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998B1 - 다단식 옹벽용 기초블록 및 그를 이용한 다단식 옹벽의 상층부 기초지반 보강공법 - Google Patents

다단식 옹벽용 기초블록 및 그를 이용한 다단식 옹벽의 상층부 기초지반 보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998B1
KR100387998B1 KR10-2000-0036625A KR20000036625A KR100387998B1 KR 100387998 B1 KR100387998 B1 KR 100387998B1 KR 20000036625 A KR20000036625 A KR 20000036625A KR 100387998 B1 KR100387998 B1 KR 100387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undation
retaining wall
block
underground
underground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6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2145A (ko
Inventor
성낙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팸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67494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8799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팸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팸택
Priority to KR10-2000-0036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7998B1/ko
Publication of KR20020002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2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9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Abstract

본발명은 다단식 옹벽의 시공시에 지지력이 취약한 상층부 기초지반을 확실하게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다단식 옹벽공사를 보다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면서도, 다단식 옹벽 전체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켜 주는 다단식 옹벽용 기초블록 및 그를 이용한 다단식 옹벽의 상층부 기초지반 보강공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발명의 다단식 옹벽용 기초블록은 콘크리트를 소재로 하여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받침몸체(10)와; 상기 받침몸체(1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요입 형성되는 PC블록 조립홈부(20)와; 상기 PC블록 조립홈부(20)에 상하로 뚫어지는 복수개의 지중앵커 설치통로(30)들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중앵커 설치통로(30)들은 각각 복수개의 장볼트(4a)들 및 그라우트액(4b)을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직경크기를 가지도록 형성하여서, 그 지중앵커 설치통로(30)들을 관통하여 상층부 기초지반에 장볼트(4a)들이 관입되고 그라우트액(4b)이 충진되는 보강용 지중앵커(4)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발명의 다단식 옹벽용 기초블록을 이용한 다단식 옹벽의 상층부 기초지반 보강공법은 상층부 옹벽(100a)이 시공되어야 할 해당위치의 상층부 바닥을 수평하게 고른 후에 지중앵커 설치통로(30)들을 가지는 기초블록(1)을 일렬로 설치하는 기초블록 설치단계와; 기초블록(1)의 지중앵커 설치통로(30)들을 통하여 상층부 기초지반에 소요깊이로서 수직방향의 굴착공(3)들을 뚫는 굴착공 천공단계와; 기초블록(1)의 지중앵커 설치통로(30)를 관통하여 굴착공(3) 내에 수직방향으로 장볼트(4a)를 관입하고 그라우트액(4b)을 주입하여서 보강용 지중앵커(4)를 상층부 기초지반에 설치하는 보강용 지중앵커의 설치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다단식 옹벽용 기초블록 및 그를 이용한 다단식 옹벽의 상층부 기초지반 보강공법{Block for Con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olidating Base for Containing Wall}
본발명은 대규모의 절취사면을 보호하기 위한 다단식 옹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단식 옹벽의 일부로서 상층부 옹벽이 시공되어야 할 위치에 조성된 기초지반을 보강할 수 있게 하여 주는 다단식 옹벽용 기초블록 및 그를 이용한 다단식 옹벽의 상층부 기초지반 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절취사면의 보호를 위한 옹벽은 주로 현장타설 콘크리트방법에 의존하여 왔으나, 이 현장타설 콘크리트 옹벽공법은 거푸집을 설치하고 해체하는 데 과도한 작업인원이 소요되어서 경제적인 시공을 저해하게 될 뿐만 아니라, 거푸집 내에 타설된 콘크리트 옹벽이 완전히 경화 양생되기까지 거푸집을 존치시키게 되므로 공사기간이 연장되는 등의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현장타설 콘크리트 옹벽공법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최근에는 PC블록을 이용한 옹벽공법이 개발되어서 공사현장에서 폭넓게 활용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PC블록을 이용한 옹벽공법은 절토된 절취사면에 소정의 위치마다 앵커구멍들을 수평하게 천공하는 앵커구멍의 굴착공정과, 수평하게 천공된 앵커구멍들의 내부에 앵커볼트들을 긴장되게 관입하여 양생시키는 앵커볼트 매립공정과, 앵커구멍의 외부로 노출된 앵커볼트의 자유단부에 PC블록을 끼워맞춰서 조립 설치하는 PC블록 설치공정과, PC블록과 절취사면 사이의 틈새에 토사를 채워넣은 후에 다지는 토사 되메우기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서 옹벽시공을 완료하게 되었다.
이 PC블록을 이용한 옹벽공법에 의하면, 절취사면에 수평하게 천공된 앵커구멍을 통하여 긴장되게 설치되는 앵커볼트로서 조립된 PC블록이 뒤메움된 토사와 함께 절취사면 전체를 감싸서 압축하여 주므로, 절취사면을 확실하게 보호하여서 붕괴됨을 방지하여 줄 뿐만 아니라, 거푸집을 조립하고 해체하는 데 따른 불필요한 작업인원을 감축시켜 주며, 거푸집 존치기간 만큼의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PC블록을 이용한 옹벽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도1a의 도시와 같이, 비탈면의 높이가 비교적 높은 지역에서는 상부로부터 절토하여서 된 절취사면(C)의 바닥에 기초블록(140)을 설치하되 그 절취사면(C)에 미리 뚫어진 앵커구멍 (110) 내에 끼워져서 설치된 앵커볼트(120)로서 조립되는 PC블록(130)을 미리 설치한 기초블록(140)위에 차례로 적층시킨 후 토사를 되메우기 하여 상층부 옹벽 (100a)을 시공하고, 선 시공된 상층부 옹벽(100a)의 하부에 절토하여서 된 절취사면(C')의 바닥에 기초블록(140')을 설치하되 그 절취사면(C')에 미리 뚫어진 앵커구멍(110') 내에 끼워져서 설치된 앵커볼트(120')로서 조립되는 PC블록(130')을 미리 설치한 기초블록(140')위에 차례로 적층시킨 후 토사를 되메우기 하여 단차지는 하층부 옹벽(100b)을 시공하게 되었다.
이러한 다단식 옹벽은 도1b의 도시와 같이, 선시공된 상층부 옹벽(100a) 하부의 절토된 절취사면(C')에 하층부 옹벽(100b)을 후시공하게 되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그 하층부 옹벽(100b)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절취사면(C')에 조성되는 상층부 기초지반이 쉽게 붕괴되어서, 상층부 기초블록(140)이 PC블록(130)의 하중을 감당할 수 없는 상태로 되므로, 상층부 옹벽(100a)이 붕괴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단식 옹벽의 시공이 완료되면 그 하층부 옹벽(100b)의 기초블록 (140')은 지지력이 큰 지면 위에 설치되어서 PC블록(130')를 견고하게 지탱하여 줄 수 있지만, 상층부 옹벽(100a)의 기초블록(140)은 절취사면(C')에 조성되어 상대적으로 지지력이 취약한 상층부 기초지반에 설치되기 때문에, PC블록(130)을 견고하게 지탱하여 주지 못하고 내려앉아서 상층부 옹벽(100a)이 심하게 변형되거나 훼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발명은 다단식 옹벽의 시공시에 지지력이 취약한 상층부 기초지반을 확실하게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다단식 옹벽공사를 보다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면서도, 다단식 옹벽 전체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켜 주는 다단식 옹벽용 기초블록 및 그를 이용한 다단식 옹벽의 상층부 기초지반 보강공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1a는 다단식 옹벽의 시공예를 나타낸 것임
도1b는 종래 기초블록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2는 본발명 기초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3는 본발명 기초블록의 시공상태를 일부절결 정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4a, 도4b, 도4c, 도4d는 본발명 다단식 옹벽의 상층부 기초지반 보강공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것임
도5는 본발명 다단식 옹벽의 상층부 기초지반 보강공법이 적용된 시공예를 나타낸 것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기초블록 2, 2' : PC블록 3: 굴착공
4: 지중앵커 4a: 장볼트 4b: 그라우트액
C, C': 절취사면 10: 받침몸체 11: 끼움구멍12: 수평고정핀 20: PC블록 조립홈부 21: 요입경사면22: 접지면 23: 끼움구멍 24: 수직고정판30: 지중앵커 설치통로
본발명도 콘크리트를 소재로 하여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받침몸체(10)와; 상기 받침몸체(1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요입 형성되는 PC블록 조립홈부(20)와; 상기 PC블록 조립홈부(20)에 상하로 뚫어지는 복수개의 지중앵커 설치통로(30)들로 구성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단, 본발명의 다단식 옹벽용 기초블록(1)은 도2 및 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중앵커 설치통로(30)들은 각각 복수개의 장볼트(4a)들 및 그라우트액(4b)을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직경크기를 가지도록 형성하여서, 그 지중앵커 설치통로(30)들을 관통하여 상층부 기초지반에 장볼트(4a)들이 관입되고 그라우트액(4b)이 충진되는 보강용 지중앵커(4)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본발명의 다단식 옹벽용 기초블록(1)은 받침몸체(10)의 상부면에 형성된 PC블록 조립홈부(20)에 각각 복수개의 장볼트(4a)들 및 그라우트액(4b)을 수용할 수 있는 직경크기로서 형성되는 지중앵커 설치통로(30)들을 갖추어서, 그 지중앵커 설치통로(30)들을 통하여 절취사면(C')에 조성되어서 지지력이 취약한 상층부 기초지반에 장볼트(4a)들을 관입하고 그라우트액(4b)을 주입하여서 보강용 지중앵커(4)들을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그 보강용 지중앵커(4)들로서 지지되는 다단식 옹벽용 기초블록(1)이 상층부 PC블록(2)을 견고하게 지탱하여 주도록 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7, 7'은 수평 앵커구멍이고, 8, 8'는 수평 앵커볼트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받침몸체(10)는 콘크리트를 소재로 하여 바닥면과 사방의 수직벽면 및 상부면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단면형상으로서 길게 형성하여서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몸체(10)의 전,후방측 수직벽면에 끼움구멍(11)을 각각 형성하되, 그 각각의 끼움구멍(11)에 결착되는 수평고정핀(12)들을 가져서, 상층부 옹벽(100a)이 시공되어야 할 기초지반에 기초블록(1)들을 일렬로 설치할 때에, 인접한 양측의 기초블록(1)의 끼움구멍(11)을 서로 맞대어서 일치시키고 수평고정핀(12)을 결합시켜서 견실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PC블록 조립홈부(20)는 상기 받침몸체(10)의 상부면 폭방향의 중간에 요입 형성되어서, 상층부 옹벽(100a)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PC블록(2)의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단턱(2a)이 끼워맞춰져서 조립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PC블록 조립홈부(20)는 상기 PC블록(2)의 결합단턱(2a)을 감안하여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21)의 하부에 수평하게 연결되는 접지면(22)을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상광하협의 형상으로서 PC블록(2)의 결합단턱(2a)을 용이하게 끼워서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PC블록 조립홈부(20)의 길이방향 등간격마다 끼움구멍(23)을 형성하되, 그 각각의 끼움구멍(23)에 결착되는 수직고정핀(24)들을 가져서, 상기 PC블록 조립홈부(20)의 끼움구멍(23)과 PC블록(2)의 결합단턱(2a)에 형성된 끼움구멍(2b)을 서로 맞대어서 일치시키고 수직고정핀(24)들로서 결합시켜서, 기초블록(1)과 PC블록(2)을 보다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지중앵커 설치통로(30)들은 상기 PC블록 조립홈부(20)의 양측에 상하로 뚫어서, 그 지중앵커 설치통로(30)를 통하여 상층부 기초지반에 보강용 지중앵커(4)를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지중앵커 설치통로(30)들은 각각 복수개의 장볼트(4a)들 및 그라우트액(4b)을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직경크기를 가지도록 형성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그 지중앵커 설치통로(30)들은 통하여 장볼트(4a)들을 관입하고 그라우트액(4b)을 주입하여서 설치되는 보강용 지중앵커(4)들로서 다단식 옹벽용 기초블록(1)이 지지되게 하여, 절취사면(C')에 조성되어서 지지력이 취약한 상층부 기초지반에 설치되는 다단식 옹벽용 기초블록(1)이 상층부 PC블록(2)을 견고하게 지탱하여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실시되는 본발명의 다단식 옹벽용 기초블록을 이용한 다단식 옹벽의 상층부 기초지반 보강공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a, 도4b, 도4c, 도4d의 도시와 같이, 상층부 옹벽(100a)이 시공되어야 할 해당위치의 상층부 바닥을 수평하게 고른 후에 지중앵커 설치통로(30)들을 가지는 기초블록(1)을 일렬로 설치하는 기초블록 설치단계와; 기초블록(1)의 지중앵커 설치통로(30)들을 통하여 상층부 기초지반에 소요깊이로서 수직방향의 굴착공(3)들을 뚫는 굴착공 천공단계와; 기초블록(1)의 지중앵커 설치통로(30)를 관통하여 굴착공 (3) 내에 수직방향으로 장볼트(4a)를 관입하고 그라우트액(4b)을 주입하여서 보강용 지중앵커(4)를 상층부 기초지반에 설치하는 보강용 지중앵커의 설치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서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층부 기초지반을 보강한 후에는 도5의 도시와 같이, 설치된 기초블록(1) 위에 PC블록(2)들을 조립 설치하여서 상층부 옹벽(100a)을 시공한 후에, 선시공된 상층부 옹벽(100a) 하부의 지면에 기초블록(1')을 설치하고 PC블록(2')들을 조립 설치하여서 하층부 옹벽(100b)을 후시공하여, 상층부 옹벽(100a)과 하층부 옹벽(100b)으로 이루어지는 다단식 옹벽을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층부 옹벽의 기초지반 보강공법에 의하면, 다단식 옹벽시공시에 상층부 옹벽(100a)이 시공되어야 할 기초지반에 기초블록(1)을 설치하고, 그 기초블록의 지중앵커 설치통로(30)들을 통하여 장볼트(4a)들을 관입하고 그라우트액(4b)을 주입하여서 설치된 보강용 지중앵커(4)로서 절취사면(C')에 조성되는 상층부 기초지반을 확실하게 보강하여 줌으로써, 다단식 옹벽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지지력이 취약한 절취사면(C')을 상층부 기초지반으로 하여 설치되는 기초블록(1)이 PC블록 (130)을 견고하게 지탱하여 주어서, 상층부 옹벽(100a)이 붕괴되는 대형의 안전사고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줄 뿐만 아니라, 시공이 완료된 다단식 옹벽의 상층부 기초블록(1)이 PC블록(2)을 견고하게 지탱하여 주지 못하고 내려앉아서 상층부 옹벽 (100a)이 심하게 변형되거나 훼손됨을 방지하여 주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발명은 다단식 옹벽의 시공시에 상층부 옹벽이 설치될 위치의 절취사면에 조성되어서 붕괴위험이 상존하는 기초지반을 확실하게 보강하여 줌으로써, 상층부 옹벽이 붕괴되는 대형의 안전사고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줄 뿐만 아니라, 다단식 옹벽의 시공을 완료한 후에는 상층부 옹벽이 심하게 변형되거나 훼손됨을 방지하여 주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콘크리트를 소재로 하여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받침몸체(10)와; 상기 받침몸체(1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요입 형성되는 PC블록 조립홈부(20)와; 상기 PC블록 조립홈부(20)에 상하로 뚫어지는 복수개의 지중앵커 설치통로(30)들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중앵커 설치통로(30)들은 각각 복수개의 장볼트(4a)들 및 그라우트액(4b)을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직경크기를 가지도록 형성하여서, 그 지중앵커 설치통로(30)들을 관통하여 상층부 기초지반에 장볼트(4a)들이 관입되고 그라우트액(4b)이 충진되는 보강용 지중앵커(4)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옹벽용 기초블록.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블록 조립홈부(20)의 길이방향 등간격마다 끼움구멍(23)을 형성하되, 그 각각의 끼움구멍(23)에 결착되는 수직고정핀(24)들을 갖추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옹벽용 기초블록.
  4. 삭제
  5. 상층부 옹벽(100a)이 시공되어야 할 해당위치의 상층부 바닥을 수평하게 고른 후에 지중앵커 설치통로(30)들을 가지는 기초블록(1)을 일렬로 설치하는 기초블록 설치단계와; 기초블록(1)의 지중앵커 설치통로(30)들을 통하여 상층부 기초지반에 소요깊이로서 수직방향의 굴착공(3)들을 뚫는 굴착공 천공단계와; 기초블록(1)의 지중앵커 설치통로(30)를 관통하여 굴착공(3) 내에 수직방향으로 장볼트(4a)를 관입하고 그라우트액(4b)을 주입하여서 보강용 지중앵커(4)를 상층부 기초지반에 설치하는 보강용 지중앵커의 설치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옹벽용 기초블록을 이용한 다단식 옹벽의 상층부 기초지반 보강공법.
KR10-2000-0036625A 2000-06-29 2000-06-29 다단식 옹벽용 기초블록 및 그를 이용한 다단식 옹벽의 상층부 기초지반 보강공법 KR100387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6625A KR100387998B1 (ko) 2000-06-29 2000-06-29 다단식 옹벽용 기초블록 및 그를 이용한 다단식 옹벽의 상층부 기초지반 보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6625A KR100387998B1 (ko) 2000-06-29 2000-06-29 다단식 옹벽용 기초블록 및 그를 이용한 다단식 옹벽의 상층부 기초지반 보강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2145A KR20020002145A (ko) 2002-01-09
KR100387998B1 true KR100387998B1 (ko) 2003-06-18

Family

ID=19674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6625A KR100387998B1 (ko) 2000-06-29 2000-06-29 다단식 옹벽용 기초블록 및 그를 이용한 다단식 옹벽의 상층부 기초지반 보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799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140B1 (ko) * 2000-12-11 2005-05-03 가산토건 주식회사 Y형 구조 요소 및 이를 이용한 파일 공법 및 토류 구조물구축 방법
KR101151520B1 (ko) 2012-02-16 2012-06-01 조문선 금형틀에 의한 전면에 자연석재판이 장착된 패널의 제조방법
KR101284289B1 (ko) 2013-03-26 2013-07-08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옹벽용 기초블록 결합구조 및 기초블록을 이용한 다단식 옹벽 기초 보강공법
KR20160144111A (ko) 2015-06-08 2016-12-16 초석엔지니어링(주) 옹벽용 기초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의 기초지반 보강공법
KR20170000551U (ko) 2017-01-25 2017-02-08 초석엔지니어링(주) 옹벽용 기초블록
KR101974204B1 (ko) 2019-01-24 2019-05-03 주식회사 셉코 옹벽용 기초보강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885B1 (ko) * 2002-05-23 2005-04-18 이근희 하구나 해안의 연약지반에서의 호안공 시공방법
CN101748749B (zh) * 2009-12-16 2011-05-18 中煤第三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预制装配式预应力地下连续墙及其施工方法
KR101317172B1 (ko) * 2011-09-01 2013-10-15 주식회사 스테어텍엔지니어링 계단식 다단조립이 가능한 직립식 옹벽블럭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시공방법
KR102596812B1 (ko) * 2023-02-21 2023-11-01 조문선 선택적 수분 측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 기반의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768A (ja) * 1992-05-29 1994-03-01 Shimizu Corp 擁壁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0136773Y1 (ko) * 1996-09-11 1999-04-01 정재영 블럭조립식 보강토옹벽공사의 기층용 블럭받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768A (ja) * 1992-05-29 1994-03-01 Shimizu Corp 擁壁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0136773Y1 (ko) * 1996-09-11 1999-04-01 정재영 블럭조립식 보강토옹벽공사의 기층용 블럭받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140B1 (ko) * 2000-12-11 2005-05-03 가산토건 주식회사 Y형 구조 요소 및 이를 이용한 파일 공법 및 토류 구조물구축 방법
KR101151520B1 (ko) 2012-02-16 2012-06-01 조문선 금형틀에 의한 전면에 자연석재판이 장착된 패널의 제조방법
KR101284289B1 (ko) 2013-03-26 2013-07-08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옹벽용 기초블록 결합구조 및 기초블록을 이용한 다단식 옹벽 기초 보강공법
KR20160144111A (ko) 2015-06-08 2016-12-16 초석엔지니어링(주) 옹벽용 기초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의 기초지반 보강공법
KR20170000551U (ko) 2017-01-25 2017-02-08 초석엔지니어링(주) 옹벽용 기초블록
KR101974204B1 (ko) 2019-01-24 2019-05-03 주식회사 셉코 옹벽용 기초보강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2145A (ko) 200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832B1 (ko) 건축물의 기초공사 시공방법
JP2007051541A (ja) 擁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103142B1 (ko) 옹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234513B1 (ko) 자립 기둥과 저항 기초 블럭을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공법
KR100387998B1 (ko) 다단식 옹벽용 기초블록 및 그를 이용한 다단식 옹벽의 상층부 기초지반 보강공법
KR20130006420A (ko) 신설 지하 구조물의 시공 방법
JP4069509B2 (ja) 地下掘削空間外周部における逆打支柱の施工方法
KR20160144111A (ko) 옹벽용 기초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의 기초지반 보강공법
KR20140013497A (ko) 절토지 네일링 보강사면 연결 탑다운 블록식 보강토옹벽 공법
CN214784154U (zh) 一种带地锚的桩托扶壁式挡墙结构
KR100673475B1 (ko) 지하층 골조부의 골조용 피씨거더부재, 이를 이용한 지하층골조부의 조립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00352296A (ja) 地下構造物直下の通路の形成方法
KR20170000551U (ko) 옹벽용 기초블록
KR101999798B1 (ko) 배면케이싱을 구비한 부벽식옹벽 및 그 시공방법
CN111576479A (zh) 一种填土边坡的支挡结构及施工方法
KR101282770B1 (ko) 프리캐스트 직벽형 기초 및 그 시공방법
KR101383817B1 (ko) 역타공법
KR100575107B1 (ko) 옹벽지지를 위한 소일-네일링의 체결구조
KR100562686B1 (ko) 강널말뚝과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한 지하 구조체 및그의 시공방법
KR200404658Y1 (ko) 프리캐스트 부벽식 옹벽
KR101306626B1 (ko) 블럭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축조방법
KR102316014B1 (ko) 옹벽시공구조
KR100401330B1 (ko) 건축용 흙막이 공법
CN219175269U (zh) 一种与主体框架融合的内支撑支护结构
KR102652376B1 (ko) 지지력이 증대되도록 구성되는 차수벽과 어스앵커를 이용한 토류벽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7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2896;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90909

Effective date: 20200102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2208;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00221

Effective date: 2020071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3126;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91007

Effective date: 2020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