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518B1 -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518B1
KR100387518B1 KR10-2001-0050254A KR20010050254A KR100387518B1 KR 100387518 B1 KR100387518 B1 KR 100387518B1 KR 20010050254 A KR20010050254 A KR 20010050254A KR 100387518 B1 KR100387518 B1 KR 100387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stopper
vehicle
automatic transmiss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0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6599A (ko
Inventor
전해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0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7518B1/ko
Publication of KR20030016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8Preventing unintentional or unsafe shift, e.g. preventing manual shift from highest gear to reverse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8Preventing unintentional or unsafe shift, e.g. preventing manual shift from highest gear to reverse gear
    • F16H2061/185Means, e.g. catches or interlocks, for preventing unintended shift into reverse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잠금장치는 변속레버의 일측에 형성되어 차량이 후방으로부터 충격을 받으면 상기 변속레버가 중립(N)단에서 주행(D)단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와, 차량의 충격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스토퍼가 변속레버를 구속하도록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므로 차량이 후방으로부터 충격을 받은 후 운전자의 무의식적인 동작으로 악셀레이터를 브레이크로 오인하여 밟아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잠금장치{Locking apparatus of shift lever for 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속레버를 중립단에 놓고 잠시 정지한 상태에서 차량의 후방으로부터 충격을 받아 변속레버가 중립단에서 주행단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변속기는 클러치와 변속기의 조작을 사람대신에 기계가 하도록 자동화한 것으로서, 운전석에 설치된 시프트 레버를 통해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자동변속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연결된 지지대(4)에 레버 회전축(3)의 양단이 힌지연결되어 있고, 상기 레버 회전축(3)에는 변속레버(1)의 하단부가 용접되고 변속표시판(2)을 관통하여 끼워져 있는 상태이다.
즉, 상기 변속레버(1)는 상기 레버 회전축(3)을 축 중심으로 하여 전후 회전함으로써 변속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변속기는 운전자가 시동을 켜 놓은 상태에서 변속레버를중립(N)단에 위치시켜 놓고 있을 때 차체의 후방으로부터 충돌을 받으면 관성력에 의해 상기 변속레버가 중립(N)단에서 주행단으로 이동하게 되어 차량이 운전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주행하게 된다.
이 때, 운전자는 반사적인 행동으로 악셀레이터를 브레이크로 오인하여 밟게 되어 사고를 유발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변속레버가 중립단에서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 차체 후방으로부터 충돌을 받아 상기 변속레버가 주행단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 잠금장치가 도시된 차량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 잠금장치의 작동 상태도가 도시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 잠금장치의 스토퍼를 복원시키는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 변속레버 4 : 이동통로
10 : 스토퍼 20 : 홀더
24 : 후크 30 : 작동부
34 : 질량체 36 : 피니언 로드
38 : 랙로드 45 : 탄성부재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잠금장치는 변속레버의 일측에 형성되어 차량이 후방으로부터 충격을 받으면 상기 변속레버가 중립(N)단에서 주행(D)단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와, 차량의 충격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스토퍼가 변속레버를 구속하도록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 잠금장치가 도시된 차량의 평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 잠금장치의 작동 상태도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 잠금장치의 스토퍼를 복원시키는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어셈블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수동 조작으로 전후 이동되는 변속레버(2)와, 변속 위치에 따라 설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변속레버(2)의 하단부가 전후 이동되는 이동 통로(4)와, 상기 변속레버(2)를 중립(N)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차량이 후방으로부터 충격을 받으면 상기 변속레버(2)가 중립(N)단에 주행(D)단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변속레버(2)의 일측에 형성되어 차량이 후방으로부터 충격을 받으면 상기 변속레버가 중립(N)단에서 주행(D)단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0)와, 차량의 충격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스토퍼(10)가 변속레버(2)를 구속하도록 작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차량의 충돌 후 변속레버(2)의 구속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스토퍼(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수단(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10)는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통로(4)의 일측과 직각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된 가이드(12)에 설치되어 차량이 후방으로부터 충격을 받으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이동통로(4)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12)는 상기 이동통로(4)에서 중립단 바로 옆에 형성된 주행(D)단과 연통되어 차량이 후방으로부터 충격을 받아 중립(N)단에 위치된 변속레버(2)가 주행(D)단으로 이동될 때 상기 이동통로(4)로 돌출되는 스토퍼(10)에 의해 저지됨으로써 운전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변속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다음, 상기 구동수단은 차량이 정상적으로 주행될 때에는 상기 스토퍼(10)의 이동을 구속하는 홀더(20)와, 차량이 후방으로부터 충격을 받으면 상기 홀더(20)로부터 스토퍼(10)의 구속을 해제하는 작동부(30)와, 도면에서 보아 상기 스토퍼(10)의 우측면과 가이드(12) 사이에 탄지되어 있다가 상기 스토퍼(10)의 구속이 해제되면 상기 스토퍼(10)를 이동 통로(4)로 돌출시키는 탄성부재(4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홀더(20)는 차량이 정상적으로 주행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의도대로 변속되기 위해 이동통로(4)에서 전후 이동되는 변속레버(2)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스토퍼(10)를 가이드(12)에 안착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스토퍼(10)에 설치되고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22)와, '??' 모양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탄성부재(22)의 타측에 고정되고 절곡된 부위(23)의 타단이 도면에서 보아 가이드(12)의 후방측면에서 후측방향으로 파여 형성된 단턱(14)에 걸림되는 후크(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22)는 상기 후크(24)의 타단(23)이 단턱(14)에 걸림될 수 있도록 상기 후크(24)를 항상 후측방향으로 밀어준다.
또한, 상기 홀더(20)는 차량이 후방으로부터 충격을 받으면 상기 작동부(30)에 의해 전방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로(4)로 돌출되는 상기 스토퍼(10)와 같이 가이드(12)에서 도면에서 보아 좌측으로 이동되다가 상기 가이드(12)의 후방측면에서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리미터(16)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30)는 차량이 후방으로부터 충격을 받으면 상기스토퍼(10)가 가이드(12)에서 직선 이동되어 이동통로(4)에 돌출됨으로써 변속레버(2)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20)로부터 스토퍼(10)의 구속을 해제하는 장치로서,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32)의 일단에 설치되어 차량이 후방으로부터 충격을 받으면 상기 탄성부재(32)를 압축시키는 질량체(34)와, 상기 질량체(34)와 연결되고 타측에 피니언 기어(35)가 형성되며 차체에 힌지(36a) 결합되어 상기 질량체(34)가 직선 이동됨에 따라 상기 힌지(36a)을 중심으로 요동되는 피니언 로드(36)와, 상기 피니언 로드(36)의 피니언 기어(35)와 물림되는 랙 기어(37)가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 로드(36)가 요동됨에 따라 직선 이동하여 홀더(20)를 도면에서 보아 전방측으로 미는 랙 로드(3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질량체(34)는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라인(31)에서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이동만 가능하고, 상기 질량체(34)의 후방측면과 상기 가이드 라인(31)의 후방측면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32)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질량체(32)는 차량이 후방으로부터 충격을 받으면 순간적으로 차량의 후방방향으로 반력이 생겨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탄성부재(32)를 압축시키고, 상기 질량체(34)의 이동에 의해 상기 피니언 로드(36)가 힌지(36a)을 중심으로 요동되면서 피니언 기어(35)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4)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질량체(34)와 피니언 로드(36), 랙 로드(38)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또한, 상기 피니언 로드(36)의 피니언 기어(35)는 힌지(36a)을 중심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 로드(36)를 중심으로 후방측만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랙 로드(38)는 내부가 빈 중공형이고, 내부에 삽입된 가이드 로드(39)에 의해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된다.
다음, 복귀수단(50)은 차량이 후방으로부터 충격을 받음에 따라 이동통로(4)로 돌출된 스토퍼(10)를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켜 변속레버(2)의 구속을 해제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이동통로(4)에서 상기 스토퍼(10)의 가이드(12)와 연통된 부위와 대향되는 부위에 형성된 리턴 홀(3)에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10)를 이동통로(4)에서 이격시키는 리턴 로드(52)로 구성된다.
상기 리턴 로드(52)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도면에서 보아 좌측단에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도록 십자형의 마크가 형성되고, 상기 리턴 로드(52)의 우측단에는 나사(53)가 형성되어 상기 리턴 로드(52)와 접촉되는 스토퍼(10)의 일측면에 형성된 나사(11)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리턴 홀(3)이 형성된 이동통로(4)의 외측에는 개폐가능한 커버(미도시)가 설치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량이 정상적으로 주행중일 때는 상기 스토퍼(10)는 상기 후크(24)의 타단(23)이 단턱(14)에 걸림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토퍼(10)와 스토퍼(10)의 가이드(12) 사이에 탄지된 탄성부재(45)를 압축시킨 상태로 가이드(12) 내부에 안착되어 있고, 상기 이동통로(4)에 형성된 리턴 홀(3)은 커버가 씌워져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레버(2)를 중립(N)단에 놓고 잠시 정지 중일 때 차량이 후방으로부터 충격이 발생되면 작동부(30)의 가이드 라인(31)에 설치된 질량체(34)가 순간적으로 반력에 의해 차량의 후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피니언 로드(36)가 힌지(36a)을 중심으로 요동되면서 피니언 기어(3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피니언 기어(3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랙 로드(37)가 차량의 전방으로 직선 이동되어 단턱(14)에 걸림되어 있는 후크(24)를 차량의 전방측으로 밀면 스토퍼(10)가 상기 스토퍼(10)와 가이드(12) 사이에 탄지되어 있는 탄성부재(45)에 의해 이동통로(4)로 돌출되어 중립(N)단에서 주행(D)단으로 이동할려는 변속레버(2)를 저지한다.
이 때, 상기 후크(24)는 상기 가이드(12)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리미터(16)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고 이에 따라 스토퍼(10)가 이동통로(4)로 돌출되는 거리도 제한된다.
상기와 같이 차량이 후방으로부터 충격을 받은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차량이 주행될 수 있도록 이동통로(4)의 커버를 열어 리턴 홀(3)을 통해 리턴 로드(52)를 삽입하여 상기 리턴 로드(52)를 밀면 스토퍼(10)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 때, 상기 후크(24) 또한 같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가이드(12)의 단턱(14)에 위치되면 스토퍼(10)에 설치된 탄성부재(22)에 의해 차량의 후측방향으로 힘을 받아 단턱(14)에 걸림되므로 상기 스토퍼(10)가 상기 스토퍼(10)와 가이드(12) 사이에 탄지된 탄성부재(45)에 의해 돌출되는 것이 저지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10)가 복귀될 때 상기 리턴 로드(52)와 나사 결합되면 복귀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이와 같이 스토퍼(10)가 후크(24)에 의해 이동이 구속되면 리턴 로드(52)를 다시 이동통로(4)에서 빼고 리턴 홀(3)에 커버를 씌워 변속레버(2)를 조작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잠금장치는 변속레버의 일측에 형성되어 차량이 후방으로부터 충격을 받으면 상기 변속레버가 중립(N)단에서 주행(D)단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와, 차량의 충격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스토퍼가 변속레버를 구속하도록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므로 차량이 후방으로부터 충격을 받은 후 운전자의 무의식적인 동작으로 악셀레이터를 브레이크로 오인하여 밟아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변속레버의 일측에 형성되어 차량이 후방으로부터 충격을 받으면 상기 변속레버가 중립(N)단에서 주행(D)단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와, 차량의 충격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스토퍼가 변속레버를 구속하도록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변속위치에 따라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 변속레버의 이동통로에서 주행단이 형성된 일측과 직각방향으로 연통된 가이드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잠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차량이 정상적으로 주행될 때에는 상기 스토퍼의 이동을 구속하는 홀더와, 차량이 후방으로부터 충격을 받으면 상기 홀더로부터 스토퍼의 구속을 해제하는 작동부와, 상기 스토퍼의 배면과 가이드 사이에 탄지되어 있다가 상기 스토퍼의 구속이 해제되면 상기 스토퍼를 이동 통로로 돌출시키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잠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일측이 상기 스토퍼에 연결되고 타측이 가이드의 일측면에 형성된 단턱에 걸림되는 후크와, 상기 후크를 단턱이 형성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잠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ㄱ'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잠금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차량이 후방으로부터 충격을 받으면 상기 스토퍼와 같이 이동되다가 상기 가이드의 일측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리미터에 의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잠금장치.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의 일단에 설치되어 차량이 후방으로부터 충격을 받으면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시키는 질량체와, 상기 질량체와 연결되고 타측에 피니언 기어가 형성되며 차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질량체가 직선 이동됨에 따라 피봇을 중심으로 요동되는 피니언 로드와, 상기 피니언 로드의 피니언 기어와 물림되는 랙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 로드가 요동됨에 따라 직선 이동하여 홀더를 단턱이 형성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미는 랙 로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잠금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는 레버 하우징에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질량체와 가이드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잠금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로드는 피봇을 중심으로 반원형의 피니언 기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잠금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랙 로드는 내부가 빈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에 삽입된 가이드 로드에 의해 직선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잠금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이동 통로에 돌출된 다음 상기 가이드와 연통되는 위치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이동통로의 리턴 홀에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를 미는 리턴 로드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잠금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의 리턴 홀은 상기 이동통로의 외측에 개폐가능한 설치된 커버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잠금장치.
KR10-2001-0050254A 2001-08-21 2001-08-21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잠금장치 KR100387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254A KR100387518B1 (ko) 2001-08-21 2001-08-21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254A KR100387518B1 (ko) 2001-08-21 2001-08-21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599A KR20030016599A (ko) 2003-03-03
KR100387518B1 true KR100387518B1 (ko) 2003-06-18

Family

ID=2771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254A KR100387518B1 (ko) 2001-08-21 2001-08-21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75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942B1 (ko) * 2013-10-21 2015-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레버장치
CN103644293B (zh) * 2013-12-05 2016-03-09 王水争 机动车空挡同步自动断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599A (ko) 200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3141A (en) Shift lever and parking brake control
JP5264879B2 (ja) セレクトレバー戻し案内を伴う操作装置
US9631404B2 (en) Vehicle door lock apparatus
US4854193A (en) Key interlock system for automatic floor mounted transmission shifter
JP5323609B2 (ja) 車両自動変速機用シフト装置のシフトロック機構
US4926688A (en) Parking lock for automotive vehicles
EP1069011B1 (en) Vehicle shift lever device
US4270624A (en) Steering column lock inhibitor for a floor mounted transmission control
US5946976A (en) Shifting arrangement for automatic transmission
EP0697549B1 (en) Shift lock arrangement of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lever device
KR20020051033A (ko) 차량의 가속페달장치
JP3938822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EP0100855B1 (en) Remote control device
JPH04221503A (ja) 安全ベルト装置のベルトロック装置
US7090250B2 (en) Steering system with tilt control
KR100387518B1 (ko)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잠금장치
JP2001315545A (ja) 手動変速機の誤操作防止機構
EP0378244A2 (en) Structure of control device for vehicular automatic transmission
GB2267209A (en) Buckle pretensioner for vehicle seat belt systems
US5163707A (en) Automatic seat belt system
JP3751718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入力装置
JP3917215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H07323746A (ja) 変速機用シフトレバー装置のシフトロック装置
KR100440351B1 (ko) 칼럼at용시프트레버장치의시프트록기구
JP2007245927A (ja) 自動車のフード持ち上げ構造及び当該構造を有する自動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