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650B1 - 투명 한방탕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투명 한방탕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650B1
KR100395650B1 KR10-2000-0048016A KR20000048016A KR100395650B1 KR 100395650 B1 KR100395650 B1 KR 100395650B1 KR 20000048016 A KR20000048016 A KR 20000048016A KR 100395650 B1 KR100395650 B1 KR 100395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bal medicine
medicine
transparent
liquid solution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4627A (ko
Inventor
이정언
김병호
채기원
Original Assignee
(주)중앙에이치아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중앙에이치아이에스 filed Critical (주)중앙에이치아이에스
Priority to KR10-2000-0048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5650B1/ko
Publication of KR20020014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6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약(韓方藥)을 가압 증류ㆍ추출하여 한약(韓藥)을 투명(TRANSPARENCY)하고, 쓴맛과 역겨운 맛을 제거하여 복용하기 좋은 상태로 제형(劑型)과 성상(性狀)을 개선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한방탕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한약은 주로 탕제로 복용하는 방법이 보편적이었으나, 본 발명은 한약재로부터 유효성분을 가압 증류ㆍ추출에 의하여 회수한 후 이를 다시 필터링부로 이송하여 중금속 등의 불순물이나 농약성분 등의 유해성분을 제거한 투명 한방탕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한방탕제에서는 기대할 수 없었던 휘발성의 약효성분까지도 회수할 수 있고, 체내에 흡수가 빠르며 복용이 편리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Description

투명 한방탕제 및 그 제조방법{THE PELLUCIDITY HERB REMEDY AND HERB REMEDY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은 각종 처방의 한방약(韓方藥)을 증류·추출하여 얻어진 투명 한방 탕제(湯劑)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처방의 한방약을 가압(加壓)증류하여 약효는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투명하고 냄새가 엷으며 맛이 순하여 마시기 좋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탕제에 함유될 수 있는 각종의 중금속, 농약 등의 독성 물질의 함량을 허용치 이하로 감소시킨 투명 한방탕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의학은 천지간의 만물(萬物)을 오운(五運)과 육기(六氣)의 변화에 따라 생장수장(生長收藏)하는 유기체(有機體)로 보고, 이 유기체(有機體)는 오운(五運)과 육기(六氣)의 상생상극(相生相克)으로 변화하는 법칙에 지배된다고 믿고 있다. 한의학에서 인(人)과 약(藥)은 한가지 법에 지배되는 유기체이므로 질병의 진단과 처방은 오행의 상궤(常軌)내에서 부족한 것을 약으로 보(補)하고 지나친 것을 약으로 제(制)하며, 때로는 인체에 경혈(經穴)을 두드려 인체 각 기관의 신명(神明)을 활생(活生)시키는 기술(技術)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한의학은 자연(自然)에서 주어진 사물에서 약을 구하고, 그 성능을 파악하고, 병의 성질에 맞게 약의 이용을 도모하는 의학이므로 매우 정확한 이론과 관찰 및 경험이 필요한 의학이어서 관찰의 의학이라 하겠으며, 육기(六氣)에 응(應)하는 오행(五行)의 관점에서 인체기관(人體機關)의 신명(神明)을 조율(調律)하고 사기(邪氣 : 온갖 병의 기운)을 물리치는데 한방약(韓方藥)을 이용하고 있는 점에서 자연(自然)의 의학이며, 서양의학(西洋醫學)의 난치병을 동양의학(東洋醫學)이 담당하는 현실로 미루어 한의학적인 질병(疾病)의 해석과 처방이 생명현상(生命現狀)과 병인(病因)의 본질에 접근하는 의학이라고 할 수 있겠다.
한의학의 한방약은 자연에서 주어진 사물의 약성(藥性)을 선별하여, 조화시켜 놓은 것으로서 약성을 인체에 진입시키는 방법으로는 내복약(內服藥)의 형태, 피부에 바르는 외용연고(外用軟膏)의 형태, 가루를 코 속에 불어넣는 통관법(通關法), 항문이나 질에 약을 거치시키는 좌약 등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주로 내복약으로 많이 쓰여왔다. 내복약 중에는 탕제(湯劑), 환제(丸劑), 산제(散劑), 고제(膏劑), 최근 개발된 엑기스제 등이 있으나 가장 흔히 쓰이는 형태는 역시 탕제(湯劑)라 하겠다.
아래 인용된 한방약은 허준 선생의 동의보감(東醫寶鑑) 소아문(小兒門)에 기록된 각종 한방약의 처방 및 사용법 중 일부를 예시한 것으로서 처방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한약이 사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팔물탕(加味八物湯)]
인삼(人蔘), 백출(白朮), 백복령(白茯芩), 감초(甘草), 숙지황(熟地黃), 백작약(白芍藥), 당귀(當歸), 천궁(川芎) 각각(各各) 6g
위의 약을 달여 먹으면 기(氣)와 혈(血)이 허(虛)한 것을 다스린다.
[생지황탕(生地黃湯)]
생지황(生地黃), 함박꽃뿌리(적작약:赤芍藥), 궁궁이(천궁:川芎), 당귀(當歸), 하늘타리뿌리(과루인:瓜蔞仁) 각각(各各)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유모가 끼니 뒤에 먹고 어린이에게 젖을 먹인다. 겸(兼)해서 약을 아이에게 조금 먹인다.
[청위양비탕(淸胃養肥湯)]
석고(石膏) 4g, 귤껍질, 흰삽주(백출:白朮), 벌건솔풍령(적복령:赤茯芩), 감초(甘草), 속썩은풀(황금:黃芩) 각각(各各)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때때로 먹인다.
[생료사물탕(生料四物湯)]
생지황(生地黃), 함박꽃뿌리(적작약:赤芍藥), 궁궁이(천궁:川芎), 당귀(當歸), 방풍(防風) 각각(各各) 1.2g, 속썩은풀(황금:黃芩), 박하(薄荷) 각각(各各)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
[이씨비아환(李氏肥兒丸)]
호황연(胡黃連) 18.5g, 황연(黃連), 신국(神), 맥아(麥芽) 각각(各各) 13g, 백복령(白茯芩), 노회(蘆蒼) 각각(各各) 9.3g
[흑안산(黑眼散)]
천황연(川黃蓮) 적당량을 화유증반(和乳蒸飯)해가지고 입안(人眼)한다.
[백호탕고(白虎湯膏)]
석고(石膏), 생지황(生地黃), 지모(知母), 택사(澤瀉), 각등분(各等分)
위의 약재를 달인 탕약을 가지고 경분(輕粉), 향유(香), 몰약(沒藥) 가루를 고(膏)로 만들어 농(膿)이 있는 환부(患部)에 부친다.
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한의약에 관련된 처방에는 다양한 사용법이 있었는데 최근에 들어와서는 주로 탕제의 형태로 복용하는 방법이 보편화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탕제를 만드는 방법은 첩약(貼藥)을 약탕기(藥湯器)에 물과 함께 넣어 불에 달인 다음, 짜내어 찌꺼기를 분리하여 얻는다. 상기 첩약들의 약성은 물에 넣어 불로 달이는 과정에서 약재성분(藥材性分)이 물에 녹아 탕제에 수렴되는 것이고, 복용되는 탕제의 성상은 대체로 갈색 또는 검은색으로서 색이 짙고 강한 맛과 향취를 지니게 되며, 탕제를 얻는 과정에서 약성분이 휘발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각종의 중금속 및 농약성분이 미량 포함되는 경우도 간혹 발생하고 있다.
투명 한방탕제의 제조에 관하여는 국내특허 공개번호 1999-0084003호에 투명탕제 및 그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위의 선행기술은 종래의 한약재 처방(또는 조성비)을 그대로 하여 전통 한방탕제를 얻은 후 물로 희석한 것이어서 단위 용량당 한약 성분이 미미하여 한약이라기 보다는 한방차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한약재의 배합비율이나 중금속이나 유해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에 대한 제한은 없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고문헌(古文獻)에서 제시한 금은화로(金銀花露)를 비롯한 노제(露劑)를 현대화시켜 투명 한방탕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발명하였다.본 발명은 탕제(湯劑)색이 짙고 취미(臭味) 또는 기미(氣味)가 강하여 병약자나 어린이들이 약을 복용하기에 불편하였던 점을 개선하고, 기존 약물추출방법으로 얻은 약성분(藥性分)은 흡수가 더디거나 흡수가 안 되어 소화장애를 일으키는 취약점을 개선하였으며, 또한 한약의 가격이 고가이어서 한약 이용 계층이 엷어지는 점을 지적하여 추출 수율을 향상시켜 보다 싼 값에 한방탕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한약(韓藥)과 중의학탕제(中醫學湯劑) 및 음용탕제(飮用湯劑), 열탕농축액(熱湯濃縮液) 또는 현탁액(懸濁液)을 포함한 기존의 한약탕제(韓藥湯劑)는 비과학적이기 때문에 휘발성 성분은 추출과정에서 휘발되어 회수가 불가능하거나 또는 아주 적은 량(量)만이 추출되는 단점이 있었는데, 본 발명에서 제안된 새로운 발명은 어떠한 한약탕제(漢藥湯劑)도 완벽하게 원방 탕제에 근접하는 필요한 약효 성분을 추출할 수 있으며 투명하고 냄새가 엷고, 맛이 순하게 성상(性狀)을 개선함으로써 누구나 마시기 쉽게 하여 한약을 가까이할 수 있게 하고, 한약의 가격을 낮출 수 있게 하여 한약의 이용 계층을 넓게 할 수 있는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을 통해 얻어진 투명 한방탕제를 제안하려는 것이다.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방의 관점에서 약효성분(藥效成分)의 흡수가 빠르도록 기존 한약의 취약점을 개선함에 있다. 구체적으로 기존탕약(旣存湯藥) 중에는 약재내(藥材內)에 불가결하게 포함된 이물질(異物質), 광물질(鑛物質) 같은 소화 흡수가 어려운 물질과 약에 필요치 않은 중금속, 농약 등의 독소가 미량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어 소화력이 약한 노인(老人), 소아(小兒), 병약자(病弱者)가 한약을 제대로 소화 흡수시킬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한약의 약성을 보다 깨끗하게 하고 안전하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의 약효성분추출방법(藥效成分抽出方法)은 기존에 약재를 달이는 방법이 질그릇으로 된 약탕기에 물과 약재를 넣고 가열온도나 시간에 관계없이 복용하기 좋은 양이 될 때까지 가열해서 탕액을 얻는 방법과 가압식탕전기(加壓式湯煎器)가 개발된 후 탕전기에 약재와 물을 넣고 가압(加壓)을 해 약재를 끓여 탕액을 얻는 방법이 있는데 현재는 이 두가지 방법이 보편화된 탕액(湯液)을 얻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이 두가지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첫째, 탕액(湯液)을 달이는 시간이나 온도가 정해져 있지 않아 끓이는 시간 및 온도에 따라 약효성분이 일정하지 않고 상이하다는 것이 있고, 둘째는 일반적인 약탕기에 약을 달이면 휘발성 약효성분이 기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세째는 가압식탕전기(加壓式湯煎器)에 약을 달이게 되면 그 압력으로 가열온도가 일정치 아니하여 약효성분이 원방탕제의 약효성분과 현저히 다르다는 것이고, 넷째는 치료(治療)에 사용되는 유효한 약효성분 이외에 치료(治療)에 방해가 되는 불필요한 약효성분이 상당량 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먼저 한약재의 조성비율에 대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기존의 군신좌사(君臣佐使) 약재배합방법에서 가장 많이 통용되고 있는 약재 조성 비율인 군(君) : 신(臣) : 좌(左) : 사(使)의 조성비가 3:2:1:1, 5:2:1:1 또는 1:1:1:1로 하여 탕액을 증류ㆍ추출하면 유효성분의 함량이 원방탕액(또는 전통탕액)에 비하여 차이가 있었으나, 약재 조성비를 3:1:1:1로 하였을 때에는 원방탕액(또는 전통탕액)과 유사한 함량의 유효 약효성분이 함유된 증류탕액을 회수할 수 있었다.군신좌사(君臣佐使)란 한방처방에서 약재의 작용에 따라 4가지로 갈라놓은 것을 종합해서 일컫는 것으로, 군약(君藥)은 주작용(主作用)을 나타내는 기본약(基本藥)으로서 주 질병을 치료하는 약을 의미한다. 신약, 좌약, 사약은 군약의 효과를 증대시키거나 합병증을 치료하기나 해독작용을 하는 등의 군약의 보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신약(臣藥)은 군약의 효과를 보완하여 주는 것이며, 좌약(佐藥)은 겸증(兼證)을 치료하는 약으로서 주약(主藥)으로 해결할 수 없는 합병증 또는 부차적인 증상을 치료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사약(使藥)은 보조약(輔助藥)으로서 주약(主藥)의 독작용(毒作用)을 덜어주고 약 맛을 좋게 하며 여러 가지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약을 의미한다.이하, 본 발명의 한약재(韓藥材) 배합방법(配合方法), 약효성분(藥效成分) 추출방법(抽出方法) 및 그 추출방법에 의해 얻어진 탕약(湯藥)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약재(군:신:좌:사)의 조성비를 3:1:1:1로 배합하여 조성하고, 이를 통상의 원방탕액을 얻는 방법으로 기본탕액을 얻은 다음, 상기 기본탕액을 가압증류기(오토 클레이브)에서 약 2기압의 압력하에서 3~4시간 동안 가열 증류ㆍ추출하되 한방약의 종류에 따라 상기 오토 클레이브에 투입된 기본탕액의 85~95 용량% 만을 증류ㆍ추출한다. 수집통에 회수된 투명 한방탕제를 다시 필터링부로 이송하여 중금속이나 부유물 또는 유해성분을 여과하고 가압멸균기에서 가열하여 2기압 내지 2.5기압하에서 1시간 동안 완전 멸균시킨 후 자동포장기로 이송시켜 포장하는 과정을 거친다.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 시험데이타에 의해 설명된다.
[실시예]
종래의 팔물탕(八物湯) 처방은 인삼(人蔘), 백출(白朮), 백복령(白茯芩), 감초(甘草), 숙지황(熟地黃), 백작약(白芍藥), 천궁(川芎), 당귀(當歸)가 등분(等分)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인삼(人蔘), 백출(白朮), 감초(甘草)는 군약(君藥)이고, 백복령(白茯芩)은 신약(臣藥)이고, 천궁(川芎)은 좌약(佐藥)이고, 백작약(白芍藥), 숙지황(熟地黃), 당귀(當歸)는 사약(使藥)으로서, 각각(各各) 한 첩(貼) 당 33g씩으로 하여 군신좌사(君臣佐使)의 약재배합 비율로 보면 1:1:1:1의 배합비율로 되어 있다. 이를 전체 약재무게 비율인 한 제(劑)-20첩이 한 제(劑)임-로 환산해 보면 군신좌사(君臣佐使) 각각의 약제무게는 한 첩(貼) 당 33g씩이고 약제 가지 수가 8가지이므로 총량은 5280g(33×8×20)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군(君) : 신(臣) : 좌(佐) : 사(使)의 비율을 3:1:1:1로 약재처방을 재구성하였다. 즉, 군약(君藥)인 인삼(人蔘), 백출(白朮), 감초(甘草)는 한첩에 각각 60g으로 하였고, 신약(臣藥)인 백복령(白茯芩)은 한첩에 20g으로 하였고, 좌약(佐藥)인 천궁(川芎)은 한첩에 20g으로 하였고, 사약(使藥)인 백작약(白芍藥), 숙지황(熟地黃), 당귀(當歸)는 한첩에 각각 20g으로 하여 한 제 총량을 5600g으로 처방하였다. 이를 전통탕전기의 끓는 물 8.8리터에 넣고 3시간 30분간 가열하여 3.2리터의 기본탕액을 얻었다. 상기 3.2리터의 기본탕액을 오토 클레이브에서 2기압하에 증류·추출하여 얻어진 투명 한방탕제를 필터링부로 이송하여 중금속이나 부유물 또는 유해성분을 여과하고 가압멸균기에서 가열하여 2기압 내지 2.5기압하에서 1시간 동안 완전 멸균시킨 후 투명 탕제를 3.0리터 얻었다. 상기 탕약의 성분을 분석하여 보면 숙지황성분(5-hydroxymethyl fural)이 0.114 mg/100ml, 작약성분(paconiflorine)이 3.42mg/100ml, 천궁성분(phthalide)이 0.345mg/100ml 였다.
[비교예 1]
팔물탕을 기존 문헌의 기준 처방 대로 군:신:좌:사의 약재 배합비를 1:1:1:1로 하는 첩당 33g으로 하여 약재를 배합한 후, 준비된 약재 5280g을 정수된 물 8.5리터와 함께 약탕기에 넣고 가열하여 2시간 30분간 끓인 후 찌꺼기는 분리하여 3.2리터의 탕약(원방 탕제)를 얻었다.
[비교예 2]
비교예 1에서 얻은 탕약 3.2리터를 문헌에 있는 금은화로(金銀花露) 방법에 의해 일반증류기에 넣고 증류하여 3.0리터의 증류탕액을 얻었다.
다음 [표 1]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탕액의 성분 검출 정량 시험결과를 보여주는 도표이다.
시료성분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숙지황 성분(5-hydroxymethl fural 0.114 0.086 0.0034
작약 성분(paconiflorine) 3.42 5.473 0.023
천궁 성분(phthalide) 0.345 0.501 0.068
※ 본 시험성적은 한국 한의학 연구원 정량분석에 의한 성분 분석표에 의한 것임.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투명 한방탕제는 원방탕제(비교예 1)의 약효성분에 근접하거나, 특정성분(휘발성분)의 함유량은 도리어 원방탕제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기존의 증류·추출법에 의한 투명 한방탕제(비교예 2)는 원방탕제의 약효성분에 훨씬 미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중금속이나 농약성분 등의 유해성분이 한방탕제에 함유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제거하고 기존의 투명 한방탕제가 약효성분이 없거나 휘발에 의하여 소량밖에 함유되지 아니하였던 약효성분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도리어 약효성분은 증가되면서도 기존의 투명탕제가 갖고 있던 장점인 마시기 쉽고, 흡수가 용이한 등의 장점은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투명증류한방탕제에 있어서,
    군·신·좌·사의 한약재 조성비를 3:1:1:1로 조성하는 단계, 상기 조성비의 한약재로 기본탕액을 얻은 다음, 상기 기본탕액을 가압증류기(오토클레이브)에서 약 2기압의 압력하에서 3~4시간 동안 가열 증류ㆍ추출하는 단계, 수집통에 회수된 투명한방탕제를 다시 필터링부로 이송하여 중금속이나 부유물 또는 유해성분을 여과하는 단계, 이를 다시 가압멸균기에서 2기압 내지 2.5기압하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여 완전 멸균시키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한방탕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한방약의 종류에 따라 상기 오토 클레이브에 투입된 기본탕액의 85~95용량% 만을 증류ㆍ추출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한방탕제의 제조방법.
  3. 군·신·좌·사의 한약재 조성비를 3:1:1:1로 하고, 상기 조성비의 한약재로 기본탕액을 얻은 다음, 상기 기본탕액을 오토 클레이브로 약 2기압의 압력하에서 3~4시간 동안 가열 증류ㆍ추출한 후 다시 필터링부로 이송하여 중금속이나 부유물 또는 유해성분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가압멸균기로 2기압 내지 2.5기압하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여 완전 멸균시킨 투명 한방탕제.
KR10-2000-0048016A 2000-08-18 2000-08-18 투명 한방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395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016A KR100395650B1 (ko) 2000-08-18 2000-08-18 투명 한방탕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016A KR100395650B1 (ko) 2000-08-18 2000-08-18 투명 한방탕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627A KR20020014627A (ko) 2002-02-25
KR100395650B1 true KR100395650B1 (ko) 2003-08-25

Family

ID=19683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016A KR100395650B1 (ko) 2000-08-18 2000-08-18 투명 한방탕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56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338B1 (ko) * 2006-03-06 2008-01-21 이종훈 칼라 한약
KR102120734B1 (ko) * 2018-07-27 2020-06-09 이현용 음식물 조리용 천연약초원액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003A (ko) * 1999-09-06 1999-12-06 류성현 투명 탕제 및 그 제조 방법
KR20000009151A (ko) * 1998-07-22 2000-02-15 신용길 중탕제조기 및 중탕을 이용한 농축액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151A (ko) * 1998-07-22 2000-02-15 신용길 중탕제조기 및 중탕을 이용한 농축액 제조방법
KR19990084003A (ko) * 1999-09-06 1999-12-06 류성현 투명 탕제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627A (ko) 200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64586B (zh) 一种治疗阳痿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0408064C (zh) 治疗黄疸性疾病的药物和含有该药物的口服液的制备方法
TW474815B (en) A process for preparing the galenic composition for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after effects due to excessive alcohol intake
Lewis An Experimental History of the Materia Medica, Or of the Natural & Artificial Substances Made Use of in Medicine: Containing a Compendious View of Their Natural History, an Account of Their Pharmaceutic Properties & an Estimate of Their Medicinal Powers.. ̇
Reid A Handbook of Chinese Healing Herbs: An Easy-to-Use Guide to 108 Chinese Medicinal Herbs and Dozens of Prepared Herba l Formulas
CN106390048A (zh) 小柴胡汤及柴胡加龙骨牡蛎汤的萃取方法
King The American Dispensatory
KR100395650B1 (ko) 투명 한방탕제 및 그 제조방법
CN104042797A (zh) 一种用于制备治疗心血管疾病的艾维心口服液及制备方法
CN103977390B (zh) 一种生姜洋葱药酒组合物的制备方法及其用途
CN100500183C (zh) 一种治疗妇女经期疾病的中药合剂的制备方法
JPH03106819A (ja) 血糖値降下剤
CN105998246A (zh) 一种治疗足跟痛的中药外用膏剂及其制备方法
CN108465059A (zh) 治疗风寒痹阻和气滞血瘀型颈椎病的中药组合物、中药制剂及丸剂的制备方法
CN107308400A (zh) 止泻组方中脂肪油在制备治疗小儿腹泻肚脐贴中的应用
CN1839931B (zh) 一种治疗心脑血管疾病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524672A (zh) 一种治疗近视眼病的中药及其制剂的生产方法
Sharma et al. An Advance Innovation of Dosage Form of Ayurveda
Mans The use of medicinal plants in Suriname: The ethnopharmacological legacy of slavery and indentured labour
CN106540011A (zh) 防治老年骨质疏松的药物组合物
King et al. The eclectic dispensator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JP2535674B2 (ja) 血糖値降下剤
Coxe The American Dispensatory, Containing the Natural, Chemical, Pharmaceutical and Medical History of the Different Substances Employed in Medicine: Together with the Operations of Pharmacy; Illustrated and Explain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Modern Chemistry: to which are Added, Toxicological and Other Tables; the Prescriptions for Patent Medicines, and Various Miscellaneous Preparations
Brande A manual of pharmacy
Shekhar et al. A REVIEW ON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DIGESTIVE CHUR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