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857B1 - 광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광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857B1
KR100395857B1 KR10-2001-0009427A KR20010009427A KR100395857B1 KR 100395857 B1 KR100395857 B1 KR 100395857B1 KR 20010009427 A KR20010009427 A KR 20010009427A KR 100395857 B1 KR100395857 B1 KR 100395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insertion hole
shutter
plug insertion
light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5558A (ko
Inventor
다까오까다까시
이꾸따미쯔히사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48806A external-priority patent/JP350171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38586A external-priority patent/JP3916384B2/ja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5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5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8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6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sources of high radiant energy, e.g. high power lasers, high temperature light sources
    • G02B2006/4297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sources of high radiant energy, e.g. high power lasers, high temperature light sources having protection means, e.g. protecting humans against accidental exposure to harmful laser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7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 G02B6/3849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using mechanical protective elements, e.g. caps, hoods, sealing membra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를 갖는 광섬유 케이블과 광섬유 케이블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 구멍을 갖는 홀더를 포함하고, 홀더는 플러그 삽입 구멍 내에 삽입된 플러그가 광소자와 광결합되도록 적어도 광을 송출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플러그 삽입 구멍 내에 노출되어 있는 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전달 장치에 있어서, 결합 돌출부가 플러그의 외측 표면 상에 제공되고, 돌출부와 대응하는 결합홈이 플러그 삽입 구멍의 벽 상에 제공되고, 플러그 삽입 구멍을 폐쇄하기 위한 셔터가 제공되고, 셔터는 홈 내의 선택 지점과 선택 지점에 정확하게 대향된 플러그 삽입 구멍의 벽 상의 지점으로 이루어진 선에 대체로 수직 또는 평행하게 연장되는 피벗부 둘레에서 회전함으로써 플러그 삽입 구멍의 내부에서 개방 및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전달 장치 {LIGHT TRANSMISSION DEVICE}
본 발명은 광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홀더의 삽입 구멍 내에 삽입되는 광섬유 케이블과 삽입 구멍 내에서 유지되는 광소자를 광결합시킴으로써 광전달을 가능케 하여 에이브이(AV) 장비 및 광데이터 전달 장치용으로 제공되는 광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광통신에 의한 디지털 신호의 전달은 보통 소비 제품에서 쓰이고 있다. 제품이 사용되지 않을 때, 먼지, 기판을 조립하기 위해 사용된 융제, 다른 이물질에 대한 보호 구조물이 제품의 광 송출/수신부와 광섬유 케이블의 플러그 사이의 광/기계 결합부에 제공된다. 도8a 내지 도9b는 보호캡이 보호 구조물로서 사용되고 있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1 광전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도8a와 도8b는 각각 플러그 삽입 구멍의 개방 단부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와 정면도이고, 이들 모두는 보호캡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셔터 폐쇄 상태)를 도시한다. 도9a와 도9b는 각각 플러그 삽입 구멍의 개방 단부에서 보았을 때의 정면도와 측면도이고, 이들 모두는 보호캡이 취출되어 있는 상태(셔터 개방 상태)를 도시한다.
도8a 내지 도9b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제1 광전달 장치는 홀더(100) 내에 적어도 광을 송출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광소자를 포함한다. 장치가 사용되지 않을 때, 보호캡(101)이 플러그 삽입 구멍(12) 내에 삽입된다. 보호캡(101)은 도9b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을 따라 삽입/취출된다. 즉, 광전달 장치의 플러그 삽입 구멍(102)은 장치가 사용되지 않을 때, 즉 광섬유 케이블의 플러그가 플러그 삽입 구멍(102) 내에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 보호캡(101)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어, 먼지와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보호캡(101)은 사람이 잡을 수 있도록 돌출부를 필요로 하고, 이는 캡을 더 크게 만든다. 더욱이, 보호캡(101)은 광섬유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해 취출되어야 하고, 취출된 보호캡(101)은 장치가 사용되지 않을 때 재삽입되어야 하므로 보관되어야 하고, 이는 캡이 부적절한 장소에 보관되면 어린이가 캡을 삼켜버릴 수 있는 가능성을 수반하다.
상기 문제점과 관련해서, 도10a 내지 도11b는 보호캡(101)을 사용하지 않고외측으로 개방되는 셔터(201)를 채용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2 광전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10a와 도10b는 각각 플러그 삽입 구멍의 개방 단부로부터 보았을 때의 측면도와 정면도이고, 이들 모두는 셔터(201)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11a와 도11b는 각각 플러그 삽입 구멍의 개방 단부로부터 보았을 때의 정면도와 측면도이고, 이들 모두는 셔터(201)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광전달 장치는 홀더(200) 내에 적어도 광을 송출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광소자를 포함한다. 장치가 사용되지 않을 때, 광전달 장치의 플러그 삽입 구멍(202)은 셔터(201)에 의해 폐쇄되어 보호된다. 즉, 도11b에 도시된 것처럼, 셔터(201)는 화살표(X)의 방향을 따른 광섬유 케이블(203) 플러그(203a)의 삽입/취출에 따라서 화살표(Y)의 방향을 따라서 개방/폐쇄된다.
셔터(201)는 광섬유 케이블(203)을 삽입하기 위해 보호캡(101)을 취출해야 하는 필요를 제거한다. 더욱이, 셔터(201)가 광전달 장치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셔터를 보관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고 장치가 어떠한 해로운 가능성 없이 사용된다.
그러나, 셔터(201)는 케이블(203)을 삽입하기 위해 사람에 의해 외측으로 개방되어야 하고, 이는 제1 광전달 장치와 별로 다르지 않다. 몇몇의 경우에, 플러그(203a)가 취출된 후에 셔터가 계속 개방되어 있으면 사람은 셔터(201)를 폐쇄시켜야 한다. 더욱이, 셔터(201)를 개방/폐쇄시키기 위한 핸들이 필요하기 때문에 셔터(201)의 크기가 더 커진다.
도12a 내지 도13b는 블럭(302a)을 제외하고는, 보호캡(101)을 사용하지 않고내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셔터(301)를 채용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3 광전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12a와 도12b는 각각 플러그 삽입 구멍의 개방 단부로부터 보았을 때의 측단면도와 정면도이고, 이들 모두는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13a와 도13b는 각각 플러그 삽입 구멍의 개방 단부로부터 보았을 때의 정면도와 측단면도이고, 이들 모두는 셔터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제3 광전달 장치는 홀더(300) 내에 적어도 광을 송출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광소자(304)를 포함한다. 장치가 사용되지 않을 때, 광전달 장치의 플러그 삽입 구멍(302)은 셔터(301)에 의해 닫혀서 보호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한 쌍의 아암을 갖는 스프링(305)은 피벗부(306)를 구비한다. 아암들 중 하나는 셔터(301)의 후방 표면과 접촉하고 다른 하나는 홀더(300)의 상부 내측 표면과 접촉하여, 셔터(301)가 광섬유 케이블(303) 플러그(303a)의 삽입/취출에 따라서 피벗부(306) 둘레를 회전함으로써 자동으로 개방/폐쇄된다.
즉, 셔터(301)는 장치가 사용되지 않을 때 플러그 삽입 구멍(302)을 닫기 위해 폐쇄된다. 셔터(301)에 대해 플러그(303a)를 가압함으로써, 셔터(301)가 피벗부(306) 둘레를 회전하여 홀더(300)의 내부를 향해 개방된다. 플러그(303a)가 취출될 때, 셔터(301)는 스프링(305)의 복귀력(탄성력)에 의해 그의 원래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한다.
따라서, 제2 광전달 장치의 단점, 즉 외측 개방 셔터(201)의 수동 개방 및 폐쇄의 필요성과 크기의 증가가 제거된다.
그러나, 제3 광전달 장치는 다음과 같은 미해결 문제점을 갖고 있다.
상기 도시된 광섬유 케이블(303)의 플러그(303a)는 정방형이고, 각각 반원형 부분을 갖고 있는 한 쌍의 벨트형 돌출부(결합 돌출부(303b, 도13b))가 제공된다. 더욱이, 도14a와 도14b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 반원형 부분을 갖고 있는 한 쌍의 홈(결합홈: 307)이 돌출부(303b)와 결합하기 위해 광전달 장치의 플러그 삽입 구멍(302)의 대향 내측벽들 내에 제공된다. 도14a와 도14b는 제3 광전달 장치의 플러그 삽입 구멍의 개방 단부로부터 보았을 때의 정면도이고, 이들 모두는 각각 셔터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와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돌출부(303b)들은 홀더(300) 내에 수용되어 있는 광소자(304)와 광이 송출되는 (또는 수신되는) 광섬유 케이블(303) 플러그(303a)의 에지가 광결합되는 데 필요한 위치로 플러그(303a)를 삽입하기 위해 홈(307)들과 결합된다.
플러그(303a)는 그의 에지가 광소자와 접촉할 때까지 홀더(300)의 플러그 삽입 구멍(302) 내로 삽입된다. 그러므로, 광섬유 케이블(303)이 돌출부(303b)와 같이 좁아지면, 플러그(303a)의 에지와 광소자의 렌즈가 손상되고, 이는 광전달을 악화시킨다.
제3 광전달 장치에서, 스프링(305)의 축은 도15a 및 도15b에 도시된 것처럼 셔터(301)의 피벗부(306)에 대응한다. 더욱이, 도13a에 도시된 것처럼, 피벗부(306)를 덮고 있는 셔터(301)의 일부는 플러그 삽입 구멍의 개방 단부로부터 보았을 때 노출되어 있다. (도15a 및 도15b는 제3 광전달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15a는 플러그(303a)가 완전히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15b는 플러그(303a)가 플러그 삽입 구멍의 중간에서 삽입되거나 취출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따라서, 플러그(303a)의 에지가 플러그(303a)를 삽입하기 위해 피벗부(306)를 덮고 있는 셔터(301)에 대해 가압되면, 과도한 하중이 피벗부(306)에 작용하고, 이는 피벗부(306)를 파손시킬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취출되었을 때 보관되어야 하는 보호캡을 사용하지 않고서 먼지와 이물질이 플러그 삽입 구멍으로 들어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광전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를 갖는 광섬유 케이블과 광섬유 케이블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 구멍을 갖는 홀더를 포함하고, 홀더는 플러그 삽입 구멍 내에 삽입된 플러그가 광소자와 광결합되도록 적어도 광을 송출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플러그 삽입 구멍 내에 노출되어 있는 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전달 장치에 있어서, 결합 돌출부가 플러그의 외측 표면 상에 제공되고, 돌출부와 대응하는 결합홈이 플러그 삽입 구멍의 벽 상에 제공되고, 플러그 삽입 구멍을 폐쇄하기 위한 셔터가 제공되고, 셔터는 홈 내의 선택 지점과 선택 지점에 정확하게 대향된 플러그 삽입 구멍의 벽 상의 지점으로 이루어진 선에 대체로 수직 또는 평행하게 연장되는 피벗부 둘레에서 회전함으로써 플러그 삽입 구멍의 내부에서 개방 및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달 장치가 제공된다.
이렇게 구성된 광전달 장치에서, 셔터는 홈 내의 선택 지점과 선택 지점에 대향된 플러그 삽입 구멍의 벽 상의 지점으로 이루어진 선에 대체로 수직 또는 평행하게 연장되는 피벗부 둘레에서 회전함으로써 플러그 삽입 구멍 내부에서 개방 및 폐쇄된다. 따라서, 플러그 삽입 구멍은 셔터에 의해 덮여서 종래 기술 장치에 사용된 보호캡을 사용하지 않고서 먼지와 이물질로부터 확실하게 보호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서 주어지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확실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으로만 주어진 것이고,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본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전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2a와 도2b는 각각 셔터가 폐쇄 및 개방되어 있을 때, 플러그 삽입 구멍의 입구로부터 보았을 때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전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3a와 도3b는 각각 셔터가 폐쇄 및 개방되어 있을 때, 도1의 선A-A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4a는 도2a에 도시된 선B-B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고, 도4b는 셔터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2a에 도시된 스프링의 코일 부분을 분할하는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5a와 도5b는 실시예에 따른 광전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광전달 장치의 상부의 단면도.
도6은 실시예에 따른 광전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광전달 장치의 상부의 단면도.
도7은 입구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단일 홈을 갖는 원형 플러그 삽입 구멍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8a와 도8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1 광전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9a와 도9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1 광전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10a와 도10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2 광전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11a와 도1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2 광전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12a와 도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전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13a와 도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전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14a와 도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전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15a와 도1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전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16a 내지 도16f는 장치와 광섬유 케이블 플러그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목적으로 주홀더에 제공된 지지 칼럼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여기서 도16a는 도1에 대응하고, 도16b는 도2a에 대응하고, 도16c는 도3a에 대응하고, 도16d는 셔터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16b에 도시된 선B-B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고, 도16e는도3b에 대응하고, 도16f는 셔터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16b에 도시된 선 C-C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 주홀더
10b : 부홀더
11, 201, 301 : 셔터
12, 102, 202, 302 : 플러그 삽입 구멍
13, 203, 303 : 광섬유 케이블
13a, 203a, 303a : 플러그
14, 304 : 광소자
100, 200, 300 : 홀더
본 발명에 따른 광전달 장치는 광섬유 케이블과 홀더를 포함한다. 광섬유 케이블은 플러그를 갖는다. 플러그는 통상적으로 대체로 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그러나, 플러그의 단면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삼각형,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일 수 있다.
홀더는 광섬유 케이블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 구멍을 구비한다. 플러그 삽입 구멍의 단면은 광섬유 케이블의 플러그의 단면에 따라서 선택된다. 홀더는 그 안에 적어도 광을 수신하거나 송출하기 위한 광소자를 수용한다. 즉, 광소자는 플러그 삽입 구멍의 가장 내측에 위치되어, 그의 일부는 플러그 삽입 구멍 내에 노출된다. 플러그가 플러그 삽입 구멍 내로 삽입될 때, 플러그의 에지는 광소자의 노출 표면과 접촉하여 광결합을 이룬다.
플러그의 외측 표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결합을 위해 제공된다.돌출부는 광섬유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플러그 표면 상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선들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의 단면은 대체로 정사각형, 반원형 등일 수 있다.
플러그 삽입 구멍의 벽 상에 돌출부와 결합하는 홈이 형성된다. 홈의 위치, 개수, 형상, 크기는 돌출부에 상응하도록 결정된다. 플러그와 플러그 삽입 구멍은 돌출부를 홈 내로 삽입함으로써 서로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전달 장치에서, 플러그 삽입 구멍을 덮기 위한 셔터가 제공된다. 셔터는 플러그 삽입 구멍 내에서 특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피벗부 둘레에서 회전한다. 즉, 셔터는 내측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셔터의 피벗부는 두 가지 종류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된다.
피벗부들 중 하나는 홈 내의 선택 지점과 선택 지점에 정확히 대향한 플러그 삽입 구멍의 벽 상의 지점으로 이루어진 선(홈에 직교하는 선)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선이다. 셔터가 이러한 피벗부 둘레를 회전함으로써 개방되면, 적어도 홈의 일부가 셔터에 의해 덮인다.
다른 피벗부는 홈에 직교하는 선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선이다. 셔터가 이러한 피벗부 둘레에서 회전함으로써 개방되면, 전체 홈이 노출되어 유지된다.
본 발명에서, 플러그 삽입 구멍의 개방 단부에서 폐쇄된 홈의 단부 또한 셔터에 의해 덮이는 것이 양호하다. 즉, 셔터는 양호하게는 셔터의 개방/폐쇄를 방해하지 않고 이동하는 홈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볼록부 등을 가지며, 셔터가 완전히 폐쇄되었을 때 홈의 개방 단부를 덮는다. 이러한 구조는 홈의 개방 단부 또한 셔터에 의해 덮이므로 먼지와 이물질에 대해 플러그 삽입 구멍을 더욱 확실하게 보호한다.
본 발명의 광전달 장치에서, 셔터는 양호하게는 셔터가 개방되어 플러그가 플러그 삽입 구멍 내로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가 셔터의 홈을 따라 안내되도록 플러그의 돌출부와 결합하는 홈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플러그는 플러그 삽입 구멍의 소정 위치 내에 삽입되어 광소자와 광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피벗부를 덮는 셔터의 전방부는 양호하게는 플러그 삽입 구멍의 개방 단부로부터 내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플러그의 에지가 셔터를 밀어서 개방시키더라도, 에지는 피벗부를 덮는 셔터의 전방부와 접촉하지 않고 따라서 피벗부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광전달 장치는 양호하게는 플러그 삽입 구멍으로부터의 플러그의 취출에 의해 폐쇄되는 플러그 삽입 구멍 내로 플러그가 삽입되기 때문에 셔터가 개방되어 있는 것을 가능케 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는 플러그의 삽입/취출에 따라서 셔터를 개방/폐쇄되게 한다.
본 발명의 광전달 장치 내의 탄성 부재는 양호하게는 한 쌍의 아암을 갖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고, 셔터를 폐쇄시키는 방향을 향해 셔터를 연속적으로 편향시키기 위하여 아암들 중 하나는 셔터의 후방 표면과 접촉하고 다른 하나는 홀더와 접촉한다. 따라서, 셔터는 간단하고 저렴한 구성요소인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사용해서 성공적으로 개방되고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전달 장치는 양호하게는 플러그의 삽입 정도를 제한하기 위해플러그 삽입 구멍 내에 블럭을 포함한다. 블럭(맞닿음 부재)에 의하여, 플러그 삽입의 정도가 홀더의 형상에 관계없이 결정될 수 있다.
블럭은 예를 들어 플러그 삽입 구멍의 가장 내측에 위치된 광소자의 측면, 하부 또는 상부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셔터의 피벗부가 홈에 직교하는 선에 대체로 수직이면, 셔터를 개방/폐쇄시키기 위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부착되어 있는 홀더의 측면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구조 때문에 개방되어야 한다.
이렇게 개방된 홀더(주홀더(10a))의 측면을 덮기 위해, 부홀더(10b)가 주홀더(10a)와 결합된다. 본 발명의 홀더는 주홀더(10a)와 부홀더(10b)를 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도2). 그러나, 이렇게 결합된 홀더에서는, 플러그 삽입 구멍 내에 삽입된 광섬유 케이블과 홀더 사이에서 일정한 결합력(EIAJ RC-5720)을 얻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만족할 만한 결합력이 플러그의 삽입 시에 얻어지도록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부착되어 있는 측면에 지지 칼럼(400, 도16d)을 제공하는 것이 양호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될 것이다.
도1 내지 도4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전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도1은 광전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2a와 도2b는 각각 셔터가 폐쇄 및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플러그 삽입 구멍의 개방 단부로부터 보았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3a와 도3b는 각각 셔터가 폐쇄 및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1에 도시된 선A-A를따라서 취한 광전달 장치의 상부의 단면도이다. 도4a는 셔터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2a의 선B-B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4b는 셔터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2a에 도시된 스프링의 코일 부분을 분할하는 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전달 장치는 적어도 광을 송출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광소자(14)와, 그 안에 광소자(14)를 포함하는 홀더(주홀더(10a)와 부홀더(10b))를 포함한다. 광섬유 케이블(13)의 플러그(13a)는 플러그(13a)와 광소자(14)가 광결합되도록 홀더 내의 플러그 삽입 구멍(12) 내에 삽입된다. 플러그(13a)의 측면 상에 벨트형 결합 안내 돌출부(13b)가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13b)와 결합하는 안내홈(17)이 플러그 삽입 구멍(12)의 벽 상에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셔터(11)가 안내홈(17) 내의 선택 지점과 선택 지점에 정확하게 대향한 플러그 삽입 구멍(12)의 벽 상의 지점으로 이루어진 선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피벗부(16) 둘레에서 회전함으로써 플러그 삽입 구멍(12)의 내부에서 개방/폐쇄되도록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광섬유 케이블(13)의 플러그(13a)는 정방형이다. 단면으로 보았을 때, 안내 돌출부(13b)는 서로에 대해 대향한 한 쌍의 측면들(오른쪽 및 왼쪽 표면들) 상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볼록한 후크(13c)가 다른 한 쌍의 측면들(상부 및 하부 표면) 상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안내 돌출부(13b)에 대응하는 안내홈(17)은 플러그 삽입 구멍(12)의 서로에 대해 대향한 한 쌍의 벽들 상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셔터(11)가 회전하는 피벗부(16)는 플러그 삽입 구멍(12)의 벽들 상에 형성되어 서로에 대해 대향한 한 쌍의 안내홈(17)들을 연결시키는 선에 대체로 수직이다. 볼록한 후크(13c)와 결합하는 한 쌍의 오목한 후크(18)가 플러그 삽입 구멍(12)의 서로에 대해 대향한 다른 한 쌍의 벽들 상에, 즉 안내홈(17)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홀더는 광소자(14)를 유지하기 위한 주홀더(10a)와, 플러그 삽입 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 주홀더(10a)의 전방에서 주홀더(10a)와 결합되는 부홀더(10b)로 형성된다.
도1에서 외형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광소자(14)의 선단부 단자(14a)가 노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광전달 장치에 따르면, 플러그 삽입 구멍의 개방 단부에서 개방되어 있는 안내홈(17)들의 단부들은 셔터(11)가 도2a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폐쇄되면 닫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셔터(11)는 도2a 및 도4b에 도시된 것처럼 안내 돌출부(13b)와 결합하는 안내홈(11a)을 구비한다.
더욱이, 피벗부(16)를 덮는 셔터(11)의 전방부는 플러그 삽입 구멍(12)의 개방 단부(입구)로부터 내측에, 즉 부홀더(10b) 내에 위치된다. 즉, 플러그 삽입 구멍(12)의 입구로부터 보았을 때, 피벗부(16)는 부홀더(10b)에 의해 덮여서 보호된다. 따라서, 피벗부(16)는 상기 언급된 종래 기술의 제3 광전달 장치에서 플러그의 삽입 시에 플러그(13a)를 피벗부(16)에 대해 가압함으로써 작용하는 하중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광전달 장치에 따르면, 셔터(11)와 셔터의 피벗부(16)는 단일편으로 형성된다. 도4b에 도시된 것처럼, 피벗부(16)는 셔터(11)를 지지하기 위해 부홀더(10b) 상에 형성된 베어링과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광전달 장치는 광섬유 케이블(13) 플러그(13a)의 삽입에 의해 개방된 셔터(11)를 플러그(13a)를 취출함에 따라서 폐쇄시키기 위한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15)을 포함한다. 스프링(15)은 한 쌍의 아암을 포함하고, 아암들 중 하나는 셔터(11)의 후방 표면과 접촉하고 다른 하나는 부홀더(10b)와 접촉한다. 스프링(15)은 셔터를 폐쇄시키는 방향을 향해 셔터를 편향시키기 위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다. 스프링(15)의 아암들은 길이가 대체로 동일하다.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것처럼, 스프링(15)의 아암들은 셔터(11)의 피벗부(16)에 대체로 평행한 피벗부(6) 둘레에서 회전한다. 스프링(15)의 아암들은 셔터(11)의 후방 표면 및 부홀더(10b)와 접촉하는 아크 형상의 말단부를 각각 갖는다.
상기 언급된 실시예의 광전달 장치에 따르면, 광소자(14)는 주홀더(10a) 내에 포함된다. 부홀더(10b) 내에 제공된 플러그 삽입 구멍(12)은 장치가 사용되지 않을 때 셔터(11)에 의해 덮인다. 셔터(11)는 광섬유 케이블(13) 플러그(13a)의 삽입에 따라서 셔터의 측면에 제공된 수직 피벗부 둘레에서 회전함으로써 내측으로 개방된다. 플러그(13a)는 플러그(13a)의 대향 측면들 상에 형성된 한 쌍의 안내 돌출부(13b)와, 플러그 삽입 구멍(12)의 대향 벽들 상에 형성된 한 쌍의 안내홈(17)들과, 셔터(11)에 제공된 안내홈(11a)들에 의해 소정의 위치로 끼워진다. 플러그(13a)는 플러그(13a)의 다른 대향 측면들 상에 형성된 한 쌍의 볼록한 후크(13c)와 플러그 삽입 구멍(12)의 다른 대향 벽들 상에 형성된 한 쌍의 오목한 후크(18)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결합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광결합은 광소자(14)와 광이 송출되는 (또는 수신되는) 플러그(13a)의 에지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사용 후에 플러그(13a)가 취출되면, 셔터(11)의 후방 표면과 접촉하는 스프링(15)의 아암이 피벗부(6) 둘레에서 회전하고, 그 다음 셔터(11)가 아암의 복귀력(탄성력) 하에서 부홀더(10b)의 내측 표면과 접촉하도록 피벗부(16) 둘레에서 회전한다. 따라서, 플러그 삽입 구멍(12)이 자동으로 폐쇄된다.
상기 설명된 것처럼, 셔터(11)는 광섬유 케이블(13) 플러그(13a)의 삽입/취출에 따라서 자동으로 개방/폐쇄될 수 있다.
셔터(11)가 플러그 삽입 구멍(12)을 덮으면, 플러그 삽입 구멍의 입구의 개방되어 있는 안내홈(17)들의 단부들 또한 덮인다. 그러므로, 제3 광전달 장치 내의 그러한 위치에서 관찰되는 개구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광소자(14)와 광섬유 케이블(13)의 플러그(13a) 사이의 광/기계 결합부는 먼지, 기판 조립 공정에서 사용된 융제, 다른 이물질로부터 확실하게 보호된다.
더욱이, 스프링(15)이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서 비교적 견고한 구조를 필요로 하거나 크기가 증가될 수 있는 스프링(15)의 피벗부(6)가 주홀더(10a) 내부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측면에서 보았을 때 플러그 삽입 구멍 근처의 홀더의 크기가 종래 기술의 제3 광전달 장치만큼은 증가되지 않고, 따라서 홀더가 보호캡이 없이도1a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 기술의 제1 광전달 장치와 거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셔터(11)는 안내홈(11a)을 갖지만 종래 기술의 제3 광전달 장치와 같은 오목한 후크는 형성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플러그(13a)의 삽입/취출 시에 셔터(11)의 피벗부(16)에 가해지는 하중이 크게 감소된다. 따라서, 플러그(13a)는 피벗부(16)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면서 매끄럽게 삽입/취출된다.
더욱이, 스프링(15)의 아암들의 말단부들은 플러그(13a)의 매끄러운 삽입/취출을 실현하기 위해 아크 형상(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스프링(15)의 피벗부(6)가 셔터(11)의 피벗부(16)에 대응하지 않으므로, 말단부는 셔터(11)의 후방 표면을 따라 활주한다. 아크 형상에 의해, 말단부는 셔터를 긁지 않고서 매끄럽게 활주할 수 있고, 따라서 플러그(13a)의 매끄러운 삽입/취출이 실현된다.
플러그(13a)의 매끄러운 삽입/취출을 위해, 스프링(15)의 아암들이 이동되는 활주홈이 셔터(11)의 후방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고, 후방 표면은 거울 연마될 수 있다.
그 다음, 본 실시예의 광전달 장치의 구조가 도5a, 도5b, 도6에 도시된 상부의 단면도를 참조해서 설명될 것이다.
도5a에 도시된 것처럼, 광소자(14)는 주홀더(10a) 내에 수용되어 있고, 스프링(15)은 스프링(15)의 코일 부분을 삽입함으로써 피벗부(6)에 부착된다. 스프링(15)의 아암들이 동일한 길이를 가지므로, 종래 기술의 제3 광전달 장치에서 발생하는 스프링(15)의 잘못된 삽입이 방지된다. 피벗부(6)는 금속 등으로 만들어진 분리된 부재일 수 있거나, 또는 수지 재료 등을 사용해서 주홀더(10a)와 단일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피벗부와 단일편으로 형성된 셔터(11)는 방향(X)을 따라서 부홀더(10b)에 제공된 베어링과 피벗부를 결합시킴으로써 부홀더(10b)에 부착된다. 그 다음, 셔터(11)에 부착된 부홀더(10b)는 방향(Y)을 따라서 주홀더(10a)와 결합된다.
이러한 경우에, 스프링(15)이 제어가 불가능하게 회전하도록 구성되면, 스프링(15)의 아암들이 역전되어 올바른 부착이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15)의 아암들의 피벗식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 수단(20)이 스프링(15)의 아암들 사이에서 홀더(10a)에 제공된다. 도5b에 도시된 것처럼, 셔터(11)의 후방 표면과 접촉하는 스프링(15)의 아암들 중 하나의 피벗식 이동은 제한 수단(20) 상에 맞닿음으로써 제한되고, 따라서 스프링(15)의 아암들이 역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주홀더(10a)와 부홀더(10b)는 올바른 방향으로 고정된 스프링(15)과 함께 맞춰질 수 있다.
제한 수단(20)은 또한 셔터(11)의 개방도를 제한하는 기능을 갖는다. 셔터(11)가 플러그(13a)의 삽입에 의해 개방되면, 셔터(11)의 후방 표면과 접촉하는 스프링(15)의 아암은 제한 수단(20) 상에 맞닿게 되어 그의 이동이 정지된다. 즉, 셔터(11)의 개방도가 제한된다. 따라서, 플러그(13a)가 경사진 방향을 따라 삽입되더라도, 셔터(11)가 과도한 하중을 받는 것이 방지되고, 이는 적절한 위치로의 플러그(13a)의 삽입을 가능케 한다.
더욱이, 스프링(15)이 도6에 도시된 것처럼 부적절하게 부착된 경우도 있을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부홀더(10b)가 주홀더(10a)와 결합되었을 때 스프링(15)의 아크형 말단부에 의해 포착되거나, 또는 셔터(11)가 폐쇄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장치에 이상이 있다는 것을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셔터 기능이 불완전한 장치의 제조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안내홈을 갖는 광섬유 케이블(13)의 정방형 플러그(13a)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플러그 삽입 구멍의 입구로부터 보았을 때의 정면도를 도시하는 도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단일 안내홈(27)을 갖는 원형 플러그 삽입 구멍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셔터는 안내홈(17) 내의 선택 지점과 선택 지점에 대향한 플러그 삽입 구멍(22)의 벽 상의 지점으로 이루어진 선에 수직인 피벗부(26a 또는 26b) 둘레에서 회전한다. 이러한 구조의 광전달 장치는 셔터가 폐쇄되었을 때 개구가 남지 않도록 셔터의 표면이 플러그 삽입 구멍의 원형 형상과 일치하게 만곡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언급된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내 돌출부 및 안내홈의 단면은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된 반원형으로 제한되지 않고, V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광전달 장치에서, 홀더 내로의 광섬유 케이블의 삽입은 홀더(300, 도13)의 형상에 관계없이 일정 정도로 제한된다.
그러므로, 플러그(303a)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된 블럭(302a)이 도13에 도시된 플러그 삽입 구멍(302) 내부에서 하부에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는 홈들이 광섬유 케이블 플러그의 측면들 상에 제공된 벨트형 돌출부들에 대응하도록 플러그 삽입 구멍의 벽들 상에 제공되어 있으며, 플러그 삽입 구멍 내의 홈 내의 선택 지점과 선택 지점에 대향한 플러그 삽입 구멍의 벽 상의 지점으로 이루어진 선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피벗부 둘레에서 회전함으로써 플러그 삽입 구멍의 내부에서 개방/폐쇄되는 셔터가 제공되어 있는 광전달 장치에 적용된다.
홈들이 광섬유 케이블 플러그의 측면들 상에 제공된 벨트형 돌출부들에 대응하도록 플러그 삽입 구멍의 벽들 내에 제공되어 있으며, 플러그 삽입 구멍 내의 홈 내의 선택 지점과 선택 지점에 대향한 플러그 삽입 구멍의 벽 상의 지점으로 이루어진 선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피벗부 둘레에서 회전함으로써 플러그 삽입 구멍의 내부에서 개방/폐쇄되는 셔터가 제공되어 있는 광전달 장치에서, 플러그(13c)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블럭(12c)들이 도2 및 도3에 도시된 플러그 삽입 구멍(12) 내부에서 측부에 제공된다.
홈들이 광섬유 케이블 플러그의 측면들 상에 제공된 벨트형 돌출부들에 대응하도록 플러그 삽입 구멍의 벽들 상에 제공되어 있으며, 플러그 삽입 구멍 내의 홈 내의 선택 지점과 선택 지점에 대향한 플러그 삽입 구멍의 벽 상의 지점으로 이루어진 선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피벗부 둘레에서 회전함으로써 플러그 삽입 구멍의 내부에서 개방/폐쇄되는 셔터가 제공되어 있는 광전달 장치에서, 주홀더(10a)와 부홀더(10b)를 결합시킴으로써 홀더가 제공되고, 부홀더(10b)와 지지 칼럼(400, 도16d)이 주홀더(10a)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호캡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먼지와 이물질이 플러그 삽입 구멍으로 들어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광전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플러그를 갖는 광섬유 케이블과 광섬유 케이블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 구멍을 갖는 홀더를 포함하고, 홀더는 플러그 삽입 구멍 내에 삽입된 플러그가 광소자와 광결합되도록 적어도 광을 송출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플러그 삽입 구멍 내에 노출되어 있는 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전달 장치에 있어서,
    결합 돌출부가 플러그의 외측 표면 상에 제공되고, 돌출부와 대응하는 결합홈이 플러그 삽입 구멍의 벽 상에 제공되고, 플러그 삽입 구멍을 폐쇄하기 위한 셔터가 제공되고,
    셔터는 홈 내의 선택 지점과 선택 지점에 정확하게 대향된 플러그 삽입 구멍의 벽 상의 지점으로 이루어진 선에 대체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피벗부 둘레에서 회전함으로써 플러그 삽입 구멍의 내부에서 개방 및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플러그 삽입 구멍의 입구의 결합홈의 개방 단부 또한 셔터가 폐쇄되었을 때 셔터에 의해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셔터는 셔터가 개방되었을 때 돌출부가 홈을 따라 안내되며 플러그가 플러그 삽입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돌출부에 대응하는 결함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피벗부에 대응하는 셔터의 전방부는 홀더의 플러그 삽입 구멍의 입구로부터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플러그 삽입 구멍 내로의 플러그의 삽입에 의해 개방된 셔터를 플러그 삽입 구멍으로부터의 플러그의 취출에 따라서 폐쇄시키기 위한 탄성 부재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는 한 쌍의 아암을 갖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고, 셔터가 셔터를 폐쇄시키는 방향을 향해 편향되도록 아암들 중 하나는 셔터의 후방 표면과 접촉하고 다른 하나는 홀더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플러그 삽입 구멍 내로의 플러그의 삽입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블럭이 플러그 삽입 구멍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플러그의 삽입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블럭은 플러그 삽입 구멍의 가장 내측 부분의 측부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달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6항에 있어서, 플러그 삽입 구멍 내로의 플러그의 삽입 시에 소정의 결합력이 얻어지도록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부착되어 있는 표면에 지지 칼럼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달 장치.
  12. 플러그를 갖는 광섬유 케이블과 광섬유 케이블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 구멍을 갖는 홀더를 포함하고, 홀더는 플러그 삽입 구멍 내에 삽입된 플러그가 광소자와 광결합되도록 적어도 광을 송출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플러그 삽입 구멍 내에 노출되어 있는 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전달 장치에 있어서,
    결합 돌출부가 플러그의 외측 표면 상에 제공되고, 돌출부와 대응하는 결합홈이 플러그 삽입 구멍의 벽 상에 제공되고, 플러그 삽입 구멍을 폐쇄하기 위한 셔터가 제공되고,
    셔터는 홈 내의 선택 지점과 선택 지점에 정확하게 대향된 플러그 삽입 구멍의 벽 상의 지점으로 이루어진 선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피벗부 둘레에서 회전함으로써 플러그 삽입 구멍의 내부에서 개방 및 폐쇄되고,
    플러그 삽입 구멍 내로의 플러그의 삽입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블럭이 플러그 삽입 구멍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플러그의 삽입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블럭은 플러그 삽입 구멍의 가장 내측 부분의 하부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달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플러그의 삽입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블럭은 플러그 삽입 구멍의 가장 내측 부분의 상부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달 장치.
KR10-2001-0009427A 2000-02-25 2001-02-24 광전달 장치 KR100395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48806 2000-02-25
JP2000048806A JP3501712B2 (ja) 2000-02-25 2000-02-25 光伝送装置
JP2000238586A JP3916384B2 (ja) 2000-08-07 2000-08-07 光伝送装置、この光伝送装置を用いたav機器および光データ伝送機器
JP2000-238586 2000-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5558A KR20010085558A (ko) 2001-09-07
KR100395857B1 true KR100395857B1 (ko) 2003-08-27

Family

ID=26586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427A KR100395857B1 (ko) 2000-02-25 2001-02-24 광전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481902B2 (ko)
KR (1) KR100395857B1 (ko)
TW (1) TW4956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0845A (ja) * 2001-02-23 2002-09-06 Hosiden Corp シャッタ付き光コネクタ
US6688780B2 (en) * 2002-02-07 2004-02-10 Amphenol Corporation Cantilevered shutter for optical adapter
JP3895233B2 (ja) * 2002-08-15 2007-03-22 ホシデン株式会社 光コネクタ用ソケット
US7144163B2 (en) * 2003-01-27 2006-12-05 Fujikura Ltd. Optical connector with shutter, shutter unit, and inner piece
JP4058394B2 (ja) * 2003-07-10 2008-03-05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コネクタのレセプタクル、光コネクタ、並びに電子機器
TWI240095B (en) * 2003-10-14 2005-09-21 Lite On Technology Corp Fiber optical connector
CN2667511Y (zh) * 2003-11-06 2004-12-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光纤连接器
CN2674471Y (zh) 2003-12-06 2005-01-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光纤连接器
JP4084764B2 (ja) 2004-03-12 2008-04-30 ホシデン株式会社 シャッター付き光コネクタ
JP4216229B2 (ja) 2004-07-06 2009-01-28 シャープ株式会社 光伝送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6994476B1 (en) * 2004-08-09 2006-02-07 Johnson Yang Dual-use coaxial optical fiber connector
CN201130260Y (zh) * 2007-11-09 2008-10-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光纤连接器
TWI415342B (zh) * 2011-01-14 2013-11-11 Dan Chief Entpr Co Ltd 網路插座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1859A (ja) 1993-05-25 1994-12-02 Sharp Corp 光伝送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081647A (en) * 1998-01-05 2000-06-27 Molex Incorporated Fiber optic connector receptacle
JP3440022B2 (ja) 1998-04-20 2003-08-25 ホシデン株式会社 光コネクタのソケット
US6076975A (en) * 1998-10-15 2000-06-20 Molex Incorporated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US6283640B1 (en) * 1999-04-01 2001-09-04 Lucent Technologies Inc. Tunable optical fiber buildout
US6425694B1 (en) * 2000-09-18 2002-07-30 Molex Incorporated Fiber optic receptacle with protective shu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81902B2 (en) 2002-11-19
KR20010085558A (ko) 2001-09-07
TW495624B (en) 2002-07-21
US20010017966A1 (en) 200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4280B1 (ko) 광섬유 커넥터 리셉터클
KR100395857B1 (ko) 광전달 장치
JP3294208B2 (ja) カップリングアダプタとダストカバーの組み合わせ体
EP0613030B1 (en) Optical fiber connector
US5825955A (en) Fiber optic diversion connector
KR100418841B1 (ko) 보호 셔터를 포함한 광섬유 리셉터클
US6685362B2 (en) Shielded adapter assembly
EP0697607B1 (en) Fiber optic component assembly with a movable protective shield
US7542732B2 (en) Dustproof and pluggabe transceiver
US4779950A (en) Connection apparatus for optical fibers
US4673242A (en) Movable closure for optical elements
JP4328711B2 (ja) 光コネクタプラグ及び光コネクタ
US20210018699A1 (en) In-line hinged dust shutter assembly for a fiber optic connector
WO2006076062A2 (en) Ultra-small, form factor single fiber optical interconnect system, with push-push type insertion/withdrawal mechanism and shuttered modular connector and shuttered adapter and method for using same
US6340246B1 (en) Optical connector with shutter
KR19990076586A (ko) 광섬유 케이블 클리너
CA1235319A (en) Movable closure for optical elements
JP2004516507A (ja) 光学インタフェースへのアクセス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5092082A (ja) 光ファイバプラグおよび光ファイバコネクタ
JP3501712B2 (ja) 光伝送装置
CN103885129B (zh) 一种光纤连接器
US11385425B2 (en) Optical module assembly
JP2005266057A (ja) シャッタ付光コネクタプラグ及び光コネクタアダプタ
WO2017081298A1 (en) Shutter system for a fiber optic adapter
JPS63169605A (ja) 光ファイバ・タッ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