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397B1 - 공매 시스템 및 공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매를 진행하는방법 - Google Patents

공매 시스템 및 공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매를 진행하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397B1
KR100396397B1 KR10-2002-0046027A KR20020046027A KR100396397B1 KR 100396397 B1 KR100396397 B1 KR 100396397B1 KR 20020046027 A KR20020046027 A KR 20020046027A KR 100396397 B1 KR100396397 B1 KR 100396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ction
server
online
bidding
b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6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9630A (ko
Inventor
이재룡
김원대
Original Assignee
한국자산관리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산관리공사 filed Critical 한국자산관리공사
Priority to KR10-2002-0046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397B1/ko
Publication of KR20020079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397B1/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공매 시스템 및 공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매 시스템은 공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매 서버, 상기 공매 서버에 연계되어 공매 관련 자료를 송수신하는 기간 시스템에 구비된 내부 단말기, 상기 공매 서버에서 공매 정보를 조회하고 인터넷을 포함하는 통신망을 통하여 입찰에 참여하고자 하는 고객에게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기 및 상기 공매 서버와 연결되어 공매를 지원하는 금융기관의 금융 전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공매 서버는 공매 공고를 등록하여 고객에게 공매 정보를 제공하고, 온라인상에서 입찰서를 접수하고, 금융 서버로부터 보증금 수납 정보를 확인하고, 낙찰자 선정 프로그램을 통하여 최고가의 입찰자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현장 공매와 통신망을 통한 전자 입찰을 병행하여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과, 일반 고객이 전자 공매장을 대여 받아서 직접 공매를 등록 공고하여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현장 공매의 단점인 시간적, 지리적 제약을 극복하고 공매 참여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한편 일반 고객도 전자 공매장을 대여받아서 직접 공매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공매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비는 비용을 줄일 수 있고, 공매를 활성화 시킬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매 시스템 및 공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PUBLIC AUCTION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BY PUBLIC AUCTION AVAILING OF THE SYSTEM}
본 발명은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통하여 공매 정보를 제공하고, 공매에 입찰할 수 있는 공매 시스템과 그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매란 일반적으로 자산관리공사(KAMCO)가 보유하는 부동산을 처분하기 위해 일반인에게 공개 경쟁 입찰방식으로 매각하는 것을 말한다. 종전에 KAMCO는 압류재산등을 처분하기 위하여, 미리 일간지등을 통하여 공매 공고를 하고, 그 공매 일자에 자산관리공사의 본/지사에서 현장 입찰을 통하여, 최저 매매 예정가 이상의 최고가를 제시한 입찰자에게 보유 부동산을 낙찰하는 방법으로 공매를 진행시켜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현장 공매 제도는 시간적 공간적인 제약으로 불편함이 있고, 이러한 제약으로 인하여 공매 참여율이 저조하게 된다. 또한 참여율에 비례하여 낮은 가격대에서 공매물의 낙찰이 이루어질 가능성으로 인하여, 자산관리공사의 수익률이 저하되는 한편, 체납 조세 징수율 저조로 국가 재정수입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 재산 증식을 위한 재테크 수단으로서, 법원 경매나 공매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인터넷 상에는 각종 경매나 공매의 공고와, 해당 부동산의 입지 상태, 주변시세등의 정보와 부동산의 등기의 열람 및 물건 검색, 투자상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가 다수개 존재하고 있다.그러나 이러한 사이트를 통하여 공매에 입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한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그리고, 자산관리공사의 압류 자산이나 법원 경매물이 아닌 일반 부동산을 보다 유리한 가격으로 매매하기 위한 각종의 인터넷 경매 사이트가 존재하지만, 이러한 사이트는 100% 온라인상에서 경매가 이루어지므로, 연령이 높고 컴퓨터 내지는 인터넷을 능숙하게 다루지 못하는 투자자에게는 이러한 경매방식이 익숙하지 않아서, 그 이용률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출원된 출원번호 10-2000-79856호
"인터넷을 이용한 법원 부동산 경매 정보의 제공방법 및 인터넷을 이용한 법원 부동산 경매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상의 실시간 동시 입찰 및 동시 진행 방법"에서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 역시 하기할 여러가지 문제점이 지적된다.
상기 발명은 각 경매 법원에 네트워크 서버 및 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하여야 하고, 온라인 경매 지원 업체의 메인 서버를 인터넷으로 연결하여야 하므로, 그 설치를 위한 비용의 지출과, 상기 서버 및 데이타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장 입찰과 온라인상의 입찰이 실시간으로 동시에 진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입찰 진행 과정을 보여 주는 서버에 직접 현장에서 입찰한 입찰자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을 취함으로 인하여, 시스템에 과부하를 야기시킬수 있고, 이로 인해 서버가 다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외에도 경매 진행을 위해서 진행자와 응찰자가 별도의 경매 프로그램을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상기 발명에서 입찰 보증금의 입금과 관련하여, 경매참여를 위하여 법원과 계약이 된 금융기관의 별도의 전용 계좌를 개설하여야 하고, 낙찰여부와 상관없이 입찰 보증금이 응찰자의 구좌에서 경매 전용구좌로 즉시 이체되고, 유찰자가 직접 금융기관에 출금 신청을 하여야만 입찰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도록 하여, 유찰자의 자금 운용에 제약을 주고, 자금을 환수하는데 번거러움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여,
네트워크상에서 공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공매 당일날 현장을 방문하지 않고서도, 공매에 입찰할 수 있는 온라인 공매 시스템과 그 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공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매 현장과 온라인상에서 병행하여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공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일반 고객이 공매 운영 기관(예:KAMCO)에 공매를 위탁하지 않고, 직접 온라인상에서 공매를 할 수 있도록 전자 공매장을 대여하여 주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공매 시스템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공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온라인상으로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a 는 온라인상으로 입찰서를 제출하고자 하는 고객이 금융 시스템으로 부터 수납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b 는 온라인상으로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매 서버와 금융 전산 시스템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는 현장 공매 진행 단계에서 공매 시스템의 이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공매장을 대여하여 기업 고객이 직접 공매 공고를 등록하는 방법에 대한 대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6 은 포탈의 물건정보 제공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포탈의 공매공고 정보 제공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전자 공매장의 초기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전자 공매장에서의 입찰서 작성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공매 서버의 낙찰자 선정 프로그램을 이용한 낙찰자를 선정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매 시스템은 공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매 서버, 상기 공매 서버에 연계되어 공매 관련 자료를 송수신하는 기간시스템에 구비된 내부 단말기, 상기 공매 서버에서 공매 정보를 조회하고 인터넷을 포함하는 통신망을 통하여 입찰에 참여하고자 하는 고객에게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기 및 상기 공매 서버와 연결되어 공매를 지원하는 금융기관의 금융 전산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공매 서버는 공매 공고를 등록하여 고객에게 공매 정보를 제공하고, 온라인상에서 입찰서를 접수하고, 금융 전산 서버부터 보증금 수납 정보를 확인하고, 낙찰자 선정 프로그램을 통하여 최고가의 입찰자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현장과 온라인상에서 공매를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은 기간 시스템에 공매 공고를 입력하고, 입력된 공매 공고가 공매 서버로 전송되어 등록되는 단계, 통신망을 통하여 공매 서버에서 입찰하는 단계, 현장 공매장에서 수합한 입찰서를 기간 시스템에 구비된 내부 단말기에 입력하는 단계,낙찰자 선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낙찰하는 단계 및 자동으로 입찰조서가 작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공매장을 대여하여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은 전자 공매장 회원에 가입하는 단계, 전자 공매장에 매각 대상 자산을 카타로그 등록하는 단계, 공매 공고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매 시스템 및 공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공매 시스템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공매 서버(10)는 공매를 주관하는 기관(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공매를 주관하는 기관의 일례인 'KAMCO'로 표기한다)에 구비된 컴퓨터이다. 내부 단말기(22)는 KAMCO의 기간시스템(2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컴퓨터 단말기이다. 금융 전산 서버(30)는 KAMCO와 계약에 의하여, 공매를 지원하는 금융 기관 전산 시스템의 서버이다. 고객 단말기(40)는 공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포함하는 통신망으로 공매에 참여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컴퓨터 단말기 이다. 이들 고객 단말기(40), 금융 전산 서버(30), 내부 단말기(22)는 공매 시스템을 구성하며, 인터넷을 포함하는 통신망을 통하여 공매 서버(10)와 연결되어 있다.
공매 서버(10)에는 인터넷상에서 공매를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타베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고객 단말기(40)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의 형태로 웹 내용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인터넷 브라우저(예를 들어, Netscape, Internet Explorer)를 가지고 있다. 인터넷 브라우저는 각 단말기가 공매 서버(10)에 있는 HTML 템플릿의 내용을 액세스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공매 서버(10)의 HTML 템플릿은 이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메인 웹(WWW)페이지를 가지고 있다. 메인 웹페이지의 구성은 정보 제공부(14)(이하 '포탈'로 칭한다)와 전자 공매장(12)으로이루어진다.
포탈(14)은 Web server와 Web Mail server를 통하여, 물건정보, 회사소개, 커뮤니티, 위탁기관 소개, 통합공고, 부가서비스, 파워검색, 고객센터, 협력업체소개와, 이메일로 가입시에 선택한 관심물건 정보와 뉴스 레터등을 제공한다(도 6,7참조).
전자 공매장(12)은 공매에 참여하고자 하는 고객의 고객 단말기(40)를 통하여 제출된 입찰서(도 8,9 참조)와, 공매 현장에서 내부 단말기(22)를 통하여 기간 시스템(20)에 저장된 현장 입찰서를 수신받아서 이를 저장한다. 낙찰자 선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최고가의 입찰자를 선정하고, 전자 공매장(12)의 화면에 낙찰 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후술할 '현장과 온라인상으로 병행하여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에서 알 수 있듯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상에서 동시에 공매를 진행할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과정에서 금융 결제원과 같은 공인 인증 기관과 연계된 서버를 통하여 공인 인증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금융 기관의 전산 시스템과 연결되어 전자지불 기능을 지원한다.
그리고 KAMCO에 위탁하지 않고 직접 온라인상에서 공매를 진행하기를 원하는 고객은 전자 공매장(12)을 대여 받을 수 있다. 즉, 별도의 시스템의 구축없이도 온라인상으로 공매를 진행시킬 수 있다.
기간시스템(20)은 KAMCO의 ERP 즉, 기업의 기본적 업무를 전체적으로 관리하여 최적화된 기업활동을 실행하는 전산 시스템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기간시스템(20)은
첫째, 내부 단말기(22)를 통하여 입력된 KAMCO 자산의 공매 공고를 공매 서버(10)에 전송하고, 둘째 현장 공매장에서 수합한 입찰서를 내부 단말기(22)에 입력하여 기간 시스템(20)에 저장한후 공매 서버(10)로 전송하고, 셋째 낙찰 정보를 공매 서버(10)로 부터 수신받아서, 입찰 조서를 자동 작성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공매 공고가 변경되거나, 공매가 취소되면 이를 내부 단말기(22)에 재 입력함으로서, 포탈(14) 및 전자공매장(12)에 공개된 공매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금융 기관의 전산 서버(30)는 입찰 정보와 수납 정보를 공매 서버(10)와 교환한다. 금융 기관의 전산 시스템은 가상의 계정을 구비하고, 입찰 보증금이 고객의 계좌로부터 가상 계정으로 이체된다. 이때, 가상 계좌로 이체된 보증금은 KAMCO의 계좌로 바로 이체되지 않고, 낙찰 결과가 발표될때까지 가상 계좌에 보유된다. 또한, 입찰 정보와 가상 계정에 이체된 보증금의 입금액을 확인하여, 공매 서버(10)로 보증금 수납 정보를 제공한다.
고객 단말기(40)는 인터넷상에서 공매에 참여하고자 하는 고객에게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컴퓨터로서, 통신망을 통해 공매 서버에 접속하여, 포탈(14)에서 제공하는 KAMCO 또는 공매를 하고자 하는 기업등이 공고한 공매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자신에게 필요한 맞춤 정보를 선택하여 요청할 수 있다. 고객은 단말기로 조회한 공매 공고 중에 입찰하고자 하는 물건이 있으면, 입찰 기간내에 공매 서버의 전자 공매장(12)에서 입찰서를 작성하고, 입찰 보증금을 납부하여, 온라인상으로 다른 고객들과의 경쟁 입찰에 참여할 수 있다.
고객 단말기(40)를 통하여 입찰서의 작성을 완료하면, 공매 서버(10)를 거쳐서, 금융 기관의 전산 서버(30)로 입찰 정보가 수신된다. 동시에 금융 전산 서버(30)는 가상계좌 번호를 포함하는 수납정보를 공매 서버(10)를 통하여 고객 단말기(40)로 전송한다. 입찰자는 금융 기관으로 부터 부여받은 가상 계좌로 입찰 보증금을 입금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공매 서버를 매개로한 온라인 공매 시스템은 고객이 손쉽게 KAMCO 또는 직접 공매를 원하는 기업의 공매물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공매 기일에 직접 현장 공매장에 참석하여 입찰서와 보증금을 제출하지 않더라도, 고객이 편한 시간과 장소에서 공매 서버와 통신망으로 연결된 단말기를 통하여 입찰에 참가할 수 있으므로, 고객에게는 시간과 지리상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어 고객에게는 편의를 제공하는 한편, 공매를 활성화시킬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현장과 온라인상으로 공매를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자 공매장을 고객에게 대여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공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온라인상으로 공매가 진행되는 절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온라인상으로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은 대락적으로 (a)공매 서버에 공매 공고를 등록하는 단계; (b)공매 서버에 온라인으로 입찰하는 단계; (c)온라인 입찰 마감후 입찰 보증금의 입금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e)낙찰자 선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낙찰하는 단계; 및 (f)자동으로 입찰 조서가 작성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현장 공매장과 온라인상에서 공매를 병행하여 진행하는 경우에는 (c)와 (e)단계 사이에 현장에서 제출된 입찰서를 인터넷 공매 시스템에 입력하는 (d)단계가 포함된다.
이하 각 단계를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a)공매 서버에 공매 공고를 등록하는 단계(S100)
공매 서버(10)에 공매 공고를 등록하는 단계는 2개의 경로가 있다. 공매 서버(10)의 운영자인 KAMCO의 매각 자산 또는 위탁 자산을 등록하는 경우와, 또 다른 경로로는 고객이 직접 공매를 통하여 매각하고자 하는 자산을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공매장(12)을 대여받아서, KAMCO를 통하지 않고 직접 공매 서버(10)에 등록하는 경우이다. 후자에 대해서는 따로 기술하기로 한다.
KAMCO의 물건 관리자가 내부 단말기(22)에 공매물의 공매 일자, 공매 장소 및 시간, 최저 매매 예정가, 공매물에 대한 부대 조건등의 공매 내용을 입력하고(S110), 입력된 정보가 공매 서버(10)로 전송되어, 공매 정보가 '전자 공매장(12)'과 '포탈(14)'에 각각 카탈로그 등록된다(S140).
또한 공매 정보가 변경되거나, 공매진행 불가사유가 발생하여 공고가 취소되었을 경우에도 내부 단말기(22)에 해당 내용을 입력(S120,S130)한다. 이때, 공매 대상물이 위탁물건인 경우에는 공고 발효 시점에 등록된 공고 내용을 이메일을 이용하여 위탁 기간으로 발송할 수 있다.
(b)공매 서버에 온라인으로 입찰하는 단계(S200)
온라인상으로 공매에 참여하고자 하는 고객은 고객 단말기(40)로 공매 서버(10)에 접속하여 포탈(14)에서 등록된 공매 공고를 일괄적으로 검색하고, 그중 관심있는 물건을 선택하여(S205) 전자공매장(12)에서 해당 물건에 대한 입찰서를 작성한다(S210). '입찰서 작성'을 클릭하면, 전자 입찰서(도 9 참조)가 화면에 현시되고, 여기에 입찰자의 인적사항과, 물건번호, 입찰금액, 입찰보증금액등을 기재한 후 전자서명을 하여, 전자 입찰서를 제출한다(S230).
이 때, 온라인 입찰 만료전까지 입찰서의 기재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S220).
도 3a을 참조하면, 입찰서의 작성이 완료된 후 입찰자, 입찰 금액등의 입찰 정보가 공매 서버(10)로 부터 금융 전산 서버(30)로 전송되고(S212), 금융 전산 서버(30)로부터 입찰 보증금을 납부하기 위한 가상 계좌 번호를 포함하는 수납 정보가 공매 서버(10)를 거쳐서, 고객 단말기(40)로 전송된다(S214).
금융 전산 서버(30)로 부터 부여받은 계좌 번호로 고객은 인터넷 뱅킹을 비롯한 전자 지불 기능 또는 오프라인상의 무통장 입금등의 방법을 통하여, 입찰 보증금을 지불할 수 있다. 이때, 온라인 입찰이 마감되는 시점에 고객의 계좌에서 금융 기관의 가상 계좌로 이체되도록 예약 이체할 수 있다(S215). 공매 서버(10)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온라인 공매 마감전까지 공매 서버로 전송된 입찰서와 보증금 수납만이 유효처리된다(S225).
한편, 온라인 입찰 마감시간은 현장 공매와 동일한 시간으로 하거나, 또는 현장 공매를 시작하기 수 십분 전으로 하여 금융 기관의 전산 시스템과 공매 서버의 네트웍에 문제가 생겨서 보증금 수납 정보를 금융 서버로 부터 자동으로 수신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비하여, 다른 수단으로 대체하여 보증금 수납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둘 수 있다.
(c)온라인 입찰 마감후 입찰보증금의 입금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00)
온라인 입찰이 마감되면, 금융 전산 서버(30)는 가상 계좌로 입금된 금액과 입찰자가 적어낸 입찰 금액에 해당하는 입찰 보증금이 일치하는지를 확인(S310)하여 그 결과를 공매 서버(10)로 전송한다(S320). 보증금이 납입되지 않거나, 입찰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입찰자의 입찰은 무효처리된다(S330).
(d)현장에서 제출된 입찰서를 인터넷 공매 시스템에 입력하는 단계(S400)
공매 현장의 투함이 마감된 후 제출된 입찰서 내역을 내부 단말기(22)에 입력하여(S410), 기간 시스템(20)으로 전송, 저장하고, 기간 시스템(20)에서 공매 서버(10)로 입찰서가 전송되어, 온라인 입찰서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이때, 현장에서 공매가 취소되면, 같은 방식으로 내부 단말기(22)에 그 사실을 입력한다(S420). 이때, 현장 공매절차 없이 온라인상으로만 공매를 진행시키는 경우에는 이 단계가 생략된다.
(e)낙찰자 선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낙찰하는 단계(S500)
공매 서버(10)의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현장 공매 참여자의 입찰 내역과 유효하게 보증금을 납입한 온라인 입찰자의 입찰 내역을 낙찰자 선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입찰가를 높게 제출한 순서대로 정렬한다(S510)(도 10참조). 이때 제시 가격이 동일하여, 동점자가 발생하면, 난수 발생기를 이용하여, 추첨으로 낙찰자를 선정한다.
낙찰자, 낙찰가, 입찰결과를 포함한 낙찰 정보를 전자 공매장 화면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서, 낙찰 결과를 발표한다(S520). 공매 대상이 위탁 물건인 경우에 위탁 기관에 낙찰 결과를 이메일을 통하여 알릴 수 있다. 또한, 사정상 실시간으로 공매의 진행 상황을 지켜보지 못하는 고객을 위하여, SMS, 이메일, FAX등 고객이 선택한 전달 수단으로 낙찰 결과를 통지할 수 있다.
낙찰 결과가 공매 서버(10)로 부터 금융 전산 서버(30)로 전송되고, 금융 서버(30)는 낙찰자 정보를 확인하여 온라인으로 입찰한 낙찰 예정자의 보증금은 금융기관의 가상 계좌로부터 KAMCO 또는 공매를 실시한 고객의 계좌로 이체한다(S540). 또한 유찰자의 보증금은 가상계좌로 부터 유찰자의 계좌로 재이체된다(S535).
(f)자동으로 입찰조서가 작성되는 단계(S600)
낙찰자 선정이 완료되고 낙찰 결과가 발표되면, 낙찰 정보가 공매 서버(10)로부터 기간 시스템(20)으로 자동 전송된다(S610). 기간 시스템(20)에 저장되어 있는 입찰 내역이 각각의 물건 번호별로 정리되어 입찰자와 입찰 금액 및 낙찰/유찰 여부가 표시된 입찰조서가 자동으로 작성(S620)되고, 내부 단말기(22)로 출력된다(S630).
이해를 돕기 위해 현장 공매 진행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공매 시스템이 어떻게 이용되어 현장 공매와 온라인 공매가 병행하여 진행되는지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다.
현장 공매에 참여하고자 하는 자는 공매 정보지 또는 공매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 등에 공고된 기일과 장소에서 공고된 시각에 입찰서 및 보증금을 제출한다(S402). 온라인 공매 마감 후 또는 온라인 공매 마감 후 소정시간 후에 현장에서의 투함이 마감되면(S404), 입찰서에 기재된 사항을 내부 단말기(22)에 입력하고(S410), 공매 서버(10)의 낙찰자 선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최고가로 응찰한 입찰자를 가려낸다(S510).
이때, 현장 공매 참가자 중에서 최고가 입찰자가 나오면(S512), 낙찰 예정자의 입찰 보증금 봉투를 개봉하여 보증 금액이 입찰내역과 일치하게 제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14). 보증금이 입찰 내역과 일치하지 않으면, 낙찰을 무효 처리하고(S515), 차순위의 입찰자를 낙찰자로 선정한다(S510).
낙찰 예정자가 유효하게 제출한 보증금은 공매물에 대한 계약금으로 수납하고(S516), 현장에 설치된 영상 시스템에 전자 공매장의 화면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입찰결과, 낙찰자, 낙찰가를 포함한 낙찰 결과를 발표한다(S522). 입찰 결과가 발표된후 유찰자와 무효처리된 낙찰예정자의 보증금을 현장에서 환급한다(S536).
온라인 공매와 마찬가지로, 낙찰 결과 자료가 공매 서버(10)에서 기간시스템 (20)으로 송신되고(S610), 입찰 조서가 자동으로 작성된다(S620). 다만, 입찰조서에는 온라인 입찰자와는 달리 현장공매에 참여한 유찰자는 보증금 환급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도장을 날인한다.
상기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온라인상에서의 공매뿐만 아니라, 온라인과 현장공매를 병행하는 방법도 완벽하게 지원한다. 이로 인하여, 현장공매의 단점이었던, 시간상, 지리상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고, 한편 인터넷등에 익숙치 않은 세대들도 공매에 참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공매장을 대여하여 기업고객이 직접 공매공고를등록하는 방법에 대한 대략적인 절차도이다.
전자 공매장을 대여하여 온라인 상에서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은 (a)인터넷 공매장 대여 회원에 가입하는 단계; (b)전자 공매장에 매각대상 자산을 카타로그 등록하는 단계; (c)공매 기일과 공매 방법을 포함한 공매공고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 단계를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a)전자 공매장 대여 회원에 가입하는 단계
KAMCO를 통하지 않고, 공매의 방법으로 자산을 매각하고자 하는 고객을 본 발명의 대상 고객으로 한다. 다만 공매의 성격을 고려하여, 기업을 바람직한 대상고객으로 한다. 상기한 기업 고객은 고객 단말기(40)를 통하여 공매 서버(10)에 접속하고, '회원 가입'을 클릭하여 회원 약관을 읽은 후, 전자 공매장 대여 회원 (Application service provider,ASP)회원 신청서를 작성한다. 신청서가 공매 서버(10)로 접수되고, 전자 공매장(12)을 관리하는 담당자가 그 신청 내역을 검토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의 ASP 회원 신청은 오프라인상으로도 할 수 있다. 승인 결정을 받은 회원의 가입 신청서는 공매 서버(10)의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다.
(b)전자 공매장에 매각대상 자산을 카타로그 등록하는 단계
전자 공매장 대여(ASP)회원에 가입된 고객은 고객 단말기(40)를 통하여, 공매 서버(10)에 접속하고, 로그 인(log in)을 한다. 전자 공매장(12)에서 '물건 등록'을 클릭하고 매각하고자 하는 물건정보 즉, 물건번호, 소재지, 최저입찰가, 입찰 시작 시간 및 마감시간, 기타 관련 사항 등의 해당내용을 입력양식에 적합하게 입력하고, 입력된 사항은 데이타 베이스에 저장되고, 포탈(14)과 전자 공매장(12)에 카타로그 등록된다.
(c)공매공고를 등록하는 단계
공매를 실시하고자 하는 일자와, 공매 방법 즉, 현장 공매 또는 온라인 공매 또는 현장과 온라인 병행 공매여부를 지정하고, 그외 유의 사항을 입력하여, 공매공고의 등록을 완료한다.
상기한 과정으로 KAMCO를 통하지 않고, 공매의 방법으로 자산을 매각하고자 하는 고객이 직접 공매공고를 등록할 수 있다. 그 이후 과정은 KAMCO 자산에 대한 공매절차와 동일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 공매장 대여 기능은 온라인 공매 또는 온라인과 현장 공매를 동시에 병행하여 실시하고자 하는 고객이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도, 목적하고자 하는 효과를 이룰수 있으므로, 시스템 구축 비용을 절약할수 있고, 공매를 활성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수준으로 용이하게 변경가능하거나 균등한 다른 실시예, 특히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한 세부적 내용의 변경이나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내에 있다. 또한 상기에서 사용한 용어는 본 발명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매 시스템과 그 이용 방법에 의하면,
첫째, 공매일에 직접 공매장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 인터넷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공매 절차에 참여할 수 있으므로, 공매장을 직접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으며, 공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미리 입찰 신청을 함으로서, 공매 당일에 다른 용무가 있더라도 입찰에 참여할 수 있다.
둘째, 현장 공매와 통신망을 통한 온라인 공매를 동시에 병행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인터넷에 능숙하지 못한 고연령층의 고객들도 공매에 참가할 수 있다.
셋째, 전자 공매장 대여(ASP)회원에 가입한 고객은 별도의 시스템 구축없이, 자산을 온라인상으로 또는 현장과 온라인의 병행 공매의 방법으로 매각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객은 저렴한 비용과 간편한 방법으로 공매 절차를 진행시킬 수 있어서, 궁극적으로는 공매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고객은 다양하고 풍부한 물건정보를 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2)

  1. 공매 정보를 제공하고, 인터넷을 포함한 가상 공간에서 공매에 참여할 수 있는 공매 시스템에 있어서,
    물건 정보, 통합 공고와 검색 기능을 포함하는 각종 공매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와, 전자 입찰서를 작성하고 저장된 입찰 내역으로부터 낙찰자를 자동으로 선정하는 전자 공매장을 포함하는 전자 공매 서버와;
    상기 전자 공매 서버에 연계되어 공매 관련 자료를 송수신하는 기간 시스템에 구비된 내부 단말기와;
    상기 전자 공매 서버에서 공매 정보를 조회하고 온라인상으로 입찰에 참여하고자 하는 고객에게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기와;
    상기 전자 공매 서버와 연결되어 온라인 공매를 지원하는 금융기관의 금융 전산 시스템을 포함하여 공매 공고의 등록, 공매 관련 정보의 검색, 공매의 입찰, 낙찰자 선정, 입찰조서 작성을 포함하는 공매의 전과정이 온라인상으로 진행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공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공매 시스템은 공인 인증 기관과 연계하여 이용 고객을 공인 인증하는 기능, 금융 기관과 연계하여 전자 지불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공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공매 시스템은 현장 공매 절차를 자동화하여 공매 현장에서 수합된 입찰 내역을 상기 기간 시스템에 입력하고, 이를 전자 공매 시스템에 전송함으로써, 공매의 전과정이 공매 현장과 병행하여 온라인상으로 진행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공매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매 시스템은 고객이 직접 온라인상에서 공매를 진행할 수 있도록 고객에게 전자 공매장을 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매시스템
  5. 온라인으로 공매에 입찰하고자 하는 고객의 단말기, 기간 시스템에 연결된 내부 단말기 및 금융기관의 금융 전산 시스템이 공매 서버를 매개로 하여 네트웍으로 연결된 전자 공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온라인상으로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상기 내부 단말기를 통하여 기간 시스템에 공매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공매 정보가 상기 공매 서버로 전송되어 등록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공매 서버에 공매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b)고객이 공매 서버에서 입찰서를 작성하는 단계와 금융단말기로 부터 제공 받은 가상 계정으로 입찰 보증금이 이체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공매 서버에 온라인으로 입찰하는 단계와;
    (c)온라인 입찰 마감후 입찰 보증금의 입금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e)낙찰자 선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낙찰하는 단계; 및
    (f)자동으로 입찰조서가 작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으로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상으로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은,
    현장에서 제출된 입찰서를 전자 공매 시스템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공매의 전과정에서 현장 공매와 병행 진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으로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온라인상에서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은 고객에게 전자공매장을 대여하여 고객이 직접 공매를 등록할 수 있는 방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에서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
  8. 온라인으로 공매에 입찰하고자 하는 고객의 단말기, 기간 시스템에 연결된 내부 단말기 및 금융기관의 금융 전산 시스템이 공매 서버를 매개로 하여 네트웍으로 연결된 전자 공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온라인상으로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상기 내부 단말기를 통하여 공매 정보를 입력하고, 기간 시스템에 입력된 공매 공고가 공매 서버로 수신되어 등록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공매 서버에 공매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b)고객이 공매 서버에서 입찰서를 작성하는 단계; 고객 단말기의 요청에 의하여 입찰 정보와 수납 정보를 공매 서버와 금융 기관이 교환하는 단계; 및 상기 금융 기관이 부여한 가상 계정으로 입찰 보증금이 이체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공매 서버에 온라인으로 입찰하는 단계와;
    (c)온라인 입찰 마감후 입찰보증금의 입금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d)공매 현장에서 수합된 입찰서를 기간 시스템으로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기간 시스템으로부터 공매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출된 입찰서를 전자 공매 시스템에 입력하는 단계와;
    (e)상기 공매 서버의 낙찰자 선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최고가의 입찰자를 낙찰자로 선정하는 단계; 및 낙찰 결과를 공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낙찰자 선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낙찰하는 단계; 및
    (f)상기 공매 서버로부터 기간 시스템으로 입찰 결과가 수신되는 단계 및 상기 기간 시스템에서 입찰조서가 자동으로 작성되어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자동으로 입찰 조서가 작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공매의 전과정에서 현장 공매와 병행 진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으로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
  9. 제 8 항 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공매의 공고 내용이 변경 또는 취소된 경우에 공고 변경 또는 공고 취소를 공매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공매의 전과정에서 공매 현장과 병행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상으로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공매 공고가 등록된 후 부터 온라인 입찰 마감전까지 입찰서를 작성 또는 수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공매의 전과정에서 공매 현장과 병행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상으로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공매 서버에서 전자 지불 기능을 이용하여 온라인 입찰이 마감되는 시점에, 고객의 지정 계좌에서 금융기관의 가상계좌로 입찰보증금이 이체되도록 예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공매의 전과정에서 공매 현장과 병행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상으로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입찰서를 작성한 후 전자서명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공매의 전과정에서 공매 현장과 병행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상으로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입찰 보증금의 납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금융 기관이 입찰액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입찰 보증금의 액수에 따라 금융기관이 부여한 가상계좌로 해당금액이 입금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유효하게 입금된 입찰자의 보증금 수납 정보를 공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공매의 전과정에서 공매 현장과 병행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상으로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공매 현장에서 공고가 취소되는 경우 내부 단말기를 통하여 기간시스템에 공고 취소 사실을 입력하여 공매 서버에 전송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공매의 전과정에서 공매 현장과 병행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상으로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공매 서버에 전송된 공매 취소 내용을 공매 서버로 부터 공매 현장에 설치된 영상시스템에 전송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공매의 전과정에서 공매 현장과 병행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상으로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
  16. 제 8 항에 있어서,
    낙찰자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2인 이상이 동일한 가격을 제시하여 동점자가 발생한 경우는, 추첨방식으로 낙찰자를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공매의 전과정에서 공매 현장과 병행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상으로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선정된 낙찰자와 낙찰 가격을 포함하는 낙찰 정보를 공매 서버로 부터 공매 현장에 설치된 영상 시스템에 전송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공매의 전과정에서 공매 현장과 병행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상으로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
  18. 제 8 항에 있어서,
    낙찰자, 낙찰가를 포함하는 낙찰 관련 정보를 온라인으로 입찰서를 제출한 고객에게, 고객이 선택한 수단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공매의 전과정에서 공매 현장과 병행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상으로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
  19. 제 8 항에 있어서,
    공매 서버는 금융 전산 시스템으로 낙찰 결과를 전송하고, 금융 기관의 가상 계정에 이체된 낙찰자의 입찰 보증금을 공매 운영기관의 계좌로 이체시키는 방법으로 보증금을 수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공매의 전과정에서 공매 현장과 병행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상으로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
  20. 제 8 항에 있어서,
    공매 서버는 금융기관의 금융 전산 시스템으로 낙찰결과를 전송하고, 금융기관의 가상 계좌에 이체된 유찰자의 입찰 보증금을 유찰자의 계좌로 자동으로 이체시키는 방법으로 보증금을 환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공매의 전과정에서 공매 현장과 병행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상으로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
  2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매 시스템은 경쟁 입찰을 통해 낙찰된 고객과 위탁 기관과의 매매 계약을 대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공매의 전과정에서 공매 현장과 병행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상으로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
  22. 온라인으로 공매에 입찰하고자 하는 고객의 단말기, 기간 시스템에 연결된 내부 단말기 및 금융기관의 금융 전산 시스템이 공매 서버를 매개로 하여 네트웍으로 연결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공매 운영 기관에 위탁하지 않고 직접 온라인상으로 공매를 진행하기를 원하는 고객에게 전자 공매장을 대여하여, 고객이 매각 대상 자산의 공매 공고를 직접 등록하는 단계;
    (b)상기 고객 단말기를 통하여 등록된 공매 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c)공매에 입찰하는 단계;
    (d)낙찰자 선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낙찰하는 단계; 및
    (f)자동으로 입찰조서가 작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는, 전자 공매장 대여 회원에 가입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공매장에 매각 대상 자산에 대한 카타로그를 등록하는 단계와; 공매 공고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공매장을 대여하여 공매를 진행하는 방법
KR10-2002-0046027A 2002-08-05 2002-08-05 공매 시스템 및 공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매를 진행하는방법 KR100396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027A KR100396397B1 (ko) 2002-08-05 2002-08-05 공매 시스템 및 공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매를 진행하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027A KR100396397B1 (ko) 2002-08-05 2002-08-05 공매 시스템 및 공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매를 진행하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630A KR20020079630A (ko) 2002-10-19
KR100396397B1 true KR100396397B1 (ko) 2003-09-02

Family

ID=27727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027A KR100396397B1 (ko) 2002-08-05 2002-08-05 공매 시스템 및 공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매를 진행하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3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147A (ko) 2019-09-16 2021-03-24 김다솜 정부와 민간단체 부동산 빅데이터 정보의 인공지능 실시간 수집과 적정거래가격 분석제시 입찰 시스템 및 운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976B1 (ko) * 2004-03-03 2004-06-09 이형순 입찰보증금부 경매서비스 운영시스템 및 방법
WO2020237328A1 (en) * 2019-05-31 2020-12-03 Abumelih Semir An online tender management system for medical products, medicines and medical equipment
KR102419082B1 (ko) * 2020-03-19 2022-07-12 주식회사 골라골라 상품 대여 서버
KR102467333B1 (ko) * 2022-01-12 2022-11-16 주식회사 바스틀리번더스 국고 귀속 물품의 유통을 위한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384A (ko) * 2000-06-03 2000-09-05 이재남 온라인 상의 부동산 경매 공매 관련 종합적인 정보 제공및 오프 라인 상의 경매 공매 대행을 통한 부동산 종합경매 공매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384A (ko) * 2000-06-03 2000-09-05 이재남 온라인 상의 부동산 경매 공매 관련 종합적인 정보 제공및 오프 라인 상의 경매 공매 대행을 통한 부동산 종합경매 공매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147A (ko) 2019-09-16 2021-03-24 김다솜 정부와 민간단체 부동산 빅데이터 정보의 인공지능 실시간 수집과 적정거래가격 분석제시 입찰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102322594B1 (ko) * 2019-09-16 2021-11-05 김다솜 정부와 민간단체 부동산 빅데이터 정보의 인공지능 실시간 수집과 적정거래가격 분석제시 입찰 시스템 및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630A (ko) 200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71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uction of real estate
AU2001266597B2 (en) Internet bargaining system
US8620793B2 (en) Workflow management system
US78997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online payment transactions in a network-based transaction facility
US76402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on, distribution, and use of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commercial real estate
US74998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online payment transactions in a network-based transaction facility using multiple payment instruments
US200900891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ssue and Trade of Fractional Interest Real Estate Stock
US200300742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rade
US20020038277A1 (en) Innovative financing method and system therefor
US20020073015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ding redeemable assets
AU2001266597A1 (en) Internet bargaining system
CN101443804A (zh) 利用实时的特定商家销售信息的购买交易结算的在线客户推举和回馈服务
US8326730B2 (en) System and method of clearing services for risk management trading
US200900892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ssue and Trade of Real Estate Options
KR100396397B1 (ko) 공매 시스템 및 공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매를 진행하는방법
US20030061161A1 (en) Business method for facilitating offsetting payables against receivables
KR20180003778A (ko) 부동산 경매 펀딩 시스템 및 방법
KR20010106581A (ko) 네트워크 기반 부동산 거래 중개 방법 및 장치
KR100377239B1 (ko) 거래보증기능을 갖는 부동산 경매방식 전자 상거래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20004485A (ko) 인터넷어음거래소 웹사이트의 구성 및 운영방법
KR20050007916A (ko) 부동산 거래 대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10699A (ko) 부동산 입찰중개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10109406A (ko) 모의 증권거래 서비스를 포함하는 전자 상거래시스템 및그 방법
KR20010078462A (ko) 인터넷을 이용한 맞춤여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방법
WO2001086478A2 (en) Commodity brokerage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