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6234B1 - 렌지후드용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렌지후드용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6234B1
KR100386234B1 KR10-2003-0006551A KR20030006551A KR100386234B1 KR 100386234 B1 KR100386234 B1 KR 100386234B1 KR 20030006551 A KR20030006551 A KR 20030006551A KR 100386234 B1 KR100386234 B1 KR 100386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eans
air moving
small diameter
ai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6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8031A (ko
Inventor
김영덕
Original Assignee
김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덕 filed Critical 김영덕
Priority to KR10-2003-0006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6234B1/ko
Publication of KR20030018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2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렌지후드용 환기장치가 개시된다. 그러한 렌지후드용 환기장치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소구경관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하여 절첩 가능하고, 그 내부로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이동수단과, 상기 공기이동수단의 일측에 장착되어, 회전시 흡입력을 발생하므로써 상기 공기이동수단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공기이동수단을 벽면에 힌지 가능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공기이동수단을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힌지부재와,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소구경관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하여 상기 공기이동수단을 신장 혹은 수축시키는 절첩구동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렌지후드용 환기장치{Ventilation system for use in range hood}
본 발명은 렌지후드용(Range Hood)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기용 덕트(Duct)의 직경을 줄이고 표면이 매끄러운 덕트를 사용함으로써 시야가 넓게 확보되고 포집 효율이 향상된 렌지후드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등의 주방에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렌지후드가 설치되며, 음식물 조리시 렌지후드 혹은 렌지후드에 얹혀진 음식물로부터 연기, 냄새, 분진 등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연기, 냄새, 분진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적절한 환기장치가 설치된다.
환기장치에는 내부와 외부의 대기압 차이에 의하여 환기시키는 자연배기식과 송풍팬에 의하여 강제로 환기시키는 강제배기식으로 구분된다.
도 1에는 이러한 강제배기식 환기장치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장치는 천장(3)으로부터 하방으로 설치되어 연기의 배출통로가 되는 주름관 형상의 덕트(1)와, 상기 덕트(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회전함으로써 흡입력을 발생하는 송풍팬(2)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환기장치는 렌지후드(4)로부터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송풍팬(2)을 회전하게 된다. 송풍팬(2)이 회전하게 되면 흡입력이 발생하므로 연기가 덕트(1)의 내부로 유입되어 배출구(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덕트(1)의 직경(D)은 통상 6㎝ 이상이다.
그런데. 이러한 환기장치는 덕트가 주름관 형상을 가짐으로써 연기가 그 내부를 흐르는 경우 내벽면과의 마찰로 인하여 배출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배출효율이 저하되므로 덕트의 직경을 확장시킴으로써 저하된 효율을 보상하게 되는데, 이때 덕트의 직경이 확장됨으로써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덕트가 다수 설치되는 대형 음식점에서는 시야가 좁아짐으로써 실내 분위기도 좋지 않게 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주름관 사용으로 인한 배출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대용량 송풍팬을 사용하므로, 소음이 증가하고 송풍팬이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렌지후드와 덕트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므로, 렌지후드로부터 발생한 연기가 덕트에 흡입되기 전에 사방으로 확산됨으로써, 연기를 효과적으로 흡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표면이 매끄러운 슬롯형 덕트를 사용함으로써 공기저항을 줄여 덕트의 직경을 줄여도 배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렌지후드의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덕트를 렌지후드 가까이로 근접시킴으로써 렌지로부터 발생한 연기가 사방으로 확산되기 전에 흡입하여 배출효율을 높일 수 있는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렌지후드용 환기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렌지후드용 환기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렌지후드용 환기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렌지후드용 환기장치에 장착된 절첩구동수단의 일 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렌지후드용 환기장치에 장착된 절첩구동수단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렌지후드용 환기장치에 장착된 절첩구동수단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힌지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힌지부재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소구경관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하여 절첩 가능하고, 그 내부로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이동수단과, 상기 공기이동수단의 일측에 장착되어, 회전시 흡입력을 발생하므로써 상기 공기이동수단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공기이동수단을 벽면에 힌지 가능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공기이동수단을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힌지부재와,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소구경관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하여 상기 공기이동수단을 신장 혹은 수축시키는 절첩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렌지후드용 환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수개의 소구경관은 직경이 큰 관의 내부에 직경이 보다 작은 관이 조립되는 방식으로 상기 다수개의 소구경관을 연속하여 조립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소구경관은 직경 6㎝ 이하의 직경을 가지며, 그 내측면이 유체저항이 적은 수평형상의 슬롯형관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재의 일실시예로써, 상기 힌지부재는 벽면에 부착되는 구형상의 지지 브래킷과, 상기 지지 브래킷의 내부에 밀착상태로 힌지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삽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삽입구는 상기 다수개의 소구경관중 최상부에 위치하는 소구경관에 일체로 연결되므로써, 상기 공기이동수단을 힌지 가능하게 고정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힌지부재는 벽면에 부착되며 그 내주면에 제1 반홈이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구형상의 지지 브래킷과, 상기 지지 브래킷의 내부에 밀착상태로 힌지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외주면에 다수개의 제2 반홈이 형성되는 회전삽입구와, 상기 제1 및 제2 반홈의 사이에 위치하므로써 상기 회전 삽입구를 소정각도로 유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삽입구는 상기 다수개의 소구경관중 최상부에 위치하는 소구경관에 일체로 연결되므로써, 상기 공기이동수단을 힌지 가능하게 고정한다.
상기 절첩구동수단수단의 일실시예로써, 상기 절첩구동수단수단은 벽면에 장착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 조립체와, 일단은 상기 모터 조립체의 회전축에 감겨지며, 타단은 상기 다수개의 소구경관의 내부를 통과하여 최하단의 소구경관의 내부에 연결되는 탄성력을 갖는 철편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 조립체의 회전축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감기거나 풀리므로써 상기 최하단의 소구경관을 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공기이동수단을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하여 절첩한다.
또한, 상기 절첩구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절첩구동수단은 다수개의 소구경관 각각의 내부에 소정깊이로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안내홈과, 외부면의 상부 테두리에 양측으로 돌출되어 다른 소구경관에 형성된 한 쌍의 안내홈에 삽입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공기이동수단을 신장 및 수축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렌지후드용 환기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렌지후드용 환기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렌지후드용 환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렌지후드용 환기장치는 연기가 흐르는 통로가 되는 공기이동수단(10)과, 상기 공기이동수단(10)을 힌지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재(17)와, 상기 공기이동수단(10)의 상부에 장착되어 회전함으로써 흡입력을 발생하여 연기를 흡입하는 송풍팬(14)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이동수단(10;이하, 덕트)은 서로 다른 직경(D1)을 갖는 다수개의 소구경관(11,12,13)으로 이루어지며, 텔레스코픽 방식(Telescopic)에 의하여 절첩 가능하다.
즉, 상기 다수개의 소구경관(11,12,13)은 직경이 큰 관의 내부에 직경이 보다 작은 관이 조립되는 방식으로, 다수개를 연속하여 조립함으로써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절첩된다. 따라서, 상기 덕트(10)는 필요시 수축 또는 신장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소구경관(11,12,13)은 그 내부면이 매끄럽게 형성되는 슬롯형관(Slot-type pipe)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슬롯형관은 그 내부로 공기가 흐르는 경우 내부면이 매끄럽게 형성되므로, 유체저항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주름관을 사용한 경우보다 유체저항이 감소하게 되므로 공기의 배출효율이 높게 된다. 결과적으로, 송풍팬(14)의 용량을 줄여도 주름관과 동일한 배출효율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소구경관(11,12,13)은 그 직경(D1)이 작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6㎝ 이하 범위의 직경(D1)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직경(D1)을 줄여도 주름관에 비하여 표면이 매끄러운 슬롯형관을 사용하므로 동일한 수준의 배출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덕트(10)의 직경(D1)이 작게 형성되므로 시야를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음식점과 같이, 각 테이블마다 렌지후드용 환기장치가 장착되는 장소에서는 시야가 넓게 확보된다.
한편, 상기 덕트(10)를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수축 및 신장시키기 위하여 상기 덕트(10)에는 절첩구동수단(30;도4)이 장착된다. 이러한 절첩구동수단(30;도4)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실시예가 개시된다.
도 4에는 상기 절첩구동수단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써 적절한 탄성력을 갖는 철편에 의하여 덕트를 수축/신장하는 방식이 도시된다.
즉, 상기 철편(21)의 일단부(21a)는 천장(16)의 내부에 장착된 모터 조립체(22)의 회전축(23)에 감겨지고, 타단부(21b)는 다수개의 소구경관(11,12,13)의 내부를 통과하여 최하단부의 소구경관(13) 내부 소정위치에 용접, 접착, 볼트 등의 방식에 의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철편(21)이 모터 조립체(22)에 감겨지는 경우에는, 상기 철편(21)이 최하단부의 소구경관(13)을 상부로 당기게 되므로, 다수개의 소구경관(11,12,13)은 순차적으로 수축되므로 결국 덕트(10)의 길이가 수축된다.
반대로, 상기 모터 조립체(22)의 회전축(23)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철편(21)이 모터 조립체(22)의 회전축(23)으로부터 풀리는 경우에는, 상기 철편(21)이 최하단부의 소구경관(13)을 하부로 밀게 되므로, 다수개의 소구경관(11,12,13)은 순차적으로 신장되므로 결국 덕트(10)의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이때, 상기 철편(21)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짐으로 상기 다수개의 소구경관(11,12,13)을 하방으로 밀어낼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모터 조립체(22)의 구동을 제어하므로써 덕트(10)의 길이를 임의로 원하는 정도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철편(21)은 탄력성이 없는 일반 와이어로도 대체 가능하다. 즉, 상기 덕트(10)가 하방으로 신장되는 경우에는 다수개의 소구경관(11,12,13)의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신장가능하며, 수축되는 경우에는 와이어가 모터 조립체(22)의 회전축에 감겨지므로써 수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조립체(22)를 제어하는 방식은 온(on)/오프(off) 스위치(도시안됨)에 의한 방식과 원격조정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절첩구동수단(30)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편(31)을 덕트(10)의 외부에 장착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즉,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지만, 모터 조립체(34)가 천장(16)의 저면에 장착되며, 철편(31)이 덕트(10)의 외부에 장착되는 차이점이 있다. 이 실시예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철편(31)이 덕트(10)의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공기와의 마찰로 인한 배출효율이 감소되는 경우 적용 가능하다.
상기 덕트(10)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지지대(32)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지지대(32) 내부에는 안내홀(33)이 형성되며, 상기 철편(31)이 상기 안내홀(33)을 관통하므로써 지지된다.
따라서, 모터 조립체(34) 회전축(35)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상기 철편(31)이 감겨지거나 풀어지므로써 덕트(10)를 수축/신장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철편(31)은 탄력성이 없는 일반 와이어로 대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상기 절첩구동수단(30;도4)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6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소구경관(11,12,13;도3)의 각각에는 그 외부의 상부 테두리에 양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기(52)를 각각 형성하고, 그 내부면에는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안내홈(55)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안내홈(55)은 소구경관의 길이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소구경관(11,12,13;도3)을 서로 조립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소구경관(51)의 한 쌍의 돌기(52)를 다른 소구경관(53)의 한 쌍의 안내홈(54)에 삽입한다.
그리고, 삽입된 상태에서 하나의 소구경관(51)을 다른 소구경관(53)의 내부에서 회전시키면 상기 하나의 소구경관(51)은 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개의 소구경관(11,12,13;도3)을 서로 조립하고,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필요에 따라 덕트(10)를 수축 및 신장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10)는 힌지부재(17)에 의하여 천장(16)에 힌지가능하게 부착됨으로써 소정 각도를 유지하여 고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덕트(10)를 일측으로 밀거나 당기므로써 원하는 위치에 상기 덕트(10)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부재(17)의 일실시예가 도 7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재(17)는 천장(16)에 부착되는 구(球)형상의 지지 브래킷(18)과, 구형상이며 상기 지지 브래킷(18)의 내부에 장착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 삽입구(19)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삽입구(19)는 상기 지지 브래킷(18)의 내부에 밀착상태로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회전 삽입구(19)는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그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회전 삽입구(19)는 다수개의 소구경관(11,12,13;도3)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소구경관(1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덕트(10)가 힌지부재(17)에 의하여 천장(16)에 고정되므로, 상기 덕트(10)를 일측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게된다. 따라서, 렌지후드(15;도3)의 위치가 바뀌는 경우에도 덕트(10)를 바뀐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이 편리하다.
상기 힌지부재(17)의 다른 실시예가 도 8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에 도시된 힌지부재(17)에 베어링(62)을 추가로 장착함으로써 회전 삽입구(19)가 지지 브래킷(18)의 내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한 구조이다.
즉, 상기 지지 브래킷(18)의 내주면 소정위치에 제1 반홈(61)을 대칭적으로 형성하고, 회전 삽입구(19)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제2 반홈(63)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반홈(61)과 다수개의 제2 반홈(63) 중 하나의 반홈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베어링(62)을 장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삽입구(19)를 화살표 방향을 따라 당기거나 젖히게 되면, 상기 제1 반홈(61)의 베어링(62)이 다수개의 제2 반홈(63)들에 순차적으로 걸리거나 이탈하므로써 상기 회전 삽입구(19)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삽입구(19)가 임의의 각도에 정지하게 되면, 상기 베어링(62)이 상기 다수개의 제2 반홈(63) 중 하나의 반홈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덕트(10)는 소정각도를 유지하여 고정 가능하다.
한편, 상기 덕트(10)의 하단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형상의 집진 플레이트(40)가 일체로 장착되며, 상기 집진 플레이트(40)의 직경은 작게 형성된다. 상기 집진 플레이트(40)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도, 직경이 큰 집진 플레이트(40)보다 큰 흡입효율이 있다.
즉, 상기 덕트(10)를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하여 신장함으로써 집진 플레이트(40)를 상기 렌지후드(15) 가까운 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렌지후드(15)로부터 발생하는 연기가 사방으로 확산되기 전에 집진 플레이트(40)로 흡입함으로써, 작은 직경으로도 흡입효율이 향상된다.
이러한 집진 플레이트(40)는 열전도가 작은 재료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집진부재(41)가 장착되어 연기 중에 함유된 기름 등의 불순문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집진부재(41)는 관성력식과, 여과필터식과, 흡착식과, 전기식 등이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렌지후드용 환기장치는 다른 용도, 바람직하게는 실내의 환기용으로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렌지후드용 환기장치의 작동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렌지후드(15)로부터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천장(16)에 부착된 덕트(10)를 렌지후드(15) 인접위치로 끌어내린다. 먼저, 사용자는 스위치(도시안됨)를 이용하여 모터 조립체(22)를 구동시키며, 모터 조립체(22)의 구동에 의해 철편(21)이 모터 조립체(22)로부터 풀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철편(21)의 하단부가 최하단의 소구경관(13)을 하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덕트(10)는 신장된다. 이때, 상기 덕트(10)의 집진 플레이트(40)는 렌지후드(15) 가까운 위치로 이동하게 되므로, 연기가 사방으로 확산되기 전에 흡입 할 수 있다.
상기 덕트(10)가 신장되면, 스위치(도시안됨)를 작동시켜 송풍팬(14)을 회전시킨다. 상기 송풍팬(14)이 회전함에 따라 덕트(10)의 내부에는 흡입력이 발생되며, 상기 렌지후드(15)로부터 발생된 연기가 상기 덕트(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덕트(10)의 내부로 유입된 연기는 송풍팬(14)을 거쳐 배출구(2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덕트(10)의 직경(D1)이 작으므로 사용자는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사용후, 상기 덕트(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경우, 스위치(도시안됨)를 작동하므로써 모터 조립체(22)를 구동시킨다. 상기 모터 조립체(22)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철편(21)이 모터 조립체(22)의 회전축(23)에 감겨지므로써 상기 덕트(10)는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하여 수축된다. 따라서, 상기 덕트(10)는 천장(16)에 위치하게 되며, 실내공간은 말끔하게 정돈된다.
상기 렌지후드(15)를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덕트(10) 또한 좌우 또는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밀어서 이동된 장소로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덕트(10)를 소정방향으로 밀거나 당기게되면, 회전 삽입구(19)가 천장(16)에 부착된 지지 브래킷(18)의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 삽입구(19)는 지지 브래킷(18)의 내부에 밀착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덕트(10)는 소정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정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각도로 덕트(10)를 위치시키고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지후드용 환기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상기 환기장치용 환기장치는 직경이 작은 관을 사용하므로써 음식점 등의 장소에서 시야를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덕트는 표면이 매끄러운 슬롯형관을 사용하므로써 연기 유통시 관의 내벽면과의 유체적인 마찰을 감소시켜 직경이 큰 덕트와 동일한 배출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둘째, 직경이 작은 관을 사용하여도 직경이 큰 관을 사용한 경우와 동일한 배출효율을 유지하므로 송풍팬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송풍팬의 회전으로 인한 소음도 감소할 수 있다.
셋째, 덕트를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신장하여 렌지후드 가까운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렌지후드로부터 발생한 연기가 사방으로 확산되기 전에 집진 플레이트로 흡입되므로 소구경의 집진 플레이트로 흡입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상기 환기장치의 덕트는 힌지부재에 의하여 천장에 장착되므로, 일측으로 밀어서 소정각도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렌지후드의 위치가 바뀌는 경우에도 덕트를 새로운 렌지후드 설치장소에 위치시킴으로써 요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상기 덕트를 다수개의 소구경관으로 구성하여 델레스코픽 방식으로 절첩 가능하므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어서 천장에 위치시킴으로써 실내를 정돈된 분위기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하게 변경실시 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Claims (9)

  1.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소구경관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짐으로써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하여 절첩 가능하고, 그 내부로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이동수단,
    상기 공기이동수단의 일측에 장착되어, 회전시 흡입력을 발생함으로써 상기 공기이동수단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팬,
    상기 공기이동수단을 벽면에 힌지 가능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공기이동수단을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힌지부재,
    상기 다수개의 소구경관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하여 상기 공기이동수단을 신장 혹은 수축시키는 절첩구동수단, 그리고
    상기 공기이동수단의 하부에 장착된 집진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렌지후드용 환기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집진 플레이트 내부 장착되어 있으며 연기 중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집진부재를 더 포함하는 렌지후드용 환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집진 플레이트는 원뿔형인 렌지후드용 환기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다수개의 소구경관은 직경이 큰 관의 내부에 직경이 보다 작은 관이 조립되는 방식으로 상기 다수개의 소구경관이 연속하여 조립되는 렌지후드용 환기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다수개의 소구경관은 직경 6㎝ 이하의 직경을 가지며, 그 내측면이 유체저항이 적은 수평형상의 슬롯형관을 포함하는 렌지후드용 환기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힌지부재는 벽면에 부착되는 구(球)형상의 지지 브래킷과, 상기 지지 브래킷의 내부에 밀착상태로 힌지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삽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삽입구는 상기 다수개의 소구경관중 최상부에 위치하는 소구경관에 일체로 연결되므로써, 상기 공기이동수단을 힌지 가능하게 고정하는 렌지후드용 환기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힌지부재는 벽면에 부착되며 그 내주면에 제1 반홈이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구형상의 지지 브래킷과, 상기 지지 브래킷의 내부에 밀착상태로 힌지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외주면에 다수개의 제2 반홈이 형성되는 회전삽입구와, 상기 제1 및 제2 반홈의 사이에 위치하므로써 상기 회전 삽입구를 소정각도로 유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삽입구는 상기 다수개의 소구경관중 최상부에 위치하는 소구경관에 일체로 연결되므로써, 상기 공기이동수단을 힌지 가능하게 고정하는 렌지후드용 환기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절첩구동수단은 벽면에 장착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 조립체와, 일단은 상기 모터 조립체의 회전축에 감겨지며, 타단은 상기 다수개의 소구경관의 내부를 통과하여 최하단의 소구경관의 내부에 연결되는 탄성력을 갖는 철편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 조립체의 회전축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감기거나 풀리므로써 상기 최하단의 소구경관을 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공기이동수단을 텔레스코픽 방식에 의하여 절첩하는 렌지후드용 환기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절첩구동수단은 다수개의 소구경관 각각의 내부에 소정깊이로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안내홈과, 외부면의 상부 테두리에 양측으로 돌출되어 다른 소구경관에 형성된 한 쌍의 안내홈에 삽입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공기이동수단을 신장 및 수축시키는 렌지후드용 환기장치.
KR10-2003-0006551A 2003-02-03 2003-02-03 렌지후드용 환기장치 KR100386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551A KR100386234B1 (ko) 2003-02-03 2003-02-03 렌지후드용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551A KR100386234B1 (ko) 2003-02-03 2003-02-03 렌지후드용 환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403A Division KR100386266B1 (ko) 2000-10-31 2000-10-31 렌지후드용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031A KR20030018031A (ko) 2003-03-04
KR100386234B1 true KR100386234B1 (ko) 2003-06-02

Family

ID=27730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6551A KR100386234B1 (ko) 2003-02-03 2003-02-03 렌지후드용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62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703B1 (ko) * 2009-05-14 2012-04-06 주식회사 비엠지코리아 로스터용 배기후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031A (ko) 2003-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7409U (ja) ロースター用排気装置
KR101829364B1 (ko) 주방용 레인지 후드장치
JP6775595B2 (ja) 空気清浄機
EP1674799A1 (en) Exhaust hood
CN202511389U (zh) 空调器室内机以及包括该空调器室内机的空调器
US9175862B2 (en) Built-in retractable ventilation hood assembly
CA2093367A1 (en) Air purifying side table
US6820609B2 (en) Low-profile ventilation hood
KR100386234B1 (ko) 렌지후드용 환기장치
KR100386266B1 (ko) 렌지후드용 환기장치
EP1672285A1 (en) Hood ventilation apparatus
KR101532225B1 (ko) 흡입관이 설치된 인출형 렌지후드
CN107270341B (zh) 改进的升降式抽油烟机
JPH11294818A (ja) 局所捕集型換気装置
CN217367801U (zh) 具有角度调节功能的除湿机
JPH08210684A (ja) 調理用排気装置及びその設置方法
JP2008286486A (ja) 空調用フィルタの塵埃除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EP1635121B1 (en) Hood ventilation system
JP2828421B2 (ja) 換気装置
KR200280902Y1 (ko) 후드팬의 배기덕트 구조
KR20090044841A (ko) 로스터 후드
KR200418435Y1 (ko) 렌지 후드
KR200293635Y1 (ko) 다단 배기덕트구조
KR20190130991A (ko) 이동형 실내 공기 배기 장치
CN217363440U (zh) 一种集成式环保设备控制操作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