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4901B1 - 자외선 조사가교에 의한 탄성접착제의 유동성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자외선 조사가교에 의한 탄성접착제의 유동성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4901B1
KR100384901B1 KR10-2001-0019489A KR20010019489A KR100384901B1 KR 100384901 B1 KR100384901 B1 KR 100384901B1 KR 20010019489 A KR20010019489 A KR 20010019489A KR 100384901 B1 KR100384901 B1 KR 100384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adhesive
ultraviolet
crosslinking
ultraviolet irradiation
control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8975A (ko
Inventor
이종걸
문혁수
김태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9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4901B1/ko
Publication of KR20020078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9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9J109/02Copolymers with 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9J109/06Copolymers with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5/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9J1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9J125/08Copolymers of styrene
    • C09J1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5/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9J1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9J125/08Copolymers of styrene
    • C09J1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itriles
    • C09J13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use of irradi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용 접착필름으로 사용되는 탄성접착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탄성접착제의 제조시 코팅공정 후 유동성을 줄이기 위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가교시키는 반도체 패키지용 자외선 조사가교에 의한 탄성접착제의 유동성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의 열응력 완화층으로 사용되는 탄성접착제 제조 공정에서 코팅된 고분자 조성물의 유동성과 가교도를 조절하기 위해 100~500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의 조사 공정을 실행하는 것이며, 자외선 가교 방식에 의한 탄성접착제 제조는 가열로를 사용하지 않아 에너지 낭비를 줄이며, 단시간 경화가 가능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자외선 광조사량에 의한 가교도 조절이 열가교법에 비해 용이하며, 자외선 조사기의 설치 면적이 가열로에 비해 작으며, 광중합시 에폭시 반응기가 가교반응에 거의 참가하지 않으므로 저장 안정성이 뛰어나서 제품 수명이 긴 자외선 조사가교에 의한 반도체 패키지용 탄성접착제의 유동성 제어 방법이다.

Description

자외선 조사가교에 의한 탄성접착제의 유동성 제어 방법 {Melt-flow controlling method for elastomer by UV irradiation}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용 접착필름으로 사용되는 탄성접착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성접착제의 제조시 코팅공정 후 유동성을 줄이기 위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가교시키는 자외선 조사가교에 의한 반도체 패키지용 탄성접착제의 유동성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전자기기의 경박 단소화 및 고기능이 요구됨에 따라 전자기기의 메모리 및 구동회로를 담당하는 반도체의 고집적화와 더불어 얇고 작은 크기로 반도체를 효과적으로 패키징할 수 있는 패키지 방법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 형태의 패키지가 CSP(Chip Size Package)이며, CSP중 반도체가 실장되는 보드와의 물리적 연결에 솔더볼을 사용하는 BGA(Ball Grid Array) 타입이 높은 신뢰도를 구현해 주는 현실적인 대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BGA 패키지는 현재까지 개발된 CSP 중 가장 높은 수준의 신뢰성을 확보해 주는 패키지 타입으로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로의 채택이 유력한 램버스 DRAM의 기본 패키지 방법으로 채택되어 있다.
BGA 패키지가 다른 패키지보다 높은 신뢰성을 갗출 수 있었던 것은 그 내부에 열응력 완충 접착층인 탄성접착제를 도입하였기 때문이다. 탄성접착제는 반도체 칩, 회로와 솔더 패드가 배선되어 있는 플렉스 서브스트레이트 및 PCB 사이의 열팽창 계수 차이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패키지의 열변형을 완화, 흡수함으로써 열반복 환경 하에서 솔더볼 조인트의 파괴를 지연하는 역할을 하여 차세대 패키지에도 널리 응용될 것이다.
독일의 베이어사에서 자외선용 불포화 폴리에스터에 관한 특허를 발표한 이후에 세계적으로 자외선 조사가교 방법에 대한 학문적 또는 실용적 연구가 주목을 받아왔으나 목재가구나 가정용품 및 일부 몇몇 분야에 그 응용분야가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패키지 공정 중에 탄성접착제는 고온(150℃~200℃)에서 작용하는 압력 (1Mpa~1.5Mpa) 하에 기판에 접착되게 된다. 이때 접착압력으로 인한 탄성접착제의 과다한 유동은 회로나 리드의 오염에 의한 전기적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탄성접착제의 유동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탄성접착제 제조시 가교 공정이 필요한 것이다.
종래의 탄성접착제의 가교방식은 가열로를 이용한 열에 의한 경화 방식으로 탄성접착제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코팅용 레진은 접착력을 얻기 위한 에폭시 반응기를 가지고 있는 고분자 수지, 저탄성 특성을 얻기 위한 고무류 수지, 여러 가지 첨가제, 수지들을 용액화하기 위한 적절한 유기용매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코팅용 레진으로부터 원하는 물성을 가지는 탄성접착제를 얻기 위해서종래에는 용매를 제거시킨 후 가교공정을 위해 다수의 가열로를 통과시켰다. 이렇게 열을 경화 반응의 에너지원으로 이용하여 에폭시 반응기의 중합반응을 일으키는 것이다.
종래의 열경화 방식은 사용도가 다양하고 작업의 용이함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열경화 방식은 다수의 열원을 이용함으로 에너지의 낭비와 비용이 많이 들며, 경화 장치인 가열로가 크기 때문에 설치면적이 크며 경화 시간이 수분에서 수시간 단위이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며 에폭시의 반응도가 크면 접착제의 특성을 얻기 어렵기 때문에 중합반응의 세세한 조절이 필요하며 에폭시 반응기가 부분적으로 가교반응에 참가하므로 저장 안정성이 떨어져 제품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도체 패키지의 열응력 완화층으로 사용되는 탄성접착제 제조 공정에서 코팅된 고분자 조성물의 유동성과 가교도를 조절하기 위해 100~500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의 조사 공정을 실행하는 것이며, 자외선 가교 방식에 의한 탄성접착제 제조는 가열로를 사용하지 않아 에너지 낭비를 줄이며, 단시간 경화가 가능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자외선 광조사량에 의한 가교도 조절이 열가교법에 비해 용이하며, 자외선 조사기의 설치 면적이 가열로에 비해 작으며, 광중합시 에폭시 반응기가 가교반응에 거의 참가하지 않으므로 저장 안정성이 뛰어나서 제품 수명이 긴 자외선 조사가교에 의한 반도체 패키지용 탄성접착제의 유동성 제어 방법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자외선 조사 전에 코팅 후 건조된 탄성접착제 필름.
도 2는 도 1의 구조로 구성된 탄성접착제 필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탄성접착제 필름 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동작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코우팅 모재, 11 : 접착 필름,
12 : 라미네이션 필름, 20 : 회전롤,
21 : 탄성접착제, 22 : 자외선 램프.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코팅 모재에 원하는 두께로 코팅하는 과정과, 코팅 모재를 건조 후에 라미네이션하여 코팅모재, 접착필름, 라미네이션 필름의 3층 구조로 탄성접착제 필름을 만드는 과정과, 탄성접착제 필름 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과정과, 자외선 조사시에 자외선을 조사량을 조절하는 광중합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 코팅 모재는 투명필름이며 박리 가능하며, 자외선조사량은 탄성접착제의 이동속도를 회전롤로 제어하고 자외선 램프의 광조사량을 제어하여 단위면적당, 단위시간당 탄성접착제에 가해지는 자외선 조사량을 제어하는 것이며, 자외선 램프는 발열에 의하여 자외선을 방출하는 아크타입 램프와 발생된 전자기파에 의하여 상기 자외선을 방출시키는 퓨전타입 램프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며, 접착필름은 광중합 개시제와 광중합 참여물질을 사용하며, 광중합 개시제는 1-하이드록시 헥실 페닐 키톤, 2-하이드록시-2-메칠-1-페닐 프로판-1-온, 4-(2-하이드록시에칠)페닐-(2-하이드록시-2-메칠프로필)키톤, 포스파이트 옥사이드, 사이클로펜타디에닐 페닐 아이언 엑사풀루오르 포스페이트, 디페닐키톤, 비스(2,6-이메톡시벤조일)-티부틸-2-메틸에틸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톡시벤조일) 페닐포스핀옥사이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며, 광중합 참여물질은 디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불포화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하며, 광중합 참여물질은 상기 불포화 탄화수소 농도가 작은 수소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소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수소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실리콘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코팅 후 건조되어 3층 구조를 가지는 필름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코우팅 모재(10), 접착필름(11), 라미네이션 필름(12)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코팅후에 건조되어 3층의 구조를 가지는 필름을 제조하는 것은 코우팅 머신에서 한 번의 공정으로 가능하다.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용 접착필름으로 사용되는 탄성접착제의 제조시 코팅공정 후 유동성을 줄일 목적으로 자외선를 조사하는 것으로, 탄성접착제 제조를 위한 자외선 조사공정, 자외선에 의한 탄성접착제 조성물 개량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구조로 구성된 탄성접착제 필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개략도를 도시한 것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성은 자외선램프(22)와 회전롤(20)과 탄성접착제 필름(21)으로 이루어지며, 자외선 조사에 의한 가교공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자외선 조사공정에 사용되는 자외선은 100nm에서 500nm사이의 파장을 사용하며, 주로 200nm에서 350nm 사이의 파장에서 최대값의 광조사량이 나오는 자외선 램프(22)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자외선 조사를 위하여 사용하는 자외선램프(22)는 발열에 의하여 바로 자외선를 방출하는 아크타입 램프와 마그네트론 등의 기기를 사용하여 전자기파를 발생하여 발생된 전자기파에 의하여 다시 자외선을 방출시키는 퓨전타입의 램프를 각각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3층의 구조를 가지는 탄성접착제 필름(21)을 조사하는데 자외선 램프(22)의 자외선 조사량과 회전롤(2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단위면적과 단위시간당 탄성접착제 필름(21)이 받는 자외선 광조사량을 변화시킴으로써 광중합개시제의 반응 정도를 조절하여 세밀한 탄성접착제 필름(21)의 가교도의 유동성 조절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탄성접착제 필름 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동작 순서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탄성접착제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박리가 가능하고 자외선 투과도가 좋은 투명한 필름위에 원하는 두께로 블레이드 코우팅, 그라비아 코우팅, 압출식 코우팅 방법을 사용하여 코우팅한 후 건조하여 코우팅 모재(10), 접착필름(11), 라미네이션 필름(12)으로 3층의 구조를 가지는 탄성접착제 필름을 제조한다(스텝 S30, 스텝 S31).
제조된 탄성접착제 필름(21)에 행하는 자외선 조사는 코팅과정이 완료된 후 탄성접착제 필름(21) 위에 바로 행하게 되며 일정한 속도로 탄성접착제 필름(21)이 움직이는 연속적인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가교도는 탄성접착제 필름(21)이 이동하는 속도를 회전롤(20)로 조정하며, 자외선 램프(22)의 자외선 광조사량을 변화시킴으로써 탄성접착제 필름(21)이 단위면적과 단위시간당 받는 광조사량은 세밀하게 유동성의 조절이 가능하다(스텝 S31, 스텝 S32).
한편, 탄성접착제 필름 가교에 사용된 강경화성 코팅 조성물은 불포화탄화수소를 포함하고 있어야 라디칼 반응에 의한 개시, 전파, 종결 반응으로 중합이 가능하다.
탄성접착제 조성물에 첨가되는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일단 개시제의 흡수 피크와 자외선 램프의 파장이 일치해야 함을 전제 조건으로 한다. 탄성접착제의 경우 코팅 두께가 비교적 두꺼우므로(175㎛) 자외선 흡수 특성이 뛰어난 1-하이드록시 헥실 페닐 키톤, 2-하이드록시-2-메칠-1-페닐 프로판-1-온, 4-(2-하이드록시에칠)페닐-(2-하이드록시-2-메칠프로필)키톤, 포스파이트 옥사이드, 사이클로펜타디에닐 페닐 아이언 엑사풀루오르 포스페이트, 디페닐키톤, 비스(2, 6-이메톡시벤조일)-티부틸-2-메틸에틸포스핀옥사이드, 비스(2, 4, 6-트리메톡시벤조일) 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여 광중합에 참여하는 물질로서는 광중합성 디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기본으로 하여 불포화 탄화수소를 포함하고 있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로니트릴 부타디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때 코팅재의 불포화 탄화수소의 농도가 너무 크게 되면 중합 발열반응에 의한 코팅 모재의 손상이 우려되므로 불포화 탄화 수소농도가 보다 작은 수소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소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수소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실리콘 공중합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중합과정에서 에폭시 반응기는 반응에 거의 참여하지 않는데 이는 열경화식의 탄성접착제와의 순차주사 열분석(DSC) 결과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탄성접착제의 우수한 접착력, 저장안정성이 뛰어난 결과를 보였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접착제의 특성을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동성시험으로 탄성접착제 접착머신(온도 160℃, 압력 2Mpa, 시간 18초)을 사용하여 탄성접착제의 유동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측정에 사용된 샘플크기는 10mm×20mm이며 이때 접착 후 20mm 모서리부에 수직으로 유동한 양을 평균한 것을 유동량으로 정하였을 때 유동량은 300㎛ 이하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접착력시험은 탄성접착제 접착머신(온도 160℃, 압력 2Mpa, 시간 2초)을 이용하여 접착 모재인 폴리이미드 필름에 접착시킨 후 접착력을 T-peel 시험법으로 측정한 것으로, 접착력 값이 1500g/㎝ 이상으로 열경화 방식의 탄성접착제에 비해 300g 이상 향상되었다.
탄성접착제의 저장안전성 시험은 진공포장을 푼 후 방치시간에 따른 접착력을 값의 변화로 판단하는 것으로, 5℃ 이하에 방치하였을 경우는 6개월까지 접착력 값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상온에 방치하였을 경우에도 열경화방식의 탄성접착제에 비해 접착력 감소가 원만하였다.
열분석시험은 제조직후 측정한 순차주사 열분석시험(DSC) 결과 에폭시 반응피크의 발열량이 100joule/g 이상으로 열경화방식의 60joule/g ~ 70joule/g 에 비해 크므로 광중합에 의해 에폭시 반응기가 거의 중합에 참여하지 않았음이 확인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패키지용 탄성접착제의 제조에 있어서 코팅과정이 완료된 후에 자외선 조사를 탄성접착제 필름 위에 바로 행하며 탄성접착제 필름이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연속적인 상태에서 이루어지고, 탄성접착제 필름이 이동하는 속도를 회전롤로 조정함으로써 단위 면적과 단위 시간당 탄성접착제 필름이 받는 자외선 조사량을 변화시킬 수 있어서 세밀한 조절이 가능하다.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는 발열에 의하여 자외선을 방출하는 아크타입 램프와 마그네트론 등의 기기를 사용하여 전자기파를 발생하여 발생된 전자기파에 의하여 다시 자외선을 방출시키는 퓨전타입의 램프를 각각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한편, 탄성접착제 필름의 자외선 가교에 사용되는 광경화성 코팅 조성물은 불포화탄화수소를 함유하고 있어야하며, 조성물에 첨가되는 광중합 개시제는 자외선 흡수 특성이 뛰어난 1-하이드록시 헥실 페닐 키톤, 2-하이드록시-2-메칠-1-페닐프로판-1-온, 4-(2-하이드록시에칠)페닐-(2-하이드록시-2-메칠프로필)키톤, 포스파이트 옥사이드, 사이클로펜타디에닐 페닐 아이언 엑사풀루오르 포스페이트, 디페닐키톤, 비스(2, 6-이메톡시벤조일)-티부틸-2-메틸에틸포스핀옥사이드, 비스(2, 4, 6-트리메톡시벤조일) 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여 광중합에 참여하는 물질은 코팅재의 불포화 탄화수소의 농도가 너무 크게 되면 중합 발열반응에 의한 코팅 모재의 손상이 우려되므로 불포화 탄화 수소농도가 보다 작은 수소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소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수소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실리콘 공중합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얻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의 열응력 완화층으로 사용되는 탄성접착제 제조 공정에서 코팅된 고분자 조성물의 유동성과 가교도를 조절하기 위해 100~500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의 조사 공정을 실행하여 가열로를 사용하지 않아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단시간 경화가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자외선 광조사량에 의한 가교도 조절이 열가교법에 비해 용이하며 자외선 조사기의 설치면적이 가열로에 비해 작으며 광중합시 에폭시 반응기가 가교반응에 거의 참가하지 않으므로 저장 안정성이 뛰어나 제품 수명이 긴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가교된 탄성접착제는 접착성, 저장안정성, 유동성이 열경화방식으로 제조된 종래의 탄성접착제 보다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코팅 모재에 원하는 두께로 코팅하는 과정과;
    코팅 모재를 건조 후에 라미네이션하여 코팅모재, 접착필름, 라미네이션 필름의 3층 구조로 탄성접착제 필름을 만드는 과정과;
    상기 탄성접착제 필름 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과정과;
    상기 자외선 조사시에 자외선의 조사량을 조절하는 광중합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가교에 의한 탄성접착제의 유동성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모재는 투명필름이며 박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가교에 의한 탄성접착제의 유동성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량은 상기 탄성접착제의 이동속도를 회전롤로 제어하고 자외선 램프의 광조사량을 제어하여 단위면적당, 단위시간당 상기 탄성접착제에 가해지는 자외선 조사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가교에 의한 탄성접착제의 유동성 제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는 발열에 의하여 자외선을 방출하는 아크타입 램프와 발생된 전자기파에 의하여 상기 자외선을 방출시키는 퓨전타입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가교에 의한 탄성접착제의 유동성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필름은 광중합 개시제와 광중합 참여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가교에 의한 탄성접착제의 유동성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1-하이드록시 헥실 페닐 키톤, 2-하이드록시-2-메칠-1-페닐 프로판-1-온, 4-(2-하이드록시에칠)페닐-(2-하이드록시-2-메칠프로필)키톤, 포스파이트 옥사이드, 사이클로펜타디에닐 페닐 아이언 엑사풀루오르 포스페이트, 디페닐키톤, 비스(2,6-이메톡시벤조일)-티부틸-2-메틸에틸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톡시벤조일) 페닐포스핀옥사이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가교에 의한 탄성접착제의 유동성 제어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 참여물질은 디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불포화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가교에 의한 탄성접착제의 유동성 제어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 참여물질은 상기 불포화 탄화수소 농도가 작은 수소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소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수소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실리콘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가교에 의한 탄성접착제의 유동성 제어 방법.
KR10-2001-0019489A 2001-04-12 2001-04-12 자외선 조사가교에 의한 탄성접착제의 유동성 제어 방법 KR100384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489A KR100384901B1 (ko) 2001-04-12 2001-04-12 자외선 조사가교에 의한 탄성접착제의 유동성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489A KR100384901B1 (ko) 2001-04-12 2001-04-12 자외선 조사가교에 의한 탄성접착제의 유동성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975A KR20020078975A (ko) 2002-10-19
KR100384901B1 true KR100384901B1 (ko) 2003-05-23

Family

ID=27700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489A KR100384901B1 (ko) 2001-04-12 2001-04-12 자외선 조사가교에 의한 탄성접착제의 유동성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4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745B1 (ko) * 2015-12-14 2016-10-24 주식회사 진양엠티에스 복합 가교 아크릴 기재층을 포함하는 양면 점착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951B1 (ko) * 2001-04-12 2003-11-14 엘지전선 주식회사 자외선 조사가교에 의한 0.4이하의 포아송비를 갖는 접착필름의 제조 방법
US20050016672A1 (en) * 2002-10-18 2005-01-27 Tae-Sung Kim Melt-flow controlling method for elastomer by uv irradiation
KR100725024B1 (ko) * 2006-06-05 2007-06-07 주식회사 덕성 고흡수성 하이드로콜로이드의 제조방법
KR100718695B1 (ko) * 2006-12-07 2007-05-15 (주)명성화학 강성이 향상된 이중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102256074B1 (ko) * 2020-05-21 2021-05-26 (주)케이디엔에이 스마트 헬스 케어용 스트레처블 근적외선 led 밴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64A (en) * 1859-03-15 Fastening for folding doors
JPH05136248A (ja) * 1991-11-15 1993-06-01 Hitachi Ltd 粘着テープの粘着力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0661346A (ja) * 1992-08-05 1994-03-04 Nippon Kakoh Seishi Kk 半導体ウエハダイシング用粘着シート
JP2000104026A (ja) * 1998-07-27 2000-04-11 Nitto Denko Corp 紫外線硬化型粘着シ―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64A (en) * 1859-03-15 Fastening for folding doors
JPH05136248A (ja) * 1991-11-15 1993-06-01 Hitachi Ltd 粘着テープの粘着力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0661346A (ja) * 1992-08-05 1994-03-04 Nippon Kakoh Seishi Kk 半導体ウエハダイシング用粘着シート
JP2000104026A (ja) * 1998-07-27 2000-04-11 Nitto Denko Corp 紫外線硬化型粘着シ―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745B1 (ko) * 2015-12-14 2016-10-24 주식회사 진양엠티에스 복합 가교 아크릴 기재층을 포함하는 양면 점착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975A (ko) 200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72571B (zh) 可形成片狀物之單體組合物,熱傳導性片狀物及熱傳導性片狀物之製造方法
JP5509738B2 (ja) アクリル系絶縁性接着剤
KR19980087135A (ko) 박리 가능한 열 전도성, 감압성 접착제 및 이를 함유하는 접착쉬트
EP4227378A1 (en) Method for producing electronic component, method for producing display device, and support tape
KR100384901B1 (ko) 자외선 조사가교에 의한 탄성접착제의 유동성 제어 방법
JP2007308694A (ja) 半導体用接着部材、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5942321B2 (ja) モールドアンダーフィル工程のマスキングテープ用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利用したマスキングテープ
JP2002256237A (ja) 接着シート、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JP4119430B2 (ja) 紫外線照射架橋による弾性接着剤の流動性制御方法
JP6384234B2 (ja) ラジカル重合型接着剤組成物、及び電気接続体の製造方法
JP2002285121A (ja) 感圧接着性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
JP2004083602A (ja) 接着シート並びに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596957B2 (ja) 導体回路を有する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感光性樹脂組成物
KR20170007173A (ko) 반도체 접착용 수지 조성물 및 다이싱 다이본딩 필름
JP5444738B2 (ja) 半導体装置
JP4201858B2 (ja) 熱硬化性接着剤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接着構造
JP6232855B2 (ja) ラジカル重合型接着剤組成物、及び電気接続体の製造方法
JP2008277806A (ja) 半導体用接着部材、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405951B1 (ko) 자외선 조사가교에 의한 0.4이하의 포아송비를 갖는 접착필름의 제조 방법
US20230054960A1 (en) Side-filling resin compositio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side-filling member
JP2006169480A (ja) 半導体用耐熱性粘着テープ
JP2006332037A (ja) 導電粒子の連結構造体
JP2018147987A (ja) 半導体チップの製造方法及び粘着テープ
US20160345442A1 (e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same
JP2007335392A (ja) 回路部材の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