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6789B1 - 다용도 용액배출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용액배출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86789B1 KR100386789B1 KR10-2000-0060801A KR20000060801A KR100386789B1 KR 100386789 B1 KR100386789 B1 KR 100386789B1 KR 20000060801 A KR20000060801 A KR 20000060801A KR 100386789 B1 KR100386789 B1 KR 1003867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ston
- cylinder
- solution
- discharge
- outle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식용유, 물엿 등의 식료품 및 샴푸, 화정품 등의 각종 용액이 담겨 있는 합성수지재 등과 같은 탄력성 있는 용기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고 용이하게 용액을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피스톤과, 피스톤에 연결되는 배출마개와, 피스톤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하향식 용액배출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액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량조절장치를 포함하는 하향식 용액배출기를 제공하기도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기에 압력을 가하여 용기내의 용액을 배출하는 하향식 용액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향식 용액배출장치로는 하향식 용기마개(실용신안등록번호:1991-0006885)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하향식 용기마개는 용기에 가하고 있던 압력을 제거하면 미처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고 유입구 및 유출실내에 잔류하던 용액중 일부가 유입실로 흡입되는 장점은 있으나, 유출구부분에 잔류하던 용액이 유입실로 흡입되어 유출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면 유입구 및 유출실내에 잔류하던 용액의 연속성이 깨어지고(특히, 유출실 하부의 경우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진다.) 따라서, 공기가 유입공을 통해 인입되므로 여전히 유입구 및 유출실내에 용액이 잔류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하향식 용기마개는 용액의 점성이 큰 경우 유입실내에 잔류하는 용액이 유입실내부의 탄지스프링과 점착되므로 하향식 용기마개의 수명 종료시 유입실내에 잔류하는 용액의 수거에 어려움이 뒤따르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하향식 용기마개는 용기내의 압력이 원상회복되는 단계에서 유입구 및 유출실내에 잔류하던 용액을 유입공내로 일부 인입하므로 용액의 점성이 큰 경우 용기내의 압력이 원상회복되는데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출마개가 배출구를 닫고 있는 경우 배출마개의 바깥단부와 배출구의 말단부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출구내에 용액이 잔류하여 대기중의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향식 용액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용액이 스프링 등과 같은 요소와 접촉하지 않게 하여 용액배출장치의 수명종료시 용액배출장치에 잔류하는 용액을 손쉽게 수거할 수 있는 하향식 용액배출장치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내의 압력이 원상회복되는 단계에서 용액배출장치내로공기만이 인입되어 용기내의 압력이 원상회복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하향식 용액배출장치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액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량조절장치를 구비하는 하향식 용액배출장치를 제공하기도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액배출기의 대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액배출기의 개략적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액배출기에 있어서 몸체와 실린더의 개략도.
도4는 도3의 B-B선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액배출기에 있어서 피스톤의 개략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용액배출기에 있어서 노즐의 개략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용액배출기에 있어서 다이아프램의 개략도.
도8a는 본 발명에 따른 용액배출기에 있어서 배출량 조절장치의 개략도.
도8b는 본 발명에 따른 용액배출기에 있어서 배출량 조절장치의 작동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용기 12: 접속부
14: 배출구 20: 몸체
22:안착부 22a: 스톱볼정지홈
30: 실린더 40: 다이아프램 지지구멍
50: 피스톤 50a: 피스톤씰
52: 피스톤로드 60: 배출마개
70: 실린더중간벽 72: 피스톤로드 지지구멍
74: 내부통기공 76: 외부통기공
80: 탄성부재 90: 다이아프램 지지막대
92: 다이아프램 94: 이탈방지대
100: 배출량조절장치 102: 배출량스위치
102a: 회전돌기 102b: 스톱볼
102c: 배출량조절표시부
104: 스위치 지지막대 106: 배출량조절캠
200: 배출량조절장치 설치구멍
302: 패킹 304: 스위치 고정나사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용기의 하부에 연결되는 접속부와, 용액이 배출되는 배출구와, 접속부 및 배출구가 연결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 내부에 형성되어 일측 말단은 몸체의 내부에 개방되고 타측 말단은 몸체의 내부와 통하는 다이아프램 지지구멍을 갖는 실린더와, 실린더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대기와 통하는 외부통기공과, 실린더에 삽입되는 피스톤과, 피스톤에 연결되어 피스톤이 이동함에 따라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마개와,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피스톤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다이아프램 지지구멍에 삽입되는 다이아프램 지지막대와, 다이아프램 지지막대의 일측 말단에 연결되어 실린더의 외부에 설치되는 다이아프램을 포함하는 용액배출기에 있어서, 배출마개의 단면적은 피스톤의 단면적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배출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용액배출기에 있어서, 피스톤에는 피스톤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피스톤로드가 연결되고, 실린더의 일측 말단과 타측 말단 사이에는 피스톤로드가 삽입되는 피스톤로드 지지구멍을 갖는 실린더중간벽이 형성되고, 실린더중간벽에는 피스톤로드 지지구멍 주위에 실린더의 일측 말단과 타측 말단이 통하도록 내부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배출기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액배출기의 대표도를,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액배출기의 개략적 평면도를,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액배출기에 있어서 몸체와 실린더의 개략도를, 도4는 도3의 B-B선의 단면도를,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액배출기에 있어서 피스톤의 개략도를,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용액배출기에 있어서 노즐의 개략도를,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용액배출기에 있어서 다이아프램의 개략도를, 도8a는 본 발명에 따른 용액배출기에 있어서 배출량 조절장치의 개략도를, 도8b는 본 발명에 따른 용액배출기에 있어서 배출량 조절장치의 작동도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액배출기는 용기(10)의 하부에 연결되는 접속부(12)와 용액이 배출되는 배출구(14)를 갖는다. 배출구(14)는 용액이 배출되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원추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원통형 또는 기타의 형상일 수도 있다.
도1,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액배출기는 몸체(20)와 실린더(30)를 갖는다. 배출구(14)는 몸체(20)에 연결되는데, 몸체(2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실린더(30)는 몸체(20) 내부에 형성되어 실린더(30)의 측면부를 통하여 몸체 (20)에 연결된다. 실린더(30)의 일측 말단은 몸체(20)의 내부에 개방되고, 타측 말단은 몸체(20)의 내부와 통하는 다이아프램 지지구멍(40)을 갖는다.
도1을 참조하면, 실린더(30)에는 피스톤(50)이 삽입된다. 도1, 도5를 참조하면, 피스톤(50)은 실린더(30)와 긴밀하게 접촉하도록 외측면이 피스톤씰(50a)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스톤(50)의 일측 말단에는 피스톤로드 (52)가 연결되고, 타측 말단에는 배출마개(60)가 연결된다. 피스톤로드(52)의 단면적은 피스톤(50)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1, 도6을 참조하면, 배출마개(60)는 배출구(14)와 밀착하도록 형성하고, 배출마개(60)가 배출구(14)를 막고 있는 경우 배출마개(60)의 바깥 단부가 배출구(14)의 말단부와 일치하거나 배출구 밖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배출구(14)가 원추형인 경우 배출마개 (60)는 배출구(14)와의 접촉부가 원추형이 되도록 하고, 배출마개(60)의 원추면중 최소단면의 지름은 배출구(14)의 말단부의 내측지름과 같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액배출기는 배출마개(60)가 배출구(14)를 막고 있는 경우 용액배출기 내에 압력을 가할 때, 피스톤(50) 이동방향으로 배출마개(60)보다 피스톤(50)에 상기 압력에 의한 힘이 크게 작용하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배출구 (14) 및 배출마개(60)중 배출구(14)와의 접촉부가 원추형인 경우 배출마개(60)의 원추면중 최대 지름부(A-A)의 단면적은 피스톤의 단면적보다 작아야 한다.
도1, 도3을 참조하면, 피스톤(50)은 일측 말단과 타측 말단 사이에 실린더(30) 내부를 분할하는 실린더중간벽(70)을 갖는다. 실린더중간벽(70)에는 피스톤로드(52)가 삽입되는 피스톤로드 지지구멍(72) 및 실린더(30)의 일측 말단과타측 말단이 통하도록 하는 내부통기공(74)이 형성된다.
도2, 도4를 참조하면, 몸통(20) 및 실린더(30)의 측면부를 관통하여 대기와 통하는 외부통기공(76)이 형성되는데, 외부통기공(76)은 실린더중간벽(70)과 실린더(30)의 일측 말단 사이에 형성되도록 한다. 외부통기공(76)을 실린더중간벽(70)과 실린더(30)의 타측 말단 사이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내부통기공(74)을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다.
도1을 참조하면, 피스톤로드(52)에는 탄성부재(80)가 끼워지는데 탄성부재 (80)는 피스톤(50)과 실린더중간벽(70) 사이에 설치된다. 탄성부재(80)의 탄성력은 용액배출기에 부가적인 힘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배출마개(60)가 배출구(14)를 막기에 충분하도록 한다.
도1, 도3을 참조하면, 다이아프램 지지구멍(40)에는 다이아프램 지지막대 (90)가 삽입된다. 다이아프램 지지막대(90)는 다이아프램 지지구멍(40)에 헐겁게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한다. 한편, 다이아프램 지지막대(90)의 일측 말단에는 다이아프램(92)이 연결되어 실린더(30)의 바깥쪽에 설치된다. 다이아프램(92)은 실린더(30)의 타측 말단과의 접촉시 다이아프램 지지구멍(40)을 밀봉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1, 도7을 참조하면, 다이아프램 지지막대(90)의 타측 말단에는 다이아프램 지지막대(90)가 다이아프램 지지구멍(4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대(9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 도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액배출기는 배출량조절장치(100)를 포함하는데, 배출량조절장치(100)는 몸통(20)을 관통하여 실린더(30)의 측면에 형성되는 구멍을 통해 설치된다.
도1, 도8a를 참조하면, 배출량조절장치(100)는 몸통(20)과 밀착하여 몸통 (20)의 외부에 설치되는 배출량스위치(102)를 갖는다. 배출량스위치(102)는 배출량스위치(102)를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측면부 또는 상부에 회전돌기(102a)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를 참조하면, 배출량스위치(102)와 몸통(20)은 서로 밀착해야하므로 배출량스위치(102)의 바닥부를 평면으로 한 경우는 몸통(20)중 배출량스위치(102)가 안착하는 안착부(22)의 상부도 평면이 되도록 한다.
도1, 도2를 참조하면, 안착부(22)를 관통하여 실린더(30)의 측면까지 통하는 배출량조절장치 설치구멍(200)이 형성된다. 다시, 도1, 도8a를 참조하면, 배출량스위치(102)의 바닥부는 배출량조절장치 설치구멍(200)에 삽입되는 스위치 지지막대 (104)의 일측 말단에 연결된다. 또한, 스위치 지지막대(104)의 타측 말단에는 배출량스위치(102)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여 피스톤(50)과 접촉함으로써 피스톤(5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배출량조절캠(106)이 연결된다. 이때, 배출량조절캠(106)이 연결되는 스위치 지지막대(104)의 타측 말단부는 피스톤(50)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이 실린더(30)의 내부에 인입되지 않아야 한다.
도1, 도2를 참조하면, 배출량조절장치(100)의 바닥부에는 스톱볼(102b)이 돌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안착부(22)의 상부에는 스톱볼(102b)이 삽입될 수 있는 스톱볼 정지홈(2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8b를 참조하면, 배출량조절장치(100)의 상부 및 배출구의 표면 상부에는 배출량조절캠(106)의 위치를 알 수 있는 배출량조절표시부(102c)를 형성할 수도 있다. 배출량조절캠(106)은배출량스위치(102)의 "C"표시부가 "H"표시부와 일치하면 도8b의 "Closed"의 상태에 있고, "1"표시부가 "H"표시부와 일치하면 도8b의 "1st"의 상태에 있고, "2"표시부가 "H"표시부와 일치하면 도8b의 "2nd"의 상태에 있고, "O"표시부가 "H"표시부와 일치하면 도8b의 "3rd(full open)"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일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용기(10)를 누르면 용기(10)의 내부압력이 증가한다. 한편, 피스톤(50)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피스톤(50)의 단면적을 SP, 배출마개(60)의 원추면중 최대지름부(A-A)의 단면적을 SC, 용액이 피스톤(50)과 배출마개(60)에 작용하는 압력을 P(용액의 높이 차이에 의한 압력차를 무시한다.)라 하면 피스톤(50)에 작용하는 힘은 P*SP이고 배출마개(60)에 작용하는 힘은 P*SC가 되는데, 피스톤(50)의 단면적 SP는 배출마개(60)의 원추면중 최대지름부(A-A)의 단면적 SC보다 크므로, 배출마개(60)가 배출구(14)를 막고 있는 경우 용액이 피스톤(50)에 미치는 힘은 용액이 배출마개(60)에 작용하는 힘보다 크게된다. 따라서, 용기(10)의 내부압력이 탄성부재(80)에 의한 힘(실린더(30) 내부의 대기압에 의한 힘을 포함한다.)을 극복할 만큼 충분히 크게 되면, 피스톤(50) 및 배출마개 (60)가 배출구(14)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마개(60)가 배출구(14)가 열리게 된다.
또한, 배출구(14)가 열리게 되어 배출구(14)를 통하여 용액이 배출되기 시작하면 용액이 배출마개(60)의 원추면 및 원추면 최소지름단부에 접촉하여 압력을 가하게되므로 배출마개(60)를 배출구(14) 반대쪽으로 미는 힘이 순간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배출구(14)가 원활히 열리게 된다.
한편, 배출구(14)를 통하여 용액이 배출되면 용기(10) 내부압력이 낮아지게 되어 피스톤(50) 및 배출마개(60)를 이동시키는 힘은 어느순간 탄성부재(80)에 의한 복원력(실린더(30) 내부의 대기압에 의한 힘을 포함한다.)과 같게 되며, 이때 용액이 조금 더 유출되면 탄성부재(80)에 의한 복원력(실린더(30) 내부의 대기압에 의한 힘을 포함한다.)에 의해 배출마개(60)는 배출구(14)를 막게 된다. 따라서 용액의 배출은 멈추게 된다.
또한, 용액의 배출중이라도 용기(10)에 가한 압력을 제거하면 용액에 작용하는 압력이 낮아지게 되어, 탄성부재(80)에 의한 복원력(실린더(30) 내부의 대기압에 의한 힘을 포함한다.)에 의해 배출마개(60)는 배출구(14)를 막게 된다. 따라서 용액의 배출은 멈추게 된다.
한편, 용기(10)에 가한 압력을 제거하면 용기(10)는 용기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회복되고, 따라서 용기(10)내에 흡인력이 발생하여 다이아프램(92)이 몸체(20) 안쪽으로 이동하여 도1 및 도3에 도시된 다이아프램 지지구멍(40)을 개방하게 된다. 이때 이탈방지대(94)는 다이아프램 지지막대(94)가 다이아프램 지지구멍(4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이아프램 지지구멍(40)이 개방되면 공기가 다이아프램 지지구멍(40)을 통하여 빠른 속도로 유입된다. 이때, 유입된 공기의 양이 배출된 용액의 부피에 상당하게 되면, 용기(10)내의 흡인력이 소멸하게 되어 다이아프램(92)은 다시 다이아프램 지지구멍 (40)을 닫게 된다.
한편, 공기가 다이아프램 지지구멍(40)을 통하여 유입되면 실린더(30) 내부에는 도1, 도3에 도시된 내부통기공(74) 및 도2, 도4에 도시된 외부통기공(76)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기가 보충된다.
한편, 도1, 도3에 도시된 피스톤로드 지지구멍(72)은 피스톤(50)이 원활하게 실린더(30) 내부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동시에 탄성부재(80)의 일측 말단부를 지지함으로써 탄성부재(80)에 탄성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배출마개(60)의 원추면중 최소단면의 지름은 배출구(14)의 말단부의 내측지름과 같거나 작으므로, 배출마개(60)가 열렸다가 닫히는 경우 배출마개(60)의 바깥 단부가 배출구(14)의 말단부와 일치하거나 배출구 밖으로 돌출되어 배출마개(60)의 바깥 단부와 배출구(14)사이에 용액이 잔류하지 않게 된다.
이하, 도8b를 참조하여 배출량조절장치(10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배출량스위치(102)의 "C"표시부가 "H"표시부와 일치하면 도8b의 "Close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50)이 이동하지 못하고(따라서, 용액이 배출되지 못한다,), "1"표시부가 "H"표시부와 일치하면 도8b의 "1st"에 도시된 정도까지 피스톤(50)이 이동할 수 있고, "2"표시부가 "H"표시부와 일치하면 도8b의 "2nd"에 도시된 정도까지 피스톤(50)이 이동할 수 있고, "O"표시부가 "H"표시부와 일치하면 도8b의 "3rd(full open)"에 도시된 정도까지 피스톤(50)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배출량스위치(102)를 회전시켜 용액의 최대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른 일실시예의 경우 유량조절캠(106)은 상기의 실시예의 형상을 갖을 필요는 없으며 원통형 또는 사각통형 등 일정한 형상의 돌기로 이루어지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일실시예의 경우 배출량 조절장치(100)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는 배출량 조절장치(100)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때, 배출량조절장치 설치구멍(200)은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일실시예의 경우 외부통기공(76)이 실린더중간벽(70)과 실린더 (30)의 일측 말단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의 경우 실린더중간벽(70)과 실린더(30)의 타측 말단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때, 내부통기공(74)은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일실시예의 경우 실린더중간벽(70)을 갖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는 실린더중간벽(70)을 갖지 않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때 탄성부재의 일측 말단부는 실린더(30)의 내측에 연결되고 타측 말단부는 피스톤로드(52) 또는 피스톤(5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실시예의 경우 피스톤로드(52)를 갖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의 경우 피스톤로드(52)를 갖지 않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때 탄성부재의 일측 말단부는 실린더(30)의 내측에 연결되고 타측 말단부는 피스톤(5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린더중간벽(70)은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일실시예의 경우 이탈방지대(94)를 갖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일실시예의 경우 다이아프램 지지막대(90)가 다이아프램 지지구멍(40)에서 빠질 염려가 없으면 이탈방지대(94)를 갖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실린더(30) 내부의 체적은 크고, 다이아프램 지지막대(90)의 길이는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접속부(12)는 용기(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되거나, 용기(10)와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연결되는 경우에는 도1에서와 같이 용기 (10)와 보울트ㆍ너트체결이 되도록하고 또한 패킹(302)이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배출량스위치(102)와 스위치 지지막대(104)의 연결은 스위치 고정나사(304)를 통하여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배출마개가 배출구를 닫고 있는 경우 배출마개의 바깥단부와 배출구의 말단부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용기내의 압력이 제거되는 경우 배출구내에 용액이 잔류하여 대기중의 공기와 접촉하는 단점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액이 스프링 등과 같은 요소와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용액배출장치의 수명종료시 용액배출장치에 잔류하는 용액을 손쉽게 수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내의 압력이 원상회복되는 단계에서 용액배출장치내로 공기만이 인입되어 용기내의 압력이 원상회복되는 시간이 단축됨으로써 용액배출장치를 연속하여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량조절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일회의 작동시 최대의 용액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과, 보관시 배출량조절장치를 "Closed" 상태에 둠으로써 오작동에 의해 용액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 용기의 하부에 연결되는 접속부와,용액이 배출되는 배출구와,상기 접속부 및 배출구가 연결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와,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되어 일측 말단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개방되고 타측 말단은 상기 몸체의 내부와 통하는 다이아프램 지지구멍을 갖는 실린더와,상기 실린더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대기와 통하는 외부통기공과,상기 실린더에 삽입되는 피스톤과,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마개와,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와,상기 다이아프램 지지구멍에 삽입되는 다이아프램 지지막대와,상기 다이아프램 지지막대의 일측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외부에 설치되는 다이아프램을 포함하는 용액배출기에 있어서,상기 배출마개의 단면적은 상기 피스톤의 단면적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배출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실린더의 측면부에는 상기 피스톤의 이동거리를 제한하여 용액배출량을조절하는 배출량 조절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배출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피스톤에는 상기 피스톤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피스톤로드가 연결되고,상기 실린더의 일측 말단과 타측 말단 사이에는 상기 피스톤로드가 삽입되는 피스톤로드 지지구멍을 갖는 실린더중간벽이 형성되고,상기 실린더중간벽에는 상기 피스톤로드 지지구멍 주위에 실린더의 일측 말단과 타측 말단이 통하도록 내부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배출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60801A KR100386789B1 (ko) | 2000-10-16 | 2000-10-16 | 다용도 용액배출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60801A KR100386789B1 (ko) | 2000-10-16 | 2000-10-16 | 다용도 용액배출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30213A KR20020030213A (ko) | 2002-04-24 |
KR100386789B1 true KR100386789B1 (ko) | 2003-06-09 |
Family
ID=19693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60801A KR100386789B1 (ko) | 2000-10-16 | 2000-10-16 | 다용도 용액배출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8678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2798B1 (ko) * | 2009-02-25 | 2012-05-08 | 장인석 | 리필팩 용기 |
KR101321495B1 (ko) * | 2012-03-23 | 2013-10-23 | 이문희 | 저장물의 배출 조절 수단을 구비한 기밀용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10147U (ko) * | 1988-01-13 | 1989-07-25 | ||
KR910006885Y1 (ko) * | 1988-10-28 | 1991-09-16 | 윤용문 | 하향식 용기마개 |
JPH1111549A (ja) * | 1997-06-17 | 1999-01-19 | Pentel Kk | 吐出容器の吐出口 |
KR20000016107U (ko) * | 1999-01-25 | 2000-08-25 | 김선수 | 펌프 디스펜서의 토출량 조절구조 |
-
2000
- 2000-10-16 KR KR10-2000-0060801A patent/KR10038678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10147U (ko) * | 1988-01-13 | 1989-07-25 | ||
KR910006885Y1 (ko) * | 1988-10-28 | 1991-09-16 | 윤용문 | 하향식 용기마개 |
JPH1111549A (ja) * | 1997-06-17 | 1999-01-19 | Pentel Kk | 吐出容器の吐出口 |
KR20000016107U (ko) * | 1999-01-25 | 2000-08-25 | 김선수 | 펌프 디스펜서의 토출량 조절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30213A (ko) | 2002-04-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371579B1 (en) | Valve mechanism for tube-type fluid container | |
EP0020840B1 (en) | Manual liquid dispensing device for spraying liquid | |
US4964544A (en) | Push up dispenser with capsule valve | |
KR101508499B1 (ko) | 탄성버튼을 이용한 압출식 화장품 용기 | |
KR920700779A (ko) | 액체 분출기 | |
KR200282746Y1 (ko) | 화장품용기의 노즐개폐장치 | |
CA1232582A (en) | Cream-state fluid container | |
CA2369546A1 (en) | Self-closing fluid dispensing closure | |
CN110831703B (zh) | 具有通风的瓶的液体分配器以及用于其的排出头 | |
US20080017670A1 (en) | Pump Dispenser | |
US4083476A (en) | Snap device for manually actuated liquid-atomizing pumps | |
KR100386789B1 (ko) | 다용도 용액배출기 | |
US4310107A (en) | Manually operated, trigger actuated diaphragm pump dispenser | |
JPH03182688A (ja) | 手動ポンプ | |
KR100319026B1 (ko) | 미량분출 수동식 펌프 | |
US20030190236A1 (en) | Liquid pump | |
JP2753845B2 (ja) | エアゾール容器 | |
US5253787A (en) | Fluid dispenser with tiltable dispensing nozzle and sealing membrane | |
CN219488237U (zh) | 一种按压出料分离式泵头 | |
JP4096388B2 (ja) | ポンプ式注出容器 | |
CN220640942U (zh) | 一种简易挤压泵以及一种简易喷雾器 | |
US4214682A (en) | Non-leaking pump spray valve | |
JP2018184185A (ja) | 吐出容器 | |
JPH0411993Y2 (ko) | ||
KR200332143Y1 (ko) | 보온병 뚜껑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324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