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263B1 -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263B1
KR100698263B1 KR1020050017018A KR20050017018A KR100698263B1 KR 100698263 B1 KR100698263 B1 KR 100698263B1 KR 1020050017018 A KR1020050017018 A KR 1020050017018A KR 20050017018 A KR20050017018 A KR 20050017018A KR 100698263 B1 KR100698263 B1 KR 100698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memory
output mode
information
user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5381A (ko
Inventor
하광희
최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7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263B1/ko
Publication of KR20060095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8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recorde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에서 최종 사용내역을 기억하고 그에 따라 외장 메모리 저장정보에 대한 출력을 수행하여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 종료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최종 사용값에 따른 로그 파일(log file)을 생성하여 외장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 시작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연결된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값을 이용하여 외장 메모리의 저장정보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외장 메모리 모듈, 그리고 상기 외장 메모리 모듈에서 출력된 정보를 영상 및 음성 출력하는 티브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에서 최종 사용내역을 외장 메모리에 저장하고, 해당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출력 요청시 상기 저장된 사용내역에 따라 정보 출력을 수행하므로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외장 메모리/로그 파일

Description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of external memo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 및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외장 메모리 모듈 11: 외장 메모리 소켓
13: 외장 메모리 제어부 20: 티브이 모듈
21: 영상/음성 처리부 23: 디스플레이부
25: 스피커 27: 메인 제어부
본 발명은 영상 및 음성 정보 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종 영상/음성 기기들은 기본적인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저장을 위한 내부 메모리 이외에,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 및 음성정보들의 추가가 가능하도록 외장형 메모리를 지원한다.
그리고 상기 외장형 메모리를 지원하는 기기는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카메라 또는 MP3 기능을 갖는 휴대폰 등 다양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외장형 메모리에 자신이 원하는 음악을 저장하고, 이를 MP3 플레이어에 삽입하여 음악을 들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장형 메모리를 디지털 카메라에 삽입하고, 그 메모리 용량내에서 원하는 대로 사진도 찍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장형 메모리의 용도가 다양해짐에 따라 외장형 메모리를 지원하는 영상기기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외장 메모리 지원 영상기기는 사용자가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를 선택하여,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영상 및 음성 정보 출력을 진행할 때 이전 과정에서의 사용값(예를 들어, 이전 사용시 재생된 음악파일의 이름과 진행시간 등)을 기억하지 못하고, 항상 영상기기 디폴트(Default) 값으로 해당 정보를 출력하므로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에서 최종 사용내역을 기억하고 그에 따라 외장 메모리 저장정보에 대한 출력을 수행하여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 종 료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최종 사용값에 따른 로그 파일(log file)을 생성하여 외장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 시작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연결된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값을 이용하여 외장 메모리의 저장정보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외장 메모리 모듈, 그리고 상기 외장 메모리 모듈에서 출력된 정보를 영상 및 음성 출력하는 티브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의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 종료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최종 사용값에 따른 로그 파일을 생성하여 외장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 시작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연결된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값을 이용하여 외장 메모리의 저장정보의 영상 및 음성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티브이 모듈, 그리고 상기 외장 메모리 연결을 위한 소켓을 구비하고, 상기 소켓에 연결된 외장 메모리와 티브이 모듈의 정보 입/출력을 제어하는 외장 메모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 종료명령 또는 시작명령 입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 종료명령이 입력되면 최종 사용값 저장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여 최종 사용값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 시작명령이 입력되면 최종 사용값 존재여부를 판단하고, 최종 사용값이 존재하면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에 대해 상기 사용값을 적용하여 출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외 장 메모리 정보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에서 최종 사용내역을 외장 메모리에 저장하고, 해당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출력 요청시 상기 저장된 사용내역에 따라 정보 출력을 수행하므로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메모리 모듈(10), 그리고 상기 외장 메모리 모듈(10)과 통신 및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한 티브이 모듈(20)로 구성된다.
상기 외장 메모리 모듈(10)은 외장 메모리 연결을 위한 외장 메모리 소켓(11)과 외장 메모리 제어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외장 메모리 제어부(13)는 티브이 모듈(20)의 메인 제어부(27)와 통신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장 메모리 소켓(11)을 통해 삽입된 외장 메모리의 저장정보 입/출력을 제어한다. 이때 외장 메모리 제어부(13)는 동작 프로그램과 동작 진행에 필요한 임시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또한 외장 메모리 제어부(13)는 사용자의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 종료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최종 사용값에 따른 로그 파일을 생성하여 외장 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외장 메모리 제어부(13)는 사용자의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 시작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외장 메모리 소켓(11)에 삽입된 외장 메모리에서 로그 파일이 존재하는지 검색하여 존재하면 로그 파일에 저장된 사용값을 이용하여 외장 메모리의 저장정보 출력을 진행시킨다.
상기 티브이 모듈(20)은 영상/음성 처리부(21), 디스플레이부(23), 스피커(25) 및 메인 제어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영상/음성 처리부(21)는 튜너(도시 생략)를 통해 수신된 영상/음성신호 또는 외장 메모리 제어부(13)를 통해 외장 메모리에서 출력된 영상/음성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3) 및 스피커(25)를 통해 출력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27)는 사용자의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 관련명령을 상기 외장 메모리 제어부(13)에 전달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영상/음성 처리부(21)의 동작을 포함한 시스템 전체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메인 제어부(27)는 동작 프로그램과 동작 진행에 필요한 임시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외장 메모리 제어부(13)의 역할을 메인 제어부(27)에서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외장 메모리 제어부(13)와 메인 제어부(27)는 데이터 입/출력 및 통신이 가능하므로, 상술한 외장 메모리 제어부(13)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메인 제어부(27)에 설치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본 발명의 방법은 도 1의 장치에 구현 가능 하므로 도 1의 구성을 인용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 종료시 최종 사용값 즉, 사용자가 영상 또는 음성정보를 최종적으로 사용한 내역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장 메모리 제어부(13)는 사용자가 입력한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 종료명령을 인식한다(S21). 이때 사용자 명령은 직접 입력받거나, 또는 메인 제어부(27)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외장 메모리 제어부(13)는 사용자에게 최종 사용값 저장여부를 확인한다(S22).
즉, 화면에 예를 들어, "현재의 사용상태를 저장하시겠습니까?"와 같은 확인 메시지와 확인 아이콘(예, 아니오)를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저장을 원할 경우, '예'를 선택하고, 저장을 원하지 않으면 '아니오'를 선택하면 된다.
이어서 외장 메모리 제어부(13)는 상기 확인결과(S22), 사용자가 최종 사용값 저장을 선택하면, 최종 사용값 정보를 포함한 로그 파일(Log file)을 생성한다(S23).
그리고 외장 메모리 제어부(13)는 상기 로그 파일을 외장 메모리 소켓(11)을 통해 연결된 외장 메모리에 저장한다(S24).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 시작시 최종 사용값에 따라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를 진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장 메모리 제어부(13)는 사용자가 입력한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 시작명령 을 인식한다(S31). 이때 사용자 명령은 직접 입력받거나, 또는 메인 제어부(27)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외장 메모리 제어부(13)는 현재 연결된 외장 메모리에 로그 파일이 존재하는지 검색한다(S32).
이어서 외장 메모리 제어부(13)는 상기 검색결과(S32), 로그 파일이 존재하면, 해당 로그 파일을 읽어들인다(S33).
그리고 외장 메모리 제어부(13)는 현재 사용자가 출력 요청한 외장 메모리 저장 정보들에 대해 상기 로그 파일에 저장된 해당 사용값을 적용한다(S34).
한편, 외장 메모리 제어부(13)는 상기 검색결과(S32), 로그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현재 사용자가 출력 요청한 외장 메모리 저장 정보들 각각에 대해 디폴트(default) 값을 적용한다(S35).
이어서 외장 메모리 제어부(13)는 상기 적용된 사용값 또는 디폴트값에 맞도록 상기 요청된 외장 메모리 저장 정보들을 티브이 모듈(20)의 영상/음성 처리부(21)에 출력하여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를 수행한다(S36).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은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에서 최종 사용내역을 외장 메모리에 저장하고, 해당 외장 메모리 에 저장된 정보출력 요청시 상기 저장된 사용내역에 따라 정보 출력을 수행하므로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외장 메모리가 연결 가능한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 종료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최종 사용값에 따른 로그 파일(log file)을 생성하여 외장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 시작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연결된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값을 이용하여 외장 메모리의 저장정보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외장 메모리 모듈; 그리고
    상기 외장 메모리 모듈에서 출력된 정보를 영상 및 음성 출력하는 티브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장치.
  2. 외장 메모리가 연결 가능한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 종료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최종 사용값에 따른 로그 파일을 생성하여 외장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 시작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연결된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값을 이용하여 외장 메모리의 저장정보의 영상 및 음성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티브이 모듈; 그리고
    상기 외장 메모리 연결을 위한 소켓을 구비하고, 상기 소켓에 연결된 외장 메모리와 티브이 모듈의 정보 입/출력을 제어하는 외장 메모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장치.
  3. 외장 메모리가 연결 가능한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 종료명령 또는 시작명령 입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 종료명령이 입력되면 최종 사용값 저장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여 최종 사용값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 시작명령이 입력되면 최종 사용값 존재여부를 판단하고, 최종 사용값이 존재하면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에 대해 상기 사용값을 적용하여 출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사용값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최종 사용값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로그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로그 파일은 외장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메모리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 종료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최종 사용값에 따른 로그 파일을 저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사용자 옵션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티브이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 종료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최종 사용값에 따른 로그 파일을 저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사용자 옵션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 종료명령이 입력되면 최종 사용값 저장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여 최종 사용값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외장 메모리 출력모드 종료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최종 사용값 저장 여부를 결정하는 사용자 옵션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방법.
KR1020050017018A 2005-02-28 2005-02-28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698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018A KR100698263B1 (ko) 2005-02-28 2005-02-28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018A KR100698263B1 (ko) 2005-02-28 2005-02-28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381A KR20060095381A (ko) 2006-08-31
KR100698263B1 true KR100698263B1 (ko) 2007-03-22

Family

ID=37625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018A KR100698263B1 (ko) 2005-02-28 2005-02-28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2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0198A (ko) * 1995-01-20 1996-08-17 이데이 노부유키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 및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0198A (ko) * 1995-01-20 1996-08-17 이데이 노부유키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 및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6003019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381A (ko) 200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7108B2 (ja) 改善された相互作用を有するメディア配信システム
JPH11306057A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システム
JP6068342B2 (ja) 複合属性制御方法及びこれを支援する携帯端末機
CN107209657B (zh) 再现装置以及输出装置
US84835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motion picture files
JP5428779B2 (ja) 放送受信装置
KR100698263B1 (ko)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JP2005107585A (ja) 電子機器
KR20080038597A (ko) 차량용 오디오시스템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엠피3 재생장치 및 방법
JP2013138279A (ja) リモコ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50017296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 출력장치 및방법
KR100449543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그 연주 제어 방법
KR1006751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파일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KR100721352B1 (ko)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재생중인 멀티미디어의 끊김 방지를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JP2007158684A (ja) 通信端末装置及び端末制御方法
KR2005005108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재생 중 문자 메시지전송 방법
KR101053852B1 (ko) 거치장치,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7025107B2 (ja) 電子装置
JP4562373B2 (ja) データ処理装置
TW201711452A (zh) 影片播放速度調整方法及其電子裝置
KR20060061046A (ko) 직접 연결된 외부기기를 통합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제어방법
JP2002223485A (ja) 文字入力システム、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KR101305628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멀티태스킹 구동을 통한서비스확장방법
JP2002314647A (ja) 携帯機器相互間の接続制御方法および携帯機器
KR100729510B1 (ko) 사용용도에 따라 스피커를 다르게 구동하는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