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6888B1 - 세로 지붕이음형 금속지붕판 상호간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세로 지붕이음형 금속지붕판 상호간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6888B1
KR100386888B1 KR10-2001-0002595A KR20010002595A KR100386888B1 KR 100386888 B1 KR100386888 B1 KR 100386888B1 KR 20010002595 A KR20010002595 A KR 20010002595A KR 100386888 B1 KR100386888 B1 KR 100386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ing
roof
roof plate
rainwat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3453A (ko
Inventor
토시오 우아미
Original Assignee
토시오 우아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시오 우아미 filed Critical 토시오 우아미
Publication of KR20010113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3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8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 E04D3/363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with snap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6Connecting; Fastening by closing the space between the slabs or sheets by gutters, bulges, or bridging elements, e.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 E04D2003/3617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with locking or snapping edges located in the thickness of the slab or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로 지붕이음형 금속지붕판 상호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빗물이 지붕판 상호간의 연결부로부터 건물의 지붕벽 안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고, 캡이 외란력(externally turbulent force)으로 지붕판의 기립 연결테두리로부터 빠져버리는데 견디는 힘을 강하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며 다음과 같은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지붕판(1)의 좌우 각 물막이 볼록부(6)는, 좌우 각 기립 연결테두리(4)의 상단테두리로부터 지붕판(1) 쪽으로 꺽여내리도록 형성된다. 각 기립 연결테두리(4)와 각 물막이 볼록부(6) 사이에, 빗물상승 반전공간(26)과 빗물출입 틈새(27)를 상하로 나란히 형성한다. 지붕판(1) 위의 빗물 일부는, 바람에 의해 기립 연결테두리(4) 쪽으로 들어온 때에, 기립 연결부(4)를 따라 불어 올려져, 빗물출입 틈새(27)로부터 빗물상승 반전공간(26)까지 상승하고 나서 반전하여 낙하하고, 빗물출입 틈새(27)로부터 지붕판(1) 위로 낙하하여 가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세로 지붕이음형 금속지붕판 상호간의 연결구조{STRUCTURE FOR MUTUALLY CONNECTING METAL ROOF BOARDS OF VERTICAL ROOFING TYPE}
본 발명은 세로 지붕이음형 금속지붕판 상호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제 구성)
본 발명의 세로 지붕이음형 금속지붕판 상호간의 연결구조는, 예컨대 도 1∼5(본 발명), 또는 도 9ㆍ도 10(종래 기술)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의 전제구성을 갖는 것을 대상으로 한다.
도 1∼도 5는 본 발명의 세로 지붕이음형 금속지붕판 상호간의 연결구조의실시예 1을 나타낸다. 도 1은 요부를 드러낸 사시도, 도 2는 요부의 종단 정면도, 도 3은 도 2의 Ill-Ill선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도 4는 도 2의 분해 정면도, 도 5는 건물의 지붕벽에 금속판제 지붕판을 설치하여 가는 도중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9는 종래기술 1을 나타내는 요부의 종단 정면도, 도 10은 종래기술 2를 나타내는 요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이 세로 지붕이음형 금속지붕판 상호간의 연결구조는, 금속판제의 지붕판(1)과, 계류편(片)(2)과 캡(3)을 구비한다. 지붕판(1)의 좌우 각 옆테두리를 꺽어올려 좌우 각각의 기립 연결테두리(4)를 형성한다. 이 기립 연결테두리(4)의 상부(上部)에 피 계류부(被係留部)(5)를 형성한다. 이 기립 연결테두리(4)와 일체로 물막이 볼록부(6)를 지붕판(1) 쪽으로 매끄럽게 부풀려 형성한다.
계류편(2)의 하부(下部)에 건물(23)의 지붕벽(24)에 고정되는 베이스부(7)를 형성한다. 계류편(2)의 상부에 좌우 한쌍의 계류부(8)를 형성한다.
캡(3)의 천정판(9)의 좌우 양측 테두리로부터 좌우 한쌍의 각 측판(10)을 꺽어내려 형성한다. 이 좌우 각 측판(10)에 내향(內向)의 물막이 오목부(11)를 횡방향 바깥쪽으로 매끄럽게 부풀린다.
계류편(2)의 좌우 각 횡방향 외측부에 좌우 양 지붕판(1)(1) 각각의 기립 연결테두리(4)를 배치한다. 각 기립 연결테두리(4)의 피 계류부(5)를 계류편(2)의 좌우 각 계류부(8)로 위에서 받치도록 구성한다. 계류편(2) 및 좌우 양 기립 연결테두리(4)에 걸쳐서 캡(3)을 위로부터 씌워서 조합하되, 양 기립 연결테두리(4)의각 물막이 볼록부(6)에 캡(3)의 좌우 각 물막이 오목부(ll)를 밖에서 밀착되게 끼워맞춰진 상태로 맞닿게 한 것이다.
(종래기술)
상기 전제구성에 있어서, 캡(3)을 지붕판(1) 및 계류편(2)에 조합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종래 기술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도 9 참조. 특허 제2633003호 공보에 기재.
도 9는 일본 특허공보 제2633003호로 알려진 종래기술 1의 요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상기 지붕판(1)의 좌우 각 물막이 볼록부(6)는, 좌우의 각 기립 연결테두리(4)의 중간높이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지붕판(1) 위의 빗물의 일부는, 강풍에 의해 기립 연결테두리(4) 쪽으로 들어온 경우에, 물막이 볼록부(6)로 흘러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캡(3)의 좌우 각 측판(10)의 각 물막이 오목부(ll)로부터 각 스커트(ll2)가 극히 짧게 연장하여 돌출되어 있다. 스커트(ll2)의 하단(下端)테두리(113)가, 지붕판(1)으로부터 높이 떨어진 곳에서, 기립 연결테두리(4)로부터도 떨어져 있다. 이 기립 연결테두리(4)에 있어서, 그 기립 기초부(ll5)에 대하여 그 기립 중도부(ll6) 및 기립 상부(117)가 계류편(2) 쪽으로 진출하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3)의 스커트(112) 하단테두리(ll3)는, 지붕판(1)의 기립 연결테두리(4)의 각 부분 및 계류편(2)의 각 부분보다, 계류편(2)의 중심측으로 인입(引入)되어 위치한다. 상기 캡(3)의 천정판(9)과 좌우 각 측판(10) 사이에, 곡률 반경이 작은 각각의 소경(小徑) 원호 볼록부(120)가 개재된다.
◆ 종래기술 2
도 10은 일본 특개평10-61121호의 공보로 알려진 요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상기 지붕판(1)의 좌우 각 물막이 볼록부(6)는, 좌우 각 기립 연결테두리(4)의 중간높이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지붕판(1) 위의 빗물의 일부는, 강풍에 의해 기립 연결테두리(4) 쪽으로 들어온 경우에, 물막이 볼록부(6)에 흘러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캡(3)의 좌우 각 측판(10)의 각각의 물막이 오목부(11)로부터 각 스커트(212)가 극히 짧게 연장하여 돌출되어 있다. 스커트(212)의 하단테두리(213)가, 지붕판(1)으로부터 높이 떨어진 곳에서, 기립 연결테두리(4)로부터도 떨어져 있다. 이 기립 연결테두리(4)에 있어서, 그 기립 기초부(215)에 대하여 그 기립 중도부(216) 및 기립 상부(217)가 계류편(2) 쪽으로 진출하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3)의 스커트(212) 하단테두리(213)는, 지붕판(1)의 기립 연결테두리(4)의 각 부분 및 계류편(2)의 각 부분보다도, 계류편(2)의 중심측으로 인입되어 위치한다. 상기 캡(3)의 천정판(9)과 좌우 각 측판(10)과의 사이에, 곡률 반경이 작은 각각의 소경 원호 볼록부(220)가 개재한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 1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A. 강풍에 의해 기립 연결테두리(4)를 따라 불어 올려져 온 빗물은, 물막이 볼록부(6)로 힘차게 흘러가, 기립 연결테두리(4)의 물막이 볼록부(6)와 캡(3)의 물막이 오목부(ll)와의 밀착되게 끼워맞춰진 맞닿은 면 사이를 통과하여 가므로, 비바람이 강할 때에 빗물이 지붕판(l)(1) 상호간의 연결부에서 건물(23)의 지붕벽(24) 안으로 새는 경우가 있다.
폭풍우나 태풍 등과 같이 비바람이 강하게 불어닥칠 때에는, 지붕판(l) 위를 흐르는 빗물의 일부는 강풍으로 강하게 밀려 기립 연결테두리(4)를 따라 상승하여 물막이 볼록부(6)에 힘차게 흘러간다. 이 때문에, 그 빗물은 캡(3) 측판(10)의 물막이 오목부(11)와 지붕판(1)의 기립 연결테두리(4)의 물막이 볼록부(6)와의 밀착되게 끼워맞춰진 맞닿은 면 사이를 통과하고 캡(3) 안에서 흘러 내려, 좌우 양 기립 연결테두리(4)(4)의 대향면 사이를 지나서, 건물(23)의 지붕벽(24)으로부터 건물(23) 안으로 침입하여 새는 경우가 있다.
B. 캡(3)이 외란력(外亂力, externally turbulent force)으로 들어 올려지려 하여, 캡(3)의 양 물막이 오목부(ll)(11)가 탄성변형에 의해 좌우로 열려져 가는 경우에, 양 물막이 볼록부(6)(6)가 정지한 채로 있게 되므로, 양 물막이 오목부(ll)(11)와 양 물막이 볼록부(6)(6)와의 끼워맞춤이 점차로 약해지게 되어, 캡(3)이 외란력에 의해 빠져나가기 쉽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3)의 좌우 물막이 오목부(ll)(ll)가 좌우 지붕판(1)(1)의 양 기립 연결테두리(4)(4)의 물막이 볼록부(6)(6)에 위로부터 끼워맞춰져, 캡(3)이 지붕판(1)(1) 상호간의 연결부에 조립될 수 있다.
이 도 9의 조립 후 상태에 있어서, 캡(3)이 어떠한 외란력에 의해 들어 올려지려 하여, 캡(3)의 양 물막이 오목부(11)(11)가 탄성변형에 의해 좌우로 열려져 가는 경우에, 양 물막이 볼록부(6)(6)는 양 물막이 오목부(11)(11)에 의해 계류편(2) 측으로 밀려 정지한 채로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양 물막이 오목부(ll)(ll)가 양 물막이 볼록부(6)(6)로부터 빠져 나감에 따라서, 양 물막이 오목부(ll)(ll)와 양 물막이 볼록부(6)(6)의 끼워맞춤이 점차로 약해지기 때문에 캡(3)이 외란력에 의해 빠져 나가기 쉽다.
C. 지붕판(1) 위의 빗물은, 스커트(ll2)(212) 안으로 흘러 들어오기 쉽기 때문에, 비바람이 강할 때에는 빗물이 지붕판(1)(1) 상호간의 연결부로부터 건물(23)의 지붕벽(24) 안으로 샐 우려가 있다.
폭풍우나 태풍 등과 같이 비바람이 강하게 불어닥칠 때에는, 지붕판(1) 위를 흐르는 빗물의 일부는, 강풍으로 강하게 밀려 캡(3)의 스커트(ll2)(212) 안으로 밀려들어와, 캡(3) 측판(10)의 물막이 오목부(ll)와 지붕판(1)의 기립 연결테두리(4)의 물막이 볼록부(6)의 밀착되게 끼워맞춰진 맞닿은 면 사이를 위 방향으로 통과하여, 캡(3) 안에서 흘러 내리고, 좌우의 양 기립 연결테두리(4)(4)의 대향면 사이를 지나서, 건물(23)의 지붕벽(24)으로부터 건물(23) 안으로 침입하여 누수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D. 강풍이 일으키는 부압(負壓)에 의해 지붕판(1)이 건물(23)의 지붕벽(24)으로부터 잡아당겨져서 벗겨질 우려가 있다.
폭풍이나 태풍 등과 같이 바람이 강하게 불어닥칠 때에는, 바람이 일으키는부압에 의해 지붕판(1)이 흡상(吸上)되어 떠올라, 건물(23)의 지붕벽(24)으로부터 잡아당겨져 벗겨질 우려가 있다.
E. 계류편(2)은 지붕판(1)에 대하여, 단지 맞닿게 하는 것 만으로는 자동적으로 횡방향으로 정확히 위치 결정되지 않기 때문에, 미리 계류편(2)(2) 상호간의 부착피치를 측정하여 줄표시를 해놓는다고 하는, 계류편 횡방향 부착피치의 예비 줄표시 작업(묵(墨) 줄표시 작업)이 필요하다.
건물(23)의 지붕벽(24)에 미리 고정한 지붕판(1)의 기립 연결테두리(4)에 대하여, 계류편(2)을 사이에 두고, 그 다음 고정하는 지붕판(1)의 기립 연결테두리(4)를 밀어 부쳐갈 때에, 기립 연결테두리(4)의 기립 기초부(115)(115)가 계류편(2)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기립 연결테두리(4)가 쉽게 요동(搖動) 변형되어, 계류편(2)은 지붕판(1)에 대하여 단지 맞닿게 하는 것 만으로는 자동적으로 횡방향으로 정확히 위치 결정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건물(23)의 지붕벽(24) 전면(全面)에 지붕판(1)을 횡방향으로 차례로 나란히 연결고정해 가기 전에, 미리 계류편(2)(2) 상호간의 부착피치를 측정하여 줄을 표시해 놓는다고 하는, 계류편 횡방향 부착피치의 예비 줄표시 작업(묵 줄표시 작업)이 필요하다.
F. 강풍으로부터 생기는 부압(負壓)에 의한 지붕판(1)의 흡상력(吸上力)이 기립 연결테두리(4)의 기립 기초부(ll5)(215)를 구부려 올리기 때문에, 강풍으로부터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지붕판(1)이 건물(23)의 지붕벽(24)으로부터 잡아당겨져 벗겨질 우려가 있다.
강풍시에, 지붕판(l)이 부압에 의해 흡상되려고 할 때에, 기립 연결테두리(4)의 피 계류부(5)가 계류편(2)의 계류부(8)에서 받쳐지는 계류부분에 대하여, 기립 연결테두리(4)의 기립 기초부(ll5)(215)가 그 수직방향 바로 아래보다 지붕판(1) 쪽으로 크게 떨어져서 위치한다. 이 때문에, 강풍으로부터 생기는 부압에 의한 지붕판(1)의 흡상력(吸上力)이 기립 연결테두리(4)의 기립 기초부(ll5)(215)를 밀어 올리려고 하는 힘은, 대부분 상기 계류부(8)에 흡수되지 않고, 피 계류부(5)를 지점으로 하여 기립 기초부(ll5)(215)를 구부려 올리려고 하는 힘이 된다.
이로 인해, 강풍으로부터 생기는 부압에 의한 지붕판(1)의 흡상력이 기립 연결테두리(4)의 기립 기초부(115)(215)를 구부려 올리기 때문에, 강풍으로부터 생기는 부압에 의해 지붕판(1)이 건물(23)의 지붕벽(24)으로부터 잡아당겨져 벗겨질 우려가 있다.
G. 작업자가 캡(3)을 양 기립 연결테두리(4)(4) 및 계류편(2)에 씌워갈 때에, 캡(3)의 좌우 스커트(ll2)(ll2)(212)(212)를 억지로 벌리는 조작이 필요하게 되는 만큼, 이 캡(3)의 조립 작업이 복잡하고 손이 많이 간다.
좌우 지붕판(1)(1)의 양 기립 연결테두리(4)(4)를, 계류편(2)에 의해 건물(23)의 지붕벽(24)에 연결 고정한 뒤, 캡(3)을 양 기립 연결테두리(4)(4) 및 계류편(2)에 씌워 조립시킨다.
캡(3)의 좌우 스커트(112)(ll2)(212)(212)의 양 하단 테두리(113)(113)(213) (213) 상호간의 폭이, 양 기립 연결테두리(4)(4) 상호간의 폭 및 계류편(2)의 전체폭보다 좁다. 이 때문에, 작업자가 캡(3)을 양 기립 연결테두리(4)(4) 및 계류편(2)에 씌워서 조립해 갈 때에, 캡(3)의 좌우 스커트(ll2)(ll2)(212)(212)를 억지로 벌리는 조작이 필요하게 되는 만큼은, 이 캡(3)의 조립 작업이 복잡하고 손이 많이 간다.
H. 소경 원호 볼록부(120)(220)는 소성변형하기 쉽고 탄성 복원력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물막이 오목부(ll)와 물막이 볼록부(6)와의 끼워맞춤 면압(面壓)이 고정밀도로 유지되기 어렵고, 이 끼워맞춘 면 사이에서의 물막이 성능이 저하하며, 빗물이 이 끼워맞춘 면 사이를 통과하여 건물(23)의 지붕벽(24)에 침입하여 샐 우려가 있다.
캡(3)을 좌우 지붕판(1)(1)의 양 기립 연결테두리(4)(4) 및 계류편(2)에 씌워 조립하여 가는 경우에 있어서, 캡(3)의 물막이 오목부(ll)가 기립 연결테두리(4)의 물막이 볼록부(6)에 올라 앉고 나서 끼워맞출 때에, 캡(3)의 스커트(112)(212) 및 측판(10)이 좌우 바깥으로 밀려 넓혀져, 소경 원호 볼록부(120)(220)가 탄성변형 한계를 초과하여 소성변형되기 쉽다.
이 소경 원호 볼록부(120)(220)는, 캡(3)의 천정판(9)에 대한 좌우 양측판(10)(10)의 개폐 요동방향의 최대 탄성변형 치수가 작으므로 소성변형하기 쉽고 탄성 복원력이 안정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물막이 오목부(11)와 물막이 볼록부(6)의 끼워맞춤 면압이 설계치에 고정밀도로 유지되기 어렵게 되고, 이 끼워맞춘 면 사이에서의 물막이 성능이 저하하여 빗물이 이 끼워맞춘 면 사이를 통과하여 건물(23)의 지붕벽(24)에 침입하여 샐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목적으로 한다.
(A). 강풍에 의해 기립 연결테두리에 따라 불어올려져 온 빗물을, 빗물상승 반전(反轉) 공간까지 상승시키고 나서 반전하여 낙하시킴으로써, 비바람이 강할 때라도, 빗물이 지붕판 상호간의 연결부에서 건물의 지붕벽 안으로 새는 것을 강력히 방지한다.
(B). 캡이 외란력에 의해 빠져나가려 할 때에, 물막이 볼록부와 물막이 오목부와의 끼워맞춤이 강해지도록 함으로써, 캡이 외란력으로 빠져버리는데 대한 견디는 힘을 강하게 한다.
(C). 지붕판 위의 빗물을, 캡의 스커트 안으로 유입되기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스커트 안에서 실속(失速)시킴으로써, 비바람이 강할 때라도 빗물이 지붕판 상호간의 연결부에서 건물의 지붕벽 안으로 새는 것을 보다 강력히 방지한다.
(D). 스커트의 하단 테두리로 지붕판을 누름으로써, 강풍이 일으키는 부압에 의해 지붕판이 건물의 지붕벽에서 잡아당겨져 벗겨지는 것을 강력히 방지한다.
(E). 계류편을 지붕판에 대하여, 단지 맞닿게 하는 것 만으로 자동적으로 횡방향에 정확히 위치 결정시킴으로써, 미리 계류편 상호간의 부착피치를 측정하여 줄표시한다고 하는, 계류편 횡방향 부착피치의 예비 줄표시 작업(묵 줄표시 작업)을 생략하여 지붕판의 연결 고정작업을 간소화한다.
(F). 강풍으로부터 생기는 부압에 의한 지붕판의 흡상력이, 지붕판의 기립연결테두리의 기립 기초부를 구부려 올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강풍으로부터 생기는 부압으로 지붕판이 건물의 지붕벽에서 잡아당겨져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G). 작업자가 캡을, 단지 지붕판의 양 기립 연결테두리 및 계류편에 얹어 발로 밟는 것 만으로, 이 캡을 양 기립 연결테두리 및 계류편의 바깥에 끼워 간단히 능률적으로 조립해 갈 수 있다.
(H). 캡을 소성변형되기 어렵게 함으로써, 캡의 물막이 오목부와 지붕판의 기립 연결테두리의 물막이 볼록부와의 끼워맞춤 면압을 고정밀도로 유지하여, 이 끼워맞춘 면 사이에서의 물막이 성능을 높게 유지한다.
(I). 지붕판 위의 빗물을 캡의 스커트 안으로 자유롭게 다량 유입되기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유입된 빗물을 스커트 내부의 넓은 완충공간에서 실속ㆍ낙하시킴으로써, 비바람이 강할 때라도 빗물이 지붕판 상호간의 연결부로부터 건물의 지붕벽 안으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J). 지붕판 위를 흐르는 빗물로 캡의 스커트 내부의 완충공간 내에 괴어있는 진애(塵埃)를 바깥으로 씻어 버리게 함으로써, 이 완충공간 내에 침입ㆍ축적된 진애와 이것에 흡수된 빗물에 의해 지붕판이 부식되는 것을 해소한다.
도 1∼도 5는 본 발명의 세로 지붕이음형 금속지붕판 상호간의 연결구조의 실시예 1을 나타내며,
도 1은, 요부를 드러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요부의 종단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IlI-IlI선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분해 정면도이고,
도 5는, 건물의 지붕벽에 금속판제 지붕판을 설치하여 가는 도중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요부의 종단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나타내는 요부의 종단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나타내는 요부의 종단 정면도이고,
도 9는, 종래기술 1을 나타내는 요부의 종단 정면도이고,
도 10은, 종래기술 2을 나타내는 요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 금속판제 지붕판 2... 계류편(片)
3... 캡(cap) 4... 기립 연결테두리
5... 피 계류부 6... 물막이 볼록부
7... 베이스부 8... 계류부
9... 천정판 10... 측판
11... 물막이 오목부 12... 스커트
13... 하단테두리 14... 완충공간
15... 기립 기초부 16... 기립 중도부
17... 기립 상부 20... 대경 원호 볼록부
21... 진애 유출용 틈새 22... 외부 공간
23... 건물 24... 지붕벽
26... 빗물상승 반전공간 27... 빗물출입 틈새
본 발명의 세로 지붕이음형 금속지붕판 상호간의 연결구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전제 구성에서, 캡(3)을 지붕판(1) 및 계류편(2)에 조합하기 위한 구체적 구성으로서, 예컨대 도 1∼도 5, 도 6, 도 7 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특징적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도 5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1항과 관련된 세로 지붕이음형 금속지붕판 상호간의 연결구조의 실시예 1을 나타낸다. 도 1은 요부를 드러낸 사시도, 도 2는 요부의 종단 정면도, 도 3은 도 2의 Ill-Ill선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도 4는 도 2의 분해 정면도, 도 5는 건물의 지붕벽에 금속판제 지붕판을 설치하여 가는 도중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참고적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요부의 종단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나타내는 요부의 종단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나타내는 요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상기 지붕판(1)의 좌우 각각의 물막이 볼록부(6)는, 좌우 각각의 기립 연결테두리(4)의 상단테두리로부터 지붕판(1) 쪽으로 꺽어내려 형성한다. 각 기립 연결테두리(4)와 각각의 물막이 볼록부(6) 사이에, 빗물상승 반전공간(26)과 빗물출입 틈새(27)를 상하로 나란히 형성한다.
지붕판(1) 위의 빗물의 일부는, 바람에 의해 기립 연결테두리(4) 쪽으로 불어들어 온 때에, 기립 연결테두리(4)에 따라 불어 올려지고, 빗물출입 틈새(27)로부터 빗물상승 반전공간(26)까지 상승하고 나서 반전하여 낙하하며, 빗물출입 틈새(27)로부터 지붕판(1) 위로 낙하해 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2는, 청구범위 제2항에 관련된 것으로서, 상기 발명 1에 있어서 다음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캡(3)의 좌우 각 측판(10)의 각 물막이 오목부(ll)로부터 각 스커트(12)를 횡방향 외측 하방위치까지 연장시켜, 스커트(12)의 하단테두리(13)를 지붕판(1)에맞닿게 한다. 이 스커트(12)와 지붕판(1)과 기립 연결테두리(4)로 둘러싸인 내부에 넓은 완충공간(14)을 형성하였다.
본 발명 3은, 청구범위 제3항에 관련된 것으로서, 상기 발명 1 또는 2에 있어서, 다음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붕판(1)의 좌우 한쌍의 각 기립 연결테두리(4)에 있어서, 그 기립 기초부(l5)에 대하여 그 기립 중도부(16) 및 기립 상부(17)가 계류편(2) 측으로 진출하지 않는 모양으로 형성하였다.
본 발명 4는, 청구범위 제4항에 관련된 것으로서, 상기 발명 1ㆍ2 또는 3에 있어서, 다음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3)의 스커트(12)의 하단테두리(13)는, 지붕판(1)의 기립 연결테두리(4)의 각 부분 및 계류편(2)의 각 부분보다 지붕판(1)의 중심쪽으로 연장해내어 위치시켰다.
본 발명 5는, 청구범위 제5항에 관련된 것으로서, 상기 본 발명 1ㆍ2ㆍ3 또는 4에 있어서 다음 구성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3)의 천정판(9)과 좌우 각 측판(10)과의 사이에, 곡률 반경이 큰 각각의 대경 원호 볼록부(20)를 개재시킨다. 이 대경 원호 볼록부(20)는 천정판(9)에 대한 양 측판(10)의 개폐 요동방향의 최대 탄성변형 치수를 확대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 6은, 청구범위 제6항에 관련된 것으서, 상기 본 발명 2에 있어서, 그 구성의 일부를 다음과 같이 변형한 것이다.
상기 캡(3)의 좌우 각 스커트(12)의 하단테두리(13)는, 상기 지붕판(1)에 맞닿게 하는 대신, 지붕판(1)으로부터 진애 유출용 틈새(21)를 띄워서 위치시킨다. 이 진애 유출용 틈새(21)의 치수는 상기 완충공간(14) 높이의 l/3 이하인 좁은 치수로 설정한다.
이 좁은 진애 유출용 틈새(21)를 통해 완충공간(14)을 지붕판(1) 위의 외부공간(22)에 연통시켜 구성한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세로 지붕이음형 금속지붕판 상호간의 연결구조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5는 본 발명의 세로 지붕이음형 금속지붕판 상호간의 연결구조의 실시예 1을 나타낸다. 도 1은 요부를 드러낸 사시도, 도 2는 요부의 종단 정면도, 도 3은 도 2의 IlI-IlI선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도 4는 도 2의 분해 정면도, 도 5는 건물의 지붕벽에 금속판제 지붕판을 설치하여 가는 도중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이 세로 지붕이음형 금속지붕판 상호간의 연결구조는, 금속판제의 지붕판(1)과, 계류편(2)과, 캡(3)을 구비한다.
지붕판(1)의 좌우 각 옆테두리를 꺽어올려 좌우 각 기립 연결테두리(4)를 형성한다. 이 기립 연결테두리(4)의 상부에 피 계류부(5)를 형성한다. 이 기립 연결테두리(4)와 일체로 물막이 볼록부(6)를 지붕판(1) 쪽으로 매끄럽게 부풀려 형성한다.
계류편(2)의 하부에 건물(23) 지붕벽(24)에 고정되는 베이스부(7)를 형성한다. 계류편(2)의 상부에 좌우 한쌍의 계류부(8)를 형성한다.
캡(3)의 천정판(9)의 좌우 양측 테두리로부터 좌우 한쌍의 각 측판(10)을 꺽어내려 형성한다. 이 좌우 각 측판(10)에 내향(內向)의 물막이 오목부(ll)를 횡방향 바깥으로 매끈하게 부풀린다.
계류편(2)의 좌우 각 횡방향 외측부에 좌우 양 지붕판(1)(1)의 각 기립 연결테두리(4)를 배치한다. 각 기립 연결테두리(4)의 피 계류부(5)를 계류편(2)의 좌우 각 계류부(8)로 위에서 받치도록 구성한다.
계류편(2) 및 좌우 양 기립 연결테두리(4)에 걸쳐 캡(3)을 위로부터 씌워 조립하고, 양 기립 연결테두리(4)의 각 물막이 볼록부(6)에 캡(3)의 좌우 각 물막이 오목부(11)를 밖에서 밀착되게 끼워맞춰져 맞닿도록 한다.
상기 지붕판(1)의 좌우 각 물막이 볼록부(6)는, 좌우 각 기립 연결테두리(4)의 상단테두리로부터 지붕판(1) 쪽으로 꺽어내려 형성한다. 각 기립 연결테두리 (4)와 각 물막이 볼록부(6)와의 사이에, 빗물상승 반전공간(26)과 빗물출입 틈새(27)를 상하로 나란히 형성한다.
지붕판(1) 위의 빗물의 일부는, 바람에 의해 기립 연결테두리(4) 쪽에 불려 들어 온 때에, 기립 연결테두리(4)에 따라 불어 올려지고, 빗물출입 틈새(27)로부터 빗물상승 반전공간(26)까지 상승하고 나서 반전하여 낙하하며, 빗물출입 틈새(27)로부터 지붕판(1) 위로 낙하되어 가도록 구성한다.
캡(3)의 좌우 각 측판(10)의 각 물막이 오목부(11)나 각 스커트(12)를 횡방향 외측 하방위치까지 연장시켜서, 스커트(12)의 하단테두리(13)를 지붕판(1)에 맞닿게 하여, 이 스커트(12)와 지붕판(1)과 기립 연결테두리(4)로 둘러싸인 내부에 넓은 완충공간(14)을 형성한다.
상기 지붕판(1)의 좌우 한쌍의 각 기립 연결테두리(4)에 있어서, 그 기립 기초부(l5)에 대하여 그 기립 중도부(16)및 기립 상부(17)를 곧바르게 수직으로 서게 한다. 이에 의해, 그 기립 기초부(15)에 대하여 그 기립 중도부(16) 및 기립 상부(17)가 계류편(2) 쪽으로 진출하지 않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캡(3)의 스커트(12)의 하단테두리(13)는, 지붕판(1)의 기립 연결테두리(4)의 각 부분 및 계류편(2)의 각 부분보다, 지붕판(1)의 중심쪽으로 연장되게 하여 위치시킨 것이다.
도 2ㆍ도 3ㆍ도 4에 있어서, 부호 41은 계류편 고정볼트, 42는 볼트 삽입구멍, 43은 볼트 구멍이다. 이 계류편 고정볼트(41)는, 계류편(2)의 베이스부(7)를 건물(23)의 지붕벽(24)에 고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실시예 1의 구성에서, 그 일부를 다음과 같이 변경하는 것이 고려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요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상기 캡(3)의 천정판(9)과 좌우 각 측판(10) 사이에, 곡률 반경이 큰 각각의 대경 원호 볼록부(20)를 개재시킨다. 이 대경 원호 볼록부(20)는 천정판(9)에 대한 양 측판(10)의 개폐 요동방향의 최대 탄성변형 치수를 확대하도록 구성된다.
도면 중, 부호 44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캡 받이구이다. 이 캡 받이구(44)는, 계류편(2)과 조립되어 이 계류편(2) 위에 얹혀지고, 캡(3)의 천정판(9)을 받침으로써, 캡(3)의 조립부착시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나타내는, 요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상기 캡(3)의 좌우 각 스커트(12)의 하단테두리(13)는, 상기 지붕판(1)에 맞닿게 하는 대신 지붕판(1)으로부터 진애 유출용 틈새(21)를 띄워서 위치시킨다. 이 진애 유출용 틈새(21)의 치수는 상기 완충공간(14) 높이의 1/3 이하인 좁은 치수로 설정한다.
이 좁은 진애 유출용 틈새(21)를 통해 완충공간(14)을 지붕판(1) 위의 외부공간(22)에 연통시켜 구성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나타내는, 요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이 실시예 4는, 도 7로 나타내는 상기 실시예 3과, 도 6에 나타내는 상기 실시예 2 중에서, 대경 원호 볼록부(20)와 캡 받이구(44)를 추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로 지붕이음형 금속지붕판 상호간의 연결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A. 강풍에 의해 기립 연결테두리(4)에 따라 불어 올려져온 빗물은, 빗물상승 반전공간(26)까지 상승하고 나서 반전하여 낙하하며, 빗물출입 틈새(27)로부터 지붕판(1) 위로 낙하하여 가기 때문에, 기립 연결테두리(4)의 물막이 볼록부(6)와 캡(3)의 물막이 오목부(11)와의 밀착되게 끼워맞춰진 맞닿은 면 사이에 강하게 밀려 들어가는 경우가 없어지기 때문에, 비바람이 강할 때라도 빗물이 지붕판(1)(1) 상호간의 연결부에서 건물(23)의 지붕벽(24) 안으로 새는 것을 강력히 방지한다.
폭풍우나 태풍 등과 같이 비바람이 강하게 불어닥칠 때에는, 지붕판(1) 위를 흐르는 빗물의 일부는 강풍에 의해 강하게 밀려 기립 연결테두리(4)에 따라 상승하고, 캡(3) 측판(10)의 물막이 오목부(11)와 지붕판(1)의 기립 연결테두리(4)의 물막이 볼록부(6)와의 밀착되게 끼워맞춰진 맞닿은 면 사이를 상향으로 통과하여, 캡(3) 안에서 흘러 내리고 좌우 양 기립 연결테두리(4)(4)의 대향면 사이를 지나, 건물(23)의 지붕벽(24)으로부터 건물(23) 안으로 침입하여 새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 1에서는, 지붕판(1) 위의 빗물의 일부가, 강풍에 의해 기립 연결테두리(4) 쪽으로 들어온 때에, 기립 연결테두리(4)에 따라 불어 올려지고, 빗물출입 틈새(27)로부터 빗물상승 반전공간(26)까지 상승하고 나서 반전하여 낙하하며, 빗물출입 틈새(27)로부터 지붕판(1) 위로 낙하하여 간다.
이로 인해, 강풍에 의해 기립 연결테두리(4)를 따라 불어 올려져 온 빗물은, 이 기립 연결테두리(4)의 물막이 볼록부(6)와 캡(3)의 물막이 오목부(ll)와의 밀착되게 끼워맞춰진 맞닿은 면 사이를 상향으로 통과하지 않게 되므로, 비바람이 강할 때라도 빗물이 지붕판(1)(1) 상호간의 연결부에서 건물(23)의 지붕벽(24)으로 새는 것을 강력히 방지할 수 있다.
B. 캡(3)이 외란력으로 빠져나가려 할 때에는, 양 물막이 볼록부(6)(6)는 좌우 양 횡방향 바깥쪽으로 확장되어 나와 양 물막이 오목부(ll)(ll)와의 끼워맞춤이 강하게 되어지므로, 캡(3)이 외란력에 의해 빠져나가는데 대하여 견디는 힘이 강하게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3)의 좌우 물막이 오목부(ll)(ll)가 좌우 지붕판(1)(1)의 양 기립 연결테두리(4)(4)의 물막이 볼록부(6)(6)에 위로부터 끼워맞춰져, 캡(3)이 지붕판(1)(1) 상호간의 연결부에 조립 부착된다.
이 도 2의 조립부착 후의 상태에 있어서, 캡(3)이 어떠한 외란력으로 들어 올려지려고 하는 경우, 캡(3)의 좌우 양 물막이 오목부(ll)(11)를 통하여, 이것에 안에서 끼워 맞춰지는 양 물막이 볼록부(6)(6)가 밀어 올려지려고 하게 된다.
이 양 물막이 볼록부(6)(6)는, 양 물막이 오목부(11)(11)에 의해 밀어 올려지려고 하게 되면, 각 기립 연결테두리(4)(4)의 상단테두리를 지점으로 하여 좌우 양 횡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양 물막이 오목부(11)(11)와의 끼워맞춤이 강하게 되어진다. 이 때문에, 캡(3)이 외란력에 의해 빠져나가는데 견디는 힘이 강하게 된다.
본 발명 2는, 상기 본 발명 1의 효과 [A] 및 [B]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C. 지붕판(1) 위의 빗물이 스커트(12) 안으로 유입되기 어렵게 될 뿐만 아니라, 스커트(12) 내부의 넓은 완충공간(14)에 의해 실속ㆍ낙하하기 때문에, 비바람이 강할 때라도 빗물이 지붕판(1)(1) 상호간의 연결부에서 건물(23)의 지붕벽(24) 안으로 새는 것을 보다 강력히 방지한다.
본 발명 2에서는, 강풍으로 스커트(12) 안으로 밀려 들어오려 하는 지붕판(1) 위의 빗물은, 스커트(12)의 하단테두리(13)가 지붕판(1)에 맞닿아 있기때문에, 그 빗물의 대부분이 이 맞닿은 면 사이로 부터 스커트(12) 안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빗물의 극히 일부가 스커트(12) 안에 침입하였다고 해도, 그 맞닿은 면 사이로부터 넓은 완충공간(14)으로의 급격한 확대에 의해, 그 침입수(侵入水)의 흐름의 세기가 급속히 약해진다. 이 기세가 약해진 침입수는, 지붕판(1)으로부터 기립 연결테두리(4)에 충돌하여 용이하게 되튀겨지고 넓은 완충공간(14) 내부를 부드럽게(smooth) 낙하하여, 스커트 하단테두리(13)와 지붕판(1)과의 맞닿은 면 사이로부터 밖으로 부드럽게 유출되어 간다.
이로 인해, 그 완충공간(14) 내부의 침입수가 물막이 볼록부(6)와 물막이 오목부(ll)와의 맞닿은 면 사이를 상향으로 통과하는 경우가 거의 없어져, 비바람이 강할 때라도 빗물이 지붕판(1)(1) 상호간의 연결부로부터 건물(23)의 지붕벽(24) 안으로 새는 것을 한층 강력히 방지할 수가 있다.
D. 스커트(12)의 하단테두리(13)가 지붕판(1)을 누르고 있기 때문에, 강풍이 일으키는 부압에 의해 지붕판(1)이 건물(23)의 지붕벽(24)으로부터 잡아당겨져 벗겨지는 것을 강력히 방지한다.
폭풍이나 태풍 등과 같이 바람이 강하게 불어닥칠 때에는, 바람이 일으키는 부압에 의해 지붕판(1)이 빨아 올려져, 건물(23)의 지붕벽(24)으로부터 잡아당겨져 벗겨지려고 하게 된다. 본 발명 2에서는, 스커트(12)의 하단테두리(13)가 지붕판(1)을 누르고 있기 때문에, 강풍이 일으키는 부압에 의해 지붕판(1)이 건물(23)의 지붕벽(24)으로부터 잡아당겨져 벗겨지는 것을 강력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 3은, 상기 본 발명 1의 효과[A] 및[B]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E. 계류편(2)은 지붕판(1)에 대하여, 단지 맞닿게 하는 것 만으로 자동적으로 횡방향에 정확히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미리 계류편(2)(2) 상호간의 부착피치를 측정하여 줄표시를 해놓는다고 하는, 계류편 횡방향 부착피치의 예비 줄표시 작업(묵 줄표시 작업)을 생략할 수가 있는 만큼, 지붕판(1)의 연결 고정작업을 간소화하여 그 작업능률을 대폭 높인다.
건물(23)의 지붕벽(24)에 이미 고정한 지붕판(1)의 기립 연결테두리(4)에 대하여, 계류편(2)을 사이에 두고, 그 다음 고정된 지붕판(1)의 기립 연결테두리(4)을 밀어 부칠 때에, 기립 연결테두리(4)의 기립 기초부(15)가 계류편(2)에 맞닿기 때문에, 기립 연결테두리(4)가 요동 변형되는 경우가 없고, 계류편(2)이 지붕판(1)에 대하여 단지 맞닿게 하는 것 만으로 자동적으로 횡방향에 정확히 위치 결정된다.
이로 인해, 건물(23)의 지붕벽(24) 전면에 지붕판(1)을 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나란히 연결 고정하여 가기 전에, 미리 계류편(2)(2) 상호간의 부착피치를 측정하여 줄표시해 놓는다고 하는, 계류편 횡방향 부착피치의 예비 줄표시작업(묵 줄표시작업)을 생략할 수가 있는 만큼, 지붕판(1)의 연결 고정작업을 간소화하여 그 작업능률을 대폭 높일 수 있다.
F. 강풍으로부터 생기는 부압에 의한 지붕판(1)의 흡상력이 기립 연결테두리(4)의 기립 기초부(15)를 구부려 올리지 않기 때문에, 강풍으로부터 생기는 부압으로 지붕판(1)이 건물(23)의 지붕벽(24)으로부터 잡아당겨져 벗겨지는 것을 강력히 방지한다.
강풍시에, 지붕판(1)이 부압으로 빨아 올려지려 할 때에, 기립 연결테두리(4)의 피 계류부(5)가 계류편(2)의 계류부(8)에 의해 받쳐지는 계류부분에 대하여, 기립 연결테두리(4)의 기립 기초부(15)가 그 수직방향 아래 부근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강풍으로부터 생기는 부압에 의한 지붕판(1)의 흡상력이 기립 연결테두리(4)의 기립 기초부(15)를 밀어 올리려고 하는 힘은, 대부분 상기 계류부(8)에 흡수되고, 피 계류부(5)를 지점으로 하여 기립 기초부(15)를 구부려 올리려고 하는 힘으로 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강풍으로부터 생기는 부압에 의한 지붕판(1)의 흡상력이 기립 연결테두리(4)의 기립 기초부(15)를 구부려 올리지 않기 때문에, 강풍으로부터 생기는부압에 의해 지붕판(1)이 건물(23)의 지붕벽(24)으로부터 잡아당겨져 벗겨지는 것을 강력히 방지한다.
본 발명 4는, 상기 본 발명 1의 효과[A] 및 [B]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G. 작업자가 캡(3)을, 단지 양 기립 연결테두리(4)(4) 및 계류편(2)에 얹어, 발로 밟아 부착하는 것 만으로, 이 캡(3)을 양 기립 연결테두리(4)(4) 및 계류편(2)에 밖으로부터 끼워 조립하여 갈 수 있어, 이 캡(3)의 조립작업을 간소화ㆍ고능률화 할 수가 있다.
좌우 지붕판(1)(1)의 양 기립 연결테두리(4)(4)를, 계류편(2)에 의해건물(23)의 지붕벽(24)에 연결 고정한 후, 캡(3)을 양 기립 연결테두리(4)(4) 및 계류편(2)에 씌워 부착 조립한다.
이 캡(3)을 양 기립 연결테두리(4)(4) 및 계류편(2)에 얹을 때에, 캡(3)의 좌우 스커트(12)(12)의 양 하단테두리(13)(13)가 양 기립 연결테두리(4)(4) 및 계류편(2)의 전체 폭을 덮기 때문에, 작업자가 캡(3)을 단지 양 기립 연결테두리(4)(4) 및 계류편(2)에 얹고 발로 밟아 나감으로써, 이 캡(3)을 양 기립 연결테두리(4)(4) 및 계류편(2)의 바깥으로부터 끼워 조립해 나갈 수 있다. 이에 의해, 이 캡(3)의 조립작업을 간소화ㆍ고능률화 할 수 있다.
본 발명 5는, 상기 본 발명 1의 효과[A] 및[B]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H. 대경 원호 볼록부(20)는 소성변형하기 어렵고 탄성 복원력이 안정하기 때문에, 물막이 오목부(ll)와 물막이 볼록부(6)와의 끼워맞춤 면압이 고정밀도로 유지되고, 이 끼워맞춘 면 사이에서의 물막이 성능이 높게 유지되어, 빗물이 이 끼워맞춘 면 사이를 통과하여 건물(23)의 지붕벽(24)에 침입하여 새는 것을 한층 강력하게 방지할 수 있다.
캡(3)을 좌우 지붕판(1)(1)의 양 기립 연결테두리(4)(4) 및 계류편(2)에 씌워 조립하여 가는 경우에 있어서, 캡(3)의 물막이 오목부(ll)가 기립 연결테두리(4)의 물막이 볼록부(6)에 올라앉고 나서 끼워맞춤 할 때에, 캡(3)의 스커트(12) 및 측판(10)이 좌우 외측으로 밀리고 넓혀져 대경 원호 볼록부(20)가 탄성변형한다.
이 대경 원호 볼록부(20)는, 캡(3)의 천정판(9)에 대한 좌우 양 측판(10)(l0)의 개폐 요동방향의 최대 탄성변형 치수를 확대시키고 있으므로, 소성변형하기 어렵게 되어 탄성 복원력이 안정하기 때문에, 물막이 오목부(ll)와 물막이 볼록부(6)와의 끼워맞춤 면압이 설계치에 고정밀도로 유지되고, 이 끼워맞춘 면 사이에서의 물막이 성능이 높게 유지되어, 빗물이 이 끼워맞춘 면 사이를 통과하여 건물(23)의 지붕벽(24)에 침입하여 새는 것을 한층 강력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 6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I. 지붕판(1) 위의 빗물은, 스커트(12) 안으로 자유롭게 다량으로 유입되기 어려워 질 뿐만 아니라 스커트(12) 내부의 넓은 완충공간(14)에서 실속ㆍ낙하하기 때문에, 비바람이 강할 때라도 빗물이 지붕판(1)(1) 상호간의 연결부에서 건물(23)의 지붕벽(24) 안으로 새는 것을 강력히 방지한다.
본 발명 6에서는, 폭풍우나 태풍시 등과 같이 강풍으로 지붕판(1) 위의 빗물이 스커트(l2) 안으로 밀려 들어오려고 하는 흐름은, 좁은 진애 유출용 틈새(21)로 제한된다. 이 때문에, 그 빗물이 스커트(12)로 자유롭게 다량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 빗물의 일부가 스커트(12) 안에 침입하였다고 해도, 그 맞닿은 면 사이에서 넓은 완충공간(14)으로의 급격한 확대에 의해 그 침입수의 흐름의 기세가 급속히 약해진다. 이 기세가 약해진 침입수는, 지붕판(1)으로부터 기립 연결테두리(4)에 충돌하여 용이하게 되튀겨지고, 넓은 완충공간(14) 내부를 부드럽게 낙하하여, 스커트 하단테두리(13)와 지붕판(1)과의 맞닿은 면 사이로부터 밖으로 유출되어 간다.
이에 의해, 그 완충공간(14) 내부의 침입수는 물막이 볼록부(6)와 물막이 오목부(ll)의 맞닿은 면 사이를 상향으로 통과하는 경우가 거의 없어져, 비바람이 강할 때라도 빗물이 지붕판(1)(1) 상호간의 연결부에서 건물(23)의 지붕벽(24) 안으로 새는 것을 강력히 방지할 수 있다.
J. 지붕판(1) 위를 흐르는 빗물이, 완충공간(14) 안에 모여 있는 진애를 진애 유출용 틈새(21)로부터 외측으로 씻어 버려감으로써, 완충공간(14) 내부에 축적된 진애와 이것에 흡수된 빗물에 의해 지붕판(1)이 부식되는 것을 해소한다.
외부의 진애가 바람에 불려져, 진애 유출용 틈새(21)로부터 스커트(12) 안의 완충공간(14) 안으로 들어가 여기에 남아있으려 한다.
비가 내릴 때에, 지붕판(1) 위를 흐르는 빗물의 일부가, 진애 유출용 틈새(21)로부터 스커트(12) 내부의 완충공간(14) 내부에 유입되어, 여기에 모여 있는 진애를 진애 유출용 틈새(21)로부터 외측으로 씻겨 흘러나오게 한다.
이에 의해, 완충공간(14) 안에 진애가 축적하여 가는 경우가 없어져, 여기에 축적된 진애와 이것에 흡수된 빗물로 지붕판(1)이 부식되는 것을 해소하여, 지붕판(1)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6)

  1. 금속판제의 지붕판(1)과, 계류편(2)과, 캡(3)을 구비하고,
    지붕판(1)의 좌우 각 옆테두리를 꺽어올려서 좌우 각 기립 연결테두리(4)를 형성하며, 이 기립 연결테두리(4)의 상부에 피 계류부(5)를 형성하고, 이 기립 연결테두리(4)와 일체로 물막이 볼록부(6)를 지붕판(1) 쪽으로 매끄럽게 부풀려 형성하며,
    계류편(2)의 하부에 건물(23)의 지붕벽(24)에 고정되는 베이스부(7)를 형성하고, 계류편(2)의 상부에 좌우 한쌍의 계류부(8)를 형성하며,
    캡(3)의 천정판(9)의 좌우 양쪽 테두리로부터 좌우 한쌍의 각 측판(10)을 꺽어내려 형성하고, 이 좌우 각 측판(10)에 내향(內向)의 물막이 오목부(ll)를 횡방향 바깥쪽으로 매끄럽게 부풀리며,
    계류편(2)의 좌우 각 횡방향 외측부에 좌우 양 지붕판(1)(1)의 각 기립 연결테두리(4)를 배치하고, 각 기립 연결테두리(4)의 피 계류부(5)를 계류편(2)의 좌우 각 계류부(8)로 위로부터 받치도록 구성하며,
    계류편(2) 및 좌우 양 기립 연결테두리(4)에 걸쳐서 캡(3)을 위로부터 씌워 부착하고, 양 기립 연결테두리(4)의 각 물막이 볼록부(6)에 캡(3)의 좌우 각 물막이 오목부(ll)를 바깥에서 밀착되게 맞닿게 하여 구성한 세로 지붕이음형 금속지붕판 상호간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붕판(1)의 좌우 각 물막이 볼록부(6)는 좌우 각 기립 연결테두리(4)의 상단테두리로부터 지붕판(1) 쪽으로 꺽어내려 형성하고,
    각 기립 연결테두리(4)와 각 물막이 볼록부(6)와의 사이에, 빗물상승 반전공간(26)과 빗물출입 틈새(27)를 상하로 나란히 형성하며,
    지붕판(1) 위의 빗물의 일부는, 바람에 의해 기립 연결테두리(4) 쪽으로 들어온 때에, 기립 연결테두리(4)에 따라 불어 올려지고, 빗물출입 틈새(27)로부터 빗물상승 반전공간(26)까지 상승하고 나서 반전하여 낙하하며, 빗물출입 틈새(27)로부터 지붕판(1) 위로 낙하하여 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 지붕이음형 금속지붕판 상호간의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캡(3)의 좌우 각 측판(10)의 각 물막이 오목부(ll)로부터 각 스커트(12)를 횡방향 외측 하방위치까지 연장시켜, 스커트(12)의 하단테두리(13)를 지붕판(1)에 맞닿게 하여, 이 스커트(12)와 지붕판(1)과 기립 연결테두리(4)로 둘러싸인 내부에 넓은 완충공간(1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 지붕이음형 금속지붕판 상호간의 연결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판(1)의 좌우 한쌍의 각 기립 연결테두리(4)에 있어서, 그 기립 기초부(15)에 대하여 그 기립 중도부(16) 및 기립 상부(17)가 계류편(2) 쪽으로 진출하지 않는 모양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 지붕이음형 금속지붕판 상호간의 연결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3)의 스커트(12)의 하단테두리(13)는, 지붕판(1)의 기립 연결테두리(4)의 각 부분 및 계류편(2)의 각 부분보다 지붕판(1)의 중심쪽으로 연장시켜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 지붕이음형 금속지붕판 상호간의 연결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3)의 천정판(9)과 좌우 각 측판(10) 사이에, 곡률반경이 큰 각각의 대경(大徑) 원호 볼록부(20)를 개재시켜, 이 대경 원호 볼록부(20)가 천정판(9)에 대한 양 측판(10)의 개폐 요동방향의 최대 탄성변형 치수를 확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 지붕이음형 금속지붕판 상호간의 연결구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3)의 좌우 각 스커트(12)의 하단테두리(13)를 상기 지붕판(1)에 맞닿게 하는 대신에, 지붕판(1)으로부터 진애 유출용 틈새(21)를 띄워서 위치시키되, 이 진애 유출용 틈새(21)의 치수는 상기 완충공간(14) 높이의 1/3 이하의 좁은 치수로 설정하고,
    이 좁은 진애 유출용 틈새(21)를 통해 완충공간(14)을 지붕판(1) 위의 외부공간(22)에 연통켜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 지붕이음형 금속지붕판 상호간의 연결구조.
KR10-2001-0002595A 2000-06-19 2001-01-17 세로 지붕이음형 금속지붕판 상호간의 연결구조 KR1003868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83270 2000-06-19
JP2000183270A JP3371106B2 (ja) 2000-06-19 2000-06-19 縦葺き型金属屋根板同士間の連結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453A KR20010113453A (ko) 2001-12-28
KR100386888B1 true KR100386888B1 (ko) 2003-06-12

Family

ID=18683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595A KR100386888B1 (ko) 2000-06-19 2001-01-17 세로 지붕이음형 금속지붕판 상호간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371106B2 (ko)
KR (1) KR1003868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367A (ko) * 2002-10-22 2004-04-29 임직수 동(銅)기와의 시공방법
KR100949394B1 (ko) * 2007-12-21 2010-03-25 주식회사 포스코 지붕조립체
CN103866924B (zh) * 2012-12-17 2016-04-06 上海建工五建集团有限公司 直立锁边屋面结构
CN113374184B (zh) * 2021-06-24 2022-07-08 深圳粤源建设有限责任公司 一种金属抗风掀的屋顶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4463A (ja) * 1984-12-05 1986-06-21 元旦ビユーティ工業株式会社 葺替縦葺屋根
JPS6458753A (en) * 1987-08-29 1989-03-06 Sanko Metal Ind Fitting package
JPH01207555A (ja) * 1988-02-15 1989-08-21 Funaki Shoji Kk 縦葺き屋根構造
JPH01239250A (ja) * 1988-03-18 1989-09-25 Funaki Shoji Kk 縦葺き屋根用の屋根板及び縦葺き屋根
JPH08246610A (ja) * 1995-01-09 1996-09-24 Daido Steel Sheet Corp 屋根板材の接続構造
JPH0960207A (ja) * 1995-08-22 1997-03-04 Daido Kenzai Kogyo Kk 屋根板材の接続構造
JPH1061121A (ja) * 1997-07-07 1998-03-03 Yodogawa Steel Works Ltd 屋根板と屋根板の接合構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4463A (ja) * 1984-12-05 1986-06-21 元旦ビユーティ工業株式会社 葺替縦葺屋根
JPS6458753A (en) * 1987-08-29 1989-03-06 Sanko Metal Ind Fitting package
JPH01207555A (ja) * 1988-02-15 1989-08-21 Funaki Shoji Kk 縦葺き屋根構造
JPH01239250A (ja) * 1988-03-18 1989-09-25 Funaki Shoji Kk 縦葺き屋根用の屋根板及び縦葺き屋根
JPH08246610A (ja) * 1995-01-09 1996-09-24 Daido Steel Sheet Corp 屋根板材の接続構造
JPH0960207A (ja) * 1995-08-22 1997-03-04 Daido Kenzai Kogyo Kk 屋根板材の接続構造
JPH1061121A (ja) * 1997-07-07 1998-03-03 Yodogawa Steel Works Ltd 屋根板と屋根板の接合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004513A (ja) 2002-01-09
JP3371106B2 (ja) 2003-01-27
KR20010113453A (ko) 200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6888B1 (ko) 세로 지붕이음형 금속지붕판 상호간의 연결구조
CN113614310B (zh) 用于翻板闸门的水密结构和包括水密结构的翻板闸门
KR100386890B1 (ko) 세로 지붕이음형 금속 지붕판 상호간의 연결구조
KR100386889B1 (ko) 세로 지붕이음형 금속지붕판 상호간의 연결구조
JPH0762375B2 (ja) 縦葺き屋根構造及びその施工法
JP2001095129A (ja) 電気接続箱の排水構造
JP3903261B2 (ja) サッシ
JP7267616B2 (ja) 屋根材
JP7153480B2 (ja) 建物用庇
CN214941756U (zh) 一种房屋导水槽
CN212535501U (zh) 一种门窗排水结构及门窗型材堵头结构
JP3123775U (ja) 採光用天窓付屋根装置
CN217128775U (zh) 一种金属坡屋面天沟连接处的防渗漏导流扣件
CN219952893U (zh) 组装方便的帐篷顶扣插结构
CN214675031U (zh) 一种新型光伏组件边框
US20230323670A1 (en) Eaves gutter
JP2023033159A (ja) 外壁目地の防水構造
CN112928981A (zh) 一种光伏组件的表面排污结构
JP3528706B2 (ja) 屋根の止水構造
JPH0735957Y2 (ja) 採光板支持装置及び天窓
JP3984987B2 (ja) 縦葺き型金属屋根板同士間の防水連結構造
JP3531292B2 (ja) 外壁パネルの目地構造及びガスケット付外壁パネル
JP2024095464A (ja) 屋根構造物の雨樋構造及び屋根構造物
JPH0326868Y2 (ko)
JP3063980U (ja) 屋根材及び屋根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