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3060B1 - 컨버젼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컨버젼스 보정 장치 - Google Patents

컨버젼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컨버젼스 보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3060B1
KR100393060B1 KR10-2000-0080684A KR20000080684A KR100393060B1 KR 100393060 B1 KR100393060 B1 KR 100393060B1 KR 20000080684 A KR20000080684 A KR 20000080684A KR 100393060 B1 KR100393060 B1 KR 100393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gence
amplifier
supply power
puls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1148A (ko
Inventor
임남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0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3060B1/ko
Publication of KR20020051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1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0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Convergence or focusing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05Power supply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비전의 컨버젼스 보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컨버젼스 보정 장치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시키도록 컨버젼스 앰프의 공급 전원을 컨버젼스 요크로 출력되는 전압(전류)값에 대응하여 적응적으로 가변시키기 위한 컨버젼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버젼스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버젼스 앰프의 공급 전원을 컨버젼스 요크에 유기되는 출력 전압 값에 따라서 차등적으로 스위칭 제어함으로써, 컨버젼스 앰프에서의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버젼스 앰프의 회로소자에서 발생되는 열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Description

컨버젼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버젼스 보정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a supply voltage of convergence amplifier and convergence correcting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텔레비전의 컨버젼스 보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컨버젼스 보정 장치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시키도록 컨버젼스 앰프의 공급 전원을 컨버젼스 요크로 출력되는 전압(전류)값에 대응하여 적응적으로 가변시키기 위한 컨버젼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버젼스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션 텔레비전(projection television) 또는 빔 프로젝터(Beam Projector) 3관식 텔레비전은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 칼라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스크린 화면에 투영시키는 각각의 CRT(Cathode Ray Tube)를 구비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R, G, B CRT와 스크린까지의 거리 및 각도가 상이하므로 R, G, B 색신호를 한 곳에 정확히 일치시키는 컨버젼스(convergence) 조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의한 컨버젼스 보정 장치는 컨버젼스 제어부(201), 컨버젼스 앰프(202) 및 컨버젼스 요크(203)로 구성되어 있다.
컨버젼스 제어부(201)에서는 일 예로서 스플라인 연산 알고리즘과 같은 컨버젼스 보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컨버젼스 보정 데이터를 연산하고, 이에 대응되는 컨버젼스 보정 전압을 발생시킨다.
컨버젼스 앰프(202)에서는 컨버젼스 제어부(201)에서 발생되는 컨버젼스 보정 전압을 입력하여 증폭시킨 다음에, 컨버젼스 요크(203)로 컨버젼스 보정을 위한 전류를 출력시킨다.
일반적으로 컨버젼스 앰프(202)는 많은 소비전력이 요구되며, 특히 스캔(scan) 주파수가 높을수록 이에 비례하여 소비전력이 더욱 증가된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에 의한 컨버젼스 앰프(202)의 공급 전원(Vcc1, -Vcc2)은 컨버젼스 출력 전압(전류)의 최대 전압(전류) 값에 맞추어서 전 구간에서 고정 값으로 설계되어 있어서 컨버젼스 앰프(202)에서의 소비 전력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컨버젼스 앰프(202)의 소비 전력이 증가됨에 따라 앰프 회로 소자의 온도가 상승되어 회로 소자의 보증 온도를 만족시켜 주기 위하여 이에 대한 방열 대책으로 앰프 회로 소자의 방열 면적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팬(fan)을 추가하였으나, 이는 인쇄 회로 기판의 면적의 한계, 팬 수명 또는 소음 등의 새로운 문제를 발생시켰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컨버젼스 앰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공급 전원을 컨버젼스 요크로 출력되는 전압(전류)값에 대응하여 적응적으로 가변시키기 위한 컨버젼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버젼스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음극선관 및 스크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컨버젼스 보정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컨버젼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를 적용한 컨버젼스 보정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a)-4(e)는 도 3에 도시된 회로의 주요 신호의 파형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컨버젼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는 컨버젼스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수평동기신호를 입력하여, 펄스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펄스 검출부, 상기 펄스 검출부에서 검출된 펄스신호의 펄스 폭을 소정값으로 가변시키기 위한 펄스 폭 제어부, 상기 펄스 폭 제어부에서 펄스 폭이 가변된 펄스신호를 소정시간동안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부 및 제1공급 전원을 제1입력단자에 입력시키고, 상기 제1공급 전원과 상이한 제2공급 전원을 제2입력단자에 입력시키고, 상기 지연부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2입력단자에 인가된 제1,2공급전원을 스위칭하여 컨버젼스 앰프의 전원 공급단자로 출력시키기 위한 스위칭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컨버젼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를 이용한 컨버젼스 보정 장치는 텔레비전의 컨버젼스 보정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컨버젼스 알고리즘에 의하여 컨버젼스 보정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컨버젼스 제어부, 컨버젼스 보정 구간을 나누어 각 구간별로 결정된 컨버젼스 앰프 공급 전원을 발생시키기 위한 공급 전원 제어부, 상기 공급 전원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컨버젼스 앰프 공급 전원을 전원 공급단자에 연결하고, 상기 컨버젼스 보정 전압을 입력하여 소정의 이득으로 증폭시켜 출력시키기 위한 컨버젼스 앰프 및 상기 컨버젼스 앰프에서 출력되는 전류에 의하여 컨버젼스를 조정하기 위한 자계를 발생시키기 위한 컨버젼스 요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컨버젼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를 적용한 컨버젼스 보정 장치는 공급 전원 제어부(1000), 컨버젼스 제어부(305), 컨버젼스 앰프(306) 및 컨버젼스 요크(307)를 구비한다.
위에서 공급 전원 제어부(1000)는 세부적으로 펄스 검출부(301), 펄스 폭 제어부(302), 지연부(303) 및 스위칭부(304)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공급 전원 제어부(10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펄스 검출부(301)는 수평동기신호(H_Sync)를 입력하여, 도 4(a)와 같이 펄스만을 검출하여 출력한다. 일 예로서 비교기 회로를 이용하여 펄스를 검출할 수 있다.
펄스 폭 제어부(302)는 펄스 검출부(301)에서 출력되는 펄스를 입력하여, 입력된 펄스의 폭을 가변시켜 도 4(b)와 같이 출력한다. 즉, 멀티바이브레이터(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 구성에 의하여 RC시정수 즉, 충방전 시간을 조정하여 펄스 폭을 변경시킨다. 펄스 폭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 요크에 의하여 컨버젼스 요크에 유기되는 수평 공진 펄스 발생 구간(T1, T2, T3)보다 같거나 또는 이 값에 일정 마진 값을 더한 값으로 입력 펄스 폭을 변경시킨다.
지연부(303)는 펄스 폭 제어부(302)에서 출력되는 도 4(b)와 같은 펄스 신호를 입력하여, 일정 시간동안 지연시켜 도 4(c)와 같이 출력한다. 즉, 입력 펄스를 1수평동기신호 구간(1H)보다 약간 적게 지연시켜서 펄스 폭 제어부(302)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를 편향 요크에 의하여 컨버젼스 요크에 유기되는 수평 공진 펄스 발생 구간(T1, T2, T3)으로 이동시킨다. 즉, 컨버젼스 요크에 유기되는 수평 공진 펄스 발생 구간은 수평동기신호의 펄스발생 구간과 일치하므로 펄스 폭 제어부(302)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를 수평동기신호의 펄스 중앙에 위치하도록 지연시킨다.
스위칭부(304)는 제1입력단자에 제1공급 전원(Vcc(H))을 인가하고, 제2입력단자에 제2공급 전원(Vcc(L))을 인가하며, 스위칭 제어단자에는 지연부(303)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인가시킨다. 여기에서, 제1공급 전원(Vcc(H))은 편향 요크에 의하여 컨버젼스 요크에 유기되는 수평 공진 펄스의 전압보다 크게 설정하고, 제2공급 전원(Vcc(L))은 수평 공진 펄스가 컨버젼스 요크에 유기되지 않는 구간에서의 컨버젼스 요크 전압보다는 높게 설정하나, 제1공급 전원(Vcc(H))보다는 낮게 설정한다. 스위칭 제어단자에 인가되는 펄스신호에 의하여 펄스가 발생되는 구간에서는 제1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제1공급 전원(Vcc(H))을 스위칭하여 출력단자로 출력시키고, 그 이외의 구간에서는 제2공급 전원(Vcc(L))을 스위칭하여 출력단자로 출력시킨다. 즉, 도 4(d)에 도시된 같이, 스위칭부(304)는 편향 요크에 의하여 컨버젼스 요크에 유기되는 수평 공진 펄스 발생 구간(T1, T2, T3)에서는 제1공급 전원(Vcc(H))을 출력시키고, 그 이외의 구간에서는 제1공급 전원(Vcc(H))보다 낮게 설정된 제2공급 전원(Vcc(L))을 출력시킨다.
다음으로, 컨버젼스 보정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버젼스 제어부(305)는 스플라인 연산 알고리즘 등과 같은 컨버젼스 보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컨버젼스 보정 데이터를 연산하고, 이에 대응되는 컨버젼스 보정 전압을 발생시킨다.
그러면, 컨버젼스 앰프(306)는 컨버젼스 제어부(305)에서 출력된 컨버젼스 보정 전압을 입력하여, 컨버젼스 보정을 위한 일정 이득으로 증폭한 후에 컨버젼스 요크(307)로 출력시킨다.
그런데, 컨버젼스 앰프(306)는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지티브(positive)의 컨버젼스 파형과 네거티브(negative)의 컨버젼스 파형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포지티브 전원 공급단자와 네거티브 전원 공급단자를 갖는다. 이 중에서 포지티브 전원 공급단자에는 스위칭부(304)에서 출력되는 공급 전원을 인가하고, 네거티브 전원 공급단자에는 일정한 공급 전원(-Vcc2)을 인가한다.
그러면, 컨버젼스 앰프(306)의 포지티브 전원 공급단자에는 편향 요크에 의하여 컨버젼스 요크에 유기되는 수평 공진 펄스 발생 구간(T1, T2, T3)에서는 제1공급 전원(Vcc(H))이 인가되고, 그 이외의 구간에서는 제2공급 전원(Vcc(L))이 인가되어, 컨버젼스 앰프(306)의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컨버젼스 앰프(306)의 회로소자에서 발생되는 열도 낮출 수 있게 되었다.
컨버젼스 요크(307)는 컨버젼스 앰프(306)에서 출력되는 전류에 의하여 자계가 발생되어 이로 인한 전자계의 힘에 의하여 컨버젼스 조정을 실행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버젼스 앰프의 공급 전원을 컨버젼스 요크에 유기되는 출력 전압 값에 따라서 차등적으로 스위칭 제어함으로써, 컨버젼스 앰프에서의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버젼스 앰프의 회로소자에서 발생되는 열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Claims (7)

  1. 컨버젼스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수평동기신호를 입력하여, 펄스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펄스 검출부;
    상기 펄스 검출부에서 검출된 펄스신호의 펄스 폭을 소정값으로 가변시키기 위한 펄스 폭 제어부;
    상기 펄스 폭 제어부에서 펄스 폭이 가변된 펄스신호를 소정시간동안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부; 및
    제1공급 전원을 제1입력단자에 입력시키고, 상기 제1공급 전원과 상이한 제2공급 전원을 제2입력단자에 입력시키고, 상기 지연부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2입력단자에 인가된 제1,2공급전원을 스위칭하여 컨버젼스 앰프의 전원 공급단자로 출력시키기 위한 스위칭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젼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폭 제어부는 멀티바이브레이터로 구성되며, 충방전 시간을 조정하여 컨버젼스 전압(전류) 파형이 편향 요크에 의하여 임계값 이상 유기되는 펄스 발생 구간의 폭에 상응하도록 입력되는 펄스의 폭을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젼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시간은 상기 펄스 폭 제어부에서 펄스 폭이 가변된 펄스신호가 발생된 위치에서 컨버젼스 전압(전류) 파형이 편향 요크에 의하여 임계값 이상 유기되는 펄스 발생 위치까지의 시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젼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시간동안은 상기 펄스 폭 제어부에서 펄스 폭이 가변된 펄스신호의 중심점의 위치에서 다음 수평동기 신호의 중심점의 위치까지의 시간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젼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 전원은 편향 요크에 의하여 전압이 임계값 이상 유기되는 구간에서 컨버젼스 전압(전류) 값보다 큰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공급 전원은 상기 제1공급 전원 값보다 낮게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젼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지연부로부터 펄스신호가 입력되는 구간에서 제1공급 전원을 출력시키고, 그 이외의 구간에서는 제1공급 전원보다 낮은 제2공급 전원을 출력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젼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
  7. 텔레비전의 컨버젼스 보정 장치에 있어서,
    컨버젼스 요크에 공진 펄스가 발생되는 구간을 검출하고, 상기 공진 펄스가 검출되는 구간 길이에 소정 마진을 더한 공진 펄스 발생 구간에서는 제1레벨의 컨버젼스 앰프 공급 전원을 발생시키고, 그 외의 구간에서는 상기 제1레벨의 컨버젼스 앰프 공급 전원 값보다 낮은 제2레벨의 컨버젼스 앰프 공급 전원을 발생시키기 위한 컨버젼스 앰프 공급 전원 제어 회로;
    소정의 컨버젼스 알고리즘에 의하여 컨버젼스 보정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컨버젼스 제어부;
    상기 컨버젼스 앰프 공급 전원 제어 회로에서 발생되는 컨버젼스 앰프 공급 전원을 전원 공급단자에 연결하고, 상기 컨버젼스 보정 전압을 입력하여 소정의 이득으로 증폭시켜 출력시키기 위한 컨버젼스 앰프; 및
    상기 컨버젼스 앰프에서 출력되는 전류에 의하여 컨버젼스를 조정하기 위한 자계를 발생시키기 위한 컨버젼스 요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젼스 보정 장치.
KR10-2000-0080684A 2000-12-22 2000-12-22 컨버젼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컨버젼스 보정 장치 KR100393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684A KR100393060B1 (ko) 2000-12-22 2000-12-22 컨버젼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컨버젼스 보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684A KR100393060B1 (ko) 2000-12-22 2000-12-22 컨버젼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컨버젼스 보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148A KR20020051148A (ko) 2002-06-28
KR100393060B1 true KR100393060B1 (ko) 2003-07-31

Family

ID=27684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684A KR100393060B1 (ko) 2000-12-22 2000-12-22 컨버젼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컨버젼스 보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30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1Y2 (ja) * 1989-07-26 1995-01-11 松下電工株式会社 Av機器収納家具
JPH10136397A (ja) * 1996-10-31 1998-05-22 Sanyo Electric Co Ltd コンバージェンス補正回路用の増幅回路
JPH11252577A (ja) * 1998-02-27 1999-09-17 Nec Home Electron Ltd コンバーゼンス補正装置
KR20010107639A (ko) * 2000-05-23 2001-12-0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수평 편향 회로 및 텔레비전 수상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1Y2 (ja) * 1989-07-26 1995-01-11 松下電工株式会社 Av機器収納家具
JPH10136397A (ja) * 1996-10-31 1998-05-22 Sanyo Electric Co Ltd コンバージェンス補正回路用の増幅回路
JPH11252577A (ja) * 1998-02-27 1999-09-17 Nec Home Electron Ltd コンバーゼンス補正装置
KR20010107639A (ko) * 2000-05-23 2001-12-0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수평 편향 회로 및 텔레비전 수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148A (ko) 200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9799A (en) Convergence device for color television receiver
KR100393060B1 (ko) 컨버젼스 앰프의 공급 전원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컨버젼스 보정 장치
JP2001326877A (ja) ビデオプロジェクタのビーム電流制限回路
JPH10164390A (ja) セミワイド画面テレビジョン受信機の画面安定化回路
JPS62268292A (ja) 色温度自動調整回路
JPH10136230A (ja) 映像表示装置
JP2964904B2 (ja) 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回路および制御方法
JP2743412B2 (ja) カラービデオモニタ
CA2089297C (en) Service switch for video display deflection apparatus
KR100518946B1 (ko) 클램프 펄스 생성 시스템 및 비디오 디스플레이
US5504539A (en) Circuit for modulating vertical positions of a picture in a wide screen television
EP1565005A1 (en) Convergence control apparatus for video display
JP3858815B2 (ja) 陰極線管装置
JPH08172543A (ja) 往復偏向式crt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513853B1 (ko) 스위칭 노이즈에 의한 영향이 적은 영상왜곡보정장치
KR940005876B1 (ko) 칼라 콘버젼스 자동 보상회로
JP2982161B2 (ja) カラービデオモニタ
KR20050057338A (ko) 빔 전류 측정
KR20000074850A (ko)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화면사이즈 변화에 대응한 수평출력 전압가변장치
JPH11122504A (ja) 電磁フォーカス回路
JP2000341556A (ja) 画像信号の調整回路およびその調整方法
JPH04343072A (ja) オシロスコープの輝度制御回路
JPH05347715A (ja) 水平偏向増幅装置
JPH0514923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2002132200A (ja) Crt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