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692B1 - 안내판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안내판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692B1
KR100394692B1 KR10-2002-0069145A KR20020069145A KR100394692B1 KR 100394692 B1 KR100394692 B1 KR 100394692B1 KR 20020069145 A KR20020069145 A KR 20020069145A KR 100394692 B1 KR100394692 B1 KR 100394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fixing
support
band
suppor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1874A (ko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한양프레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프레임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양프레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9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4692B1/ko
Publication of KR20030031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6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1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fastened by removable means, e.g. screws or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7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removable without tools, e.g. of stud-and-socke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명이나 방향 등을 지시하여 알리는 안내판을 지주에 설치하기 위한 안내판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주의 외주면을 감싸며 고정되는 주밴드를 2개 또는 2개 이상의 수로 분할하되, 분할된 주밴드의 연결은 일정각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으로 연결 고정하며, 주밴드의 일측에는 안내판을 고정하는 협지고정편 또는 고정횡관을 지지하는 보강대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안내판지지구가 일체로 구비된 것이며, 또한 주밴드 연결부에 1개 이상의 보조밴드를 추가하여 힌지 결합으로 연결 고정할 수 있게 함으로서 어떠한 크기의 지주에도 장착 가능한 안내판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며, 또한 각 구성품을 알루미늄으로 제작하여 산화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안내판의 회전각을 극대화하여 내구적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안내판 지지구조{SUPPORTING STRUCTURE OF SIGN BOARD}
본 발명은 도로명이나 방향 등을 지시하여 알리는 안내판을 지주에 설치하기 위한 안내판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주의 외주면을 감싸며 고정되는 주밴드가 다수개로 분할되게 하되, 상호 힌지 결합으로 연결 고정되고, 주밴드 사이에 1개 이상의 보조밴드가 결합되게 하되, 상호 힌지 결합으로 연결함으로서 지주의 외경 크기에 관계없이 고정 가능하며, 주밴드의 일측에는 안내판을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이 지주와 직각 방향으로 체결되게 한 것이다.
종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지주(1)에 지지구(2)를 고정하고, 상기 지지구(2)에 걸이봉(3)을 수평하게 고정하며, 상기 걸이봉의 하부에는 안내판(4)을 연결 고정하여 설치된 안내판 지지구조에 있어서, 걸이봉(3)의 하단에 2개가 일정간격을 유지한 철제의 브라켓(5)을 용접하여 부착하고, 브라켓(5)을 관통하도록 볼트봉(7)을 끼우되 2개의 브라켓(5)의 사이에는 볼트봉(7)이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경첩(6)이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경첩(6)에 안내판(4)을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여 매단 구조로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안내판 지지구조는 안내판(4)의 일부를 경첩(6)이 가리고 있기 때문에 표시물의 범위가 축소되어 글자가 작아지게 되므로 동일한 크기의 안내판(4)에서 상대적으로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구성품이 철제로 구성되어 있어 외부를 도장 처리해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까다롭고, 시간이 지나면 산화로 인한 부식으로 지주의 외면을 오염시켜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다른 실시예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00-4949호 "안내판 지지구"는 본 발명자가 1998년 8월 19일에 출원한 것으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의 외면을 감싸도록 분할된 밴드(20a)(20b)를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암숫형의 힌지결합을 통하여 조립되게 하여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11에서와 같이, 지주와 직각으로 고정된 안내판걸이구(50)의 하부에 안내홈(51)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51)에는 안내판(30)을 지지하는 안내판고정구(55a)(55b)의 삽입부(56)가 삽입되고, 안내판(30)의 보강테(31)는 안내판고정부(57a)(57b)에 삽입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공개된 종래 기술은 지주의 크기에 따라 밴드(20a)(20b)의 크기를 각각 다르게 제작해야 하므로 대량 생산성 및 공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밴드가 상호 결합된 조립체에 1개의 안내판을 설치할 수밖에 없으므로 지주에 여러개의 안내판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밴드 조립체를 필요한 안내판 수량만큼의 적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안내판고정부(57a)(57b)에 일정각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된 안내판(30)의 보강테(31) 구조는 바람에 대한 안내판의 회전각이 작음으로, 저항힘이 안내판고정구(55) 및 안내판걸이구(50)로 전달되어 비틀림 모멘트를 받게 되므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내판을 지주에 설치하고자 할 때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구조로 하여 시공시 작업자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밴드를 완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설치에 따라서는 한 개의 안내판 또는 다수의 안내판을 동시에 설치함과 동시에 지주의 크기에 관계없이 설치 가능하도록 하며, 안내판의 회전각을 극대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안내판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산공정을 줄여 원가절감을 할 수 있는 안내판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주를 감싸는 밴드를 2개 또는 2개 이상의 밴드로 분할되게 하고 분할된 상기 밴드의 연결을 힌지 결합으로 하되, 지주의 크기에 따라서는 밴드의 연결로 형성된 내경의 크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보조밴드가 부가되어 연결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상기 힌지결합부는 어떠한 형상의 밴드에 있어서도 공통된 형상과 크기를 갖게 하여 상호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판지지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판지지구조의 조립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판지지구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판지지구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밴드의 힌지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주밴드와 보조밴드의 힌지결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a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의 힌지결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b는 도 6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판지지구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의 힌지결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종래의 안내판이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와 부분 확대도.
도 10는 도 9의 일부 절결 단면도.
도 11은 종래 실용신안 출원 1998-15581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판지지구의 일부 절결 단면도.
도 12는 종래 실용신안 출원 1998-15581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주 20a, 20b : 주밴드 21 : 안내판 지지구
22 : 지지홈 23a, 23b : 플랜지 26a, 26b : 힌지부
28 : 나사홀 30a, 30b : 보강대 40 : 고정횡관
42a, 42b : 보강대가이드 50 : 삽입횡관
51 : 고정판 걸이홈 53 : 캡
60a, 60b : 고정판 66 : 안착홈 67 : 안착돌기
70 : 스페이서 80, 130 : 안내판 82 : 회전걸이공
90 : 보조밴드 100a, 100b : 플랜지편
110 : 지지구편 120 : 협지고정편 122 : 협지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판지지구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판지지구조의 조립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판지지구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지주(10)를 감싸는 주밴드(20)는 2개로 분할되어 있다. 분할된 주밴드 중, 전면 주밴드(20a)의 중앙에는 원형의 지지홈(22)이 형성된 안내판지지구(21)가 형성되고, 일측 선단의 플랜지(23a)에는 사각머리를 갖는 밴드볼트(25)가 체결될 때 회전을 방지하는 구조로 볼트머리고정부(24)가 형성된다. 또한 후면 주밴드(20b)의 일측 선단에는 상기 플랜지(23a)와 상호 대응되는 플랜지(23b)가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플랜지(23a)(23b)의 타측 선단에는 암숫형의 힌지부(26a)(26b)를 각각 구비하여 2개의 주밴드(20a)(20b)가 상호 힌지 결합으로 연결되도록 하면, 주밴드(20a)(20b)의 일측이 힌지부(26a)(26b)에 의해 연결되어회전되고 타측이 밴드볼트(25) 및 너트에 의해 고정되어 지주(10)의 외주면을 감싸며 밀착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고정횡관(40)은 지주(10)와 수평이 되도록 안내판지지구(21)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고정횡관(40)의 상하부에는 각각 보강대가이드(42a)(42b)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하로 보강대(30a)(30b)가 안착 고정되는데, 상기 보강대에 형성된 지지돌기(31a)(31b)가 지지홈(22)의 상하로 각각 삽입되어 상기 보강대가이드에 안착되고 용접으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횡관(40)의 내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횡관(50)이 삽입되고, 고정횡관(40)과 삽입횡관(50)이 삽입되면 이들 각각에 형성된 볼트홀(44)(52)이 상호 일치되며, 연통된 볼트홀(44)(52)에 고정관볼트(43)가 관통되어 너트와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관볼트(43)의 머리는 사각형상으로 구비되고, 고정횡관(40)에는 사각형상의 볼트머리고정부(41)가 구비되어 고정관볼트(43)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너트만 회전시키면 간단히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횡관(50)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판걸이홈(51)이 형성되고, 이 고정판걸이홈에는 안내판(80)을 지지하는 고정판(60a)(60b)의 고정판돌기(64)가 삽입되게 하며, 상기 고정판의 수량은 안내판(80)의 크기 및 삽입횡관(50)의 길이에 따라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설계할 수 있다.
이때, 고정판(60a)(60b)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길이방향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길이를 갖고 고정판돌기의 형상과 동일한 봉 형태의 스페이서(70)가 상기 고정판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판걸이홈(51) 내에서고정판돌기(64)와 연접되게 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고정판의 좌우 또는 고정판의 일측으로 스토파(71)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후, 삽입횡관(50)의 선단 개방부는 캡(53)을 끼워 넣어 고정판(60) 및 스페이서(7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정판(60a)(60b)은 2개로 분할되어 있으며, 일측 고정판(60a)의 상단에는 고정판돌기(64)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안내판(80)을 지지하는 반원형의 안내판걸이부(68a)가 형성되며, 타측 고정판(60b)의 하단에는 상기 안내판걸이부(68a)와 대응하여 원을 이룰 수 있도록 반원형의 안내판걸이부(68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 타측 고정판(60)이 상호 접촉의 위치를 일정하게 하고 설치자가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일측 고정판(60a)에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안착홈(66)이 형성되고, 타측 고정판(60b)에는 상기 안착홈(66)에 삽설되는 안착돌기(67)를 구비하며, 이들의 상호 고정은 사각머리를 갖는 고정판볼트(61)가 고정판(60a)(60b)의 결합시 연통하도록 된 볼트홀(62)을 관통하여 너트로 고정하고, 또한 일측 고정판(60a)에는 볼트머리고정부(63)를 형성하여 너트의 체결 회전시 고정판볼트(61)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판(60)의 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판걸이부(68a)(68b)의 접촉으로 고정판홀(65)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홀에는 안내판(80)의 상하에 형성된 안내판돌기(81)의 일측이 삽입 안착되며, 안내판걸이부(68a)(68b)는 안내판(80)에 형성된 회전걸이공(82)을 관통하여 안내판(80)이 상측 안내판돌기(8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바람의 세기에 따라 안내판(80)의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고정판(60) 또는 삽입횡관(50)에 저항으로 인한 무리가 가해지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밴드의 힌지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평면도이고, 도 12는 종래 실용신안 출원 1998-15581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평면도이며, 설명의 용이성을 위하여 도 12의 부호의 표기는 도 4의 부호의 표기와 동일하게 표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밴드(20a)(20b)를 힌지 결합 후에, 밴드(20a)(20b)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타측 주밴드(20b)에 고정나사(27)를 체결하여 고정나사(27)의 머리로써 일측 주밴드(20a)를 고정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고정나사(27)를 체결하기 위한 구멍(29)을 형성하는 방법은 타측 주밴드(20b)를 압출 성형한 후에 적정 위치에 드릴로 구멍(29)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압출 성형 외에 드릴공정이 추가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인 도 4에서와 같이 일측 주밴드(20a)를 압출 성형할 때 일체로 나사홀(28)이 형성되게 하면 별도의 드릴 공정이 필요하지 않게 되고 간단히 고정나사(27)를 체결하여 타측 주밴드(20b)의 상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주밴드와 보조밴드의 힌지결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일, 타측 주밴드(20a)(20b)를 상호 힌지 결합으로 연결 고정함에 있어서, 도시된 바와같이 힌지 결합부에 보조밴드(90)를 연결하면 지주(10)의 외경 크기에 따라서 적절하게 주밴드(20)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밴드(90)는 일측이 암형태의 힌지부(26a′)로 형성되고 타측은 수형태의 힌지부(26b′)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주밴드의 힌지부(26a)(26b)와 상호 연결될 수 있는 것이며, 보조밴드(90)를 1개 이상으로 연설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a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의 힌지결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6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앞서 중복 표기된 부호의 표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의 실시예는 1 개의 지주(10) 상에 안내판(80)을 다수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볼트로 체결되는 플랜지(23a)(23b)를 갖는 플렌지편(100a)(100b)과, 안내판지지구(21)가 형성되고 그 좌우로 각각 암숫형의 힌지부를 갖는 지지구편(110)이 상호 힌지 결합으로 연결 구성된 실시예이며, 각각의 안내판지지구에 안내판이 설치되는 구성은 이미 설명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1 쌍의 플랜지편(100a)(100b)과 3개의 지지구편(110)이 상호 연결되어 3방향의 안내판이 설치되는 실시예를 들었으나, 1쌍의 플랜지편(100a)(100b)에 2개 또는 그 이상의 지지구편(110)을 연결 구성하면 다수개의 안내판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랜지편과 지지구편의 힌지 연결부에 상술한 바와 같은 보조밴드(90)를 추가하여 연결하면, 지주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하여 설치가 가능한 것이며,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내판 지지구조의 설치 예는 작업자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 변경 가능한 것이며, 상기 실시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판지지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안내판(130)을 협지고정편(120)을 매개로 하여 안내판지지구(21)에 직접 고정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구성은 안내판의 크기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다
협지고정편(120)은 일측이 지지홈(21)에 삽입되는 지지돌기(121)가 형성되고, 타측은 안내판(130)을 고정하는 안내판가이드(24)가 형성되어 있다.
그 조립 구성은 주밴드의 지지홈(22)에 지지돌기(121)를 삽입하여 용접으로 고정하고, 일정간격으로 이격 돌출된 안내판가이드(124) 사이의 협지홈(122)에 안내판(130)을 삽입하며, 안내판가이드와 안내판이 서로 연통된 볼트홀(125)에 고정편볼트(123)를 끼워서 너트와 체결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도 8은 도 7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의 힌지결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지주상에 다수의 안내판(130)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도 6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한 쌍의 플랜지편(100a)(100b)과 다수의 지지구편(110)을 상호 연결하고, 협지고정편(120)을 도 7의 실시예와 같이 지지홈에 고정하면, 다수의 안내판(130)을 고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서도 지주의 크기에 따라서 보조밴드(90)를 연설할 수 있다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설치하고자 하는 일측 주밴드(20a) 또는 지지구편(110)의 안내판지지구(20)에 고정횡관(40)을 용접으로 고정하고, 상기 고정횡관의 상하부에는 보강대(30a)(30b)의 지지돌기(31a)(31b)를 각각 지지홈(22)에 삽입하여 보강대가 상기 고정횡관의 보강대가이드(42a)(42b)에 각각 안착시켜 용접으로 고정한다.
이후, 지주(10) 상에 일측 주밴드(20a)와 타측 주밴드(20b)를 각각 힌지 결합으로 연결하되, 지주(10)의 외경 크기에 따라 보조밴드(90)를 연설할 수 있으며, 나사홀(28)에는 고정나사(27)를 체결하여 밴드의 상호 이탈을 방지하며, 플랜지부는 밴드볼트(25)의 머리를 볼트머리고정부(24)에 안착시키고 너트만 회전시키면 조립한다.
한편, 안내판(80)에 형성된 회전걸이공(82)에는 고정판(60a)(60b)을 각각 맞대어 고정판볼트(61)로 상호 체결하되, 안내판걸이부(68a)(68b)가 회전걸이공(82)을 관통하게 한다.
이후, 지주(10)에 주밴드(20)와 함께 고정된 고정횡관(40)의 내부에 삽입횡관(50)을 삽입하여 고정관볼트(43)로 체결한 다음, 고정판걸이홈(51)에 적정 길이의 스페이서(70)와 고정판돌기(64)를 차례로 삽입한 후, 캡(53)으로서 삽입횡관의 개방부를 밀폐하여 완성한다.
이때, 또 다른 실시예로서, 안내판의 크기 및 설치 조건에 따라서 협지고정편(120)을 주밴드(20a) 또는 지지구편(110)의 지지홈(22)에 삽입하여 협지공정편에 안내판(130)을 고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내판 지지구조는 안내판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주에 주밴드, 플랜지편, 지지구편, 보조밴드를 적절히 조합 배치하여 상호 연결하면 지주의 외경크기에 관계없이 안내판을 설치 고정할 수 있고, 안내판을 설치하고자 하는 수량도 1개 이상으로 설치 가능하며, 안내판의 크기에 따라서 동일한 밴드상에 고정횡관 또는 협지고정편을 선택적으로 삽입함으로서, 어떠한 사용 조건이나 사용환경에서도 적절히 대응하여 설치 가능한 것이다.
또한, 각각의 볼트머리를 사각으로 볼트체결시 회전을 방지함은 물론, 고정판의 결합시에도 안착돌기 및 안착홈이 상호 결합되게 하여 조립성이 크게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밴드의 압출 성형시 나사홀이 동시에 형성되므로 별도의 드릴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생상성이 향상되었으며, 안내판의 회전걸이공을 관통한 안내판걸이구의 구성으로 안내판의 회전각이 극대화되어 안내판 지지구조의 내구성이 향상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안내판 지지구조는 사용조건, 사용환경의 적절한 대응성 및 조립성 향상, 생산성 향상, 내구성 향상 등을 갖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1)

  1. 지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다수개로 분할된 밴드의 연결을 힌지 결합으로 하는 안내판 지지구조에 있어서,
    2개로 분할된 밴드의 일측은 힌지부(26a)(26b)로 연결되고, 타측은 플랜지(23a)(23b)로 볼트체결되도록 하되, 일측 플랜지(23a)에는 볼트머리고정부(24)가 형성되고, 일측 밴드 중앙에는 지지홈(22)을 갖는 안내판지지구(21)가 형성된 주밴드(20a)(20b) 조립체와,
    상기 지지홈(22)의 상하부에 삽입되는 지지돌기(31)가 구비된 보강대(30a)(30b)와,
    상기 안내판지지구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고, 상하부로는 보강대가이드(42)가 형성되며 측면 일측에 볼트머리고정부(41) 및 볼트홀(44)이 형성된 고정횡관(40)과,
    상기 고정횡관에 삽입되고 상기 볼트홀(44)과 연통되는 볼트홀(52)이 형성되며, 하부에 고정판걸이홈(51)이 형성된 삽입횡관(50)과,
    2개로 분할된 일측 고정판에 상부에 상기 고정판걸이홈에 삽입되는 고정판돌기(64)가 형성되고 중앙에 볼트홀(62) 및 볼트머리고정부(63)가 형성되며, 타측 고정판은 상기 볼트홀과 연통되는 볼트홀(62)을 가지며, 상기 일·타측 고정판의 결합시 하단에 각각 형성된 안내판걸이부(68a)(68b)의 결합으로 고정판홀(65)이 형성되는 고정판(60a)(60b) 조립체와,
    상기 고정판홀(65)을 관통하는 안내판돌기(81)가 상하부에 형성된 안내판(8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판 지지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26a)에는 고정나사(27)가 체결되는 나사홀(28)이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나사(27) 머리가 힌지부(26b)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판 지지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고정판(60a)(60b)의 접촉부에 각각 안착홈(66)과 안착돌기(67)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판 지지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80)에 형성된 회전걸이공(82)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의 안내판걸이부(68a)(68b)가 회전걸이공(82)을 관통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판 지지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26a)(26b)의 연결부에 암숫형의 힌지부(26a′)(26b′)가 각각 일, 타측단에 형성된 보조밴드(90)를 더 삽입하여 밴드의 내경을 증가되게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판 지지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조밴드(90)에는 고정나사(27)가 체결되는 나사홀(28′)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판 지지구조.
  7. 각 일측에 볼트 체결되는 플랜지(23a)(23b)를 갖고 각 타단에 힌지부(26a)(26b)를 구비한 플랜지편(100a)(100b)과, 중앙에 지지홈(22)을 형성한 안내판지지구(21)가 일체로 되고 양단에는 각각 힌지부(26a)(26b)를 형성한 다수개의 지지구편(110)이 상호 힌지로 결합되어 지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되, 이들 사이에 하나 이상의 보조밴드(90)를 더 결합할 수 있도록 한 안내판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23a)에는 볼트머리고정부(24)가 형성된 것과,
    상기 지지구편(110)의 힌지부(26a)와 보조밴드(90)의 힌지부(26a' )에 각각 고정나사(27)가 체결되는 나사홀(28)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판 지지구조.
  8. 삭제
  9. 삭제
  10. 지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다수개로 분할된 밴드의 연결을 힌지 결합으로 하는 안내판 지지구조에 있어서,
    2개로 분할된 밴드의 일측은 힌지부(26a)(26b)로 연결되고, 타측은 플랜지(23a)(23b)로 볼트체결되도록 하되, 일측 플랜지(23a)에는 볼트머리고정부(24)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지지홈(22)을 갖는 안내판지지구가 형성된 주밴드(20a)(20b)와,
    상기 지지홈(22)에 삽입되는 지지돌기(121)가 형성되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된 안내판가이드(124)를 갖으며 안내판가이드에 다수의 볼트홀(125)이 형성된 협지고정편(120)과,
    상기 안내판 가이드(124) 사이의 협지홈(122)에 삽입되고 상기 볼트홀(125)과 대응하여 연통된 홀에 고정편볼트(123)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안내판(130)으로 구비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안내판 지지구조.
  11. 삭제
KR10-2002-0069145A 2002-11-08 2002-11-08 안내판 지지구조 KR100394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145A KR100394692B1 (ko) 2002-11-08 2002-11-08 안내판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145A KR100394692B1 (ko) 2002-11-08 2002-11-08 안내판 지지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600U Division KR200262261Y1 (ko) 2001-10-16 2001-10-16 안내판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874A KR20030031874A (ko) 2003-04-23
KR100394692B1 true KR100394692B1 (ko) 2003-09-13

Family

ID=29578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145A KR100394692B1 (ko) 2002-11-08 2002-11-08 안내판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46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727B1 (ko) * 2010-04-20 2011-06-24 주식회사 대영테크 도로 표지판 설치 구조
KR200462749Y1 (ko) * 2012-05-25 2012-09-27 주식회사김스애드 도로 표지판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953B1 (ko) * 2005-12-20 2006-03-31 한양프레임주식회사 교통표지 장치
KR101235006B1 (ko) * 2012-06-15 2013-02-21 주식회사 선진정밀 도로 표지판
KR101235007B1 (ko) * 2012-07-17 2013-02-21 주식회사 선진정밀 결합구조가 개선된 도로표지판용 행거유닛
KR101690002B1 (ko) * 2016-05-23 2016-12-27 전찬면 양방향 표지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431Y1 (ko) * 2001-06-11 2001-10-31 윤백상 도로표지판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431Y1 (ko) * 2001-06-11 2001-10-31 윤백상 도로표지판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727B1 (ko) * 2010-04-20 2011-06-24 주식회사 대영테크 도로 표지판 설치 구조
KR200462749Y1 (ko) * 2012-05-25 2012-09-27 주식회사김스애드 도로 표지판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874A (ko) 200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2261Y1 (ko) 안내판 지지구조
KR101937374B1 (ko)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KR100394692B1 (ko) 안내판 지지구조
US2834621A (en) Hand railing and mounting
HU224231B1 (hu) Szerelvénycsoport csuklópánttal, valamint ajtó, ablak és hasonló
KR100450292B1 (ko) 표지판 지지구조
JP2001207479A (ja) 建設機械用キャブ
US9689122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inforcing a traffic control assembly
CN208064805U (zh) 一种铝柜柜板结构
CN212028747U (zh) 一种井道内泵管固定结构
JP2000248700A (ja) 樋取付け具
KR101811302B1 (ko)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교통시설물 설치용 지주 구조물
JP3944843B2 (ja) 改装窓
KR200250985Y1 (ko) 안내판지지구
CN211773108U (zh) 一种连杆结构及道闸
CN220521708U (zh) 一种无序安装的框架幕墙横梁
KR200269588Y1 (ko) 창호의 수직 및 수평 통바 연결구조
CN210460291U (zh) 一种应用在门窗上的铰接装置
CN220151133U (zh) 一种防止玻璃下垂的组合定位装置
CN214729332U (zh) 摩托车护手关节臂安装支架
CN220082944U (zh) 光源支架型材
CN217503496U (zh) 一种一体化格栅教室灯
CN219865763U (zh) 一种用于插管快速安装连接抱箍结构
KR0114870Y1 (ko) 비닐하우스용 강관의 체결밴드
JP4139417B2 (ja) 簡易ハウスの骨組み用連結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