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142B1 - 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142B1
KR100387142B1 KR1019960051504A KR19960051504A KR100387142B1 KR 100387142 B1 KR100387142 B1 KR 100387142B1 KR 1019960051504 A KR1019960051504 A KR 1019960051504A KR 19960051504 A KR19960051504 A KR 19960051504A KR 100387142 B1 KR100387142 B1 KR 100387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icrocomputer
circuit
code
identif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1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1413A (ko
Inventor
사다오 고쿠부
히사시 아오키
다카시 미즈노
신이치 고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970031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1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1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ransceiver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화성능의 비약적인 향상을 하드웨어 구성의 복잡화나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일 없이 실현함과 아울러 송신신호의 암호화 방법이나 그 암호코드의 포맷 등의 변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그니션키의 키그립에 내장된 송수신 장치(2)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3)는 공진회로부(7)가 자동차측의 송수신ECU로부터의 반송파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그 반송파 신호를 정류/평활하는 전원회로(12)의 출력에 의하여 능동상태로 변환된다. 검파회로(13)는 공진회로부(7)를 통하여 상기 반송파 신호와 함께 공급되는 질문신호를 판별하여 상기 마이크로컴퓨터(3)에 공급한다. 능동상태로 변환된 마이크로컴퓨터(3)는 질문신호를 수신한 때에 EEPROM(4)중의 식별코드, 연산용 코드 및 함수식에 의거한 함수연산에 의하여 암호코드를 작성함과 아울러 변조회로(6)내의 FET(6a)를 상기 암호코드에 따른 모드로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암호화된 상태의 응답신호를 송수신ECU측으로 회신하는 제어를 한다.

Description

송수신 장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력신호 및 질문신호가 주어지는 때에 응답신호를 회신하는 트랜스폰더 기능을 갖춘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예를 들어 자동차에 있어서, 도난에 대한 보안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이그니션키(ignition key)에 대하여 전기적인 식별코드(識別 code)를 이용하는 전자키(電子 key)로서의 기능을 부가하는 것이 있다. 이 경우에 이그니션키의 키그립에 송수신 장치를 내장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상기 송수신 장치는 외부로부터 전력신호 및 질문신호가 주어질 때에 미리 기억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응답신호를 회신하는 트랜스폰더 기능을 갖춘 구성으로 된다.
이 경우, 상기 전자키 기능을 위하여 자동차측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그니션키가 엔진 시동용의 키구멍에 꼽혀진 상태에서 상기 전력신호 및 질문신호를 송신하고 당해 이그니션키측의 송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그 응답신호중의 식별코드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식별코드와 일치하는 때에만 이그니션키에 의한 엔진의 시동을 허가하는 이모빌라이저(immobilizer) 기능을 갖춘 송수신 ECU을 설치하는 구성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종래의 송수신 장치에 의한 트랜스폰더 기능은, 하드웨어 로직으로 구성되는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문에 통상은 식별코드가 고정되어 있어 그 복제(複製)가 비교적 용이하다는 사정이 있고 결과적으로 비화성능(秘話性能) 따라서는 자동차 도난에 대한 보안성능을 충분히 높일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처하기 위하여는 식별코드를 암호화를 하는 등의 수단이 유효하나, 이와 같은 수단을 채용하는 경우에도 복잡한 암호화가 곤란하기 때문에 비화성능의 비약적인 향상은 기대하기 어렵고 또한 하드웨어 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비용 상승이라는 새로운 문제점이 대두된다. 또한 상기 송수신 장치에서는 일단 키그립에 내장한 후에 하드웨어 구성을 변경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암호화 방법이나 그 코드포맷(code format) 등의 변경도 불가능하여 암호화 처리수법이 하나로 결정되기 때문에 자동차 제조 메이커 혹은 출고지역마다 다른 암호화를 하는 경우에 각 송수신 장치마다 다른 하등웨어 구성을 준비할 필요가 있는 등 그 제조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점도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비화성능의 대폭적인 향상을 하드웨어 구성의 복잡화나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일 없이 실현함과 아울러 송신신호의 암호화 방법이나 그 암호코드의 포맷 등의 변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송수신 장치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전력신호 및 질문신호를 수신한 때에 그 질문신호에 응답하여 미리 기억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응답신호를 회신하는 트랜스폰더 기능을 갖춘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트랜스폰더용 코일 및 공진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부와, 이 공진회로부가 외부의 안테나 코일과 전자결합(電磁결합)된 상태에서 그 안테나 코일로부터 상기 공진회로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신호를 정류/평활(整流/平滑)하는 전원회로와, 이 전원회로의 출력에 의하여 동작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전원회로에 의한 평활기능 부분의 시정수(時定數)보다 작은 시정수로 설정되고 상기 공진회로부가 외부의 안테나 코일과 전자결합된 상태에서 그 안테나 코일로부터 상기 공진회로부를 통하여 상기 전력신호와 함께 공급되는 질문신호를 판별하여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공급하는 검파회로와, 고유의 식별코드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공진회로부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응답신호의 송신동작을 하는 변조회로를 갖추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를, 상기 검파회로를 통하여 질문신호를 수신한 때에 상기 기억수단에서 읽은 식별코드를 이용한 연산을 함으로써 암호코드를 작성하고 상기 변조회로를 당해 암호코드에 따른 모드로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공진회로부를 통한 응답신호의 송신제어를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질문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암호화된 상태에서 송신되므로 비화성능이 향상된다. 이 경우에 상기 응답신호의 암호화를 마이크로컴퓨터의 연산에 의거하여 실행하는 구성이므로 하드웨어 구성의 복잡화를 초래하지 않고 임의의 암호화를 할 수 있으므로 비화성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암호화 방법 등의 변경을, 마이크로컴퓨터측의 기억내용의 변경만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암호화 처리수법을 디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각 송수신 장치마다 다른하드웨어 구성을 준비할 필요가 없어지고 결과적으로 제조작업상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청구항1).
이 경우, 상기 기억수단으로서 데이터를 쓰고 지울 수 있는 불휘발성(不揮潑生) 메모리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식별코드를 변경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식별코드의 포맷의 설정 및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비화성능 및 설계상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그 기억수단을 다른 유용한 데이터의 기억장소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실제의 사용상에 있어서 편리하다(청구항2).
(본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자동차용 부하제어 시스템에 적용한 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에는 자동차의 이그니션키(도2에 부호1을 붙여 나타낸다)의 키그립에 내장되는 유니트(unit)화된 송수신 장치(2)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송수신 장치(2)는 마이크로컴퓨터(3)를 중심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전력신호 및 질문신호를 수신한 때에 그 질문신호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되는 식별코드(B)를 포함하는 응답신호를 회신하기 위한 트랜스폰더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며, 이하 그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마이크로컴퓨터(3)는 내부에 EEPROM(4)(본 발명에서 말하는 기억수단, 불휘발성 메모리에 상당), 후술하는 파워온 리세트회로(5)용의 저항(5a), 후술하는 변조회로(6)용의 n챈널FET(6a)를 내장하는 구성이며, 특히 상기 EEPROM(4)에는 대응하는 이그니션키(1)에 고유한 식별코드(B) 및 연산용 코드(演算用 code)(C)가 기억되어 있음과 아울러 암호코드 생성을 위한 후술하는 함수식(函數式) f가 기억되어 있다.
공진회로부(7)는, 신호라인(SL)과 그라운드 단지의 사이에 트랜스폰더용 코일(8) 및 공진 콘덴서(9)를 병렬로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고, 그 공진주파수는 자동차측에 설치되는 송수신 ECU(도2에서 부호 10을 붙여 나타낸다)로부터 송신되는 반송파 신호(본 발명에서 말하는 전력신호에 상당)의 주파수 대역(帶域)과 같게 되도록 설정된다.
상기 신호라인(SL)에 저항(11)을 통하여 접속되는 전원회로(12)는 공진회로부(7)가 수신한 반송파 신호를 정류, 평활(平滑)시킨 출력을 마이크로컴퓨터(3)의 전원단자(VDD)에 공급하는 것으로서, 정류용 다이오드(12a), 평활용 콘덴서(12b) 정전압 다이오드(12c) 및 저항(12d)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하여 구성한다.
신호라인(SL)에 상기 저항(11)을 통하여 접속된 검파회로(13)는 상기 공진회로부(7)를 통하여 반송파 신호와 함께 공급되는 질문신호를 판별하여 마이크로컴퓨터(3)의 입력포트(PI)에 공급하는 것으로서, 검파용 다이오드(13a), 콘덴서(13b), 저항(13c) 및 저항(13d)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하는 필터 회로로서 구성된다.
이 경우에 상기 검파회로(13)의 시정수(時定數)는 상기 전원회로(12)에 의한 평활기능부분의 충전 시정수보다 충분히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이렇게 하여 상기 질문신호의 판별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n챈널FET(6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변조회로(6)는 공진회로부(7)의 공진 콘덴서(9)와 병렬로, 변조용 콘덴서(6b)와 n챈널FET(6a)의 소스/드레인간의 직렬회로를 접속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그 n챈널FET(6a)의 온/오프(ON/OFF)에 따라 공진회로부(7) 부분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리세트 회로(5)는, 마이크로컴퓨터(3)의 전원단자(VDD)에 공급되는 전압 레벨(전원회로(12)의 출력전압 레벨)이 소정의 레벨 이상으로 상승할 때까지의 기간은 당해 마이크로컴퓨터(3)를 리세트 상태로 유지하는 파워온 리세트(power-on reset) 기능을 위한 것으로서, 다이오드(5b), 콘덴서(5c) 및 상기 저항(5a)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하여 구성한다. 또한 저항(14a) 및 콘덴서(14b)로 이루어지는 발진회로(14)는 마이크로컴퓨터(3)의 클록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송수신 장치(2)의 기능에 대하여 마이크로컴퓨터(3)에 의한 제어내용과 함께 설명한다.
즉 송수신ECU(10)측에서 송신되는 후술하는 반송파 신호(전력신호) 및 소정의 난수코드(A)를 포함하는 질문신호를 공진회로부(7)를 통하여 수신하는 때에는, 전원회로(12)가 수신한 반송파 신호를 정류/평활한 출력을 마이크로컴퓨터(3)의 전원단자(VDD)에 공급하고 그 출력전압이 소정의 레벨이상으로 상승하는 시점에서 리세트회로(5)에 의한 리세트 유지상태가 해제되어 당해 마이크로컴퓨터(3)가 능동상태(能動狀態)로 변환된다. 또 검파회로(13)가 수신한 질문신호를 판별하여 마이크로컴퓨터(3)의 입력포트(PI)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능동상태로 된 마이크로컴퓨터(3)는 검파회로(13)를 통하여 질문신호가 공급되는 것에 응답하여 변조회로(6)를 동작시킴으로써 EEPROM(4)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코드(B)를 포함하는 암호화 응답신호를 공진회로부(7)를 통하여 송신(회신)하는 트랜스폰더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이 경우, 마이크로컴퓨터(3)는 응답신호의 암호화를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실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질문신호를 수신한 때에는 EEPROM(4)에서 식별코드(B), 연산용 코드(C) 및 함수식(f)을 읽음과 아울러 이 함수식(f)에 의거하여, 상기 질문신호중의 난수코드(A)와 상기 식별코드(B) 및 연산용 코드(C)를 각각 변수(變數)로 하는 함수연산을 한다. 즉 f(A,B,C)의 연산을 하여 그 연산결과를 암호코드(D)로서 얻는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3)에서는 변조회로(6)내의 n챈널FET(6a)를 상기 암호코드(D)에 대응하는 모드로 온/오프제어하여 공진회로부(7) 부분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킴으로써 수신한 반송파 신호를 상기 암호코드(D)에 대응하는 모드로 진폭변조(振輻變調)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변조회로(6)에 의한 공진회로부(7) 부분의 임피던스 변화상태를 송수신 ECU(10)측에서 검출함으로써 암호화된 응답신호가 당해 송수신ECU(10)측으로 회신된다.
한편 도2에는 시스템 전체의 구성이 기능블록의 조합에 의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이 도2에 있어서 자동차용의 이그니션키 실린더(15)의 주변에는 안테나 코일(16)이 설치되어 있어 이 이그니션키 실린더(15)에 이그니션키(1)가 꼽힌 상태에서는 당해 안테나 코일(16)과 이그니션키(1)에 내장되는 상기 트랜스폰더용코일(8)(도1 참조)이 전자결합(電磁結合)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자동차측에 설치되는 상기 송수신ECU(10)는 마이크로컴퓨터(17)를 중심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그 마이크로컴퓨터(17)에 대하여는 상기 이그니션키 실린더(15)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주지 구성의 IG스위치(18) 및 카리마인드 스위치(19)로부터의 온 신호가 스위치 인터페이스(20)를 통하여 입력된다. 이 경우,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7)에 대하여는 안테나 코일(16)에 의한 수신신호가 수신회로(21)를 통하여 입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17)는 안테나 코일(16)을 통한 송신제어를 파워앰프(22)의 출력에 의하여 하는 구성으로 되고, 그 구체적인 제어내용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17)는 엔진제어ECU(23)과의 사이에 시리얼 인터페이스(24)를 통하여 신호를 수수(授受)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엔진제어ECU(23)에 의한 엔진 시동동작을 선택적으로 금지가능한 이모빌라이저(immobilizer) 기능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17)는 EEPROM(25)과의 사이에 데이터를 수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 EEPROM(25)에는 당해 자동차용으로서 준비되는 이그니션키(1)측의 EEPROM(4)에 기억되는 식별코드(B), 연산용 코드(C) 및 함수식(f)과 각각 동일한 식별코드(B), 연산용 코드(C) 및 함수식(f)이 미리 기억되어 있다.
이하, 송수신ECU(10)의 마이크로컴퓨터(17)의 제어내용에 대하여 관련된 부분의 작용과 함께 설명한다.
즉 마이크로컴퓨터(17)는 키리마인드 스위치(19) 및 IG스위치(18)로부터의온(ON)신호를 받는 때에 즉 이그니션키 실린더(15)에 이그니션키(1)가 꼽히여 온위치로 조작되는 때(이 상태에서는 안테나 코일(16)과 이그니션키(1)측의 트랜스폰더용(8)이 전자결합된다)에는, 예를 들어 소정의 함수연산에 의하여 새로운 난수(亂數)코드(A)를 발생시켜 그 난수코드(A)를 도시하지 않은 내부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한편, 당해 난수코드(A)를 포함하는 펄스열(pulse列) 형상의 질문신호를 작성함과 아울러 파워앰프(22)를 동작시킴으로써 안테나 코일(16)로부터 소정 주파수의 반송파 신호 및 이것에 중첩시키는 상태의 상기 난수코드(A)를 포함하는 질문신호를 송신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그니션키(1)측의 송수신 장치(2)(도1 참조)측으로 안테나 코일(16)을 통하여 반송파 신호 및 질문신호를 송신하게 되며, 당해 송수신 장치(2)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반송파 신호에 의하여 마이크로컴퓨터(3)가 능동상태로 변환되고 이에 따라 당해 질문신호중의 난수코드(A), EEPROM(4)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코드(B), 연산용 코드(C) 및 함수식(f)를 사용한 함수연산에 의하여 암호코드(D)를 구함과 아울러 이 암호코드(D)에 의하여 암호화된 응답신호를 회신하는 트랜스폰더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마이크로컴퓨터(17)는 도시하지 않은 내부 메모리에서 읽은 난수코드(A), EEPROM(25)에서 읽은 식별코드(B), 연산용 코드(C) 및 함수식(f)에 의거하여 f(A,B,C)의 연산을 하여 암호코드(D)을 구함과 아울러 그 암호코드(D)와 송수신 장치(2)측에서부터 회신되는 응답신호에 포함되는 암호코드(D)를 비교하는 디코드(decode) 동작을 하여 양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엔진제어ECU(23)에 의한 자동차용 엔진의 시동을 금지한다.
따라서 IG스위치(18)가, 식별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부적정한 이그니션키(1)에 의하여 온되는 경우에는 자동차용 엔진이 시동되지 않으므로 도난에 대한 보안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디코드 동작에 의하여 연산에 의하여 구한 암호코드(D)와 회신되는 응답신호에 포함되는 암호코드(D)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엔진제어ECU(23)에 의한 자동차용 엔진의 시동이 허가된다.
따라서 식별코드(B) 등에 의거하여 생성되는 암호코드(D)가 일치하는 적정한 이그니션키(1)가 이그니션키 실린더(15)에 꼽힌 상태에서는 엔진제어ECU(23)를 통한 자동차용 엔진의 시동이 허가되므로 이상과 같이 이모빌라이저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한 본 실시예의 구성은 이하에 설명하는 효과가 있다.
송수신 장치(2)에 있어서는 송수신ECU(10)로부터 송신되는 질문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암호화한 상태로 회신하는 구성이므로 비화성능, 따라서 자동차 도난에 대한 보안성능이 향상된다. 이 경우, 상기 응답신호의 암호화는 마이크로컴퓨터(3)에서의 함수연산에 의거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구성과 같이 하드웨어 구성의 복잡화 및 이에 따르는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지 않음과 아울러 복잡한 암호화를 임의로 할 수 있으므로 비화성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암호화 방법 등의 변경을, 마이크로컴퓨터(3)의 소프트웨어 혹은 기억내용의 변경만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암호화 처리방법을 다양하게 설정할수 있으므로 각 송수신 장치(2)마다 다른 하드웨어 구성을 준비할 필요가 없어지고 결과적으로 제조작업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트랜스폰더 기능의 제어를, 마이크로컴퓨터(3)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할 수 있으므로 송수신 장치(2)와 송수신ECU(10)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protocol)이 하나로 고정되고 마는 것이 없어지므로 설계가 자유롭게 된다.
또한 응답신호의 암호화에 필요한 식별코드(B), 연산용 코드(C) 및 함수식(f)를, 데이터를 쓰고 지울 수 있는 EEPROM(4)에 기억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식별코드(B)의 포맷 설정 및 변경이나 함수식(f)의 변경 등을 포함하는 암호화 방법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비화성능 및 설계상의 자유도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킴과 아울러 그 EEPROM(4)을 다른 유용한 데이터의 기억장소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실제의 사용에 있어서 편리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에 설명하는 확대 또는 변형이 가능하다.
제어대상으로서 엔진제어ECU(23)을 들었으나 다른 부하를 제어대상으로 하는 것도 무방하다. EEPROM(4)에는 적어도 식별코드(B) 및 함수식(f)의 어느 것을 기억시켜 두면 좋고, 이들 식별코드(B) 및 함수식의 일방을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 응답신호의 암호화 방법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송수신 장치의 전기적 구성도,
도2는 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이그니션키(ignition key)
2 : 송수신 장치(送受信 裝置)
3 : 마이크로컴퓨터(micro-computer)
4 : EEPROM(Electrically-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기억수단, 불휘발성 메모리)
6 : 변조회로(變調回路) 7 : 공진회로부(共振回路部)
8 : 트랙스폰더용 코일(transponder用 coil)
9 : 공진 콘덴서(共振 condenser)
10 : 송수신 ECU(送受信 Electronic Control Unit)
12 : 전원회로 13 : 검파회로(檢波回路)
15 : 이그니션키 실린더(ignition key sylinder)
16 : 안테나 코일(antenna coil) 23 : 엔진제어 ECU
이상의 설명에 의하여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송수신 장치에 의하면, 트랜스폰더 기능을 위한 응답신호의 암호화를 마이크로컴퓨터에서의 함수연산에 의거하여 실행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비화성능의 비약적인 향상을 소프트웨어상의 변경만으로 촉진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송신신호의 암호화나 그 암호코드의 포맷 등의 변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유익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외부로부터 전력신호 및 질문신호를 수신한 때에 그 질문신호에 응답하여 미리 기억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응답신호를 회신하는 트랜스폰더 기능을 갖춘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트랜스폰더용 코일 및 공진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부와,
    이 공진회로부가 외부의 안테나 코일과 전자결합(電磁결합)된 상태에서 그 안테나 코일로부터 상기 공진회로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신호를 정류/평활(整流/平滑)하는 전원회로와,
    이 전원회로의 출력에 의하여 동작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전원회로에 의한 평활기능 부분의 시정수(時定數)보다 작은 시정수로 설정되고 상기 공진회로부가 외부의 안테나 코일과 전자결합된 상태에서 그 안테나 코일로부터 상기 공진회로부를 통하여 상기 전력신호와 함께 공급되는 질문신호를 판별하여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공급하는 검파회로와,
    고유의 식별코드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공진회로부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응답신호의 송신동작을 하는 변조회로를 갖추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검파회로를 통하여 질문신호를 수신한 때에 상기 기억수단에서 읽은 식별코드를 이용한 연산을 함으로써 암호코드를 작성하고, 상기 변조회로를 당해 암호코드에 따른 모드로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공진회로부를통한 응답신호의 송신제어를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은, 데이터를 쓰고 지울 수 있는 불휘발성(不揮發性) 메모리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식별코드를 변경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장치.
KR1019960051504A 1995-11-16 1996-11-01 송수신 장치 KR100387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98087 1995-11-16
JP29808795A JPH09139985A (ja) 1995-11-16 1995-11-16 送受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1413A KR970031413A (ko) 1997-06-26
KR100387142B1 true KR100387142B1 (ko) 2003-08-14

Family

ID=17854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1504A KR100387142B1 (ko) 1995-11-16 1996-11-01 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9139985A (ko)
KR (1) KR1003871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0123B2 (ja) * 2005-05-19 2011-08-31 スズキ株式会社 レーダ装置
JP2008078793A (ja) * 2006-09-19 2008-04-03 Casio Comput Co Ltd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JP5313754B2 (ja) * 2009-04-20 2013-10-0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1413A (ko) 1997-06-26
JPH09139985A (ja) 1997-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0255B1 (en) Vehicle lock apparatus
JP3667760B2 (ja) 車両用始動許可装置及び識別コード登録方法
US7327216B2 (en) Secret key programming technique for transponders using encryption
US6510517B1 (en) Method of cryptological authentification in a scanning identification system
US6323566B1 (en) Transponder for remote keyless entry systems
US5897598A (en) Method for operating an anti-theft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anti-theft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US20070188310A1 (en) Vehicle anti-theft apparatus and method
US7328044B2 (en) Mobile device registration system
KR19980049731A (ko) 차량용 통신 시스템
US5864302A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US5844990A (e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US5773803A (en) Code discriminating system for determining correspondence of codes in a short time
US5763958A (en) Anti-theft system for a vehicle ensuring anti-theft from unauthorized access to the system
KR100387142B1 (ko) 송수신 장치
GB2252847A (en) Secure vehicle control
US6043568A (en) Engine start controlling device
KR100387141B1 (ko) 송수신 시스템
AU695136B2 (en) Engine starting control apparatus
GB2438434A (en) Selectively enabling and disabling vehicle key security transponder
JP3722922B2 (ja) 自動車用イモビライザシステム
JPH09161492A (ja) 送受信装置
KR101951033B1 (ko) 차량용 키 등록 방법 및 장치
JPH09100767A (ja) エンジン不正始動防止装置
KR100369026B1 (ko)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
JPH0872672A (ja) 電子キー装置とそれを用いた車両盗難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