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115B1 - 고농도의아세트아미노펜및소청룡탕엑기스를함유하는안정한액상제제및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농도의아세트아미노펜및소청룡탕엑기스를함유하는안정한액상제제및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115B1
KR100396115B1 KR1019950024813A KR19950024813A KR100396115B1 KR 100396115 B1 KR100396115 B1 KR 100396115B1 KR 1019950024813 A KR1019950024813 A KR 1019950024813A KR 19950024813 A KR19950024813 A KR 19950024813A KR 100396115 B1 KR100396115 B1 KR 100396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etaminophen
extract
freezing
added
socheongryongta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4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789A (ko
Inventor
최성규
Original Assignee
동아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50024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115B1/ko
Publication of KR970009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1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7Gnetophyta, e.g. Ephedraceae (Mormon-te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40Cyclodextr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세토아미노펜과 소청룡탕을 주제로 한 감기약에 있어서, 아세트아미노펜과 소청룡탕을 주제로 하고 여기에, 1) 폴락싸머 0.1 5.0%(w/w) 및 싸이클로덱스트린 0.15.0%(w/w)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과; 2) 글리세린 0.2 - 5.0%(w/w),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0.1 - 5.0%(w/w),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0.1 - 5.0%(w/w) 및 프로필렌글리콜 0.2 5.0%(w/w)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 및 3) 에탄올 0.2 - 4.0%(v/v)을 가하고 용해하여 나머지는 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약 액제를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고온, 저온 및 동결과 해동에 안정한 액생제제가 가능하게 되었다.

Description

고농도의 아세트아미노펜 및 소청룡탕 엑기스를 함유하는 안정한 액상제제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고농도의 아세트아미노펜 및 소청룡탕 엑기스를 함유하는 액상제제에 있어서, 실온, 냉장(4 ℃), 저온( -5 ℃∼-9 ℃), 고온(50 ℃),동결 및 해동의 조건에서 과포화상태인 아세트아미노펜의 결정이 생성되어 재결정이 생성되는 현상을 억제하고 또는 퍼콜레이션법에 따라 추출한 소청룡탕 유동엑기스는 일정시간, 약 3일에서 5일이 경과되면 응집반응이 일어나 침전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를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고농도의 아세트아미노펜을 함유하고 또한 소청룡탕 엑기스를 함유하는 액상제제의 안정화 방법과 안정화된 용액을 이용하여 안정한 액상제제 및 그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에탄올 첨가에 따른 아세트아미노펜의 용해도는 다음과 같다.
상기의 용해도표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아세트아미노펜은 알코올이 4 -5% 첨가되면 온에서의 용해도가 약 20%로 상승하는 반면에 온도가 낮을수록 용해도는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냉동 또는 냉장시 아세트아미노펜의 용해도 감소에 따른 아세트아미노펜의 재결정화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동결상태에서도 아세트아미노펜의 용해도가 0 ℃때의 용해도의 2배인 약 15mg/ml 이상의 용해도가요구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 농도는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조건, 즉 냉장, 저온, 동결 및 해동의 조건에서 아세트아미노펜의 재결정이 생성되지 않는 농도의 범위이다. 가령, 아세트아미니펜 농도 약 15mg/ml를 함유하는 액상 제제를 실온에 보관할 경우, 상온에서 아세트아미노펜 용해도 이하 이므로 액상 제형에서의 안정성에는 문제점이 없다. 그러나, 온도의 차이에 따른 아세트아미노펜의 용해도를 상승시키고, 또한 보관중 온도저하에 따른 아세트아미노펜의 결정이 석출되어 재결정이 생성되는 현상을 억제시키는 연구는 이제까지는 어떠한 논문이나 연구보고도 없었다. MERCK 제 11판, p 29에 의하면 '아세트아미노펜은 찬물에는 매우 녹기 어렵고 더운물에는 더 잘녹고, 메탄올, 에탄올, 디메틸포름아마이드, 에틸렌디클로라이드, 아세톤, 초산에틸에는 녹는다.' 라고 기술되어 있다.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제 18 판, p 1109에 의하면 아세트아미노펜 1g은 물 70ml, 끓는 물 20ml, 알코올 10ml, 클로로포름 50ml, 글리세린 40ml에 용해된다고 기술되어 있다.즉, 아세트아미노펜은 물을 용매로 사용할 경우 온도차에 따라 용해도 차이가 큼을 알 수 있다. 과포화상태인 아세트아미노펜 용액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에탄올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또는 과량의 당원(carbohydrate source)을 사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액상제제중시럽제의 제형을 선택하여 사용되고 있다. Sompol Prakongpan의 보고(Chem Pharm Bull. 32(1), 340 - 343, 1984)에 의하면 30±℃에서 조용매로 에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폴리에틸렌글리콜 4000의 농도 0 ∼ 100%로 증가할수록 아세트아미노펜의 용해도가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통상 액제에 시용되는 에탄올의 농도는4% 이하를 사용하고 있으며, 4% 초과시에는 약사관계법령집 (1994년판) 의약품등 기준 및 시험방법 검토의뢰서 심사에 관한규정 p. 1080에 의하면 메탄올 및 케톤, 이소프로판올, 제 3부탄올을 시험하여야 하며, 에탄올이 6% 이상일 경우 주세법에 의하여 주세를 내어야만 하기 때문에 통상의 액제는 4% 이하의 에탄울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에탄올의 함량을 4% 이상 증가시켜 아세트아미노펜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의미가 없다. 일본의약품첨가제협회에서 집필한 의약품첨가물사전(약사일보사), p. 128∼129에 의하면 플리에틸렌글리콜 400의 경구투여 최대용량이 2.31g, 폴리에틸렌글리콜 4000의 최대량이 360mg으로 설정되어 있다. 일본의약품첨가제협회에서 집필한 의약품첨가물사전(약사일보사), p. 40에 의하면 글리세린의 경구투여시 최대복용량은 5g이며, p. 114에서 프로필렌글리콜의 경구투여시 최대복용량은 2ml로 선정되어 있다. Code of Federak regulations 의 Foods and Drugs 편에서 폴리에틸렌글리콜 4000의 ADI(Acceptable Daily Intake)량은 10mg/kg, 글리세린의 ADI량은 1000 - 1500 mg/kg, 프로필렌글리콜의 ADI량은 25mg/kg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폴리에틸렌글리콜도 또한 조용매로 사용한 경우 농도의 제한을 받게 된다. 유럽특허 0 560 057 A1 에 의하면 잔탄검(Xanthan gum)과 미결정 셀룰로오스(MicrocrystaIline cellulose)를 사용하여 과량의 아세트아미노펜 시럽 현탁제를 제조하는 보고가 있으나 이 제제는 완전히 용해되지 않은 현탁상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과 부합되지 않고, Shan-Yang Lin의 보고(J. TAIWAN PHARM ASSOC., 36(1), 24 ∼ 32,1984) 에 의하면 싸이클로덱스트린의 농도가 증가하면 아세트아미노펜의 용해도가 증가한다라고 보고하였으나, 온도변화에 따른 용해도 변화에 대한 언급은 없다. 위의 보고와 같이 아세트아미노펜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보고는 일부 있으나, 보관중 온도저하에 따른 아세트아미노펜의 결정이 석출되어 재결정이 생성되는 현상을 억제시키는 연구보고자료는 거의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오랜 연구끝에 온도차이에 따른 아세트아미노펜의 안정성을 개선하여 가혹한 조건, 즉 저온 (-5 ℃ ∼ -9 ℃)에서 적어도 3개월 이상 침전현상 즉 재결정이 없고 영하 20 ℃에서 동결하고 실온에서 방치하여 해동하는 가혹조건을 10회 이상 실시하여 침전현상, 즉 재결정이 없는, 안정한 아세트아미노펜 액상제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고, 안정화를 시키기 위하여 사용한 복합안정화제, 즉 폴리올류인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의 농도는 내복용 액상제제에 실제 사용될 수 있는 적은 량을 함유하며, 안정화된 용액을 이용하여 안정한 액상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발견하게 되었다.
소청룡탕은 여러 기존의 한약서에 수재되어 있으며, 동의보감(한글완역판, 학력출판사)의 p. 572에서 소청룔탕은 '상한(傷寒)에 겉을 풀지 못하고 심하(心下)에 수기(水氣)가 있기 때문에 건구역을 하며, 기(氣)가 역하고 열이 나며 해수천식(咳嗽喘息)을 치료한다' 라고 효능 효과를 표시하고 있다. 보건사회부 고시 제 1994 12호, 의약품 등 표준제조기준의 감기약 표준제조기준에서 또한 사용할 수 있는 한약처방으로 갈근탕, 소청룡탕, 향소산을 수재하고 있다. 대한약전 제 6개정 1104쪽에 소청룡탕의 구성생약 및 구성비율은 마황5g, 작약 5g, 오미자 5g, 반하 5g, 세신 3g, 계피 3g, 감초 3g, 건강 1g의 일일 최대복용분량을나타내고 있다.
퍼콜레이션법에 따라 추출한 추출조건에서 추출한 소청중탕 엑기스는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응집현상이 일어나 침전현상을 나타낸다. 또한 소청룡탕 엑기스를 액상제제에 첨가할 경우 침전현상은 가속화되고 침전이 생성된 제품은 제품의 안정성에 큰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생약 및 생약엑기스를 함유하며,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액상제제는, 주로 쌍화탕류, 자양강장제음료, 생약 소화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액상제제의 제품 상표라벨에는 「천연생약으로 인해 간흑 침전이 생길 수도 있으나 흔들어 드시면 됩니다」또는 「간혹 생약침전물이 생길 수 있으나 변질이 아니오니 안심하고 잘 흔들어 드십시요」등의 문구를 인용하여 천연생약으로 인한 침전을 당연시 여기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보고자료는 전무한 상황이다. 일본특허공보 소 54-5022에 의하면 감초수성엑기스와 아세트아미노펜을 함유한 액제의 제조방법으로 구연산나트륨과 인산수소이나트륨 또는 인산이수소나트륨을 사용한 완충액을 이용하여 감초수성엑기스와 아세트아미노펜을 함유한 용액의 pH를 5.0 - 6.5로 조정하여 안정화시킨 보고가 있으나, 이 pH영역에서는 방부력에 문제가 있으므로 실제 사용하기에는 어렵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통상의 방법 즉 퍼콜레이션법에 따라 추출한 생약액기스를 안정화시키는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오랜 연구 끝에, 본 발명자들은 pH의 영역에 관계 없이 소청룡탕 액기스를 안정화시키는 방법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비로서 소청룡탕 및 고농도의 아세트아미노펜이 산성에서도 안정하며 이를 제제화한 액상제제는 50 ℃에서 60일 이상 침전이 생성되지 않는 액상제제의 설계가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농도의 아세트아미노펜과 소청룡탕 엑기스를 함유하는 액상제제에 있어서, 고농도의 아세트아미노펜의 경우 온도변화에 따른용해도 변화에 따라 유발되는 침전과 재결정의 생성방지와 소청룡탕 엑기스를 함유한 액상제제에서 침전을 억제하며 안정화시키는 방법과 이틀 이용하여 안정한 액상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안정화방법은 제제학적 용도로 상용되고 수용성이 증대되는 복합체를 형성시켜서 안정화시키는 방법이다. 경구투여시에도 안전하다고 식품첨가물로 인기를 받은 싸이클로덱스트린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여러 제형 및 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 폴록씨머를 이용하여 소청룡탕 엑기스의 침전현상을 억제하고 또한 실제 제품에 사용될 수 있으며, 낯은 농도를 가지고 있는 폴리올퓨인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류, 프로필렌글리콜을 이용하여 온도 저하에 따른 아세트아미노펜의 침전석출 즉 재결정화를 억제하여 고농도의 아세트아미노펜 및 소청룡탕 엑기스를 함유하는 액상제제를 실온 및 냉장, 저온, 고온, 동결 및 해동의 각각의 조건에서도 생약에 의한 침전현상과 아세트이미노펜의 재결정을 억제한 안정한 액상제제의 안정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안정화된 이 용액을 이용하여 안정한 액상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고농도의 아세트아미노펜과 소청룔탕엑기스를 함유하는 액상제제에 있어서, 1) 폴록사머 0.1 - 5.0%(w/w) 및 싸이클로덱스트린 0.1 - 5.0%(w/w)에서 선택된 1종 이상과,
2) 글리세린 0.2 - 5.0%(w/w),폴리에틸렌글리콜 4000.1 - 5.0%(w/w), 폴리에틸렌글리콜 4000 0.1 - 5.0%(w/w) 및 프로필렌글리콜 0.2 - 5.0%(w/w)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3) 에탄올 0.2-4.0%(v/v)를 함유하고 나머지는 물로 이루어진 액상제제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가용화로 안정화시킨 액상제제에 통상으로 사용되는 감미제로, 덱스트로스, 사카린, 사카린나트륨, 물엿, 유당, 만니톨, 포도당, 과당, 백당, 이성화당, 솔비톨, 스테비오사이드, 꿀, 아스파탐, 올리고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감미제를 함유 할 수 있다. 또한, 방부제로는 안식향산, 안식향산나트륨,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 에틸,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파라옥시안식향산 부틸, 소르빈산, 소르빈산 나트륨, 소르비산 칼슘 등을 1종 이상 또는 그 이상의 함유하며, 산미제로는 염산, 구연산, 구연산 나트륨, 주석산, 인산, 젖산, 초산 등을 1종 이상 함유할수 있다. 착향제로는 인공향료, 천연향료, 및 허벌 엣센스 등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용제로는 정제수를 사용하며, 제제후 정용하고 여과, 멸균 및 충전하여 고농도와 아세트아미노펜 및 소청룡탕 엑기스를 함유하는 엑기스를 개조한다.
다음에 참고예 및 실시예로써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려는 목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참고예 및 실시예에서 고온은 50 ℃, 저온은 -5 ℃ ∼- -9 ℃를 나타낸 것이며, 일수는 침전이 생성되기 시작한 일수를 나타낸 것이며, 저온 및 동결과 해동의 %는 침전 및 재결정이 생성된 군의 %를 나타낸 것이다. 각각의 실시예에서는 각 항목마다의 시료를 사용하여 실험하였고, 동결과 해동 실험은 10회 실시하였다.
<참고예 1>
아세트아미노펜 3g에 정제수를 가하여 용해한 후 전체 부피의 3%에 해당하는 양의 에탄올을 가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200ML로 정용한다. 이 용액을 실온, 고온, 냉장, 저온, 동결 및 해동의 각각의 조건에서 보관한 후 아세트아미노펜의 재결정과 침전, 안정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고예 2>
소청룡탕엑기스20g에 정제수를 가하여 용해한 후, 전체 부피의 3%에 해당하는 양의 에탄올을 가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200ml로 정용한다. 이 용액을 실온, 고온, 냉장, 저온, 동결 및 해동의 각각의 조건에서 보관한 후 소청룡탕 액기스의 침전 안정성을 관찰하였다. 안정성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고예 3>
소청룡탕 엑기스 20g, 아세트아미노펜 3g에 정제수를 가하여 용해한 후, 전체부피의 3%에 해당하는 에탄올을 가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200ml로 정용한다. 이 용액을 실온, 고온, 냉장, 저온, 동결 및 해동의 각각의 조건에서 보관한후 아세트아미노펜의 재결정과 소청룡탕의 침전 안정성을 관찰한다. 안정성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고예 4>
소룡탕 엑기스 20g에 폴록싸머 4070(Lutrol F-127, BASF) 0.2g, 아세트아미노펜 3g에 정제수를 가하여 용해한 후, 전체 부피의 3%에 해당하는 양의 에탄올을 가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200ml로 정용한다. 이 용액을 실온, 고온, 냉장, 저온, 동결 및 해동의 각각의 조건에서 보관한 후 아세트아미노펜의 재결정과 소청룡탕엑기스의 침전 안정성을 관찰한다. 안정성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참고예 5>
소청룡탕 엑기스 20g, 폴록싸머 407(Lutrol F-127, BASF) 0.2g, 싸이클로덱스트린 0.2g, 아세트아미노펜 3g에 정제수를 가하여 용해한 후, 전체 부피의 3%에 해당하는 양의 에탄올을 가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200ml로 정용한다. 이 용액을 실온, 고온, 냉장, 저온, 동결 및 해동의 각각의 조건에서 보관한 후 아세트아미노펜의 재결정과 소청룡탕 엑기스의 침전 안정성을 관찰한다. 안정성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고예 6>
소청룡탕 엑기스 20g, 싸이클로덱스트린 0.2g, 아세트아미노펜 3g에 정제수를 가하여 용해한 후, 전체 부피의 3%에 해당하는 에탄올을 가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200ml로 전용한다. 이 용액을 실온, 고온, 냉장, 저온, 동결 및 해동의 각각의 조건에서 보관한 후 아세트아미노펜의 재결정과 소청룡탕 액기스의 침전 안장성을관찰한다. 안정성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고예 7>
소청룡탕 액기스 20g, 싸이클로덱느트린 1g, 아세트아미노펜 3g에 정제수를 가하여 용해한 후, 전체 부피의 3%에 해당하는 양의 에탄올을 가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200ml로 정용한다. 이 용액을 실온, 고온, 냉장, 저온, 동결 및 해동의 각각의 조건에서 보관한 후 아세트아미노펜의 재결정과 소청룡탕 엑기스의 침전 안정성을 관찰한다. 안정성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고예 8>
소청룡탕 20g, 싸이클로덱스트린 2g, 아세트아미노펜 3g에 정제수를 가하여 용해한 후, 전체부피의 3%에 해당하는 에탄올을 가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200ml로 정용한다. 이 용액을 실온, 고온, 냉장, 저온, 동결 및 해동의 각각의 조건에서 보관한 후 아세트아미노펜의 재결정과 소청룡탕의 침전 안정성을 관찰한다. 안정성결과는 디음과 같다.
<참고예 9>
소청룡탕 엑기스 20g, 폴록싸머 407 (Lutrol F-127, BASF) 1g, 싸이클로덱스트린 1g, 아세트아미노펜 3g에 정제수를 가하여 용해한 후, 전체 부피의 3%에 해당하는 양의 에탄올을 가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200ml로 정용한다. 이 용액을 실온, 고온, 냉장, 저온, 동결 및 해동의 각각의 조건에서 보관한 후 아세트아미노펜의 재결정과 소청룡탕 엑기스의 침전 안정성을 관찰한다. 안정성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고예 10>
소청룡탕 액기스 20g, 폴록싸머 407 (Lutrol F-127, BASF) 0.4g, 싸이클로덱스트린 1.6g, 아세트아미노펜 3g에 정제수를 가하여 용해한 후, 전체 부피의 3%에 해당하는 양의 에탄올을 가하고, 장제수를 가하여 200ml로 정용한다. 이 용액을 실온, 고온, 냉장, 저온, 동결 및 해동의 각각의 조건에서 보관한 후 아세트아미노펜의 재결정과 소청룡탕 엑기스의 침전 안정성을 관찰한다. 안정성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고예 11>
소청룡탕 엑기스 20g, 폴록싸머 407 Lutrol F-127, BASF) 1g, 싸이클로덱스트린 1g, 아세트아마노펜 3g에 정제수를 가하여 용해한 후, 전체 부피의 4%에 해당하는 에탄올을 가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200ml로 정용한다. 이 용액을 고온, 저온, 동결 및 해동의 각각의 조건에서 보관한후 아세트아미노펜의 재결정과 소청룡탕 엑기스의 침전 안정성을 관찰한다. 안정성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상의 참고예의 안정성 실험결과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용해보조제 또는 가용화제로, 본 발명의 3종류 이상의 성분을 함께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특히 저온보관 및 동결과 해동의 경우에 있어서 침전이 생성되어 문제가 있음이 확인된다.
<실시예 1>
소청룡탕 엑기스 20g, 글리세린 4g,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5g, 프로필렌글리콜 4g, 폴록싸머 407 (Lutrol F-127, BASF) 1g, 아세트아미토펜 3g에 정제수를 가하여 용해한 후, 전체 부피의 4%에 해당하는 양의 에탄올을 가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200ml로 정용한다. 이 용액을 고온, 저온, 동결 및 해동의 각각의 조건에서 보관한 후 아세트아미노펜의 재결정과 소청룡탕 액기스의 침전 안정성을 관찰한다. 안정성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2>
소청룡탕 엑기스 20g, 폴록싸머 497 (Lutrol F-127, BASF) 0.4g, 싸이클로덱스트린 1.6g, 프로필렌글리콜 4g 및 아세트아미노펜 3g에 정제수를 가하여 용해한 후, 전체 부피의 4%에 해당하는 양의 에탄올을 가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200ml로 정용한다. 이 용액을 고온, 저온, 동결 및 해동의 각각의 조건에서 보관한 후 아세트아미노펜의 재결정과 소청룡탕 엑기스의 침전 안정성을 관찰한다. 안정성 결과는 다음과같다.
<실시예 3>
소청룡탕 엑기스 20g, 싸이클로덱스트린 2g, 글리세린 4g, 펠리에틸렌글리콜 4000 5g, 아세트아미노펜 3g에 정제수를 가하여 용해한 후 전체 부피의 3%에 해당하는 양의 에탄올을 가하고, 정제수를기하여 200ml로 정용한다. 이 용액을 고온,저온, 동결 및 해동의 각각의 조건에서 보관한후 아세트아미노펜의 재결정과 소청룡탕 엑기스의 침전안정성을 관찰한다. 안정성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4>
소청룡탕 엑기스 20g, 폴록싸머 497 (Lutrol F-127, BASF) 1g, 싸이클로덱스트린 1g, 글리세린 4g, 폴리에틸렌글리콜 4000 5g, 아세트아미노펜 3g에 정제수를 가하여 용해한 후 전체 부피의 2.0%의 양에 해당하는 에탄올을 가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200ml로 정용한다. 이 용액을 고온, 저온, 동결 및 해동의 각각의 조건에서 보관한후 아세트아미노펜의 재결정과 소청룡탕 엑기스의 침전 안정성을 관찰 한다. 안정성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상의 실시예 및 그 실험결과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의 액제는 고온, 저온, 동결 및 해동의 조건에서 아세트아미노펜의 재결정이나 소청룡탕 엑기스의 침전이 관찰되지 않으며, 그 안정성이 탁월함을 알수 있다.

Claims (4)

  1. 아세트아미노펜 1. 0 - 1 0. 0% (w/w), 소청룡탕 엑기스 5. 0- 3 0. 0% (w/w)를 주제로 하고 여기에,
    1) 폴록사머 0. 1 - 5. 0% (w/w)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0.1 - 5. 0% (w/w)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성분;
    2) 글리세린 0. 2 - 5. 0%(w/w), 폴리에틸렌글리콜 4 0 00. 1 - 5. 0% (w/w) , 폴리에틸렌글리콜 4000 0. 1 - 5. 0(w/w) 및 프로필렌글리콜 0. 2 - 5. 0% (w/w) 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성분; 및
    3) 에탄올 0. 2 - 4. 0% (v/v)
    을 가하고, 물에 용해하여 전체를 1 0 0. 0% (w/w)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트아미노펜과 소청룡탕 엑기스를 주제로 하는 고온, 저온 및 동결과 해동에 안정한 액상제제.
  2. 제 1항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의 감미제, 산미제, 방부제 및 기타 통상의 보조제를 첨가하여 제조된 아세트아미노펜과 소청룡탕 엑기스를 주제로 하는 고온, 저온 및 동결과 해동에 안정한 액상제제.
  3. 아세트아미노펜 1. 0 - 1 0. 0% (w/w), 소청룡탕 엑기스 5. 0- 30. 0% (w/w)를 주제로 하고 여기에,
    1) 폴록사머 0. 1 - 5. 0% (w/w) 및 싸이클로덱스트린 0.1 - 5. 0% (w/w)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성분과;
    2) 글리세린 0. 2 - 5. 0%(w/w), 폴리에틸렌글리콜 4000. 1 - 5. 0% (w/w) , 폴리에틸렌글리콜 4000 0. 1 - 5. 0(w/w) 및 프로필렌글리콜 0. 2 - 5. 0% (w/w)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성분; 및
    3) 에탄올 0. 2 - 4. 0% (v/v)
    을 가하고, 물에 용해하여 전체를 100. 0% (w/w)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트아미노펜과 소청룡탕 엑기스를 주제로 하는 고온, 저온 및 동결과 해동에 안정한 액상제제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의 감미제, 산미제, 방부제 및 기타 통상의 보조제를 첨가하여 제조된 아세트아미노펜과 소청룡탕 엑기스를 주제로 하는 고온, 저온 및 동결과 해동에 안정한 액상제제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950024813A 1995-08-11 1995-08-11 고농도의아세트아미노펜및소청룡탕엑기스를함유하는안정한액상제제및그제조방법 KR100396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4813A KR100396115B1 (ko) 1995-08-11 1995-08-11 고농도의아세트아미노펜및소청룡탕엑기스를함유하는안정한액상제제및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4813A KR100396115B1 (ko) 1995-08-11 1995-08-11 고농도의아세트아미노펜및소청룡탕엑기스를함유하는안정한액상제제및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789A KR970009789A (ko) 1997-03-27
KR100396115B1 true KR100396115B1 (ko) 2003-12-24

Family

ID=37422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4813A KR100396115B1 (ko) 1995-08-11 1995-08-11 고농도의아세트아미노펜및소청룡탕엑기스를함유하는안정한액상제제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1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3183A (en) * 1876-10-10 Improvement in cultivators
KR920003960A (ko) * 1990-08-31 1992-03-27 정형식 안정화된 드링크류의 제조방법
KR930012003A (ko) * 1991-12-23 1993-07-20 한기명 천왕보심단액 및 그 제조방법
KR100215168B1 (ko) * 1997-04-16 1999-08-16 우재영 침전형성이 억제되고 맛이 개선된 한방액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3183A (en) * 1876-10-10 Improvement in cultivators
KR920003960A (ko) * 1990-08-31 1992-03-27 정형식 안정화된 드링크류의 제조방법
KR930012003A (ko) * 1991-12-23 1993-07-20 한기명 천왕보심단액 및 그 제조방법
KR100215168B1 (ko) * 1997-04-16 1999-08-16 우재영 침전형성이 억제되고 맛이 개선된 한방액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Vol.96,1993, 미국, Pao-li Wang and Thomas P. Johnston, "Thermal-induced denaturation of two model proteins:effect of poloxamer 407 on solution stability", p.41-49 -이하 인용간행물이라 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789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33528C (en) A stabilized antihistamine syrup containing aminopolycarboxylic acid as stabilizer
EP0257288A1 (en) Stabilized liquid analgesic compositions
KR101490721B1 (ko) 감칠맛을 가진 디페리프론용 액상 제제
US9452216B2 (en) Agent for stabilizing acetaminophen
US5164405A (en) Nicardipin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PT91682B (pt)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composicoes farmaceuticas contendo etoposido
BG107748A (bg) Фармацевтичен състав на дронедарон за парентерално приложение
KR100929320B1 (ko) 리바비린 시럽 제형
AU2002350081A1 (en) Ribavirin syrup formulations
KR100396115B1 (ko) 고농도의아세트아미노펜및소청룡탕엑기스를함유하는안정한액상제제및그제조방법
US3928609A (en) Non-alcoholic theophylline product
CN110840833A (zh) 一种无糖地氯雷他定口服溶液及制备工艺
US3109773A (en) Bronchodilator expectorant composition containing theophylline and a guaiacol
KR101297354B1 (ko) 안정하고 불쾌한 맛이 차폐된 덱시부프로펜을 함유한 투명한 시럽 조성물
CN113509434A (zh) 尼莫地平口服溶液、其制备方法和应用
USRE29359E (en) Bronchodilator expectorant composition containing theophylline and a guaiacol
US2415312A (en) Propanediol solution of digitalis
JPH0473411B2 (ko)
CN110711172A (zh) 一种氯雷他定糖浆剂组合物
JP3913795B2 (ja) 安定な解熱鎮痛剤配合液剤
JPS63313725A (ja) シロツプ剤
US20050136116A1 (en) Stabilized prednisolone sodium phosphate solutions
CN105535928B (zh) 一种高生物利用度匹多莫德的口服液体制剂及其制备方法
JP3027696B2 (ja) 安定な水性医薬組成物
JP2946015B2 (ja) 安定な抗ウィルス点滴用注射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