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4729B1 - 식재매트 흙채움 호안블럭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재매트 흙채움 호안블럭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4729B1
KR100384729B1 KR10-2002-0006992A KR20020006992A KR100384729B1 KR 100384729 B1 KR100384729 B1 KR 100384729B1 KR 20020006992 A KR20020006992 A KR 20020006992A KR 100384729 B1 KR100384729 B1 KR 100384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oil
block body
prevent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0925A (ko
Inventor
한동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디.씨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디.씨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디.씨엔씨
Priority to KR10-2002-0006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4729B1/ko
Publication of KR20020020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7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5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vegetable material, e.g. wood, ree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Abstract

본 발명은 식재매트 흙채움 호안블럭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조경용 블럭을 사용하여 제방이나 하천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본래의 기능은 물론, 자연 생태계의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게 하여, 주변 환경을 자연 환경과 같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고, 더 나가서 시멘트 블럭의 내부에 식생을 위한 흙을 포함하도록 하되, 블럭의 전면에 걸쳐 흙이 분포되어 식물의 성장 발육이 양호하고, 쉽게 죽지 않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흙채움 호안블럭을 제조하되, 그 블럭의 재료를 운모를 포함하는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여 제조하므로 써 시멘트 자체의 산성화 과정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물 속의 오염성분을 정화시켜 나가는데 일조하도록 하므로 써 친 환경 성향이 더 커지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다수의 바닥구멍(11)들을 형성한 바닥부(12)와, 상기 바닥부의 외주면을 따라 세운 사방 테두리부(14)와, 이 테두리부 안쪽의 바닥부(1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한 자연석 모양의 장식블럭부(20)와, 그 외의 식재공간부(15)와, 상기 테두리부(14)의 사방 모서리에서 면취부(16)를 형성하고 연결고리(17)를 매설한 블럭본체(10)를 형성한 후, 상기 블럭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장식블럭부(20) 사이사이의 식재공간부(15)에 임의의 씨앗을 포함하는 식생흙(30)을 채워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식재매트 흙채움 호안블럭과 그 제조방법 {Protecting the bank Brick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식재매트 흙채움 호안블럭과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식생흙을 담는 구조와, 운모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재질의 본체블럭으로 구성하여 하천이나, 해변, 유수지, 도로법면, 등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공하는 조경용 블럭을 개량하여 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하되, 생태계 보호 및 자연과의 공생, 친환경적인 기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하천, 해변, 유수지, 도로법면 등이 쉽게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콘크리트 포장하거나 또는 일정한 크기로 된 시멘트 콘크리트 블럭 조각을 마치 바둑판 모양으로 이리 저리 끼워 맞추는 방법을 통해 말끔히 정돈된 환경조성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제방법면의 경우, 흙이나 돌 위에 일정한 두께 이상으로 콘크리트를 덮어 씌움으로써 이를 시공한 후에는 초목 등이 성장할 수 없게 되어 자연녹지가 점차 줄어드는 결과를 초래하였을 뿐만 아니라, 미생물 서식이 어려워 생태계가 무너지고, 침수 및 지반 침하 등으로 인한 지속적인 관리 및 유지, 보수에 더 많은 비용을 지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하천이나 유수지 제방의 경우 모두가 콘크리트로 덮여지는 관계로 자연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낮고, 초목이나 수초 등이 생육하지 못하여 미생물이 사라지고, 그로 인해 어, 패류 및 곤충들의 먹이 사슬 변화로 자연 생태계에 큰 변화를 조장하였을 뿐만 아니라, 하천이 직선으로 곧게 시공하므로 써 유속 변화로 하류쪽에서는 작은 홍수 및 침수 피해가 종종 발생하였다.
더욱이 하천 정비에 따른 생태계 파괴는 하천의 자체 정화능력을 상실시키는 것이고, 이는 하천수질을 크게 오염시키는 주요 요인이 되었다.
그리고 또, 하천의 바닥부분에 호안블럭을 설치하였을 경우, 물의 흐름을 양호한 상태로 하는데만 주안점을 둘 뿐, 물의 흐름에 굴곡을 두어 물 속에 산소가 함유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은 감안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물 속에 공기가 함유되지 못하므로 인해 알칼리성향으로 변하고, 이로 인해 미생물, 지렁이, 물고기 등의 서식처가 없어지며, 이와 같은 생물들이 없어지는 만큼 환경파괴의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흙채움 호안블럭을 사용하여 제방이나 하천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본래의 기능은 물론, 자연 생태계의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게 하여 주변환경을 자연 환경과 같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고, 더 나가서 시멘트 블럭의 내부에 식생을 위한 흙을 포함하도록 하되, 블럭의 전면에 걸쳐 흙이 분포되어 식물의 성장 발육이 양호하고, 그로 인해 미생물이 번성하면서 쉽게 죽지 않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흙채움 호안블럭을 제조하되, 그 블럭의 재료를 운모를 포함하는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여 제조하므로 써 시멘트 자체의 산성화 과정을 억제시키면서 물 속의 오염성분을 정화시키는데 일조하도록 함으로써 친 환경 성향이 더 커지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천이나 제방법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공하는 조경용 블럭에 있어서, 다수의 바닥구멍들을 형성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외주면을 따라 세운 사방 테두리부와, 이 테두리부 안쪽의 바닥부로부터 돌출 되게 형성한 자연석 모양의 장식블럭부와, 그 외의 식재공간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사방 모서리에서 면취부를 형성하고 연결고리를 매설한 블럭본체를 형성한 후, 상기 블럭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장식블럭부의 사이의 식재공간부에 임의의 씨앗을 포함하는 식생흙을 채워서 구성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흙채움 호안블럭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흙채움 호안블럭의 성형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흙채움 호안블럭의 완성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흙채움 호안블럭의 다른 실시상태의 사시도,
도 6a, 도 6b은 본 발명 흙채움 호안블럭의 또 다른 실시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흙채움 호안블럭의 또 다른 실시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시공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시공상태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블럭과 블럭의 연결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천연식재매트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블럭본체 11 : 바닥구멍
12 : 바닥부 13 : 측면구멍
14 : 테두리부 15 : 식재공간부
16 : 면취부 17 : 연결고리
20 : 장식블럭부 30 ; 식생흙
50 : 천연식재매트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흙채움 호안블럭이 가지는 특징은 블럭본체(10)와, 장식블럭부(20)와, 식생흙(30)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며, 4가지 형태가 있다.
첫 번째 기본적인 형태는 도 1 및 도 2,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바닥구멍(11)들을 형성한 바닥부(12)와, 상기 바닥부의 외주면을 따라 세운 사방 테두리부(14)와, 이 테두리부 안쪽의 바닥부(1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한 자연석 모양의 장식블럭부(20)와, 그 외의 식재공간부(15)와, 상기 테두리부(14)의 사방 모서리에서 면취부(16)를 형성하고 연결고리(17)를 매설한 블럭본체(10)를 형성한 후, 상기 블럭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장식블럭부(20) 사이의 식재공간부(15)에 임의의 씨앗을 포함하는 식생흙(30)을 채워서 구성한 것이다.
두 번째 형태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바닥구멍(11)들을 형성한 바닥부(12)와, 상기 바닥부의 외주면을 따라 세우되, 측방향으로 다수의 측면구멍(13)들을 형성한 사방 테두리부(14)와, 이 테두리부 안쪽의 바닥부(12)로부터 돌출 되게 형성한 자연석 모양의 장식블럭부(20)와, 그 외의 식재공간부(15)와, 상기 테두리부(14)의 사방 모서리에서 면취부(16)를 형성하고 연결고리(17)를 매설한 블럭본체(10)를 형성한 후, 상기 블럭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장식블럭부(20) 사이의 식재공간부(15)에 임의의 씨앗을 포함하는 식생흙(30)을 채워서 구성한 것이다.
즉, 테두리부(14)에 측면구멍(13)들을 다수 형성한 것이다.
세 번째 형태는 도 6a, 및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바닥구멍(11)을 형성한 바닥부(12)와, 상기 바닥부의 외주면을 따라 세운 사방 테두리부(14)와, 이 테두리부 안쪽의 바닥부(12)로부터 돌출 되게 형성하되, 서로의 높낮이가 다른 다수의 자연석 모양의 장식블럭부(20)와, 그 외의 식재공간부(15)와, 상기 테두리부(14)의 사방 모서리에서 면취부(16)를 형성하고 연결고리(17)들을 매설한 블럭본체(10)를 형성한 후, 상기 블럭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장식블럭부(20) 사이의 식재공간부(15)에 임의의 씨앗을 포함하는 식생흙(30)을 채워서 구성한 것이다.
즉, 자연석 모양의 장식블럭부(20)의 높이를 일정하지 않고 일부는 높고 일부는 낮게 형성하여 임의의 간격(T) 만큼 층이 지도록 한 것이다.
네 번째 형태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천이나 제방법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공하는 조경용 블럭에 있어서,
다수의 바닥구멍(11)들을 형성한 바닥부(12)와, 상기 바닥부(12)로부터 돌출 되게 형성한 자연석 모양의 장식블럭부(20)와, 그 장식블럭부 사이사이의 식재공간부(15)와, 상기 바닥부(12)의 사방 모서리에서 면취부(16)를 형성하고 연결고리(17)를 매설한 블럭본체(10)를 형성한 후,
상기 블럭본체(10)의 식재공간부(15)에 임의의 씨앗을 포함하는 식생흙(30)을 채워서 구성한 것이다.
이때, 식생흙에는 다음에서 설명하겠지만 응고제를 섞어 제조하기 때문에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흙이 블럭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들 각각의 4가지 형태는 모두 짚, 나무껍질, 풀(예컨대 억새, 갈대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자연식물재의 천연식재매트(50)를 저면에 부착하여 형성한 것이다.
이 천연식재매트(50)는 도 3에서 보듯이 테두리부(14)의 가로 세로 크기가 약 1m ×1m일 때, 그 보다 약 5cm ~ 10cmm 가량 더 크게 하는 것이 좋으며, 식재공간부(15) 내에 담겨진 식생흙을 흘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과, 블럭을 반복하여 적재할 때 발휘하는 완충기능과, 시공되어 땅위에 접하였을 때 흙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과, 장기간 경과 후에는 밑거름이 되도록 하는 역할을 갖는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블럭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배합공정과, 천연식재매트준비공정과, 흙배합공정이 각각 따로 실시되고, 이후, 블럭성형공정, 천연식재매트 부착공정, 양생공정, 흙채움공정, 출하대기공정을 거친다.
콘크리트 배합공정에서는 일반자갈 약 28%, 운모자갈 및 운모석분 약 20%, 시멘트 약 10%, 모래 약 30%, 석분 약 10%, 혼화제 약 2%의 중량 비로 섞고 물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재료를 혼합하는 공정이며, 통상적인 방법과 같이 콘크리트 믹서에 넣고 혼합한다.
또한, 천연식재매트 준비공정은 짚, 나무껍질, 풀(예컨대 억새, 갈대 등)의 소재를 선택적으로 혹은 일부 혼합하여 사용하며, 제조하고자 하는 블럭의 크기에 맞게 적당한 길이와 적당한 두께로 천연매트를 만드는 공정이다.
흙배합공정은 황토 약 50%와, 찰흙 및 개흙 약 25%, 톱밥 약 3%, 운모자갈 약 10%, 운모석분 약 10%, 임의의 씨앗(나무씨앗, 풀 씨앗, 꽃씨앗 중 어느 하나)약 1% 미만, 혼화제 약 1% 의 중량 비로 섞고 물을 사용하여 혼합하는 공정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흙 혼합물은 약간의 응고제를 섞음으로써 블럭본체의 식재공간부(15)에 다져 넣었을 때, 블럭을 이동시키거나 기울이거나 하여도 쉽게 유실되지 않고, 일정강도를 유지할 정도가 되는 것이다.
상기한 운모는 각종 물리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의 산성화를 방지하고, 물을 정화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말운모는 진주 광택이 있기 때문에 장식도료에도 사용하는 등, 근래에는 사용처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데 대략 루우핑에 28%, 시멘트 혼합제로 18%, 페인트에 23%, 고무에 6%, 기타 25%의 비율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또, 상기한 내용물 중 임의의 씨앗은 잔디, 억새, 갈대 등을 포함하는 석회석 풀씨나, 코스모스, 백일홍 등의 꽃씨, 버드나무 씨앗 등이 있으며, 이들은 본 발명의 흙채움 호안블럭을 사용하고자 하는 현장의 입지여건과 주위 환경에 맞게 종류별로 선택가능하며, 주문생산의 형태가 가능하다.
블럭성형공정은 상기한 콘크리트 배합공정에서 준비된 콘크리트 재료를 철재 및 플라스틱(혹은 에프.알.피), 세라믹, 고무,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만들어진 성형틀 속에 넣고, 진동을 제공하는 상태로 다져서 성형하는 공정이다.
그리고, 천연식재매트 부착공정은 상기 블럭성형공정을 거친 후, 콘크리트가 마르지 않은 상태에서 블럭본체의 저면에 상기한 천연식재매트 준비공정에서 준비한 천연식재매트를 부착하는 공정이다.
이어서, 양생공정은 상기 천연식재매트 부착공정을 거친 상태에서 자연양생방법 또는 증기양생방법을 사용하여 충분히 양생시키는 공정이다.
흙 채움 공정은 상기 양생공정을 거쳐 완성된 블럭본체의 내부 식재공간부에 상기 흙 배합공정에서 준비한 식생흙을 부어 넣고 다지는 공정이다.
그 이후의 출하대기공정은 상기 흙 채움공정을 거쳐 완성된 상태의 블럭을 옥외에 야적하는 것으로, 식생흙에서 일부 씨앗이 발아하여도 무방하므로 출하될 때까지 보관하는 과정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흙채움 호안블럭을 시공하는 상태를 설명한다.
제방의 법면에는 도 1 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식블럭부(20)의 높이가 고른 것을 사용하되, 각각의 블럭(1)들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 하 좌, 우로 열을 맞춘 후, 상기 테두리부(14)의 면취부(16)에 형성된 연결고리(17)들을 이용하여 서로 결속시킨다.
즉,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잠금 플레이트(41)를 포함하는 별도의 체결부재(40)를 사용하여 각각의 연결고리(17)들을 결속하고 너트(42)로 체결하면 법면의 쇄굴 및 유실을 충분히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블럭은 식재공간부(15)가 넓어 상측으로 노출되는 식생흙(30)부분이 넓고, 블럭본체(10)의 바닥부(12)로 바닥구멍(11)이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도 5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은 타입은 테두리부(14)의 측편으로 다수의 측면구멍(13)들이 형성되어 있거나 테두리부(14)가 없기 때문에 식물들이 뿌리를 내리고 살기에 알맞으며, 다음해에는 해당 씨앗이 옆의 블럭 위로 떨어지기도 하기 때문에 식생효과가 다년간 오래가므로 호안블럭의 유지 보수비용이 절감된다.
한편, 법면 중에서도 계단식의 답판 부분이 필요하거나, 하천의 바닥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은 장식블럭부(20)의 높이가 서로 다른 이단 블럭을 사용한다.
이는 도 6a 및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럭 폭의 반은 낮고, 반은 높기 때문에 그 간격(T)만큼 층이 져 있는 것이며, 하천의 바닥에 설치하였을 경우, 물이 구불구불하게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고, 그 높이가 높고 낮고를 반복하도록 시공할 수 있는 바, 이와 같이 시공하면, 그 턱에 의해 물이 흐를 때 기포가 발생하여 산소가 공급되므로 수질 정화의 효과가 있으며, 흙을 포함하고 있고, 그 흙은 바닥부(12)의 바닥구멍(11)을 통해 실제의 하천 바닥과 이어지므로 땅이 살아 있게 하고, 각종 생물(어류, 파충류, 양서류, 화초류, 관목류 등)이 서식할 수 있게 되므로 환경이 파괴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재질의 속에 운모를 포함하고 있는데, 운모는 콘크리트의 산성화를 예방하여 블럭본체(10) 및 장식블럭부(20)의 수명이 오래가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블럭을 하천의 바닥에 시공하였을 경우, 오염된 물을 중화시켜 수질을 개선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식재매트 흙채움 호안블럭은 콘크리트 재질의 블럭본체 및 장식블럭부를 만들되 운모를 포함하도록 하여 운모의 알카리성을 콘크리트의 산화방지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수명이 오래가는 장점이 있으며, 수중에 설치하였을 때는 수질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운모성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의 콘크리트와 다른 질감을 주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블럭본체는 사방 측벽으로 측면구멍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그 내부의 식재공간부에 본 발명의 식생흙을 다져 넣었을 때, 하나의 블럭 안에서만 식생이 가능했던 종래의 식생 블럭과 달리 뿌리가 다른 블럭 및 땅속으로 뻗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 바닥이 본래의 땅과 연계하도록 바닥구멍을 가지고있어 생태계가 보존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면에서 우수한 것이다.

Claims (7)

  1. 하천이나 제방 법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공하는 조경용 블럭에 있어서,
    다수의 바닥구멍(11)들을 형성한 바닥부(12)와,
    상기 바닥부의 외주면을 따라 세운 사방 테두리부(14)와,
    이 테두리부 안쪽의 바닥부(12)로부터 돌출 되게 형성한 자연석 모양의 장식블럭부(20)와,
    상기 장식 블럭부(20) 주변의 식재공간부(15)와,
    상기 테두리부(14)의 사방 모서리에서 면취부(16)를 형성하고 연결고리(17)를 매설한 블럭본체(10);
    상기 블럭본체(10)의 식재공간부(15)를 채우되, 임의의 씨앗을 포함하는 식생흙(30);
    상기 블럭본체(10)의 저면에 부착하되, 흙채움 호안블럭의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적층시 완충기능을 하며, 시공시 지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블럭본체(10)의 가로 세로 크기에 대하여 같은 크기이거나 약간 더 큰 치수로 부착한 자연식물재(짚, 나무껍질, 억새풀, 갈대 등)의 천연식재매트(5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매트 흙채움 호안블럭.
  2. 하천이나 제방법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공하는 조경용 블럭에 있어서,
    다수의 바닥구멍(11)들을 형성한 바닥부(12)와,
    상기 바닥부의 외주면을 따라 세우되, 측방향으로 다수의 측면구멍(13)들을 형성한 사방 테두리부(14)와,
    상기 테두리부 안쪽의 바닥부(12)로부터 돌출 되게 형성한 자연석 모양의 장식블럭부(20)와,
    상기한 장식 블럭부(20) 주변의 식재공간부(15)와,
    상기 테두리부(14)의 사방 모서리에서 면취부(16)를 형성하고 연결고리(17)를 매설한 블럭본체(10);
    상기 블럭본체(10)의 식재공간부(15)를 채우되, 임의의 씨앗을 포함하는 식생흙(30);
    상기 블럭본체(10)의 저면에 부착하되, 흙채움 호안블럭의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적층시 완충기능을 하며, 시공시 지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블럭본체(10)의 가로 세로 크기에 대하여 같은 크기이거나 약간 더 큰 치수로 부착한 자연식물재(짚, 나무껍질, 억새풀, 갈대 등)의 천연식재매트(5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매트 흙채움 호안블럭.
  3. 하천이나 제방법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공하는 조경용 블럭에 있어서,
    다수의 바닥구멍(11)을 형성한 바닥부(12)와,
    상기 바닥부의 외주면을 따라 세운 사방 테두리부(14)와,
    상기 테두리부 안쪽의 바닥부(12)로부터 돌출 되게 형성하되, 서로의 높낮이가 다른 다수의 자연석 모양의 장식블럭부(20)와,
    상기 장식블럭부(20) 주변의 식재공간부(15)와,
    상기 테두리부(14)의 사방 모서리에서 면취부(16)를 형성하고 연결고리(17)들을 매설한 블럭본체(10);
    상기 블럭본체(10)의 식재공간부(15)를 채우되, 임의의 씨앗을 포함하는 식생흙(30);
    상기 블럭본체(10)의 저면에 부착하되, 흙채움 호안블럭의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적층시 완충기능을 하며, 시공시 지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블럭본체(10)의 가로 세로 크기에 대하여 같은 크기이거나 약간 더 큰 치수로 부착한 자연식물재(짚, 나무껍질, 억새풀, 갈대 등)의 천연식재매트(5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매트 흙채움 호안블럭.
  4. 하천이나 제방법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공하는 조경용 블럭에 있어서,
    다수의 바닥구멍(11)들을 형성한 바닥부(12)와,
    상기 바닥부(12)로부터 돌출 되게 형성한 자연석 모양의 장식블럭부(20)와,
    상기 장식블럭부(20) 주변의 식재공간부(15)와,
    상기 바닥부(12)의 사방 모서리에서 면취부(16)를 형성하고 연결고리(17)를 매설한 블럭본체(10);
    상기 블럭본체(10)의 식재공간부(15)를 채우되, 임의의 씨앗을 포함하는 식생흙(30);
    상기 블럭본체(10)의 저면에 부착하되, 흙채움 호안블럭의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적층시 완충기능을 하며, 시공시 지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블럭본체(10)의 가로 세로 크기에 대하여 같은 크기이거나 약간 더 큰 치수로 부착한 자연식물재(짚, 나무껍질, 억새풀, 갈대 등)의 천연식재매트(5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매트 흙채움 호안블럭.
  5. 삭제
  6. 삭제
  7. 하천이나 제방법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공하는 조경용 콘크리트 블럭을 제조하되,
    일반자갈 약 28%, 운모자갈 및 운모석분 약 20%, 시멘트 약 10%, 모래 약 30%, 석분 약 10%, 혼화제 약 2%의 중량 비로 섞고 물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재료를 혼합하는 콘크리트 배합공정;
    짚, 나무껍질, 풀(예컨대 억새, 갈대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블럭의 크기에 맞게 적당한 길이와 적당한 두께로 천연매트를 만드는 천연식재매트 준비공정;
    황토 약 50%와, 찰흙 및 개흙 약 25%, 톱밥 약 3%, 운모자갈 약 10%, 운모석분 약 10%, 임의의 씨앗(예컨대 나무씨앗, 풀씨앗, 꽃씨앗 중 어느 하나) 약 1% 미만, 혼화제 약 1% 의 중량비로 섞고 물을 사용하여 식생흙을 혼합하는 흙 배합공정;
    상기한 콘크리트 배합공정에서 준비된 콘크리트 재료를 철재 및 프라스틱(혹은 에프.알.피), 세라믹, 고무,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만들어진 성형틀 속에 넣고, 진동을 제공하는 상태로 다져서 성형하는 블럭성형공정;
    상기 블럭성형공정을 거친 후, 콘크리트가 마르지 않은 상태에서 블럭본체의 저면에 상기한 천연식재매트 준비공정에서 준비한 천연식재매트를 부착하는 천연식재매트 부착공정;
    상기 천연식재매트 부착공정을 거친 상태에서 자연양생방법 및 증기양생방법을 사용하여 충분히 양생시키는 양생공정;
    상기 양생공정을 거처 완성된 블럭본체의 내부 식재공간부에 상기 흙 배합공정에서 준비한 식생흙을 부어 넣고 다지는 흙 채움공정;
    상기 흙 채움공정을 거쳐 완성된 상태에서 옥외에 야적하여 식생흙에서 일부 씨앗이 발아하기 전, 후로 출하될 때까지 보관하는 출하대기공정;
    을 차례로 거쳐서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매트 흙채움 호안블럭 제조방법.
KR10-2002-0006992A 2002-02-07 2002-02-07 식재매트 흙채움 호안블럭과 그 제조방법 KR100384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992A KR100384729B1 (ko) 2002-02-07 2002-02-07 식재매트 흙채움 호안블럭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992A KR100384729B1 (ko) 2002-02-07 2002-02-07 식재매트 흙채움 호안블럭과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969U Division KR200274504Y1 (ko) 2002-02-07 2002-02-07 식재매트 흙채움 호안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925A KR20020020925A (ko) 2002-03-16
KR100384729B1 true KR100384729B1 (ko) 2003-05-28

Family

ID=19719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992A KR100384729B1 (ko) 2002-02-07 2002-02-07 식재매트 흙채움 호안블럭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47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948B1 (ko) 2011-10-14 2012-12-06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시공구조체 형성이 가능한 호안블록 및 이들로 이루어진 호안블록 시공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9813A (ja) * 1992-02-28 1993-09-17 Kyowa Concrete Kogyo Kk マトリックス状擬岩ブロックの製造法
JP3066567U (ja) * 1999-08-12 2000-02-25 小牧建設株式会社 根固め用ブロッ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9813A (ja) * 1992-02-28 1993-09-17 Kyowa Concrete Kogyo Kk マトリックス状擬岩ブロックの製造法
JP3066567U (ja) * 1999-08-12 2000-02-25 小牧建設株式会社 根固め用ブロッ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948B1 (ko) 2011-10-14 2012-12-06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시공구조체 형성이 가능한 호안블록 및 이들로 이루어진 호안블록 시공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925A (ko) 200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40409A (zh) 一种组合式生态护岸及其施工方法
CN101058973A (zh) 透水块体及其制造方法和施工方法
JP2003052241A (ja) 植性用培地基材、植生用培地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植生用培地成形体ブロックを用いる緑化方法。
KR100579420B1 (ko) 블록을 이용한 법면구조체및 그 조성물
US20080304908A1 (en) Gutter Block Structure, Water Channel Formed by Gutter Block Structur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utter Block Structure
KR100384729B1 (ko) 식재매트 흙채움 호안블럭과 그 제조방법
KR200274504Y1 (ko) 식재매트 흙채움 호안블럭
JP3735071B2 (ja) 連続した空隙を有する硬化体
JP2004261029A (ja) 緑化用培地
JP2001198593A (ja) 植生箱及び該植生箱を使用した水辺地の浄化方法
KR100793487B1 (ko) 환경 친화적 식생 블럭과 그 제조 방법 및 동 블럭을이용한 식생 블럭망 및 상기 식생 블럭망을 이용한 식생공법
KR20050033597A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하여 몰탈 또는 레미콘을 제조하는방법과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몰탈 또는 레미콘을이용하여 블록을 제조하는 방법과 이러한 방법에 의해제조되는 레미콘을 이용하여 단열성이 우수한 포장도로를시공하는 토목공법
JP3734186B2 (ja) 河川浄化用ブロック、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河川の浄化方法
JP3681715B2 (ja) 植生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200303587Y1 (ko) 다공질 망태블록
KR20040032135A (ko) 황토 몰탈을 이용한 호안블럭 및 그 제조방법
JP3476798B2 (ja) 土木構築物用ユニット、土木構築物用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土木構築物
KR100466007B1 (ko) 녹화토를 이용한 돌망태
JPH08260471A (ja) 法面の生態系保全型植生工法
JP2003090022A (ja) 河川用護岸ブロック
KR20060125643A (ko) 자연석 형상을 연출하는 자연형 식생블럭 구조체의구성방법
KR200289866Y1 (ko) 저목식재블럭
KR101143945B1 (ko) 에코 홀 블록 제조 방법 및 에코 홀 블록
KR100740293B1 (ko) 돌망태용 식생 블록 및 그 제조방법
JPH10168912A (ja) 空隙部を有する土留擁壁及びそれに使用する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