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3264B1 - 목조기둥의 보수방법 - Google Patents

목조기둥의 보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3264B1
KR100393264B1 KR10-2001-0020148A KR20010020148A KR100393264B1 KR 100393264 B1 KR100393264 B1 KR 100393264B1 KR 20010020148 A KR20010020148 A KR 20010020148A KR 100393264 B1 KR100393264 B1 KR 100393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en
pillar
wooden pillar
column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0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0535A (ko
Inventor
최명규
Original Assignee
최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규 filed Critical 최명규
Priority to KR10-2001-0020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3264B1/ko
Publication of KR20020080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0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2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조기둥의 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목조기둥(40)의 원주면상의 복수개의 벌레구멍(42) 속으로 살충제를 투입하는 과정(1); 상기 벌레구멍(42)의 내부의 동공(46)을 충전재로 충전시키는 과정(2); 상기 목조기둥(40)의 원주면상에 대해서는 방수처리하며, 상기 목조기둥(40)의 하단부와 주춧돌(20) 사이의 틈으로 실리콘(30)을 메워주는 과정(3); 상기 목조기둥(40)의 원주면의 주위를 플라스틱 매쉬로 감싸는 과정(4); 상기 목조기둥(40)의 표면을 석고반죽으로 양생시키는 과정(5); 상기 목조기둥(40)의 표면을 연마하는 과정(6); 석고반죽으로 양생된 상기 목조기둥(40)의 표면을 재방수 처리하는 과정(7); 및 재방수 처리된 상기 목조기둥(40)의 표면을 도장 처리하는 과정(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목조기둥의 보수방법{A method of mending a wooden pillar}
본 발명은 목조기둥의 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염 혹은 부패된 목조기둥이 더 이상 상하거나 침식되지 아니하도록 조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구조물의 기둥 중에서 목조양식의 기둥의 경우, 그 표면이 외부와 노출되어 있어 그 측면부가 벌레(특히 흰개미)에 의하여 침식되며, 특히 하단부는 지면과 접촉되어 있으므로 지면에 있는 수분으로부터 잘 침투되는 특성이 있다. 이에 따라 목조기둥의 부패현상은 건축 구조물의 부실화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보수작업을 요구하는 것이어서 구조물의 유지에 많은 비용과 인력을 요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문화재의 경우 목조양식으로 건축되는 것이 거의 대부분이므로 수백년 이상 보호되어야 할 상기 문화재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목조기둥의 부패현상은 심각한 문제라 아니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조기둥에 있어서 수분과 벌레 등에 의한 침투를 방어하고 이미 부패되거나 침식된 부분에 대해서는 손쉽게 보수될 수 있도록 그 보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목조기둥(40)의 원주면상의 복수개의 벌레구멍(42) 속으로 살충제를 투입하는 과정(1); 상기 벌레구멍(42)의 내부의 동공(46)을 충전재로 충전시키는 과정(2); 상기 목조기둥(40)의 원주면상에 대해서는 방수처리하며, 상기 목조기둥(40)의 하단부와 주춧돌(20) 사이의 틈으로 실리콘(30)을 메워주는 과정(3);
상기 목조기둥(40)의 원주면의 주위를 플라스틱 매쉬로 감싸는 과정(4); 상기 목조기둥(40)의 표면을 석고반죽으로 양생시키는 과정(5); 상기 목조기둥(40)의 표면을 연마하는 과정(6); 석고반죽으로 양생된 상기 목조기둥(40)의 표면을 재방수 처리하는 과정(7); 및 재방수 처리된 상기 목조기둥(40)의 표면을 도장 처리하는 과정(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기둥의 보수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목조기둥의 하단부에 대하여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어하기 위한 주요수단으로서 실리콘을 이용하고자 한다. 그리고, 목조기둥의 측단부에 대하여 수분과 벌레 등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석고반죽을 덧입혀 처리하고자 한다.
또한, 이미 벌레 등에 의하여 침식된 부분에 대해서는 살충제 등으로 처리한 후, 충전재를 충전하여 보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분명해질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조기둥과 주춧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기둥의 보수방법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살충제로 처리한다.
2 : 충전시킨다.
3 : 방수 처리한다.
4 : 매쉬를 설치한다.
5 : 석고반죽으로 양생한다.
6 : 연마한다.
7 : 재방수 처리한다.
8 : 도장 처리한다.
20 : 주춧돌
30 : 실리콘
40 : 목조기둥
42 : 벌레구멍
44 : 벌레
46 : 동공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목조기둥의 보수방법 및 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조기둥(40)과 주춧돌(20)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춧돌(20) 위에는 상기 목조기둥(40)이 박혀 있으며 상기 목조기둥(40)의 표면에는 벌레구멍(42)이 복수개 침식되어 있다. 상기 벌레구멍(42)에 대하여는 확대단면도를 나타내었다. 침식된 상기 벌레구멍(42)의 내부에는 동공(46)과 벌레(44)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목조기둥(40)의 하단부와 상기 주춧돌(20)의 틈 사이에는 실리콘(30)으로 메워져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조기둥의 보수방법의 순서도이다.
단계 1은 살충제로 처리하는 과정이다. 나무를 갉아먹는 벌레(44)에 의하여 형성된 목조기둥(40)의 원주면상에 있는 벌레구멍(42)의 내부에는 동공(46)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벌레구멍(42) 속의 벌레(44)를 제거해야 하므로 상기 살충제로 상기 목조기둥(40)의 원주면을 따라 완전히 분사 처리한다.
단계 2는 상기 벌레구멍(42) 내부의 동공(46)을 충전시키는 과정이다. 상기 목조기둥(40) 내부의 수많은 동공(46)으로 인하여 상기 목조기둥(40)이 충분한 힘을 받지 못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벌레구멍(42) 내부의 동공(46)을 톱밥이나 실리콘으로 충전시키는 것이다.
단계 3은 방수 처리하는 과정이다. 상기 목조기둥(40)은 수분의 침투로 인하여 오염될 우려가 있으므로 방수 처리할 필요성이 있다. 상기 목조기둥(40)의 외주면을 따라 실리콘 혹은 실리콘용 접착제와 같은 방수제로 처리한다. 또한, 주춧돌(20)과 상기 목조기둥(40)의 하단부의 사이에는 미세한 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실리콘(30)으로 상기 틈을 매워준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목조기둥(40)의 하부면인 마구리 부위에도 실리콘(30)으로 처리해 준다.
단계 4는 상기 목조기둥(40)의 원주면의 주위를 매쉬로 설치하는 과정이다. 금속제 매쉬는 수분의 침투로 인하여 부식될 염려가 있으므로 반드시 플라스틱 매쉬로 상기 목조기둥(40)의 외부를 감싸주는 것이 중요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목조기둥(40)의 양단부에 금속제의 링이나 굵은 철사로 매어준다. 상기 목조기둥(40)은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나뭇결이 갈라지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목조기둥(4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상기와 같은 조치를 취한다.
또한, 기둥이 많이 상한 경우 상기와 같은 매쉬를 설치하는 대신에 합성고분자로 만들어진 줄을 상기 기둥의 원주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감아주는 방법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단계 5는 상기 목조기둥(40)의 표면을 석고반죽으로 양생하는 과정이다. 접착제와 석고반죽을 상기 목조기둥(40)의 표면에 설치된 플라스틱 매쉬를 따라 골고루 바른다.
단계 6은 상기 목조기둥(40)의 표면을 연마하는 과정이다. 상기 석고반죽이 굳은 후 상기 석고 반죽된 기둥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하여 연마기로 처리한다.
단계 7은 상기 석고 반죽된 기둥의 표면을 재방수 처리하는 과정이다. 상기 석고반죽의 사이에도 미세한 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제를 다시 한번 더 처리한다.
단계 8은 상기 기둥의 표면을 도장 처리하는 과정이다. 상기와 같은 방수처리를 한 후, 그 표면에 페인트칠을 한다. 상기 페인트는 수분에 대한 내구성 때문에 유성페인트를 사용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목조기둥(40)의 보수방법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목조기둥(40)의 표면을 따라 석고반죽을 양생시킴으로써 각종 벌레(44)로부터 침투를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석고는 상대습도가 높을 경우 수분을 머금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주춧돌(20)과 상기 목조기둥(40)의 하단부의 틈 사이로 상기 실리콘(30)을 메워줌으로써 목조기둥(40)의 가장 취약한 부분인 하단부에 대한 수분의 침투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이미 침식되거나 부패된 목조기둥의 보수방법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그 외에 신규의 목조기둥을 건축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보수방법을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조기둥의 보수방법에 의하면, 목조기둥에 있어서 수분과 벌레 등에 의한 침투를 방어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미 부패되거나 침식된 부분에 대해서는 손쉽게 보수될 수 있으며 기둥으로서 장기간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조경학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아름답게 미관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1)

  1. 목조기둥(40)의 원주면상의 복수개의 벌레구멍(42) 속으로 살충제를 투입하는 과정(1);
    상기 벌레구멍(42)의 내부의 동공(46)을 충전재로 충전시키는 과정(2);
    상기 목조기둥(40)의 원주면상에 대해서는 방수처리하며, 상기 목조기둥(40)의 하단부와 주춧돌(20) 사이의 틈으로 실리콘(30)을 메워주는 과정(3);
    상기 목조기둥(40)의 원주면의 주위를 플라스틱 매쉬로 감싸는 과정(4);
    상기 목조기둥(40)의 표면을 석고반죽으로 양생시키는 과정(5);
    상기 목조기둥(40)의 표면을 연마하는 과정(6);
    석고반죽으로 양생된 상기 목조기둥(40)의 표면을 재방수 처리하는 과정(7); 및
    재방수 처리된 상기 목조기둥(40)의 표면을 도장 처리하는 과정(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기둥의 보수방법.
KR10-2001-0020148A 2001-04-16 2001-04-16 목조기둥의 보수방법 KR100393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148A KR100393264B1 (ko) 2001-04-16 2001-04-16 목조기둥의 보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148A KR100393264B1 (ko) 2001-04-16 2001-04-16 목조기둥의 보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535A KR20020080535A (ko) 2002-10-26
KR100393264B1 true KR100393264B1 (ko) 2003-07-31

Family

ID=27701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148A KR100393264B1 (ko) 2001-04-16 2001-04-16 목조기둥의 보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3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3851A (ko) * 2001-12-24 2003-07-02 박현철 목조 건축물의 해충 처리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7367A (en) * 1978-11-16 1980-05-21 Dainippon Toryo Co Ltd Paint finish of wood
JPH01122401A (ja) * 1987-11-06 1989-05-15 Dainippon Wood-Preserving Co Ltd 木質材腐朽防止用の加工薬剤
JPH03146304A (ja) * 1989-11-01 1991-06-21 Ig Tech Res Inc 防腐、防虫、防カビ木材
JPH1037483A (ja) * 1996-07-23 1998-02-10 Ohbayashi Corp 木材の補強方法
JPH1054149A (ja) * 1996-08-12 1998-02-24 Taisei Corp 木構造用部材の補修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7367A (en) * 1978-11-16 1980-05-21 Dainippon Toryo Co Ltd Paint finish of wood
JPH01122401A (ja) * 1987-11-06 1989-05-15 Dainippon Wood-Preserving Co Ltd 木質材腐朽防止用の加工薬剤
JPH03146304A (ja) * 1989-11-01 1991-06-21 Ig Tech Res Inc 防腐、防虫、防カビ木材
JPH1037483A (ja) * 1996-07-23 1998-02-10 Ohbayashi Corp 木材の補強方法
JPH1054149A (ja) * 1996-08-12 1998-02-24 Taisei Corp 木構造用部材の補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535A (ko) 200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4857A (en) Method and means for preventing or minimizing termite attack or infestation
KR100393264B1 (ko) 목조기둥의 보수방법
US5014483A (en) Apparatus for repairing holes in wood
US20230028258A1 (en) Barrier System
US8813435B2 (en) Method of forming a termite barrier
JPS6312965B2 (ko)
US7174681B2 (en) Concrete from stake system with self-sealing plug
JP2014034814A (ja) 内外装用タイルひび割れ修復時に於けるタイル剥落防止及び防水工法
JPH0610182Y2 (ja) 光硬化性被覆キャップ
KR20000053717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처리방법
US20160160494A1 (en) Method of protecting a wooden structure
JP3323000B2 (ja) 建築物の防蟻処理工法
KR102216819B1 (ko) 목재 데크 단부의 보호장치
KR20120049574A (ko) 결속부재를 사용하는 나무의 수간 복원방법 및 이를 위한 복원장치
DE202011104711U1 (de) Einbau von Gerüstdübeln die bei einer dick gedämmten Fassade einen kraftschlüssigen Anschluß des Gerüstes an die Fassade gewährleistet (insbes. bei Renovierungsarbeiten)
AU719812B2 (en) Method and mean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ermite attack or infestation
JP2001003575A (ja) 大谷石で造られた構築物の補修方法
JP2010190010A (ja) 基礎コンクリートの外断熱構造および基礎コンクリートの外断熱構造の改修方法
JPS63251525A (ja) 吹き付け工法における目地の施工方法
JPH0334407Y2 (ko)
CA3095935A1 (en) Critter resistant electrical control box for use outdoors
JP2022100643A (ja) 外壁塗装材の補修方法
JP2021165520A (ja) アンカーボルト孔補修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補修用パッチ
CN110558142A (zh) 一种古树复壮的方法
US20050252102A1 (en) Window well l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