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850B1 -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인쇄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인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850B1
KR100389850B1 KR1019960054510A KR19960054510A KR100389850B1 KR 100389850 B1 KR100389850 B1 KR 100389850B1 KR 1019960054510 A KR1019960054510 A KR 1019960054510A KR 19960054510 A KR19960054510 A KR 19960054510A KR 100389850 B1 KR100389850 B1 KR 100389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voltage
erasing
transfer drum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4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6036A (ko
Inventor
김남룡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54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850B1/ko
Publication of KR19980036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8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6Eliminating residual charges from a reusable imaging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인쇄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인쇄방법은, 회전되는 전사체와 종이대전수단 사이로 기록지를 진입시키는 진입단계, 종이대전수단에 접촉된 전사체의 일측영역을 소정의 종이대전전압으로 대전시켜 기록지를 전사체에 흡착시키는 흡착단계, 전사체를 회전시켜 전사체에 흡착된 기록지를 감광매체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단계, 감광매체를 통과하는 기록지와 접촉하는 전사체의 타측영역에 전사전압을 인가할 때, 동시에 상기 전사체의 종이대전수단에 접촉된 전사체의 일측영역에 전사전압을 추가로 인가하는 전사전압인가단계, 흡착단계에서 대전된 전사체 일측영역과 전사전압인가단계에서 대전된 전사체의 타측영역을 선별하여 제전하는 제전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인쇄방법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제전효율을 개선하여 고화질의 인쇄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인쇄방법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인쇄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개선된 제전단계를 포함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원고로부터 또는 소정의 소스로부터 취득한 화상정보에 따라 감광매체를 노광하여 감광매체상에 보이지 않는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그 정전잠상이 형성된 부위에 현상제(토너)를 부착시켜 그 정전잠상이 드러나 보이도록 현상하여 그 현상된 화상을 기록지에 전사하고 정착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인쇄하게끔 되어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감광드럼(15)을 노광시키는 노광용 광학계(11)와, 노광된 감광드럼(15)을 현상하는 현상유닛트(12)와, 기록지(20)를 감광드럼(15)으로 이송시키는 전사드럼(14)을 포함한다. 전사드럼(14)에는 그 외주면에 유전체필름(30)이 코팅되며, 그 배면에 전사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전사드럼(14)의 일측으로는 카세트(17)로부터 급지되는 기록지(20)를 전사드럼(14)에 밀착되도록 대전시키는 종이대전롤러(16)를 포함한다. 그리고, 기록지(20)가 감광드럼(15)을 완전히 통과하여 전사가 완료된 후, 종이 제전을 위한 분리코로트론(31), 기록지(20)를 전사드럼(14)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수단(23), 전사가 완료된 기록지(20)에 부착된 토너를 정착시키는 정착기(22), 새로운 인쇄를 위하여 전사드럼(14)상에 잔재하는 토너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장치(18), 전사드럼(14)의 전위를 제거하는 제전롤러(19)등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있어서, 종이대전롤러(16)를 통과하는 기록지(20)는 유전체필름(30)이 종이대전전압(V1)으로 대전되는 것에 의해 유전체필름(30)에 흡착되고 전사드럼(14)과 함께 회전하여 감광드럼(15)으로 이송된다. 한편, 기록지가 감광드럼(15)으로 이송되는 동안에 노광용 광학계(11)에서 출사된 화상정보를 담은 광은 감광드럼(15)을 노광시키고, 현상유닛트(12)의 토너가 이송되는 것에 의하여 현상된다. 이때, 전사드럼(14)에 흡착되어 감광드럼(15)으로 이송된 기록지(20)는 감광드럼(16)을 지나는 시점에서 대전전압기(미도시)에 의해 전사전압(V2)으로 대전되어 전사가 시작된다.
그런데, 기록지(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므로, 기록지(20)의 선단영역(20a)이 감광드럼(15)을 통과하는 동안, 나머지영역(20b)이 종이대전롤러(16)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전사전압(V2)이 인가되면서 감광드럼(15)을 지나는 상기 기록지의 선단영역(20a)은 전사전압(V2)에 의하여 유전체필름(30)과의 전압차가 전사전압(V2)만큼 낮아진다. 따라서, 전사가 완료된 후 다음 인쇄를 위하여 전사드럼(14)상의 전하를 제거하기 위한 제전전압(V3)을 인가하게 되더라도, 전사드럼(14)상의 전압차가 일정하지 않게 되어 균일한 제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다음 인쇄 단계를 올바로 수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전사드럼상의 전하를 균일하게 제전할 수 있는 제전단계를 구비하여 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인쇄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인쇄방법을 플로우 챠트로 나타내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노광용 광학계12 ... 현상유닛트
13 ... 회전체13a ... 현상기
14 ... 전사드럼15 ... 감광드럼
17 ... 카세트18 ... 제전기
19 ... 클리닝장치20 ... 기록지
21 ... 그리퍼22 ... 정착기
23 ... 분리수단30 ... 유전체필름
31 ... 분리코로트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인쇄방법은, 회전되는 전사체와 종이대전수단 사이로 기록지를 진입시키는 진입단계; 상기 종이대전수단에 접촉된 전사체의 일측영역을 소정의 종이대전전압으로 대전시켜 상기 기록지를 상기 전사체에 흡착시키는 흡착단계; 상기 전사체를 회전시켜 전사체에 흡착된 기록지를 감광매체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단계; 상기 감광매체를 통과하는 상기 기록지와 접촉하는 전사체의 타측영역에 전사전압을 인가할 때, 동시에 상기 전사체의 종이대전수단에 접촉된 전사체의 일측영역에 전사전압을 추가로 인가하는 전사전압인가단계; 상기 흡착단계에서 대전된 전사체 일측영역과 상기 전사전압인가단계에서 대전된 전사체의 타측영역을 선별하여 제전하는 제전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전단계는, 상기 흡착단계에서 대전된 전사체 영역을 제1제전전압을 인가하여 제전하는 제1제전단계와, 상기 전사전압인가 단계에서 추가로 전사전압이 인가된 전사체 영역을 상기 제1제전전압에 상기 전사전압을 합하여 된 제2전압을 인가하여 제전하는 제2제전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인쇄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정보에 따른 광을 주사하여 노광시키는 노광용 광학계(11)와, 노광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 예컨대 감광드럼(15)과, 이 감광드럼(15)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유닛트(12)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현상유닛트(12)는 감광드럼(15)과 인접하게 위치되어 회전 작동되는 회전체(13)에 각각 다른 색깔의 토너들이 수용된 복수의 현상기(13a)들이 방사상으로 내장 설치된 구조를 하고 있다. 상기 감광드럼(15)에 인접되게 토너화상이 형성된 감광드럼(15)측으로 기록지(20)를 이송시키는 전사드럼(14)이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유전체필름(30)이 코팅되어 있다. 상기 전사드럼(14)에 코팅된 유전체필름에 전사전압을 인가하는 대전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사드럼(14)에 근접한 위치에는 후술할 그리퍼(21)에 의해 이송된 기록지(20)를 전사드럼(14) 표면에 흡착하기 위하여 전사드럼(14)에 종이대전전압(V1)을 인가하는 종이대전롤러(16)가 설치된다. 상기 종이대전롤러(16)는 전사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도시되지 않은 캠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유전체필름(30)으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상기 감광드럼(15)과 근접된 위치에 카세트(17)로부터 급지되는 기록지(20)를 그리핑하여 전사드럼(14)으로 이송시키는 그리퍼(21)가 설치되고, 전사가 완료된 후, 전사드럼(14)으로부터 기록지(20)를 분리시키는 분리수단(23), 전사가 완료되어 분리된 기록지(20)에 부착된 토너를 정착시키는 정착기(22)가 설치되고, 전사가 완료된 후 전사드럼(14)상에 잔재하는 토너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장치(18)가 설치된다. 그리고, 새로운 인쇄를 위하여 유전체필름(14)에 잔재하는 전하를 제전하기 위하여 제전전압을 인가하는 제전롤러(19)가 설치된다. 이때에도, 상기 제전롤러(19)는 제전이 완료되면 도시되지 않은 캠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유전체필름(30)에서 분리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인쇄방법을 도 2에 도시된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급지 카세트(17)로부터 급지된 기록지(20)가 인출되고 그리퍼(21)에 의해 그리핑되어 전사드럼(14)상의 유전체필름(30)과 접촉되어 회전되는 종이대전롤러(16)로 이송된다(S1∼S3).
다음, 상기 이송된 기록지(20)가 종이대전롤러(16)를 지날 때, 종이대전롤러(15)는 유전체필름(30)을 종이대전전압(V1)으로 대전하여 기록지(20)를 유전체필름(30)에 흡착시킨다(S4),
다음, 전사드럼(14)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유전체필름(30)에 흡착된 기록지(20)는 감광드럼(15)에 접촉되는 전사위치로 이송된다. 한편, 기록지(20)가 감광드럼(15)으로 이송되는 동안에, 노광용 광학계(11)에서 출사된 화상정보를 담은 광은 감광드럼(15)을 노광시키고(S5), 노광된 감광드럼(15)으로 현상이 진행된다(S6).
다음, 상기 전사드럼(14)은 계속 회전하여 기록지(20)를 감광드럼(15)으로 이송시키고, 기록지의 마진(margin)영역이 감광드럼(15)을 지나는 시점에서 전사전압(V2)가 기록지(20)에 인가되어 대전되고 전사가 시작된다(S7). 여기서, 기록지(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므로, 기록지(20)의 선단영역(20a)은 감광드럼(15)을 통과할 때, 나머지영역(20b)은 종이대전롤러(16)를 통과한다. 이때, 상기 감광드럼(15)을 지나는 기록지(20)의 선단영역(20a)에 전사전압(V2)이 인가되므로 상기 선단영역(20a)과 유전체필름(30)과의 전압차가 작아지게 된다. 즉, 전사가 이루어져 감광드럼을 통과한 선단영역(20a)은 유전체필름(30)과의 전압차가 초기 종이대전전압(V1)에서 전사전압(V2)만큼 낮아지는 것이다. 상기 기록지(20)와 유전체필름(30)과의 전압차가 작아지면 정전기력이 약해지고 흡착 효율이 떨어지며 슬라이드현상이 발행한다. 이와 같은 흡착 효율 저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록지(20)의 선단영역(20a)에 전사전압(V2)이 인가될 때, 동시에 종이대전롤러(16)는 접촉되는 유전체필름(30)에 전사전압(V2)을 더 인가한다. 즉, 전사전압(V2)이 인가됨으로써 기록지(20)와 유전체필름(30)과의 전압차의 저하는, 종이대전롤러(16)에 의해 부가되어 인가되는 전사전압(V2)에 의해 보상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사가 이루어진 선단영역(20a)이 유전체필름(30)과 이루는 전압차와, 전사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나머지영역(20b)이 유전체필름(30)과 이루는 전압차를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전압차에 의한 정전기력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 기록지(20)의 나머지영역(20b)이 계속 진행하여 종이대전롤러(16)를 완전히 지나게 되면 종이대전전압이 오프(S8)된다.
다음, 현상드럼(15)에 현상과 기록지(20)로의 전사가 완료(S11)(S11)되면, 이 시점에서 종이대전롤러(16)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유전체필름(30)에서 분리되고(S12), 기록지(20)에 부착된 토너를 정착시키기 위하여 기록지(20)는 정착기(22)로 이송된다.
다음, 전사드럼(14)에 남아있는 전하를 제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는 제전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제전단계는, 종이대전전압(V1)으로만 대전된 전사드럼(14)의 일측영역과, 종이대전전압(V1)에 전사전압(V2)이 부가된 타측영역 선별적으로 제전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상기 일측영역은 제1제전전압(V3)을 인가하여 제전하고, 상기 전사전압(V2)이 더 추가된 전사드럼 타측영역은 상기 제1제전전압(V3)에 전사전압(V2)을 합한 전압을 인가하여 제전하는 것이다(S13).
다음, 전사드럼(14)상에 잔재하는 토너를 클리닝장치(18)로 제거하고, 상기한 제전단계를 완료(S14)한 후, 이 시점에서 도시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제전롤러(19)를 전사드럼(14)의 유전체필름(30)에서 분리(S15)하고, 다음 인쇄를 준비한다(S16).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사드럼에 남아있는 전하를 제전하기 위한 제전단계에서, 종이대전전압으로 대전된 전사드럼 영역과 전사전압이 더 추가되어 인가된 전사드럼 영역을 선별하여서 제전한다. 이와 같은 제전단계를 수행함으로써, 각기 다른 전압으로 대전되어 있는 전사드럼 영역을 고르게 제전할 수 있다.

Claims (2)

  1. 회전되는 전사체와 종이대전수단 사이로 기록지를 진입시키는 진입단계;
    상기 종이대전수단에 접촉된 전사체의 일측영역을 소정의 종이대전전압으로 대전시켜 상기 기록지를 상기 전사체에 흡착시키는 흡착단계;
    상기 전사체를 회전시켜 전사체에 흡착된 기록지를 감광매체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단계;
    상기 감광매체를 통과하는 상기 기록지와 접촉하는 전사체의 타측영역에 전사전압을 인가할 때, 동시에 상기 전사체의 종이대전수단에 접촉된 전사체의 일측영역에 전사전압을 추가로 인가하는 전사전압인가단계;
    상기 흡착단계에서 대전된 전사체 일측영역과 상기 전사전압인가단계에서 대전된 전사체의 타측영역을 선별하여 제전하는 제전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인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단계는, 상기 흡착단계에서 대전된 전사체 영역을 제1제전전압을 인가하여 제전하는 제1제전단계와, 상기 전사전압인가 단계에서 추가로 전사전압이 인가된 전사체 영역을 상기 제1제전전압에 상기 전사전압을 합하여 된 제2전압을 인가하여 제전하는 제2제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인쇄방법.
KR1019960054510A 1996-11-15 1996-11-15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인쇄방법 KR100389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510A KR100389850B1 (ko) 1996-11-15 1996-11-15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인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510A KR100389850B1 (ko) 1996-11-15 1996-11-15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인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036A KR19980036036A (ko) 1998-08-05
KR100389850B1 true KR100389850B1 (ko) 2004-03-19

Family

ID=37421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4510A KR100389850B1 (ko) 1996-11-15 1996-11-15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인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985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036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631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ransfer material carrying device
JPH08194421A (ja) 電子写真記録装置
US5822666A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mechanism for eliminating mechanical shock caused by a cleaning device
JP3197732B2 (ja) 画像形成装置
JP3015233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389850B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인쇄방법
JPH07210015A (ja) 画像形成装置
KR100389848B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기록지 분리 및 미끄러짐 방지방법
JPH09114274A (ja) 転写装置
JPH10171205A (ja) 画像形成装置
JP3036144B2 (ja) 電子写真装置
JP3025070B2 (ja) 電子写真装置
JPH07248705A (ja) 画像形成装置
JPH07210004A (ja) 画像形成装置
JPH02259670A (ja) 電子写真プリンタ
JP3153695B2 (ja) 画像形成装置
JP3413786B2 (ja) 多重転写装置における剥離装置
JP3061709B2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
JP3491862B2 (ja) 画像形成装置
JP2797288B2 (ja) 多色画像形成装置
JPH0548197Y2 (ko)
KR100438692B1 (ko) 전자사진방식인쇄기
JP2852776B2 (ja) 画像形成装置
KR19990001458A (ko) 화상 형성 장치
JPH1091016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