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6240B1 -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디지털 컨텐트 저장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디지털 컨텐트 저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6240B1
KR100386240B1 KR10-2001-0017208A KR20010017208A KR100386240B1 KR 100386240 B1 KR100386240 B1 KR 100386240B1 KR 20010017208 A KR20010017208 A KR 20010017208A KR 100386240 B1 KR100386240 B1 KR 100386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torage medium
movement
copy
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6958A (ko
Inventor
정재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1-0017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6240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0/022,889 priority patent/US6965975B2/en
Priority to JP2001399878A priority patent/JP2002312247A/ja
Publication of KR20020076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240B1/ko
Priority to JP2005259624A priority patent/JP4523524B2/ja
Priority to JP2005259628A priority patent/JP2006073018A/ja
Priority to US11/228,358 priority patent/US7665144B2/en
Priority to US11/228,360 priority patent/US7665145B2/en
Priority to US11/228,359 priority patent/US7661144B2/en
Priority to US12/167,201 priority patent/US7810161B2/en
Priority to US12/167,207 priority patent/US7895660B2/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디지털 컨텐트 저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을 직접 수신하여 디지털 컨텐트를 임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1차 저장매체는 그 용량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사용자의 개인적인 목적에 의해 장기 보관하거나 편집하고 싶을 경우, 2차 저장매체로의 이동이나 편집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1차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복제 방지된 컨텐트를 2차 저장매체로 이동시킬 경우, 컨텐트에 포함되어 있는 복제 제어코드의 컨텐트 이동 허용여부 결정비트의 설정값을 리드하는 제1단계와; 상기 리드된 설정값에 의해 컨텐트 이동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컨텐트의 이동이 가능하지 않을 경우는 컨텐트의 이동을 포기하고, 컨텐트의 이동이 가능할 경우 컨텐트를 2차 저장매체에 복제하는 제3단계와; 상기 2차 저장매체로의 컨텐트 복제가 완료되면, 1차 저장매체에 있던 원본 컨텐트를 삭제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져 복제 방지가 설정된 1차 저장매체의 컨텐트를 복제가 아닌 이동의 개념으로 2차 저장매체에 옮겨 저장시킬 경우, 1차 저장매체 있던 원본 컨텐트의 삭제를 인증한 장치에 한해서, 복제 방지 여부에 관계없이 컨텐트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디지털 컨텐트 저장방법{DIGITAL CONTENT STORING METHOD FOR DIGITAL BROADCAST RECEIVER}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트의 복제방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제 방지가 설정된 1차 저장매체의 컨텐트를 복제가 아닌 이동의 개념으로 2차 저장매체에 옮겨 저장시킬 경우, 1차 저장매체 있던 원본 컨텐트의 삭제를 인증한 장치에 한해서 복제 방지 여부에 관계없이 컨텐트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디지털 컨텐트 저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기술과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정보 통신은 학술이나 사업 활동 뿐만 아니라 일반 생활에 있어서도 필수 불가결한 존재로 변하고 있다.
특히 세계 각국이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초고속통신망이 구축됨에 따라 정보화 시대가 도래되어, 앞으로는 많은 정보가 이러한 통신망을 통해 공급, 전달, 소비될 것이고 그러한 정보의 상당한 부분은 저작권법의 보호 대상이 될 것이다.
현재 아날로그 방식을 이용하는 녹음기, 녹화기, 복사기는 원본과 복사본의 질적인 차이가 있고, 비용이나 시간 그리고 복사의 편이성에서 많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실제로 저작권에 그다지 영향을 주지 못했다.
그러나, 인터넷과 같은 디지털 정보 통신매체들은 기존의 복사기를 이용한 것과 달리 저작물의 복사본이 원본과 100% 동일하여 이를 인터넷으로 전세계에 텍스트뿐만 아니라 화상, 음성까지 전송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저작물의 보호가 어렵게 되었다.
또한, 방송 분야에 있어서도 기존에는 아날로그 방식에 의한 전송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 디지털 압축기술의 보편화와 고출력화, 저렴한 수신기 개발 등으로 TV 전송방식이 점차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전환됨에 따라 방송을 통한 컨텐트의 복제가 정보 통신망을 통한 복제와 마찬가지로 원본과의 질적인 차이가 없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영상, 음반과 같은 모든 저작물이 디지털화 되는 정보 시대에는 지적재산권의 침해가 훨씬 쉬워질 뿐만 아니라, 침해 방지 기술을 무력화하는 기술이 재빨리 개발되고 있어 그 적발이나 구제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적재산권의 침해를 방지하고 이를 적발하는 기술을 보호하지 않는다면 저작의 의욕이 저하되고, 지적재산권의 유통도 저해되기 때문에 각종 저작권 관련업체에서는 저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복제방지 기술의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복제 방지를 위한 일반적인 기술로는 컨텐트에 복제 제어코드를 삽입하여 복제횟수를 소정횟수로 제한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점차 디지털 방송이 대중화되면서 방송 컨텐트에 적용이 될 예정이며, 현재에도 일부에서는 이미 적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이다.
참고로, 상기 복제 제어코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패킷 헤더 부분의 동기부(Sy)로 사용되는 4비트 중 2비트를 사용하여 그 설정값(00, 01, 10, 11)에 따라, 무한정 복제가 가능한 것, 1회 복제가 가능한 것, 더 이상 복제가 불가능한 것, 복제가 전혀 불가능한 것으로 구분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 생략된 나머지 1비트는 암호화시에 그 암호화 코드를 변경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최하위 비트(LSB)는 예약 비트(reserved bit)로서 사용하지 않는 비트이다.
이에 따라, 현재까지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 수신기(셋톱박스 등)를 이용할 경우, 자체에 내장된 저장매체(이하, 1차 저장매체로 표기함)(10)를 이용해 소정시간 동안의 방송 컨텐트의 저장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복제횟수가 1회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한정된다.
그러나, 만약 상기 1차 저장매체(10)에 있는 컨텐트를 사용자의 개인적인 목적에 의해 장기 보관하거나 편집하고 싶을 경우, 복제 가능횟수를 초과하여 복제를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2차 저장매체(20)로 옮겨 저장하거나 편집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컨텐트의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는 목적으로 단지 컨텐트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를, 1차 저장매체에서 2차 저장매체로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도, 컨텐트에 삽입된 복제 제어코드가 1차 저장매체에 저장됨과 동시에 복제 가능횟수가 감소되어 '복제불가'로 변경되기 때문에 사실상 다른 매체로의 이동 저장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복제 방지가 설정된 1차 저장매체의 컨텐트를 복제가 아닌 이동의 개념으로 2차 저장매체에 옮겨 저장시킬 경우, 1차 저장매체 있던 원본 컨텐트의 삭제를 인증한 장치에 한해서 복제 방지 여부에 관계없이 컨텐트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디지털 컨텐트 저장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복제 제어코드가 포함된 일반적인 데이터 패킷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1차 저장매체를 포함하는 장치와 2차 저장매체를 포함하는 장치의 연결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1차 저장매체에서 2차 저장매체로의 컨텐트 이동을 위한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 4는 상기 도3에 의한 컨텐트 이동 불가인 경우에 대한 복제 과정을 보인 순서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1차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복제 방지된 컨텐트를 2차 저장매체로 이동시킬 경우, 컨텐트에 포함되어 있는 복제 제어코드의 컨텐트 이동 허용여부 결정비트의 설정값을 리드하는 제1단계와; 상기 리드된 설정값에 의해 컨텐트 이동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컨텐트의 이동이 가능하지 않을 경우는 컨텐트의 이동을 포기하고, 컨텐트의 이동이 가능할 경우 컨텐트를 2차 저장매체에 복제하는 제3단계와; 상기 2차 저장매체로의 컨텐트 복제가 완료되면, 1차 저장매체에 있던 원본 컨텐트를 삭제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IEEE1394 데이터 패킷의 동기부에 할당된 4비트 중 복제 제어코드로 설정된 3비트를 제외하고, 예비 비트로 남아있는 최하위 비트(LSB)를 컨텐트 이동을 위한 허용여부 결정 비트로 설정하여, 그 비트의 설정값에 따라 1차 저장매체에서 2차 저장매체로의 컨텐트 복제 또는 이동 가능여부를 결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제 제어코드의 최하위 비트인 컨텐트 이동 허용여부 결정비트가 이동을 허용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경우, 그 상위 비트에서 설정되는 복제 가능횟수 설정값에 관계없이 2차 저장매체로의 복제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제 제어코드의 최하위 비트인 컨텐트 이동 허용여부 결정비트가 이동을 허용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을 경우, 그 상위 비트에서 설정된 복제 가능횟수 설정값에 의해 2차 저장매체로의 복제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3은 본 발명에 의해 1차 저장매체에서 2차 저장매체로의 컨텐트 이동을 위한 과정을 보인 순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또는 2차 저장매체를 포함하는 장치로부터 컨텐트(저작물)의 이동 요구가 있으면(S11), 1차 저장매체를 포함하는 장치는 컨텐트에 포함되어 있는 복제 제어코드의 컨텐트 이동 허용여부 결정비트의 설정값을 읽어(S12) 컨텐트 이동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S13).
이에 따라, 컨텐트의 이동이 가능하지 않을 경우는 컨텐트의 이동을 포기하고(S14), 컨텐트의 이동이 가능할 경우는 2차 저장매체측 장치와 연결이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S15), 필요에 따라 데이터 이동을 위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S16, S17), 인증이 성공되었을 경우에만(S18) 컨텐트 이동 동작을 수행한다(S19, S20).
즉, 2차 저장매체에 컨텐트 복제를 수행한 후(S20) 1차 저장매체에 있는 원본 컨텐트를 삭제하고(S21), 2차측 저장기기의 상태를 판단하여 현재 녹화 가능여부를 판단하여 2차 저장기기의 동작이 정상적인 경우에 컨텐트 이동 모듈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 도4는 상기 도3에 의한 컨텐트 이동 불가인 경우에 대한 복제 과정을 보인 순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텐트를 다른 저장매체로 옮겨 저장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복제 제어코드를 분석하여 컨텐트 이동 허용여부 결정비트의 설정값을 먼저 판단해야 한다.
즉, 상기 이동 허용여부 결정비트의 설정값에 따라 1차 저장매체에서 2차 저장매체로의 컨텐트 복제 또는 이동 가능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텐트 이동 허용여부 결정비트가 이동을 허용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경우(예, '1'로 설정된 경우)는, 그 상위 비트에서 설정되는 복제 가능횟수 설정값(00, 01, 10, 11)에 관계없이 2차 저장매체로의 복제를 수행하고, 1차 저장매체의 원본 컨텐트를 삭제한다.
만약, 상기 컨텐트 이동 허용여부 결정비트가 이동을 허용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을 경우(예, '0'으로 설정된 경우)는, 그 상위 비트에서 설정된 복제 가능횟수 설정값에 따라 종래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2차 저장매체로의 복제를 수행하는 것이다.
즉, 1차 저장매체에 저장된 컨텐트의 복제 가능횟수가 '무한 복제'가 허용된 경우는(S21), 복제 제어코드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무한 복제'가 가능한 것으로 출력하여(S22), 2차 저장매체에 컨텐트의 복제 특성까지 그대로 복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23).
그러나, 만약 1차 저장매체의 컨텐트가 '무한 복제'가 아니고, 복제 가능횟수가 제한되어 설정되었을 경우는, 이미 복제 가능횟수를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더 이상의 추가 복제가 불가한 경우에는(S24) 복제를 수행할 수 없고(S25), 복제 가능횟수가 초과되지 않았을 경우는, 복제 제어코드의 복제 가능횟수가 감소되면서(S26) 2차 저장매체에 복제가 이루어진다(S27).
다시 말해, 종래의 복제 제어코드는 데이터 패킷의 동기부에 복제 제어코드용으로 할당된 4비트 중 3비트를 이용하여 복제 가능횟수를 제한하도록 하고 있으나, 사용자 입장에서는 부득이한 사정에 의해 저장매체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도 이를 위한 동작이 전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경우를 고려하여 복제가 아닌 저장매체 변경과 같은 컨텐트 이동을 위한 복제에 한해서는 복제 가능횟수에 관계없이 다른 저장매체로의 복제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물론, 복제 제어코드 중 컨텐트 이동 허용여부 결정비트를 읽을 수 없는 장치에서는 상기와 같은 컨텐트 이동기능을 이용할 수 없고, 그 상위 비트에서 설정된 복제 가능횟수 설정값에 의해 2차 저장매체로의 복제가 수행되기 때문에, 복제 가능횟수를 초과할 경우에는 복제 자체가 불가한 것이다.
즉, 컨텐트의 이동이란 1차 저장매체에서 2차 저장매체로 복제가 이루어진 후, 1차 저장매체에 있던 원본 컨텐트의 삭제에 대한 보장(또는 인증)이 이루어진 장치에 한정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컨텐트를 복제가 아닌 이동의 개념에 의해 저장매체만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에 의해서가 아닌 장치 내부적으로 1차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던 원본 컨텐트의 삭제를 보장하여 복제 제어코드를 '1회'에 한하여 더 복제가 가능하도록 변경하고, 2차 저장매체로의 복제를 수행한 후 1차 저장매체에 있는 원본 컨텐트를 자동 삭제함으로써, 컨텐트의 이동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디지털 컨텐트 저장방법은 복제 방지가 설정된 1차 저장매체의 컨텐트를 복제가 아닌 이동의 개념으로 2차 저장매체에 옮겨 저장시킬 경우, 1차 저장매체 있던 원본 컨텐트의 삭제를 인증한 장치에 한해서 복제 방지 여부에 관계없이 컨텐트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차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복제 방지된 컨텐트를 2차 저장매체로 이동시킬 경우, 컨텐트에 포함되어 있는 복제 제어코드의 컨텐트 이동 허용여부 결정비트의 설정값을 리드하는 제1단계와; 상기 리드된 설정값에 의해 컨텐트 이동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컨텐트의 이동이 가능하지 않을 경우는 컨텐트의 이동을 포기하고, 컨텐트의 이동이 가능할 경우 컨텐트를 2차 저장매체에 복제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디지털 컨텐트 저장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 이동 허용여부 결정비트는 데이터 패킷의 동기부에 복제 방지를 위해 할당되는 비트 중 복제 가능횟수 및 암호화를 위해 설정된 비트를 제외하고, 예비 비트로 남아있는 비트를 컨텐트 이동을 위한 허용여부 결정 비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디지털 컨텐트 저장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 이동 허용여부 결정비트가 이동을 허용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경우는, 그 상위 비트에서 설정되는 복제 가능횟수 설정값에 관계없이 2차 저장매체로의 복제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디지털 컨텐트 저장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 이동 허용여부 결정비트가 이동을 허용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을 경우는, 그 상위 비트에서 설정된 복제 가능횟수 설정값에 따라 복제 가능횟수의 범위내에서 2차 저장매체로의 복제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디지털 컨텐트 저장방법.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제 가능횟수 설정값에 의한 2차 저장매체로의 복제는, 복제 가능횟수가 '무한 복제'가 허용된 경우 복제 제어코드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복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복제 가능횟수가 제한되어 설정되었을 경우 이미 복제 가능횟수를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더 이상의 추가 복제가 불가한 경우에는 복제를 수행하지 않고, 복제 가능횟수가 초과되지 않았을 경우는 복제가 이루어질 때 마다 복제 제어코드의 복제 가능횟수를 감소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디지털 컨텐트 저장방법.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저장매체로의 컨텐트 복제가 완료되면, 1차 저장매체에 있던 원본 컨텐트를 삭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디지털 컨텐트 저장방법.
KR10-2001-0017208A 2001-03-31 2001-03-31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디지털 컨텐트 저장방법 KR100386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208A KR100386240B1 (ko) 2001-03-31 2001-03-31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디지털 컨텐트 저장방법
US10/022,889 US6965975B2 (en) 2001-03-31 2001-12-20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contents having a restricted number of copies between storage media
JP2001399878A JP2002312247A (ja) 2001-03-31 2001-12-28 コンテンツの移動装置及び移動方法
JP2005259628A JP2006073018A (ja) 2001-03-31 2005-09-07 コンテンツ管理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管理装置
JP2005259624A JP4523524B2 (ja) 2001-03-31 2005-09-07 コンテンツ移動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管理装置
US11/228,359 US7661144B2 (en) 2001-03-31 2005-09-19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contents having a restricted number of copies between storage media
US11/228,358 US7665144B2 (en) 2001-03-31 2005-09-19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contents having a restricted number of copies between storage media
US11/228,360 US7665145B2 (en) 2001-03-31 2005-09-19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contents having a restricted number of copies between storage media
US12/167,201 US7810161B2 (en) 2001-03-31 2008-07-02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contents after mutual authentication
US12/167,207 US7895660B2 (en) 2001-03-31 2008-07-02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contents using copy and movement control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208A KR100386240B1 (ko) 2001-03-31 2001-03-31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디지털 컨텐트 저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958A KR20020076958A (ko) 2002-10-11
KR100386240B1 true KR100386240B1 (ko) 2003-06-02

Family

ID=27699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208A KR100386240B1 (ko) 2001-03-31 2001-03-31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디지털 컨텐트 저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62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240A (ko) * 2002-10-19 2004-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기의 복사 제어정보 변경장치 및 방법
KR100456076B1 (ko) * 2002-11-28 2004-11-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 장치 및 보호 방법
KR100811042B1 (ko) * 2005-12-02 2008-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콘텐츠 사용권리 이전 방법, 그 장치 및 drm시스템
KR100985760B1 (ko) * 2008-08-14 2010-10-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버퍼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958A (ko) 200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3524B2 (ja) コンテンツ移動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管理装置
US6526146B1 (en)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KR100762731B1 (ko) 기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장치, 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KR100394177B1 (ko)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콘텐츠 관리 장치
JP4314745B2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データ処理方法及びデータ処理装置
KR100277418B1 (ko) 멀티미디어 장치용 복사 방지 시스템
JP3103061B2 (ja) トークン作成装置および該トークンを用いたデータ制御システム
KR19980025007A (ko) 디지털 데이터의 저작권 보호 방법 및 보호 시스템
EP1154426A2 (en) Copyright protecting method, recording method, recording apparatus, reproduction method and reproduction apparatus
US20040073580A1 (en) Information delivery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external content storage method, external content output method, content data, output control program, and information delivery system
KR100556053B1 (ko)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데이터 기록 방법
KR20020077053A (ko) 기록재생장치, 제어방법 및 부정방지시스템
KR100386240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디지털 컨텐트 저장방법
US20070186118A1 (en) Content data processing device,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and recording/reproduction system
KR20000048071A (ko) 출력 장치, 출력 방법, 기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장치,재생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386239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디지털 컨텐트 저장장치 및 방법
US7461269B2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JP2000195162A (ja) 情報信号複製制御方法、情報信号再生制御方法、情報信号記録装置、情報信号再生装置および情報信号記録媒体
JP5032568B2 (ja) 記録装置、記録方法、集積回路、及び記録プログラム
JP2001210011A (ja) 再生回数制限処理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再生回数制限を行い得る記録メディア
JP2003015960A (ja) ファイル生成方法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JPH1063599A (ja) ディジタル情報伝送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に適用する情報中継装置
JP2001216199A (ja) 信号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と記録媒体
KR20040085819A (ko)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JP4379241B2 (ja) 録画再生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