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346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346B1
KR100387346B1 KR10-2000-0068368A KR20000068368A KR100387346B1 KR 100387346 B1 KR100387346 B1 KR 100387346B1 KR 20000068368 A KR20000068368 A KR 20000068368A KR 100387346 B1 KR100387346 B1 KR 100387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ail
body portion
terminals
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1762A (ko
Inventor
오설리반마이클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51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3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14)는 상부 열, 중간 열 및 하부 열을 포함하는 적어도 3열의 단자 수용 통로(26)가 사이에서 연장하는 전방면(66) 및 후방면(68)을 구비한 중앙 본체부(69, 76)를 갖는 길이가 긴 유전성 하우징(40)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단자(24A 내지 24C)는 상기 통로(26) 내에 수용되고, 적어도 일부의 상기 상부 열 내의 통로 내에 수용되는 상부 단자(24A)와, 적어도 일부의 중간 열 내의 통로 내에 수용되는 중간 단자(24B)와, 적어도 일부의 하부 열 내의 통로 내에 수용되는 하부 단자(24C)를 포함한다. 모든 단자(24A 내지 24C)들은 전방 접촉부 및 상기 본체부의 후방면을 지나 본체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미부(36A 내지 36C)를 구비한다. 중간 단자(24B)의 미부(36B)는 상부 단자(24A)의 미부(36A)보다 길이가 더 길다. 와이어 조절 플랫폼(40)은 중앙 본체부의 후방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부 단자(24A)의 미부(36A)가 병렬 배치되는 제1 상부면(94A)을 포함한다. 플랫폼의 제2 상부면(94B)은 제1 상부면(94A)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고, 제1 상부면보다 본체부의 후방면으로부터 더 돌출하며, 중간 단자(24B)의 길이가 더 긴 미부(36B)가 병렬 배치된다. 플랫폼은 하부 단자(24C)의 미부(36C)가 병렬 배치되는 하부면(94C)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기술 분야, 특히 복수개의 전기 와이어의 전도체를 커넥터 단자의 접속 부분에 용이하게 접속시키기 위한 와이어 조절 수단을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종류의 입력/출력(I/O) 전기 커넥터는 복수개의 단자 수용 통로가 사이에서 연장하는 전방 결합면 및 후방면을 구비한 길이가 긴 유전성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면들은 길이가 긴 하우징의 대향 단부들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한다. 복수개의 단자는 통로들 내에 수용된다. 각각의 단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접촉부와, 하우징의 후방면을 지나 하우징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미부를 포함한다. 미부는 통상 인쇄 회로 기판 내의 구멍 내부로 삽입되거나, 회로 기판 상의 회로 트레이스에 표면 장착되거나, 또는 별개의 전기 와이어들의 중앙 전도체에 직접 연결된다.
컴퓨터 산업 및 원격 통신 산업과 같은 각종 산업 분야에서 전자 장치의 소형화와 이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가 증가함에 따라, 소형 단자, 특히 단자 미부의 접속에 있어서 상당한 문제점에 직면하여 왔다. 이는 특히 단자의 미부가 (대체로 강성인 회로 기판의 보다 정적인 회로 트레이스에 비해) "느슨하게" 또는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전기 와이어에 접속되는 경우에 더욱 문제가 된다. 작은 단자 미부를 별개의 전기 와이어의 전도체에 접속시키는 것에 대한 이러한 문제점은 단자들이 다수의 공지된 I/O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통상적인 밀접하게 이격된 복수개의 열(row)들로 커넥터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경우에 심각하고 복합적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전기 커넥터 내에 독특한 와이어 조절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단자들이 커넥터 하우징 내에 열들로 장착되는 경우, 복수개의 단자의 미부를 복수개의 전기 와이어의 전도체에 용이하게 접속시키기 위한 와이어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전술된 특징을 갖는 신규하고 개선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개념을 실시하는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
도2는 커넥터의 정면도.
도3은 커넥터의 배면도.
도4는 커넥터의 평면도.
도5는 커넥터의 측면도.
도6은 단자와 접지 블레이드가 전방 하우징 부분에 장착된 상태의, 2부분으로 구성된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
도7은 조립된 상태의 2부분으로 구성된 하우징의 사시도.
도8은 2부분으로 구성된 하우징에 대해 조립된 전방 차폐체를 도시하는 후방 사시도.
도9는 후방 차폐체가 완전히 조립된 상태의, 도8과 유사한 사시도.
도10은 후방 하우징 부분의 전방 사시도.
도11은 후방 하우징 부분의 평면도.
도12는 후방 하우징 부분의 저면도.
도13은 3개의 전기 와이어의 전도체가 3열로 단자의 미부에 접속된 상태의,커넥터를 관통하는 전후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전기 커넥터
16 : 전방 차폐체
17 : 후방 차폐체
18 : 전방 결합면
20 : 후방 접속면
24A 내지 24C : 단자
26 : 단자 수용 통로
28 : 접지 블레이드
32 : 고속 신호 단자
36A 내지 36C : 단자 미부
40 : 유전성 하우징
60 : 유전성 하우징
94A : 제1 상부면
94B : 제2 상부면
94C : 하부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상부 열, 중간 열 및 하부 열을 포함하는 3열의 단자 수용 통로가 사이에서 연장하는 전방면 및 후방면을 구비한 중앙 본체부를 갖는 길이가 긴 유전성 하우징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단자는 통로 내에 수용되고, 적어도 일부의 상부 열의 통로 내에 수용되는 상부 단자들, 적어도 일부의 중간 열의 통로 내에 수용되는 중간 단자들 및 적어도 일부의 하부 열의 통로 내에 수용되는 하부 단자들을 포함한다. 모든 단자들은 전방 접촉부와, 본체부의 후방면을 지나 본체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미부를 구비한다. 중간 단자의 미부는 상부 단자의 미부보다 길다.
본 발명은 중앙 본체부의 후방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와이어 조절 플랫폼(platform)을 고려한다. 플랫폼은 상부 단자의 미부가 병렬 배치되는 제1 상부면을 포함한다. 중간 단자의 길이가 더 긴 미부가 병렬 배치되는 제2 상부면은 제1 상부면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고, 본체부의 후방면으로부터 제1 상부면보다 더 돌출한다. 하부 단자의 미부가 병렬 배치되는 하부면이 제공된다. 3개의 별개의 면들은 단자의 미부를 복수개의 적절한 전기 와이어의 전도체에 용이하게 접속시킨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홈이 미부들이 병렬 배치되어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면 내에 제공된다. 홈들은 전기 와이어와 각각의 전도체들을 단자의 미부들과 용이하게 정렬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와이어 조절 플랫폼은 하부 열의 미부가 상부 열의 미부보다 길이가 긴 2개의 단자 열만을 구비한 커넥터에 사용하기 위하여, 제1 상부면 및 오프셋되어 있고 길이가 더 긴 제2 상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단일 단자 열을 위한 와이어 조절 플랫폼은 와이어의 전도체를 단자의 미부와 정렬시키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신규한 것으로 여겨지는 본 발명의 특징은 특히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발명의 목적 및 장점과 함께,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동일한 요소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될 것이다.
도면을 상세히 참조하여, 먼저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방 차폐체(16)와 후방 차폐체(17)에 의해 실질적으로 둘러싸이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내부 유전성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14)로 실시되어 있다. 각각의 차폐체(16, 17)는 단일편 구조로 스탬핑 가공 및 성형된 전도성 판금 재료이다.
커넥터는 전방 차폐체(16)가 커넥터의 전방 결합면(18)을 형성하고 후방 차폐체(17)가 후방 접속면(20)을 형성하는 입/출력(I/O) 전기 장치이다. 전방면은 실제로 3열의 데이터 전송 단자의 전방으로 돌출하는 접촉부를 둘러싸는 차폐체(16)의 시라우드부(22)에 의해 형성된다. 상부 열의 단자는 도면부호 24A로 도시되어 있고, 중간 열의 단자는 도면 보호 24B로 도시되어 있으며, 하부 열의 단자는 도면 부호 24C로 도시되어 있다. 데이터 전송 단자는 커넥터 하우징 내에서 단자 수용 통로(26, 도2)를 통해 돌출한다. 도1과 도2에서, 단자들은 모든 열의 모든 통로 내부로 삽입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단자 형상 또는 배열은 커넥터의 특정 사양 또는 적용 분야에 의해 결정된다.
전도성 접지 블레이드(28)가 커넥터 하우징 내의 블레이드 수용 통로(30, 도2)를 통해 돌출한다. 한 쌍의 고속 신호 단자(32, 도1 및 도3)는 접지 블레이드(28)의 각각의 대향 측면 상에서 하우징 내의 한 쌍의 단자 수용 통로(34, 도2)를 통해 돌출한다. 고속 신호 단자(32)의 접속 미부(34c, 도4)는 후방 차폐체(17)의 후방으로 돌출한다. 상부 열의 단자(24A)는 차폐체의 후방으로 돌출하는 미부(36A)를 갖는다. 중간 열의 단자(24B)는 후방 차폐체의 후방으로 돌출하는 미부(36B, 도4 및 도5)를 갖는다. 단자의 하부 열(24C)은 후방 차폐체의 후방으로 돌출하는 미부(36C, 도5)를 갖는다. 모든 단자의 모든 미부는 커넥터 하우징의 후방 와이어 조절 플랫폼(40) 상에서 후방 차폐체(17)의 후방으로 돌출한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의 "상부", "하부" 및 "중간"의 용어의 사용은 어떠한 방식으로든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본 명세서에 사용된 이러한 용어들은 본 발명의 명확하고 간명한 이해를 제공하도록 사용된다. 전기 커넥터(14)는 모든 방향으로 사용되고, 이러한 용어들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이 가장 잘 이해되도록 도면에서의 도시 또는 방향에 관하여 사용된다.
전방 차폐체(16)는 이하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을 파지하도록 상부 및 하부 모두 상에서 후방으로 형성된 한 쌍의 탭(42)을 갖는다. 후방으로 형성된 4개의 탭(44)은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 전방 및 후방 차폐체를 고정하도록 전방 차폐체(16)의 기부판(46)으로부터 후방 차폐체(17)의 기부판(48) 위로 절곡된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커넥터(14)는 전방 하우징 또는 하우징 부분(62) 및 후방 하우징 또는 하우징 부분(64)으로 형성된 2부분으로 구성된 유전성 하우징(60)을 포함한다. 전방 하우징 부분은 하우징의 전방 결합 단부(66)를 한정하고, 후방 하우징 부분은 하우징의 후방 단부(68)를 한정한다. 전방 하우징 부분은 데이터 전송 단자(24A 내지 24C)들을 위한 단자 수용 통로(26), 고속 신호 단자(32)를 위한 단자 수용 통로(34), 및 접지 블레이드(28)를 수용하기 위한 블레이드 수용 통로(30)를 포함하는 중앙 본체부(69)를 구비한다. 데이터 전송 단자의 미부(36A 내지 36C)와 신호 단자의 미부(32A)는 전방 하우징 부분(62)의 후방으로 돌출한다. 접지 블레이드(28)의 후방 단부도 또한 전방 하우징 부분의 후방으로 돌출한다. 전방 하우징 부분은, 이하에 설명되는 목적을 위하여 상향 및 하향으로 돌출하는 탭(74)과 함께, 단부 리세스(70)와 상부 및 하부 리세스(72)를 구비한다.
후방 하우징 부분(64)은 하우징 부분들이 화살표 "A"(도6)의 방향으로 조립된 때에 전방 하우징 부분(62)의 후방에 대항하여 맞닿는 중앙 본체부(76)를 포함한다. 후방 하우징 부분은 2개의 하우징 부분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때에 전방 하우징 부분의 리세스(70, 72)들 내부로 각각 이동하는 측면 날개부(78)와 상부 및 하부 날개부(80)를 구비한다. 후방 하우징 부분(64)도 또한 조립된 때에 전방 하우징 부분의 탭과 병렬 배치되는 상향 및 하향으로 돌출하는 탭(82)을 구비한다.
데이터 전송 단자(24A 내지 24C), 고속 신호 단자(32) 및 접지 블레이드(28)가 전방 하우징 부분(62) 내에 장착된 후에 그리고 후방 하우징 부분(64)이 전방 하우징 부분에 대해 병렬 배치된 후에, 커넥터의 전방 및 후방 차폐체는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의 조립을 완료하도록 조립된다. 특히,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부분으로 구성된 하우징(60), 데이터 전송 단자, 고속 신호 단자 및 접지 블레이드의 부조립체는 전방 차폐체(16)에 조립된다. 전방 하우징 부분의 전방 돌출부(84)는 전방 차폐체의 시라우드(22) 내에 적절하게 위치된다. 그리고 나서, 전방 차폐체의 기부판(46)의 상부 및 하부의 탭(42)은 전방 및 후방 하우징 부분의 탭(74, 82, 도6 및 도7) 각각에 대해서 후방 하우징 부분(64)의 상부 및 하부의 리세스(86) 내부로 절곡된다. 그러므로, 전방 차폐체의 탭(42)은 전방 차폐체를 하우징(60)에 대해 보유할 뿐만 아니라 2개의 하우징 부분(62, 64)을 함께 보유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그리고 나서, 후방 차폐체(17)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다. 후방 차폐체는 후방 하우징의 후방으로 연장하는 와이어 조절 플랫폼(40)을 제외하고, 2부분으로 구성된 하우징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시라우드(88)를 갖는다. 시라우드(88)는 전방 차폐체의 후방으로 형성된 탭(42)을 수용하는 개구(90)를 갖는다. 최종 조립 상태에서, 전방 차폐체의 탭(44)은 2개의 차폐체를 함께 그리고 커넥터를 완전히 조립된 상태로 보유하도록 후방 차폐체의 기부판(48)의 배면측 둘레에 형성되거나 절곡된다.
도8 및 도9는 접지 블레이드(28)가 후방 접속 단부에서 접지 블레이드의 각각의 대향측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위치설정 아암(28a)을 갖는 것을 가장 잘 도시한다. 후방 하우징은 고속 신호 단자(32)의 미부(32A)에 접속하기 위한 4개의 동축케이블을 수용하는 4개의 사분면(quadrant)을 형성하도록 위치 설정 아암의 각 쌍 사이에서 돌출하는 분할부(92)를 갖는다.
후방 하우징 부분(64)을 도시하는 도10 내지 도12 및 조립된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8과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단자(24A 내지 24C)의 미부(36A 내지 36C)를 복수개의 별개의 전기 와이어의 전도체에 용이하게 접속시키도록 특정 형상의 와이어 조절 플랫폼(40)을 고려한다. 특히, 와이어 조절 플랫폼은 후방 하우징 부분(64)의 후방면(68)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다. 플랫폼은 상부열의 단자의 미부(36A)가 도8 및 도9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병렬 배치되는 제1 상부 랜드(land) 또는 제1 상부면(94A)을 포함한다. 플랫폼은 제1 상부면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고, 제1 상부면(94A)보다 후방면(68)으로부터 더 돌출하며, 중간 열의 단자의 미부(36B)가 병렬 배치되는 제2 상부 랜드 또는 제2 상부면(94B)을 포함한다.도4와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열의 단자의 미부는 상부 열의 단자의 미부보다 길이가 더 길다. 마지막으로, 플랫폼은 하부열의 단자의 미부(36C)가 병렬 배치되는 하부 랜드 또는 하부면(94C)을 포함한다.
단자의 미부를 복수개의 별개의 전기 와이어 전도체에 보다 더 용이하게 접속시키고 조절하기 위하여, 홈(96A)이 도4, 도8 및 도9와 도11의 후방 하우징 부분의 평면도에서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열의 단자의 미부(36A)와 정렬된 제1 상부면(94A) 내에 형성된다. 홈(96B)은 중간 열의 단자의 미부(36B)와 정렬된 제2 상부면(94B) 내에 형성된다. 홈(96C)은 하부 열의 단자의 미부(36C, 도5)와 정렬된, 도1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은 하부면(94C) 내에 형성된다. 이러한 홈들은 단자들의 각각의 미부와 정렬된 별개의 전기 와이어들의 위치 설정을 용이하게 하여, 와이어의 중심 전도체들이 납땜을 위해 미부 상에서 인접하여 놓이게 할 수 있다.
이는 도13의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데, 도면에는 전기 와이어(98A)가 상부 열의 하나의 단자의 미부(36A)의 상부에서 전도체(100)를 구비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른 와이어(98B)는 중간 열의 하나의 단자(24B)의 미부(36B)의 상부에서 전도체(100)를 구비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3 와이어(98C)는 하부열의 하나의 단자(24C)의 미부(36C) 바로 아래에서 전도체(100)를 구비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별개의 와이어들은 이들의 전도체(100)들을 노출시키도록 제거되는 이들의 외부 절연 외피의 일부분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절연된 와이어들은 전술된 바와 같이, 홈(96A 내지 96C) 내에 위치되어, 이들 각각의 전도체들은 도13에도시된 바와 같이 미부(36A 내지 36C)에 대항하여 위치되어, 전도체들은 단자의 미부에 납땜에 의해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명의 사상 또는 중심 특징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특정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예와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은 주어진 상세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자들이 커넥터 하우징 내에 열들로 장착되는 경우에 복수개의 단자의 미부를 복수개의 전기 와이어의 전도체에 용이하게 접속시키기 위한 와이어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신규하고 개선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부 열, 중간 열 및 하부 열을 포함하는 적어도 3열의 단자 수용 통로가 사이에서 연장하는 전방면 및 후방면을 구비한 중앙 본체부를 갖는 길이가 긴 유전성 하우징,
    적어도 일부의 상기 상부 열 내의 통로 내에 수용되는 상부 단자와, 적어도 일부의 상기 중간 열 내의 통로 내에 수용되는 중간 단자와, 적어도 일부의 상기 하부 열 내의 통로 내에 수용되는 하부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통로들 내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단자, 및
    상부 단자의 미부가 병렬 배치되는 제1 상부면과, 제1 상부면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고 제1 상부면보다 본체부의 후방면으로부터 더 돌출하며 중간 단자의 길이가 더 긴 미부가 병렬 배치되는 제2 상부면과, 하부 단자의 미부가 병렬 배치되는 하부면을 구비하며, 상기 중앙 본체부의 후방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와이어 조절 플랫폼을 포함하며,
    상기 모든 단자들은 전방 접촉부 및 상기 본체부의 후방면을 지나 본체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미부를 구비하며, 상기 중간 단자의 미부는 상기 상부 단자의 미부보다 길이가 더 길고,
    상기 3개의 면들은 단자의 미부들을 복수개의 별개의 전기 와이어의 전도체에 용이하게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와이어와 각각의 전도체를 단자의 미부와 용이하게 정렬시키도록, 병렬 배치되는 미부들과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면 내의 복수개의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부 열 및 하부 열을 포함하는 적어도 2열의 단자 수용 통로가 사이에서 연장하는 전방면 및 후방면을 구비한 중앙 본체부를 갖는 길이가 긴 유전성 하우징,
    적어도 일부의 상기 상부 열 내의 통로 내에 수용되는 상부 단자와, 적어도 일부의 상기 하부 열 내의 통로 내에 수용되는 하부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통로들 내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단자, 및
    상부 단자의 미부가 병렬 배치되는 상부면과, 하부 단자의 미부가 병렬 배치되는 하부면을 구비하며, 상기 중앙 본체부의 후방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와이어 조절 플랫폼을 포함하며,
    상기 모든 단자는 전방 접촉부 및 상기 본체부의 후방면을 지나 본체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미부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면들은 단자의 미부들을 복수개의 별개의 전기 와이어의 전도체에 용이하게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전기 와이어와 각각의 전도체를 단자의 미부와 용이하게 정렬시키도록, 병렬 배치되는 미부들과 정렬되는 상기 면들 내의 복수개의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제1 열 및 제2 열을 포함하는 적어도 2열의 단자 수용 통로가 사이에서 연장하는 전방면 및 후방면을 구비한 중앙 본체부를 갖는 길이가 긴 유전성 하우징,
    적어도 일부의 상기 제1 열 내의 통로 내에 수용되는 제1 단자와, 적어도 일부의 상기 제2 열 내의 통로 내에 수용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통로들 내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단자, 및
    제1 단자의 미부가 병렬 배치되는 제1 상부면과, 제1 상부면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고 제1 상부면보다 본체부의 후방면으로부터 더 돌출하며 제2 단자의 길이가 더 긴 미부가 병렬 배치되는 제2 상부면을 구비하며, 상기 중앙 본체부의 후방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와이어 조절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모든 단자들은 전방 접촉부 및 상기 본체부의 후방면을 지나 본체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미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단자의 미부는 제1 단자의 미부보다 길이가 더 길고,
    상기 2개의 면들은 단자의 미부들을 복수개의 별개의 전기 와이어의 전도체에 용이하게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전기 와이어와 각각의 전도체를 단자의 미부와 용이하게 정렬시키도록, 병렬 배치되는 미부들과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면 내의 복수개의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열의 단자 수용 통로가 사이에서 연장하는 전방면 및 후방면을 구비한 중앙 본체부를 갖는 길이가 긴 유전성 하우징,
    전방 접촉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방면을 지나 본체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미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로들 내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단자, 및
    단자의 미부가 병렬 배치되는 면 및 전기 와이어와 각각의 전도체를 단자의 미부에 용이하게 정렬시키도록 병렬 배치되는 미부들과 정렬되는 상기 면 내의 복수개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본체부의 후방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와이어 조절 플랫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0-0068368A 1999-11-18 2000-11-17 전기 커넥터 KR1003873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42,907 US6217374B1 (en) 1999-11-18 1999-11-18 Electrical connector with wire management system
US9/442,907 1999-11-18
US09/442,907 1999-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762A KR20010051762A (ko) 2001-06-25
KR100387346B1 true KR100387346B1 (ko) 2003-06-12

Family

ID=23758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368A KR100387346B1 (ko) 1999-11-18 2000-11-17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217374B1 (ko)
EP (1) EP1102361A3 (ko)
JP (1) JP3613677B2 (ko)
KR (1) KR100387346B1 (ko)
CN (2) CN100345343C (ko)
MY (1) MY125777A (ko)
SG (1) SG87907A1 (ko)
TW (1) TW49776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0604B2 (ja) * 2002-11-06 2006-07-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6824426B1 (en) * 2004-02-10 2004-11-3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High speed electrical cable assembly
US6910914B1 (en) * 2004-08-11 2005-06-2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Shielded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JP4190015B2 (ja) * 2005-11-02 2008-12-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212499B2 (ja) * 2010-09-08 2013-06-19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5615319B2 (ja) * 2012-04-19 2014-10-2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200473302Y1 (ko) * 2012-10-30 2014-06-25 세메스 주식회사 커넥터
US9368930B2 (en) * 2012-11-13 2016-06-14 Airborn, Inc. Attachable and removable protective rugged hood assembly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use
WO2016197291A1 (zh) * 2015-06-08 2016-12-15 吴伟东 电脑连接器公插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743U (ko) * 1998-02-27 1999-09-27 김재균 분쇄기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0066A (en) * 1968-09-19 1970-12-22 Amp Inc Connector for multiple conductor cable
US3634806A (en) * 1969-10-31 1972-01-11 Thomas & Betts Corp Matched impedance connector
US4083615A (en) * 1977-01-27 1978-04-11 Amp Incorporated Connector for terminating a flat multi-wire cable
US4758182A (en) 1986-10-16 1988-07-19 Shinagawa Jidosha Densen Co. Ltd. Electric connector
US5052104A (en) 1989-10-31 1991-10-01 Tandy Corporation Method for terminating wires of a cable en masse
US5211578A (en) * 1992-05-18 1993-05-18 Amp Incorporated Connector housing assembly for discrete wires
US5295871A (en) * 1992-05-29 1994-03-22 Thomas & Betts Corporation High density cable connector assembly
US5267857A (en) * 1993-02-12 1993-12-07 A-Dec, Inc. Brightness control system for dental handpiece light
US5267875A (en) 1993-04-27 1993-12-07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5267874A (en) 1993-04-28 1993-12-07 The Whitaker Corporation Connector with wire guiding fixture
JP3396294B2 (ja) * 1994-05-31 2003-04-14 富士通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
US5554055A (en) 1994-08-31 1996-09-10 Thomas & Bett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employing dual locking contact retention
GB9420935D0 (en) * 1994-10-17 1994-11-30 Amp Gmbh Multi-position coaxial cable connector
US5643010A (en) 1995-12-12 1997-07-0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High pin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JP2000504319A (ja) 1996-01-19 2000-04-11 イーライ・リリー・アンド・カンパニー 肥満症タンパク質製剤
US5722861A (en) * 1996-02-28 1998-03-03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s of varying lengths
US5692928A (en) * 1996-05-10 1997-12-02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s with improved retention means
JP3262211B2 (ja) * 1997-01-14 2002-03-04 住友電装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
US5980308A (en) * 1998-05-13 1999-11-09 Hu; Yu-Tung Female socket of a connector
CN1248079A (zh) * 1998-09-15 2000-03-22 住友电装株式会社 伸缩式电气接线盒结构及其装配和连接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743U (ko) * 1998-02-27 1999-09-27 김재균 분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762A (ko) 2001-06-25
CN1983732A (zh) 2007-06-20
JP2001176578A (ja) 2001-06-29
MY125777A (en) 2006-08-30
CN100345343C (zh) 2007-10-24
CN100502154C (zh) 2009-06-17
CN1297263A (zh) 2001-05-30
EP1102361A3 (en) 2001-11-21
US6217374B1 (en) 2001-04-17
SG87907A1 (en) 2002-04-16
EP1102361A2 (en) 2001-05-23
TW497765U (en) 2002-08-01
JP3613677B2 (ja) 200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6837B1 (ko) 커넥터 조립체
US6712646B2 (en) High-speed transmission connector with a ground structure having an improved shielding function
US7744385B2 (en) High speed cable termin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435132B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grounding member
US5380223A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US6231355B1 (en) Matched impedance connector having retention device on a grounding plane
US6764342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balanced transmission cables with module for positioning cables
US6551140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ifferential pair terminals with equal length
US7632155B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termination disposition
JP5459724B2 (ja) マルチプル同軸コネクタ
US722929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grounding path
US6592407B2 (en) High-speed card edge connector
KR20060135964A (ko) 저 인덕턴스 차폐 커넥터
JPH11224742A (ja) モジュラコネクタ
EP0971451B1 (en) Modular high speed connector
US5415566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68548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grounding terminals
US4458967A (en) Connector for shielded flat cable
KR100387346B1 (ko) 전기 커넥터
WO1999026321A1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JP3433254B2 (ja) ワイヤ操作機構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2001015187A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US11916341B2 (en) Direct plug orthogonal board to board connector system
US7291044B1 (en) Cable assembly with wire spacer
US20110281458A1 (en)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terminating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