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8921B1 - 배터리 구동 차량용 제어기 - Google Patents

배터리 구동 차량용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8921B1
KR100388921B1 KR10-2000-7005490A KR20007005490A KR100388921B1 KR 100388921 B1 KR100388921 B1 KR 100388921B1 KR 20007005490 A KR20007005490 A KR 20007005490A KR 100388921 B1 KR100388921 B1 KR 100388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switching
mosfet
printed circuit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5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2283A (ko
Inventor
데이비드 밀러
Original Assignee
세브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세브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32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2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9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7Physical arrangements or structures of drive train converter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pulsion motors of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2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DC-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using capacitors as storage or buff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15Non-printed capaci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66Transis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74Dio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5Position of the PCB during processing
    • H05K2203/1572Processing both sides of a PCB by the same process; Providing a similar arrangement of components on both sides; Making interlayer connections from two s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Abstract

배터리 구동 차량 등에 대한 제어기는 다수의 모스펫/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를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PCB)은 기판의 각 측면을 따라 4개의 세트로 배열된 모스펫/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를 가지며, 기판 양면에서의 내부 영역 및 적어도 인쇄회로기판 일면의 외부 영역은 회로 연결을 형성하는 단단한 트랙킹 영역으로 된다. 회로에 접속되는 커넥터 A,B+,B-는 기판의 대각선을 따라 배치되고, 다이오드의 양면과 접속되는 커넥터 A 및 B+는 기판 내부영역의 마주보는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다. 내부 트랙킹 영역은 격리선에 의해 각 회로에 대한 개별 핑거로 분할된다. 각 회로의 모스펫 및 다이오드는 기판의 한 면에 장착되고 다른 면에는 커패시터가 장착되며, 히트 싱크 바는 모스펫과 다이오드 사이에 배치되고 모스펫과 다이오드는 모스펫과 다이오드의 러그와 히트 싱크바의 매칭홀을 통과하는 너트 및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Description

배터리 구동 차량용 제어기{Controller for Battery-Operated Vehicle}
도 1은 배터리 구동 차량의 간략화된 회로이다. 배터리(BAT)는 모스펫 트랜지스터(MOSFET)로 형성된 스위치를 통해 전기자(ARM) 및 계자 코일(FC)로 구성된 모터를 구동한다. 배터리로부터의 주 전류 경로는 메인 퓨즈(F1), 라인 컨텍터 (LCON), 및 모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분기장치(SH)를 포함한다. 전기자 (ARM)는 역 스위치를 형성하는 한 쌍의 컨텍터(SW1 및 SW2)에 의해 전류 경로에 연결된다. 플러그 다이오드(D-P)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자 양단에 연결되고, 프리휠 다이오드(D-FW)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전기자 및 계자 코일) 양단에 연결되며, 커패시터(CAP)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와 모스펫 양단에 연결된다. 모스펫 스위치는 반복적으로 온/오프되는 게이트에 인가되는 PWM 또는 초퍼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온-시간 대 오프-시간의 비(마크/스페이스비)는 모터에 공급되는 평균 전류를 조절하고, 따라서, 공지된 것과 같이 평균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기능적으로, 다이오드(D-FW), 커패시터(CAP), 및 모스펫(MOSFET)은 각각 단일 유닛이다. 그러나, 여러가지 이유로 인하여, 병렬로 연결된 개별 소자의 뱅크에 의해 관련 기능(특히, 전체 전류 처리능력)을 얻는데 바람직하거나 필요하기 때문에 모스펫, 프리휠 다이오드 및 커패시터의 뱅크가 존재한다. 특히, 이러한 뱅크는 서로 일치된다. 즉, 각각이 모스펫, 프리휠 다이오드 및 커패시터로 구성된 모스펫 /프리휠 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의 단일 뱅크로 간주될 수 있다.
각각의 모스펫은 소스와 드레인 사이에서 분기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기 다이오드는 여기서 고려된 원리에 영향을 주지 않고, (존재한다면)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무시될 것이다.
플러그 다이오드(D-P)는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다이오드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 뱅크의 다이오드 수는 모스펫, 프리휠 다이오드, 또는 커패시터의 수와 일치할 필요가 없고, 플러그 다이오드 회로는 모스펫/프리휠 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에 무관하다. 따라서, 플러그 다이오드는 여기서 무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력 제어기(power controller), 예를 들어 배터리 구동 차량의 모터를 위한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제어기는 통상 낮은 전압에서 큰 전류(예를 들면, 24V 또는 48V에서 500A 정도의 전류)를 스위칭하여야 하고, 통상 스위칭 소자 뱅크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제어 회로를 사용한다. 제 1 스위칭 소자는 MOSFET 트랜지스터이고, 제 2 스위칭 소자는 다이오드(즉, 수동 스위칭 소자)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두 스위칭 소자는 MOSFET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큰 전류가 제어되어야 하는 다른 상황하에서, 이러한 제어기가 배터리 구동 차량외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제어기를 포함하는 직렬 모터에 대한 전기 차량 구동 회로의 간략도.
도 2는 도 1의 회로의 일부분의 회로도.
도 3은 소자의 배열을 보여주는 인쇄회로기판 레이아웃의 평면도.
도 4 및 5는 인쇄회로기판의 2가지 측면의 트랙킹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소자가 장착된 기판을 절개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개별적으로 여기된 모터를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는 다른 전기 차량 구동 회로의 간략도.
제어기의 목적
제어기 설계에는 저비용과 작은 사이즈라는 2가지의 주요 목적이 있다. 저비용이 바람직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작은 물리적 크기는 차량의 편리한 위치에 그것을 배치시키는데 있어 유연성 및 자유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스펫의 수는 최소화되어야 한다. 제어되어야 할 전류의 크기가 모터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이것은 개별 모스펫의 전류 용량이 최대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어진 크기에 대하여, 모스펫의 브레이크다운 전압(VBD)이 낮을수록, 그것의 지정된 온-상태 저항이 낮아져, 전류가 높아지므로 주어진 전력 손실을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모스펫의 브레이크 다운 전압은 가능한한 작아야 한다.
모스펫의 브레이크다운 전압은 그것에 걸릴 수 있는 최대 전압보다 뚜렷이 커야한다. 모스펫이 스위치 오프될 때, 배터리 전압이상으로 전압 스파이크 또는 오버스윙이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외부 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배터리 전압 및 브레이크에 의해 발생된 전압은 제외하고, 전압 스파이크 또는 오버스윙은 모스펫이 견뎌야 하는 전압, 즉 최저 브레이크다운 전압을 결정하는 주된 요소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바람직한 실시예의 목적은 이러한 제어기의 사이즈 및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각각이 제 1 스위칭 소자, 제 2 스위칭 소자 및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다수의 스위칭 회로와, 부분 또는 완전 루프 형태로 회로판 내부 영역 주변에 배열된 스위칭 회로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동력 제어기가 제공되며, 기판의 내부 영역과 루프 외부 영역(바깥 영역)은 스위칭 회로에 대한 유일한 연결을 형성하는 단단한 트랙킹 영역이다.
기판 양 면의 내부 영역과 적어도 한 면의 바깥 영역은 회로에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스위칭 회로는 각각이 기판의 각 에지에 평행한 4개 세트로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회로와 접속되는 커넥터는 기판의 대각선을 따라 배치되고, 다이오드의 양 면과의 커넥터는 기판의 내부 영역의 마주보는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다. 회로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트래킹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격리선(isolating line)에 의해 각 회로에 대한 별개의 핑거(fingers)로 분할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제 1 스위칭 소자, 제 2 스위칭 소자 및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는 동력 제어기가 제공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칭 소자는 기판의 일 면에 장착되고 커패시터는 다른 면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히트 싱크(heat sink)는 열을 수용하기 위해 스위칭 소자 사이에 배치된다. 히트 싱크를 통해 스위칭 소자를 서로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수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칭 소자는 바람직하게는 스위칭 소자의 러그와, 막대와 같은 형상일 수 있는 히트 싱크의 매칭홀을 통해 너트 및 볼트로 히트 싱크에 고정될 수 있다. 공통의 히트 싱크에 연이어 배열된 다수의 스위칭 회로가 있을 수 있다. 열 방산 소자,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에 평행한 판이 히트 싱크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제어기가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써만 기술될 것이다.
제어기 구조
도 1을 참조하면, 주 회로 경로는 다수의 주 연결점 B+, S, P, A 및 B-을 포함한다. 본 시스템에서, 모스펫/프리휠 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는 3개의 커넥터 A, B+, 및 B-에 연결된다. 도 2는 모스펫/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의 뱅크의 배열을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커넥터 B+, A, 및 B-는 각 버스에 연결되고, 여러개의 개별 모스펫/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10,11 등)는 이 버스의 양단에 병렬로 연결된다.
모스펫이 스위치 오프될 때 발생된 전압 오버스윙의 크기는 모스펫과 그와 연관된 다이오드 및 커패시터에 의해 형성된 루프의 인덕턴스와, 특히 모스펫-모스펫-커패시터 경로의 인덕턴스를 포함하는 상이한 루프 사이의 상호작용에도 의존한다. 인덕턴스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루프의 크기는 최소화되어야 하고, 상호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스펫/프리휠-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가 가능한한 일치되어야 한다.
본 시스템에서, 모스펫/프리휠 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의 뱅크는 3개의 커넥터 A, B+ 및 B-에 의해 회로의 나머지 부분에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다. (플러그 다이오드(D-P)는 원한다면 인쇄회로기판(PCB)에도 장착될 수 있으며,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다이오드 회로는 모스펫/프리휠 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로부터 멀리 분리된다.) PCB, 즉 모스펫/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의 조합은 실제 제어기로 된다.
도 3은 부품의 배열, 부품에 대한 연결점, 및 커넥터 A,B+ 및 B-의 위치를 나타낸 PCB의 평면도이다. PCB는 거의 정방형이다. 6개의 4 세트가 배열된 24개의 모스펫/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가 있으며, 이 4개 회로 세트는 정방형의 4면(20 내지 23)을 차지한다. MOSFET, CAP 및 D-FW로써 나타낸, 정방형의 우측편에 놓인 제 4 모스펫/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는 모스펫/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를 대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오드는 정방형의 안쪽, 커패시터는 다이오드의 바깥쪽, 모스펫은 커패시터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모스펫은 각각 3개의 단자를 가지며 커패시터는 각각 2개의 단자를 갖는다. 사실 각 다이오드가 단일 케이스에서 다이오드 소자 쌍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다이오드는 3개의 단자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다. PCB의 회로는 2개 다이오드 소자를 병렬로 연결하여 하나의 다이오드를 효과적으로 형성한다.
가장 큰 소자는 커패시터이다. PCB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모스펫은 다이오드와 같이 정방형의 각 면을 따라 실질적으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한다. 정방형의 측면(20 내지 22)에서, 커패시터는 다이오드 및 모스펫과 동일한 길이로 채우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로 배열된다. 측면(23)에서, 커패시터는 직선형이며, 따라서 그와 연관된 다이오드 및 모스펫으로부터 약간 벗어나 있다. 그러나, 다이오드와 모스펫 사이의 간격은 후술되는 이유로 PCB의 4 측면 모두에서 동일하다.
도시된 것과 같이, A 및 B+ 커넥터는 모스펫/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의 4개의 세트 내부 영역의 대향하는 모서리 부분에 B- 커넥터는 외부 모서리에 3개의 커넥터 A, B+ 및 B-가 정방형의 왼쪽 아래를 따라 오른쪽 위 대각선으로 배열된다. 도 4 및 도 5는 PCB의 2 측면의 트랙 패턴을 나타낸다. 도 4는 PCB의 상부 표면을 나타낸다. A 커넥터는 정방형의 내부의 단단한 트랙킹 영역에 연결된다. 도 5는 (상부에서, 즉 PCB를 통하여 보이는) PCB의 하부 표면을 나타낸다. B 커넥터는 정방형의 내부의 단단한 트랙킹 영역에 연결되고, B- 커넥터는 정방형의 외부의 단단한 트랙킹 영역에 연결되며 B- 연결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의 상부 영역의 외부 모서리의 일부분을 사용한다).
커넥터 A, B+, 및 B-에 대한 트랙킹 영역은 도 2에 나타낸 버스를 형성한다. 이러한 트랙킹 영역이 단단하다는 뜻은 그 허용 전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트랙(배선 영역)은 모스펫/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에 흘러야 하는 전류가 적절한 용량을 제공하기 위해 (통상적인 PCB 기술을 사용하여) 충분한 두께의 구리로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제어기는 종래의 버스바(busbar)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모스펫과의 제어 연결, 및 여러개의 보조 회로는 PCB의 상부 표면(도 4)의 외부 에지 주변에 수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장착 볼트, B+ 커넥터 등을 수용하는 여러개의 홀은 제외하고 트랙의 내부 정방형의 중앙 영역은 단단하다. 이 중앙 영역은 격리선에 의해 분리된 6개의 핑거의 4개 세트의 형태로 6개의 모스펫/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의 4개의 세트를 거쳐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상측면(22)의 핑거중 3개는 이러한 핑거들을 분리하는 2개의 격리선(25)과 함께 도면 부호(24)로 도시된다. 부근 모스펫/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 사이의 상호작용을 최소화하는, 각 모스펫/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에 대한 별개의 핑거로의 전도 영역의 이러한 분할은 모스펫/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를 서로 효과적으로 분리한다. 격리선이 내부 정방형의 하부 모서리에서 짧아져서 그 모서리 부분의 내부 트랙킹 영역의 큰 홀 주변의 전류 흐름을 향상시키고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도 5에 나타낸 정방형의 내부의 B+ 트랙킹 영역이 격리선에 의해 분리된 유사한 핑거를 갖지만, 이 핑거는 도 4에 나타낸 B- 트랙킹 영역의 핑거만큼 연장될 필요가 없다. (측면 커패시터의 좌우 지그재그 배치와 일치하는 핑거는 측면(20 내지 22)을 따른 변동 길이이다.) 다른 모스펫/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를 위한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은 정방형의 외부 주변의) A 트랙킹 영역을 분할할 필요는 없다. 기판의 각 모서리 부분에 B- 커넥터가 있도록 원한다면 부가적인 B- 커넥터가 기판의 마주보는(상부 오른쪽) 모서리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단일선, 또는 두 개의 평행선의 선형 레이아웃보다는) 모스펫/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의 거의 정방형의 레이아웃이 양호한 패킹 밀도, 커넥터와 모스펫/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 사이의 짧은 전류 경로, 및 다른 모스펫/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에 대한 전류 경로의 보다 나은 균일성을 제공한다. 정방형의 공통 대각선의 모든 커넥터의 위치, 및 그 대각선을 따른 마주보는 점의 A 및 B+의 위치도, 다른 모스펫/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에 대한 전류 경로의 보다 나은 균일성 및 다른 모스펫/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의 열적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도시한 위치로부터의 단자의 이동은 전류 분담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고 시차 가열(differential heating)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원칙적으로, 레이아웃이 정방형일 필요는 없다. 6각형 또는 원형 레이아웃도 유사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사실상, A와 B+ 커넥터 사이의 전류 경로의 동등화를 위해, 이러한 커넥터를 초점으로 한 타원형 레이아웃이 최적일 수 있다. 그러나, 정방형 레이아웃은 상당한 다른 이점을 가진다.
모스펫 및 다이오드는 고전류를 통하며, 따라서 냉각이 필요하다. 단일 모스펫/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PCB를 절개한 영역인 본 제어기의 냉각 구조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모스펫 및 다이오드는 PCB의 한 면에 장착되고, 커패시터는 다른 면에 장착된다. 각 모스펫/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의 3개의 소자의 물리적 구성은 회로의 물리적 크기, 즉 인덕턴스의 크기를 작게 유지하는데 수월하다.
모스펫 및 다이오드는 크기 및 모양이 유사하며, 각각은 리드 반대의 단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러그(30)를 가진다. (단부에서 보이는) 알루미늄 또는 다른 열전도성 물질의 바(31)는 모스펫과 다이오드 사이에 배치된다. 이 바는 러그 (30)와 정렬되는 홀(도시되지 않음)을 가지며, 너트와 볼트(32)는 이 홀과 러그(30 )를 통하여 배치되고 모스펫과 다이오드가 양호한 열 접촉을 하도록 바(31)와 죄어진다. 알루미늄 또는 다른 열 전도성 물질의 판(33)이 최종적인 열 방산 소자를 형성하기 위해 바(31)의 하부면에 볼트로 고정된다.
각각이 6개의 회로를 포함하는 모스펫/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의 4개의 세트가 있다. 분리 바(31)는 세트의 모든 6개 회로에 공통으로 각 세트에 사용된다. 모스펫과 다이오드 사이의 간격이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바는 모든 세트에 대하여 동일할 수 있다. 각 너트 및 볼트(32)가 바의 각 면에 대체로 대칭적으로 배치된 두 소자(모스펫 및 다이오드)를 결합하기 때문에 바의 홀은 평범하게 구멍을 뚫은 구멍일 수 있다.
명백하게, 회로의 수가 적으면, 이 열 방산 구조는 이러한 회로의 단일 세트 또는 단일 회로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개별적으로 여기된 모터(SEM) 구조를 사용하는 제 2의 전기 차량 구동 회로를 나타낸다. 이 회로는 도 1의 회로와 대체로 유사하다. 그러나, 전기자가 계자 코일에 직렬이고 브리지를 통해 유도되는 대신에, 전기자 및 계자 코일이 병렬이고 계자 코일(F)은 모스펫 브리지(F-BR)를 통해 여기된다. 또한, 전기자 및 계자 코일을 위한 별개의 분기 장치(A-SH 및 F-SH), 및 계자 코일 회로를 위한 커패시터 뱅크(F-CAP)가 있다. 또한, 도 1의 모스펫/다이오드/커패시터 스위칭 회로의 뱅크는 구동 모스펫 (DR-MOSFET), 브레이킹 모스펫(B-MOSFET), 및 커패시터(CAP)로 구성된 모스펫/다이오드/커패시터 스위칭 회로의 뱅크로써 대신한다. 즉, 도 1 회로의 다이오드는 브레이킹 모스펫으로써 대신한다.
이 명세서(청구범위 포함)에 개시 및/또는 도면에 도시된 각 특징은 다른 개시 및/또는 도시된 특징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본 발명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함께 제출된 요약서는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여기에 반복된다.
배터리 구동 차량 등에 대한 제어기는 다수의 모스펫/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를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PCB)은 각 측면을 따르는 4개 회로 세트로 배열된 모스펫/다이오드/커패시터 회로를 가지며, 기판 양면의 내부영역 및 적어도 한 면의 외부 영역은 상기 회로와 연결을 형성하는 단단한 트랙킹 영역이다. 회로와 접속되는 커넥터 A,B+,B-는 기판의 대각선을 따라 배치되고, 다이오드의 양 면과 접속되는 커넥터 A 및 B+는 기판의 내부 영역의 마주보는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다. 내부 트랙킹 영역은 각 회로에 대한 개별 핑거로 격리선에 의해 분할된다.
각 회로의 모스펫 및 다이오드는 기판의 한 면에 장착되고 다른 면에는 커패시터가 장착되며, 히트 싱크 바는 모스펫과 다이오드 사이에 배치되고 모스펫과 다이오드는 모스펫과 다이오드의 러그와 히트 싱크 바의 매칭홀을 통과하는 너트 및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Claims (18)

  1. 인쇄회로기판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 1 스위칭 소자, 제 2 스위칭 소자,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스위칭 회로를 갖는 동력 제어기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칭 소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 면에 장착되고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다른 면에 장착된 동력 제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칭 소자 사이에서 장착되는 제어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에서 발산되는 열을 받아들이도록 상기 스위칭 소자들 사이에 배치되는 히트 싱크를 포함하는 제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를 통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들을 서로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제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위칭 소자는 홀이 형성된 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홀 및 상기 히트 싱크의 매칭 홀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에 연이어 배열된 다수의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는 제어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는 막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평행하게 상기 히트 싱크로부터 연장된 열 방산 소자를 포함하는 제어기.
  9. 제 1 스위칭 소자, 제 2 스위칭 소자, 및 커패시터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스위칭 회로와, 부분 또는 완전 루프 형태로 기판 내부 영역 주변에 배치된 스위칭 회로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동력 제어기로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내부 영역 및 상기 루프 바깥 영역(외부 영역)은 상기 스위칭 회로에 대한 유일한 연결을 형성하는 단단한 트랙킹 영역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제어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양면의 내부 영역과 적어도 한 면의 외부 영역은 상기 스위칭 회로에 연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회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각 에지에 평행한 4개의 세트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회로와 접속되는 커넥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대각선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의 2개 단자와 접속되는 커넥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내부 영역의 마주보는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회로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트랙킹 영역은 격리선에 의해 각 스위칭 회로에 대한 별개의 핑거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칭 소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 면에서 서로 인접하게 장착되고,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다른 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16. 제 1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는 모스펫(MOSFET)이고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는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17. 제 1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모두 모스펫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18. 제 1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배터리 구동 차량 등에 사용하기 위한 저전압 고전류 모터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KR10-2000-7005490A 1997-11-20 1998-11-18 배터리 구동 차량용 제어기 KR1003889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724597.1 1997-11-20
GB9724597A GB2331641B (en) 1997-11-20 1997-11-20 Controller for battery-operated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2283A KR20010032283A (ko) 2001-04-16
KR100388921B1 true KR100388921B1 (ko) 2003-06-25

Family

ID=108224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5504A KR20010032294A (ko) 1997-11-20 1998-11-18 배터리 구동 차량용 제어기
KR10-2000-7005490A KR100388921B1 (ko) 1997-11-20 1998-11-18 배터리 구동 차량용 제어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5504A KR20010032294A (ko) 1997-11-20 1998-11-18 배터리 구동 차량용 제어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41509B1 (ko)
EP (1) EP1032507B1 (ko)
JP (1) JP2001523940A (ko)
KR (2) KR20010032294A (ko)
CA (1) CA2311544C (ko)
DE (1) DE69829991D1 (ko)
GB (2) GB2363008B (ko)
WO (1) WO19990268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63008B (en) * 1997-11-20 2002-02-06 Sevcon Ltd Controller for battery-operated vehicle
JP4057395B2 (ja) * 2002-10-31 2008-03-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ンデンサ取付け構造体及び半導体装置
FR2908564B1 (fr) * 2006-11-13 2011-03-25 Max Power Systeme d'alimentation en energie d'un moteur electrique de propulseur notamment d'etrave pour bateau
CN105743361B (zh) * 2014-12-12 2018-10-09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功率转换器的排布版图
EP3509131A1 (en) * 2018-01-08 2019-07-10 Samsung SDI Co., Ltd. Switchable battery modu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1900A (en) * 1991-02-02 1994-01-25 Hyundai Electronics Industries Co., Ltd. DC motor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39410A1 (de) * 1984-10-27 1986-04-30 Stribel GmbH, 7443 Frickenhausen Einrichtung fuer ein kraftfahrzeug
US4626750A (en) * 1985-09-10 1986-12-02 Curtis Instruments, Inc. Solid state d.c. motor control
GB9007871D0 (en) * 1990-04-06 1990-06-06 Tech Ops Limited Speed control system
JP2809026B2 (ja) * 1992-09-30 1998-10-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インバ−タ装置およびインバ−タ装置の使用方法
DE4412407C2 (de) * 1994-04-11 1996-03-07 Jungheinrich Ag Schaltungsanordnung für den Betrieb mindestens eines batteriebetriebenen Elektromotors in einem Flurförderzeug
JP3100834B2 (ja) * 1994-06-30 2000-10-23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回路装置
JP3222328B2 (ja) * 1994-08-31 2001-10-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源装置
FR2724283B1 (fr) * 1994-09-02 1996-10-18 Schneider Electric Sa Variateur electronique de vitesse
SE516315C2 (sv) * 1994-11-07 2001-12-17 Atlas Copco Controls Ab Styrkretsarrangemang till en drivenhet för en elektrisk motor
US5608617A (en) * 1996-05-03 1997-03-04 Zecal Incorporated High power miniature demand power supply
US5623191A (en) * 1995-04-12 1997-04-22 Allen-Bradley Company, Inc. Circuit board architecture for a motor controller
JP2914242B2 (ja) * 1995-09-18 1999-06-28 日本電気株式会社 マルチチップ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5648892A (en) * 1995-09-29 1997-07-15 Allen-Bradley Company, Inc. Wireless circuit board system for a motor controller
US5907475A (en) * 1996-04-16 1999-05-25 Allen-Bradley Company, Llc Circuit board system having a mounted board and a plurality of mounting boards
KR100433685B1 (ko) * 1996-04-18 2004-10-06 인터내쇼널 렉티파이어 코포레이션 10마력모터제어기용전력트레인분할장치
JP3622362B2 (ja) * 1996-09-19 2005-02-23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1169840A (ja) * 1997-08-22 1999-03-09 Aisin Seiki Co Ltd スイッチングアセンブリ
GB2363008B (en) * 1997-11-20 2002-02-06 Sevcon Ltd Controller for battery-operated vehicle
US6147869A (en) * 1997-11-24 2000-11-14 International Rectifier Corp. Adaptable planar module
US5914860A (en) * 1998-01-20 1999-06-22 Reliance Electric Industrial Company Small volume heat sink/electronic assembly
US6215681B1 (en) * 1999-11-09 2001-04-10 Agile Systems Inc. Bus bar heat sin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1900A (en) * 1991-02-02 1994-01-25 Hyundai Electronics Industries Co., Ltd. DC motor con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29991D1 (de) 2005-06-02
EP1032507B1 (en) 2005-04-27
KR20010032294A (ko) 2001-04-16
CA2311544A1 (en) 1999-06-03
CA2311544C (en) 2004-03-23
GB9724597D0 (en) 1998-01-21
GB2363008A (en) 2001-12-05
EP1032507A1 (en) 2000-09-06
GB2363008B (en) 2002-02-06
WO1999026806A1 (en) 1999-06-03
US6441509B1 (en) 2002-08-27
KR20010032283A (ko) 2001-04-16
GB2331641B (en) 2001-11-07
GB0121698D0 (en) 2001-10-31
GB2331641A (en) 1999-05-26
JP2001523940A (ja) 2001-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1854B2 (en) Semiconductor apparatus, power converter and automobile
US9555828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6785139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6359331B1 (en) High power switching module
EP0697732B1 (en) Driving circuit module
US10600705B2 (en) Electronic switching element and modularly constructed power converter
CN103050283A (zh) 低电感电容器模块和带有低电感电容器模块的电力系统
JP2001267479A (ja) 母線ヒートシンク
US20030157821A1 (e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unit for electric connection box and electric connection box
US7137829B2 (e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unit for electric connection box and electric connection box
US5130918A (en) Electronic power switch
US6778001B2 (en) Semiconductor circuit components for supplying power to a load
US5541453A (en) Power semiconductor module
US6912134B2 (en) Fan control circuit and package
US7057275B2 (en) Device with power semiconductor components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high currents and use of said device
EP0145256B1 (en) Darlington transistor pair units
KR100388921B1 (ko) 배터리 구동 차량용 제어기
EP0994557B1 (de) Umrichter mit niederinduktivem Kondensator im Zwischenkreis
KR100458425B1 (ko) 반도체 소자 및 3상 전력 인버터 모듈 구동 방법
US6459605B1 (en) Low inductance transistor module with distributed bus
JP4170763B2 (ja) 電流をスイッチングする回路に対する回路構造
EP1056318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electrical circuits
JP2000069764A (ja) インバータ装置
JP2788465B2 (ja) 直流電動機の電流制御装置
CA3060965A1 (en) High density low inductance power in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