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3982B1 - 원격데이터집중장치와데이터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원격데이터집중장치와데이터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3982B1
KR100393982B1 KR10-1998-0054174A KR19980054174A KR100393982B1 KR 100393982 B1 KR100393982 B1 KR 100393982B1 KR 19980054174 A KR19980054174 A KR 19980054174A KR 100393982 B1 KR100393982 B1 KR 100393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si
data
input
output processor
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8986A (ko
Inventor
유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54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3982B1/ko
Publication of KR20000038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9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04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 G06F13/4221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being an input/output bus, e.g. ISA bus, EISA bus, PCI bus, SCSI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06F13/22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using successive scanning, e.g. po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36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SCS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mory System Of A Hierarch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라이트 백 캐시 모드로 동작하는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와 그 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는 데이터 전송 시, 라이트 백 캐시 모드로 동작하면, 하나의 스카시 포트의 에러에 의해 에러가 발생되지 않은 스카시 포트가 함께 리셋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호스트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 1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 제 1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에 입력된 데이터를 일정한 순서로 적재하는 캐시메모리, 캐시메모리에 적재된 데이터 중, 가장 빠르게 디스크 드라이브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 제 1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와 제 2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 중, 에러가 발생된 프로세서의 포트를 초기화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에러가 발생된 스카시 포트만 리셋하므로, 라이트 백 캐시 모드로 동작할 때 데이터 유실 가능성을 낮춰 안정적으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와 데이터 전송방법{Method for transmission data and Apparatus of Remote Data Concentrator}
본 발명은 데이터 집중장치와 그 데이터 집중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RDC : Remote Data Concentrator)와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성사서함 시스템에 장착되었던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의 구성요소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i960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 명령축약형) 프로세서(10)와 메모리(20), 캐쉬메모리(15), 스카시(SCSI : Small Computer Sytem Interface) 버스 시스템(11a, 11b, 11c), 그리고 입출력장치(I/O : Input/Output)(14, 16)로 구성된다.
i960 RISC 프로세서(10)로 많이 사용되는 DAC960SX 프로세서는 인텔(Intel)에서 제조한 명령축약형 프로세서이다. 이 DAC960SX 프로세서는 33MHZ의 주기의 클록속도로 동작하고, 1KB의 데이터 캐시메모리와 4KB의 명령어 캐시메모리를 가지고 있다. DAC960SX 프로세서는 SCSI 버스 기능과 원격접근 양방향 착오정정(이하 RAID : Remote Access Interactive Debugger)기능과 참조(Configuration) 및, 데이터생성, 에러정정, 디스크 드라이브 재편성(drive rebuild) 등을 포함한 시스템의 모든 기능을 제어한다.
스카시 버스 시스템(11a, 11b, 11c)은 DAC960SX의 콘트롤러(controller)가 호스트 시스템과 각 드라이브간의 data를 읽고 쓰는 등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스카시 버스 시스템은 복수개의 입출력 채널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채널 마다 드라이브 혹은, 그 밖의 주변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이 스카시 채널은 최고 6 개의 디스크 드라이브가 연결될 수 있다. DAX960SX에서 사용되는 스카시 버스 시스템으로 Symbios Logic 53C770 SCSI 입출력 프로세서가 있다. 이 SCSI 입출력 프로세서는 Fast Wide SCSI-3(Ultra-SCSI)까지 지원할 수 있다.
DAC960SX의 1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면패널 키패드(Front panel Keypad)이고, 2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RS-232 직렬 통신 포트이다.
DAC960SX의 메모리 시스템(20)은 128MB의 모듈화 된 DRAM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소 8MB의 용량이 필요하다. DAC960SX를 포함하는 I960 프로세서와 메모리 시스템의 DRAM사이에 이루어지는 32비트 인터페이스는 이산적인 프로그램으로 논리화된 메모리 제어부(MCU : Memory Control Unit)에 의하여 지원된다. 메모리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고 동시에 각 데이터의 어드레싱 기능을 수행하며, 부가적으로 주변 장치를 매핑하고 비휘발성 메모리(NVRAM : NonVolatile RAM)와(17) 플래시 메모리, 혹은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Programable ROM)(15)의 억세스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DAC960SX의 펌웨어(Firmware)는 i960 CPU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그램이며, 시스템의 마더보드(Mother board)에 설치된 EEPROM에 저장되어 있다. 이 EEPROM은 전원이 꺼졌을 때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펌웨어를 EEPROM에 저장하는 이유는 메모리 칩을 교환하지 않아도 펌웨어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펌웨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에는 현재의 콘트롤러의 구조와 거기에 부착된 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그래서, 디스크 드라이브 표면이 손상되어 데이터 오류(error, fail)가 발생되는 등, 디스크 드라이브의 구조가 변할 때, 그 디스크 드라이브 표면의 기록을 보존해 준다.
COD(Configuration on Disk)는 하드디스크의 구조가 변할 때에 DAC960SX 프로세서가 그 변동 상황을 인식할 수 있게 하며, 자동적으로 하드디스크를 프로세서가 재구조화 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제공해 준다.
XMC ASIC(12)는 모듈화되어 있는 메모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디자인 된 장치이다. 메인 메모리 장치는 모듈화된 DRAM소자로 구성된다.
메모리 버스 인터페이스(21)는 지역버스(13)(Local Bus)와 DRAM SIMM(Single Inline memory module) 간의 데이터 버퍼를 제공하고, DRAM memory에 대한 패리티를 발생시키고, 패리티를 검사하며, 패리티 에러가 발생되었을 때 수행하는 인터럽트의 논리값을 제공한다.
BBU(22) 회로는 전원과 메모리의 구조에 따라 적당한 리프레시(refresh) 신호주기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11a, 11b, 11c)(SIOP : SCSI I/O Processor)는 호스트 채널 1 개와 드라이브 채널 2 개로 구성되어 있고, DMA 코어와 SCSI 코어 등으로 구성되어 SCSI 프로토콜 등을 수행한다.
지역버스(13)는 모든 데이터를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입출력할 때 공유하는 것이다. 또, 듀얼 UART(14)(Universal Asyncronous Receiver Transmitter)는 일반적인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에 부가적으로 포함된 것이다. 직렬포트 A는 CTS, RTS, DSR, DTR, DCD를 포함하는 모뎀의 제어신호를 입출력하고, 직렬포트 B는 수신데이터와 송신데이터를 입출력 한다.
플래시 메모리 또는, EPROM(15)은 512KB의 용량으로 구성되어 운용프로그램(Operating Program)이 저장되어 있다. 바로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EPROM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부트(Boot)된다.
8비트 출력포트(16)는 제어보드에 있어서 컴퓨터 하드웨어에 사용되는 쓰기제어신호(Write-only control bit)를 제공한다.
종래의 DAC960SX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부가가치 정보처리 시스템(Value adde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 사이의 스카시 버스 상에 잡음이 발생하여 목적지의 요청신호(Request signal)가 불안정하게 되면, 호스트 컴퓨터는 승인신호(Acknowledge signal)를 동기할 수 없어 에러 코드가 SCSIE_STO인 스카시 버스의 timeout 에러가 발생하였다. 그 결과, 스카시 버스가 사용중(Busy) 상태가 되어 0x71FB( Bad Status) , 0x7206(Unit Attention) , 0x7404(Unexpected Disconnect) 등의 스카시 버스 장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종래의 부가가치 정보처리 시스템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원격데이터집중장치 사이의 스카시 버스 장애 시, 해당하는 스카시 명령을 재시도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애가 해소되지 않으면 스카시 레지스터를 초기화한 후에 스카시 명령을 재시도한다. 이 때, 스카시 버스의 장애 발생시의 스카시 명령의 재시도 횟수는 10회로 설정되어 있고, 10회 연속 장애 발생시 스카시 버스와 레지스터를 초기화한다. 그리고, 스카시 버스를 초기화한 후에 마이크로 프로세서 DAC960SX의 초기화 대기시간은(Initial wait time)은 10초 정도로 설정하고, 3회 연속 스카시 버스의 초기화가 발생되면 마더보드 자체의 보드 초기화(reset)가수행된다. 또한 종래의 부가가치 정보처리 시스템은 정상적인 동작에서 발생하는 에러(0x7100 : SCSI Interrupt Instruction Received)와 Check Condition(0x71FE)을 제외한 모든 Error에 대하여 스카시 명령의 재시도가 수행된다.
이 때, 데이터의 캐시동작 수행 중에 읽기 캐시(Read Cache) 동작은 DAC960SX에 의해 제어되며, DAC960SX는 라이트 쓰루 캐시(Write-through Cache)와 라이트 백 캐시(Write-back Cache) 방식을 모두 지원한다.
특히 라이트 쓰루 캐시(Write-through Cache) 방식에서 데이터는 만기 상태(completion status)가 호스트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전달되기 전에 디스크에 먼저 전송된다. 즉, 호스트 컴퓨터에 설치된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SIOP)의 데이터는 캐시 메모리를 거쳐 바로 드라이브의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SIOP)로 전송되며 이것은 디스크로 직접 전송된다. 이러한 과정이 캐시메모리에 적재되는 시간 없이 즉시 이루어진다.
그리고, 라이트 백 캐시(Write-back Cache) 방식에서 데이터는 만기상태(completion status)가 호스트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전달된 후에 디스크로 전송된다. 즉, 호스트에 설치된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SIOP)의 데이터는 캐시 메모리에 일단 적재되며, 적재된 순서에 상관 없이 드라이브의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SIOP)로 전송된 후에 다시 디스크로 전송된다. 이 모든 과정은 Cache에 적재되는 순서에 따라 일괄적으로 이루어 진다.
라이트 백 캐시 모드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는 스카시 버스를 통해 스카시 프로토콜을 수행한다.
이 때, 여러 스카시 명령들이 수행되는데, 이러한 스카시 명령들은 명령표현블록(CDB : Command Descript Block)이라는 형태의 패킷으로 이루어져 수행된다. 이러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스카시 버스를 통해 DMA(Direct Memory Access) 채널로 데이터가 전송되면, 데이터는 다시 데이터 캐시 메모리로 전송되어 일정한 순서에 입각하여 적재된다. 이 때 일정량이 데이터 캐시에 적재되면, 드라이브 포트의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는 데이터가 적재된 순서에 상관없이 가장 빠르게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를 하드디스크의 적당한 섹터(sector)에 전송하여 저장시킨다. 이러한 과정 중에 만약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의 스카시 버스 상에 물리적 또는 논리적 에러가 발생하게 되면, 상술한 과정이 지속적으로 재시도된다. 그 후에 스카시 버스가 초기화되는 것이다.
이 때 호스트의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에서 데이터 캐시에 데이터를 적재하는 순서와 드라이브의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순서는 다르게 된다. 그 순간에 스카시 버스가 초기화되면, 호스트의 입출력 포트 뿐만 아니라, 드라이브 포트도 함께 초기화된다. 즉, 드라이브 포트 방향의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가 하드디스크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도중에 드라이브 포트가 초기화되므로, 종래의 스카시 시스템은 하드디스크가 손상되는 문제를 야기한다.
그러나, 라이트 백 캐시 모드는 데이터가 캐시에 적재된 후에 쓰기 만료 응답(Write Completion Return) 신호를 보내도록 프로그램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문제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하드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이 계속 수행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스카시 시스템은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의 데이터 캐시모드를 무조건 라이트 쓰루 캐시 모드로 조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라이트 쓰루 캐시 모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스카시 버스를 통해 DMA 채널로 데이터가 전송되면, 그 데이터를 데이터 캐시로 전송하여 적재한다. 그리고, 데이터의 적재 동작에 상관없이 드라이브 포트의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는 즉시 데이터 캐시의 데이터를 하드디스크의 적당한 섹터에 저장한다.
그러므로, 라이트 쓰루 캐시는 데이터 캐시의 데이터와 하드디스크 데이터가 항상 일치하게 되므로, 스카시 버스가 초기화되어 호스트 방향의 포트와 드라이브 방향의 포트가 모두 초기화되더라도 호스트 포트와 드라이브 포트 쪽의 데이터가 일치하므로 HDD가 손상 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라이트 쓰루 캐시는 데이터가 디스크 드라이브에 기록된 후에 쓰기 만료 응답(Write Completion Return)이 이루어지므로, 전원의 불안정으로 인한 데이터의 유실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즉, 라이트 백 캐시 모드로 운용 중인 스카시 시스템은 전원 오류(Power Failure)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다운(Sytem down) 시 데이터의 유실 가능성이 높으므로, 캐시메모리를 위한 별도의 배터리 장치를 추가하거나, 라이트 쓰루 캐시 모드로 운용해야 한다. 그 결과, 종래의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는 항상 라이트 백 캐시 모드에서 동작시켜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를 라이트 백 캐시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DAC960SX 를 이용하여 구성한 종래의 부가가치 정보처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호스트 컴퓨터와 하드디스크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실시하는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호스트 컴퓨터200 :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
210 : 제 1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220 : 중앙처리장치
230 : 캐시메모리240, 240' : 제 2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
310, 320, 330, 340 : 디스크(하드디스크)
본 발명은 스카시 버스의 사용중 비트(busy bit)를 이용하여 에러가 발생된 스카시 포트만 리셋하여 데이터가 전송되는 포트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200)(RDC : Remote Data Concentrator)는 호스트 컴퓨터(10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 1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210)(SIOP : SCSI Input Output Proccesor), 제 1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210)에 입력된 데이터를 적재하는 캐시메모리(230), 캐시메모리(230)에 적재된 데이터 중에 가장 빠르게 디스크(310, 320, 330, 340)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240, 240'), 그리고 상기 제 1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210)와 제 2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240, 240') 중, 에러가 발생된 프로세서의 포트를 초기화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2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210)는 호스트 컴퓨터(10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중앙처리장치(220)의 제어에 의해 캐시메모리(230)로 전송한다. 제 1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210)는 스카시 버스의 사용 중을 나타내는 제 1 스카시 상태 레지스터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스카시 상태 레지스터는 스카시 사용중 비트(busy bit)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200)는 제 1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210)가 복수개 설치되어 여러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2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240, 240')는 캐시메모리(230)에 적재된 데이터 중, 가장 빠르게 디스크(310, 320, 330, 340)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를 외부 포트를 통해 출력한다. 제 2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240, 240')는 스카시 버스의 사용 중을 나타내는 제 2 스카시 상태 레지스터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스카시 상태 레지스터는 제 1 스카시 상태 레지스터와 마찬가지로 스카시 사용중 비트가 설치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200)에 포함된 제 1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210)와 제 2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240, 240')는 하드웨어적으로 각각 스카시 상태 비트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200)는 제 2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240, 240')가 복수개 설치되어 데이터를 여러 개의 포트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캐시메모리(230)는 제 1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210)의 포트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일정한 순서로 적재하고, 중앙처리장치(220)의 제어에 따라 제 2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240, 240')로 출력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200)에 포함된 캐시메모리(230)는 라이트 백 캐시(Write-Back Cache) 모드로 동작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캐시메모리(230)와 제 2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240, 240')는 가장 빠르게 외부로 전송될 수 있는 순서에 입각하여 데이터를 외부의 디스크(310, 320, 330, 340)에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동작한다.
중앙처리장치(220)는 제 1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210)와 제 2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240, 240') 중, 에러가 발생된 프로세서의 포트가 리셋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중앙처리장치(220)는 제 1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210)에 설치된 제 1 스카시 상태 레지스터와 제 2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240, 240')에 설치된 제 2 스카시 상태 레지스터의 스카시 사용중 비트의 비트값에 따라 에러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스카시 사용중 비트는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에 연결된 스카시 버스가 2 초 이상 점유되었을 때에 세트된다. 그러면, 중앙처리장치(220)는 폴링(polling) 방법에 의해 스카시 사용중 비트의 세트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이 때, 스카시 사용중 비트가 세트되면, 본 발명의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200)에 설치된 중앙처리장치(220)는 그 스카시 버스에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그 스카시 버스, 즉 2 초 이상 점유된 스카시 버스를 리셋시킨다.
이 때, 본 발명의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200)는 호스트 컴퓨터(100)에 연결된 제 1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210)와 외부 디스크(310, 320, 330, 340) 드라이브에 연결된 제 2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240, 240') 각각에 스카시 사용중 비트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스카시 버스 각각에 대한 점유시간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210)에 연결된 스카시 버스가 2 초 이상 점유되어 중앙처리장치(220)에 의해 리셋되더라도, 제 2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240, 240')에 연결된 스카시 버스는 리셋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200)의 데이터 전송방법은 복수개의 스카시 버스 중에 어느 하나가 소정의 시간 이상으로 점유되면 해당하는 스카시 버스에 연결된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의 스카시 비트를 세트하는 단계와, 그 점유된 스카시 버스를 리셋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전송방법은 스카시 버스 각각의 점유시간을 감지하여 소정의 시간 이상으로 점유되면, 그 점유된 스카시 버스에 연결된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의 스카시 비트를 세트한다. 이 때, 스카시 비트의 세트 여부를 결정하는 시간은 대략 2 초 내외로 설정한다.
그리고, 스카시 비트가 세트되면 그 점유된 스카시 버스를 리셋하여 초기화시킨다. 이 때,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전송방법은 스카시 비트의 상태를 항상 검사하는 폴링(polling) 방법에 의하여 스카시 비트값이 세트되었는 지를 감지하는 단계가 부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200)가 호스트 컴퓨터(100)로부터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본 발명의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200)는 일정한 순서에 입각하여 캐시메모리(230)에 데이터를 적재한다. 그리고, 일정한 양의 데이터가 캐시메모리(230)에 저장되면, 본 발명의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200)는 캐시메모리(230)에 적재된 데이터를 외부 디스크(310, 320, 330, 340)에 라이트 백 캐시 모드(Write-Back Cache Mode)로 저장시킨다.
이 때, 호스트 컴퓨터(100)에 연결된 스카시 버스에서 에러가 발생되면, 본 발명의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200)는 호스트 컴퓨터(100)에 연결된 스카시 버스를 리셋시킨다. 물론, 디스크(310, 320, 330, 340)에 연결된 스카시 버스는 리셋되지않는다. 그 이유는 본 발명의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200)에 설치된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에 각각 스카시 사용중 비트가 설치되어 독립적으로 스카시 버스의 에러 여부를 감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100)에 연결된 스카시 버스의 에러로 인하여 디스크(310, 320, 330, 340)에 연결된 스카시 버스가 리셋되지 않으므로, 디스크(310, 320, 330, 340)에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저장되어 디스크 오류가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는 종래의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에 비하여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안에 호스트 컴퓨터에서 발생된 에러에 의해 발생하는 데이터 에러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종래의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는 라이트 백 캐시 모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도중, 전원의 불안정 혹은, 호스트 컴퓨터의 다운 등으로 인해 스카시 포트가 동시에 리셋되므로, 데이터가 유실될 가능성이 높았으나, 본 발명의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는 각각의 스카시 포트를 별개로 리셋시키므로, 하나의 스카시 포트 에러에 의해 에러가 발생되지 않은 스카시 포트가 리셋되지 않아 데이터 유실 가능성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호스트컴퓨터와 디스크 드라이브 사이의 데이터를 입출력시키는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 1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
    상기 제 1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에 입력된 데이터를 일정한 순서로 적재하는 캐시메모리,
    상기 캐시메모리에 적재된 데이터 중, 가장 빠르게 디스크 드라이브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
    상기 제 1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와 제 2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 중, 에러 가 발생된 프로세서의 포트를 초기화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는 스카시 버스의 사용 중을 나타내는 사용중 비트(busy bit)가 설치된 제 1 스카시 상태 레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는 스카시 버스의 사용중을 나타내는 사용중 비트(busy bit)가 설치된 제 2 스카시 상태 레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제 1, 제 2 스카시 상태레지스터 각각의 비트값에 따라 에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
  4. 스카시 버스를 이용하여 소정의 캐시메모리와 외부 디스크 사이에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스카시 버스 중 어느 하나가 소정의 시간 이상으로 점유되면 상기 점유된 스카시 버스의 사용중을 나타내는 스카시 상태 레지시터의 스카시 비트를 스카시 입출력 프로세서가 세트하는 단계,
    상기 스카시 비트가 세트되면 상기 점유된 스카시 버스를 리셋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방법은
    스카시 비트의 상태를 항상 검사하는 폴링(polling) 방법에 의하여 스카시 비트값이 세트되었는 지를 감지하는 단계가 부가적으로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데이터 집중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
KR10-1998-0054174A 1998-12-10 1998-12-10 원격데이터집중장치와데이터전송방법 KR100393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174A KR100393982B1 (ko) 1998-12-10 1998-12-10 원격데이터집중장치와데이터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174A KR100393982B1 (ko) 1998-12-10 1998-12-10 원격데이터집중장치와데이터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986A KR20000038986A (ko) 2000-07-05
KR100393982B1 true KR100393982B1 (ko) 2003-09-19

Family

ID=19562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174A KR100393982B1 (ko) 1998-12-10 1998-12-10 원격데이터집중장치와데이터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39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61793B (zh) * 2008-04-15 2011-09-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端口扩展装置以及端口扩展装置处理数据的方法
CN110244635A (zh) * 2019-06-24 2019-09-17 中国航空无线电电子研究所 具有计算转发时间功能的远程数据集中器
CN112787857B (zh) * 2020-12-29 2023-07-25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机设计研究所 一种远程数据集中器数据监控与故障定位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0076A (ja) * 1991-10-29 1993-05-18 Nec Eng Ltd エラー検出方法
KR19980046492A (ko) * 1996-12-12 1998-09-15 정장호 통신처리시스템에서 축적장치의 이중화 제어장치
KR20000015042A (ko) * 1998-08-26 2000-03-15 김영환 전전자교환기의 대용량 저장장치의 제어방법
KR20000033423A (ko) * 1998-11-23 2000-06-15 윤종용 소형컴퓨터 시스템 인터페이스 버스 비지 상태 회복 방법
KR20000033245A (ko) * 1998-11-20 2000-06-15 이계철 장애 발생 신호를 갖는 에스씨에스아이 장치의실시간 장애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0076A (ja) * 1991-10-29 1993-05-18 Nec Eng Ltd エラー検出方法
KR19980046492A (ko) * 1996-12-12 1998-09-15 정장호 통신처리시스템에서 축적장치의 이중화 제어장치
KR20000015042A (ko) * 1998-08-26 2000-03-15 김영환 전전자교환기의 대용량 저장장치의 제어방법
KR20000033245A (ko) * 1998-11-20 2000-06-15 이계철 장애 발생 신호를 갖는 에스씨에스아이 장치의실시간 장애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33423A (ko) * 1998-11-23 2000-06-15 윤종용 소형컴퓨터 시스템 인터페이스 버스 비지 상태 회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986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22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of distributed direct memory access (DDMA) devices
US6505305B1 (en) Fail-over of multiple memory blocks in multiple memory modules in computer system
US5265211A (en) Arbitration control logic for computer system having dual bus architecture
US4356550A (en) Multiprocessor system
JP5032027B2 (ja) 半導体ディスク制御装置
US5499346A (en) Bus-to-bus bridge for a multiple bus information handling system that optimizes data transfers between a system bus and a peripheral bus
US6052795A (en) Recovery method and system for continued I/O processing upon a controller failure
KR100441189B1 (ko) Ata 에뮬레이션 호스트 인터페이스를 가진 raid제어기 시스템 및 방법
US56596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ddress location and taking one of two actions depending on the type of read/write data transfer required
EP0553563A1 (en) Bus interface logic for computer system having dual bus architecture
US6529989B1 (en) Intelligent expansion ROM sharing bus subsystem
JPH07281840A (ja) 2重化ディスク記録装置
EP013925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rect memory to peripheral and peripheral to memory data transfer
KR100393982B1 (ko) 원격데이터집중장치와데이터전송방법
JPH07219719A (ja) 記憶装置及び方法
WO2009115058A1 (zh) 提供闪存存储功能的主板及其存储方法
JPH06195302A (ja) システム制御装置の識別が可能な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H0238969B2 (ko)
US6813671B1 (en) Controller for hot swapping of extended I/O device to computer body
KR100331042B1 (ko) 통신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저장장치
KR100308149B1 (ko) 디스크어레이제어장치및제어방법
JPH07248927A (ja) 入出力エミュレーション回路およびデータチェック回路
JPH11328046A (ja) 情報処理装置及び記録媒体
JPH04309137A (ja) メモリシステム
JPH11232206A (ja) 入出力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