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833B1 - 차량의 비상탈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비상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833B1
KR100387833B1 KR10-2000-0081607A KR20000081607A KR100387833B1 KR 100387833 B1 KR100387833 B1 KR 100387833B1 KR 20000081607 A KR20000081607 A KR 20000081607A KR 100387833 B1 KR100387833 B1 KR 100387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glass window
air bag
window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1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2367A (ko
Inventor
문태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1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7833B1/ko
Publication of KR20020052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2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6Safety nets, transparent sheets, curtains, or the like, e.g. between occupants and glass
    • B60R21/08Safety nets, transparent sheets, curtains, or the like, e.g. between occupants and glass automatically movable from an inoperative to an operative position, e.g. in a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ide panels, e.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29Ign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긴급한 사고시에 차량의 내부에서 외부로 승객이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리창이 고정된 창문틀의 일측 부위에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을 부풀리도록 하는 인플레이터수단과, 상기 인플레이터수단을 작동시키는 조작수단과, 상기 에어백의 작동에 의해 유리창이 상기 창문틀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이탈지지수단으로 구성된 차량의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여,
차량의 사고시에 노약자나 부상이 심한 승객들도 상기 손잡이를 잡아당기는 간단한 조작으로 안전하게 차량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는 탈출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비상탈출장치{A EMERGENCY ESCAPE DEVICE FOR A CAR}
본 발명은 차량의 긴급한 사고시에 차량의 내부에서 외부로 승객이 탈출할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 등과 같은 대형차량에서 승객이 창문을 통해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차량의 사고시에는 연료장치 등의 폭발 염려가 있으므로 실내의 승객은 신속히 차량의 외부로 탈출해야만 그 사상의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사고가 발생한 후에는 차량의 각 부분이 심하게 변형되는 경우가 많아 그 출입구 등이 개방이 곤란한 상태로 되기 쉬워서 이를 통한 승객의 탈출을 기대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와 같은 경우에 대비하여 차량에 망치나 손도끼 등을 구비하여 두고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창문을 부수고 외부로 탈출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들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에 비치된 망치는 사고시에 그 고정된 위치에서 벗어나 분실되기 쉽고 또한, 노약자나 부상이 심한 승객 등과 같은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망치 등을 찾아 이것으로 창문을 부수고 탈출한다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망치 등으로 창문을 부수는 동안 유리파편 등에 의해 오히려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사고시에 노약자나 부상이 심한 승객들도 간단한 조작으로 안전하게 차량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는 탈출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비상탈출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인플레이터수단의 일 예를 도시한 내부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용에 따른 유리창 이탈 상태를 도시한 작용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유리창 2: 창문틀
4: 하우징 5: 에어백
6: 개스발생약 7: 점화관
8: 영구자석 9: 코일
10: 전류발생유닛 11: 조작케이블
12: 손잡이 13: 비상유리창
14: 걸림플랜지 15: 비대칭단면 웨더스트립
16: 웨더스트립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비상탈출장치는 유리창이 고정된 창문틀의 일측 부위에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을 부풀리도록 하는 인플레이터수단과, 상기 인플레이터수단을 작동시키는 조작수단과, 상기 에어백의 작동에 의해 유리창이 상기 창문틀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이탈지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유면 높이 감지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비상탈출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유리창(1)이 고정된 창문틀(2)의 상측 부위에 다수의 볼트(3)로 고정되어 설치된 하우징(4)과,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 전개방향이 유리창(1)을 차량의 외부로 밀어젖히도록 설치된 에어백(5)과, 상기 에어백(5)을 부풀리도록 하는 인플레이터수단과, 상기 인플레이터수단을 작동시키는 조작수단과, 상기 에어백(5)의 작동에 의해 유리창(1)이 상기 창문틀(2)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이탈지지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수단은 상기 에어백(5)의 내측으로 팽창개스를 공급하도록 연소되는 개스발생약(6)과, 상기 개스발생약(6)에 점화시키는 점화관(7)과, 상기 점화관(7)에 자체적으로 발생된 전류를 제공하여 점화시키는 영구자석(8)과 코일(9)로 구성된 전류발생유닛(10)으로 하였는바, 상기 영구자석(8)을 회전자로 하고 그 주위에 코일(9)을 마련하여 고정자로 함으로써, 상기 영구자석(8)의 회전에 따라 상기 코일(9)에서 전류가 발생되어 상기 점화관(7)으로 공급되도록 하였다.
상기 조작수단은 잡아당기면 상기 전류발생유닛(10)의 영구자석(8)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조작케이블(11)과, 상기 조작케이블(11)의 선단에 설치된 손잡이(12)와, 상기 손잡이(12)를 차량의 내벽 일정한 곳에 고정하여 두고 평상시에 손잡이(12)의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설치된 비상유리창(13)으로 구성되었는바, 상기 조작케이블(11)은 상기 영구자석(8) 회전축에 다수회 감겨있어서 그 당겨짐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8)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비상유리창(13)은 용이하게 파손될 수 있는 강도를 가지도록 하여 비상시 이를 제거하고 손쉽게 상기 손잡이(12)를 당길 수 있도록 해야한다.
물론, 상기 비상유리창(13)은 그 소재를 유리로 하지 않고 용이한 파손이 가능한 아크릴판이나 비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지지수단은 상기 유리창(1)의 일단을 창문틀(2)에 지지함에 있어서 차량 내측의 걸림플랜지(14) 높이가 보통의 유리창(1) 지지에 필요한 높이보다 현저히 낮게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5)의 작동에 의해 용이하게 유리창(1)의 지지상태를 해제하도록 하는 비대칭단면 웨더스트립(15)으로 구성하였는바, 상기와 같은 비대칭단면 웨더스트립(15)이 유리창(1)을 지지하는 강도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서는 다른 웨더스트립(16)과 거의 동일한 정도의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고, 다만 그 반대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기 에어백(5)이 팽창하는 정도의 압력이 제공되면 유리창(1)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가 해제될 수 있을 정도로적절히 실험 등에 의해 그 높이가 선정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보통 상태하에서는 상기 손잡이(12)는 비상유리창(13)의 내측에 안전하고 정숙하게 고정되어 실내의 외관을 저하시키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며, 물론, 유리창(1)은 그 둘레에 설치되는 웨더스트립(16) 및 비대칭단면 웨더스트립(15)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차량이 사고가 발생되어 승객이 차량의 내부로부터 탈출해야하는데, 그 출입구 등이 변형되는 등의 이유로 출입구를 통한 탈출이 곤란한 경우에는 승객은 상기 비상유리창(13)을 파손시키고 상기 손잡이(12)를 힘껏 잡아당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12)에 의해 조작케이블(11)이 당겨지면, 상기 전류발생유닛의 영구자석(8)이 회전자가 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코일(9)에는 전류가 발생되어, 결국 상기 점화관(7)이 점화되므로 개스발생약(6)이 발생시키는 개스에 의해 에어백(5)이 팽창되면서 상기 유리창(1)에 압력을 가하는 바, 상기 비대칭단면 웨더스트립(15)이 그 지지상태를 해제하여 유리창(1)이 그대로 창문틀(2)로부터 차량 외부를 향해 떨어져 나가게 되어 승객들은 이 곳을 통해 외부로 탈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사고시에 노약자나 부상이 심한 승객들도 상기 손잡이를 잡아당기는 간단한 조작으로 안전하게 차량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는 탈출통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전한 차량의 구현이 가능하다.

Claims (4)

  1. 유리창이 고정된 창문틀의 일측 부위에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을 부풀리도록 하는 인플레이터수단과, 상기 인플레이터수단을 작동시키는 조작수단과, 상기 에어백의 작동에 의해 유리창이 상기 창문틀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이탈지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비상탈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수단은 상기 에어백의 내측으로 팽창개스를 공급하도록 연소되는 개스발생약과, 상기 개스발생약에 점화시키는 점화관과, 상기 점화관에 자체적으로 발생된 전류를 제공하여 점화시키는 영구자석과 코일로 구성된 전류발생유닛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비상탈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잡아당기면 상기 전류발생유닛의 회전자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조작케이블과, 상기 조작케이블의 선단에 설치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를 차량의 내벽 일정한 곳에 고정하여두고 평상시에 손잡이의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설치된 비상유리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비상탈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지지수단은 상기 유리창의 일단을 창문틀에 지지함에 있어서 차량 내측의 걸림플랜지 높이가 보통의 유리창 지지에 필요한 높이보다 현저히 낮게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의 작동에 의해 용이하게 유리창의 지지상태를 해제하도록 하는 비대칭단면 웨더스트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비상탈출장치.
KR10-2000-0081607A 2000-12-26 2000-12-26 차량의 비상탈출장치 KR100387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607A KR100387833B1 (ko) 2000-12-26 2000-12-26 차량의 비상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607A KR100387833B1 (ko) 2000-12-26 2000-12-26 차량의 비상탈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367A KR20020052367A (ko) 2002-07-04
KR100387833B1 true KR100387833B1 (ko) 2003-06-18

Family

ID=27685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1607A KR100387833B1 (ko) 2000-12-26 2000-12-26 차량의 비상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78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154B1 (ko) * 2007-12-05 2009-09-30 배성준 안전 유리 및 안전 유리장치
KR20160070532A (ko) 2014-12-10 2016-06-2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유리의 공진 주파수를 이용한 유리 파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046B1 (ko) * 2011-11-08 2013-09-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
CN110978965B (zh) * 2019-12-09 2021-02-05 苏州律点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多级便于质检观测的车辆逃生窗模块及其使用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154B1 (ko) * 2007-12-05 2009-09-30 배성준 안전 유리 및 안전 유리장치
KR20160070532A (ko) 2014-12-10 2016-06-2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유리의 공진 주파수를 이용한 유리 파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367A (ko) 200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78085A (en) Concealed pneumatic safety system
KR101356155B1 (ko)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착장치
CA2043984A1 (en) Instrument panel with invisible airbag deployment door
KR20110069391A (ko) 튜브 철도 시스템의 진공 분할 관리 시스템 및 진공 차단막 장치
WO2001032266A3 (en) Gas generator deployed protection apparatus
EP0207584A2 (en) Air bag inflator and remote sensor assembly and coupling device therefor
JP2001510417A (ja) 空の、柔軟なコンテナーを充填する方法、及びコンテナー装置
JPH101005A (ja) 車両用の窓ガラス破壊装置
KR100387833B1 (ko) 차량의 비상탈출장치
KR960017356A (ko) 차량 탑승자 보호를 위한 팽창식 보호 기구가 전개되는 구멍을 덮는 장치
US5421609A (en) Rupture device
JP2007137399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フロントピラートリム構造
CN105235627A (zh) 一种安全气囊装置
JP3240512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ク作動時パワーウィンドウの下降装置
JP2000289457A (ja) 自動車用のウインドウを取り付けるための取付装置
EP0811533B1 (en) Integral projectile squib for air bag inflators
WO2017090827A1 (ko) 차량용 비상탈출 시스템
KR101305046B1 (ko)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
CN106014070B (zh) 客车、公交车侧窗自动启闭或升降装置及其工作方法
JP2008506578A (ja) 膨張要素を備えた安全装置及び膨張要素の膨張方法
CN106427870A (zh) 一种用于汽车前挡风玻璃的安全气囊助力脱离装置
KR102195481B1 (ko) 긴급 탈출용 유리창 타격안내표지 및 그 타격수단
KR100581103B1 (ko) 타이어 주행 보조장치
KR20030041399A (ko) 차량의 창문 파쇄용 비상햄머의 장착구조
JPH0999796A (ja) 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