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605B1 - 트리 내성 케이블 - Google Patents

트리 내성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605B1
KR100395605B1 KR10-1999-0008928A KR19990008928A KR100395605B1 KR 100395605 B1 KR100395605 B1 KR 100395605B1 KR 19990008928 A KR19990008928 A KR 19990008928A KR 100395605 B1 KR100395605 B1 KR 100395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lymer
polyethylene
component
ii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2754A (ko
Inventor
코에그마이클존
Original Assignee
유니온 카바이드 케미칼즈 앤드 플라스틱스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온 카바이드 케미칼즈 앤드 플라스틱스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온 카바이드 케미칼즈 앤드 플라스틱스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19990082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6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1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alk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7Thiols
    • C08K5/372Sulfides, e.g. R-(S)x-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08L2203/202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use in electrical wires or wire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4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including metal or compound thereof [excluding glass, ceramic and asbesto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4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including metal or compound thereof [excluding glass, ceramic and asbestos]
    • Y10T428/2942Plural coatings
    • Y10T428/2947Synthetic resin or polymer in plural coatings, each of different ty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및 상기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ⅰ) 탄소수가 4 내지 20개인 지방족 이산무수물 또는 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와 (ⅱ)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의 모노알킬에테르, 및 이들 중합체 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와의 반응 생성물 약 0.1 내지 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성분(ⅱ) : (ⅰ)의 중량비는 약 0.05 : 1 내지 약 1 : 1의 범위를 갖는다.

Description

트리 내성 케이블{Tree Resistant Cable}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워터 트리(water trees)에 대하여 향상된 내성을 가진 폴리에틸렌 조성물로 절연된 전력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종래의 전력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전도체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전도체는 제1 반도체 보호층, 절연층, 제2 반도체 보호층, 금속 테이프 또는 와이어 실드(wire shield), 및 재킷(jacket)을 포함하는 여러 층의 고분자 물질로 둘러싸여진 케이블 코아(core)를 형성한다.
상기 절연 케이블은 지하 또는 고습 지역 등과 같이 절연체가 물에 노출되어 있는 환경하에 설치되는 경우 단축되는 수명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단축된 수명은 유기 고분자 물질이 액체 또는 증기 상태의 물의 존재하에서 오랜 기간 전기장의 지배하에 있을 때 발생하는 워터 트리 형성에 기인한다. 이 모든 것은 결국 절연체의 유전 강도(dielectric strength)의 감소를 초래한다.
워터 트리에 의한 저하로부터 유기 절연물질의 내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많은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가장 최근의 방법으로는 미국특허 제4,305,849호, 제4,612,139호 및 제4,812,505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불균일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워터 트리 성장 저해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첨가하는 것이다. 하지만 폴리에틸렌에 PEG를 첨가함으로써, 특히 제법 및 장기간동안의 열안정성 측면에서 그리고 주 중합체와의 친화성에 있어서 문제점이 발생한다. 후자는 특정 분자량(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PEG를 선택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그러나 배합 조건이 여전히 저분자량 물질을 위주로 생산한다. 전자는 특정의 열안정제를 다량으로 첨가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상기 조성물의 얼룩을 생성시킨다. 생성된 색상(또는 얼룩) 및 결합의 감소는 모두 열안정제가 다량 첨가되기 때문인데, 이로 인해 상업적 어려움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PEG와 같은 효과를 가지면서, 안정성과 친화성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워터 트리 억제제에 대한 산업적 요구가 계속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워터 트리에 대해 훨씬 개량된 내성을 나타내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이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목적에 부합하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이 개발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및 상기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ⅰ) 탄소수가 4 내지 20개인 지방족 이산무수물 또는 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와 (ⅱ)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의 모노알킬에테르, 및 이들 중합체 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와의 반응 생성물 약 0.1 내지 3 중량부; 로 이루어지며, 상기 성분(ⅱ) : (ⅰ)의 중량비는 약 0.05 : 1 내지 약 1 : 1의 범위로 구성된다.
본원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폴리에틸렌"은 에틸렌 단독중합체, 또는 에틸렌과 3∼12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4∼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하나 이상의 알파-올레핀 소량, 그리고 선택적으로 디엔과의 공중합체, 또는 상기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의 혼합물이다. 이러한 혼합물은 기계적인 블렌드 또는 원래부터 블렌드가 될 수 있다. 상기 알파-올레핀의 예로는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및 1-옥텐이 있다.
폴리에틸렌은 균일(homogeneous) 또는 불균일(heterogeneous)일 수 있다. 균일계 폴리에틸렌은 주로 약 1.5 내지 약 3.5 범위의 다분산성(Mw/Mn) 및 특히 균일한 공단량체 분포를 가지며, 그리고 단독이며 DSC 녹는점이 비교적 낮은 특징을 갖는다. 반면에 불균일계 폴리에틸렌은 3.5 이상의 다분산성(Mw/Mn)을 가지며, 균일한 공단량체 분포를 나타내지 않는다. Mw는 중량평균분자량, Mn은 수평균분자량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관심 있는 폴리에틸렌은 0.860 내지 0.950 g/㎤ 범위의 밀도를 가지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870 내지 0.925 g/㎤ 범위의 밀도를 갖는다. 이는 또한 용융지수가 0.1 내지 20 g/10분의 범위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g/10분의 범위이다.
폴리에틸렌은 저압 또는 고압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저압공정에서는 가스상으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해 용액에서 또는 슬러리에서 액체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저압공정은 통상적으로 1,000 psi 이하의 압력에서 이루어지며, 고압공정은 15,000 psi 이상의 압력에서 이루어진다. 고압공정 및 저압공정에서 상기 폴리에틸렌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상적인 촉매계는 유기 과산화물로서, 미국특허 제4,302,565호(불균일 폴리에틸렌)에 개시되어 있는 촉매계로 예시되는 마그네슘/티타늄 기저 촉매계; 미국특허 제4,508,842호(불균일 폴리에틸렌)와 제5,332,793호, 제5,342,907호 및 제5,410,003호(균일 폴리에틸렌)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바나듐 기저 촉매계; 미국특허 제4,101,445호에 기재되어 있는 크롬 기저 촉매계; 미국특허 제4,937,299호 및 제5,317,036호(균일 폴리에틸렌)에 개시되어 있는 메탈로센 촉매계; 또는 다른 전이 금속 촉매계가 있다. 이들 촉매계의 대부분이 주로 지글러-나타 촉매계로 불리운다. 실리카-알루미나 지지체에서 크롬 또는 몰리브덴 산화물을 사용하는 촉매계도 또한 유용하다. 한편 폴리에틸렌의 통상적 제법이 상기 언급된 특허들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5,371,145호 및 제5,405,901호에 원래의 폴리에틸렌 블렌드, 제법 및 이를 위한 촉매계가 개시되어 있다. 저밀도 에틸렌 단독중합체(고압공정에 의해 제조됨),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초저밀도(very low density) 폴리에틸렌 및 중저밀도(medium low) 폴리에틸렌과 같은 다양한 폴리에틸렌이 있다. 후자의 세가지 폴리에틸렌은 일반적으로 저압공정에서 제조된다. 종래의 고압공정에 대해서는 「Introduction to Polymer Chemistry」(Stille, Wiley and Sons, NY, 1962, pp149-151)에 개시되어 있다.
워터 트리 성장 저해제로 작용하는 상기 성분(ⅰ)과 (ⅱ)와의 반응 생성물은 제1 (primary) 중합체인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내지 3 중량부의 조성비로 존재한다(약자로 pph로 사용되며, 백분율을 의미한다). 상기 반응 생성물은 상기 두 개의 조성물 사이의 축합반응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축합반응은 통상적인 폴리에틸렌 배합 공정 조건에서 이루어지므로 부가적인 제조 공정이 도입되지 않는다. 상기 반응 생성물은 약 0.5 내지 2.5 중량부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중합체에 다른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 고무가 첨가될 수도 있지만, 이들 부가되는 중합체의 양은 제1 중합체를 기초로 한다.
상기 성분(ⅱ) : (ⅰ)의 중량비는 약 0.05 : 1 내지 약 1 : 1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0.1 : 1 내지 약 0.5 : 1의 범위를 갖는다.
성분(ⅰ)은 탄소수가 4 내지 20개인 지방족 이산무수물 또는 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이다. 상기 공중합체는 두 개 이상의 단량체의 중합체를 의미한다. 특히 무수물의 사중합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상기 공중합체는 첨가 또는 그라프트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공중합체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사용될 수 있는 단량체의 예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옥텐, 1-데센 및 1-옥타데센이 있다. 일례로 알킬기의 탄소수가 적어도 6개이며, 무수물의탄소수가 4 내지 20개인 폴리(1-알킬-불포화 지방족 이산무수물)혼성 공중합체(alternating copolymer)가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8 내지 18개이며, 무수물의 탄소수가 4 내지 8개이다. 상기 알킬기의 예로는 1-옥타데센, 1-데센 및 1-옥텐이 있다. 상기 무수물의 예로는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바람직함), 이타코닉안하이드라이드 및 나딕안하이드라이드가 있다. 성분(ⅰ)의 특정예로는 폴리(1-옥타데센/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혼성 공중합체 및 폴리(1-데센/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혼성 공중합체가 있다.
성분(ⅱ)은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의 모노알킬에테르, 또는 이들 중합체 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이 될 수 있다. 성분(ⅱ)의 각각의 중합체의 분자량은 300 내지 35,000의 범위이다. 폴리카프로락톤 및 폴리알킬렌글리콜의 혼합물이 특히 효과적이다.
상기 폴리에틸렌 제법에 첨가될 수 있는 통상의 첨가제는 예를 들어 산화방지제, 커플링제(coupling agent), 자외선 흡수제 또는 안정제, 대전방지제, 안료, 염료, 기핵제(nucleating agent), 강화충진제 또는 중합첨가제(상기에서 언급함), 활제(slip agent), 가소제, 가공조제, 윤활제, 점도조절제, 점착부여제, 블로킹방지제, 계면활성제, 익스텐더 오일(extender oil), 금속비활성제, 전압안정제, 내연충진제 및 첨가제, 가교제, 촉제(booster), 및 촉매 그리고 연기 억제제(smoke suppressants) 등이 있다. 충진제와 첨가제는 각각 기초 수지, 이 경우에는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이하에서부터 약 200 중량부 이상의 범위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미국특허 제4,857,232호에는 반도체층에 사용되는 카본블랙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5,262,467호에는 무수물 그라프팅이 개시되어 있다.
산화방지제의 예로는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시나메이트)]메탄, 비스[(β-(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메틸카르복시에틸)]설파이드, 4,4'-티오비스(2-메틸-6-t-부틸페놀), 4,4'-티오비스(2-t-부틸-5-메틸페놀), 2,2'-티오비스(4-메틸-6-t-부틸페놀), 및 티오디에틸렌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시나메이트와 같은 힌더드(hindered) 페놀류;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및 디-t-부틸페닐포스포나이트와 같은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 디라우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미리스틸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및 디스테아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와 같은 티오 화합물; 다양한 실록산; 및 중합된 2,2,4-트리메틸-1,2-디히드로퀴놀린과 같은 다양한 아민류가 있다. 산화방지제는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당 약 0.1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조성물에 가교제를 첨가함으로써 또는 -Si(OR)3(여기서 R은 공중합 또는 그라프팅을 통해 수지 구조에 들어가는 탄화수소 라디칼임)와 같은 가수분해성 기를 첨가하여 상기 수지를 가수분해성으로 만듦으로써 가교될 수 있다.
적합한 가교제는 디큐밀퍼옥사드,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t-부틸큐밀퍼옥사이드 및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3과 같은 유기 과산화물이다. 디큐밀 퍼옥사이드가 바람직하다.
가수분해성 기는, 예를 들어 에틸렌을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및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과 같은 -Si(OR)3기를 하나 이상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과 공중합시킴으로써, 또는 상기 유기 과산화물의 존재하에서 이들 실란 화합물을 상기 수지에 그라프트시킴으로써 첨가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상기 가수분해성 수지는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 디옥틸틴 말레에이트, 디부틸틴 디아세테이트, 아세트산주석, 나프테산납 및 카프릴산아연과 같은 실란올 축합 촉매의 존재하에서 수분에 의해 가교된다.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가 바람직하다.
가수분해성 공중합체 및 가수분해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예로는 에틸렌/공단량체/비닐트리메톡시실란공중합체, 에틸렌/공단량체/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공중합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그라프트 에틸렌/공단량체 공중합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그라프트 선형 저밀도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및 비닐트리메톡시실란 그라프트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 단독중합체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사용되는 케이블은 예를 들어 단일 또는 한쌍의 스크류 압출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압출기에서 제조될 수 있다. 배합은 압출기에서 이루어지거나 또는 압출하기 전에 BrabenderTM믹서, BanburyTM믹서 또는 한쌍의 스크류 압출기와 같은 통상적인 믹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상적인 압출기에 대한 설명은 미국특허 제4,857,600호에 개시되어 있다. 전형적인 압출기는 상류 끝에는 호퍼를, 하류 끝에는 다이(die)를 가지고 있다. 상기 호퍼는 스크류(screw)를 함유하고 있는 배럴(barrel)로 공급한다. 상기 스크류의 끝과 상기 다이 사이에 있는 하류 끝에는 스크린 팩(screen pack)과 브레이커 플레이트(breaker plate)가 있다. 압출기의 스크류부는 공급부, 압축부 및 계량부의 3구역과, 후방 가열 구역 및 전방 가열 구역의 2영역으로 구분되며, 이들 구역과 영역은 상류로부터 하류로 이어진다. 선택적으로, 상류로부터 하류로 이어지는 축을 따라서 복수개의(둘 이상의) 가열 구역이 존재할 수 있다. 배럴이 하나 이상인 경우에, 배럴은 연속하여 연결된다. 각각의 배럴의 길이 : 직경의 비율은 약 15 : 1 내지 30 : 1의 범위이다. 수지가 압출후에 가교결합되는 전선 피복에 있어서, 크로스헤드 다이는 직접 가열 구역으로 공급하고, 그리고 이 구역은 약 130∼260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70∼220 ℃의 범위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사용되는 절연층의 워터 트리 성장률이 상당히 개선된 것과, 축합반응으로부터의 첨가제가 영구적이라는 점이다. 상기 조성물은 저전압, 중전압 및 고전압 구동에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워터 트리 성장 저해제가 본 발명의 조성물이 상승된 분산 인자를 갖도록 유도한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트리 성장 저해제는 전기를 먼 거리로 전달하는데 있어서 케이블의 효과를 비교적 떨어뜨린다.
"둘러싸여진(surrounded)" 의 용어는 절연 조성물, 피복 재료 또는 다른 케이블 층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기재에 대해 적용될 때, 기재 주위로의 압출; 기재의 피복; 또는 기재를 포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이는 이 분야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기재는 예컨대, 전도체 또는 전도체의 다발을 포함하는코아(core), 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하부 케이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분자량은 달리 지정되지 않는 한 중량평균분자량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허들은 여기에서 참고로 인용되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화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재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5
워터 트리 형성에 대한 절연 조성물의 내성은 미국특허 제4,144,202호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이 측정으로부터 표준 폴리에틸렌 절연 물질과 비교한 워터 트리 내성의 값을 유도한다. 상기 값에 사용되는 용어는 "워터 트리 성장률"(WTGR)이다. WTGR 값이 작을수록, 워터 트리 내성은 더 우수하다. WTGR 값은 퍼센트로 나타낸다.
워터 트리 길이는 각 테스트 견본에서 가장 길게 측정된 것 10개에 대한 평균값으로 한다. 워터 트리 성장 길이의 퍼센트값은 각각의 견본에 대한 실제 순수 길이를 가장 긴 것으로 측정된 워터 트리 10개의 평균 길이로 나눈 값이다. 테스트 방법은 ASTM D 6097-97로 한다.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하기 기술한 첨가제들을 한쌍의 스크류 BRABENDERTM압출기에서 제1 산화방지제 및 제2 산화방지제와 함께 배합한다. 압출기는 용융온도 155℃에서 60rpm으로 작동한다. 상기 혼합물을 더 잘 균일화시키기 위하여 동일한 조건하에서 동일한 장비를 이용하여 2차 통과를 실시한다. 진동 디스크 유량계(360℉에서 5 아크(arc))의 수치가 5인치-파운드 토오크를 가리키도록 125 내지 130℃ 온도로 조절된 조건하에서, 두 개의 롤 밀(roll mill)에서 유동하는 디큐밀 퍼옥사이드를 상기 혼합물(75℃에서 제조됨)에 첨가한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롤 밀로부터 크레이프(crepe)로서 각각의 조성물을 제거하고, 입방체로 자르고(diced), 그리고 프레스에서 두 단계로 0.25인치 두께를 가진 1인치의 디스크(discs)로 성형한다:
초기단계 최종단계
압력 (psi)
온도 (℃) 120 175
체류시간 (분) 9 15 ∼ 20
조성물 A:
0.923 g/cm3의 밀도를 가지며, 용융지수가 2 g/10분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고압공정에서 제조된 에틸렌 단독중합체 100 중량부;
제1 산화방지제인 티오디에틸렌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시나메이트 0.2 중량부;
제2 산화방지제인 디스테아릴 티오 디프로피오네이트 0.2 중량부; 및
디큐밀 퍼옥사이드 1.8 중량부.
(용융지수는 ASTM D-1238, Condition E하에서 190℃ 및 2.16kg으로 측정하며, 유동지수는 ASTM D-1238, Condition F에서 190℃ 및 21.6kg으로 측정한다)
조성물 B:
0.923 g/cm3의 밀도를 가지며, 용융지수가 2 g/10분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고압공정에서 제조된 에틸렌 단독중합체 100 중량부;
제1 산화방지제인 티오디에틸렌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시나메이트 0.2 중량부;
제2 산화방지제인 디스테아릴 티오 디프로피오네이트 0.2 중량부;
디큐밀 퍼옥사이드 1.8 중량부;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0.5 중량부.
첨가제(ⅰ) = 폴리(1-옥타데센/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혼성 공중합체.
첨가제(ⅱ) =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인 폴리카프로락톤.
각각의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WTGR을 실험하였고, 100% WTGR을 나타내는 대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와 비교하여 그 결과를 기록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조성물 첨가제 트리 길이(mm) 트리 길이(%) WTGR(%)
1 A - 0.42±0.11 13.5±3.5 -
2 B - 0.197±0.026 6.0±0.7 16
3 A (ⅰ)(1 중량%) 0.389±0.075 12.2±2.3 80
4 A (ⅱ)(1 중량%) 0.251±0.039 7.5±1.2 28
5 A (ⅰ) 및 (ⅱ)(각 0.5 중량%) 0.101±0.024 3.1±0.7 3
6 B (ⅰ)0.5 중량%(ⅱ)0.05 중량% 0.148±0.013 4.7±0.4 8
상기 결과는 14 AWG(미국 전선 게이지) 구리 전선위에 상기 수지 조성물을 압출 피복하여, 상기 피복된 전선을 가지고 실험한 것이다. 피복 전선의 두께는 50 mil이다.
본 발명은 워터 트리에 대하여 향상된 내성을 가진 폴리에틸렌 조성물로 절연된 전력 케이블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0)

  1. 폴리에틸렌; 및
    상기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ⅰ) 탄소수가 4 내지 20개인 지방족 이산무수물 또는 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와 (ⅱ)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의 모노알킬에테르, 및 이들 중합체 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와의 반응 생성물 약 0.1 내지 약 3 중량부;
    로 이루어지며, 상기 성분 (ⅱ) : (ⅰ)의 중량비가 약 0.05 : 1 내지 약 1 : 1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생성물이 약 0.5 내지 약 2.5 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성분 (ⅱ)은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모노알킬에테르, 및 이들 중합체 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이며, 상기 에테르의 알킬기는 1 내지 8개의 탄소수를 가지며, 각각의 중합체의 분자량은 약 300 내지 약 35,0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ⅱ) : (ⅰ)의 중량비가 약 0.1 : 1 내지 약 0.5 : 1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5% 이하의 WTGR 값을 가지며, 상기 폴리에틸렌은 0.900∼0.930 g/㎤ 범위의 밀도와 약 0.1∼20 g/10분 범위의 용융지수를 갖는 고압 공정에 의하여 제조되는 저밀도 에틸렌 단독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0.900∼0.930 g/㎤ 범위의 밀도와 약 0.1∼20 g/10분 범위의 용융지수를 갖는 고압 공정에 의하여 제조되는 저밀도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상기 단독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ⅰ)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 또는 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와 (ⅱ)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의 모노알킬에테르 및 이들 중합체 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와의 반응 생성물 약 0.5 내지 2.5 중량부;
    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테르의 알킬기는 1 내지 8개의 탄소수를 가지며, 각각의 중합체의 분자량은 약 300 내지 약 35,000의 범위이고, 상기 성분 (ⅱ) : (ⅰ)의 중량비가 약 0.1 : 1 내지 약 0.5 : 1의 범위이며, WTGR 값이 약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ⅰ)은 폴리(1-옥타데센/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혼성 공중합체이고, 성분 (ⅱ)는 폴리카프로락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폴리에틸렌; 및
    상기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ⅰ) 탄소수가 4 내지 20개인 지방족 이산무수물 또는 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와 (ⅱ)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의 모노알킬에테르 및 이들 중합체 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와의 반응 생성물 약 0.1 내지 약 3 중량부;
    로 이루어지며, 성분 (ⅱ) : (ⅰ)의 중량비가 약 0.05 : 1 내지 약 1 : 1의 범위를 갖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절연층에 의해 각 전도체 또는 코아가 둘러싸여진, 하나 이상의 전도체 또는 전도체의 코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10. 0.900∼0.930 g/㎤ 범위의 밀도와 약 0.1∼20 g/10분 범위의 용융지수를 갖는 고압 공정에 의하여 제조되는 저밀도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상기 단독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ⅰ)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 또는 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와 (ⅱ)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의 모노알킬에테르 및 이들 중합체 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와의 반응 생성물 약 0.5 내지 약 2.5 중량부;
    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테르의 알킬기는 1 내지 8개의 탄소수를 가지며, 각각의 중합체의 분자량은 약 300 내지 약 35,000의 범위이고, 상기 성분 (ⅱ) : (ⅰ)의 중량비가 약 0.1 : 1 내지 약 0.5 : 1의 범위를 가지며, WTGR 값이 약 15% 이하인 조성물로 이루어진 절연층에 의해 각 전도체 또는 코아가 둘러싸여진, 하나 이상의 전도체 또는 전도체의 코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KR10-1999-0008928A 1998-04-20 1999-03-17 트리 내성 케이블 KR100395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62,852 1998-04-20
US09/062,852 US6203907B1 (en) 1998-04-20 1998-04-20 Tree resistant cable
US9/062,852 1998-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754A KR19990082754A (ko) 1999-11-25
KR100395605B1 true KR100395605B1 (ko) 2003-08-25

Family

ID=22045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928A KR100395605B1 (ko) 1998-04-20 1999-03-17 트리 내성 케이블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203907B1 (ko)
EP (1) EP0952172B1 (ko)
KR (1) KR100395605B1 (ko)
CN (1) CN1131276C (ko)
AT (1) ATE305485T1 (ko)
BR (1) BR9900802A (ko)
CA (1) CA2269419C (ko)
DE (1) DE69927423T2 (ko)
TW (1) TW5134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24607B (en) * 1998-06-16 2004-12-01 Union Carbide Chem Plastic Tree resistant cable
SE516260C2 (sv) * 1999-07-01 2001-12-10 Borealis Polymers Oy Isolerande komposition för en elektrisk kraftkabel
KR20010088544A (ko) * 2001-08-03 2001-09-28 은중기 폐타이어, 폐고무를 이용한 아스팔트 라텍스 프라이머
US20050148715A1 (en) * 2002-01-28 2005-07-07 Caronia Paul J. Water tree resistant cable
KR101362560B1 (ko) * 2011-08-08 2014-0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교 폴리에틸렌 조성물
JP6543570B2 (ja) 2012-06-27 2019-07-10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被覆導体用ポリマーコーティング
EP3541874A4 (en) * 2016-11-16 2020-08-0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ION PRESENTING A GOOD BALANCE BETWEEN DISSIPATION FACTOR AND ADDITIVE ACCEPTANCE
BR112021003971A2 (pt) 2018-10-05 2021-05-2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formulação de polietileno dieletricamente aprimorado, métodos para fazer uma formulação de polietileno dieletricamente aprimorado e para conduzir eletricidade, e, dispositivo elétrico isolad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89906A (en) * 1963-09-27 1967-11-08 Union Carbide Corp Plasticized ethylene-acrylic acid copolymers
US3660339A (en) 1969-06-03 1972-05-02 Nalco Chemical Co Latex thickener
US4013622A (en) * 1975-06-23 1977-03-22 Cities Service Company Method of reducing breakdown in polyethylene film
JPS5628231A (en) * 1979-08-16 1981-03-19 Nippon Yunikaa Kk Polyolefin composition for electrical insulation
JPS57126004A (en) * 1981-01-30 1982-08-05 Nippon Unicar Co Ltd Semiconductive polyolefin composition and cable using same
US4440671A (en) * 1982-03-31 1984-04-03 Union Carbide Corporation Compositions of hydrocarbon-substituted diphenyl amines and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glycols; and the use thereof as water-tree retardants for polymers
US4451536A (en) * 1982-06-15 1984-05-29 National Distillers And Chemical Corporation Heat distortion-resistant thermoplastic semi-conductive composition
JPS59152927A (ja) 1983-02-17 1984-08-31 Ube Ind Ltd 吸水性ポリオレフインおよびその製造法
US4812505A (en) * 1987-05-18 1989-03-14 Union Carbide Corporation Tree resistant compositions
JPH0733483B2 (ja) 1990-04-16 1995-04-12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帯電防止性樹脂組成物
TW403916B (en) 1995-03-30 2000-09-01 Union Carbide Chem Plastic Tree resistant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900802A (pt) 1999-12-21
US6203907B1 (en) 2001-03-20
CN1131276C (zh) 2003-12-17
ATE305485T1 (de) 2005-10-15
DE69927423D1 (de) 2006-02-09
CA2269419C (en) 2003-06-10
CN1233628A (zh) 1999-11-03
EP0952172A1 (en) 1999-10-27
TW513462B (en) 2002-12-11
EP0952172B1 (en) 2005-09-28
DE69927423T2 (de) 2006-06-22
CA2269419A1 (en) 1999-10-20
KR19990082754A (ko) 199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35806B1 (en) Tree resistant cable
KR100413016B1 (ko) 트리 내성 케이블
EP0735545B1 (en) Tree resistant cable
KR100395605B1 (ko) 트리 내성 케이블
AU724031B2 (en) Tree resistant cable
EP0837476B1 (en) Tree resistant cable
US20050148715A1 (en) Water tree resistant cable
EP0992041B1 (en) Tree resistant cable
KR100479147B1 (ko) 트리내성케이블
EP1141978B1 (en) A process for controlling water trees
MXPA99005388A (en) Cable resistant to a
MXPA98010419A (en) Cable resistant to ramificac
WO2002005295A2 (en) Tree resistant cable insulation
MXPA99008513A (en) Tree resistant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