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4941B1 - 전기기타의 음량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기타의 음량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4941B1
KR100384941B1 KR10-2000-0065594A KR20000065594A KR100384941B1 KR 100384941 B1 KR100384941 B1 KR 100384941B1 KR 20000065594 A KR20000065594 A KR 20000065594A KR 100384941 B1 KR100384941 B1 KR 100384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control
volume
guitar
control lever
adj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5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5347A (ko
Inventor
조항범
Original Assignee
조항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항범 filed Critical 조항범
Priority to KR10-2000-0065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4941B1/ko
Publication of KR20020035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9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46Volume contro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기타의 음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기타현의 인장정도 및 지판(21)의 조작에 의해 음계 및 화음을 발생시키는 넥크(20)와; 상기 넥크(20)의 헤드(22)와 바디(10)의 테일(13) 사이에 연결되어 진동에 의해 음을 발생시키는 기타현(30)과; 상기 기타현에서 발생된 음량의 크기 및 세기를 조절하기 위해 바디(10)에 설치되는 음량 조절부(40)로 구성된 전기기타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의 소정위치에 관통홈(52)을 포함하는 수용부(50)와; 상기 수용부(50)에 매설되며, 브랏켓(43)에 설치된 음량조절레버(41)는 바디(10)의 전면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관통홈(52)을 통해 바디(10) 전면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음량조절레버(41)에 연주자가 손가락을 밀착시킨 후 상·하방향으로 밀어서 회전시키므로 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연주자가 음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손가락을 음량조절레버에 밀착시켜 상·하방향으로 밀어서 회전시킴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음량을 조절하고, 연주의 방해없이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전기기타의 음량조절 장치{Volume control device of electronic guitar}
본 발명은 전기기타의 음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기기타의 전면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음량조절장치의 조작을 보다 원할하게 할 수 있도록 음량조절레버를 기타 바디 전면에 수평으로 설치하여 손가락의 일부를 밀착시킨 후 상·하방향으로 밀어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전기기타의 음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기타는 기타 자체에 울림통이 구비되어 소리를 내는 통기타와는 달리 픽업이라는 장치를 통해 기타현 에서 발생하는 음의 진동을 증폭시켜 소리를 낸다.
즉, 인간의 목소리를 마이크로폰이라는 장치를 이용하여 대음량으로 증폭하듯이 기타 현의 울림을 대음량으로 증폭시키기 위한 장치가 픽업이다.
따라서, 전기기타는 픽업의 도움과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여 기타현의 울림을 앰프로 증폭시켜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증폭되어 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전기기타의 전면에는 음량조절장치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전기기타는 소정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디와 넥크로 구성되며, 상기 넥크의 일측단에 구비된 헤드에서 기타현의 인장정도를 조절하여 음의 높낮이가조정된 상태에서 지판을 선택하여 음계 및 화음을 발생시키게 구성되고, 상기 바디에는 기타현을 고정시키기 위한 브리지 및 테일이 구비되며, 상기 헤드와 테일에 고정연결된 기타현에서 발생된 음의 크기, 음색등을 전기적으로 조절 및 변환시킬 수 있도록 기타현이 연결된 바디 표면에는 픽업이 설치되며, 이 픽업에서 증폭되는 음의 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음량조절부가 바디 전면 소정위치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전기기타의 바디 전면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종래의 음량조절장치는 연주자의 특성에 따라 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볼륨조절레버와 톤조절레버가 복수 개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의 조절레버들은 기타 바디 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연주자가 기타의 음량을 조절하려면 손목을 굽히고 손가락으로 조절레버를 파지한 후 좌·우로 회전하여 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좌·우 회전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바디 전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음량조절장치는 연주자가 연주중에 음량을 조절하려면 손목을 굽히고 엄지, 검지, 장지로 레버를 파지한 후 좌·우로 회전시켜야 함으로 조작이 번거롭게 되며, 음량조절레버는 바디 전면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연주시 손이 걸리어 연주에 방해가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연주자가 연주전이나 연주중에 자연스럽고 용이하게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음량조절 장치의 발명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바디 전면에 수평으로 조절레버를 설치하므로서 연주자가 손목을 굽히거나 엄지, 검지, 장지로 레버를 파지하지 않고 레버에 손가락의 일부만 밀착시킨 후 상·하방향으로 밀어 회전시킴으로 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음량조절장치의 조작이 용이하고, 음량조절레버는 바디 전면에 수평으로 누어있으므로 연주중 손이 걸리어 연주에 방해가 될 수 없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주자가 연주전이나 연주중에 연주에 방해를 받지 않고,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용이하게 음량조절장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음량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면에는 기타현을 고정시켜 지지하는 테일과 브리지가 설치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일측 선단에 구비된 헤드로 기타현의 인장정도를 조절하여 음의 높낮이가 조정된 상태에서 지판을 선택하여 음계 및 화음을 발생시키는 넥크와; 상기 넥크의 헤드로부터 바디에 설치된 테일에 연결되어 진동에 의해 음을 발생시키는 기타현과; 상기 기타현에서 발생되는 음의 진동을 증폭시키는 픽업과; 상기 바디 전면에 바디와 수평으로 설치되고 일부가 돌출되도록 바디에 매설되며, 상·하로 회전시켜 픽업에서 증폭되는 음량의 크기 및 세기를 조절하는 수 개의 음량조절레버를 구비하는 음량조절부로 구성된 것이다.
도 1 은 종래 전기기타에 음량조절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인 음량조절 장치가 전기기타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인 음량조절 장치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인 음량조절 장치가 기타의 소정위치에 삽입설치된 상태를 보인 전기기타의 배면 요부확대도
도 5 는 본 발명인 음량조절 장치가 전기기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바디 11 - 픽업 12 - 브리지
13 - 테일 20 - 넥크 21 - 지판
22 - 헤드 30 - 기타 현 40 - 음량조절부
41 - 음량조절 레버 42 - 제어부 43 - 브라켓
44 - 간격유지편 45 - 지지편 46 - 고정편
47 - 널링부 50 - 수용부 51 - 고정턱
52 - 관통홈 53 - 안내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인 전기기타의 음량조절장치가 전기기타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로서, 전면에는 기타현(30)을 고정시켜 지지하는 테일(13)과 브리지(12) 및 픽업(11)이 설치된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 선단에 구비된 헤드(22)가 기타현의 인장정도를 조절하여 음의 높낮이를 조정하며, 지판(21)의 조작에 의해 음계 및 화음을 발생시키는 넥크(20)와; 상기 넥크(20)의 헤드(22)로부터 바디(10)에 설치된 테일(13)에 연결되어 진동에 의해 음을 발생시키는 기타현(30)과; 상기 픽업(11)을 통해 앰프에서 증폭되는 음량의 크기 및 세기를 조절하기 위해 바디(10)의 전면에 수평으로 음량조절레버(41)가 설치되는 음량조절부(40)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10), 넥크(20), 기타현(30), 픽업(11) 및 음량조절레버(41)로 구성된 전기기타는, 넥크(20)의 일측에 구비된 헤드(22)에 의해 기타현(30)의 장력을 조절하여 음의 높낮이를 맞추며, 넥크 표면에 부착되는 지판(21)에 의해 음계 및 화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기타현(30)을 진동시키면 소정의 음이 발생하는데, 이 소정 음이 픽업(11)을 통해 앰프에서 증폭되며, 증폭된 음량의 크기 및 세기는 음량조절부(40)에서 조정한다.
상기 음량조절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43)에 설치되는 음량조절레버(41)와 제어부(42)로 구성되는데, 브라켓(43)은 간격 유지편(44)이 절곡되어 양측에 지지편(45)을 형성하고, 이 지지편(45)의 일측이 다시 절곡되어 고정편(46)을 형성한다.
그리고, 음량조절 레버(41)는 지지편(45)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타측면에는 음량조절 레버(41)의 회전정도에 따라 음량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부(42)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음량조절부(40)는 전기기타의 바디(10)의 전면 소정위치에 매설되며, 음량조절부(40)의 음량조절레버(41)는 바디(10)의 전면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그 일부가 바디(10)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즉, 전기기타 바디(10)의 소정위치에는 음량조절레버(41)가 설치되는 관통홈(52)을 구비한다. 관통홈(52)의 양측에는 음량조절레버(41)가 소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된 브라켓(43)의 고정편(46)이 밀착된 후 나사 등으로 체결되는 고정턱(51)을 구비한다. 이들은 수용부(50)에 매설된다.
그리고, 음량조절레버(41)가 돌출되는 바디 전면에는 연주자의 손가락 일부가 음량조절레버에 밀착되었을 때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안내홈(53)이 형성되며, 음량조절레버(41)를 밀어서 회전시킬 때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음량조절레버(41) 표면에는 널링부(47)가 형성된다.
도 4는 바디의 수용부(50)에 매설된 음량조절장치를 보인 배면도이고, 도 5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디 전면으로 음량조절레버(41)가 돌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바디 전면에는 연주자의 손가락이 음량조절레버(41)에 밀착되었을 때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관통홈(52)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요부확대 측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기기타의 음량조절 장치의 작용은 연주자가 전기기타를 연주할 때 기타현(30)을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서 위로 손가락으로 기타현(30)을 퉁기면 현이 진동하여 음이 발생된다.
또는 픽크 등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픽크 등의 연주도구를 이용하여 연주를 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음량조절레버가 바디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연주자가 연주중에 음량의 크기 및 세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손목을 굽히고 음량조절레버(41)를 엄지, 검지, 장지로 파지한 후 좌·우로 회전시켜야 음량이 조절되므로 그 작동이 매우 번거로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주자가 손목을 굽히고 음량조절레버를 파지할 필요없이 손가락의 일부를 바디(10) 전면에 수평으로 돌출된 상태의 음량조절레버(41)에 밀착시킨 후 상·하방향으로 밀어 회전시키므로서 음량을 조절함으로, 픽크 등의 연주도구를 손에 파지한 상태에서도 불편없이 용이하게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연주자는 기타현(30)을 퉁길 때, 손의 스윙방향이 기타현(30)과 직각방향인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음량조절레버(41) 또한 손의 스윙방향인 상·하방향으로 손가락의 일부를 밀착시킨 후 밀어서 회전시키므로, 그 동작이 연주할 때의 동작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아 간단하게 음량을 조절할 수 있고, 음량조절레버(41)가 바디(10)의 전면에 수평으로 누워 있으므로 연주할 때 손이 음량조절레버(41)에 걸리지 않아 연주에 지장없이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기타 바디(10) 전면에 음량조절레버(41)가 돌출되는 관통홈(52)의 주위에는 세로방향으로 안내홈(53)을 성형하여 연주자 손가락을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하며, 음량조절레버(41)의 표면에는 널링부(47)가 형성되어 있어 연주자의 손가락이 일부만 밀착되어도 마찰력을 향상시켜 미끄러짐 없이 음량조절레버(41)의 조작을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연주 전 또는 연주중에 전기기타의 음량을 조절하고자 할 때 연주자는 음량조절레버(41)에 손가락을 밀착시킨 후 상·하방향으로 약간만 밀어주어도 음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주자가 음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음량조절레버를 엄지, 검지, 장지로 파지하지 않고 손가락의 일부만 밀착시켜 밀어서 음량조절레버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 간단하게 음량을 조절하고, 연주할 때 손이 음량조절레버에 걸릴 염려가 없으므로 연주에 방해를 받지 않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바디(10)와; 넥크(20)와; 기타현(30)과; 상기 기타현에서 발생된 음량의 크기 및 세기를 조절하기 위해 바디(10)에 설치되는 음량조절부(40)로 구성된 전기기타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의 소정위치에 관통홈(52)을 포함하는 수용부(50)와;
    상기 수용부(50)에 매설되며, 브랏켓(43)에 설치되는 음량조절레버(41)는 바디(10)의 전면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관통홈(52)을 통해 바디(10) 전면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음량조절레버(41)에 연주자의 손가락을 밀착시킨 후 상·하방향으로 밀어서 회전시키므로 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전기기타의 음량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52)의 전면에는 음량조절레버(41)의 조작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세로방향으로 안내홈(5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타의 음량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량조절레버(41)의 표면에는 연주자의 손가락이 밀착되었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널링부(4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타의 음량조절장치.
KR10-2000-0065594A 2000-11-06 2000-11-06 전기기타의 음량조절 장치 KR100384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594A KR100384941B1 (ko) 2000-11-06 2000-11-06 전기기타의 음량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594A KR100384941B1 (ko) 2000-11-06 2000-11-06 전기기타의 음량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347A KR20020035347A (ko) 2002-05-11
KR100384941B1 true KR100384941B1 (ko) 2003-05-22

Family

ID=1969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5594A KR100384941B1 (ko) 2000-11-06 2000-11-06 전기기타의 음량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49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117A (ko) * 1996-09-05 1998-06-25 김광호 핸드세트의 회전식 음량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117A (ko) * 1996-09-05 1998-06-25 김광호 핸드세트의 회전식 음량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347A (ko) 200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6255B2 (en) Method of processing sounds from stringed instrument and pickup device for the same
JP5007842B2 (ja) 管楽器
US20060272489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controlling audio effects
JP2008170644A (ja) 電子楽器システムおよび電子楽器用スタンド
WO2003030142A3 (en) Voice-controlle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EP3338275B1 (en) Percussion device and system for stringed instrument
US2725778A (en) Sound pick-up device for the amplification of banjo music
US6384311B1 (en) Guitar having tremolo device on each string thereof
US7482531B2 (en) Integrated digital control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6723908B2 (en) Pick guard with electronic control housing and interface for acoustic guitar
JP2006527393A (ja) 増幅されたギター用のダイナミックコントローラを具えるマルチサウンドエフェクトシステム
TWI321484B (ko)
KR100384941B1 (ko) 전기기타의 음량조절 장치
US11217215B2 (en) Sound enhancing accessory for a musical instrument
US6441294B1 (en) Tug-a-wah
JP3164638U (ja) エレキギターのトレモロ装置
JP2008008924A (ja) 電気弦楽器システム
JP2010066640A (ja) 楽器
JP2005283732A (ja) 電気擦弦楽器
JP4717042B2 (ja) サックス
JP3885673B2 (ja) 弦楽器用サイレンサー
JP2005316417A (ja) 管楽器
KR20050037282A (ko) 연주하기 용이한 기타
JPH043348Y2 (ko)
SK59396A3 (en) Mechanical device for resounding an electric bass guit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