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2137B1 - 디지탈데이타기록/재생장치및디지탈데이타기록/재생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탈데이타기록/재생장치및디지탈데이타기록/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2137B1
KR100382137B1 KR1019960001452A KR19960001452A KR100382137B1 KR 100382137 B1 KR100382137 B1 KR 100382137B1 KR 1019960001452 A KR1019960001452 A KR 1019960001452A KR 19960001452 A KR19960001452 A KR 19960001452A KR 100382137 B1 KR100382137 B1 KR 100382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able
tape
recording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1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0198A (ko
Inventor
아키히로 기쿠치
요시히로 요시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30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0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1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8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recorded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0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 G11B20/121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different data track configurations
    • G11B20/12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different data track configurations for continuous data, e.g. digitised analog information signals, pulse code modulated [PCM]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63Sub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9Table of cont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8Table of contents on a tape [T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08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 G11B5/00813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 G11B5/00847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on transverse tracks
    • G11B5/0086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on transverse tracks using cyclically driven heads providing segmented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재생 헤드로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의 다수의 분할된 기록/재생 영역들 중 소정의 영역으로 또는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디지탈 데이타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로서, 각각의 분할된 기록/재생 영역들은 상기 디지탈 데이타와, 그 기록 종료 정보를 나타내는 종료 정보 및 그 관리정보를 구비하는 제 1 정보 테이블을 가지고,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는 상기 기록/재생 영역들의 디지탈 데이타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 및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 상의 상기 제 1 정보 테이블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구비하는 제 2 정보 테이블을 가지며, 상기 제 1 정보 테이블의 업데이트된 내용들을 구비하는 제 3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 상의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4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가 언로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구될 때, 상기 기록/재생 헤드로 상기 기록 및 재생 영역들의 소정의 위치들에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과 상기 제 4 정보 테이블을 기록하고,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과 상기 제 4 정보 테이블이 기록된 후,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를 언로딩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 및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방법
발명 분야
본 발명은 회전 헤드(rotating head)를 가지는 헬리컬 트랙(helical track)으로서 디지탈 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한 예를 들어, 헬리컬 주사 형태의 데이타 기록기로 이용하기 위한 데이타 기록기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설명
컴퓨터에 이용하기 위한 외부 저장 장치인 자기 형태의 구동 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자기 형태의 구동 장치의 일예로서, 디지탈 데이타를 카세트 테이프에 기록하기 위한 회전 헤드를 가지는 헬리컬 주사 형태의 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자기 형태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 데이타를 테이프에 또는 테이프로부터 기입/판독을 개시하기 위한 처리(이하, 로딩 처리(loading process)라 칭함)로서, 테이프의 소정의 위치에 기록된 헤더 정보는 판독되어, 장치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다. 부수적으로, 데이타를 테이프로부터 또는 테이프에 판독/기입을 정지시키기 위한 처리(이하, 언로딩 처리(unloading process)라 칭함)로서, 장치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 헤더 정보는 테이프의 소정의 위치에 기록된다. 그 후, 테이프는 장치에서 제거된다.
통상, 언로딩 처리가 테이프를 손상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수행되고, 테이프가 장치로부터 제거될 때, 테이프는 테이프 상부 위치로 되감아져야 한다. 즉 테이프가 테이프 상부 위치로 되감아진 후 테이프는 제거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언로딩 처리는 테이프를 되감아져야 하기 때문에 장기간의 시간을 요한다. 특히, 테이프가 다량의 데이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것은 테이프를판독/기록 위치에서 테이프 상부 위치로 되감기 위해 장기간의 시간을 요한다. 통상적으로, 헤더 정보인 DIT(디렉토리 정보 테이블)는 테이프 상의 고정 위치에 배치된다. 로딩 처리 또는 언로딩 처리가 수행될 때는 언제라도, DIT 데이타가 업데이트된다. 그러므로, 헤더가 DIT 영역을 항상 호출한다. 따라서, DIT 영역만이 크게 손상된다.
발명의 목적 및 요약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프를 테이프 상부 위치까지 되감을 필요없이 언로딩 처리를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는 데이타 기록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딩 처리를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는 데이타 기록기를 제공하는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위치가 크게 손상되지 않도록 헤더 정보가 업데이트될 때는 언제든지 테이프 상의 헤더 정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데이타 기록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은 기록 매체의 언로딩 시에 기록 매체 상에 업데이트된 헤더 정보를 기입하고, 헤더 정보 이후의 기록 매체 상의 헤더 정보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언로드 정보를 기입하기 위한 데이타 기록기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은 기록 매체의 언로딩 시에 테이프 및 볼륨(volume)의 독특한 값을 포함하는 업데이트된 헤더 정보를 기입하고, 헤더 정보의 독특한 값 및 업데이트된 헤더 정보의 기입 위치를 메모리의 데이타 베이스에 등록하기 위한데이타 기록기에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최적 형태의 실시예에 대한 상기 특징 및 그 밖의 다른 특징, 그리고 장점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기록기에 대해 먼저 설명하고자 한다 데이타 기록기는 디지탈 데이타를 회전 헤드를 가지는 카세트 테이프에 또는 테이프로부터 기록/재생한다. 제 1 도는 데이타 기록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제 2 도는 데이타 기록기의 배면도이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타 기록기는 상부 장치 및 하부 장치는 2개의 장치로 구성된다. 하부 장치는 사실상 상부 장치 밑에 배치된다. 하부 장치는 테이프 구동 제어기(1)이다 상부 장치는 디지탈 정보 기록기(2)이다. 테이프 구동 제어기(1)는 버튼(3) 및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4)를 포함하는 전방 패널을 갖고 있다. 버튼(3)은 카세트 테이프에 대한 로딩/언로딩 처리를 수행하는데 이용된다. 발광 다이오드(4)는 카세트 테이프가 로드되었는지의 여부, 전원이 턴온되었는지의 여부 등을 나타낸다. 디지탈 정보 기록기(2)는 카세트 테이프 로딩/언로딩 개방부(5)를 가지고 있는 전방 패널을 갖고 있다. 부수적으로, 디지탈 정보기록기(2)는 분리 가능 패널(6)을 갖고 있다. 분리 가능 패널(6) 대신에, 그밖의 다른 동작 버튼이 배치된다.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구동 제어기(1) 및 디지탈 정보 기록기(2)의 배면 패널 상에 다수의 접속기가 배치된다. 하부 테이프 구동제어기(1)의 배면 패널 상에 데이타 입/출력 접속기(11), 제어 접속기(12), RS232C 접속기(13), 2개의 SCSI 접속기(14a, 14b), AC 전원 입력 접속기(15) 및 DC 전원 출력 접속기(16)가 배치된다.
디지탈 정보 기록기(2)의 배면 패널 상에 데이타 입/출력 접속기(21), 제어 접속기(22) 및 RS232C 접속기(23)가 배치된다. 지정된 케이블을 테이프 구동 제어기(1)의 DC 전원 출력 접속기(16)에 접속하여, 전원이 디지탈 정보 기록기(2)에 공급된다. 데이타 입/출력 접속기(11, 21)는 지정된 케이블로 접속된다. 데이타는 제어기(1)와 기록기(2) 사이에서 송신 및 수신된다. 제어 접속기(12, 22)는 지정된 케이블로 접속된다. 그러므로, 제어 신호는 제어기(1)와 기록기(2) 사이에서 교환된다. RS232C 접속기(13, 23)는 진단 목적으로 이용된다.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트 컴퓨터(20)가 데이타 기록기에 접속될 때, SCSI 접속기(14a, 14b)가 이용된다. 호스트 컴퓨터(20)가, 예를 들어 판독 명령을 데이타 기록기로 송신할 때, 이것은 데이타를 호스트 컴퓨터(20)로 출력시킨다.
디지탈 정보 기록기(2)는 데이타를 회전 헤드를 가지고 있는 카세트 테이프에 또는 테이프로부터 기록/재생한다. (다음 설명에서, 회전 헤드는 편의상 단일 헤드로서 처리될 수 있다.) 제 4 도는 기록기(2) 내에 이용된 헤드의 배열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4개의 기록 헤드(Ra, Rb, Rc, Rd) 및 4개의 재생(플레이백:playback) 헤드(Pa, Pb, Pc, Pd)는 제 4 도에 도시된 방향으로 소정의 속도에서 회전하는 드럼(25) 상에 배치된다.
헤드(Ra, Rb)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관계는 헤드(Rc, Rd), 헤드(Pa, Pb) 및 헤드(Pc, Pd) 쌍에 적용된다. 각 헤드 쌍의 연장된 방향은 서로가 상이하다. 연장된 방향을 방위각이라 한다. 제 4 도를 참조하면, 헤드(Ra, Rc)는 180° 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 1 방위각을 갖는다. 헤드(Rb, Rd)는 180° 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 2 방위각을 갖는다. 헤드(Pa, Pc)는 제 1 방위각을 갖는다. 헤드(Pb, Pd)는 제 2 방위각을 갖는다. 상이한 방위각에 있어서, 인접 트랙들 간의 누화(cross talk)가 방지된다. 각각의 인접 헤드들은 하나의 헤드로 일체로 구성된다. 일체로 구성된 헤드를 이중 방위각 헤드라 칭한다.
카세트에서 꺼낸 테이프(예를 들어, 폭이 0.27cm(1/2인치)인 테이프)는 180° 이상의 각도로서 드럼(25)의 주변에 나선식으로 감겨진다. 테이프는 소정의 속도로 공급된다. 그러므로, 신호가 테이프에 기록될 때, 드럼(25) 1회전의 제 1 반주기에서, 헤드(Ra, Rb)는 테이프를 주사한다. 제 2 반주기에서, 헤드(Rc, Rd)는 테이프를 주사한다. 신호가 테이프에서 재생될 때, 제 1 주기에서, 헤드(Pa, Pb)는 테이프를 주사한다. 제 2주기에서, 헤드(Pc, Pd)는 테이프를 주사한다.
제 5 도는 디지탈 정보 기록기(2)의 테이프 상의 트랙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종방향 트랙은 테이프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다. 헬리컬 트랙은 종방향 트랙들 사이에 배치된다. 제어 신호는 상부 종방향 트랙(26) 상에 기록된다. 타임 코드는 테이프의 종방향 위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타임 코드는 SMPTE 타임 코드이다. 드럼(25)이 회전될 때는 언제라도, 헤드(Ra, Rb)는 2개의 헬리컬 트랙(Ta 및 Tb)을 동시에 형성한다. 그 후, 헤드(Ra, Rb)는 2개의 헬리컬 트랙(Tc, Td)을 동시에 형성한다. 각각의 헬리컬 트랙 상에 제 1 반부분 및 제 2 반부분이 별도로 형성된다. 각 헬리컬 트랙의 제 1 반부분과 제 2 반부분 사이에 기록 영역(28)이 배치된다. 기록 영역(28)은 추적 파이롯 신호(pilot singnal)를 기록하는데 이용된다.
SMPTE 타임 코드는 VCR 등을 이용하기 위해 비디오 신호로 발생된다. SMPTE 타임 코드의 최소 단위는 프레임(1/30초)이다. 후술한 바와 같이, 데이타 기록기 내에 제 5 도에 도시된 4개의 트랙(Ta 내지 Td) 상에 기록될 수 있는 데이타는 논리 데이타 단위(트랙 세트라 칭함)로서 정의된다. 16개의 트랙이 비디오 신호의 하나의 프레임과 일치할 때, 타임 코드의 프레임 디지트(digit)보다 작은 서브 디지트(sub-digit:0, 1, 2, 3)가 정의된다. 또한, 이러한 타임 코드를 ID라고 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기록기에서, SMPTE 타임 코드는 트랙 세트로서 4개 트랙으로 구성된다. SMPTE 타임 코드가 유저 데이타 영역(user data area)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변형이 수행될 수 있다.
제 6 도는 테이프 구동 제어기(1) 및 디지탈 정보 기록기(2)의 시스템 구조의 윤곽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어기(1)는 시스템 제어기(31)를 갖고 있다. 시스템 제어기(31)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갖고 있다. 즉,
SCSI 제어기(32)의 관리 기능과,
버퍼 메모리(33)의 관리 기능과,
파일/테이블의 관리 기능과,
데이타의 기입/판독 및 재시도의 제어 기능과,
디지탈 정보 기록기(2)의 제어 기능과,
자기 진단 수행 기능을 갖고 있다.
시스템 제어기(31)는 SCSI 제어기(32)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된다. 구동 제어기(34)는 버퍼 메모리(33)와 테이프 구동 제어기(1) 사이에 배치된다. 버퍼 메모리(33)로부터 판독되는 데이타는 구동 제어기(34)를 통해 C2 엔코더(35)에 공급된다. C2 엔코더(35)는 트랙 인터리브 회로(36) 및 C1 엔코더(37)에 접속된다.
C2 엔코더(35) 및 C1 엔코더(37)는 프로덕트 코드(product code)로 기록 데이타에 대한 오류 정정 엔코딩 처리를 수행한다. 트랙 인터리브 회로(36)는 기록/재생 처리 시에 오류 정정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트랙으로의 데이타 분배를 제어한다.
데이타가 테이프 상에 기록될 때, 이것은 동기 신호에 의해 분리된 SYNE 블록으로서 기록된다. 이러한 경우에, 트랙 인터리브 회로(36)는 블록 동기 신호를 C2 엔코더(35)의 출력 신호에 추가한다. C1 엔코더(37)는 C1 패리티를 발생시킨다. 그 후, 데이타는 무작위화되고, 워드는 다수의 SYNC 블록 내에 삽입된다.
C1 엔코더(37)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데이타는 디지탈 정보 기록기(2)에 공급된다 디지탈 정보 기록기(2)는 채널 코드 엔코더(38)로부터 수신된 디지탈 신호를 기록/재생 처리에 적절한 신호로 엔코드시킨다. 최종 기록 데이타는 RF 증폭기(39)를 통해 기록 헤드(Ra, Rd)로 출력된다 헤드(Ra 내지 Rd)는 기록 데이타를 테이프 상에 기록한다. RF 증폭기(39)는 기록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떨어뜨려 재생 신호를 초기에 검출하기 위해서 부분 응답 클래스(class : 4)(1, 0, -1)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재생 헤드(Ra 내지 Rd)에 의해 테이프로부터 재생된 데이타는 RF 증폭기(41)를 통해 채널 코드 디코더(42)로 공급된다. RF 증폭기(41)는 재생 증폭기, 이퀄라이저 및 비터비 디코더(Viterbi decoder)를 포함한다. 채널 코드 디코더(42)의 출력 데이타는 테이프 구동 제어기(1)에 공급된다. 채널 코드 디코더(42)의 출력 데이타는 C1 디코더(43)에 공급된다.
C1 디코더(43)는 트랙 디인터리브(track deinterleave) 회로(44)에 접속된다. 트랙 디인터리브 회로(44)는 C2 디코더(45)에 접속된다. C1 디코더(43), 트랙 디인터리브 회로(44) 및 C2 디코더는(45)는 C1 엔코더(37), 트랙 인터리브 회로(36) 및 C2 엔코더(35)의 역 처리(reverse process)를 각각 수행한다. C2 디코더(45)로부터 수신된 재생(판독) 데이타는 구동 제어기(34)를 통해 버퍼 메모리(33)에 공급된다.
디지탈 정보 기록기(2)는 시스템 제어기(46)를 갖고 있다. 부수적으로, 디지탈 정보 기록기(2)는 테이프 상의 종방향 트랙용으로 고정된 헤드(47)를 갖고 있다. 헤드(47)는 시스템 제어기(46)에 접속된다. 헤드(47)는 제어 신호 및 타임 코드를 기록/재생한다. 시스템 제어기(46)는 양방향 버스를 통해 테이프 구동 제어기(1)의 시스템 제어기(31)에 접속된다.
메카니즘 제어기(48)는 시스템 제어기(46)에 접속된다. 메카니즘 제어기(48)는 모터 구동 회로(49)를 통해 모터(50)를 구동시키는 서보 회로를 포함한다. 시스템 제어기(46)는 예를 들어 2개의 CPU를 갖고 있다. 시스템 제어기(46)는 CPU를 이용하여 테이프 구동 제어기(1)와 통신하고, 타임 코드의 기록/재생을 제어하며, 기록/재생 타이밍 등을 제어한다.
메카니즘 제어기(48)는 예를 들어 2개의 CPU를 갖고 있다. 메카니즘 제어기(48)는 CPU를 가지고 있는 디지탈 정보 기록기(2)의 메카니즘 시스템을 제어한다. 특히, 메카니즘 제어기(48)는 헤드 및 테이프 시스템의 회전, 테이프 속도, 추적 동작, 카세트 테이프의 로딩/언로딩 처리 및 테이프 장력을 제어한다. 모터(50)는 드럼 모터(drum motor), 캡스턴 모터(capstan motor), 릴 모터(reel motor), 카세트 장착 모터, 로딩 모터(loading motor) 등을 포함한다.
디지탈 정보 기록기(2)는 테이프 구동 제어기(1)의 전원 공급 장치(51)로부터 DC 전압을 수신하는 DC-DC 변환 회로(52)를 갖고 있다. 또한, 디지탈 정보 기록기(2)는 위치 감지기(테이프 및 검출 감지기와 같은), 타임 코드 발생/판독 회로 등(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있다.
다음은, 디지탈 데이타의 기록 포맷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제 7 도는 전체 테이프(예를 들어, 카세트 내에 있는 테이프)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전체 테이프를 실제 볼륨이라 칭한다. 테이프는 리더(leader) 테이프를 갖고 있다. 실제 테이프의 PBOT(테이프의 실제 개시:Physical Beginning of Tape)와 PEOT(테이프의 실제 종료:Physical End of Tape) 사이에 있는 기록 가능 영역은 LBOT(테이프의 논리 개시:Logical Beginning of Tape) 및 LEOT(테이프의 논리 종료:Logical End of Tape) 사이에 있다. 기록 가능 영역은 테이프가 테이프의 개시 및 종료 시에 손상되게 되어 오류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정의된다. 예를 들어, PBOT와 LBOT 사이의 무효 영역은 7.7 ± 0.5m로 정의된다. 부수적으로, PEOT와 LEOT 사이의 무효 영역은 10m 이상으로 정의된다.
한가지 실제 볼륨은 다수의 논리 볼륨(분리부라 칭함)을 갖고 있다.
한개 이상의 논리 볼륨을 관리하기 위해, VSIT(볼륨 세트 정보 테이블:Volume Set Information Table)는 기록 영역의 개시 시에 기록된다. VSIT는 테이프 상에 기록된 볼륨의 수 및 테이프 상의 논리 볼롬에 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위치 정보는 최대한 1024까지의 논리 볼륨의 DIT(디렉토리 정보 테이블:Directory Information Tables)의 개시 실제 ID들 및 종료 실제 ID들을 포함한다.
VSIT의 개시 시의 위치는 0-ID의 위치로서 정의된다. ID(식별자: Identification)는 테이프 상의 4개 트랙으로 이루어진 각 세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이다. ID들은 VSIT 영역에서 최종 볼륨의 DIT 영역까지 간단하게 증분 할당된다. 하나의 VSIT의 길이는 1-ID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기록기는 실제 ID들 및 논리 ID들인 2가지 형태의 ID들을 갖고 있다. 실제 ID는 테이프 상의 트랙 세트의 절대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이다. 실제 ID는 테이프에 종방향으로 기록된 타임 코드와 등가이다. 논리 ID는 테이프 상의 트랙 세트의 상대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이다. 논리 ID는 트랙세트의 소정의 위치에 기록된다. VSIT의 개시 시에 위치(0-ID)의 실제 ID 및 논리 ID의 각각은 제로(0)이다.
논리 볼륨은 DIT, UIT(유저 정보 테이블:User Information Table) 및 유저 데이타 영역으로 구성된다. DIT는 논리 볼륨 내의 파일(file)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갖고 있다. 하나의 DIT에 관한 길이는 40-ID이다. UIT는 임의적이다. UIT는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유저 정보이다.
제 7 도에서, 해치된 영역은 가동(run-up) 영역이다. 가동 영역에 있어서, 데이타 트랙은 서보 고정(servo-locked)된다. 점선 영역은 위치 공차(position tolerance) 영역이다. 위치 공차 영역에 있어서, VSIT 및 DIT가 업데이트될 때, 유효 데이타는 소거되지 않게 된다.
제 8A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VSIT는 데이타의 신뢰도를 개선하기 위해 10회의 기록을 반복한다. 그러므로, VSIT 영역은 10개 트랙 세트(걸0-ID)로 구성된다. VSIT 영역은 90개 이상 트랙 세트로 구성된 재시도 영역에 종용된다.
제 8B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DIT는 7회의 기록을 반복한다. 제 8C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DIT는 6개의 테이블로 구성된다. 6개의 테이블에는 VIT(볼륨 정보 테이블:Volume Information Table), BST(배드 스포트 테이블:Bad Spot Table), LIDT(논리 정보 테이블:Logical Information Table), FIT(파일 정보 테이블:File Information Table), UT(업데이트 테이블:Update Table) 및 UIT(유저 정보 테이블:User Information Table)가 순서대로 배치된다. VIT, Bst, LIDT 및 UT의 각각은 1-ID의 길이를 갖고 있다. FIT는 20-ID의 길이를 갖고 있다. 16-ID에 대한 나머지 영역은 예비 영역이다.
그 다음, DIT의 각각의 테이블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VIT의 ID 어드레스는 VSIT 내에 기입된 볼륨의 개시 시의 실제 ID이다. VIT의 논리 ID는 VSIT 내에 기입된 볼륨의 개시 시의 실제 ID와 등가이다. VIT는 이의 실제 볼륨 및 최종 실제ID 내의 제 1 데이타 블록의 개시 실제 ID와 같은 볼륨 레이블(label) 및 볼륨 정보를 포함한다. 제 23 도는 VIT의 내용을 도시한 것이다.
BST의 ID 어드레스는 VIT 플러스 1의 실제 ID인데 반해, 이의 논리 ID는 VIT 플러스 1의 논리 ID이다. BST는 논리적으로 무효인 데이타의 위치 정보를 갖고 있다. 논리적으로 무효인 데이타는 동일한 트랙 세트 ID의 존재로 인해 무효로 처리되는 데이타이다. 예를 들어, 제 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치된 영역(A)은 논리적으로 무효인 데이타이다. 이에 관련된 기입 재시도 동작 및 기입 동작은 논리적으로 무효인 데이타이다. 기입 동작이 수행될 때, 오류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기입 재시도는 자동적으로 수행되고, 이의 오류 지역이 출력된다. 오류 지역이 BST 내에 기억된다. 판독 동작이 수행될 때, BST는 무효 영역을 나타낸다. 또한, 논리적으로 무효인 데이타를 배드 스포트(bad spot)라 칭한다. BST는 최대한 14592개의 배드 스포트의 상부 실제 ID들 및 최종 실제 ID들을 관리할 수 있다.
LIDT의 ID 어드레스는 VIT 플러스 2의 실제 ID이지만, 이의 논리 ID는 VIT 플러스 2의 논리 ID이다. LIDT는 고속 블록 공간 및 위치 설정 동작에 대한 데이타 테이블이다. 다시 말하면, LIDT는 포인터(1 내지 29)의 논리 ID들 및 실제 ID들, 파일 넘버, 블록 관리 테이블 내의 ID 데이타의 제 1 블록 넘버를 포함한다. 제 24 도는 LIDT의 내용을 도시한 것이다.
FIT의 ID 어드레스는 VIT 플러스 3의 실제 ID이지만, 이의 논리 ID는 VIT 플러스 3의 논리 ID이다. FIT는 테이프 마크에 대응하는 다수의 쌍으로 이루어진 2가지 형태의 데이타로 구성된다. 테이프 마크는 파일 경계 기호(file delimiter) 코드이다. N번째 데이타 쌍은 볼륨의 개시로부터 계수된 N번째의 테이프 마크와 일치한다. 각 쌍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데이타는 N번째 테이프 마크의 실제 ID이다. 쌍으로 이루어진 그 밖의 다른 데이타는 테이프 마크(N)의 절대 블록 넘버이다. 이러한 값은 테이프 마크와 동일한 파일 넘버를 갖는 최종 블록의 절대 블록 넘버이다. 테이프 마크의 실제 ID 및 절대 블록 넘버에 있어서, 테이프 마크의 위치는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테이프 상의 요구된 실제 위치는 고속으로 할당될 수 있다. 제 25도는 FIT의 내용을 도시한 것이다.
UT의 ID 어드레스는 VIT 플러스 39의 실제 ID이다. UT는 볼륨이 업데이트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볼륨이 업데이트되기 전에, UT의 업데이트 상태를 나타내는 워드(4 바이트)는 FFFFFFFFh(h는 16진법을 나타낸다). 볼륨이 업데이트된 후, 워드는 00000000h이다.
UIT는 임의적이다. UIT는 예를 들어 100-ID의 영역이다. UIT는 유저 헤더를 저장하기 위한 유저 호출 가능 데이타 테이블이다.
이러한 예에서, 1-ID는 4개의 헬리컬 트랙으로 구성된 각각의 트랙 세트에 할당된다. 데이타 블록의 논리 구조는 각각의 트랙 세트로 정의된다. 제 10도는 논리 트랙 세트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논리 트랙 세트의 앞의 4바이트는 FFFF0000h인 포맷 ID용으로 이용된다.
다음 136 바이트(34 워드)는 서브 코드 데이타용으로 이용된다. 서브 코드 데이타는 이의 트랙 세트에 관한 관리 정보로 구성된다. 서브 코드 데이타는 예를 들어 상술한 테이블(VSIT, VIT 및 BST와 같은) 및 ID 코드(유저 데이타 및 테이프마크와 같은)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트랙 세트 상에 기록된 데이타는 식별될 수 있다.
블록 관리 테이블이 다음 116884 바이트에서 감산되는 바이트는 유저 기입 영역용으로 이용된다. 트랙 세트가 유저 데이타 기입 영역용으로 이용될 때, 유저 데이타의 크기가 유저 데이타 기입 데이타의 크기 보다 작을 경우, 더미(dummy) 데이타는 나머지 영역 내에 채워진다.
유저 데이타는 블록 관리 테이블 영역에 종용된다. 블록 관리 테이블의 길이는 최대한 4096 바이트이다. 트랙 세트의 최종 4 바이트는 트랙 세트의 최종 코드(0F0F0F0Fh)용으로 이용된다. 최종 코드는 12 바이트의 비축 영역만큼 선행한다. 블록 관리 테이블은 유저 데이타의 데이타 블록의 구조를 관리하는데 이용된다. 제 22도는 블록 관리 테이블의 내용을 도시한 것이다.
유저 데이타 영역, 즉 유저 데이타를 기입하는데 이용된 유저 데이타 트랙 세트, 테이프 마크를 나타내기 위한 테이프 마크(TM) 트랙 세트, EOD를 나타내기 위한 EOD(데이타의 종료:End of Data) 트랙 세트 및 더미 데이타를 나타내기 위한 더미 트랙 세트 내에는 4가지 형태의 트랙 세트가 정의된다. 각 형태의 트랙 세트에 있어서, 서브 코드 및 블록 관리 테이블이 정의된다.
제 11 도는 데이타 기록기의 논리 포맷을 도시한 것이다. VSIT는 테이프의 하나의 볼륨과 같은 각각의 실제 볼륨으로 기록된다. DIT는 각각의 논리 볼륨(분리부)으로 기록된다. DIT는 VIT, BST, LIDT, FIT 및 UT인 5개 테이블을 포함한다. 부수적으로, DIT는 UIT를 임의로 포함한다. 유저 데이타 영역은 유저 데이타 트랙 세트, 테이프 마크 트랙 세트, EOD(데이타 종료) 트랙 세트 및 더미 트랙 세트인 4가지 형태의 트랙 세트를 포함한다.
그 다음, 상술한 데이타 기록기의 동작에 대해 간단하게 기술하고자 한다. 테이프가 제 1 시간에 이용될 때, 테이프는 초기화되어야 한다 테이프의 초기화 동작에 있어서, VSIT, DIT 및 EOD는 테이프의 소정의 위치에 기입된다. 부수적으로, 더미 데이타는 테이프에 기입된다. 더욱이, 실제 ID(상술한 타임 코드인)는 VSIT의 개시 시에 LBOT 및 실제 ID로부터의 간단한 증분이 0-ID가 되도록 기입된다.
데이타가 테이프에 기입되고, 이로부터 판독되기 전, 테이프는 데이타 기록기에 로드된다. 테이프가 버튼(3)을 눌러 삽입된 후, 로딩 동작이 수행된다. 로딩 동작이 수행될 때, VSIT 및 DIT는 테이프에서 판독된다. 버튼(3)을 눌러서 테이프로부터 또는 테이프에 판독/기입을 정지시키기 위해, 테이프는 테이프 기록기로부터 언로드된다. 언로딩 동작이 수행될 때, VSIT 및 DIT가 재기입된다. 로딩 동작 및 언로딩 동작은 버튼(3)의 동작 대신에 반복 명령을 발생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제 12 도는 테이프 구동 제어기(1)의 시스템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참조 번호(61)는 메인 CPU이다. 참조 번호(70)는 2 포트 RAM이다. 참조 번호(80)는 뱅크(bank) 메모리이다. 참조 번호(81)는 서브 CPU이다. 메인 CPU(61)는 전체 시스템을 관리하는 CPU이다. 메인 CPU(61)에 관련하여, CPU 버스(62)가 배치된다. 테이프 구동 제어기(1)의 각각의 구조 부분은 CPU 버스(62)에 접속된다. 다시 말하면, ROM(플래시 ROM)(63), PIO들(병렬 I/O들)(64, 65), 제어 패널(66), LCD(67), 타이머(68), RS232C 인터페이스(69), 2 포트 RAM(70) 및 RAM(71)은 CPU 버스(62)에 접속된다.
PIO(65)는 전방 패널 상의 버튼에 접속된다. LCD(67)는 사용자가 동작 상태를 알 수 있도록 구동 시에만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RS232C 인터페이스(69)는 직렬 터미널에 접속된다. RAM(71)은 펌웨어(firmware)로 이용하기 위한 워크 RAM(work RAM)이다. RAM(71)은 프로그램의 다운로드(down-load) 영역을 갖고 있고, 헤더 정보(VSIT/DIT)를 임시로 저장한다.
IM 버스(74)는 단방향 제어 장치(73)를 통해 CPU 버스(62)에 접속된다. S-RAM(72), 뱅크 메모리(80), 및 SCSI 제어기(75)는 IM 버스(74)에 접속된다. 호스트 컴퓨터는 버스(76)를 통해 SCSI 제어기(75)에 접속된다. S-RAM(72)는 콘덴서를 가지는 백업(back-up) RAM이다. S-RAM(72)은 스크립트(script) 메모리(SCSI 제어기용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용으로 이용된다. 부수적으로, S-RAM(72)은 시스템의 실제 동작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로거(logger) 메모리용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메모리가 콘덴서에 백업되기 때문에, 시스템의 전원이 턴오프된 후에, 메모리는 약 2일 동안 데이타를 보유할 수 있다.
2 포트 RAM(70)은 2개의 CPU(61, 81) 사이에서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5가지 형태의 패킷을 저장한다. 5가지 형태의 패킷에는 메인 CPU(61)가 (1)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서브 CPU(81)를 필요로 할 때 이용되는 명령 전송 패킷, (2) 서브 CPU(81)의 동작에 관한 종료 상태가 메인 CPU(61)에 의해 요구된 명령에 대응하여 송신될 때 이용되는 종료 상태 수신 패킷, (3) 명령의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플래그(flag)인 명령 상태, (4) 구동에 관한 상태를 메인 CPU(61)로 알리는데 이용된 구동 관리 상태 테이블(이러한 테이블은 서브 CPU(81)에 의해 소정의 기간에 재기입된다), 및 (5) 구동(기록기)측 상의 펌웨어가 SCSI 버스를 통해 다운로드되거나, 구동 측의 진단이 메인 CPU(61)의 직렬 포트로 행해질 때 이용된 버퍼인 데이타 송/수신 패킷이다. 뱅크 메모리(80)는 데이타용의 버퍼 메모리이다.
서브 CPU(81)는 구동을 제어하는 CPU이다. 서브 CPU(81)에 관련하여, CPU 버스(82)가 배치된다. CPU 버스(82)는 ROM(flash ROM)(83), RAM(work RAM)(84), 타이머(85), RS232C 인터페이스(86), RS422 인터페이스(87), PIO(병렬 I/O)(88) 및 DMA 제어기(89)에 접속된다. 부수적으로, CPU 버스(82)는 2 포트 RAM(70) 및 뱅크 메모리(80)에 접속된다.
뱅크 메모리(80)는 테이프에 기입되는 데이타 또는 테이프로부터 판독되는 데이타를 저장한다. 뱅크 메모리(80)는 예를 들어 8개의 메모리 뱅크를 갖고 있는데, 기입 데이타 또는 판독 데이타가 저장된다. DMA(직접 메모리 호출:Direct Memory Access) 제어기(89)는 뱅크 메모리(80)를 구동시키기 위해 기입된 데이타를 저장한다. RS232C 인터페이스(86)는 자기 진단용으로 이용된다. RS422 인터페이스(87)는 구동 기능을 가지는 통신 수단이다.
본 발명은 테이프가 데이타 기록기에 또는 기록기로부터 로드 및 언로드될 때 수행된 로딩 처리 및 언로딩 처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전에, 제 13A 도 및 제 14C 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데이타 기록기에 의해 수행된 이러한 처리들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제 13A 도 내지 제 13F 도에는 로딩 처리(즉, VSIT 및 DIT를 테이프로부터 판독하여 이들은 메모리 RAM(17)에 저장하기 위한 처리)가 도시되어 있다. SCSI 제어기(75)가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로드 요구 신호를 수신하거나, 사용자가 특정한 버튼을 누를 때, 메인 CPU(61)는 로드 요구 신호 또는 버튼의 조작이 수행되는 PIO(65)를 통해 결정한다. 이러한 경우에, 메인 CPU(61)는 테이프를 되감기 위해 서브 CPU(81)에 요구한다. 테이프가 제 13A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감아진 후, 헤드는 테이프의 상부 위치에 배치된다.
그 후, 메인 CPU(61)는 테이프가 버진 테이프(virgin tape)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경우에, 테이프는 5600-ID들(약 10m와 등가인)인 테이프 상부 위치로부터 고속으로 이동되므로, 헤드는 VSIT의 테이프 연부(0-ID)에 배치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메인 CPU(61)는 실제 ID가 테이프 상에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소정의 실제 ID가 기록되지 않은 경우, 메인 CPU(61)는 테이프가 버진 테이프인 것을 결정한다. 메인 CPU(61)가 제 13B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진 체크(virgin check)를 수행한 후, 헤드는 VSIT의 개시 시에 배치된다. 그 후, VSIT는 제 1 볼륨의 상부 위치/최종 위치를 얻기 위해 0-ID로부터 판독된다. 제 13C 도는 VSIT가 판독될 때 헤드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그 다음, DIT가 판독된다. 다시 말하면, 제 13D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DIT는 각각의 40-ID에 대해 1720-ID로부터 판독된다. 판독 데이타는 메모리 RAM(71)내에 저장된다. 메모리 RAM(71) 내에 저장된 DIT에 관한 각 테이블의 데이타는 데이타 기록기의 동작에 대응하는 메인 CPU(61)의 제어 하에서 항상 업데이트된다.
그 후, DIT는 1720-ID 내지 19991-ID 까지의 영역 내에 재기입된다. 이러한 처리에서, UP의 업데이트 상태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설정된다. 제 13E 도는 DIT가 재기입될 때 헤드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최종적으로, 제 13F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는 유저 데이타 영역의 개시 시에 먼저 감긴다. 결과적으로, 로딩 처리는 완료된다.
그 다음, 제 14A 도 내지 제 14C 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데이타 기록기의 언로딩 처리(메모리(RAM(71)) 내에 저장된 데이타를 테이프에 재저장하기 위해)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SCSI 제어기(75)가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언로드 요구 신호를 수신하거나, 사용자가 특정한 버튼을 누를 때, 메인 CPU(61)는 언로드 요구 신호가 발생되거나 특정한 버튼이 눌러졌다는 것을 PIO(65)를 통해 검출한다. 이러한 경우에, 메인 CPU(61)는 서브 CPU(81)로 하여금 현재 위치에서 DIT의 개시 위치로 테이프를 먼저 감게 한다. 테이프가 먼저 감겨진 후, 헤드는 제 14A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DIT의 개시 위치에 배치된다.
그 후, 메모리 RAM(71) 내에 저장되는 업데이트된 DIT는 1720-ID에서 19991-ID 까지의 영역에 재기입된다. 이러한 처리는 UT의 플래그를 업데이트하는데 필요하다. 제 14B도는 DIT가 재기입된 후의 헤드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그 후, 테이프가 되감아 진 후, 제 14C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는 테이프 상부 위치에 배치된다. 헤드가 테이프 상부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배출 조작이 수행된다. 결과적으로, 언로딩 처리가 완료된다. 배출 조작이 테이프를 손상시킬 수 있을지라도, 테이프 상부 위치에서 테이프가 배출되기 때문에, 손상이최소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에 대한 언로딩 처리에 있어서, 테이프가 테이프 상부 위치에서 되감아지기 때문에, 언로딩 처리에는 장기간의 시간이 소요된다. 테이프를 테이프 상부 위치에서 요구된 DIT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다음 로딩 처리에 있어서, 장기간의 시간이 소요된다. 부수적으로, 테이프 상의 고정된 DIT 영역은 로딩/언로딩 처리가 수해되는 경우에 재기입되기 때문에 DIT 영역은 손상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그 다음, 제 15 도 및 제 16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딩 처리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제 15 도의 단계(S1)에서, 테이프는 데이타 기록기 내에 삽입된다. SCSI 제어기(75)가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로드 요구 신호를 수신하거나 사용자가 특정한 버튼을 누를 때, 메인 CPU(61)는 로드 요구 신호가 수신되었거나 특정한 버튼이 눌러졌다는 것을 PIO(65)를 통해 검출한다. 결과적으로, 메인 CPU(61)가 로딩 처리를 개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 16A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는 언로드된 테이프의 초기 위치에 배치된다(이하 상세하게 후술됨).
메인 CPU(61)는 현재의 ID 값을 테이프로부터 판독하기 위해 서브 CPU(81)를 2 포트 RAM(70)을 통해 요구한다. 그러므로, 서브 CPU(81)는 RS422(87)를 통한 구동으로부터 현재 ID 값(IDR)을 얻는다. 서브 CPU(81)는 이 값을 2 포트 RAM(70)을 통해 메인 CPU(61)로 송신한다. 실제로, 제 15 도의 단계(S2) 및 제 16B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를 되감기 위한 처리(예를 들어, 20-ID들)가 수행된다.
메인 CPU(61)는 현재 위치가 테이프 상부 위치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S3)). 현재 위치가 테이프 상부 위치일 때, 메인 CPU(61)는 상술한 종래의 로딩 처리를 수행한다(단계(S4)). 현재 위치가 테이프 상부 위치가 아닌 경우, 플로우는 단계(S5)로 진행한다. 단계(S5)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처리가 수행된다.
메인 CPU(61)는 2 포트 RAM(70)을 통해 데이타 판독 요구 신호를 서브 CPU(81)로 송신한다. 그러므로, 단계(S5) 및 제 16C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는 고속으로 약간 전방으로 감겨진다(20-ID들 주변). 그러므로, 현재 ID값(IDR)은 테이프에서 얻어진다(단계(S6)). 그 후, 단계(S7) 및 제 16D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는 몇 개의 10-ID들 내지 몇 개의 100-ID들(예를 들어, 100-ID들)이 얻어진 ID 값에서 감산되는 위치로 이동된다. 그 다음, 단계(88) 및 제 16E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ID에 대한 데이타는 헤드의 위치에서 판독된다. DMA 제어기(89)는 판독 데이타를 뱅크 메모리(80)에 저장한다.
메인 CPU(61)는 뱅크 메모리(80) 내에 저장된 데이타를 분석한다. 분석에 있어서, 단계(S9)에서, 메인 CPU(61)는 언로드 정보가 뱅크 메모리(80) 내에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언로드 정보가 뱅크 메모리(80) 내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 플로우는 단계(S4)(종래의 로딩 처리 단계)로 진행한다. 언로드 정보가 뱅크 메모리(80) 내에 저장된 경우, 메인 CPU(61)는 언로드 정보로부터 DIT의 위치를 얻는다(단계(S10)). 후술한 바와 같이, 언로드 정보는 테이프 포맷 정보이다.
그 후, 메인 CPU(61)는 데이타를 얻어진 위치에서 판독하기 위해 서브CPU(81)에 요구한다. 단계(S11) 및 제 16F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DIT가 판독된다. DMA 제어기(89)는 DIT의 데이타를 뱅크 메모리(80)에 저장한다. 메인 CPU(61)는 뱅크 메모리(80) 내에 저장된 데이타를 RAM(71)로 송신한다. 단계(S12)에서, 메인 CPU(61)는 VIT 내에 포함된 데이타 블록의 최종 실제 ID(EOD의 위치와 등가)를 RAM(71) 내에 저장된 데이타로부터 판독하고, 서브 CPU(81)로 하여금 헤드를 최종 실제 ID로 이동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테이프는 EOD의 위치로 미리 감겨지고, 로딩 처리는 완료된다.
제 16G 도는 로딩 처리가 완료된 경우의 헤드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메모리 RAM(71) 내에 저장된 DIT의 각 테이블의 데이타는 데이타 기록기의 동작에 대응하여 항상 업데이트된다.
제 13A 도 및 제 16G 도의 비교로부터 명확해 진 바와 같이, 언로드된 테이프가 본 발명에 따라서 로드될 때, 헤드의 이동거리는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로딩 처리에 따른 속도는 증가될 수 있다.
그 다음, 제 17 도 및 제 18E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언로딩 처리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호스트 컴퓨터가 언로드 요구 신호를 발생할 때, 메인 CPU(61)는 외부 언로드 요구 신호가 수신 되었다는 것을 SCSI 제어기(75)를 통해 검출한다. 사용자가 언로드 버튼을 누를 때, 메인 CPU(61)는 로드 버튼이 눌러졌다는 것을 PIO(65)를 통해 검출한다. 결과적으로, 메인 CPU(61)는 언로딩 처리를 개시한다(단계(S21)).
그 후, 플로우는 단계(S22)로 진행한다. 단계(S22)에서, 메인 CPU(61)는 본발명에 따른 언로딩 처리가 수행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수신된 언로드 요구 신호용으로 이용된 통신 프로토롤이 본 발명에 따른 언로딩 또는 종래의 언로딩 처리를 선정하기 때문에, 이러한 결정은 SCSI 제어기(75)를 통해 수신된 언로드 요구 신호의 데이타 내용을 분석하는 메인 CPU(6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부수적으로, 메인 CPU(61)는 언로드 버튼에 의해 수행된 언로드 요구 신호가 본 발명에 따른 언로드 요구 신호인 지를 결정한다. 언로딩 처리가 본 발명에 따른 언로딩 처리가 아닐 경우, 플로우는 단계(S23)로 진행한다. 단계(S23)에서, 메인 CPU(61)는 종래의 언로딩 처리를 수행한다. 다시 말하면, 테이프는 현재 위치에서 DIT의 개시 위치로 미리 감겨진다(되감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언로딩 처리의 경우에, 플로우는 단계(S24)로 진행한다.
단계(S24)에서, 메인 CPU(61)는 현재 헤드 위치가 각각의 실제 ID에 대응하는 제 18A 도에 도시된 2개의 위치들 중 어떤 위치에 밀접해 있는지를 결정한다. 이러한 위치들 중 한 위치는 논리 볼큠, 특히 DIT 영역의 개시 위치인 BOP(분리부의 개시:Beginning Of Partition) 위치이다 다른 위치는 EOD 직후의 위치이다. 언로딩 처리가 기입 수순 이후에 수행될 때, 헤드는 EOD 직후에 배치된다. 판독 수순의 중간에, 헤드는 논리 볼륨의 개시 위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현재 헤드 위치가 BOP에 밀접해 있을 때, 플로우는 단계(S25)로 진행한다. 단계(S25)에서, 업데이트된 DIT는 DIT 영역에 기입된다. 기입 수순에 있어서, DIT는 7회 반복적으로 기입된다. 제 18B 도는 DIT가 기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현재 헤드 위치가 EOD에 밀접해 있을 대, 플로우는 단계(S26)로 진행한다.단계(S26)에서, 업데이트된 DIT는 EOD 직후에 기입된다. 이러한 기입 수순에 있어서, 논리 볼륨의 개시 위치에서의 DIT와 같이, DIT는 7회 반복 기입된다. 제 18C 도는 DIT가 단계(S26)에서 기입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단계(S27)에서, 언로드 정보는 단계(S25 및 S26)에서 기입되었던 DIT 직후에 기입된다. 제 18D 도는 언로드 정보가 단계(S25)(제 18B 도에 도시됨)에서 기입되었던 DIT 직후에 기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 18E 도는 언로드 정보가 단계(S26)(제 18C 도에 도시됨)에서 기입되었던 DIT 직후에 기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언로드 정보가 기입된 후, 플로우는 단계(S28)로 진행한다. 단계(S28)에서, 테이프는 배출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헤드는 언로드 정보의 기록 영역 내에 배치되는 상태에서, 배출 조작이 수행된다. 결과적으로 언로딩 처리가 완료된다.
제 19 도는 언로드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언로드 정보는 에스터리스크 워드(asterisked word)(*)가 VSIT(볼륨 세트 정보 테이블:Volume Set Information Table)에 추가되는 데이타이다. 각 볼륨의 유효 DIT(언로딩 처리가 수행될 때 테이프 상에 기록된)의 실제 ID는 워드(66, 70,...., 4158)로서 언로드 정보에 기입된다. 부수적으로, 제 19 도는 1-ID에 대한 데이타를 도시한 것이다. 테이프 상에서, 언로드 정보는 약 수백회 반복 기록된다(다중 기록된다). 카세트 테이프가 언로드 정보의 위치에서 배출될 경우, 테이프는 손상될 수 있다. 언로드 정보가 손상되지 않게 하기 위해, 이러한 기록 방법이 이용된다. 다중 기록되는 테이프의 길이는 손상에 따른 오류의 집중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 테이프 전송에 관한 유효 길이의 약 1.5배이다.
다중 기록 방법과 같이, 언로드 정보는 적절한 오류 정정 코드로 엔코드될 수 있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제 20A 도는 종래의 논리 볼륨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제 20B 도는 논리 볼륨 내에 배치된 강한 정정 가능 영역를 도시한 것이다. 강한 정정 가능 영역은 고도의 정정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강한 영역 정정 코드를 가지는 유저 데이타 영역이다. 제 20B 도를 참조하면, 약한 정정 가능 영역도 배치되어 있다. 약한 정정 가능 영역은 강한 정정 가능 영역보다 약한 정정 성능을 갖고 있다. 언로드 정보는 강한 정정 가능 영역 내에 배치된다. 카세트 테이프는 헤드가 강한 정정 가능 영역 내에 배치되는 방식과 같이 배출될 때, 언로드 정보는 보호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언로딩 처리에 있어서, 테이프를 테이프 상부 위치로 되감을 필요는 없다. 그러므로, 언로딩 처리는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자기 테이프와 같은 대 용량 매체의 경우에, 이러한 효과는 주목할 만한다. 부수적으로, 테이프는 언로딩 처리가 개시되는 헤드의 위치에서 언로드되기 때문에, 언로딩 처리는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테이프를 테이프 상부 위치로 되감을 필요는 없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DIT의 VITDP 관한 트랙 세트 내에 기입된 테이프 정보는 언로드 정보로서 이용된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언로드 정보는 테이프 상에 기록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언로드 정보는 테이프 상에 기록되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S-RAM(72))내에 저장된다.
제 21 도는 DIT의 VIT에 관한 서브 코드 영역의 내용을 도시한 것이다. 테이프 초기 넘버(테이프의 초기화 시에 할당한 테이프의 독특한 값)는 서브 코드 영역의 워드 14로서 기입된다. 제 2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륨의 초기 넘버(볼륨의 초기화 시에 할당한 테이프의 독특한 값)는 VIT의 워드 255로 기입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VIT의 테이프 정보(즉, 테이프 초기 넘버 및 볼륨 초기 넘버)가 이용된다.
그 다음, 제 26도 및 제 27F 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로딩 처리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테이프가 데이타 기록기 내에 삽입된 후, 메인 CPU(61)가 SCSI 제어기(75)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로드 요구 신호를 수신할 때, 메인 CPU는 로딩 처리를 개시한다. 대안으로, 사용자가 로드 버튼을 누를 때, 메인 CPU(61)는 로드 버튼이 처리되었다는 것을 PIO(65)를 통해 결정한다. 그러므로, 메인 CPU(61)는 로딩 처리를 개시한다.
그 후, 메인 CPU(61)는 현재 ID 값을 2 포트 RAM(70)을 통해 테이프로부터 판독하기 위해 서브 CPU(81)를 요구한다. 그러므로, 서브 CPU(81)는 RS422(87)를 통해 현재 ID 값(IDR)을 얻어서 이 값을 2 포트 RAM(70)을 통해 메인 CPU(61)로 송신한다.
메인 CPU(61)는 현재 위치가 얻어진 데이타에 대응하는 테이프 상부 위치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S31)). 현재 위치가 테이프 상부 위치일 때, 메인 CPU(61)는 상술한 종래의 로딩 처리를 수행한다(단계(S32)). 현재 위치가 테이프상부 위치가 아닐 경우, 폴로우는 단계(S23)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단계(S33)에서, 본 발명에 따른 로딩 처리가 수행된다. 이러한 경우에, 제 27A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는 언로드된 테이프의 초기 위치 내에 배치된다(제 2 실시예의 언로딩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되어 있다).
메인 CPU(61)는 데이타를 판독하기 위해 2 포트 RAM(70)을 통해 서브 CPU(81)를 요구한다. 그러므로, 단계(S33)에서, 서브 CPU(81)는 몇 개의 10-ID들 내지 100-ID들에 대해 테이프를 되감는다. 제 27B 도는 테이프가 되감아진 헤드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그 후, 플로우는 단계(S24)로 진행한다. 단계(S34)에서, DIT의 VIT에 관한 1-ID에 대한 데이타가 판독된다. 제 27C 도는 단계(S34)에서의 헤드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DIT의 VIT는 상술한 데이타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단계(S34)에서, 테이프 초기 넘버 및 볼륨 초기 넘버(초기화 시의 랜덤 넘버)가 얻어진다. DMA제어기(89)는 판독 데이타를 뱅크 메모리(80)에 저장한다.
메인 CPU(61)는 뱅크 메모리(80) 내에 저장된 데이타로부터 테이프 포기 넘버 및 볼륨 초기 넘버를 얻고, S-RAM(72) 내의 데이타 베이스가 동일한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S35) 및 제 27D 도에 도시됨). 언로딩 처리가 수행될 때, 테이프 초기 넘버, 볼름 초기 넘버 및 DIT 실제 ID는 S-RAM(72)에 기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S-RAM(72)는 전원이 턴오프된 후 일지라도 데이타를 보유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얻어진 초기 넘버가 데이타 베이스 내에 포함된 경우, 종래의 처리가 수행된다.
얻어진 초기 넘버가 데이타 베이스 내에 포함된 경우, 플로우는 단계(S36)로진행한다. 단계(S36)에서, 메인 CPU(61)는 얻어진 초기 넘버에 대응하는 DITDML 위치 정보(실제 ID)를 얻는다. 그 후, 메인 CPU(61)는 서브 CPU(81)로 하여금 얻어진 DIT 위치 정보로부터의 DIT를 개시 지점으로 하여금 얻어진 DIT 위치 정보로부터의 DIT를 개시 지점으로 판독하게 한다. DMA 제어기(89)는 DIT를 뱅크 메모리(80)에 처장한다. 메인 CPU(61)는 뱅크 메모리(80) 내에 저장된 데이타를 RAM(71)로 송신한다. 흐름은 단계(S38)로 진행한다. 단계(S38)에서, 메인 CPU(61)는 서브 CPU(81)로 하여금 VIT내에 포함된 데이타 블록의 최종 실제 ID(EOD의 위치와 등가)를 RAM(71)로 송신된 데이타로부터 판독하여 테이프를 최종 실제 ID의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그러므로, 헤드는 EOD의 위치로 사전에 감겨진다. 결과적으로, 로딩 처리는 완료된다. 제 27F 도는 로딩 처리가 완료되는 헤드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그 다음, 제 28 도 내지 제 30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언로딩 처리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메인 CPU(61)가 SCSI 제어기(75)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언로드 요구 신호를 수신할 때, 메인 CPU(61)는 언로딩 처리를 개시한다.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언로드 버튼을 누를 때, 메인 CPU(61)는 언로드 버튼이 눌러졌다는 것을 PIO(65)를 통해 결정한다. 그러므로, 메인 CPU(61)는 언로딩 처리를 개시한다.
단계(S41)(제 28 도에 도시됨)에서, 메인 CPU(61)는 S-RAM(72) 내의 데이타 베이스가 오버플로우(overflow) 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S-RAM(72)가 오버플로우될 때, 새로운 데이타 베이스가 발생될 수 없기 때문에, 메인 CPU(61)는 로딩 처리를 데이타 베이스로 고속 처리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 플로우는 단계(S42)로 진행한다. 단계(S42)에서, 메인 CPU(61)는 종래의 언로딩 처리를 수행한다. S-RAM(72)가 오버플로우되지 않은 경우, 플로우는 단계(S43)로 진행한다.
단계(S43)에서, 메인 CPU(61)는 현재 헤드 위치가 테이프 상부(BOT) 또는 EOD의 위치와 밀접해 있는지를 결정한다. 현재 헤드 위치가 테이프 상부 위치와 밀접해 있을 때, 플로우는 단계(S42)로 진행한다. 단계(S42)에서, 메인 CPU(61)는 종래의 언로딩 처리를 수행한다. 현재 헤드 위치가 EOD와 밀접해 있을 때, 헤드는 현재 위치에서 다음 EOP 위치로 사전에 감겨진다. 제 29A 도에 있어서, I는 헤드가 사전에 감겨진 후의 헤드 위치를 나타낸다.
그 다음, 메인 CPU(61)는 DIT를 2 포트 RAM(70)을 통해 기입하기 위해 서브 CPU(81)에 요구한다. 그 후, 플로우는 단계(S44)로 진행한다. 단계(S44)에서, 서브 CPU(81)는 EOD직후에 DIT를 기입한다. 논리 볼륨의 상부에 있는 DIT와 같이, DIT는 7회 반복 기입된다. 제 29B 도는 DIT가 단계(S44)에서 7회 기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 후, 플로우는 단계(S45)로 진행한다 단계(S45)에서, DIT 실제 ID(DIT 위치를 나타냄), 테이프 초기 넘버 및 볼륨 초기 넘버는 S-RAM(72) 내의 데이타 베이스에 등록된다. 언로드 버튼이 눌러지거나 언로드 명령이 발생될 때, 메인 CPU(61)는 배출 요구 신호를 발생시킨다. 결과적으로, 배출 조작이 수행되고, 언로딩 처리가 완료된다.
제 30 도는 데이타 베이스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데이타 베이스는 테이프 초기 넘버, 볼륨 초기 넘버 및 DIT 위치(실제 ID)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포함한다. 데이타 베이스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S-RAM(72) 내에 저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2 실시예에서, 테이프를 테이프 상부 위치로 되감을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와 같이, 로딩 처리 및 언로딩 처리는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순차 호출 동작 뿐만아니라 회전 헤드 형태의 데이타 기록기를 수행하는 데이타 기록기에 적용될 수 있다.
부수적으로, 테이프 마크의 속성을 가지는 데이타 포맷은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대신에, 여러 가지 포맷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언로딩 처리가 수행될 때, 테이프를 테이프 상부 위치로 되감기 위한 처리는 불필요하다. 그러므로, 언로딩 처리가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부수적으로 바로 다음 로딩 처리에서, 테이프는 요구되는 DIT 위치로 단시간에 이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로딩 처리는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에 따르면, 로딩/언로딩 처리 시에 호출되는 DIT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테이프는 손상되는 것으로부터 상당히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최상 모드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은 본 발명을 여러 가지 양상으로 변경, 생략 및 추가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의의에서 벗어나지 않고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기록기의 윤곽을 도시한 정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기록기의 윤곽을 도시한 배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기록기의 응용을 도시한 개략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기록기에 이용하기 위한 헤드의 배열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기록기의 트랙 패턴을 도시한 개략도.
제 6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기록기의 시스템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기록기의 테이프 포맷을 도시한 개략도.
제 8A 도, 제 8B 도 및 제 8C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기록기의 VSIT 및 DIT의 포맷을 도시한 개략도.
제 9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기록기의 BST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 10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기록기의 논리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 1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기록기의 포맷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리스트.
제 1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기록기의 시스템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블록도.
제 13A 도 내지 제 13F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기록기의 로딩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 14A 도 내지 제 14C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기록기의 언로딩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 15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딩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제 16A 도 내지 제 16G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딩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 17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언로딩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제 18A 도 내지 제 18E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언로딩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 19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언로딩 정보의 내용을 도시한 개략도.
제 20A 도 내지 제 20C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 21 도는 DIT의 서브 코드 영역의 내용을 도시한 개략도.
제 22 도는 DIT의 블록 관리 테이블의 내용을 도시한 개략도.
제 23 도는 DIT내의 VIT의 내용을 도시한 개략도.
제 24 도는 DIT내의 LIDT의 내용을 도시한 개략도.
제 25 도는 DIT내의 FIT의 내용을 도시한 개략도.
제 26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로딩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제 27A 도 내지 제 27F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로딩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 28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언로딩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제 29A 도 내지 제 29C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언로딩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 30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데이타 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동 제어기 2 : 디지탈 정보 기록기
3 : 버튼 5 : 로딩/언로딩 개방부
6 : 분리 가능 패널 11, 21 : 데이타 입/출력 접속기
12, 22 : 제어 접속기 13, 23 : RS232C 접속기
14a, 14b : SCSI 접속기 15 : AC 전원 입력 접속기
16 : DC 전원 출력 접속기 20 : 호스트 컴퓨터
25 : 드럼 28 : 기록 영역
31, 46 : 시스템 제어기 32, 75 : SCSI 제어기
33 : 버퍼 메모리 34 : 구동 제어기
35 : C2 엔코더 36 : 트랙 인터리브 회로
37 : C1 엔코더 38, 42 : 채널 코드 엔코더
39, 41 : RF 증폭기 43 : C1 디코더
44 : 트랙 디인터리브 회로 45 : C2 디코더
47 : 헤드 48 : 메카니즘 제어기
49 : 모터 구동 회로 51 : 전원 공급 장치
52 : DC-DC 변환 회로 61 : 메인 CPU
62, 82 : CPU 버스 63, 83 : ROM
64, 65, 88 : PIO 66 : 제어 패널
67 : LCD 68, 85 : 타이머
69, 86 : RS232C 인터페이스 70 : 2 포트 RAM
71, 84 : 워크 RAM 72 : S-RAM
73 : 단방향 제어 장치 74 : IM 버스
80 : 뱅크 메모리 81 : 서브 CPU
87 : RS422 인터페이스 89 : DMA 제어기

Claims (31)

  1. 기록 및 재생 헤드로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의 다수의 분할된 기록/재생 영역들 중 소정의 영역으로 또는 그 영역으로부터 디지탈 데이타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로서, 각각의 분할된 기록/재생 영역들은 상기 디지탈 데이타와, 그 기록 종료 지점을 나타내는 종료 정보 및 그 관리정보를 구비하는 제 1 정보 테이블을 가지고, 상기 테이프-모양의 기록 매체는 상기 기록/재생 영역들의 디지탈 데이타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 및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 상의 상기 제 1 정보 테이블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구비하는 제 2 정보 테이블을 갖는, 상기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테이블의 업데이트된 내용들을 구비하는 제 3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과,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 상의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구비하는 제 4 정보 테이블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가 언로딩 동작을 수행하도륵 요구될 때 상기 기록/재생 헤드로 상기 기록/재생 영역들의 소정의 위치들에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 및 상기 제 4 정보 테이블을 기록하고,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 및 상기 제 4 정보 테이블이 기록된 후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를 언로딩시키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테이블은 상기 기록/재생 영역들의 상부 부분에 기록되고,
    상기 디지탈 데이타는 제 1 정보 테이블 직후에 기록되고,
    상기 종료 정보는 상기 디지탈 데이타 직후에 기록되고,
    상기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는
    상기 언로딩 동작이 요구될 때 상기 기록/재생 헤드가 상기 제 1 정보 테이블의 기록 위치 또는 상기 종료 정보의 기록 위치들 중 어느 것에 더 가까운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 및 상기 제 4 정보 테이블을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기록 위치에 기록하도록 되어 있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 동작이 요구되고 상기 제 1 정보 테이블이 상기 결정 수단의 결정된 결과로서 상기 기록/재생 헤드에 더 가까울 때,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정보 테이블을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에 재기입하고, 상기 재기입된 제 3 정보 테이블 직후에 제 4 정보 테이블을 기록하도록 되어 있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 동작이 요구되고 상기 종료 정보가 상기 결정 수단의 결정된 결과로서 상기 기록/재생 헤드에 더 가까울 때,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을 종료 정보 직후에 기록하고 상기 제 4 정보 테이블을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 직후에 기록하도록 되어 있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 상의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는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의 상부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정보 테이블 발생 수단은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의 상기 상부 위치 및 상기 제 2 정보 테이블의 내용들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 4 정보 테이블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록/재생 영역 내에 상기 제 4 정보 테이블을 여러번 반복적으로 기록하도록 되어 있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의 상기 테이프 경로의 길이보다 긴 길이에 대한 상기 기록/재생 영역 내에 상기 제 4 정보 테이블을 여러번 반복적으로 기록하도록 되어 있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
  9. 기록/재생 헤드로 디지탈 데이타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데이타가 기록되는 다수의 분할된 기록/재생 영역들을 갖는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로서, 각각의 상기 분할된 기록/재생 영역들은 상기 디지탈 데이타와, 그 종료 지점을 나타내는 종료 정보 및 그 관리 정보를 구비하는 제 1 정보 테이블의 업데이트된 내용들을 구비하는 제 3 정보 테이블과,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 상의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의 위치를 나타내는 적어도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4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는 상기 기록/재생 영역들의 상기 디지탈 데이타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 및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 상의 상기 제 1 정보 테이블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구비하는 제 2 정보 테이블을 갖는,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와,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 및
    상기 제 4 정보 테이블을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 상에서 판독하고,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 4 정보 테이블로부터 검출하며,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이동 수단을 제어하고, 이동되는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을 판독하고,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의 위치 정보를 종료 정보를 갖는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로부터 검출하고,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이동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간 로딩 동작이 요구되고, 상기 로딩 동작을 수행할 때 기록/재생 헤드를 상기 종료 정보 직후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가 상기 로딩 동작이 요구될 때,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가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의 상부 위치에 위치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록/재생 헤드가 상부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위치될 때에만 작동되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가 로딩 동작이 요구될 때, 제 4 정보 테이블이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4 정보 테이블이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될 때에만 작동되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
  12. 기록/재생 헤드로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의 다수의 분할된 기록/재생 영역들 중 소정의 영역으로 또는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디지탈 데이타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디지탈 데이타 기록 /재생 방법으로서, 각각의 분할된 기록/재생 영역들은 디지탈 데이타와, 그 기록 종료 지점을 나타내는 종료 정보 및 그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 테이블을 가지고,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는 기록/재생 영역들의 디지탈 데이타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 및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 상의 상기 제 1 정보 테이블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구비하는 제 2 정보 테이블을 갖는, 상기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제 1 정보 테이블의 업데이트된 내용들을 포함하는 제 3 정보 테이블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2)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 상에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4 정보 테이블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3) 언로딩 동작이 요구될 때, 상기 기록/재생 영역들의 소정의 위치들에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 및 상기 제 4 정보 테이블을 기록/재생 헤드로 기록하는 단계, 및
    (4)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 및 상기 제 4 정보 테이블이 기록된 후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를 언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테이블은 상기 기록/재생 영역들의 상부 부분에 기록되고,
    상기 디지탈 데이타는 상기 제 1 정보 테이블 직후에 기록되고,
    상기 종료 정보는 상기 디지탈 데이타 직후에 기록되며,
    상기 단계(3)는
    상기 언로딩 동작이 요구될 때, 상기 기록/재생 헤드가 상기 제 1 정보 테이블의 기록 위치 또는 상기 종료 정보의 기록 위치 중 어느 것에 더 가까운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 단계에 의해 결정된 기록 위치에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 및 상기 제 4 정보 테이블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언로딩 동작이 요구되고 제 1 정보 테이블이 상기 결정 수단의 상기 결정된 결과로서 상기 기록/재생 헤드에 더 가까울 때, 상기 제 1 정보 테이블을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에 재기입하고, 상기 재기입된 제 3 정보 테이블 직후에 상기 제 4 정보 테이블을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 동작이 요구되고 상기 종료 정보가 상기 결정 단계의 상기 결정된 결과로서 상기 기록/재생 헤드에 더 가까울 때,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을 상기 종료 정보 직후에 기록하고, 상기 제 4 정보 테이블을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 직후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 동작이 제 1 모드인지 제 2 모드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단계(3)는 상기 결정된 결과가 상기 제 1 모드일 경우 실행되는, 상기 결정 단계와,
    상기 결정된 결과가 상기 제 2 모드일 경우, 상기 제 1 정보 테이블을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에 재기입하고,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를 상기 상부 위치로 되감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3)는
    상기 기록/재생 영역들 내에 상기 제 4 정보 테이블을 여러번 반복적으로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기록 단계는 상기 테이프 경로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에 대한 상기 기록/재생 영역들 내에 상기 제 4 정보 테이블을 여러번 반목적으로 기록함으로써 수행되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방법.
  19. 기록/재생 헤드로 디지탈 데이타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방법에 있어서,
    (1) 디지탈 데이타가 기록되는 다수의 분할된 기록/재생 영역들을 갖는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를 로딩시키는 단계로서, 각각의 상기 분할된 기록/재생 영역들은 상기 디지탈 데이타와, 그 기록 종료 지점을 나타내는 종료 정보 및 그 관리 정보를 구비하는 제 1 정보 테이블의 업데이트된 내용들을 구비하는 제 3 정보 테이블과,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 상의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의 위치를 나타내는 적어도 위치 정보를 구비하는 제 4 정보 테이블을 가지며,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는 상기 기록/재생 영역들의 상기 디지탈 데이타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 및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 상의 상기 제 1 정보 테이블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구비하는 제 2 정보 테이블을 갖는,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를 로딩시키는 단계와,
    (2) 상기 단계(1)가 수행될 때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 상의 상기 제 4 정보 테이블을 판독하는 단계와,
    (3)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 상의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상기 단계(2)에서 판독된 상기 제 4 정보 테이블로부터 검출하는단계와,
    (4) 상기 단계(3)에서 검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5)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을 상기 단계(4)에서의 모드였던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는 단계와,
    (6)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 상의 상기 종료 정보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판독된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로부터 검출하는 단계와,
    (7) 상기 기록/재생 헤드를 상기 종료 정보 직후에 배치하기 위해, 상기 단계(6)에서 검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 동작이 요구될 때,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의 상부 위치에 상기 테이프-모양 매체가 배치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2) 및 그 이후의 단계들은 상기 기록/재생 헤드가 상기 상부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배치될 때에만 실행되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 동작이 요구될 때,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 상에 상기 제 4 정보 테이블이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2) 및 그 이후의 단계들은 상기 제 4 정보 테이블이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될 때에만 실행되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방법.
  22. 기록 및 재생 헤드로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의 다수의 분할된 기록/재생 영역들 중 소정의 영역으로 또는 그 영역으로부터 디지탈 데이타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로서, 각각의 분할된 기록/재생 영역들은 상기 디지탈 데이타와, 그 기록 종료 지점을 나타내는 종료 정보 및 그 관리정보를 구비하는 제 1 정보 테이블을 가지고, 상기 테이프-모양의 기록 매체는 상기 기록/재생 영역들의 디지탈 데이타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 및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 상의 상기 제 1 정보 테이블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구비하는 제 2 정보 테이블을 갖는, 상기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테이블의 업데이트된 내용들을 구비하는 제 3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과,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 상의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 및
    상기 기록/재생 헤드로 상기 기록/재생 영역의 소정의 위치에 제 3 정보 테이블을 기록하고,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 상의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며,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를 언로딩시키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테이블은 상기 기록/재생 영역들의 상부 부분에 기록되고,
    상기 디지탈 데이타는 상기 제 1 정보 테이블 직후에 기록되고,
    상기 종료 정보는 상기 디지탈 데이타 직후에 기록되고,
    상기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는
    상기 언로딩 동작이 요구될 때, 상기 기록/재생 헤드가 상기 제 1 정보 테이블의 기록 위치 또는 상기 종료 정보의 기록 위치 중 어느 것과 더 가까운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 및 상기 제 4 정보 테이블을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기 기록 위치에 기록하도록 되어 있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언로딩 동작이 요구되고 상기 제 1 정보 테이블이 상기 결정 수단의 상기 결정된 결과로서 상기 기록/재생 헤드에 더 가까울 때, 상기 제 1 정보 테이블을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에 재기입하도록 되어 있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언로딩 동작이 요구되고 상기 종료 정보가 상기 결정수단의 상기 결정된 결과로서 상기 기록/재생 헤드에 더 가까울 때, 상기 종료 정보 직후에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을 기록하도록 되어 있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
  26. 제 22 항에 있어서,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 상의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는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의 상기 상부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상의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제 1 정보 테이블 내에 구비되고,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를 나타내는 고정값, 및 상기 기록/재생 영역들 내에 기록된 상기 디지탈 데이타를 나타내는 고정값을 저장하도록 하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 상의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상기 제 1 정보 테이블 내에 구비되고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를 나타내는 고정값, 및 상기 기록/재생 영역들 내에 기록된 상기 디지탈 데이타를 나타내는 고정값을 저장하도록 할 때, 상기 메모리 수단에서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메모리 수단의 상기 오버플로우가 검출될 때,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를 상기 상부 위치로 되감도록 되어 있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
  29. 기록/재생 헤드로 디지탈 데이타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데이타가 기록되는 다수의 분할된 기록/재생 영역들을 갖는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로서, 각각의 상기 분할된 기록/재생 영역들은 상기 디지탈 데이타와, 그 기록 종료 정보를 나타내는 종료 정보 및 그 관리 정보를 구비한 제 1 정보 테이블의 업데이트된 내용들을 구비한 제 3 정보 테이블을 가지며,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는 상기 기록/재생 영역들의 상기 디지탈 데이타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와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 상의 상기 제 1 정보 테이블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구비하는 제 2 정보 테이블을 갖는,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와,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 상에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과,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 및
    상기 메모리 수단 내에 저장된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을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을 이동되는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로부터의 상기 종료 정보와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수단을 제어하며, 상기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가 상기 로딩 동작이 요구되고 상기 로딩 동작을 수행할 때, 상기 기록/재생 헤드를 상기 종료 정보 직후에 배치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가 상기 로딩 동작에 요구될 때,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가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의 상기 상부 위치에 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록/재생 헤드가 상기 상부 위치와는 다른 곳에 배치될 때에만 작동되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은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상기 제 1 정보 테이블 내에 구비되고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를 나타내는 제1 고정값, 및 상기 기록/재생 영역 내에 기록된 상기 디지탈 데이타를 나타내는 제 2 고정값을 저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 1 고정값 및 상기 제 2 고정값은 상기 언로딩 동작이 수행될 때 저장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를 나타내는 제 1 고정값 및 디지탈 데이타를 나타내는 상기 제 2 고정값을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의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판독값들이 상기 메모리 수단 내에 저장된 것들과 동일한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판독값들이 상기 메모리 수단 내에 저장된 것들과 동일할 때, 상기 테이프-모양 기록 매체를 상기 제 3 정보 테이블의 위치 정보에 의해 나타낸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
KR1019960001452A 1995-01-20 1996-01-19 디지탈데이타기록/재생장치및디지탈데이타기록/재생방법 KR1003821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90295 1995-01-20
JP95-025902 1995-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198A KR960030198A (ko) 1996-08-17
KR100382137B1 true KR100382137B1 (ko) 2003-07-07

Family

ID=12178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1452A KR100382137B1 (ko) 1995-01-20 1996-01-19 디지탈데이타기록/재생장치및디지탈데이타기록/재생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774288A (ko)
KR (1) KR1003821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7570B2 (ja) * 1997-09-12 2007-10-24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及びテープ記録及び/又は再生方法
JP2000173243A (ja) * 1998-12-09 2000-06-23 Sony Corp テープドライブ装置、記録媒体
JP3824123B2 (ja) * 1999-07-30 2006-09-20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状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1256695A (ja) * 2000-03-13 2001-09-21 Sony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及び磁気テープのアクセス方法
GB2404488B (en) * 2003-07-31 2006-05-31 Sony Uk Ltd Access control for digital content
GB2418770B (en) * 2004-10-02 2009-04-22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Data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KR100698263B1 (ko) * 2005-02-28 2007-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JP2015133164A (ja) * 2014-01-15 2015-07-23 富士通株式会社 テープ装置、書込処理方法、及び書込制御プログラム
USD852806S1 (en) * 2017-10-17 2019-07-02 Otto Männer GmbH Process data recorder for injection molding process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3673B2 (ja) * 1989-01-27 1999-12-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ファイル装置
US5274508A (en) * 1990-03-09 1993-12-28 Hewlett-Packard Company Tape storage device for storing audio data in the amble frames of a DDS format tape
US5361179A (en) * 1991-03-17 1994-11-01 Sony Corporation Dat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74288A (en) 1998-06-30
KR960030198A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93994B2 (ja) データ格納装置およびデータ格納方法
KR100382137B1 (ko) 디지탈데이타기록/재생장치및디지탈데이타기록/재생방법
US5712740A (en) Method for reducing wasted storage space when storing multiple data blocks on a storage medium
US6535344B1 (en) Tape drive unit and recording medium
JP3652372B2 (ja) データ及び補助情報を記憶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6222693B1 (en) Re-recording/re-producing device for magnetic tape and head cleaning
US59993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digital data and header information to/from areas of a tape record medium
US6426842B1 (en) Tape travel controlling apparatus for use with data recorder
JP2000173243A (ja) テープドライブ装置、記録媒体
US6525894B1 (en) Tape drive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 volume from a tape medium
US6229661B1 (en) Digital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digital data reproducing apparatus
JP200207490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及び磁気記録再生方法
US588684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pying data between tape streamers which provides an indication of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data requested to be copied and the amount of data sent
KR100331200B1 (ko) 신호처리방법
JPH08255388A (ja) ディジタルデータの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H09114601A (ja) 磁気テープ記録再生システム
US6714375B2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magnetic tape accessing method
US62399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ctivating a one of video data channel and a computer data channel in a tape drive in response to detection of the nature of the data recorded on a magnetic tape loaded in the tape drive
JP3991512B2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記録再生装置
JP2000057510A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4247650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及びバッドスポットの処理方法
JPH08203215A (ja) データレコーダ
JPH08203214A (ja) データレコーダ
JPH08263892A (ja) 磁気テープ記録再生装置
JP2003272299A (ja) 記録媒体、記録方法、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