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787B1 -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787B1
KR100392787B1 KR10-2003-0011735A KR20030011735A KR100392787B1 KR 100392787 B1 KR100392787 B1 KR 100392787B1 KR 20030011735 A KR20030011735 A KR 20030011735A KR 100392787 B1 KR100392787 B1 KR 100392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key
operated
control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2253A (ko
Inventor
이홍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Priority to KR10-2003-0011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2787B1/ko
Publication of KR20030022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7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66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connection of piston and piston-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61M5/3221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61M2005/3223Means impeding or disabling repositioning of used needles at the syringe nozzle
    • A61M2005/3224Means to disalign the needle tip and syring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66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connection of piston and piston-rod
    • A61M2005/5073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connection of piston and piston-rod by breaking or rupturing the connection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랙중에서 보관된 물품(서류, 서적, 물건, 기타 등등)을 용이하게 탐색토록 하며, 보관된 물품의 기밀성 보장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터치 패널(터치스크린)/퍼스널컴퓨터(PC)를 사용함으로써 명령 입력 및 조작에 용이함을 제공토록 하며, 원격에서 제어가 가능토록 한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면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고, 각종 센서를 구동시킨 후 센서 출력 및 키입력 상태를 검색하게 되며, 그 검색결과 키가 조작되는 경우 그 조작되는 키가 랙 이동 제어키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랙 이동 제어키일 경우 각각의 센서 출력신호에 따라 유효 적절하게 랙의 이동을 제어하게 되고, 아울러 조작되는 키가 수납 내역 검색키일 경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랙 고유번호(ID)에 대응하는 랙의 수납 내역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게 되며, 조작되는 키가 자료 입력키일 경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랙 고유번호(ID)에 대응하는 랙의 수납 내역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의 변경/삭제/추가에 대응하게 데이터를 변경해주게 된다. 또한, 열이 감지되어 화재로 판단되면, 경보를 발생하고 메모리에 미리 내장된 관공서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게 된다.

Description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electrically powered mobile rack}
본 발명은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랙중에서 보관된 물품(서류, 서적, 물건, 기타 등등)을 용이하게 탐색토록 하며, 보관된 물품의 기밀성 보장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터치 패널(터치스크린)/퍼스널컴퓨터(PC)를 사용함으로써 명령 입력 및 조작에 용이함을 제공토록하며, 원격에서 제어가 가능토록 한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각종 서적이나 서류 등을 보관하기 위한 가구로서 파일박스, 이동서랍, 캐비닛 등이 사용되고 있고, 그 중 캐비닛은 본체 내부의 내면에 형성된 레일과 수납부 측면의 가이드가 맞물려 슬라이딩 이동되는 구조로 되어있으며, 수납부 내부에는 고정판 등이 구비되어 파일이나 서류들을 흐트러짐 없이 보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캐비닛은 고정식이라는 단점과 캐비닛 도어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열어야하는 불편과 공간 활용면에서도 그다지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물건 수납 기구인 캐비닛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개발된 것이 이동이 가능한 모빌랙이다.
모빌랙은 다수 개의 랙에 많은 양의 책이나 서류, 사무용품 및 각종 자료 등을 보관할 시에 랙과 랙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모빌랙은 그 이동수단에 따라 핸들식 모빌랙과 전동식 모빌랙으로 분리되는 데, 먼저 핸들식 모빌랙은 바닥 면에 다수개의 랙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위한 한 쌍의 레일이 설치되고, 각각의 랙의 하면에는 랙이 레일 위를 주행하도록 하기 위한 바퀴 등의 주행부재가 다수개 설치된다. 아울러 각각의 랙의 일측 소정 위치에는 핸들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후, 핸들의 축은 스프로켓 및 체인, 회전축 등을 통하여 주행부재와 연결되어 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그 회전력이 주행부재에 전달되어 랙이 한 쌍의 레일 위를 주행하면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동식 모빌랙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레일 및 다수개의 주행부재가 구비된 상태에서, 각각의 랙의 내부에는 주행부재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부가 설치되는 한편, 랙의 일측 소정 위치에는 모터부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위치부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치부를 온(on)상태로 변화시킴에 따라 모터부가 구동되면서 그 회전력이 스프로켓 및 체인, 회전축 등을 통하여 주행부재에 전달되므로 서, 해당 랙이 레일 위를 따라 주행하면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전동식 모빌랙을 구성하는데 있어서는 다수개의 랙 중 일측 랙의 내부에 하나의 컨트롤러가 구성되어, 상기 컨트롤러를 통하여 각각의 랙에 설치된 모터부와 스위치부 및 안전장치 등을 비롯한 각종 센서 및 장치의 제어가 직접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안전장치는 각각의 랙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 다수개의 감지센서로 구성되어, 감지센서를 통하여 랙이 이동되어 생긴 공간부내에 사람이나 사물 등이 위치하고 있음이 감지되면, 그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 측으로 전송하여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랙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서, 이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주지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전동식 모빌랙에 있어서는 다수개의 랙중 어느 하나의 랙에 설치된 하나의 컨트롤러를 통하여 상기 다수개의 랙의 구동 및 랙과 연결된 각종 센서나 장치 등의 제어를 행하여야만 한다.
이로 인해 상기와 같은 랙의 각종 구성요소는 상기 컨트롤러에 유선으로 집중되는 구조를 갖게 되므로,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해짐과 아울러 원활한 제어가 이루어지기가 어렵게 되며, 이에 따라 장치의 성능이 저하되고 또한 모빌랙의 잦은 고장을 발생하는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모빌랙의 안전장치에 있어서는 사람이나 사물 등이 삼기 감지센서의 감지영역을 벗어난 지점에 위치한 경우 이를 감지센서가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랙이 이동하므로 서, 안전사고가 발생되거나 장치가 고장을 일으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전동식 모빌랙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이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74280호인 "전동식 모빌랙"에 관한 실용신안이다.
등록번호 20-0274280호를 간략히 살펴보면,
다수개의 랙 중 어느 하나의 랙에는 모빌랙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설치하고, 나머지 각각의 랙에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의 제어하에 해당 랙에 직접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서브컨트롤러가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각각의 랙의 소정 위치에는 개방된 모빌랙의 공간부내에 사람이나 사물 등이 위치하고 있음을 감지하여 모빌랙의 이동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안전장치가 구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동식 모빌랙(등록번호 20-0274280호)도, 메인 컨트롤러에 의한 제어만이 가능할 뿐, 모빌랙의 수납부에 수납된 물품의 정보를 한눈에 파악하기는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동식 모빌랙은 수납부에 수납된 물품의 리스트 작성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안전장치인 하나인 화재감지 기능이 없어 화재시 이를 경보해주거나 신속한 진화를 위한 어떠한 기능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동식 모빌랙이 설치된 곳까지 이동해야만 전동식 모빌랙의 제어가 가능하며, 원격제어는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키 조작부가 전동식 모빌랙의 전면부에만 설치되어 있어서, 전동식 모빌랙이 다수개 설치된 곳에서 전동식 모빌랙의 후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특정 랙의 이동시 반드시 키 조작부가 설치된 전동식 모빌랙의 전면부로 이동하여 키를 조작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전동식 모빌랙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랙중에서 보관된 물품(서류, 서적, 물건, 기타 등등)을 용이하게 탐색토록 하며, 보관된 물품의 기밀성 보장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터치 패널(터치스크린)/퍼스널컴퓨터(PC)를 사용함으로써 명령 입력 및 조작에 용이함을 제공토록 하며, 원격에서 제어가 가능토록 한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는,전동식 모빌랙 전체 동작을 원격에서 제어하며, 내장된 메모리를 검색하여 다수개의 이동랙에 수납된 물품 리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고, 상기 수납된 물품 내역을 수정/삭제/추가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퍼스널컴퓨터, 직접 제어 방식인 경우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며, 수납 물품 내역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해주는 터치 패널을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에 있어서,상기 원격 제어인 경우 상기 퍼스널컴퓨터와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퍼스널컴퓨터를 통해 원격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특정 이동랙의 이동(오픈 및 클로즈)을 제어하며, 직접 제어방식인 경우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해 전달되는 명령에 대응하여 특정 이동랙의 이동을 제어하며, 메모리를 검색하여 상기 다수개의 이동랙에 수납된 물품 리스트를 상기 터치 패널로 전송해주고, 상기 수납된 물품 내역을 수정/삭제/추가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열 감지시 화재로 판단하고 자동 다이얼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모빌랙 제어방법은,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면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고, 각종 센서를 구동시킨 후 센서 출력 및 키입력 상태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결과 키가 조작되는 경우 그 조작되는 키가 랙 이동 제어키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랙 이동 제어키일 경우 각각의 센서 출력신호에 따라 유효 적절하게 랙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검색결과 키가 조작되지 않고, 열이 감지되어 화재로 판단되면 경보를 발생하고, 메모리에 미리 내장된 관공서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전동식 모빌랙 제어방법에 있어서,상기 조작되는 키가 랙 이동 제어키가 아닐 경우, 조작되는 키가 수납 내역 검색키인지를 체크하여, 조작되는 키가 수납 내역 검색키일 경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랙 고유번호(ID)에 대응하는 랙의 수납 내역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는 단계와;상기 체크결과 조작되는 키가 수납내역 검색키가 아닐 경우, 조작되는 키가 자료 입력키인지를 검색하여 조작되는 키가 자료 입력키일 경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랙 고유번호(ID)에 대응하는 랙의 수납 내역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의 변경/삭제/추가에 대응하게 데이터를 변경해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모빌랙의 전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모빌랙의 후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a에서 터치 패널의 외관도이고,
도 4는 도 1a 및 도 1b에서 보조 키보드의 외관도이고,
도 5는 도 1a의 터치 패널에서 특정 랙의 검색시 수납 내역 리스트의 화면구성도이고,
도 6은 도 1a의 터치 패널에서 특정 랙의 자료 입력시 화면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모빌랙 제어방법중 직접제어방식인 터치 패널에 의한 제어과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모빌랙 제어방법중 원격제어방식인 퍼스널컴퓨터에 의한 제어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 보조 키보드
130 ..... 터치 패널(터치 스크린)
140 ..... 전원부
150 ..... 메인 컨트롤러
204 ..... 통신 인터페이스부
206 ..... 제어기
210 ..... 모터 구동부
212 ..... 부저
216, 218, 220 ..... 제1 내지 제3 인체/장애물 감지센서
222 ..... 열 감지센서
226 ..... 포토 센서
230 ..... 자동 다이얼링 유닛
240 ..... 메모리
300 ..... 퍼스널컴퓨터(PC)
310 ..... 통신 케이블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모빌랙의 전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외관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모빌랙의 후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모빌랙(100)은, 바닥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다수개의 가이드 레일상에 고정 설치되는 마스터 랙(111)과, 상기 가이드 레일상에 롤러 캐스터를 개재해서 상기 마스터 랙(111)에 대해 좌,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이동랙(112 ~ 110+N)과, 전동식 모빌랙 전체 동작을 원격에서 제어하며, 내장된 메모리를 검색하여 다수개의 이동랙(112 ~ 110+N)에 수납된 물품 리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고, 상기 수납된 물품 내역을 수정/삭제/추가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열 감지시 화재로 판단하고 자동 다이얼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퍼스널컴퓨터(PC)(300)와, 직접 제어 방식인 경우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며, 수납 물품 내역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해주는 터치 패널(130)과, 원격 제어인 경우 상기 퍼스널컴퓨터(300)와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퍼스널컴퓨터(300)를 통해 원격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특정 이동랙의 이동(오픈 및 클로즈)을 제어하며, 직접 제어방식인 경우 상기 터치 패널(130)를 통해 전달되는 명령에 대응하여 특정 이동랙의 이동을 제어하며, 메모리를 검색하여 상기 다수개의 이동랙(112 ~ 110+N)에 수납된 물품 리스트를 상기 터치 패널(130)로 전송해주고, 상기 수납된 물품 내역을 수정/삭제/추가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열 감지시 화재로 판단하고 자동 다이얼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150)와, 상기 다수개의 이동랙(112 ~ 110+N)의 소정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보조 키보드(120)와, 각 블록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부(140)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식 모빌랙 전체 동작을 원격에서 제어하며, 내장된 메모리를 검색하여 다수개의 이동랙(112 ~ 110+N)에 수납된 물품 리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고, 상기 수납된 물품 내역을 수정/삭제/추가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열 감지시 화재로 판단하고 자동 다이얼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퍼스널컴퓨터(PC)(300)와, 직접 제어 방식인 경우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며, 수납 물품 내역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해주는 터치 패널(130)과,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AC110V ~ AC220V)을 전파 정류하여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고, 그 변환한 직류전원을 각 블록에 구동 전원으로 공급해줌과 동시에 배터리(202)에 충전시키는 전원부(140)와, 상기 퍼스널컴퓨터(300)와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204)와, 상기 퍼스널컴퓨터(300) 및 터치 패널(130)과 연결되어, 원격 또는 직접 제어 방식에 대응하여 이동랙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기(206)와, 다수개의 이동랙(112 ~ 110+N)의 소정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상기 제어기(206)에 입력하는 보조 키보드(120)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기(206)의 제어에 대응하여 업무 종료시 마스터랙(111) 및 이동랙(112 ~ 110+N)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잠금 유닛(208)과; 상기 제어기(206)의 제어에 대응하여 모터를 정/역으로 구동시켜 상기 다수개의 이동랙(112 ~ 110+N)을 좌,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모터 구동부(210)와, 상기 제어기(206)의 제어에 대응하여 화재 감지나 무단 침입시 이를 경고해주는 부저(212)와, 상기 제어기(206)의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랙(112 ~ 110+N)중 어느 하나의 이동랙이 개방되었을 경우 랙사이의 통로를 조명하도록 조명등을 점등시키는 조명등 구동부(214)와, 상기 마스터랙(111) 및 이동랙(112 ~ 110+N)간의 통로에 사람 및 장애물이 있는지를 검출하고 그 검출값을 상기 제어기(206)에 전달하는 제1 내지 제3 인체/장애물 감지센서(216, 218, 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는, 상기 모빌랙(10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방사되는 열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206)에 전달하는 열 감지센서(222)와, 상기 이동랙(112 ~ 110+N)의 클로즈 상태(닫힘 상태)를 검출하는 근접센서부(224)와, 가이드 레일의 하부에 배설되어 이동랙(112 ~ 110+N)의 개방상태를 검출하는 포토 센서(226)와, 상기 이동랙(112 ~ 110+N)이 모두 클로즈되었음을 검출하는 랙 클로즈 검출센서(228)와, 화재감지시 상기 제어기(206)에서 출력되는 자동 다이얼링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미리 내장된 번호로 자동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자동 다이얼링 유닛(2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터치 패널(13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랙(111) 및 다수개의 이동랙(112 ~ 110+N)의 현재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랙 표시화면(131)과, 각 랙의 선반에 보관 또는 저장된 서류의 리스트 및 보관할 서류의 리스트를 호출하는 인덱스(INDEX)버튼(132)과, 초기화면(131)으로 복귀시키는 홈(HOME)버튼(132)과, 상기 마스터랙(111) 및 다수개의 이동랙(112 ~ 110+N)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해제하는 비상버튼(E/M)(134)과, 상기 제1 내지 제3인체/장애물 감지센서(216, 218, 220)에 의해 상기 마스터랙(111)과 다수개의 이동랙(112 ~ 110+N)사이의 통로에 사람 또는 장애물이 존재하여 인터 록(랙의 이동을 정지)이 걸렸을 경우, 통로로부터 사람이 나오거나 또는 장애물을 제거한 상태에서 인터 록을 해제하기 위한 리셋버튼(RESET)(135)과, 이동하여야 할 랙을 선택하며, 이동하여야 할 랙을 이동시키는 숫자버튼(136)과, 모든 이동랙을 클로즈시키는 올 클로즈 버튼(137)과, 사용자의 메뉴를 입력하는 엔터버튼(138)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보조 키보드(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이동랙(112 ~ 110+N)중 어느 하나의 랙을 개방(오픈)시키거나 개방된 이동랙을 닫기(클로즈)위해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는 좌측/우측 이동 버튼(121)(122)과, 마스터랙(111) 및 다수개의 이동랙(112 ~ 110+N)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해제하기 위한 비상버튼(E/M)(123)과, 상기 제1 내지 제3 인체/장애물 감지센서(216, 218, 220)에 의해 상기 마스터랙(111)과 다수개의 이동랙(112 ~ 110+N)사이의 통로에 사람 또는 장애물이 존재하여 인터 록(랙의 이동을 정지)이 걸렸을 경우, 통로로부터 사람이 나오거나 또는 장애물을 제거한 상태에서 인터 록을 해제하기 위한 리셋버튼(RESET)(124)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는, 터치 패널 및 보조 키보드의 조작에 대응하여 이동랙을 이동시키는 직접 제어 방식과 퍼스널컴퓨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식으로 대별되며, 이를 구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1>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터치 패널(130) 및 보조 키보드(120)를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이동랙을 이동시키는 직접 제어 방식인 경우, 전원부(140)는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AC110 ~ 220V)을 전파 정류하여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한 직류 전원을 다수개의 서로 다른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모빌랙 제어장치내의 블록에 구동 전원을 공급해준다. 아울러 소정의 직류 전압은 배터리(202)에 충전시켜 정전시 배터리(202)의 전원으로도 모빌랙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주지한 바와 같이 전원이 투입되면, 터치 패널(130)은 초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초기 화면상에서 스타트버튼을 누르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작동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작동화면의 아래에 문자 표시난의 지적 또는 물음에 따라 초기 조건, 모터 전류값, 랙 고유번호(ID), 다수개 이동랙(112 ~ 110+N)의 번호 및 각각의 이동랙의 선반번호, 록킹 메뉴, 시스템 설정 메뉴, 랙의 통신 상태 및 각종 센서의 에러메뉴, 패스워드(password) 등을 지정하여 엔터버튼(138)을 사용해서 입력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작동화면에서 인덱스버튼(132)을 누르면,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선반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며, 이 선반 메뉴화면에서 좌측선반의 어느 하나의 선반번호를 누르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에 문자 키보드가 표시되므로, 이 문자 키보드를 조작하여 좌측의 각 선반에 보관되는 서류명과 수량을 입력할 수 있다.
주지한 선반 메뉴 화면에서 PRV버튼을 누르면 바로 전의 선반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넥스트(NEXT)버튼을 누르면 다음의 선반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아울러 홈(HOME)버튼을 누르면 초기화면으로 복귀하며, 로고(LOGO)버튼을 누르면 상기 선반 메뉴화면에 로고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이동랙(110+N)과 이동랙(114)쪽에 있는 선반에 저장되어 있는 서류 또는 물품을 찾기 위하여, 터치 패널(130)의 초기화면에서 시작버튼을 누르면, 전술한 바와 같은 작동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작동화면의 아래에 있는 문자표시난의 지적 또는 물음에 따라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한 후, 인덱스버튼을 누르면 각 선반에 보관되거나 저장되어 있는 서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런 후 상기 이동랙(110+N)과 이동랙(114)쪽에 있는 선반에 저장되어 있는 서류 또는 물품을 찾기 위해서 이동랙(110+N)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터치 패널(130)에 디스플레이된 작동화면의 숫자버튼(136)에서 1번 버튼을 누르면, 이 신호가 제어기(206)에 입력된다.
제어기(206)는 이동랙(110+N)을 이동시킬 수 있는 모터 구동 제어신호를 모터 구동부(210)에 출력하게 되고, 상기 모터 구동부(210)의 동작에 의해 이동랙(110+N)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이 완료되면 가이드 레일 하부에 배설된 포토센서(226)가 이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기(206)에 전달하게 되고, 제어기(206)는 즉시 상기 모터구동부(210)에 모터 구동 정지를 위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해당 모터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기(206)는 주지한 바와 같이 이동랙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을 완료하게 되면 조명등 구동부(214)를 구동시켜 해당 랙의 통로에 설치된 조명등이 점등되도록 제어를 하게된다.
이동랙(110+N)과 이동랙(114)사이가 개방되면, 사용자는 이동랙(114)의 선반에 보관중이던 서류를 가지고 나오거나 열람을 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3 인체/장애물 감지센서(216 ~ 220)는, 상기 이동랙(110+N)과 이동랙(114)사이의 통로에 사람 또는 장애물이 있을 경우, 이를 검출하여 제어기(206)에 전달하게 되고, 제어기(206)는 상기와 같이 사람 또는 장애물이 이동랙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모터를 오프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동랙 사이에 존재하는 사람이 이동랙 통로를 벗어나거나 장애물이 제거된 상태에서 이동랙(110+N)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보조 키보드(120)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버튼(123)을 누른 후 리셋버튼(124)을 누르고, 우측 이동 버튼(122)을 누르게 되면, 제어기(206)는 이를 수신하고 모터 구동부(210)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시킨 모터를 이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동작시켜, 개방된 이동랙을 클로즈시키게 된다.
한편, 하루 업무를 종료하거나 모빌랙을 작동시킬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마스터랙(111)을 제외한 나머지 이동랙들(110+N, 114, 113, 112)을 마스터랙(111)측으로 모두 이동시킨 후에 마스터랙(111)에 설치되어 있는 터치 패널(130)의 작동화면에서 인덱스버튼(132)을 누르면, 랙표시화면 하단에 모빌랙을 록킹시킬 것인지를 묻는 문자, 예를 들면 록을 해제(open)할 것인지 록상태를 유지(yes)할 것인지를 묻는 문자가 점멸되면서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터치 패널(130)에 디스플레이된 작동화면에서 록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유지(yes)를 손가락으로 터치하고, 엔터버튼(138)을 누르면, 록킹 상태(잠근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다음으로, 록상태를 해제할 경우에는 상기 작동화면에서 오픈(open)이 점멸되고있을 경우에 손가락으로 터치하고 난 후 엔터버튼(138)을 누르면, 랙 표시화면의 하부에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숫자버튼(136)에서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작동화면의 엔터버튼(138)을 누르면 록킹 상태가 해제되며, 커서가 yes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작동화면의 엔터버튼(138)을 누르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록킹 상태(잠근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는, 패스워드를 3회 연속하여 잘못 입력하였을 경우에는 제어기(206)의 제어에 의해 부저(212)가 울리면서 일정시간 동안 대기 상태로 있음과 동시에 제어기(206)에서 메모리(24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인출하여 자동 다이얼링 유닛(230)으로 전달한다. 이에 자동 다이얼링 유닛(230)은 다이얼링을 수행하여 침입자가 있음을 관공서(경찰서, 보안업체)에 알리게 된다.
또한, 정전시에는 배터리(202)에 충전된 전원을 시스템의 각 블록에 구동 전원으로 공급해줌으로써, 정전시에도 비정전시와 동일하게 전동식 모빌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화재 발생시 열 감지센서(222)는 방사되는 열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206)에 전달하게 되며, 상기 열 감지센서(222)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은 제어기(206)는 화재로 판단을 하고, 부저(212)를 구동시켜 경보음을 송출함과 동시에, 메모리(240)로부터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인출하여 자동 다이얼링 유닛(230)으로 전달한다. 이에 자동 다이얼링 유닛(230)은 다이얼링을 수행하여 화재가 발생했음을 해당 관공서(소방서, 경찰서)에 알리게 된다.
다음으로 원격 제어 방식인 경우, 주지한 바와 같이 전원이 투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에 구비된 퍼스널컴퓨터(300)를 동작시키면 초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초기 화면상에서 시작 데이터를 입력하면 작동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작동화면의 아래에 문자 표시 난의 지적 또는 물음에 따라 초기 조건, 모터 전류값, 랙 고유번호(ID), 다수개 이동랙(112 ~ 110+N)의 번호 및 각각의 이동랙의 선반번호, 록킹 메뉴, 시스템 설정 메뉴, 랙의 통신 상태 및 각종 센서의 에러메뉴, 패스워드(password) 등을 지정하여 입력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작동화면에서 인덱스 데이터를 입력하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선반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며, 이 선반 메뉴화면에서 좌측선반의 어느 하나의 선반번호를 선택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고, 그 상태에서 키보드를 조작하여 좌측의 각 선반에 보관되는 서류명과 수량을 입력하게 된다.
주지한 선반 메뉴 화면에서 PRV버튼을 선택하면 바로 전의 선반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넥스트(NEXT)버튼을 선택하면 다음의 선반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아울러 홈(HOME)버튼을 선택하면 초기화면으로 복귀하며, 로고(LOGO)버튼을 선택하면 상기 선반 메뉴화면에 로고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이동랙(110+N)과 이동랙(114)쪽에 있는 선반에 저장되어 있는 서류 또는 물품을 찾기 위하여, 초기화면에서 시작 데이터를 입력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작동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작동화면의 아래에 있는 문자표시난의 지적 또는 물음에 따라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한 후, 인덱스버튼을 선택하면 각 선반에 보관되거나 저장되어 있는 서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런 후 상기 이동랙(110+N)과 이동랙(114)쪽에 있는 선반에 저장되어 있는 서류 또는 물품을 찾기 위해서 이동랙(110+N)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된 작동화면의 숫자버튼(136)에서 1번 버튼을 선택하면 이 신호가 통신 인터페이스부(204)를 통해 제어기(206)에 입력된다.
제어기(206)는 이동랙(110+N)을 이동시킬 수 있는 모터 구동 제어신호를 모터 구동부(210)에 출력하게 되고, 상기 모터 구동부(210)의 동작에 의해 이동랙(110+N)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이 완료되면 가이드 레일 하부에 배설된 포토 센서(226)가 이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기(206)에 전달하게 되고, 제어기(206)는 즉시 상기 모터구동부(210)에 모터 구동 정지를 위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해당 모터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기(206)는 주지한 바와 같이 이동랙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을 완료하게 되면 조명등 구동부(214)를 구동시켜 해당 랙의 통로에 설치된 조명등이 점등되도록 제어를 하게된다.
즉, 본 발명은 원격에 설치된 퍼스널컴퓨터(300)를 통해 전동식 모빌랙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기존과 같이 모빌랙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반드시 전동식 모빌랙이 설치된 곳까지 가야하는 불편함을 해소시켰다.
이동랙(110+N)과 이동랙(114)사이가 개방되면, 사용자는 이동랙(114)의 선반에 보관 중이던 서류를 가지고 나오거나 열람을 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3 인체/장애물 감지센서(216 ~ 220)는, 상기 이동랙(110+N)과 이동랙(114)사이의 통로에 사람 또는 장애물이 있을 경우, 이를 검출하여 제어기(206)에 전달하게 되고, 제어기(206)는 상기와 같이 사람 또는 장애물이 이동랙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모터를 오프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동랙 사이에 존재하는 사람이 이동랙 통로를 벗어나거나 장애물이 제거된 상태에서 이동랙(110+N)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보조 키보드(120)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버튼(123)을 누른 후 리셋버튼(124)을 누르고, 우측 이동 버튼(122)을 누르게 되면, 제어기(206)는 이를 수신하고 모터 구동부(210)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시킨 모터를 이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동작시켜, 개방된 이동랙을 클로즈시키게 된다.
한편, 하루 업무를 종료하거나 모빌랙을 작동시킬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마스터랙(111)을 제외한 나머지 이동랙들(110+N, 114, 113, 112)을 마스터랙(111)측으로 모두 이동시킨 후에 퍼스널컴퓨터(300)의 작동화면에서 인덱스버튼(132)을 선택하면, 랙표시화면 하단에 모빌랙을 록킹시킬 것인지를 묻는 문자, 예를 들면 록을 해제(open)할 것인지 록상태를 유지(yes)할 것인지를 묻는 문자가 점멸되면서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된 작동화면에서 록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유지(yes)를 선택하고 엔터버튼(138)을 선택하면, 록킹 상태(잠근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다음으로, 록상태를 해제할 경우에는 상기 작동화면에서 오픈(open)이 점멸되고있을 경우에 손가락으로 터치하고 난 후 엔터버튼(138)을 선택하면, 랙 표시화면의 하부에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숫자버튼에서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작동화면의 엔터버튼(138)을 선택하면 록킹 상태가 해제되며, 커서가 yes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작동화면의 엔터버튼(138)을 선택하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록킹 상태(잠근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는, 패스워드를 3회 연속하여 잘못 입력하였을 경우에는 제어기(206)의 제어에 의해 부저(212)가 울리면서 일정시간 동안 대기 상태로 있음과 동시에 제어기(206)에서 메모리(24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인출하여 자동 다이얼링 유닛(230)으로 전달한다. 이에 자동 다이얼링 유닛(230)은 다이얼링을 수행하여 침입자가 있음을 관공서(경찰서, 보안업체)에 알리게 된다.
또한, 정전시에는 배터리(202)에 충전된 전원을 시스템의 각 블록에 구동 전원으로 공급해줌으로써, 정전시에도 비정전시와 동일하게 전동식 모빌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화재 발생시 열 감지센서(222)는 방사되는 열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206)에 전달하게 되며, 상기 열 감지센서(222)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은 제어기(206)는 부저(212)를 구동시켜 경보음을 송출함과 동시에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204)를 통해 감지신호를 퍼스널컴퓨터(300)로 전달한다.
상기 열 감지신호 전달받은 퍼스널컴퓨터(300)는 화재로 판단을 하고,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인출하여 자동 다이얼링 유닛으로 전달한다. 이에 자동 다이얼링 유닛은 다이얼링을 수행하여 화재가 발생했음을 해당 관공서(소방서, 경찰서)에 알리게 된다.
도2에서 참조부호 310은 통신 케이블로서, 상기 퍼스널컴퓨터(300)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150)내의 통신 인터페이스부(204)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실시예2>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모빌랙 제어방법중 직접제어방식인 터치 패널에 의한 제어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면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고, 각종 센서를 구동시킨 후 센서 출력 및 키입력 상태를 검색하는 제1단계(S102 ~ S108)와; 상기 제1단계(S108)의 검색결과 키가 조작되는 경우 그 조작되는 키가 랙 이동 제어키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랙 이동 제어키일 경우 각각의 센서 출력신호에 따라 유효 적절하게 랙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2단계(S110 ~ S120)와; 상기 제2단계(S110)의 판단결과 조작되는 키가 랙 이동 제어키가 아닐 경우, 조작되는 키가 수납 내역 검색키인지를 체크하여, 조작되는 키가 수납 내역 검색키일 경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랙 고유번호(ID)에 대응하는 랙의 수납 내역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는 제3단계(S122 ~ S128)와; 상기 제3단계(S122)의 체크결과 조작되는 키가 수납내역 검색키가 아닐 경우, 조작되는 키가 자료 입력키인지를 검색하여 조작되는 키가 자료 입력키일 경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랙 고유번호(ID)에 대응하는 랙의 수납 내역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의 변경/삭제/추가에 대응하게 데이터를 변경해주는 제4단계(S130 ~ S140)와; 상기 제1단계(S108)의 검색결과 키가 조작되지 않고, 열이 감지되어 화재로 판단되면경보를 발생하고, 메모리에 미리 내장된 관공서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5단계(S142 ~ S148)로 이루어진다.
도 7에서 S는 단계(STEP)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모빌랙 제어방법은, 먼저 단계(S102)에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면 단계 S104에서 제어기(206)는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S106에서 각종 센서를 구동시키게 되고, 단계 S108에서 키가 조작되는지를 체크하게 된다.
상기 체크결과 키가 조작되는 경우에는, 단계 S110으로 이동하여 조작되는 키가 랙이동 제어키인가를 체크하게 되고, 이 체크결과 조작되는 키가 랙 이동 제어키일 경우에는 단계 S112로 이동하여 랙 ID에 대응하는 랙에 설치된 서브컨트롤러와 통신을 통해 상기 랙을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랙 이동시에는 단계 S114에서와 같이 랙 출입이 감지되는지를 체크하게 되고, 이 체크 결과 랙 이동시 랙 출입이 감지되면 단계 S116으로 이동하여 즉시 랙 이동을 정지시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또한, 랙 이동중에 랙 출입이 감지되지 않으면, 단계 S118에서와 같이 바닥에 장애물이 있거나 인체가 감지되는가를 체크하게 된다. 이 체크 결과 랙 이동중에 바닥에 장애물이 있거나 통로에 사람이 존재하게 되면 단계 S116으로 이동하여 즉시 랙 이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아울러 바닥에 장애물이 없거나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랙 이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랙 이동을 완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 S110의 확인결과 조작되는 키가 랙 이동 제어키가 아닐 경우에는 단계 S122로 이동하여 조작되는 키가 수납 내역 검색키인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조작되는 키가 수납 내역 검색키일 경우에는 단계 S124로 이동하여 랙 고유번호가 눌러졌는지를 체크하게 되고, 이 체크 결과 랙 ID가 눌러지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126에서와 같이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와는 달리 랙 고유번호가 눌러진 경우에는 랙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랙의 수납 내역을 메모리로부터 인출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계 S122의 확인 결과 조작되는 키가 수납 내역 검색키도 아닐 경우에는, 단계 S130으로 이동하여 조작되는 키가 자료 입력키인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조작되는 키가 자료 입력키일 경우에는 단계 S134로 이동하여 랙 고유번호가 눌러졌는지를 체크하게 된다.
상기 체크결과 랙 고유번호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36으로 이동하여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와는 달리 랙 고유번호가 눌러진 경우에는 단계 S138로 이동하여 눌러진 랙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랙의 수납 내역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준다. 이후 사용자가 문자 버튼 등을 조작하여 수납 내역을 삭제/변경/추가하게 되면, 그에 대응하게 수납 내역 리스트를 삭제/변경/추가하고, 이것이 종료되면 메모리(240)에 그 변경 내용을 저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단계 S130의 체크결과 조작되는 키가 자료 입력키도 아닐 경우에는 단계 S132로 이동하여 잘못 조작된 키라고 판단을 하고 입력되는 키를 무시하게 된다.
한편, 단계 S108의 확인 결과키가 조작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142로 이동하여 화재 감지가 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 판단 결과 화재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144로 이동하여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와는 달리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단계 S146으로 이동하여 경보를 발생하고, 단계 S148로 이동하여 내장된 관공서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을 수행하여 신속하게 화재가 진압되도록 한다.
<실시예3>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모빌랙 제어방법중 원격제어방식인 퍼스널컴퓨터에 의한 제어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면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고, 마스터랙에 설치된 메인 컨트롤러와 통신을 설정한 후 키입력을 검색하는 제1단계(S202 ~ S208)와; 상기 제1단계의 검색결과 키가 조작되는 경우 그 조작되는 키가 랙 이동 제어키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랙 이동 제어키일 경우 마스터랙에 설치된 메인 컨트롤러와 통신을 통해 해당 랙의 이동을 제어하고, 랙 이동후 이동상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는 제2단계(S210 ~ S214)와; 상기 제2단계의 판단결과 조작되는 키가 랙 이동 제어키가 아닐 경우, 조작되는 키가 수납 내역 검색키인지를 체크하여, 조작되는 키가 수납 내역 검색키일 경우 내장된 메모리를 검색하여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랙 고유번호(ID)에 대응하는 랙의 수납 내역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는 제3단계(S216 ~ S224)와; 상기 제3단계의 체크결과 조작되는 키가 수납내역 검색키가 아닐 경우, 조작되는 키가 자료 입력키인지를 검색하여 조작되는 키가 자료 입력키일 경우, 메모리를 검색하여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랙 고유번호(ID)에 대응하는 랙의 수납 내역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의 변경/삭제/추가에 대응하게 데이터를 변경해주는 제4단계(S226 ~ S234)와; 상기 제1단계의 검색결과 키가 조작되지 않고, 열이 감지되어 화재로 판단되면 경보를 발생하고, 메모리에 미리 내장된 관공서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5단계(S236 ~ S242)로 이루어진다.
도 8에서 S는 단계(STEP)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모빌랙 제어방법은, 먼저 단계(S202)에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면 단계 S204에서 퍼스널컴퓨터(300)는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초기화 과정이 종료되면 단계 S206에서 마스터랙(111)에 설치된 메인 컨트롤러(150)와 통신을 설정하게 되고, 통신이 설정되면 단계 S208에서 키가 조작되는지를 체크하게 된다.
상기 체크결과 키가 조작되는 경우에는, 단계 S210으로 이동하여 조작되는 키가 랙이동 제어키인가를 체크하게 되고, 이 체크결과 조작되는 키가 랙 이동 제어키일 경우에는 단계 S212로 이동하여 메인 컨트롤러(150)와 통신을 통해 랙 ID에 대응하는 이동랙을 이동시키게 된다. 랙 이동후에는 단계 S214에서와 같이 모니터의 화면상에 이동랙 이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해주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 S210의 확인결과 조작되는 키가 랙 이동 제어키가 아닐 경우에는 단계 S216으로 이동하여 조작되는 키가 수납 내역 검색키인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조작되는 키가 수납 내역 검색키일 경우에는 단계 S218로 이동하여랙 고유번호가 눌러졌는지를 체크하게 되고, 이 체크 결과 랙 ID가 눌러지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220에서와 같이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와는 달리 랙 고유번호가 눌러진 경우에는 단계 S222 및 단계 S224에서와 같이 랙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랙의 수납 내역을 메모리로부터 인출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계 S216의 확인 결과 조작되는 키가 수납 내역 검색키도 아닐 경우에는, 단계 S226으로 이동하여 조작되는 키가 자료 입력키인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조작되는 키가 자료 입력키일 경우에는 단계 S228로 이동하여 메모리를 검색하고, 단계 S230에서 랙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랙의 수납 내역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준다. 이후 단계 S232에서 사용자가 문자 버튼 등을 조작하여 수납 내역을 삭제/변경/추가하게 되면, 그에 대응하게 수납 내역 리스트를 삭제/변경/추가하고, 이것이 종료되면 내장된 메모리에 그 변경 내용을 저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단계 S226의 체크결과 조작되는 키가 자료 입력키도 아닐 경우에는 단계 S234로 이동하여 잘못 조작된 키라고 판단을 하고 입력되는 키를 무시하게 된다.
한편, 단계 S208의 확인 결과키가 조작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236으로 이동하여 화재 감지가 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 판단 결과 화재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242로 이동하여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와는 달리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단계 S238로 이동하여 경보를 발생하고, 단계 S240으로 이동하여 내장된 관공서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을 수행하여 신속하게 화재가 진압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는, 퍼스널컴퓨터와 전동식 모빌랙간을 유선으로 연결하여 원격 제어하는 것을 그 실시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신 케이블을 제거하고, 퍼스널컴퓨터에는 무선 송수신 장치를 부가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무선 송수신장치로 대치하면 용이하게 무선 장치를 통해 원격에서 모빌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는, 원격 제어 수단으로서 퍼스널컴퓨터를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약간의 구성 및 기능 변경만으로 리모컨을 사용하여 원격 제어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랙중에서 보관된 물품(서류, 서적, 물건, 기타 등등)을 용이하게 탐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관된 물품의 기밀성 보장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치 패널(터치스크린)/퍼스널컴퓨터(PC)를 사용함으로써 명령 입력 및 조작에 용이함을 제공해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퍼스널컴퓨터(PC)를 사용함으로써 원격 제어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전동식 모빌랙 전체 동작을 원격에서 제어하며, 내장된 메모리를 검색하여 다수개의 이동랙에 수납된 물품 리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고, 상기 수납된 물품 내역을 수정/삭제/추가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퍼스널컴퓨터, 직접 제어 방식인 경우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며, 수납 물품 내역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해주는 터치 패널을 구비한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인 경우 상기 퍼스널컴퓨터와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퍼스널컴퓨터를 통해 원격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특정 이동랙의 이동(오픈 및 클로즈)을 제어하며, 직접 제어방식인 경우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해 전달되는 명령에 대응하여 특정 이동랙의 이동을 제어하며, 메모리를 검색하여 상기 다수개의 이동랙에 수납된 물품 리스트를 상기 터치 패널로 전송해주고, 상기 수납된 물품 내역을 수정/삭제/추가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열 감지시 화재로 판단하고 자동 다이얼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면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고, 각종 센서를 구동시킨 후 센서 출력 및 키입력 상태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결과 키가 조작되는 경우 그 조작되는 키가 랙 이동 제어키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랙 이동 제어키일 경우 각각의 센서 출력신호에 따라 유효 적절하게 랙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검색결과 키가 조작되지 않고, 열이 감지되어 화재로 판단되면 경보를 발생하고, 메모리에 미리 내장된 관공서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전동식 모빌랙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작되는 키가 랙 이동 제어키가 아닐 경우, 조작되는 키가 수납 내역 검색키인지를 체크하여, 조작되는 키가 수납 내역 검색키일 경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랙 고유번호(ID)에 대응하는 랙의 수납 내역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는 단계와;
    상기 체크결과 조작되는 키가 수납내역 검색키가 아닐 경우, 조작되는 키가 자료 입력키인지를 검색하여 조작되는 키가 자료 입력키일 경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랙 고유번호(ID)에 대응하는 랙의 수납 내역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의 변경/삭제/추가에 대응하게 데이터를 변경해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모빌랙 제어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03-0011735A 2003-02-25 2003-02-25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392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735A KR100392787B1 (ko) 2003-02-25 2003-02-25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735A KR100392787B1 (ko) 2003-02-25 2003-02-25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253A KR20030022253A (ko) 2003-03-15
KR100392787B1 true KR100392787B1 (ko) 2003-07-28

Family

ID=2773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735A KR100392787B1 (ko) 2003-02-25 2003-02-25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27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37041A (zh) * 2020-03-17 2020-07-24 老肯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内窥镜存放的存储中心及其控制系统
KR20210031010A (ko) 2019-09-10 2021-03-19 정진희 모빌랙용 래치기구
KR102637265B1 (ko) 2023-09-27 2024-02-16 주식회사 디에스나이키 전동 모빌랙의 무선 충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652B1 (ko) * 2006-08-14 2007-10-30 피아산업 주식회사 전동식 모빌랙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이에 따른 전동식모빌랙 시스템
KR101362376B1 (ko) * 2007-06-29 2014-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능형 옷장, 그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1797097B (zh) * 2010-03-15 2012-05-02 江西远洋保险设备实业集团有限公司 密集架的安全保护控制方法及其控制系统
KR102544605B1 (ko) * 2022-07-29 2023-06-19 주식회사 디에스나이키 충전용 배터리가 내장된 모빌랙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010A (ko) 2019-09-10 2021-03-19 정진희 모빌랙용 래치기구
CN111437041A (zh) * 2020-03-17 2020-07-24 老肯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内窥镜存放的存储中心及其控制系统
CN111437041B (zh) * 2020-03-17 2021-06-08 老肯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内窥镜存放的存储中心及其控制系统
KR102637265B1 (ko) 2023-09-27 2024-02-16 주식회사 디에스나이키 전동 모빌랙의 무선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253A (ko) 200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2788B1 (ko) 전동식 모빌랙 제어방법
CA2486751C (en) Universal barrier operator transmitter
KR100392787B1 (ko)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20050116480A1 (en) Door lock and operation mechanism
US8730041B2 (en) Security system for a medical emergency crash cart
KR100392789B1 (ko) 전동식 모빌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GB2558128A (en) Electronic keypad lock for furniture, cabinets or lockers
US20240167300A1 (en) Controllable door lock
JP2008117076A (ja)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
CN105545091A (zh) 一种手机远程可视智能门锁控制系统
MXPA04002202A (es) Metodo y aparato de aprendizaje de codigo de seguridad.
JP2018070368A (ja) 電動式移動棚装置
KR20220148759A (ko) 전동 킥보드의 헬멧 착용 연계 방법 및 시스템
KR100707518B1 (ko) 지문 인식 방식의 열쇠 보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09761040U (zh) 一种双向防撬预警系统及智能锁
US11661787B2 (en) Safe and lock detection system
CN213898486U (zh) 一种指纹锁
KR200301871Y1 (ko) 전동식 모빌 랙
KR102134604B1 (ko) 무인도서관 시스템
CN206928783U (zh) 双驱动无孔自动锁
KR200454568Y1 (ko) 다기능 가방
KR200301872Y1 (ko) 전동식 모빌 랙
JP3751438B2 (ja) 機械式駐車設備
KR200301870Y1 (ko) 전동식 모빌 랙
JP2010281060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