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492B1 -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492B1
KR100387492B1 KR10-2000-0086826A KR20000086826A KR100387492B1 KR 100387492 B1 KR100387492 B1 KR 100387492B1 KR 20000086826 A KR20000086826 A KR 20000086826A KR 100387492 B1 KR100387492 B1 KR 100387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full power
charging
current
constant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6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8696A (ko
Inventor
성기택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6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7492B1/ko
Publication of KR20020058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8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4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초기에 정전압 모드인 풀 파워 옵셋 모드를 NO로 설정하고, 풀 파워 충전 모드를 계측하여 NO이면 풀 파워를 제어한다. 다음, 풀 파워 영역에서 t1만큼 시간이 경과한 후 전이점에 도달했을 때 풀 파워를 계산한다. 다음, 풀 파워 모드에서 제1 정전류 모드로의 전환 여부를 묻는다. 전환하지 않는 경우에는 계속하여 풀 파워 모드로 충전을 하고, 전환할 경우에는 목표 전류값과 전이점에서의 전류값을 비교하여 나타난 차이값이 풀 파워 제어 인정 범위에 드는지 확인하고, 풀 파워 제어 인정 범위에 들면 새로운 풀 파워 옵셋 모드를 설정하여 풀 파워 충전 모드를 계측한다. 한편, 전류값이 풀 파워 제어 인정 범위를 넘어서 전류 최대값이 제1 정전류 모드 최대 전류값과 같아지면 충전지 상황에 따른 제1 정전류 모드 제어를 t2 시간만큼 해주며, 제1 정전류 모드에서 제2 정전류 모드로의 전이점에서의 전류값을 계산하여 제2 정전류 모드 전류 제어를 t3 시간만큼 한다. 이와 같이, 정전압 모드인 풀 파워 모드와 제1 정전류 모드의 전이점에서의 전류차를 구하여 풀 파워 제어 인정 범위에 들면 계속적인 풀 파워 충전을 하고, 들지 않으면 제1 정전류 모드로 전환하여 충전함으로써 충전량을 증가시키고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방법{METHOD OF CONTROLLING BATTERY CHARGING FOR BATTERY CAR}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각 전기 장치를 작동시키는 전원에는 축전지와 충전 장치의 두 계통이 있다. 기관이 구동하는 중에는 충전 장치가 각 전기 장치의 전원으로 작동이 되지만, 기관이 정지하고 있거나 기관이 시동하는 경우에는 충전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없기 때문에 이때 필요한 전원은 축전지로부터 공급을 받게 된다. 축전지에는 1차 전지와 2차 전지가 있으며 자동차에는 재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가 사용된다. 2차 전지에는 납산 축전지, 알칼리 축전지 등이 있으며 자동차용 축전지로는 납산 축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축전지의 충전은 제작 회사에서 출하될 때 전해액이 들어 있지 않은 습식 축전지에 실시하는 초충전과 사용하고있던 축전지가 방전되었을 때 소비된 용량을 보충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보충전으로 구분된다.
보충전 방법에는 크게 보통 충전과 급속 충전으로 나누어지며, 보통 충전에는 정전류 충전, 정전압 충전, 단별 전류 충전 등으로 구분되고, 급속 충전은 축전지가 방전되었을 때 보충전할 시간적 여유가 없는 경우에 보충전 전류의 수배가 되는 큰 전류로 충전하는 방식이다. 정전류 충전 방식은 충전의 시작에서 끝까지 일정한 전류로 충전하는 방법으로 충전 중 전해액의 온도가 일정 온도를 넘지 않아야 하며, 충전 중에 수소 가스와 산소 가스의 혼합 가스가 발생되므로 폭발 방지를 위하여 불꽃을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한다. 정전압 충전 방식은 충전의 시작에서 끝까지 일정한 전압으로 충전하는 방법으로 충전 초기에는 큰 충전 전류가 흐르나 충전이 진행됨에 따라 작은 전류가 흐르게 되어 충전 말기에는 거의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가스의 발생도 거의 없고 능률도 좋으나 충전 초기에 큰 전류가 흘러 축전지의 수명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는 설비를 갖추어야 하는 결점이 있어 보충전에는 이 충전 방식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단별 전류 충전 방식은 충전 중 전류를 단계적으로 감소시켜 충전하는 방법으로 충전 효율을 높이고 전해액의 온도 상승을 적게 하기 때문에 가끔 사용하기도 한다. 단별 충전 방식은 충전 말기에 전류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가스 발생시의 전력 손실을 방지하고 가스에 의한 폭발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축전지를 충전시킬 때 축전지가 완전히 충전되었는데도 계속 충전 전류가 축전지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배터리의 전압은 증가하지 않고 오히려 감소하는 특성인 네가티브 곡선이 있으며, 이로인해 축전지에 많은 열이 발생되어 축전지의 수명과 효율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 충전 방식에 따라 축전지의 충전 상태를 검출하여 충전을 종료하기 위한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축전지 충전 모드에서 정전압/정전류 충전 방식은 초기에는 정전압 모드로 충전을 하고 일정 시간이 흐른 후 정전류 모드로 전환하여 충전을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정전압/정전류 충전 방식은 충전지 측의 출력단 전류량과는 상관없이 모드가 전환되어 충전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충전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방법을 도시한 특성도이고,
도 2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를 위해 먼저, 초기에 정전압 모드인 풀 파워 옵셋 모드를 NO로 설정하고, 풀 파워 충전 모드를 계측하여 NO이면 풀 파워를 제어한다. 다음, 풀 파워 충전 모드에서 전이점에 도달했을 때 풀 파워 모드에서 제1 정전류 모드로의 전환을 묻는다. 다음, 목표 전류값과 전이점의 전류값을 비교하여 그 차이값이 풀 파워 제어 인정 범위에 들면 풀 파워 충전을 하고, 풀 파워 제어 인정 범위를 넘어서 전류 최대값이 제1 정전류 모드 최대 전류값과 같아지면 제1 정전류 모드 제어를 한다. 다음, 제2 정전류 모드 제어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정전압 모드인 풀 파워 모드와 제1 정전류 모드의 전이점에서의 전류차를 구하여 풀 파워 제어 인정 범위에 들면 계속적인 풀 파워 충전을 하고, 들지 않으면 제1 정전류 모드로 전환하여 충전함으로써 충전량을 증가시키고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방법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방법을 도시한 특성도이고, 도 2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초기에 정전압 모드인 풀 파워 옵셋(full power offset) 모드를 NO로 설정하고(S110 단계), 풀 파워 충전 모드를 계측하여(S120 단계) NO이면 풀 파워를 제어한다(S130 단계). 다음, 풀 파워 영역에서 t1만큼 시간이 경과한 후 전이점(transition point)(B)에 도달했을 때 풀 파워를 계산한다(S140 단계). 다음, 풀 파워 모드에서 제1 정전류(constant current 1 : CC1) 모드로의 전환 여부를 묻는다(S150 단계). 전환하지 않는 경우에는 계속하여 풀 파워 모드로 충전을 하고, 전환할 경우에는 목표 전류값인 Ib값과 B점의 전류값을 비교하여 나타난 차이값(ΔI)이 풀 파워 제어 인정 범위에 드는지 확인하고(S160 단계), 풀 파워 제어 인정 범위에 들면 새로운 풀 파워 옵셋 모드를 설정하여(S170 단계) 풀 파워 충전 모드를 계측한다.
한편, 풀 파워 충전 모드 계측하여 YES이고 풀 파워 제어를 계속하거나(S180 단계), 전류값이 풀 파워 제어 인정 범위를 넘어서 전류 최대값이 제1 정전류 모드최대 전류값과 같아지면 충전지 상황에 따른 제1 정전류 모드 제어를 t2 시간만큼 해주며(S190 단계), 제1 정전류 모드에서 제2 정전류 (constant current 2 : CC2) 모드로의 전이점(C)에서의 전류값을 계산하여 제2 정전류 모드 전류 제어를 t3 시간만큼 한다(S200 단계).
도 2에서와 같이, 그래프 Ⅰ에서, A점은 이상적인 풀 파워 충전 제어 시의 전이점이다. 이때, A점에서의 전류값과 Ib값과는 차이가 있어 이때 제1 정전류 모드에서 계속 풀 파워 충전 제어를 해주면 그 값이 너무 커서 배터리에 가스가 발생하여 화재를 일으킬 수 있으며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충전지의 전류 제어는 교류 입력단의 전류 대비 충전지의 온도, 보조 부하인 AC/DC 컨버터 등의 효율에 의해 결정되므로 충전 시마다 배터리에 입력되는 전류량이 다르다. 만일, 그래프 Ⅱ에서와 같이 전류가 충전되어 B점에서 전이되었다면 ΔI는 제1 정전류 모드에서 풀 파워로 충전하여도 되는 값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충전지 측의 출력단 전류량과 상관없이 모드가 전환되어 충전 시간 및 그 충전량이 비효율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정전압 모드인 풀 파워 모드와 제1 정전류 모드의 전이점에서의 전류차를 구하여 풀 파워 제어 인정 범위에 들면 계속적인 풀 파워 충전을 하고, 들지 않으면 제1 정전류 모드로 전환하여 충전함으로써 충전량을 증가시키고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1)

  1. 초기에 정전압 모드인 풀 파워 옵셋 모드를 NO로 설정하는 단계,
    풀 파워 충전 모드를 계측하여 NO이면 풀 파워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풀 파워 충전 모드에서 전이점에 도달했을 때 상기 풀 파워 모드에서 제1 정전류 모드로의 전환을 묻는 단계,
    목표 전류값과 상기 전이점의 전류값을 비교하여 그 차이값이 풀 파워 제어 인정 범위에 들면 풀 파워 충전을 하는 단계,
    상기 풀 파워 제어 인정 범위를 넘어서 전류 최대값이 제1 정전류 모드 최대 전류값과 같아지면 제1 정전류 모드 제어를 하는 단계,
    제2 정전류 모드 제어를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지 자동차의 충전 제어방법.
KR10-2000-0086826A 2000-12-30 2000-12-30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방법 KR100387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6826A KR100387492B1 (ko) 2000-12-30 2000-12-30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6826A KR100387492B1 (ko) 2000-12-30 2000-12-30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8696A KR20020058696A (ko) 2002-07-12
KR100387492B1 true KR100387492B1 (ko) 2003-06-18

Family

ID=27689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6826A KR100387492B1 (ko) 2000-12-30 2000-12-30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74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91195A (zh) * 2020-05-19 2022-01-28 杭州铅锂智行科技有限公司 一种充电器及其充电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5232A (ja) * 1993-04-26 1994-11-08 Sanyo Electric Co Ltd 充電器
US5442274A (en) * 1992-08-27 1995-08-15 Sanyo Electric Company, Ltd. Rechargeable battery charging method
KR960003013A (ko) * 1994-06-16 1996-01-26 전성원 전기 자동차의 밧데리 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960027130A (ko) * 1994-12-08 1996-07-22 전성원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970055060A (ko) * 1995-12-30 1997-07-31 전성원 보상기능을 갖는 충전장치와 3단계 정전류 충전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2274A (en) * 1992-08-27 1995-08-15 Sanyo Electric Company, Ltd. Rechargeable battery charging method
JPH06315232A (ja) * 1993-04-26 1994-11-08 Sanyo Electric Co Ltd 充電器
KR960003013A (ko) * 1994-06-16 1996-01-26 전성원 전기 자동차의 밧데리 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960027130A (ko) * 1994-12-08 1996-07-22 전성원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970055060A (ko) * 1995-12-30 1997-07-31 전성원 보상기능을 갖는 충전장치와 3단계 정전류 충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8696A (ko) 200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11380B2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バッテリーの最大充電及び最大放電電流値算出方法
JP5434195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
JP5434196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
US7911078B2 (en) Dual type vehicle power-supply apparatus
US9174542B2 (en)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US11791501B2 (en) Direct current power supplying system
WO2005010539A1 (en) Battery pack capacity control system
CN102479983A (zh) 用于电动汽车动力电池的充电控制方法及装置
JP2013504300A (ja) 電池に接続された独立型システムの使用方法
WO2014167914A1 (ja) バッテリ充電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充電方法
US20200168929A1 (en) Power sup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316342B2 (en) Direct current power supplying system
CN113335140A (zh) 控制方法、混合动力系统、车辆和可读存储介质
JP6648539B2 (ja) 電力貯蔵システム
US11152634B2 (en) Voltage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fuel cell
CN108879006B (zh) 电池组加热控制策略
JPWO2019026149A1 (ja) 電源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CN109149679B (zh) 提高电动汽车续航里程的方法、电源管理控制器及汽车
KR0183068B1 (ko)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387492B1 (ko)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방법
JPH0530656A (ja) 人工衛星搭載用電源システム
KR20190115966A (ko) 돌입전류 방지용소자와 다이오드 전압강하 특성을 이용한 이동식 카라반을 견인하는 전기자동차의 전원공급 배터리 시스템
WO2019163008A1 (ja) 直流給電システム
JP3900416B2 (ja) エンジン自動停止再始動装置
KR20220096838A (ko)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