체내의 깊은 부위에 있는 환부를 결찰 또는 봉합할 수 있다. 특히, 케이싱(14)을 가요성을 갖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하므로써 복강경내 수술에 적용되는등 이용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1 도는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한쌍의 레버를 갖는 유도기구의 전체형상을 설명하는 도면.
제 2 도는 레버의 맞춤면에 실부착 바늘을 수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화살표 Ⅲ - Ⅲ를 따른 도면.
제 4 도는 제 2 도의 화살표 Ⅳ - Ⅳ를 따른 도면.
제 5A 내지 제 5D 도는 결찰 조작의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
제 6A 내지 제 6C 도는 결찰, 봉합을 실시할 때에 레버를 개폐하여 실부착 바늘을 받아넘기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제 7A 도 내지 제 7D 도는 실부착 바늘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제 8 도는 한쌍의 레버의 맞춤면의 다른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
제 9A 도 및 제 9B 도는 한쌍의 레버의 맞춤면의 다른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
제 10A 도 및 제 10B 도는 바늘 수납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제 11 도는 유도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제 12 도는 유도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 레버 3: 실부착 바늘
3b: 실 4: 바늘기립부
5: 바늘수용부

Claims (14)

  1. 바늘본체와 상기 바늘본체의 원단에 고정되고 상기 원단면으로부터 바늘축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된 실로 구성되는 의료용 실부착 바늘을 생체조직 사이 또는 생체조직의 내부를 통과시키는 동시에 통과된 의료용 실부착바늘을 수취하는 의료용 실부착바늘의 유도기구에 있어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고 후단부에 조작용의 손잡이를 설치한 한쌍의 레버를 가지며 한쪽 레버의 선단부에 바늘본체의 원단면 및/또는 원단측의 외주면의 일부와 접촉하여 바늘본체를 기립시키는 바늘 기립부와 상기 바늘 기립부와 접속시켜 실을 유도하는 실 유도부를 설치하고, 다른쪽 레버의 선단부에 상기 바늘기립부에 기립된 바늘본체를 수취하는 바늘수취부를 설치하고, 한쌍의 레버의 선단부를 서로 접근시키는 과정에서 한쪽 레버에 기립된 바늘 본체의 원단면 및/또는 원단측의 미세한 계단부를 가압하여 생체조직 사이 또는 생체조직내를 통과시키는 동시에 바늘본체의 선단부분을 다른쪽 레버에 설치된 바늘 수취부에 삽입하고, 한쌍의 레버의 선단부를 서로 이격시키는 과정에서 바늘수취부에 대한 바늘 본체의 삽입을 유지하여 바늘 기립부로부터 이탈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실부착 바늘의 유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레버의 선단부에 설치된 바늘 기립부는 바늘 본체의 원단면과 접촉되는 평탄한 면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실부착 바늘의 유도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레버의 선단에 설치된 실유도부는 실의 연장방향에 대응하는 각이 실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실부착바늘의 유도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레버의 선단에 설치된 바늘기립부는 바늘 본체의 원단면 및/또는 바늘본체의 원단측의 외주면의 일부와 접촉하는 오목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실부착바늘의 유도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쪽 레버의 선단에 설치된 바늘 수용부는 바늘 본체의 크기와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폭의 치수를 갖는 긴 구멍으로 구성되며, 상기 긴 구멍은 상기 한쪽 레버에 설치된 바늘 기립부와 대향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레버의 선단측 및/또는 후단측을 향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실부착 바늘의 유도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쪽 레버에 설치된 긴 구멍으로 구성되는 바늘 수용부에 상기 긴 구멍으로부터 레버의 선단측 및/또는 후단측으로 연장된 슬릿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실부착바늘의 유도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긴 구멍으로 구성되는 바늘 수용부에서 상기 바늘 수용부에 의한 바늘 본체의 지지력은 바늘 본체에 고정된 실의 인장강도 또는 실에 대한 고정력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실부착바늘의 유도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레버의 서로 대향하는 맞춤면의 어느 한쪽의 면 또는 양쪽의 면에 상기 한쪽 레버에 설치된 바늘 기립부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의료용 실부착바늘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실부착바늘의 유도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레버에, 수용부에 수용되거나 바늘 기립부에 기립된 바늘본체에 고정된 실을 한쪽의 레버를 따라 안내하는 가이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실부착 바늘의 유도기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레버에, 수용부에 수용되거나 바늘 기립부에 기립된 바늘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레버를 따라 유도된 실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실부착바늘의 유도기구.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레버에 상기 레버를 따라 유도된 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부여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실부착바늘의 유도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레버에 상기 레버를 따라 유도된 실을 권취하는 돌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실부착바늘의 유도기구.
  13. 제1항에 있어서,
    의료용 실부착바늘의 바늘 본체는 길이가 3mm 이상, 5mm 미만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실부착바늘의 유도기구.
  14. 제1항에 있어서,
    의료용 실부착바늘의 바늘 본체의 크기는 실 크기의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실부착바늘의 유도기구.
KR1019950047311A 1995-12-07 1995-12-07 의료용실부착바늘의유도기구 KR100396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7311A KR100396479B1 (ko) 1995-12-07 1995-12-07 의료용실부착바늘의유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7311A KR100396479B1 (ko) 1995-12-07 1995-12-07 의료용실부착바늘의유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760A KR970032760A (ko) 1997-07-22
KR100396479B1 true KR100396479B1 (ko) 2004-02-25

Family

ID=49515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7311A KR100396479B1 (ko) 1995-12-07 1995-12-07 의료용실부착바늘의유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4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551B1 (ko) * 2002-11-22 2005-08-25 안성봉 매몰법 쌍꺼풀 시술용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551B1 (ko) * 2002-11-22 2005-08-25 안성봉 매몰법 쌍꺼풀 시술용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760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4009A (en) Guide instrument for a medical needle with thread
US5403329A (en) Instrument for closing trocar puncture wounds
KR100943999B1 (ko) 상처 봉합 시스템
US5665096A (en) Needle driving apparatus and methods of suturing tissue
EP1769749B1 (en) Surgical suture instrument
US5364409A (en) Endoscopic needle holder
JP2873366B2 (ja) 鉗 子
US8353920B2 (en) Suture instrument
US5480405A (en) Anchor applier instrument for use in suturing tissue
US6322570B1 (en) Needle holder for guiding needle with suture
US5733293A (en) Disposable loading unit for a vascular suturing instrument
US10327760B2 (en) Sizing and positioning adapter for medical instruments
JP2002504002A (ja) 手術針を位置設定するためのアプリケータ
KR100396479B1 (ko) 의료용실부착바늘의유도기구
JPH0984799A (ja) 持針器
JP3715999B2 (ja) 縫合器
JP3375797B2 (ja) 医療用糸付針の誘導具
US10772621B2 (en) Suture management devices, methods, and systems
EP1512377B1 (en) Apparatus for manipulation of threads such as ligatures
WO2004049898A2 (en) Suturing method
JPH09299375A (ja) 医療用糸通し具及び医療用針付糸の保持体
US20050090839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he placement and controlled manipulation of threads like in ligatures
JPH07328019A (ja) 縫合用具
JPH0889508A (ja) 縫合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