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1120B1 - 차량 정보 인식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정보 인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1120B1
KR100391120B1 KR10-2000-0011907A KR20000011907A KR100391120B1 KR 100391120 B1 KR100391120 B1 KR 100391120B1 KR 20000011907 A KR20000011907 A KR 20000011907A KR 100391120 B1 KR100391120 B1 KR 100391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gate
signal
transmitt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7990A (ko
Inventor
조현국
Original Assignee
블루솔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솔텍(주) filed Critical 블루솔텍(주)
Priority to KR10-2000-0011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120B1/ko
Publication of KR20010087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1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번호 자동 인식 및 유료도로 자동 요금 정산과 차량 속도 위반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상기 시스템은, 게이트를 통과하는 차량 정보를 인식하는 차량 정보 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게이트 송수신 유니트와, 상기 송수신 유니트에 수신된 신호를 전송 가능한 전송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에 제공되는 게이트 장치와, 상기 게이트 장치의 전송 수단으로부터 전송 받은 데이터가 저장되는 서버와, 휴대 가능하고 고유 ID 신호의 송출이 가능한 휴대용 카드와, 상기 휴대용 카드로부터 전송된 고유 ID 신호의 수신이 가능하며 고유 ID 신호를 수신하여 등록되어 있는 ID와 일치하면 ID 신호에 기초한 소정의 변조 신호를 송출하는 차량용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송수신 유니트는 상기 소정의 변조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신호로부터 당해 차량의 정보를 해독하여 상기 서버에 저장한다.

Description

차량 정보 인식 시스템{System for Recognizing Vehicle Information}
본 발명은 고속도로(유료도로 포함) 차량 정보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번호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는 차량 정보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차량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 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현재 시험 단계에 있는 자동 요금 정산 시스템으로서, 차량이 고속도로의 진입 구간 및 진출 구간을 통과할 때에 미리 결정되어 있는 당해 차량의 고유 ID만을 차량으로부터 게이트로 무선 전송하는 시스템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무선 전송된 차량의 ID로부터 챠량 번호를 인식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만약 그 차량이 제3자에 의해 도난된 차량인 경우에도 도난 여부에 대해서는 전혀 감지하지 못하고, 비록 도난 신고가 되어 있더라도 도주자가 차량내 장비를 고의로 파괴하고 통과하면 적발할 수 없다. 또한, 차량의 게이트를 통과할 때에 시속 40Km이상에서는 데이터 인식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며, 속도위반 감지기능도 없어서 다양한 용도로 현실에 맞게 이용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인식 시스템의 전체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인식 시스템의 게이트 상세 블록도.
도 3는 도 2의 톨게이트용 장치의 일실시예의 회로도.
도 4은 도 2의 차량용 장치의 일실시예의 회로도
도 5는 도 2의 휴대용 카드의 일실시예의 회로도
도 6a는 도 3의 장치가 실제 설치예의 블록도
도 6b와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시설 평면도 및 차량의 접근방법 및 감지 거리의 일실시예의 블록도.
도 9은 도 1에 의해 도난 차량의 판별 방법의 일실시예의 챠트
도 10은 도 1의 게이트용 장치의 플로우 챠트
도 11는 도 1의 차량용 장치의 플로우 챠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한 차량 정보 인식 시스템은, 게이트를 통과하는 차량 정보를 인식하는 차량 정보 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게이트 송수신 유니트와, 상기 송수신 유니트에 수신된 신호를 전송 가능한 전송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에 제공되는 게이트 장치와, 상기 게이트 장치의 전송 수단으로부터 전송 받은 데이터가 저장되는 서버와, 휴대 가능하고 고유 ID 신호의 송출이 가능한 휴대용 카드와, 상기 휴대용 카드로부터 전송된 고유 ID 신호의 수신이 가능하며 고유 ID 신호를 수신하여 등록되어 있는 ID와 일치하면 ID 신호에 기초한 소정의 변조 신호를 송출하는 차량용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송수신 유니트는 상기 소정의 변조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신호로부터 당해 차량의 정보를 해독하여 상기 서버에 저장한다.이와 같은 시스템에 의하면 저장되어 있는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행 요금을 청구하거나, 과속 차량에 대해서는 과태료를 부가할 수 있으며, 통행 차량 정보를 인식하여 저장함으로써 일괄 관리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난 차량의 경우에는 운전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카드가 없기 때문에 상기 차량 정보가 불가능하고, 이를 게이트에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의한 차량 정보 인식 시스템은, 상기 제1 형태의 시스템에 있어서, 게이트를 통과하는 차량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더 포함한다.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1.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인식 시스템의 전체 구성.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번호 자동 인식 및 자동 요금 정산 시스템은, 게이트용 장치(100)와, 데이터 저장 및 전송 장치(110)와, 감시용 CCTV 카메라를 포함하는 자동 녹화 장치(12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시스템은 도로가 4 차로인 경우에 대한 것이다.
게이트용 장치(100)는 게이트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로서 기능하는 1차 센서인 적외선 센서 유닛트(101)와, 랜 카드(104)를 포함한다. 4차로 도로이므로 상기 유니트(101) 및 랜 카드(104)는 각각 네 개씩 제공한다. 한편, 각 차량에는 차량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102)가 제공되며 차량의 운전자는 휴대용 카드(103)를 소지한다. 도 1에서는 도시의 간략화를 위해서 게이트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101)와 랜드 카드(104) 사이에 제공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를 도시하지 않았다.데이터저장 및 전송장치(110)는 전용 컴퓨터(111)와, 랜 카드A(112)와, 데이터 전용 고속 모뎀(113)과, 컴퓨터 모니터(115)와, 키 보드(116)와, 중앙전산실(117)을 포함한다. 데이터 전용 고속 모뎀(113)과 중앙 전산실은 전용 회전으로 연결되어 있다.자동녹화장치(120)는 제어 유니트(126)와, 감시용으로 사용되는 CCTV 카메라(122)와, 자동녹화기(123), 영상 분배기(124; VDA)와, 카메라 모니터(125)를 포함한다. 게이트용 장치(100)는, 고속도로 또는 유로도로의 차선 1개마다 설치되며, 차량용 데이터 송수신장치(102)와 휴대용카드(103)는 통과하는 차량마다 한 세트씩 창작된다.
장치에 초기 전원을 인가할 때부터 게이트용 장치(100)는 1차 센서인 적외선유니트(101)를 ON시켜 각 차량이 통과할 때에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 신호를 랜카드(104)로 전송한다. 이로 인해 도로의 바닥에 매설된 루프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를 지날 때 송출되는 장파 신호에 의해 차량내 운전자가 소지한 휴대용 카드(103)가 작동하여 카드 내에 저장되어있는 고유 ID 데이터가 송출된다. 이와 같이 휴대용카드(103)에서 송출된 데이터 신호를 차량용 데이터 송수신장치(102)가 수신하고 등록되어 있는 ID 데이터와 수신된 ID 데이터가 상호 일치하는지를 비교한다. 만약 양자가 일치하면 차량용 데이터송수신장치(102)내의 마이콤(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 고유 차량 번호 데이터를 해당 게이트용 송수신 장치(101)로 수신하고 그 데이터를 랜카드(104)으로 바로 전송해서 또 다시 랜카드A(112)로 전송한다. 랜카드 A(112)는 그 데이터를 전용 컴퓨터(111)로 전송하고, 그 데이터는 전용 컴퓨터(111)에 저장된다. 그리고 그 데이터는 감시실의 컴퓨터 모니터(116)로 출력된다.
당해 톨게이트를 통과하는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전용 컴퓨터(111)에 소정의 기간 동안 저장된다. 저장된 각 차량의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데이터 전용 고속 모뎀(113)을 거쳐서 중앙전산실(117)로 전송되는데, 차량 번호, 당해 차량이 통과한 날짜, 시간, 운행 속도 등이 저장/기록된다. 따라서, 자동요금 정산 및 도난, 도주차량 등을 즉시 파악할 수가 있고 또한 통과한 차량의 차량용 장치나 게이트내의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였거나, 또는 도주의 목적으로 차량용 장치를 고의로 고장내어 무단으로 통과할 때에는 톨게이트 후방에 설치된 감시용 CCTV 카메라(122) 및 자동 녹화장치(120)의 제어 유닛트(121)를 통해 카메라 작동 제어신호가 전송되어 해당 CCTV 카메라(122)가 "온"되고 무단 통과 차량이 앞을 지날 때 차량 번호 및 차종 등을 촬영하여 영상 분배기(124)를 거처 자동녹화기(123)로 자동 녹화한다. 이와 동시에 카메라 모니터(125)에 나타난 자료를 감시실의 감시요원이 인지하고 키보드(116)로 차량 번호 및 차종을 입력하면 입력된 데이터는 전용 컴퓨터(111)에 저장되며, 즉시 중앙전산실(110)로 전송되는 것과 동시에 경찰청의 중앙전산실로 전송된다. 경찰청의 중앙 전산실로 전송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경찰청에서는 부근에 있는 순찰 차량에 무선 연락을 하여 당해 도난 차량을 붙잡을 수 있게 된다.
도 2a에는 게이트 1개소의 게이트용 장치(200)의 상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b에는 차량용 장치(250)의 상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적외선 송신 유니트(222)의 센서 S2와 적외선 수신 유니트(221)의 센서 S1이 톨게이트 입구 쪽 도로의 양쪽끝(도 7참조)에 설치된다. 차량이 통과하면 센서 S1과 S2사이가 차단되고 게이트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101)의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201)로 주어진 신호가 (H)데이터로 전환됨과 동시에 장파 송신 유니트가 온(ON)되고 안테나(205)로 예를 들어, 80KHz의 신호가 송출된다. 차량이 적외선 센서(S1, S2)를 통과한 후 게이트의 바닥의 안테나 위를 통과할 때 상기 송출 신호가 차량내의 운전자가 소지한 휴대용 카드(103)로 전해지면 휴대용 카드(103)가 그 신호 에너지에 의해 "온"되고 휴대용 카드(103)내의 제3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512)에 저장된 고유 ID 데이터가 차량용 장치(250)의 초단파 수신 유닛트(253)로 송신된다. 상기 수신 유니트(253)은 이를 수신한 후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251)로 전송하여 고유 ID 데이터가 상호 일치하면(휴대용 카드(103)와 차량용 장치의 데이터의 일치여부 확인), 초단파 송신 유니트(102)로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251)에 저장된 해당 차량 번호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전송된 차량 번호용 데이터 신호는 게이트용 장치(100)의 게이트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101)에 의해 수신되어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201)에 전송된다.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201)에 저장된 차량 번호 데이터는 랜 카드(104)를 통해 전용 컴퓨터 모니터(115)에 출력되며 데이터 전용 고속 모뎀(113)을 거쳐 중앙전산실(117)로 전송된다.중앙 전산실(117)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공과금 납부 용지에 매월 지로로 도로비를 청구할 수 있고, 속도 위반의 스티커를 수시로 발부할 수 있게 설계될 수 있다.한편, 차량용 장치(250)에 전술한 바와 같은 툴게이트 통과 기능 이외에 다른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예를 들어, 운전자가 휴대용 카드(103)를 주머니 또는 지갑 등에 소지하고 자기 차량 가까이 접근하면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251)에 의해 작동하고 있는 장파 송신 유니트(252)의 송신출력이 장파안테나(259)에 의해 송신되므로 휴대용 카드(260)가 감지거리(1-2.5m)에 접어들면 그 신호의 에너지에 의해 휴대용 카드(103)에서 고유 ID 데이터를 출력하며 이때 초단파 수신 유니트(253)로 수신하여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251)에 전송하면 상호 ID 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확인해서 일치하면 차량 도어 제어(256)회로가 작동하여 도어를 잠금을 해제하고 차량에서 운전자가 도어를 닫고 멀어지면 운전자의 휴대용 카드의 존재 여부를 확인 후 없으면 도어가 잠기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3자가 강제로 도어를 열고 차량 열쇠만으로 시동을 걸 경우 상호 교신 데이터가 없어서 시동이 걸리지 않고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251)에서 경보 체재 상태로 돌입해 차량 시동제어(255)는 오프상태이고 비상용 자동발신 유니트(257)와 휴대폰(258)이 작동하여 운전자의 이동 통신 수단으로 알려준다.
도 3에는 톨 게이트용 장치의 실제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301)의 주 발진부는 X-TAL(수정발진)방식이며 메모리 확장을 위해 EPROM(302)는 필요에 따라 증설이 가능하다.차량용 장치(250)의 초단파 송신 유니트(254)에서 송출된 차량 번호용 데이터 신호를 게이트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 유닛트(101a)에서 수신하는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2)와 인덕터 L3, 저항, 커패시터로 고주파 증폭을 한 다음 트랜지스터 FET1과 인턱터 L1, CN으로 초재생 검파를 한후 OP앰프 회로가 구성된 IC1(2/2), IC1(1/2)회로에서 증폭 및 파형 정형을 한 다음 정형된 차량번호용 데이터 신호는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201)의 RA0로 입력되고 EPROM(203)에 임시 저장되어 순서에 의해 랜카드(104)로 인터페이스되어 전용 컴퓨터(111)에 저장되며 그 이후의 데이터전송 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과 동일하므로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초단파 수신 유닛트(101a)의 안테나인 ANT 1은 게이트마다 설치되며, 장파 송신 유닛트(101b)는 적외선 수신 유닛트(221)가 동작하며 그 동작 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 TR3에 베이스 전류가 흘러 트랜지스터 TR3이 동작되면 평상시 오프 상태이던 장파 송신 유니트가 정상 동작하게 된다. 장파 발진 유니트인 트래지스터 TR1과 인덕터 L4, 커패시터 C12로 LC 발진 회로(콜핏츠 발진)와 ALC회로(321)를 설계하여 전원 전압의 변화는 물론 트랜지스터의 특성 변화나 공진 회로의 Q의 변화에도 출력 레벨은 항상 일정하게 하였다. 또한, ALC회로(321)에 의해 선형 영역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출력 파형의 찌그러짐이 적고 깨끗한 정형파인 장파 출력을 얻도록 하며 ALC회로(321)에서 트랜지스터 TR1의 발진 출력을 다이오드 D2, D3로 정류하고 다이오드 D4로 레벨 시프트하여 트랜지스터 TR2의 베이스에 가하기 때문에 발진이 강해지면 트랜지스터 TR2에 의해 트랜지스터 TR1의 콜렉터 전압이 증가하여 저항 R8의 전압 강하가 커지고 트랜지스터 TR1의 전압 강하가 낮아지고 출력 진폭을 일정하게 하며 트랜지스터 TR2의 발진 출력이 저항 R23을 통해 트랜지스터 TR4에서 초단 증폭하여 트랜지스터 TR5, TR6으로 B급 준 콤프리멘타리 출력 회로를구성해서 장파출력트랜스, 장파 안테나(322)로 송출하여 휴대용 카드(103)로 전달된다. 적외선 수신 유니트(221) 및 적외선 송신 유니트(222)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회로를 선택하면 되는데 특히 잡음 및 온도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도 4에는 차량용 장치의 실제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톨게이트 통과시 회로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휴대용 카드(103)로부터 송출된 고유 ID 데이터 신호를 초단파 수신 유니트(420)의 안테나 ANT1으로 수신하고 초단파 수신 유니트(101a)에서 검파 증폭하여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251)의 데이터 입력 포트인 RA1으로 입력하게 되면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251)에 설치되어 있는 EPROM(402)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코드와 입력된 ID 코드 신호와 일치하면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251)에 저장된 차량 번호 데이터 코드를 출력 포트 RB0으로 출력해서 초단파 송신유니트(102)의 회로에 공급하여 트랜지스터 TR7의 베이스에 입력되어 트랜지스터 TR7을 구동시켜 가변 커패시터(C2)와 동조 코일 (L5)를 비롯해 저항 및 콘덴서 등으로 콜핏츠 발진 회로를 구성하므로 RF신호를 발진하고 트랜지스터 TR2가 턴 오프 되면 RF발진은 중단된다.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251)의 출력 포트 RB0에서 전송된 차량 번호 데이터 코드는 RF신호에 변조되어 공중에 송신출력이 방사되고 게이트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로 전송된다.
2) 차량 속도 위반 감지용으로 작동할 때의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다.
도 4의 속도 위반 감지 유니트(430)가 그 역할을 하는 장치로서 차량의 스파크 코일(디스트리뷰-터 단자)에 입력 포트(432)를 연결하고 IC4(1/4)의 인터페이스 출력측을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251)의 RB4 입력 포트에 연결하고 IC4(431)반도체 칩은 스피드 스위치 전용IC로서 그 입력 신호는 배리어블 릴럭턴스형의 마그네틱뿐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의 신호를 가할 수 있으며 전환단자(433)는 가솔린 엔진의 실린더의 수(4,6,8기통)로 단자를 전환할 때 사용하며 VR3(반고정 보륨)은 속도 교정용이고, 입력포트(432)로 차량의 속도용 펄스가 입력되면 IC4(431)로 펄스를 정형해서 속도에 비례하는 펄스가 TR8,IC2(1/4)를 거처MPU2(401)의 RB4입력포트에 입력되면 MPU2의 SOFTWARE 내용과 비교하여 현재데이터 속도 출력을 VHF1송신유닛트(440)로 출력하며 차량이 운행되는 시간동안에는 계속해서 속도데이터가 MPU2(401)에 출력되므로 톨게이트 및 일반도로에 도 2의 게이트용 장치를 설치한곳을 통과하면 즉시 속도가 감지되어 중앙전산실로 전달 기록된다.
3) 평상시 운전자가 차량용 장치를 이용할시의(톨게이트를 통과하는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다.
휴대용 카드(103)를 소지한 운전자가 차량용 장치(250)가 내장된 차량의 가까이 에 접근하면 평상시 주기적으로 송출되는 장파송신 유닛트(410)와 장파 안테나(412)에 의해 그 감지 거리 내에 들어서면 휴대용 카드(103)가 턴 온되어 고유 ID코드를 변조하여 휴대용 초단파 송신 유니트 (500)에서 송출되는 RF신호를 초단파 수신유니트(420)의 안테나 ANT1으로 받게 된다. 초단파 수신 유니트(420)의 동작 원리는 도 3의 초단파 수신 유닛트 (310)의 회로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초단파 수신 유니트(420)의 순신 출력이 IC1 (1/2)로 파형 정형되어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251)의 RA1입력 포트로 입력되면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251)에 설치된 EPROM(402)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코드와 입력 데이터 코드와 일치하면 출력포트 RB1으로 (H) 출력 신호를 보내어 릴레이 RL2를 구동시켜 도어 풀림의 릴레이 접점(403)이 작동하여 차량의 도어를 잠금 해제시키고 RB2출력포트의 신호를 이용해 시동 릴레이RB3를 구동시켜 시동 ON/OFF (404)의 접점이 작동하여 차량의 시동이 걸리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차량 도어를 닫고 운전자가 차량에서 내려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면 장파신호 세력으로부터 멀어저 장파 안테나(412)와 10초 동안 상호 주고받는 데이터가 없을 때는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251)의 RB0에 출력 신호를 보내어 그 신호에 의해 릴레이 RL1이 작동하여 도어 잠김 릴레이 접점(403)이 작동해서 차량의 도어를 자동으로 잠금으로서 모든 것을 운전자의 휴대용 카드 하나로 아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특히 차량의 경보 장치 역할로 가능한데 만일 운전자 외의 다른 사람이 강제로 도어를 열거나 차량 열쇠를 이용해 시동을 걸 경우 차량의 모든 기능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경보 체제로 돌입하여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251)의 RB5 출력 포트로 (H)신호가 전달되어 비상전달용 자동발신 유니트(405)와 경보기 유니트(407)를 작동시킨다. 경보 해제는 운전자가 가까이 오면 자동 해결된다.
도 5는 휴대용 카드(103)의 실제의 회로도이며 장파 수신 유니트(500), 카드용 제3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510)와, 초단파 송신 유니트(520)와, 밧데리(504)로 구성되며 톨게이트 통과시 도 2의 게이트용 장치를 통과하거나 또는 차량의 주차시 운전자가 차량 가까이 접근하여 감지거리 내에 들어오면 도 5의 안테나(502)로 수신(80KHz)하여 안테나 코일의 커패시터 C1에 동조되어 안테나 코일 2차 측과 커플링 콘덴서 C2를 통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FET1로 초단 증폭한 후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FET2로 검파 증폭하여 인덕터 L1(505)과 동조 트랜스(503)로 Q를 높여서 다이오드 D1, D2로 배압 정류해서 트랜지스터 TR2로 높은 베이스 전류를 전달하면 트랜지스터 TR2의 에미터 출력에 의해 제3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510)의 입력포트 RA1으로 입력되며 발진 회로는 OSC1, OSC2와 XT, C12, C13으로 구성하고 RA1 입력 신호에 의해 제3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510)에 내장된 롬(512)에 기억된 고유ID 데이터 코드를 RA0 출력포트로 출력된다.
출력된 신호는 초단파 송신 유닛트(520)의 커플링 커패시터 C14를 거처 초단파용 트랜지스터 TR3, 인덕터 L2, L3, L4, 저항, 콘덴서로 구성되어 콜핏츠 발진 회로를 이루고 RF신호를 발진하고 트랜지스터 TR3가 턴 오프되면 RF 발진은 중단된다. 제3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510)의 RA0에서 전송된 고유 ID 데이터 코드는 RF신호로 변조되어 패턴형 안테나 코일(522)를 통해 공중에 송신 출력이 방사되어 도 2의 차량용 장치(250)의 안테나 ANT3로 수신된다. 초소형 밧데리(504)는 두께가 2mm이하의 원형으로서 자연방전 되는 수명 기간동안 휴대용 카드가 동작 가능하고 교체 가능하고, 휴대용 카드는 방수용으로 완전밀폐, 압착된 카드로서 초소형 칩과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로 하이브리드 칩(501)을 만들었으므로 평상시의 소모전류가 5uA이하로 매우 적어 매우 실용적이다.
도 6은 톨게이트 시설의 측면도 및 시공 규격도로서 도면에 표시된 되로 이며 또한 톨게이트 네트워크 접속 방식은 도면과 같이 표시된 되로이다.
도 7은 시설 평면도 및 차량의 접근방법과 감지거리를 설명한 블록이며 톨 게이트 시설 평면도 및 배선 배치도(700)에서는 편도 3차선도로의 예를 들어 구성한 것으로 차량 진입방향에서 처음 통과하는 곳이 적외선 센서유닛트 1-3 (501)이고, 그 다음은 송신 루프 안테나(503)를 통과하는 동안 차량용 장치와 게이트용 장치간의 데이터 교신이 완료되어 데이터 전송실/감시실로 데이터가 전송 기록되고 전용회선 케이블(707)을 통해 각 게이트의 모든 데이터가 기록 보관된다.
송신 루프 안테나(503)과 배선 닥터외 배선 등은 모두 바닥에 매설되고 감시용 카메라는 높이 약 10m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차량(705)를 무단 통과시 자동적으로 촬영한다
도 7의 아래 도면은 운전자가 휴대용 카드를 소지하고 차량에 접근하는 방법과 감지거리를 설명한 것이다.
도 8은 도난 차량이 톨게이트 또는 본 장치가 설치된 도로를 통과할 시 판별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도 9는 게이트용 장치의 흐름도 이다.
도 10은 차량용 장치의 흐름도 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응용분야를 예시하면 아래와 같다.
(1) 톨게이트(고속도로 및 유료도로, 터널 기타 필요지역)용 자동요금정산 및 차량번호 자동인식 회로에 응용.
(2) 차량속도 위반 자동감지 회로에 응용.
(3) 차량 도어 LOCK, UNLOCK, 시동제어 및 비상 자동발신 회로, 차량경보용, 보턴용 시동KEY의 회로에 응용.
(4) 휴대용 카드를 이용한 건물의 도어 자동시건 장치에 응용.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톨게이트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와 차량용 데이터송수신 장치와 휴대용데이터 CARD를 이용해 톨게이트를 무인화하여 심각한 교통 정체 현상을 막고 도난, 도주 차량을 신속하게 검거할 수 있으며 METAL KEY를 사용하지 않고 접근방식에 의해 운전자가 편리하게 차량을 사용할 수 있고 도난을 방지하는 기능이 있어 그 효과가 매우 크다.

Claims (3)

  1. 삭제
  2. 게이트를 통과하는 차량 정보를 인식하는 차량 정보 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게이트 송수신 유니트와, 상기 송수신 유니트에 수신된 신호를 전송 가능한 전송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에 제공되는 게이트 장치와,
    상기 게이트 장치의 전송 수단으로부터 전송 받은 데이터가 저장되는 서버와,
    휴대 가능하고 고유 ID 신호의 송출이 가능한 휴대용 카드와, 상기 휴대용 카드로부터 전송된 고유 ID 신호의 수신이 가능하며 고유 ID 신호를 수신하여 등록되어 있는 ID와 일치하면 ID 신호에 기초한 소정의 변조 신호를 송출하는 차량용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송수신 유니트는 상기 소정의 변조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신호로부터 당해 차량의 정보를 해독하여 상기 서버에 저장하는
    차량 정보 인식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인식 시스템은, 게이트를 통과하는 차량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정보 인식 시스템.
KR10-2000-0011907A 2000-03-09 2000-03-09 차량 정보 인식 시스템 KR100391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907A KR100391120B1 (ko) 2000-03-09 2000-03-09 차량 정보 인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907A KR100391120B1 (ko) 2000-03-09 2000-03-09 차량 정보 인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990A KR20010087990A (ko) 2001-09-26
KR100391120B1 true KR100391120B1 (ko) 2003-07-12

Family

ID=19653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907A KR100391120B1 (ko) 2000-03-09 2000-03-09 차량 정보 인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1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158B1 (ko) * 2000-11-24 2003-03-03 이재학 과속차량 무인 감지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6187A (ja) * 1994-09-21 1996-04-12 Funai Denki Kenkyusho:Kk 有料道路料金徴収システム
KR970074388A (ko) * 1996-05-11 1997-12-10 양재신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
KR19980082713A (ko) * 1997-05-09 1998-12-05 김영귀 유료도로 통행료 자동지불장치
KR19990066275A (ko) * 1998-01-23 1999-08-16 홍원표 톨게이트 운용 시스템
KR20000007416A (ko) * 1998-07-03 2000-02-07 박찬호 알에프카드 차량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
KR20000012896A (ko) * 1998-08-03 2000-03-06 박성만 과속방지 기능을 첨부한 톨게이트 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6187A (ja) * 1994-09-21 1996-04-12 Funai Denki Kenkyusho:Kk 有料道路料金徴収システム
KR970074388A (ko) * 1996-05-11 1997-12-10 양재신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
KR19980082713A (ko) * 1997-05-09 1998-12-05 김영귀 유료도로 통행료 자동지불장치
KR19990066275A (ko) * 1998-01-23 1999-08-16 홍원표 톨게이트 운용 시스템
KR20000007416A (ko) * 1998-07-03 2000-02-07 박찬호 알에프카드 차량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
KR20000012896A (ko) * 1998-08-03 2000-03-06 박성만 과속방지 기능을 첨부한 톨게이트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990A (ko) 200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5645B1 (ko) 차량 검출 시스템
US7029167B1 (en) Parking meter
US8260533B2 (en) Traffic monitoring system
KR100527016B1 (ko) 통행료 징수 시스템 및 통행료 징수 방법
US4471343A (en) Electronic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CN100375492C (zh) 用于停车报告的方法
ES2296911T3 (es) Sistema y procedimiento para la deteccion y el alamacenaje de enventos.
US7352290B2 (en) Aware patrol vehicle
KR19980032717A (ko) 키없는 원격 엔트리 시스템을 위한 트랜스폰더
CN101536043A (zh) 用汽车电话做道路收费道路资讯泊车收费导航方法和系统
JPH1166470A (ja) 訓練可能な送信装置とその使用方法
IE629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displacement of objects, and in particular of motor vehicles
KR100391120B1 (ko) 차량 정보 인식 시스템
Dhilipkumar et al. Smart toll collection system using ZIGBEE and RFID
WO2003095276A1 (en) Vehicle identification system
KR20040045237A (ko) 차량정보 수집관리장치
GB2432948A (en) Article/vehicle tracking/charging using tags
KR100816853B1 (ko) 이동통신망과 rfid 태그를 연계한 교통법규 위반범칙금 통보 시스템 및 그 방법
Dambe et al. Automatic penalty charging for violation of traffic rules
JP2922966B2 (ja) 車両通過制御装置
JP2001076197A (ja) 料金自動収受および車両管理システム
JP3979179B2 (ja) 赤外線を利用した車両認識装置
JP3525844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路側機
KR100367817B1 (ko) 전자지불용 ic칩이 내장된 광송신장치를 이용한전자지불시스템
JP2003141588A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自動料金収受方法、車載器および自動料金収受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