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3544B1 - 축동심 정렬공구 - Google Patents

축동심 정렬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3544B1
KR100393544B1 KR10-2000-0075262A KR20000075262A KR100393544B1 KR 100393544 B1 KR100393544 B1 KR 100393544B1 KR 20000075262 A KR20000075262 A KR 20000075262A KR 100393544 B1 KR100393544 B1 KR 100393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red surface
coupling
fixed seating
seating block
ax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5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5847A (ko
Inventor
박경호
Original Assignee
한전기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기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기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5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3544B1/ko
Publication of KR20020045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5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5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22Structural association of coolant tubes with hea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가 아닌 두 몸체의 축결합 또는 핀결합시 그 결합구멍의 축동심 정렬을 보다 용이하도록 한 축동심 정렬공구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원자로 헤드(10)의 클래비스 홀(12)과 리프팅 리그(20)의 결합구멍(22)의 축동심 정렬을 이루어 핀결합 또는 축결합을 함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 헤드(10)의 클래비스 홀(12) 상에 끼워져 안착되고, 그 하부에 상광하협(上廣下狹)되는 테이퍼면(32)을 갖는 고정 안착블럭(31);
상기 고정 안착블럭(31)에 헐겁게 끼움결합되도록 일정한 수직길이를 갖고, 상부에 상기 고정 안착블럭(31)을 가압할 수 있도록 조정너트(33)가 나사결합하는 나사형성부(34)가 형성되며, 그 하부에 상협하광(上狹下廣)된 테이퍼면(35a)을 갖는 가압헤드(35)를 포함한 확경바아(36); 및
상기 고정 안착블럭(31)의 테이퍼면(32)과 확경바아(36)의 테이퍼면(35a)에 동시에 면접되도록 서로 대칭되는 경사의 상부 테이퍼면(37a)과 하부 테이퍼면(37b)을 갖고, 가압헤드(35)의 수직이동시 확경과 축경이 자유롭도록 다수개로 분할구성되며, 분할상태가 유지되도록 외측에 탄성링(38)이 탄지된 확경블럭(3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축동심 정렬공구{Centering tool}
본 발명은 축동심 정렬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체가 아닌 두 몸체의 축결합 또는 핀결합시 그 결합구멍의 축동심 정렬을 보다 용이하도록 한 축동심 정렬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국형 표준 원전(영광 3,4호기 및 5,6호기, 울진 3,4호기)의 핵연료 재장전 작업에서, 일단 부대설비를 제거하고, 원자로 헤드의 클래비스 홀(clevis hall)과 리프팅 리그의 결합구멍에 결합된 결합용 핀을 제거한 후 원자로 헤드를 인양하도록 되어 있고, 재장전 후 다시 상기의 역순으로 원자로 헤드를 체결하게 된다.
한편 핵연료 재장전 후 원자로 헤드와 리프팅 리그의 체결작업시 상기 원자로 헤드의 클래비스 홀과 리프팅 리그의 결합구멍이 맞지 않게 되는데, 이의 정렬을 위한 종래의 방법은, 단순히 체인블럭과 유압공구를 이용하여 사방에서 밀고 당기면서 각 결합구멍을 정렬을 한 후 핀을 체결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각 결합구멍을 통한 직접적인 정렬이 아니라 원자로 헤드를 리프팅시킨 상태에서 이리저리 이동을 시키면서 어긋난 상태를 조금씩 교정해 나가는 수동적인 정렬방식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작업시간과 그 작업에 투입되는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작업중에 작업자의 안전사고나 원자로 헤드의 파손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그 목적은 일체가 아닌 두 몸체의 축결합 또는 핀결합시 그 결합구멍의 축동심 정렬을 보다 용이하도록 한 축동심 정렬공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자로 헤드의 클래비스 홀과 리프팅 리그의 결합구멍의 축동심 정렬을 이루어 핀결합 또는 축결합을 함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 헤드의 클래비스 홀 상에 끼워져 안착되고, 그 하부에 상광하협(上廣下狹)되는 테이퍼면을 갖는 고정 안착블럭;
상기 고정 안착블럭에 헐겁게 끼움결합되도록 일정한 수직길이를 갖고, 상부에 상기 고정 안착블럭을 가압할 수 있도록 조정너트가 나사결합하는 나사형성부가 형성되며, 그 하부에 상협하광(上狹下廣)된 테이퍼면을 갖는 가압헤드를 포함한 확경바아; 및
상기 고정 안착블럭의 테이퍼면과 확경바아의 테이퍼면에 동시에 면접되도록 서로 대칭되는 경사의 상부 테이퍼면과 하부 테이퍼면을 갖고, 가압헤드의 수직이동시 확경과 축경이 자유롭도록 다수개로 분할구성되며, 분할상태가 유지되도록 외측에 탄성링이 탄지된 확경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도 1 의 (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축동심 정렬공구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A - A선 단면도.
도 3 의 (가)(나)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원자로 헤드, 12: 클래비스 홀,
20: 리프팅 리그, 22: 결합구멍,
30: 축동심 정렬공구, 31: 고정 안착블럭,
32: 테이퍼면, 33: 조정너트,
34: 나사형성부, 35: 가압헤드,
35a: 테이퍼면, 36: 확경바아,
37a, 37b: 테이퍼면, 38: 탄성링,
39: 확경블럭,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의 (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축동심 정렬공구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A - A선 단면도이며, 도 3 의 (가)(나)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원자로 헤드(10)의 클래비스 홀(12)과 리프팅 리그(20)의 결합구멍(22)의 축동심 정렬을 이루어 핀결합 또는 축결합을 함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 헤드(10)의 클래비스 홀(12) 상에 끼워져 안착되고, 그 하부에 상광하협(上廣下狹)되는 테이퍼면(32)을 갖는 고정 안착블럭(31)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고정 안착블럭(31)에 헐겁게 끼움결합되도록 일정한 수직길이를 갖고, 상부에 상기 고정 안착블럭(31)을 가압할 수 있도록 조정너트(33)가 나사결합하는 나사형성부(34)가 형성되며, 그 하부에 상협하광(上狹下廣)된 테이퍼면(35a)을 갖는 가압헤드(35)를 포함한 확경바아(36)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 안착블럭(31)의 테이퍼면(32)과 확경바아(36)의 테이퍼면(35a)에 동시에 면접되도록 서로 대칭되는 경사의 상부 테이퍼면(37a)과 하부 테이퍼면(37b)을 갖고, 가압헤드(35)의 수직이동시 확경과 축경이 자유롭도록 다수개로 분할구성되며, 분할상태가 유지되도록 외측에 탄성링(38)이 탄지된 확경블럭(39)을 구성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원자로 헤드(10)를 리프팅 리그(20)로부터 분해한 상태에서 핵연료를 재장전한 후 다시 상기 원자로 헤드(10)를 리프팅 리그(20)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 단계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원자로 헤드(10)를 인양시켜 리프팅 리그(20)의 상부에 안착시켜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원자로 헤드(10)의 클래비스 홀(12)과 리프팅 리그(20)의 결합구멍(22)의 축동심이 일치되지 않고 틀어지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축동심 정렬장치(30)를 도 3 (가)에서와 같이 클래비스 홀(12)과 결합구멍(22)에 모두 끼워지도록 삽입하면서 고정 안착블럭(31)을 상기 원자로 헤드(10)상에 안착시킨다. 이 때의 상태는 상기 탄성링(38)에 의해 지지된 확경블럭(39)의 외경이 고정 안착블럭(31)의 외경보다 작은 상태이기 때문에 클래비스 홀(12)과 결합구멍(22)이 서로 틀어지더라도 본 발명의 축동심 정렬장치(30)는 간섭됨이 없이 삽입되어진다.
이 후 확경바아(36)의 나사형성부(34)에 결합된 조정너트(33)를 돌리게 되면 상기 확경바아(36) 전체가 상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그 바아 하부의 가압헤드(35)에 의해 확경블럭(39)을 외측방향으로 밀게 되는데, 즉 확경바아(36)의 상향이동에 의해 상기 가압헤드(35)의 테이퍼면(35a)과 고정 안착블럭(31)의 테이퍼면(32)에 상부 테이퍼면(37a)과 하부 테이퍼면(37b)이 각각 습동되면서 상기 확경블럭(39)이 점차적으로 확경된다.
이와 같이 가압헤드(35)의 상향이동 작동에 의해 확경블럭(39)의 외경이 고정 안착블럭(31)의 외경과 일치되는 시점에 다다르면 원자로 헤드(10)의 클래비스 홀(12)이 리프팅 리그(20)의 결합구멍(22) 축심에 맞추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조정너트를 돌리는 작동만으로 결합을 위한 두 개의 부재, 즉 원자로 헤드와 리프팅 리그의 각 결합구멍의 축심이 맞추어지기 때문에 복잡한 유압공구나 부대설비를 사용하지 않고 체결 분리가 수월하여 작업시간이나 작업인력이 대폭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그로 인한 작업상의 안전사고나 원자로 헤드의 파손 등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되어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원자로 헤드(10)의 클래비스 홀(12)과 리프팅 리그(20)의 결합구멍(22)의 축동심 정렬을 이루어 핀결합 또는 축결합을 함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 헤드(10)의 클래비스 홀(12) 상에 끼워져 안착되고, 그 하부에 상광하협(上廣下狹)되는 테이퍼면(32)을 갖는 고정 안착블럭(31);
    상기 고정 안착블럭(31)에 헐겁게 끼움결합되도록 일정한 수직길이를 갖고, 상부에 상기 고정 안착블럭(31)을 가압할 수 있도록 조정너트(33)가 나사결합하는 나사형성부(34)가 형성되며, 그 하부에 상협하광(上狹下廣)된 테이퍼면(35a)을 갖는 가압헤드(35)를 포함한 확경바아(36); 및 상기 고정 안착블럭(31)의 테이퍼면(32)과 확경바아(36)의 테이퍼면(35a)에 동시에 면접되도록 서로 대칭되는 경사의 상부 테이퍼면(37a)과 하부 테이퍼면(37b)을 갖고, 가압헤드(35)의 수직이동시 확경과 축경이 자유롭도록 다수개로 분할구성되며, 분할상태가 유지되도록 외측에 탄성링(38)이 탄지된 확경블럭(39);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동심 정렬공구.
KR10-2000-0075262A 2000-12-11 2000-12-11 축동심 정렬공구 KR100393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262A KR100393544B1 (ko) 2000-12-11 2000-12-11 축동심 정렬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262A KR100393544B1 (ko) 2000-12-11 2000-12-11 축동심 정렬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847A KR20020045847A (ko) 2002-06-20
KR100393544B1 true KR100393544B1 (ko) 2003-08-02

Family

ID=27680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5262A KR100393544B1 (ko) 2000-12-11 2000-12-11 축동심 정렬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35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54183A (zh) * 2014-11-06 2015-02-18 建新赵氏集团有限公司 一种夹紧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323B1 (ko) * 2011-07-05 2013-08-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체결구 정렬 장치
KR200483418Y1 (ko) * 2013-11-04 2017-05-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풍력발전기의 크로스 볼트 조절장치
CN105643517B (zh) * 2016-03-30 2017-03-29 苏州博众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双斜块夹紧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54183A (zh) * 2014-11-06 2015-02-18 建新赵氏集团有限公司 一种夹紧装置
CN104354183B (zh) * 2014-11-06 2016-05-18 建新赵氏集团有限公司 一种夹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847A (ko) 200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11932T2 (de) Klemmvorrichtung
US5032048A (en) Quick-fastening nut
DE10155077B4 (de) Wiederholgenaue Spanneinrichtung
CN101583466A (zh) 紧固件和用于紧固件的间隔环
US20210387298A1 (en) Hydraulic tensioning and release tool for expansion fasteners
DE102009024481B4 (de) Anordnung zum Schnellwechseln eines an einer Spindel einer Werkzeugmaschine befestigbaren Spannzeuges
KR100393544B1 (ko) 축동심 정렬공구
US20150190895A1 (en) Interface structure
WO2016197595A1 (zh) 旋转杆连接件
CN102927100B (zh) 膨胀螺栓及应用该螺栓的设备推移就位前临时紧固方法
EP1291103A1 (de) Spannvorrichtung
CN205557347U (zh) 镦头锚体系预应力张拉装置
CN210210186U (zh) 一种可调节套筒头
AT519493A2 (de) Dehnspannhülse, Werkzeughalter mit einer solchen Dehnspannhülse sowie Verfahren zum Spannen eines Werkzeugs
CN111673670A (zh) 导叶轴套拆装工具
KR101107805B1 (ko) 고압 주증기 배관 플랜지 정렬지그
CN219298186U (zh) 钢筋连接调整螺母、组件及预制桩和基础承台连接结构
RU2204468C2 (ru) Винтовой съёмник
CN109869387A (zh) 一种连接插杆、连接接头装置及预应力预制件
DE19906126C2 (de) 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Lösen von Verbindungsbolzen
NO145186B (no) Anordning for fiksering av arbeidsstykker.
JPH01190831A (ja) 構造物地中圧入装置
CN219221457U (zh) 一种前置钢护筒油顶纠偏顶管装置
CN219768147U (zh) 一种混动变速器专用圆锥轴承拆解工具
DE4311897A1 (de) Vorrichtung zum Ausrichten einer Aufnahme zur Bearbeitung eines Werkstü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