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244B1 - 드럼브레이크를위한기계식작동장치 - Google Patents

드럼브레이크를위한기계식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244B1
KR100396244B1 KR1019960704871A KR19960704871A KR100396244B1 KR 100396244 B1 KR100396244 B1 KR 100396244B1 KR 1019960704871 A KR1019960704871 A KR 1019960704871A KR 19960704871 A KR19960704871 A KR 19960704871A KR 100396244 B1 KR100396244 B1 KR 100396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web
brace
drum brak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4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2969A (ko
Inventor
샤를르 말린느 쟝
Original Assignee
보쉬 시스떼메 드 프레이나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쉬 시스떼메 드 프레이나쥬 filed Critical 보쉬 시스떼메 드 프레이나쥬
Publication of KR970702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2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2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22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pressing members apart, e.g. for drum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16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 F16D51/18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 F16D51/2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ir pivots
    • F16D51/24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ir pivots fluid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46Self-tightening brakes with pivoted brake shoes, i.e. the braked member increases the braking action
    • F16D51/48Self-tightening brakes with pivoted brake shoes, i.e. the braked member increases the braking action with two linked or directly-interacting brake shoes
    • F16D51/50Self-tightening brakes with pivoted brake shoes, i.e. the braked member increases the braking action with two linked or directly-interacting brake shoes mechanically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65/40Slack adjusters mechanical
    • F16D65/52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 F16D65/56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 F16D65/561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for mounting within the confines of a drum brake
    • F16D65/563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for mounting within the confines of a drum brake arranged adjacent to service brake actuator, e.g. on parking brake lever, and not subjected to service brake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유압식 작동장치(22)에 의해서 드럼(20)의 내부면에 대하여 마찰맞물림상태로 놓여 있을 수 있는 2개의 슈(12, 14)가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캐리어플레이트(10), 인장스프링(30)과 상호 작용상태로 슈(12, 14)의 분리를 결정하고 유압식 작동 장치(22)의 부근에서 위치되어 있는 가변길이 스트럿(40)을 포함하고 있고 기계식 작동장치(60, 70)를 더 포함하고 있는 드럼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에 따르면, 브레이스(100)는 제1슈(14)의 웨브(14a)에 위치되어 있고 제1슈(14)의 웨브(14a)의 제1끝과 힘전동레버(70)의 돌기부분(79) 사이에서 신축 자유롭게 끼워져 있는 작용부분(114)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드럼브레이크를 위한 기계식 작동장치
제1도는 드럼이 생략되어 있는 본발명에 따라 제조된 드럼브레이크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II-II 로 취해진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드럼브레이크에서 사용된 기계식 작동레버의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드럼브레이크에서 사용된 힘분배 레버의 사시도,
제5도는 제1도의 확대상세도,
제6A도 및 제6B도는 제1도의 드럼브레이크에서 사용된 브레이스의 사시도,
제7도는 도면을 보다 쉽게 이해시키기 위하여 약간의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있고 브레이스가 제1위치에 위치하는 제5도와 유사한 도면, 및
제8도는 브레이스가 제2위치에 위치하는 제7도와 유사한 도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발명은 드럼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자동차에 제동을 제공하도록 의도된 드럼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이 드럼브레이크는 일반적으로 메인브레이크 모터로 구성된 유압식 작동장치와 예를들어 주차브레이크 또는 비상브레이크 기능을 충족시키기 위한 보조브레이크 모터로 구성된 기계식 작동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관례적으로, 드럼브레이크는 스터브 액슬홀더와 같은 차량의 정지부분과 일체형인 캐리어 플레이트와, 제동되는 휠과 일체형인 드럼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이 마찰라이닝이 구비된 웨브와 림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2개의 슈는 캐리어플레이트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유압식 작동장치는 일반적으로 보어에서 미끄러지고 피스톤 사이에서 밀봉된 챔버를 형성하는 2개의 피스톤을 포함하는 휠실린더로 이루어져 있고 밀봉된 챔버에서 압력의 상승은 피스톤의 분리, 그리고 슈의 분리를 생기게 하고 그 웨브는 스프링에 의해서 피스톤으로 지탱되어 있다.
기계식 작동장치는 일반적으로 레버가 웨브중의 하나를 중심으로 피벗가능하고 아암중의 하나의 끝은 작동케이블에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레버의 다른 아암은 스프링에 의해서 다른 슈로 지탱되어 있는 스트럿에 작용하도록 장착된 레버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 레버를 회전시키는 것은 슈의 분리를 생기게 한다.
하나의 디자인의 드럼브레이크에 따르면, 작동장치가 슈의 웨브의 제1끝 사이에 위치되는 한편, 슈의 웨브의 제2끝은 캐리어플레이트와 일체형인 베어링 부분을 지탱한다.
이와같은 디자인은 베어링부분으로 슈의 웨브가 고정되지 않는다는 사실로 인하여 "플로팅 슈 브레이크" 라고 불리는 것으로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드럼브레이크에 대해 높은 안정성을 제공하나 매우 높은 작동력을 필요로 한다.
"듀오 서보"라고 불리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다른 디자인에 따르면 작동장치는 슈의 웨브의 제1끝 사이에서 위치되고, 슈의 웨브의 다른끝은 서로 관절 연결되어 있고, 캐리어플레이트는 베어링 부분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이 디자인은 드럼브레이크가 매우 높은 효과를 부여하게하나 대단히 평범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이들 2개의 디자인을 겸비한 다시 말해서, 유압식 작동장치가 플로팅 슈 타입이고, 기계식 작동장치가 듀오 서보 타입인 드럼브레이크가 예를들어 특허공보 FR-A-2,697,599, FR-A-2,697,600 또는 EP-A-0,419,171에 공지되어 있다.
이렇게 제조된 드럼브레이크는 단점을 회피하면서 2개 기술의 이점을 겸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결합은 다른 단점을 유발시킨다.
어떠한 드럼브레이크에 있어서도 유압식 및 기계식 작동장치의 결합은 기계식 작동장치의 왕복운동이 마찰라이닝의 마모상태에도 불구하고 일정하도록 마모를 자동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모의 자동방지를 위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기계식 작동장치의 스트럿에 장착되고, 일반적으로 유압식 작동장치의 부근에서 슈의 웨브 사이에 위치된 나사너트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마찰라이닝의 마모후에 슈의 웨브가 소정값보다 더 큰 거리로 분리한다면 유압 작동시 스트럿의 길이는 증가된다. 따라서, 기계식 작동장치 시스템의 왕복운동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값을 유지한다.
드럼브레이크가 예를들어, 보수작업을 위하여, 또는 슈 또는 드럼을 교환하기 위하여 분해될 때 슈가 드럼브레이크에서 사용된 다양한 인장스프링의 작용을 함께 받도록 정상작동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충분히 기계식 작동장치의 레버가 피벗하게 한다.
이 경우에 슈 그리고 특히, 마찰라이닝은 드럼의 내부면안에 형성된 트랙을 용이하게 떠남으로 드럼브레이크로부터 축선방향으로 이것을 뽑아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제, 앞서 언급된 드럼브레이크에 있어서 유압식 작동장치는 플로팅 슈 타입이고 기계식 작동장치는 듀오 서보 타입이며 후자의 장치는 드럼브레이크가 기계식으로 작동될 때 가변 길이 스트럿과 연결부분으로 지탱되어있고 이들 양쪽은 다른 슈의 웨브로 지탱되어 있는 힘 전동장치의 슈중 하나의 웨브상에 존재해야 한다.
이 힘전동장치는 이것을 지탱하는 슈를 중심으로 경사지게되거나 또는 피벗될수 없으므로 드럼브레이크를 분해할 때 가변길이 스트럿의 길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나사너트 시스템의 너트를 수작업으로 나사결합 해제함으로써만 드럼으로부터의 뽑아내는 것이 발생할수 있으므로 슈는 접근되고 그리고 마찰라이닝은 드럼상에 형성된 러빙트랙을 떠날 수 있다.
따라서 본발명의 목적은 유압식 작동장치가 플로팅 슈 타입이고 기계식 작동장치가 듀오 서보타입이며 드럼은 드럼브레이크의 작동신뢰성으로부터 더 이상의 감소는 없고, 그리고 그 제조비용의 현저한 증가없이 모든 상황하에서 대단히 간단하게 분해될수 있는 드럼 브레이크를 제조하는데 있다.
이 때문에, 본발명은 각각이 드럼을 마주보고 있는 면이 슈의 웨브의 제1 끝에 작용하는 유압식 작동장치에 의해서 드럼의 내부면에 대하여 마찰 맞물림 상태로 놓여있을 수 있는 마찰라이닝을 수용하는 림부위 및 웨브를 포함하고 있는 2개의 슈가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캐리어플레이트, 인장스프링과 상호작용상태로 슈의 분리를 결정하고 유압식 작동장치의 부근에서 위치되어 있는 가변길이 스트럿을 포함하고 있고, 드럼브레이크가 휴지 상태로 있거나 또는 유압식으로 작동될 때 슈의 웨브의 제2끝은 캐리어플레이트와 일체형인 베어링부분으로 지탱되며, 제1슈의 웨브에 장착되고 드럼브레이크가 기계식으로 작동될 때 한편으로는, 가변길이 스트럿에 의해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2개의 슈를 함께 연결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서 제2슈의 웨브에 지탱되어 있는 힘전동 장치에 의해서 슈의 웨브가 베어링부분으로부터 떨어지게 하고 드럼의 내부면에 대하여 마찰라이닝이 마찰맞물림 상태로 있게 하기 위한 기계식 작동장치를 더 포함하고 있는 드럼브레이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발명에 따르면 브레이스는 제1슈의 웨브에 위치되어 있고, 그리고 제1슈의 웨브의 제1끝과 힘전동장치의 한쪽끝 사이에서 신축 자유롭게 끼워져 있는 작용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유리하게, 이 브레이스는 이들 2개의 구성요소 사이에,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이것이 피벗할 수 있도록 신축자유롭게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브레이스의 작용부분이 힘전동장치와 제1슈의 웨브 사이에 끼워지고 가변길이 스트럿의 끝으로부터 제1슈의 웨브를 이동시키는 제1위치와, 제1슈의 웨브가 인장스프링의 작용하에서 가변길이 스트럿의 끝으로 지탱되어 있는 제2위치 사이에서 브레이스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브레이스가 제2위치로 놓여있을 때 작용부분은 제1슈의 웨브와 힘전동장치사이에서 더 이상 위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1슈는 가변길이 스트럿으로 지탱되어 있는 다른 슈를 향하여 이동할수 있으므로 종래의 드럼브레이크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렇게 장착된 드럼브레이크로부터 슈를 뽑아내는 것이 가능하다.
본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예시로 주어진 일 실시예의 이어지는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예를들어 앞서 언급된 공보 FR-A-2,697,600에서 기술되어 있는 것에 상응하는 도면에서 도시된 드럼브레이크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디스크로 이루어져 있는 캐리어플레이트(10)를 포함하고 있다. 이 캐리어플레이트는 스터브 액슬홀더(도시안됨)와 같은 차량의 고정부분에 체결되어지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2개의 브레이크 슈(12, 14)는 공지된 수단(도시안됨)에 의해서 캐리어플레이트에 미끄럼 방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각각의 슈는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그리고 외부면으로 마찰라이닝(16, 18) 각각을 지지하는 원의 원호의 형상으로 각각의 림부위(12b, 14b)에 고정된 각각의 웨브(12a, 14a)로 이루어져 있다.
슈(12, 14)는 마찰라이닝(16, 18)의 외부포락선이 동일한 원에 위치되도록 캐리어플레이트(10)에 위치되어 있고 그 축선은 캐리어플레이트(10)의 축선과 병합하므로 마찰라이닝(16, 18)은 2개의 슈를 커버하는 제1도에서 대시로 부분적으로 나타내어진 브레이크 드럼(20)의 내부표면과 접촉할수 있다. 드럼(20)은 마찰라이닝(16, 18)과 동심이고, 그리고 이것은 휠(도시안됨)과 같은 차량의 회전부분에 고정된다.
유압식으로 제어되는 브레이크모터(22)는 슈(12, 14)의 2개의 인접한 제1끝 사이에서 캐리어플레이트(10)에 고정된다. 브레이크 모터(22)에는 브레이크 모터가 작동될 때 각각의 슈의 웨브(12a, 14a)의 상응하는 끝으로 스러스트를 가하도록 반대로 작동하는 2개의 피스톤(24, 26)이 장착되어 있다.
캐리어플레이트(10)에 역시 고정된 베어링부분(28)은 슈(12, 14)의 다른 2개의 인접한 끝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바로 제1도에 끝이 도시되어 있는 인장스프링(30)은 브레이크 모터가 휴지상태로 있을때 이들 웨브의 끝이 함께 보다 가까워지도록 하기 위하여 모터에 아주 근접하게 사이에 브레이크 모터(22)가 위치되는 슈의 웨브의 끝사이에서 끼워져 있다.
고정길이의 스페이서 부분(32)은 베어링부분(28)의 부근에 실질적으로는 브레이크 모터(22)의 축선과 평행하게 슈(12, 14) 사이에서 위치되어 있고, 그리고 그 끝에서 슈(12, 14)의 웨브 각각에서 형성된 상응하는 노치와 상호 작용하는 노치(36, 38)를 포함하고 있다. 슈(12, 14)의 웨브의 상응하는 끝 사이에 끼워져 있는 인장스프링(34)은 이들 웨브를 스페이서 부분(32)에 대하여 지탱하게 한다.
휴지위치에서 노치(36, 38)의 끝간의 거리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슈의 웨브(12a, 14a)의 끝과 베어링부분(28)사이에 존재하는 약간의 클리어런스(J)이다. 대안으로서 웨브(12a, 14a)의 끝이 베어링부분(28)과 접촉상태로 그리고 노치(36, 38)의 끝간의 거리가 작은 값의 클리어런스(J)에 의해서 스페이서 부분(32)의 길이보다 더 크게 제공될수도 있다.
가변길이 스트럿(40)은 브레이크 모터(22)의 부근에서, 실질적으로는 브레이크 모터의 축선과 평행하게 슈(12, 14)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이것은 2개의 끝부분(40a, 40b) 사이에 나사너트 자동조정수단이 장착되고 마찰라이닝(16, 18)의 마모를 점진적으로 보정하기 위하여 공지된 방식으로 가변길이 스트럿(40)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부재번호 50으로 전체적으로 나타내어진 기계식 작동장치는 기계식 작동레버(60)와 힘전동레버(70)를 포함하고 있다.
제3도에서만 도시된 기계식 작동레버(60)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편평한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끝(62)은 그것위에 갈고리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는 작동케이블(도시안됨)을 가지도록 디자인되어 있고 제2끝(64)은 기계식 작동레버(60)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뻗어 있는 러그를 형성하고 있다. 개구부(66)는 제2끝(64)에 인접한 중간지점에서 기계식 작동레버(60)에 형성되어 있다.
제4도에서만 도시된 힘전동레버(70)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편평한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끝(72)에는 스페이서 부분(32)에 형성된 노치(38)와 상호 작용하는 노치(74)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끝(76)에는 힘전동레버(70)의 두께와 유사한 크기로 힘전동레버(70)의 평면에 평행하게 오프셋되어 있는 평면으로 뻗어있는 부분(78)이 형성되어 있다. 끝(76)은 에지중의 하나에 가변길이 스트럿(40)의 끝부분(40b)에서 형성된 상응하는 노치와 상호 작용하도록 의도된 노치(77)를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다른 에지에 돌기부분(79)을 가지고 있다.
힘전동레버(70)는 평면에 수직으로 뻗어있는 핀(80)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구멍(82)은 이 핀(80)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도에 더 잘 도시된 바와같이, 레버(60, 70)는 제1슈(14)의 웨브(14a)의 양쪽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힘전동레버(70)의 핀(80)은 기계식 작동레버(60)의 개구부(66)를 관통하고, 그리고 제2끝(64)은 구멍(82)내로 관통하고 웨브(14a)의 에지로 지탱되므로 레버(60, 70)는 서로 관절 결합되어 있다. 대안으로서, 물론 기계식 작동레버(60) 상에 핀(80)을 그리고 힘전동레버(70)에 개구부(66)를 형성하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
본발명에 따르면 드럼브레이크는 또한 부재번호 100으로 전체적으로 나타내어진 브레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제6A도 및 제6B도에서 더 잘 도시된 바와같이 브레이스(100)는 원호형상의 부분(102)의 곡률의 중심의 부근에서 원호형상의 부분(102)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뻗어있고, 그리고 아암(104)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뻗어있는 핑거(106)에서 끝나는 실질적으로 아암(104)과 일체형인 원호형상의 부분(102)을 포함하고 있다.
원호형상의 부분(102)의 끝(108, 110)에는 각각 표면이 제1슈(14)의 웨브(14a)의 한쪽면으로 지탱되는 베어링표면(108a, 110a) 각각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아암(104)은 웨브(14a)의 다른쪽으로 뻗어있고 핑거(106)는 웨브(14a)에 형성된 개구부(112)내로 관통한다. 이렇게 브레이스(100)는 계류고정장치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1슈(14)에 의해서 계류하게 된다.
원호형상의 부분(102)과 아암(104) 사이에서 브레이스는 원호형상의부분(102)의 축선방향연장을 형성하고 2개의 평행한 제1 및 제2제한정지부(116, 118)에 의해서 경계가 정해지는 작용부분(114)을 포함하고 있다. 원호형상의 부분(102)의 끝(110)중 하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도려낸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한쪽끝 에지는 복귀스프링(124)의 한쪽끝 위로 고정시키기 위한 갈고리형상 부분(122)을 형성하고 있고 그 다른 한쪽끝은 웨브(14a) 위로 고정되어 있다.
드럼브레이크가 조립될 때, 그리고 제1도, 제5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휴지위치에서 브레이스(100)는 힘전동레버(70)의 끝과 제1슈(14)의 웨브(14a) 사이에 끼워져 있고, 그리고 이것은 이들 도면에서 도시된 위치내로 복귀스프링(124)에 의해서 가압되고, 작용부분(114)의 제1제한정지부(116)는 가변길이 스트럿(40)의 끝부분(40b)과 인접하여 있다.
이 위치에서 힘전동레버(70)의 노치(77)는 가변길이 스트럿(40)의 끝부분(40b)으로 지탱되어 있고, 브레이스(100)의 작용부분(114)은 힘전동레버(70)의 돌기부분(79)으로 지탱되어 있고, 제1슈(14)의 웨브(14a)는 인장스프링(84)의 작용하에서 작용부분(114)으로 지탱되어 있고, 그 끝은 제1슈(14)의 웨브 위로, 그리고 끝부분(40b)위로 각각 걸리게 된다.
마찬가지로, 끝부분(40a)은 인장스프링(86)에 의해서 제2슈(12)의 웨브를 향하여 가압된다.
드럼브레이크의 작동은 이제 설명될 것이다. 휴지상태에서 여러 구성요소는 제1도, 제5도 및 제7도에 도시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힘전동레버(70)는 가변길이 스트럿(40)으로 노치(77)에 의해서, 스페이서 부분(32)으로 노치(74)에 의해서 그리고 제1슈(14)의 웨브(14a)로 핀(80)에 의해서 지탱되어 있다.
기계식 작동레버(60)는 힘전동레버(70)의 핀(80)으로 개구부(66)에 의해서 그리고 웨브(14a)로 제2끝(64)에 의해서 지탱되어 있다.
브레이크가 유압식으로 작동될 때 브레이크 모터(22)의 여압은 마찰라이닝 (16, 18)을 드럼(20)의 내부표면과 마찰접촉상태로 있게 하기 위해 슈(12, 14)를 반경방향으로 가압한다.
이 작동동안 슈(12, 14)가 마찰라이닝(16, 18)의 마모 때문에 소정값보다 큰 거리로 분리된다면 가변길이 스트럿(40)은 자동적으로 신장되고, 끝부분(40a)은 인장스프링(86)의 작용하에서 웨브(12a)와 접촉상태로 유지되고, 끝부분(40b)은 힘전동레버(70)의 부분(78)에 지탱되고, 힘전동레버(70) 자체는 인장스프링(84)의 작용하에서 웨브(14a)로 지탱되어 있는 브레이스(100)의 작용부분(114)에 지탱되어 있다.
브레이크가 기계식으로 작동될 때 기계식 작동레버(60)의 제1끝(62)은 제1도를 고려할 때 좌측으로 가압된다. 그리고나서 기계식 작동레버(60)는 제2끝(64)에 의해서 제1슈(14)의 웨브(14a)에 지탱되고 그리고 개구부(66)는 역시 힘전동레버(70)를 좌측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핀(80)과 상호 작용한다. 힘전동레버(70)의 구멍(82)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는 제2끝(64)은 우측으로 제1슈(14)를 가압하는 한편, 힘전동레버(70)는 가변길이 스트럿(40)과 스페이서 부분(32)에 의해서 제2슈(12)를 좌측으로 가압한다.
그 핀(80)에 의해서 작동된 힘전동레버(70)는 가변길이 스트럿(40) 및 스페이서 부분(32)에 균형막대처럼 작용하므로 제1슈(14)에 작용하는 기계식 작동레버(60)에 의해서 가해진 힘을 제2슈(12)로 전동 및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설명되어져 있는 드럼브레이크의 사용동안 드럼의 내부표면의 마모가 종종 발생하고, 마찰라이닝(16, 18)은 연속트랙을 마모되게 한다.
마모를 자동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가변길이 스트럿의 작용을 통하여 마찰라이닝(16, 18)은 항상 이 트랙으로부터 아주 작은 거리에 있으므로 예를들어, 드럼 자체 또는 슈를 교환하기 위하여, 또는 브레이크에 대한 정비작업을 위하여 드럼브레이크를 분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발명은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이 어려움을 극복할수 있다.
사실상, 상기 설명한 바와같이 제7도에 도시된 제1위치로부터 제8도에 도시된 제2위치로 브레이스(100)를 충분히 경사지게 하고 여기서, 작용부분(114)은 힘전동레버(70)의 돌기부분(79)으로부터 떨어져 있다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제2위치로 경사짐은 제1슈(14)의 웨브(14a)에 밀착되는 작용부분(114)의 에지에 의해서 제한되므로 베어링표면(110a)은 제1슈(14)의 웨브와 접촉상태로 있다.
브레이스가 이 제2위치에 있을 때 인장스프링(30)은 웨브(14a)가 힘전동레버(70)의 돌기부분(79)과 인접할때까지 제1슈(14)를 다른 제2슈(12)와 인접하도록 제1슈(14)에 작용한다.
따라서 제1슈(14)는 작용부분(114)의 두께와 동일한 거리에 걸쳐서 이동한다.
이 브레이스(100)를 형성하는 재료의 두께는 물론 드럼(20)의 내부표면으로 마찰라이닝에 의해서 마모되는 트랙에 대한 최대 공차 깊이보다 더 크도록 선택될 것이다.
그러므로, 브레이스를 제2위치로 경사지게 한후 구성부재에 접근하고, 이렇게 구성요소에 대한 작업을 하기 위하여 드럼브레이크를 분해시키는 것은 항상 가능할 것이다.
브레이스는 개구부(112)로 관통하고 브레이스(100)에 대해 피벗을 형성하는 핑거(106)를 중심으로 브레이스를 회전시킴으로써 매우 간단히 2개의 위치사이에서 경사지게 된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개구부(112)는 실질적으로 가변길이 스트럿(40)의 연장선상으로 웨브(14a)에 유리하게 형성될 것이다.
이러한 회전은 드라이버와 같은 적당한 공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제1슈(14)의 끝부근에서 그리고 실질적으로 가변길이 스트럿(40)의 작용 방향에 위치된 영역에서 캐리어플레이트(10)에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개구부(90)를 형성하여 제공될수도 있으므로 이것은 브레이스의 아암(104)에 작용하고, 그리고 이 브레이스를 제2위치로 가져가기 위하여 아암을 회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발명에 따른 드럼브레이크를 조립할 때 이것이 초기 장착 또는 작업 또는 보수후 재장착하든지 브레이스는 조립이 용이한 제2위치에 위치된다. 모든 구성요소가 정위치에 있다면 기계식 작동장치에 의해서 드럼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것이충분하다.
실제로, 이와같은 기계식 작동의 경우에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기계식 작동레버(60)는 제1도를 고려하면 우측을 향하여 레버를 가압하기 위하여 제2끝(64)에 의해서 제1슈(14)의 웨브(14a)로 지탱되어있고, 그리고 개구부(66)는 좌측으로 힘전동레버(70)를 가압하기 위하여 핀(80)과 상호 작용한다. 따라서 웨브(14a)는 이들 2개의 구성요소사이의 거리가 브레이스의 작용부분(114)의 두께와 적어도 동일할때까지 이 웨브가 지탱되어 있는 돌기부분(79)으로부터 물러간다.
이런 상태에서 복귀스프링(124)은 작용부분(114)의 제1제한정지부(116)가 가변길이 스트럿(40)의 끝부분(40b)과 접촉상태로 복귀할때까지 제1위치로 브레이스를 복귀시킨다. 그래서, 드럼브레이크는 상술된 바와같은 형상으로 우위없이 각각의 이들 작동모드의 각각의 이점을 지닌 유압식 또는 기계식 작동을 허용하고 또한 드럼브레이크가 모든 상황하에서 쉽게 분해되어지도록 한다.
물론, 본발명은 설명되고 도시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을뿐 아니라 숙련자에게 명백하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내에 있는 다양한 수정을 수용할수 있다.
따라서, 예를들어 기계식 작동장치 및 브레이스(100)는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은 제1슈(14) 대신 제2슈(12)에 위치될수 있다.

Claims (10)

  1. 드럼(20)을 마주보고 있는 면이 슈(12, 14)의 웨브(12a, 14a)의 제1끝에 작용하는 유압식 작동장치(22)에 의해서 드럼(20)의 내부면에 대하여 마찰맞물림상태를 만드는 마찰라이닝(16, 18)을 수용하는 림부위(12b, 14b)와 상기 웨브(12a, 14a)를 각각 포함하고 있는 상기 슈(12, 14)가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캐리어플레이트(10), 인장스프링(30)과 상호작용으로 슈(12, 14)의 분리를 결정하고 유압식 작동장치(22) 부근에 놓여 있는 가변길이 스트럿(40)을 포함하고 있고, 드럼브레이크가 휴지상태 또는 유압식으로 작동될 때 상기 슈(12, 14)의 웨브(12a, 14a)의 제2끝은 상기 캐리어플레이트(10)와 일체형인 베어링부분(28)에 지탱되며, 드럼브레이크가 기계식으로 작동할 때 상기 가변길이 스트럿(40) 및 2개의 슈(12, 14)를 서로 연결하는 수단에 의해서 제2슈(12)의 웨브(12a)에 지탱되고 제1슈(14)의 웨브(14a)에 장착된 힘전동레버(70)에 의해서 상기 슈의 웨브가 상기 베어링부분(28)으로부터 떨어지게 하고 상기 드럼(20)의 상기 내부면에 대하여 상기 마찰라이닝(16, 18)이 마찰 맞물림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기계식 작동장치를 더 포함하고 있는 드럼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제1슈(14)의 상기 웨브(14a)에 위치한 브레이스(100)는 상기 제1슈(14)의 상기 웨브(14a)의 상기 제1끝과 상기 힘전동레버(70)의 제1끝 사이에 신축 자유롭게 끼워져 있는 작용부분(114)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브레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100)는 상기 제1슈(14)의 웨브(14a)상에 피벗 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브레이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100)는 상기 힘전동레버(70)의 제1끝과 실질적으로 상기 가변길이 스트럿(40)의 작용방향에 위치한 영역내의 상기 제1슈(14)의 웨브(14a)의 제1끝 사이에 끼워지는 상기 브레이스(100)의 상기 작용부분(114)의 제1위치와, 상기 제1슈(14)의 웨브(14a)의 제1끝이 인장스프링(30)의 작용하에서 힘전동레버(70)의 제1끝에 지탱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브레이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100)는 상기 제1슈(14)의 웨브(14a)의 상기 제1끝과 상기 브레이스(100)의 갈고리 형상부분(122) 사이에 위치된 복귀스프링(124)에 의해서 제1 위치내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브레이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100)가 제1슈(14)의 웨브(14a)의 제1면에 지탱되는 베어링표면(108a, 110a)과 상기 브레이스(100)를 위한 피벗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슈(14)의 웨브(14a)의 상기 제1끝에 형성된 개구부(112)와 상호 작용하는 핑거(106)를 갖게 성형된 아암(104)과 일체형으로 구성된 실질적으로 원호형상의 부분(1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브레이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100)의 상기 원호형상의 부분(102)이 제1위치에서 상기 가변길이 스트럿(40)의 끝부분(40b)과 상호 작용하는 제1제한정지부 (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브레이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100)의 상기 원호형상의 부분(102)이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슈(14)의 상기 웨브(14a)와 상호 작용하는 제2제한정지부(1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브레이크.
  8. 제7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제한정지부(116,118)는 원호형상의 부분(102)의 축선방향 연장부를 형성하는 상기 브레이스(100)의 상기 작용부분(114)의 양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브레이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100)가 상기 제1슈(14)에 의해서 계류되도록 하기 위해, 원호형상의 부분(102)의 베어링표면(108a, 110a)과 상기 브레이스(100)의 피벗을 지탱하는 아암(104)이 상기 제1슈(14)의 상기 웨브(14a)의 양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브레이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플레이트(10)가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로 상기 브레이스(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공구의 통로를 허용하는 제1슈(14)의제1 끝의 부근에 개구부(9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브레이크.
KR1019960704871A 1994-11-09 1995-10-12 드럼브레이크를위한기계식작동장치 KR1003962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413435A FR2726615B1 (fr) 1994-11-09 1994-11-09 Dispositif d'actionnement mecanique pour frein a tambour
FR9413435 1994-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2969A KR970702969A (ko) 1997-06-10
KR100396244B1 true KR100396244B1 (ko) 2003-11-28

Family

ID=9468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4871A KR100396244B1 (ko) 1994-11-09 1995-10-12 드럼브레이크를위한기계식작동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630486A (ko)
EP (1) EP0791144B1 (ko)
JP (1) JP3806939B2 (ko)
KR (1) KR100396244B1 (ko)
CN (1) CN1078938C (ko)
BR (1) BR9506543A (ko)
DE (1) DE69518537T2 (ko)
ES (1) ES2149376T3 (ko)
FR (1) FR2726615B1 (ko)
WO (1) WO19960153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40900Y1 (it) * 1996-09-20 2001-04-11 A D R S P A Freno a tamburo con dispositivo per la sostituzione dei ceppi
JP3338949B2 (ja) * 1997-08-05 2002-10-28 日清紡績株式会社 ドラムブレーキ装置
IT1299619B1 (it) * 1998-02-11 2000-03-24 Lpr S R L Gruppo frenante con dispositivo di autoregistro a recupero incrementale micrometrico
JP3341150B2 (ja) * 1998-04-22 2002-11-05 日清紡績株式会社 ドラムブレーキ装置
GB0413015D0 (en) * 2004-06-11 2004-07-14 Automotive Prod Italia Sv Srl Brake adjusters
US7261190B1 (en) * 2005-08-23 2007-08-28 Robert Bosch Gmbh Reaction lever for a parking brake
FR2923278B1 (fr) * 2007-11-06 2010-03-12 Bosch Gmbh Robert Segment pour frein a tambour.
US7637361B1 (en) 2008-08-15 2009-12-29 Robert Bosch Gmbh Combined retainer and anchor for floating shoe drum brake
CN101818768B (zh) * 2009-11-17 2012-12-12 攀枝花市东林汽车制动有限公司 汽车浮动蹄轴式平衡增力制动器
CN107054334B (zh) * 2011-03-31 2019-07-09 株式会社爱德克斯 电动驻车制动装置
JP6114106B2 (ja) * 2012-07-25 2017-04-12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ドラムブレーキ装置
CN105351396A (zh) * 2015-12-10 2016-02-24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领从蹄式制动器
FR3057317B1 (fr) * 2016-10-12 2020-10-30 Foundation Brakes France Frein a tambour integrant un levier d'actionnement de frein de stationnement a double flancs encliquetes l'un avec l'autre
FR3057318B1 (fr) * 2016-10-12 2020-08-14 Foundation Brakes France Frein a tambour integrant un levier d'actionnement de frein de stationnement a double flancs soudes
FR3057316B1 (fr) * 2016-10-12 2018-12-07 Foundation Brakes France Frein a tambour integrant un segment comportant un levier d'actionnement de frein de stationnement ayant une portion de poussee centre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9646A (en) * 1979-02-21 1981-02-10 The Bendix Corporation Drum brake assembly with non-servo and duo-servo characteristics
JPS5733233A (en) * 1980-07-31 1982-02-23 Toyota Motor Corp Parking brake mechanism in internal expanding hydraulic oil brake system
US5070968A (en) * 1989-09-18 1991-12-10 Kelsey-Hayes Company Leading/trailing drum brake having servo parking brake
US5275260A (en) * 1989-09-18 1994-01-04 Kelsey-Hayes Company Dual mode drum brake assembly
US5127495A (en) * 1990-09-28 1992-07-07 Allied-Signal Inc. Parking brake and method therefor
FR2697599B1 (fr) * 1992-10-30 1994-12-30 Bendix Europ Services Tech Frein à tambour à actionnement mécanique.
FR2697600B1 (fr) * 1992-10-30 1994-12-02 Bendix Europ Services Tech Frein à tambour à actionnement mécanique.
US5538112A (en) * 1994-10-11 1996-07-23 Kelsey-Hayes Company Parking and emergancy brake actuating lever for drum brak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06939B2 (ja) 2006-08-09
FR2726615B1 (fr) 1997-01-10
EP0791144A1 (fr) 1997-08-27
KR970702969A (ko) 1997-06-10
CN1147292A (zh) 1997-04-09
JPH10508680A (ja) 1998-08-25
DE69518537D1 (de) 2000-09-28
BR9506543A (pt) 1997-08-19
EP0791144B1 (fr) 2000-08-23
CN1078938C (zh) 2002-02-06
DE69518537T2 (de) 2001-01-04
ES2149376T3 (es) 2000-11-01
FR2726615A1 (fr) 1996-05-10
WO1996015387A1 (fr) 1996-05-23
US5630486A (en) 1997-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6244B1 (ko) 드럼브레이크를위한기계식작동장치
JP3551382B2 (ja) 機械的駆動ドラムブレーキ
US5070968A (en) Leading/trailing drum brake having servo parking brake
US4476968A (en) Expanding shoe drum brake
KR100322634B1 (ko) 기계적으로작동되는드럼브레이크
US5921354A (en) Self-energizing anti-creep parking and emergency brake mechanism for disc brake assembly
EP0309079B1 (en) Actuator for a drum brake
US6196360B1 (en) Automatic shoe clearance adjustment device for drum brakes
KR100374622B1 (ko) 드럼브레이크용자동조절스트럿
US3499508A (en) Disk parking brake
US3410372A (en) Support means and adjusting means for a disc brake
US4685541A (en) Self-energizing disc brakes
US5538112A (en) Parking and emergancy brake actuating lever for drum brake assembly
US3708040A (en) Disk brake with servo action
US4502573A (en) Automatic-adjustment drum brake
US3837438A (en) Disk brake with servo action
US3913710A (en) Shoe drum brakes
JPH0141851B2 (ko)
US6371257B1 (en) Piston assembly for use in a wheel cylinder of a drum brake assembly
US3388776A (en) Transversely movable, opposing, rim grip brake
US4903800A (en) Self-adjusting drum brake
EP0078115B1 (en) Expanding shoe drum brake
JPS6223176B2 (ko)
EP0049583B1 (en) Automatic wear adjuster for drum brakes
US5226511A (en) Spring activated automatic drum brake adju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