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773Y1 - 블럭조립식 보강토옹벽공사의 기층용 블럭받침 - Google Patents

블럭조립식 보강토옹벽공사의 기층용 블럭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773Y1
KR0136773Y1 KR2019960028919U KR19960028919U KR0136773Y1 KR 0136773 Y1 KR0136773 Y1 KR 0136773Y1 KR 2019960028919 U KR2019960028919 U KR 2019960028919U KR 19960028919 U KR19960028919 U KR 19960028919U KR 0136773 Y1 KR0136773 Y1 KR 01367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taining wall
earth retaining
wall construction
reinforced ear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89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5667U (ko
Inventor
정재영
Original Assignee
정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영 filed Critical 정재영
Priority to KR20199600289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773Y1/ko
Publication of KR199800156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6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7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7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목적]
조립식 PC블럭으로 보강토옹벽을 구축할 때 기층 블럭의 신속하고 간편하여 버팀목없이도 튼튼하고 안전하게, 또한 곡선축조도 가능한 블럭조립식 보강토옹벽공사의 기층용 블럭받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성]
PC제이고, 위 아래 모두 평탄한 바닥판(2)의 길이방향의 양쪽 가장자리에 내면이 바닥쪽으로 좁아지게 구배진 벽(3,4)을 세우고, 길이방향의 양단부(5,6)는 바닥판(2)의 폭중심에서 벽(3,4)을 바라보고 예각으로 구배진 빗면으로 구성하며, 일측 단면에는 암접속부(7)를 그리고 타측 단면에는 상기 암접속부(7)에 대응하는 숫접속부(8)를 형성한 블럭조립식 보강토옹벽공사의 기층용 블럭받침이다.

Description

블럭조립식 보강토옹벽공사의 기층용 블럭받침
본 고안은 조립식 PC블럭으로 보강토옹벽을 구축할 때 기층 블럭의 신속하고 간편하여 버팀목없이도 튼튼하고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게 한 블럭조립식 보강토옹벽공사의 기층용 블럭받침에 관한 것이다.
옹벽을 구축할 곳의 지층에다 횡,종방향으로 PC블럭을 조립하여 조적하고, 블럭의 이면에 보강재를 걸어서 지지층의 지반에 고정하여 블럭층을 안정시킨 다음 블럭과 지지층 지반과의 사이의 공간에다 토사를 충진하여 옹벽을 구축하는 이른바 블럭조립식 보강토옹벽공사에 있어서는 맨 아래층의 블럭을 제위치에 바르게 세우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블럭조립식 보강토옹벽공사에 있어서는 대부분 인원, 자재, 장비의 투입, 및 작업준비 관계상 제때에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기는 어렵다. 공사 초기에는 공정이 서서히 진행되다가 작업 여건이 성숙단계에 접어든 중반기부터 작업가속도가 붙어 진행속도가 빠르게 진척되고, 종반에 이르러서는 다시 완만한 속도로 공정이 진행되는 S형의 진행곡선을 이루는 것이 보통이다.
보강토공사는 또, 일반옹벽공사의 공기에 비해서 대략 30% 이상의 공기단축효과가 있다. 공사규모에 따라 차이는 있겠으나 실작업일수는 대략 15-90일이 소요된다. 따라서 실작업일수에 비해 굴착, 기초터파기, 기초콘크리트 타설과 양생시간등 소위 본공사에 필요한 준비기간이 차지하는 비중이 타공법에 비하여 매우 높다. 특히 콘크리트는 2-4일의 양생기간이 필요하므로 철저한 작업계획의 수립이 요구된다.
PC블럭을 포함한 토목용 PC제품은 치수에 대하여 엄격한 허용오차를 요구한다. 조립식 보강토옹벽의 전면판은 판넬형으로 규격화하여 제품의 허용오차에 대하여 엄격한 규정을 준수토록 되어 있다. PC제품의 조립은 기본적으로 치수가 정밀해야 되고(최대 허용오차는 5mm임) 수직 수평을 이뤄야 하며, 뒤틀림도 없고 모든 면이 평탄해야 된다. PC제품이 당접하는 기초 콘크리트도 이에 준해 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현장에서 타설하는 기초콘크리트는 인위적 오차, 기계적 오차, 착오, 작업불성실, 열악한 작업환경등 여러 요인 때문에 시공후 결과치는 설계치와 큰 오차가 생기기 쉽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허용오차를 요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무리하다.
그러나 바닥의 수평도가 일정하지 않고 불균등하며 접촉면이 평탄하지 않은 기초면에는 PC블럭을 놓고 조립하는데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그래서 부득이 기초콘크리트면 위에 스페이서를 이용하든가 재차 몰탈로 면을 수평되게 조정한 후에야 비로소 PC판넬조립이 가능하다.
그렇더라도 밑폭이 좁은 PC블럭은 수평이 조정된 면 위에 놓여지므로 홀로 자립하기가 대단히 어렵다. 그래서 대개는 버팀목으로 PC블럭의 안팎을 받쳐서 안정시킨다. 버팀목을 이용한 버팀작업이 종료되기까지는 크레인 등의 거치장비는 그 작업위치를 떠나선 안된다.
줄기초 터파기의 측면은 굴착작업으로 인하여 연약하거나 또는 흐트러진 상태이기 쉽다. 게다가 버팀목을 칫수대로 자르고 고정목을 박는 소위 버팀목 굄작업도 여간 까다로운 작업이 아니다. 또, PC블럭들이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앞 뒤에 버팀목을 걸치면서 조절하는데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등 이에 따른 간접손실도 막대하였다.
이처럼 블럭조립식으로 시공되는 보강토옹벽의 기초콘크리트공사는 다른 목적으로 시공하는 기초콘크리트보다도 안전사고와 직결되는 아주 중요한 구조물이며, 따라서 전체 공기중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 초기작업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블럭조립식 보강토옹벽공사에서 기초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자재운반, 거푸집의 조립해체, 측량 및 콘크리트 양생등 초기작업의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줄기초터파기후의 판넬조립을 정밀도 높고 신속 간편하며 원활하고 버팀목없이 직립도를 유지할 수 있고, 곡선 축조도 가능한 블럭조립식 보강토옹벽공사용 기층용 블럭받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면과 밑바닥이 나란히 평탄하며 양벽의 내면이 빗면으로 된 U형 단면의 PC제 블럭받침을 제공한다.
이 블럭받침은 길이방향의 양 단부는 바닥판의 폭중심에서 벽을 향해 예각으로 구배진 빗면으로 하고, 일측 단부에는 동일선상에 놓이는 다른 블럭받침과의 접속안정을 위한 암접속부를 갖고 타측 단부에는 동일선상에 놓이는 또 따른 블럭받침과의 접속안정을 위한 숫접속부를 갖는다.
시공시에는, 줄기초터파기를 실시한 지반의 홈에 모래나 드라이몰탈을 타설하여 평탄하게 조정한 후 블럭받침을 들어앉히고 수평을 맞춘다. 곧게 줄기초터파기된 곳에서는 직선상으로 블럭받침을 이어나가고, 곡선홈에서는 단면의 빗면을 살려 그 곡률에 맞게 조립한다. 어느 경우든 블럭받침끼리의 조립은 각 블럭받침이 지니고 있는 암,수 접속부를 활용한다.
블럭받침의 조립시공이 마무리되고 나서 그 위에 PC블럭을 들어앉히고서 그 블럭의 내외면과 상기 블럭받침의 양벽 내면간에 쐐기를 박아 직립시키고, 직립상태에서 쐐기밖기를 중단한다.
쐐기는 블럭의 선후단부 안팎에 하나씩 모두 4개면 충분하고, 쐐기의 힘만으로 블럭의 직립화 및 직립상태의 지속이 가능하므로 버팀목은 필요가 없다. 버팀목은 단지 PC블럭의 2차 전도 예방목적이면 족하다. 이런 식으로 기층블럭을 시공한 후 2층 이상의 블럭조립축조에 돌입하여 보강토옹벽공사를 수행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블럭받침의 사시도.
제2도는 상기 블럭받침을 직선상으로 시공한 경우의 평면도.
제3도는 상기 블럭받침을 곡선상으로 시공한 경우의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블럭받침의 사시도.
제5도는 상기 블럭받침을 직선상으로 시공한 경우의 평면도.
제6도는 상기 블럭받침을 곡선상으로 시공한 경우의 평면도.
제7도는 블럭받침의 변형도.
제8도는 블럭받침을 시공한 그 위에 기층용 블럭을 시공한 경우의 일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블럭받침 2 : 바닥판
3,4 : 벽 5,6 : 단부
7 : 암접속부 8 : 숫접속부
제1도에서, 블럭받침(1)은 PC제이며, 바닥판(2)은 위 아래 모두 평탄하고, 양쪽에 벽(3,4)을 세워 U형 단면을 갖도록 하였다.
벽(3,4)의 내면은 각기 빗면으로 하고, 길이방향의 양 단부(5,6)는 바닥판(2)의 폭중심에서 벽(3,4)을 바라보고 예각으로 구배진 빗면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바닥판(2)의 일측 단부(5)에는 암접속부(7)를, 그리고 타측 단부(6)에는 상기 암접속부(7)에 대응하는 숫접속부(8)를 형성한다. 본도에서는 암접속부(7)는 단면중심에서 바닥판(2)이 깊숙이 들어간 구멍으로 나타나있고 숫접속부(8)는 철근처럼 강인한 금속봉으로 나타나 있다.
암접속부(7)는 숫접속부(8)가 삽입될 때 허물어지지 않고 약간의 유연성을 갖게할 목적으로 질긴 합성수지제 캡을 매입시키면 조립강도를 높일 수 있어 효과적이다.
제2도는 상기 블럭받침(1)을 직선상으로 시공한 경우이고, 제3도는 상기 블럭받침(1)을 곡선상으로 시공한 경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곡선상으로 시공할 시에는 단부(5,6)의 휘는쪽 빗면을 활용한다. 이렇게 하면 주어진 구배범위내에서 곡선상으로 이어나갈 수가 있다. 어떻게하든 암접속부(7)에 숫접속부(8)를 맞춰 끼우는 것으로 간단히 조립된다.
제4도 내지 제7도는 암,수접속부(7,8)의 변형예에 관한 것인데, 제4도 내지 제6도에서 암접속부(7)는 단면의 중앙에 종형 홈을 그리고 숫접속부(8)는 상기 홈에 상응하는 돌기를 블럭받침(1) 제조시 그형틀에서 한꺼번에 형성한 것이다.
제7도는 단부(5,6)의 빗면에 서로 엇물려 걸리는 엇니(9)를 형성한 경우로서, 엇니(9)는 암,수 접속부를 대신한다. 이 밖에도 블럭받침(1)을 직선과 곡선으로 조립가능하고 조립후 인접한 블럭받침끼리 엇물려 안정될 수 있는 구조이면 암,수접속부의 형태는 불문에 부친다.
한편, 어느 실시예이든 직선시공용은 길이가 길어도 되지만 곡선시공용은 곡률의 대소가 있기에 짧게하는 것이 유리하다.
다음으로, 제8도를 참조하여 시공예에 대해 설명한다.
굴착기로 줄기초터파기(a)하고, 거기다 잡석(b)을 넣고 다진 후 소정의 높이까지 모래나 드라이몰탈(c)로 면을 수평되게 조정하고, 기준틀을 설치한다.
블럭받침(1)을 기준선(수평, 수직을 동시에 조절)에 맞춰 몰탈(c)위에 살며시 놓는다. 이어서 이미 설치한 블럭받침(1a)의 암접속부(7)에 다른 블럭받침(1b)의 숫접속부(8)를 끼워서 결합하고 기준선에 맞춰 상기와 같은 요령에 의거 부설한다. 그 이후의 블럭받침도 이같은 요령으로 시공한다.
부설이 끝난 블럭받침(1a,b,…)의 바닥판(2)의 상면 중심에 일정한 간격마다 기층 블럭(가)을 넣고 기층 블럭(가)들 사이에 기본형 블럭(나)을 들어앉힌다. 각 블럭(가)의 접속부 상면에 돌출된 핀(마)에다 그 위에 얹히는 기본형 블럭(나)의 접속부 밑면에 형성된 핀홈(도시생략)을 끼워서 서로가 의지하게 한다.
블럭(가,나)은 기준선에 맞게 기울기(약 2%)를 조정하고 블럭받침(1a,b,…)의 벽(3,4) 내면과 블럭(가,나)의 내,외면 사이에 쐐기(다)를 박아 블럭(가,)나)를 직립시키고 그대로 고정화한다.
저면이 넓고 무거운 블럭받침(1a,b,…)과 블럭(가,나)의 무게중심이 모두 블럭받침(1a,b…)의 폭중심에 위치하므로 블럭(가,나)은 자립이 가능하지만, 기본형 블럭(나)의 안팎을 버팀목(라)으로 버텨주면 전도의 위험으로 부터 안심할 수가 있다.
블럭(가,나)은 특별한 외력을 가하지 않는한 전도될 가능성은 없다. 기존의 블럭조립식 보강토옹벽공사에서 버팀목은 블럭의 기울기를 조정하고 전도를 막기위한 2중목적을 가진데 대하여 본 고안을 이용한 블럭조립식 보강토옹벽공사에 있어서의 버팀목은 2차전도를 예방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그런만큼 시간과 노력을 대폭 절약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를 종합하면 본 고안의 블럭받침은 줄기초터파기 횟수의 최소화가 가능하고 거푸집 조립해체, 측량, 콘크리트타설 및 양생에 따른 기초공사공기의 단축이 가능하다.
줄기초터파기 굴착 즉시 기층 블럭에 대한 시공이 가능하므로 작업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 블럭받침의 규격화로써 기층 블럭의 정밀조립이 가능하고, 블럭받침의 자중과 쐐기를 이용하여 블럭의 기울기조정과 블럭의 자립이 수월한 만큼 초기작업이 신속하다.
또한 곡선 축조도 가능하고, 최소한의 버팀목을 사용하고서도 외력에 의한 블럭의 2차전도가 방지되므로 전도, 부상 등의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가 있다.

Claims (1)

  1. PC제이고, 위 아래모두 평탄한 바닥판(2)의 길이방향의 양쪽 가장자리에 내면이 바닥쪽으로 좁아지게 구배진 벽(3,4)을 세우고, 길이방향의 양 단부(5,6)는 바닥판(2)의 폭중심에서 벽(3,4)을 바라보고 예각으로 구배진 빗면으로 구성하며, 일측 단면에는 암접속부(7)를 그리고 타측 단면에는 상기 암접속부(7)에 대응하는 숫접속부(8)를 형성한 블럭조립식 보강토옹벽공사의 기층용 블럭받침.
KR2019960028919U 1996-09-11 1996-09-11 블럭조립식 보강토옹벽공사의 기층용 블럭받침 KR01367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919U KR0136773Y1 (ko) 1996-09-11 1996-09-11 블럭조립식 보강토옹벽공사의 기층용 블럭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919U KR0136773Y1 (ko) 1996-09-11 1996-09-11 블럭조립식 보강토옹벽공사의 기층용 블럭받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667U KR19980015667U (ko) 1998-06-25
KR0136773Y1 true KR0136773Y1 (ko) 1999-04-01

Family

ID=19466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8919U KR0136773Y1 (ko) 1996-09-11 1996-09-11 블럭조립식 보강토옹벽공사의 기층용 블럭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7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998B1 (ko) * 2000-06-29 2003-06-18 주식회사 팸택 다단식 옹벽용 기초블록 및 그를 이용한 다단식 옹벽의 상층부 기초지반 보강공법
KR101245527B1 (ko) * 2011-09-02 2013-03-20 강남훈 단위블록을 이용한 3차원 입체형상의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콘크리트 궤도 부설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998B1 (ko) * 2000-06-29 2003-06-18 주식회사 팸택 다단식 옹벽용 기초블록 및 그를 이용한 다단식 옹벽의 상층부 기초지반 보강공법
KR101245527B1 (ko) * 2011-09-02 2013-03-20 강남훈 단위블록을 이용한 3차원 입체형상의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콘크리트 궤도 부설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667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2208A (en) Grid-locked block panel system
US3842562A (en) Interlocking precast concrete slabs
US3195312A (en) Method for erecting precast retaining wall
US7845885B2 (en) Building element for making walls using filling material, particularly earth or the like
JP2016515173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擁壁
US4982544A (en) Modul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ealing load-bearing retaining wall
KR20130006420A (ko) 신설 지하 구조물의 시공 방법
US3981109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hoisted floors peripherally of supporting tower
JP4761402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基礎材
US3279135A (en) Composite column for precast concrete structures
AU731399B2 (en) Retaining wall system
US4703599A (en) Concrete masonry footer block foundation system and blocks therefor
US4798036A (en) Concrete masonry footer block foundation system and blocks therefor
US4175363A (en) Footers for supporting monuments for cemeteries and the like
KR0136773Y1 (ko) 블럭조립식 보강토옹벽공사의 기층용 블럭받침
CN111236300B (zh) 道路或桥梁临时挡土墙的预制基座
KR20120131693A (ko)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JPH11125008A (ja) 建築、土木工事用型材
JPH05500249A (ja) 構造ビームを形成するための型枠
US3254490A (en)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0671463B1 (ko) 옹벽용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JP2787806B2 (ja) 土留め擁壁
JP3778392B2 (ja) 基礎ブロック
KR100456219B1 (ko)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US4594825A (en) Cantilevered support member and foundation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